KR102609255B1 -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255B1
KR102609255B1 KR1020230097604A KR20230097604A KR102609255B1 KR 102609255 B1 KR102609255 B1 KR 102609255B1 KR 1020230097604 A KR1020230097604 A KR 1020230097604A KR 20230097604 A KR20230097604 A KR 20230097604A KR 102609255 B1 KR102609255 B1 KR 102609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onveyor
floor
open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7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호
유영우
이승헌
김호해
고병완
노동창
이지훈
이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텍
Priority to KR1020230097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08Automatic devices with conveyor be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로어이송체인이 내설되는 플로어레일이 구비된 컨베이어하우징을 먹이통과 사료투입위치를 경유하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설치하고, 연결대에 의해 플로어이송체인과 연결되는 이동체를 컨베이어하우징의 상부에 설치하며, 이동체의 중앙에 지지대를 세워 설치하면서 지지대의 상단 일측에 제 1 사료이송박스를 설치하고, 제 1 사료이송박스의 하단부 개구단에 개폐 가능하게 게이트를 설치하고, 게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개폐가이드를 구성하므로서, 플로어 이송체인에 의해 제 1 사료이송박스가 이송되므로 작동성이 뛰어남은 물론 사료 이송 작업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높여줄 수 있고, 제 1 사료이송박스를 개폐하기 위한 제 2 실린더를 먹이통 주변의 컨베이어하우징 일측에 세워 설치한 지주에 설치함에 따라 구조가 단순해져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Feed conveying and feeding device for flow conveyors}
본 발명은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로어이송체인이 내설되는 플로어레일이 구비된 컨베이어하우징을 먹이통과 사료투입위치를 경유하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설치하고, 연결대에 의해 플로어이송체인과 연결되는 이동체를 컨베이어하우징의 상부에 설치하며, 이동체의 중앙에 지지대를 세워 설치하면서 지지대의 상단 일측에 제 1 사료이송박스를 설치하고, 제 1 사료이송박스의 하단부 개구단에 개폐 가능하게 게이트를 설치하고, 게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개폐가이드를 구성하므로서, 플로어 이송체인에 의해 제 1 사료이송박스가 이송되므로 작동성이 뛰어남은 물론 사료 이송 작업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높여줄 수 있고, 제 1 사료이송박스를 개폐하기 위한 제 2 실린더를 먹이통 주변의 컨베이어하우징 일측에 세워 설치한 지주에 설치함에 따라 구조가 단순해져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농가에서는 소, 젖소 또는 기타 가축을 사육하기 위해서 가을에 수확하여 얻은 볏짚 등의 건초를 모아 두었다가 일정한 사이즈로 절단하여서 단독적으로 혹은 여러 가지 사료, 음식물 찌꺼기 등과 혼합하여 가축을 사육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한다.
한편, 젖소/비육우에게 제공되는 혼합사료는 건초/볏짚/엔시레지와 같은 조사료에 농후사료/미네랄사료/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만들며, 우군의 발육상태나 영양상태에 따라 혼합사료 공급량과 조사료의 배합비율 등이 결정된다.
이런 이유로 혼합사료(Total Mixed Ration: TMR)의 제조 시 사료혼합장치(feed mixer)가 사용된다.
이러한 조사료나 혼합사료는 사료가 수용되어 있는 배합장치 등의 시설물로부터 작업자가 직접 손수레로 사료를 싣고 끌고 다니며 사료를 직접 수작업으로 공급하였다. 따라서, 사료를 공급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에 많은 노동력이 필요로 함으로서 사육하는 가축의 사육두수가 늘어날수록 작업에 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축사 내에서의 이동 여부 및 이동방식에 따라 고정형과 견인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 사료혼합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고정형은 혼합사료를 사람이 일일이 손수레로 실어 날라 가축에게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더디고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견인형은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에 사료혼합장치를 연결하여 다닐 수 있으므로 단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사료공급이 완결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정형이나 견인형의 종래의 사료혼합장치에서는 혼합사료를 공급할 때에는 반드시 사람이 개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사료공급이 작업자의 눈대중이나 감에 의존해서 이루어지므로 농장주나 작업자 또는 축산전문가가 심사숙고해서 결정한 최적의 공급량을 제때에 정확하게 주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사료공급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가축에게 공급되는 사료의 양이 적절치 못하면 등급이 높은 가축의 사육이 되지 못하여 축산농가의 소득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무인 사료 공급장치가 제공되기도 하였는데, 대부분의 종래 무인 사료 공급장치는 사료를 저장하고 있는 운반대차 형식의 무인 사료 공급장치가 제공되고 있었기 때문에 다수의 먹이통에 동시 다발적으로 사료를 공급할 수 없었고,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사료를 정확하게 먹이통에 공급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컨베이어를 이용한 사료 이송 및 공급 장치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료를 자동으로 먹이통으로 공급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 선행기술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86666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로어이송체인이 내설되는 플로어레일이 구비된 컨베이어하우징을 먹이통과 사료투입위치를 경유하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설치하고, 연결대에 의해 플로어이송체인과 연결되는 이동체를 컨베이어하우징의 상부에 설치하며, 이동체의 중앙에 지지대를 세워 설치하면서 지지대의 상단 일측에 제 1 사료이송박스를 설치하고, 제 1 사료이송박스의 하단부 개구단에 개폐 가능하게 게이트를 설치하고, 게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개폐가이드를 구성하므로서, 플로어 이송체인에 의해 제 1 사료이송박스가 이송되므로 작동성이 뛰어남은 물론 사료 이송 작업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높여줄 수 있고, 제 1 사료이송박스를 개폐하기 위한 제 2 실린더를 먹이통 주변의 컨베이어하우징 일측에 세워 설치한 지주에 설치함에 따라 구조가 단순해져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를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사료저장탱크와;
사료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적어도 1가지 이상의 사료를 사료계량박스수단으로 공급하는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와;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사료가 설정된 무게만큼 사료계량박스수단에 담겨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부와;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의 끝단에 설치되어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로 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계량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을 이루는 사료이송박스가 투입위치에 위치하였을때 계량된 사료를 사료이송박스로 공급하는 사료계량박스수단과;
다수의 먹이통과 사료투입위치를 경유하도록 폐루프를 이루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사료이송박스가 먹이통에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제어장치부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먹이통에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이송및 공급수단; 으로 구성하고,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은
먹이통과 사료투입위치를 경유하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하단 중앙부에는 플로어이송체인이 내설되는 플로어레일이 구비되는 컨베이어하우징과;
컨베이어하우징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가 양측에 구비되고, 연결대에 의해 플로어이송체인과 연결되는 이동체와;
이동체의 중앙에 돌출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사료이송박스와;
제 1 사료이송박스의 하단부 개구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게이트와;
일단이 게이트의 상단에 결합되고 중간부가 힌지축에 의해 축지되어 있는 게이트 개폐가이드와;
사료를 공급할 먹이통의 위치에 대응하여 컨베이어하우징의 일측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의 상단 일측에 작동봉이 하향 출몰작동하게 설치되는 제 2 실린더와;
게이트 개폐가이드를 눌러주기 위해 작동봉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누름판; 으로 구성하고,
제어장치부는 사료 공급시간에 도달하였을때 제 2 실린더를 작동시켜 누름판이 게이트 개폐사이드의 일측을 눌러주어 게이트가 개방되면서 사료가 먹이통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로어 이송체인에 의해 제 1 사료이송박스가 이송되므로 작동성이 뛰어남은 물론 사료 이송 작업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높여줄 수 있고, 제 1 사료이송박스를 개폐하기 위한 제 2 실린더를 먹이통 주변의 컨베이어하우징 일측에 세워 설치한 지주에 설치함에 따라 구조가 단순해져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케줄 제어가 가능한 컨베이어 방식의 사료공급장치를 계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케줄 제어가 가능한 컨베이어 방식의 사료공급장치에 적용된 제어수단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케줄 제어가 가능한 컨베이어 방식의 사료공급장치에 적용된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와 사료계량박스수단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사료이송 및 공급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료공급장치에 적용된 사료계량박스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사료이송 및 공급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사료이송 및 공급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사료이송 및 공급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사료이송 및 공급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사료이송 및 공급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구조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사료이송 및 공급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를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사료저장탱크(1)와;
사료저장탱크(1)에서 배출되는 적어도 1가지 이상의 사료를 사료계량박스수단(10)으로 공급하는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와;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에서 공급되는 사료가 설정된 무게만큼 사료계량박스수단(10)에 담겨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부(4)와;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의 끝단에 설치되어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로 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계량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100)을 이루는 사료이송박스가 투입위치에 위치하였을때 계량된 사료를 사료이송박스로 공급하는 사료계량박스수단(10)과;
다수의 먹이통(3)과 사료투입위치를 경유하도록 폐루프를 이루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사료이송박스가 먹이통(3)에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제어장치부(4)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먹이통(3)에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이송및 공급수단(100); 으로 구성하고,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100)은
먹이통(3)과 사료투입위치를 경유하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하단 중앙부에는 플로어이송체인(23)이 내설되는 플로어레일(22)이 구비되는 컨베이어하우징(21)과;
컨베이어하우징(21)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가 양측에 구비되고, 연결대(26)에 의해 플로어이송체인(23)과 연결되는 이동체(24)와;
이동체(24)의 중앙에 돌출되는 지지대(27)와;
지지대(27)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사료이송박스(28)와;
제 1 사료이송박스(28)의 하단부 개구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게이트(29)와;
일단이 게이트(29)의 상단에 결합되고 중간부가 힌지축(31)에 의해 축지되어 있는 게이트 개폐가이드(30)와;
사료를 공급할 먹이통(3)의 위치에 대응하여 컨베이어하우징(21)의 일측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34)와;
지주(34)의 상단 일측에 작동봉(36)이 하향 출몰작동하게 설치되는 제 2 실린더(35)와;
게이트 개폐가이드(30)를 눌러주기 위해 작동봉(36)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누름판(37); 으로 구성하고,
제어장치부(4)는 사료 공급시간에 도달하였을때 제 2 실린더(35)를 작동시켜 누름판(37)이 게이트 개폐사이드(30)의 일측을 눌러주어 게이트(29)가 개방되면서 사료가 먹이통(3)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100)은
먹이통(3)과 사료투입위치를 경유하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하단 중앙부에는 플로어이송체인(23)이 내설되는 플로어레일(22)이 구비되는 컨베이어하우징(21)과;
컨베이어하우징(21)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가 양측에 구비되고, 연결대(26)에 의해 플로어이송체인(23)과 연결되는 이동체(24)와;
이동체(24)의 중앙에 설치되고, 양측면부에 하단은 사각형 모양이고 상단은 원형모양으로 이루어진 레일홈(41)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하우징(40)과;
상기 레일홈(41)의 하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사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작동축(42)과;
작동축(42)의 상부에 연결간(43)으로 연결되는 버켓(44)과;
연결간(43)의 하단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작동편(45)과;
지지하우징(40)의 일측에 축(4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하단으로 작동단(47)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작동하여 작동편(45)을 상승시키는 개폐부(46)와;
지주(34)의 하단에 수평상으로 설치되고, 전후진 작동하여 작동단(47)을 밀어내는 제 3 실린더(49)와;
버켓(44)의 기울어짐 동작시 기울어짐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지지하우징(40)의 일측 상단에 연결간(43)의 중간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토퍼(50); 로 구성하고,
제어장치부(4)는 사료 공급시간에 도달하였을때 제 3 실린더(49)를 작동시켜 개폐부(46)가 작동편(45)을 들어올려 작동축(42)이 레일홈(41)의 상단부로 상승하면서 버켓(44)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사료가 먹이통(3)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스케줄 제어가 가능한 컨베이어 방식의 사료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조도이다.
축사에는 다수의 먹이통(3)이 설치되어 있고, 그 먹이통(3)에 각각 대응하도록 사료이송박스가 구비된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100)이 구성되는데,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100)에는 먹이통(3)과 사료투입위치를 경유하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적어도 1개 이상의 사료저장탱크(1)가 구비되는데, 사료저장탱크(1)에는 각기 다른 종류의 사료(예를들면, 조사료, TMR사료, 농후사료 등)가 저장될 수 있다.
사료저장탱크(1)의 출구측에는 개폐장치가 설치되고, 그 개폐장치는 제어장치부(4)의 제어에 의해 자동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료저장탱크(1)의 하측에는 사료공급 메인컨베이어(2)가 설치되어 사료저장탱크(1)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사료투입위치로 공급하며, 사료공급 메인컨베이어(2) 역시 제어장치부(4)의 제어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사료공급 메인컨베이어(2)의 끝단에는 사료계량박스수단(10)이 설치되는데, 사료계량박스수단(10)은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로 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계량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100)을 이루는 사료이송박스가 투입위치에 위치하였을때 제어장치부(4)의 제어에 따라 계량된 사료를 사료이송박스로 공급한다.
도 1 의 사료공급장치에 적용되는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메모리(5)에는 각각의 먹이통에 공급해야할 사료의 종류, 공급량, 공급시간과 같은 사료공급 스케줄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무게센서(7)는 사료계량박스수단(10)에 담겨지는 사료의 무게를 감지하며, 카메라(6)는 먹이통(3)을 촬영하여 제어장치부(4)에 제공한다.
제어장치부(4)는 메모리(5)에 저장되어 있는 작동프로그램에 따라 사료공급 메인컨베이어(2)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무게센서(7)에서 감지되는 사료의 무게가 메모리(5)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 공급량에 도달하였을때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를 위치시켜 더이상 사료계량박스수단(10)으로 사료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며, 카메라(6)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미도시된 화면으로 출력하여 관리자가 사료 공급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료계량박스수단(10)은 양측에 날개부(12)가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되고, 날개부(12)의 상단부에는 'ㄱ'자 모양의 축홈(13)이 형성되어 있는 경사받침부(11)를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의 끝단부 하측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하고, 경사받침부(11)의 바닥면과 맞대어져 사료를 저장하게되는 개폐박스(14)를 회동 작동 가능하게 경사받침부(11)의 날개부(12) 사이로 끼워 결합하는데, 개폐박스(14)의 양측 상단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축(15)을 축홈(13)에 끼워지게 결합하여 개폐박스(14)가 걸림축(15)을 중심으로 회동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개폐박스(14)의 전면부 상단에는 걸림날개(16)를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그리고, 일단이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의 프레임 하단에 결합되도록 제 1 실린더(17)를 설치하여 제 1 실린더(17)의 작동시 작동봉(18)이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출몰되도록 하였다.
일단이 작동봉(18)에 연결되고 타단은 걸림날개(16)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개폐바(19)를 설치하는데, 개폐바(19)의 중간부는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의 프레임 하단에 설치된 힌지축에 축지시켜 제 1 실린더(17)의 작동에 따른 작동봉(18)의 출몰동작에 따라 개폐바(19)가 시이소오 작동하여 걸림날개(16)를 상승시켜 개폐박스(14)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a 는 개폐박스(14)가 닫혀있는 상태이고, 도 5b 는 개폐박스(14)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3 에는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에 사료계량박스수단(10)이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하였는데,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에는 각기 다른 종류의 사료가 저장되는 3개의 사료저장탱크(1)가 설치되어 있어서 각각의 사료저장탱크(1)에서 배출되는 사료가 별도의 사료공급컨베이어를 통해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로 이송된 후 사료계량박스수단(10)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100)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100)의 제 1 실시예는 플로어 컨베이어 타입으로서,
먹이통(3)과 사료투입위치를 경유하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컨베이어하우징(21)을 설치하는데, 컨베이어하우징(21)의 하단 중앙부에는 플로어이송체인(23)이 내설되는 플로어레일(22)이 구비되고, 컨베이어하우징(21)의 상부에는 연결대(26)에 의해 플로어이송체인(23)과 연결되는 이동체(24)가 설치된다.
이동체(24)의 양측에는 컨베이어하우징(21)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체(24)의 중앙에는 지지대(27)가 세워져 설치되고, 지지대(27)의 상단 일측에는 제 1 사료이송박스(28)가 설치되는데, 제 1 사료이송박스(28)의 하단부 개구단에는 개폐 가능하게 게이트(29)가 설치되고, 게이트(29)를 상향 이동시켜 제 1 사료이송박스(28)의 출구를 개방하기 위한 개폐가이드(30)가 제 1 사료이송박스(28)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개폐가이드(30)는 그 일단이 게이트(29)의 상단에 결합되고 중간부가 힌지축(31)에 의해 축지되어 있어서 개폐가이드(30)의 일측을 눌러주게되면 개폐가이드(30)가 시이소오 작동하면서 그 타단이 상승하면서 게이트(29)를 상승이동시켜 제 1 사료이송박스(28)의 출구가 개방된다.
한편, 개폐가이드(30)를 시이소오 작동시키기 위한 제 2 실린더(35)를 사료를 공급할 먹이통(3)의 위치에 대응하여 컨베이어하우징(21)의 일측에 설치하는데, 이를 위해 컨베이어하우징(21)의 일측에 지주(34)를 세워 설치하고, 지주(34)의 상단 일측에 작동봉(36)을 하향 출몰작동시키는 제 2 실린더(35)를 설치하며, 상기한 작동봉(36)의 끝단에는 게이트 개폐가이드(30)의 일단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판(37)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100)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먹이통(3)에 대응하도록 제 1 사료이송박스(28)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제 1 사료이송박스(28)를 순차적으로 사료 투입위치로 이동시켜 사료를 제 1 사료이송박스(28)에 투입해야하며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장치부(4)는 미도시된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플로어 이송체인(23)를 전진작동시켜 이동체(24)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사료이송박스(28)들이 순차적으로 사료 투입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장치부(4)는 사료계량박스수단(10)의 개폐박스(14)에 사료가 담겨지도록 하는데, 사료저장탱크(1)의 출구를 개방시켜 사료가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로 배출되도록 하고,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의 작동에 의해 사료저장탱크(1)에서 배출된 사료는 개폐박스(14)로 투입된다.
개폐박스(14)로 사료가 투입될때 무게센서(7)가 투입되는 사료량을 감지하여 제어장치부(4)로 출력하고, 제어장치부(4)는 무게센서(7)에 의해 감지되는 사료무게가 메모리(5)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무게와 동일하다고 판단될때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를 위치시켜 더이상 사료가 개폐박스(14)로 투입되지 못하도록 한 후 대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100)의 플로어이송체인(23)의 작동에 의해 첫번째 제 1 사료이송박스(28)가 사료 투입위치 즉, 사료계량박스수단(10)의 하측에 위치하게되면 제어장치부(4)는 제 1 실린더(17)를 작동시켜 개폐박스(14)가 개방되면서 개량된 사료가 제 1 사료이송박스(28)로 투입되도록 한다.
제어장치부(4)는 상기 설명과 같은 사료 개량 및 사료 투입의 동작을 모든 제 1 사료이송박스(28)에 개량된 사료가 투입될 때 까지 반복시행하고, 모든 제 1 사료이송박스(28)에 개량된 사료가 투입된 이후에는 플로어 이송체인(23)을 작동시켜 각각의 제 1 사료이송박스(28)가 그에 대응하는 먹이통(3)에 위치하도록 한 후 사료 공급시간에 도달할때까지 대기한다.
대기 하던 중 사료 공급시간에 도달하면 제어장치부(4)는 모든 제 1 사료이송박스(28)를 개방시키기 위해 제 2 실린더(35)를 작동시켜 게이트(29)를 상향이동시킴에 따라 제 1 사료이송박스(28)에 담겨있는 개량된 사료가 먹이통(3)으로 공급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의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로 하였다.
제 2 실시예의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은
먹이통(3)과 사료투입위치를 경유하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하단 중앙부에는 플로어이송체인(23)이 내설되는 플로어레일(22)이 구비되는 컨베이어하우징(21)과;
컨베이어하우징(21)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가 양측에 구비되고, 연결대(26)에 의해 플로어이송체인(23)과 연결되는 이동체(24)와;
이동체(24)의 중앙에 설치되고, 양측면부에 하단은 사각형 모양이고 상단은 원형모양으로 이루어진 레일홈(41)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하우징(40)과;
상기 레일홈(41)의 하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사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작동축(42)과;
작동축(42)의 상부에 연결간(43)으로 연결되는 버켓(44)과;
연결간(43)의 하단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작동편(45)과;
지지하우징(40)의 일측에 축(4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하단으로 작동단(47)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작동하여 작동편(45)을 상승시키는 개폐부(46)와;
지주(34)의 하단에 수평상으로 설치되고, 전후진 작동하여 작동단(47)을 밀어내는 제 3 실린더(49)와;
버켓(44)의 기울어짐 동작시 기울어짐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지지하우징(40)의 일측 상단에 연결간(43)의 중간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토퍼(50); 로 구성하고,
제어장치부(4)는 사료 공급시간에 도달하였을때 제 3 실린더(49)를 작동시켜 개폐부(46)가 작동편(45)을 들어올려 작동축(42)이 레일홈(41)의 상단부로 상승하면서 버켓(44)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사료가 먹이통(3)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제 2 실시예는 이동체(24)의 상부에 별도의 지지하우징(40)을 설치하는데, 지지하우징(40)의 양측면부에는 하단은 사각형 모양이고 상단은 원형모양으로 이루어진 레일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레일홈(41)에는 사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작동축(42)이 끼워져 형성되어 있다.
작동축(42)의 상측으로는 소정길이의 연결간(43)이 연결되고 연결간(43)의 최상단에는 사료가 담겨지는 버켓(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간(43)의 하단 일측에는 작동편(45)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한 작동축(42)은 레일홈(41)의 하측에 끼워지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지만 레일홈(41)의 상측으로 이동하게되면 원형으로 형성되는 레일홈(41)의 상측에서는 회전이 가능해진다.
한편, 지지하우징(40)의 일측에 축(4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개폐부(46)를 설치하는데, 개폐부(46)는 작동편(45)의 하측에 접촉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고, 개폐부(46)의 하측으로는 작동단(47)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지주(34)의 하단에 제 3 실린더(49)를 수평상으로 설치하는데, 제 3 실린더(49)에는 작동단(47)을 전후진 시키기 위한 작동봉이 출몰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버켓(44)의 기울어짐 동작시 기울어짐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지지하우징(40)의 일측 상단에 연결간(43)의 중간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스토퍼(50)를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사료이송및공급수단의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실시예의 버켓(44)으로는 사료계량박스수단(10)으로 공급된 계량된 사료가 담겨지게되고, 버켓(44)은 플로어레일(22)을 따라 먹이통(3)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장치부(4)는 사료 공급시간에 도달하였을때 제 3 실린더(49)를 작동시켜 개폐부(46)가 작동편(45)을 들어올리도록하고, 작동편(45)이 상승함에 따라 작동축(42)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레일홈(41)의 상단부로 상승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면서 버켓(44)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사료가 먹이통(3)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도 11a 는 개폐부(46)에 의해 작동편(45)이 들어올려지면서 작동축(42)이 사각단면의 레일홈(41) 하측으로 부터 원형단면의 레일홈(41)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개폐부(46)가 더 상승하게되면 도 11b와 같이 작동축(4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버켓(44)이 기울어져 사료가 먹이통(3)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1: 사료저장탱크, 2: 사료공급 메인컨베이어,
3: 먹이통, 4: 제어장치부,
5: 메모리, 6: 카메라,
7: 무게센서, 10: 사료계량박스수단,
11: 경사받침부, 12: 날개부,
13: 축홈, 14: 개폐박스,
15: 걸림축, 16: 걸림날개,
17: 제 1 실린더, 18: 작동봉,
19: 개폐바,
21: 컨베이어하우징, 22: 플로어레일,
23: 플로어 이송체인, 24: 이동체,
25: 바퀴, 26: 연결대,
27: 지지대, 28: 제 1 사료이송박스,
29: 게이트, 30: 게이트 개폐 가이드,
31: 힌지축, 34: 지주,
40: 지지하우징, 41: 레일홈,
42: 작동축, 43: 연결간,
44: 버켓, 45: 작동편,
46: 개폐부, 47: 작동단,
48: 축, 49: 제 3 실린더,
50: 스토퍼,

Claims (2)

  1.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를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사료저장탱크(1)와;
    사료저장탱크(1)에서 배출되는 적어도 1가지 이상의 사료를 사료계량박스수단(10)으로 공급하는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와;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에서 공급되는 사료가 설정된 무게만큼 사료계량박스수단(10)에 담겨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부(4)와;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의 끝단에 설치되어 사료공급메인컨베이어(2)로 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계량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100)을 이루는 사료이송박스가 투입위치에 위치하였을때 계량된 사료를 사료이송박스로 공급하는 사료계량박스수단(10)과;
    다수의 먹이통(3)과 사료투입위치를 경유하도록 폐루프를 이루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사료이송박스가 먹이통(3)에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제어장치부(4)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먹이통(3)에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이송및 공급수단(100); 으로 구성하고,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100)은
    먹이통(3)과 사료투입위치를 경유하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하단 중앙부에는 플로어이송체인(23)이 내설되는 플로어레일(22)이 구비되는 컨베이어하우징(21)과;
    컨베이어하우징(21)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가 양측에 구비되고, 연결대(26)에 의해 플로어이송체인(23)과 연결되는 이동체(24)와;
    이동체(24)의 중앙에 돌출되는 지지대(27)와;
    지지대(27)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사료이송박스(28)와;
    제 1 사료이송박스(28)의 하단부 개구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게이트(29)와;
    일단이 게이트(29)의 상단에 결합되고 중간부가 힌지축(31)에 의해 축지되어 있는 게이트 개폐가이드(30)와;
    사료를 공급할 먹이통(3)의 위치에 대응하여 컨베이어하우징(21)의 일측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34)와;
    지주(34)의 상단 일측에 작동봉(36)이 하향 출몰작동하게 설치되는 제 2 실린더(35)와;
    게이트 개폐가이드(30)를 눌러주기 위해 작동봉(36)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누름판(37); 으로 구성하고,
    제어장치부(4)는 사료 공급시간에 도달하였을때 제 2 실린더(35)를 작동시켜 누름판(37)이 게이트 개폐사이드(30)의 일측을 눌러주어 게이트(29)가 개방되면서 사료가 먹이통(3)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며,
    사료이송 및 공급수단(100)은
    먹이통(3)과 사료투입위치를 경유하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하단 중앙부에는 플로어이송체인(23)이 내설되는 플로어레일(22)이 구비되는 컨베이어하우징(21)과;
    컨베이어하우징(21)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가 양측에 구비되고, 연결대(26)에 의해 플로어이송체인(23)과 연결되는 이동체(24)와;
    이동체(24)의 중앙에 설치되고, 양측면부에 하단은 사각형 모양이고 상단은 원형모양으로 이루어진 레일홈(41)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하우징(40)과;
    상기 레일홈(41)의 하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사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작동축(42)과;
    작동축(42)의 상부에 연결간(43)으로 연결되는 버켓(44)과;
    연결간(43)의 하단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작동편(45)과;
    지지하우징(40)의 일측에 축(4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하단으로 작동단(47)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작동하여 작동편(45)을 상승시키는 개폐부(46)와;
    지주(34)의 하단에 수평상으로 설치되고, 전후진 작동하여 작동단(47)을 밀어내는 제 3 실린더(49)와;
    버켓(44)의 기울어짐 동작시 기울어짐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지지하우징(40)의 일측 상단에 연결간(43)의 중간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토퍼(50); 로 구성하고,
    제어장치부(4)는 사료 공급시간에 도달하였을때 제 3 실린더(49)를 작동시켜 개폐부(46)가 작동편(45)을 들어올려 작동축(42)이 레일홈(41)의 상단부로 상승하면서 버켓(44)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사료가 먹이통(3)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이송 및 공급장치.
  2. 삭제
KR1020230097604A 2023-07-26 2023-07-26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KR102609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604A KR102609255B1 (ko) 2023-07-26 2023-07-26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604A KR102609255B1 (ko) 2023-07-26 2023-07-26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255B1 true KR102609255B1 (ko) 2023-12-06

Family

ID=8916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604A KR102609255B1 (ko) 2023-07-26 2023-07-26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2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292A (ja) * 1995-04-12 1996-10-29 Orion Mach Co Ltd 自動給餌装置
KR100804427B1 (ko) * 2006-09-12 2008-02-21 (유)대도 가축사료 압축장치
JP2014091326A (ja) * 2012-11-02 2014-05-19 Kyc Machine Industry Co Ltd 骨材計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生コンクリート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292A (ja) * 1995-04-12 1996-10-29 Orion Mach Co Ltd 自動給餌装置
KR100804427B1 (ko) * 2006-09-12 2008-02-21 (유)대도 가축사료 압축장치
JP2014091326A (ja) * 2012-11-02 2014-05-19 Kyc Machine Industry Co Ltd 骨材計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生コンクリート製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212B2 (en) Automated hopper and belt conveyor apparatus
EP2151160A2 (en) Device for dispensing feed
KR101573826B1 (ko)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
KR100971383B1 (ko) 전동 급이차
US66558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young fowl from a hatchery to a growout house
KR102609255B1 (ko)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KR102609254B1 (ko) 스케줄 제어가 가능한 컨베이어 방식의 사료공급장치
EP0987939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moving chickens or other poultry
NL1006734C2 (nl) Inrichting voor het mengen van veevoer.
KR102609256B1 (ko) 트롤리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US10791707B2 (en) Feeding system and method for feeding non-human animals
CN107072150B (zh) 联合收割机
EP1161861B1 (en) An implement for automatically detaching and displacing an amount of feed, such as for example silage or hay
US3409328A (en) Selectively dumpable bins
US4401242A (en) Dual delivery hopper discharge apparatus
CN216710440U (zh) 智能料架以及包括该智能料架的自动配料系统
EP1451085B1 (en) Container based distribution system
KR101973767B1 (ko) 사료 이송 공급용 누적 체인 컨베이어
AU2019264618A1 (en) Animal feeding assembly
CN106829238B (zh) 饲料供给料塔、饲料供给系统及饲料供给方法
CN212374160U (zh) 一种饲料仓仓储取料装置
US3312329A (en) Conveyor feeder system
US20240122158A1 (en) Feed-Delivery Container for Automated Dairy Feeding System
CN116238831A (zh) 智能料架、包括该智能料架的自动配料系统及其操作方法
JP3667825B2 (ja) 穀物貯蔵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