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826B1 -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826B1
KR101573826B1 KR1020130139617A KR20130139617A KR101573826B1 KR 101573826 B1 KR101573826 B1 KR 101573826B1 KR 1020130139617 A KR1020130139617 A KR 1020130139617A KR 20130139617 A KR20130139617 A KR 20130139617A KR 101573826 B1 KR101573826 B1 KR 101573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eeder
feeding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943A (ko
Inventor
김혁주
홍종태
유병기
최규홍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139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8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07Transportable fodder pails or tr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08Automatic devices with conveyor belt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은 이송로를 따라 급이통의 상부를 순환하면서 이송로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배급할 급이통의 위치를 확인하고, 하부 일측으로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사료를 급이통으로 배출시키는 사료 급이기를 제공함으로써 습식형의 완전배합사료의 자동 급이가 가능하며, 일괄 또는 선택적으로 급이 수행이 가능하여 급이를 위한 인력 낭비 및 시간 낭비 없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급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에 의해 이송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 호퍼형태로 구성되어 상부로 사료를 투입받는 사료공급구; 상기 사료공급구 하부와 연장된 챔버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사료공급구를 통해 투입받은 사료가 적재되는 사료적재부; 상기 사료적재부 하부에 배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적재된 사료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배출 컨베이어; 상기 배출 컨베이어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사료가 배출되도록 개방하는 사료 개폐부; 이송로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는 리더기;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리더기를 통해 인식된 태그로 급이통의 위치를 인식한 후, 상기 배출 컨베이어를 구동시켜 상기 사료 개폐부를 통해 급이통으로 사료를 배출하여 급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습식형 사료 급이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TMR and the automatic feed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급이기 및 자동 급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습식형의 완전배합사료(total mixed ration, TMR)에 적합한 자동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양돈논가의 사료비 상승과 한-EU·한미 FTA 등 대외 환경 악화로 양돈농가의 생산성 향상과 사료비 절감이 절실한 시점이다. 국립축산과학원의 연구결과(Cho, 2009)에 의하면, 돼지에 완전배합사료(total mixed ration, TMR)의 발효사료 급이시 생산성 향상, 스트레스 저감, 변비 해소, 분뇨 악취 저감, 면역력 증가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MR 사료는 다양한 사료원을 이용하여 배합하는 것으로 투입되는 원료에 따라 물성이 변하게 된다.
양돈에서의 모돈, 육성비육돈 사료급이의 종류는 건식급이, 습식급이, 액상급이가 있으나 현재로서는 건식급이와 액상급이 두가지 방법만이 자동화된 기계장치를 갖추고 있다. 일부 농가에서 부산물, 조사료 등을 배합사료와 섞어서 TMR 사료를 인력으로 급이하고 있지만, 인력부족으로 확대가 거의 불가능한 형편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양돈 농장에서는 대부분 배합사료만을 이용하는 관행의 건식 급이를 실시하고 있으며, 건식급이의 사료이송은 케이블 방식으로, 이 방식을 이용하여 습식형 TMR 사료 급이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현재 국내에는 양돈농가에 조사료가 첨가된 TMR 발효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제조 및 급이 시스템이 없어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로를 따라 급이통의 상부를 순환하면서 이송로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배급할 급이통의 위치를 확인하고, 하부 일측으로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사료를 급이통으로 배출시키는 사료 급이기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습식형 사료를 자동으로 급이할 수 있으며, 급이를 위한 인력 낭비 및 시간 낭비 없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급이를 수행할 수 있는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의 사료 급이기는, 이송부, 사료공급구, 사료적재부, 배출 컨베이어, 사료 개폐부, 리더기,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는 구동모터에 의해 이송로를 따라 이동하며, 이송로의 양측에 걸쳐지는 주행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이송로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료 공급구는 호퍼형태로 구성되어 상부로 사료를 투입받는다. 상기 사료적재부는 상기 사료공급구 하부와 연장된 챔버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사료공급구를 통해 투입받은 사료가 적재된다. 상기 배출 컨베이어는 상기 사료적재부 하부에 배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적재된 사료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사료 개폐부는 상기 배출 컨베이어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사료가 배출되도록 개방하며, 상기 사료 개폐부 하부에는, 배출되는 사료가 이탈되지 않도록 양측에 일정 높이를 갖는 슬라이드 판 형태의 배출가이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더기는 이송로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한다. 상기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기를 통해 인식된 태그로 급이통의 위치를 인식한 후, 상기 배출 컨베이어를 구동시켜 상기 사료 개폐부를 통해 급이통으로 사료를 배출하여 급이한다. 이때, 제어부는 배출 컨베이어를 통한 배출시간 및 주행거리를 통해 사료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급이기는 전원을 구동시키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는 충전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습식형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은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부, 압력센서가 구비된 적어도 한개 이상의 급이통, 이송로, 사료 급이기 및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로는 상기 사료공급부와 상기 급이통을 연결하며, 상기 급이통이 위치하는 곳에 태그가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송로는 모노레일로 구성되되, 축사우리 형태에 따라 일직선 또는 순환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료 급이기는 상기 사료공급부를 통해 상부로 사료를 투입받고, 하부 일측으로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사료가 배출되며, 상기 이송로를 통해 상기 급이통의 상부를 순환하여 인식된 태그를 통해 위치확인된 급이통에 사료를 배급한다.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급이통 내 사료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일 경우, 상기 사료 급이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급이통에 사료를 배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사료 급이기를 통해 급이통에 사료를 배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습식형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은 다수의 선택키를 구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급이 현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은 이송로를 따라 급이통의 상부를 순환하면서 이송로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배급할 급이통의 위치를 확인하고, 하부 일측으로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사료를 급이통으로 배출시키는 사료 급이기를 제공함으로써 습식형의 완전배합사료의 자동 급이가 가능하며, 일괄 또는 선택적으로 급이 수행이 가능하여 급이를 위한 인력 낭비 및 시간 낭비 없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급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외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습식형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급이기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료급이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급이기의 동작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외부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습식형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습식형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은, 사료 공급부(100), 급이통(200), 이송로(300), 사료 급이기(400) 및 중앙처리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사료 급이기(400)는 사료를 공급받기 위하여 홈(140)으로 이동된다. 홈(140)은 사료 급이기(400)의 출발위치 또는 사료공급부(100)로 부터 사료를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로 한다. 이때, 사료 급이기(400)는 사료를 공급받기 전에 개폐부를 내려 사료를 공급받을 때 사료가 개폐부에서 임의로 방출되지 않게 한다.
투입된 사료는 사료 급이기(400) 내부에 적재되며, 사료 급이기(400)는 이송로(300)를 따라 급이통(200) 상부를 순환하면서 이송로(300)에 부착된 태그(310)를 인식하여 배급할 급이통(200)의 위치를 확인하고, 하부 일측으로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사료를 급이통(200)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사료 급이기(400)는 이송로(300)를 따라 전진 이동하면서 배치된 급이통(200)에 연속적인 급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료공급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사료가 충분히 적재될 수 있는 챔버형태의 적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급이통(200)의 사료 급이는 중앙처리장치(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일괄적으로 급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급이통(200)에 배치된 압력센서(210)에 의해 급이통(200) 내 사료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일 경우, 해당 급이통(200)에 사료를 선택적으로 배급할 수도 있다.
사료공급부(100)는 배합사료와 풀사료를 혼합시켜 습식형의 완전배합사료(total mixed ration, TMR)를 제조하여 공급하는 곳으로, 상부가 개방된 대형 호퍼형태로 구성되어 사료를 혼합하여 완전배합사료를 제조하는 사료제조기(110), 상기 사료제조기(1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제조된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배출구(120) 및 상기 사료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된 사료를 사료 급이기(400)의 상부로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동시키는 사료 공급 이송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료공급부(100)는 홈에 사료 급이기(200)가 위치할 경우, 중앙처리장치(500)의 제어에 의해 사료 급이기(200)의 상부로 사료 공급 이송부(130)를 통해 사료를 공급시키며, 중앙처리장치(500)는 사료배출구(120)의 배출량 및 사료 공급 이송부(130)의 컨베이어 벨트 구동거리에 의해 사료 급이기에 공급되는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이때, 사료제조기(11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스크류핀(미도시)이 구비되어, 사료가 사료제조기(110) 내에서 퇴적되지 아니하고 동시에 양질의 상태로 사료를 배출구(120)를 통해 컨베이어 벨트(130)에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 사료 공급 이송부를 통해 사료 급이기 상부로 사료를 공급하도록 기재하고 있으나, 축사우리 형태에 따라 사료 급이기가 상기 사료배출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별도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한 이동없이 바로 사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급이통(200)은 적어도 한개 이상의 구획으로 나누어진 축사우리에 구획별로 배치되며, 급이통(200) 하부에는 압력센서(210)가 구비되어 해당 급이통(200) 내 사료의 중량을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5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급이통(200)은 초기 설치시 고유 ID정보가 부여되며, 상기 고유 ID정보를 포함하는 태그(310)가 해당 급이통(200)의 상부에 위치된 이송로(300)에 부착됨으로써, 사료 급이기(400)는 태그 인식을 통해 급이통(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송로(300)는 상기 사료 공급부(100)와 상기 급이통(200)을 연결하여 부설되며, 축사우리 형태에 따라 일직선 또는 순환형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이송로(300)는 사료 급이기(400)가 이송로(300)에 걸쳐진 상태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이송로(300)는 모노레일로 구성되고, 사료 급이기(400)는 상기 모노레일 양측에 바퀴를 걸쳐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방식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료 급이기(400)가 이송로에 걸쳐진 상태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순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면 렉기어, 체인 등 어떠한 이동방식도 사용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이송로(300)에는 급이통에 해당하는 고유 ID정보를 포함하는 태그(310)가 해당 급이통(200)의 위치에 맞게 배치되어 사료 급이기(400)가 이송로(300)에 부착된 태그(310)를 인식하여 급이통(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사료 급이기(400)는 상기 사료 공급부(100)를 통해 상부로 사료를 투입받고, 하부 일측으로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사료가 배출되며, 상기 이송로(300)를 통해 상기 급이통(200)의 상부를 순환하여 인식된 태그(310)를 통해 위치확인된 급이통(200)에 사료를 배급한다. 이를 위해, 사료 급이기(400)는 이송부, 사료공급부, 사료적재부, 배출 컨베이어, 사료 개폐부, 리더기,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사료 급이기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키입력부(510)는 다수의 선택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중앙처리장치(500)에 전달하는 수단이다. 디스플레이부(520)는 사용자가 해당 축사의 모든 급이 상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520)는 멀티터치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상기 키입력부(5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중앙처리장치(500)는 사료 공급부(100)의 사료 배출량, 사료 급이기(400)의 이송속도, 사료 급이기(400)의 사료 배급량, 배출시간 및 간격 등 습식형 자동 급이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중앙처리장치(500)는 급이통(200)에 구비된 압력센서(210)를 통해 급이통(200) 내 사료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일 경우, 상기 사료 급이기(4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급이통(200)에 사료를 배급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급이기의 외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료급이기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급이기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급이기는 이송부(410), 사료공급구(420), 사료적재부(430), 배출 컨베이어(440), 사료 개폐부(450), 리더기(460), 통신부(470), 전원부(490) 및 제어부(4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이송부(410)는 이송로인 모노레일 양측에 바퀴를 걸쳐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로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여 이동한다. 구동모터는 제어부(480)에 의해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받으면서 또한 제어부(480)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는 바, 외부에서 사료 급이기의 제어부(480)를 조작하여 구동모터를 통한 이송부(410)가 이송로를 따라 급이통의 상부를 순환할 수 있도록 조절함과 동시에 이송속도를 조절한다. 또한, 바퀴의 외주면에는 마찰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쿠션을 갖는 소재, 예를 들어 우레탄이나 고무소재를 덧입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료 공급구(420)는 상부가 개방된 호퍼 형태로 구성되어 사료 공급부로부터 사료를 투입받으며, 사료 적재부(430)는 상기 사료 공급구(420) 하부와 연정된 챔버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사료 공급구(420)를 통해 투입받은 사료가 적재된다.
배출 컨베이어(440)는 사료 적재부(430) 하부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벨트로서, 사료 적재부(430)에 적재된 사료를 급이통을 향해 일방향으로 자동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배출 컨베이어(440)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롤러,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는 일방향으로 궤도 이송되어 진다.
사료 개폐부(450)는 상기 배출 컨베이어(440) 일측에 구비되어 배출 컨베이어(440)를 통해 이송되는 사료가 급이통으로 배출되도록 개방된다. 이때, 사료 개폐부(450) 및 배출 컨베이어(440)의 하부에는 양측에 일정 높이를 갖는 슬라이드 판 형태의 배출가이드(452)가 구비되어, 사료가 사료 적재부(430)에서 배출 컨베이어(440)의 벨트를 통해 급이통으로 배출될 때, 사료가 이탈되지 않고 급이통에 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더기(460)는 이송로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한다. 본 발명에서는 리더기(460)가 이송로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는 방식을 RFID 방식을 적용하여 기재하였으나, 리더기(460)가 이송로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할 수만 있다면 바코드, QR코드, RFID 방식 모두 사용 가능하다.
전원부(490)는 사료 급이기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전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원부(490)는 홈에 위치하였을 경우 충전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충전식 DC 24V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470)는 중앙처리장치와 유/무선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어부(480)는 이송부(410)의 주행방향, 주행속도, 배출량, 현재 적재량, 일괄 또는 선택의 급이방식, 배급해야할 급이통의 태그 등 사료 급이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80)는 처음 공급받은 사료의 적재량에서 사료의 배출에 따른 현재 적재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현재 적재량이 기 설정된 중량 미만일 경우, 홈으로 이동하여 사료 공급부를 통해 사료공급구(420)의 상부로 사료를 투입받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80)는 상기 이송부(410)를 통해 이송로를 전진 또는 후진하여 급이통의 상부를 순환하여 리더기(460)를 통한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급이통의 위치를 확인하며, 위치확인된 급이통 상부에 정지하여 사료 개폐부(450)를 개방시키고 배출 컨베이어(440)를 구동시켜 급이통에 사료를 배급한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배출 컨베이어(440)를 통한 배출시간 및 주행거리를 통해 사료의 배출량을 제어한다.
더불어,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일괄적으로 급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며, 중앙처리장치와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지정받은 급이통에 사료를 선택적으로 배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사료 급이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일괄적으로 또는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급이통에 선택적으로 습식형 사료를 자동으로 급이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급이를 위한 인력 낭비 및 시간 낭비 없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급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사료 공급부 110 : 사료제조기
120 : 사료배출구 130 : 사료 공급 이송부
140 : 홈 200 : 급이통
210 : 압력센서 300 : 이송로
310 : 태그 400 : 사료 급이기
410 : 이송부 420 : 사료공급구
430 : 사료적재부 440 : 배출 컨베이어
450 : 사료 개폐부 460 : 리더기
470 : 통신부 490 : 전원부
480 : 제어부 500 : 중앙처리장치
510 : 키입력부 52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1)

  1. 구동모터에 의해 이송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
    호퍼형태로 구성되어 상부로 사료를 투입받는 사료공급구;
    상기 사료공급구 하부와 연장된 챔버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사료공급구를 통해 투입받은 사료가 적재되는 사료적재부;
    상기 사료적재부 하부에 배치되며,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롤러 및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배합사료와 풀사료를 혼합시킨 습식형의 완전배합 사료를 공급하는 배출 컨베이어;
    상기 배출 컨베이어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사료가 배출되도록 개방하는 사료 개폐부;
    이송로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는 리더기;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리더기를 통해 인식된 태그로 급이통의 위치를 인식한 후, 상기 배출 컨베이어를 구동시켜 상기 사료 개폐부를 통해 급이통으로 사료를 배출하여 급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습식형 사료 급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로의 양측에 걸쳐지는 주행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이송로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사료 급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개폐부 하부에는,
    배출되는 사료가 이탈되지 않도록 양측에 일정 높이를 갖는 슬라이드 판 형태의 배출가이드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사료 급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컨베이어를 통한 배출시간 및 주행거리를 통해 사료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사료 급이기.
  5. 제 1항에 있어서,
    전원을 구동시키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사료 급이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충전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사료 급이기.
  7.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부;
    압력센서가 구비된 적어도 한개 이상의 급이통;
    상기 사료공급부와 상기 급이통을 연결하며, 상기 급이통이 위치하는 곳에 태그가 부착된 이송로;
    상기 사료공급부를 통해 상부로 사료를 투입받고, 하부 일측으로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사료가 배출되며, 상기 이송로를 통해 상기 급이통의 상부를 순환하여 인식된 태그를 통해 위치확인된 급이통에 사료를 배급하는 사료 급이기; 및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급이통 내 사료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일 경우, 상기 사료 급이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급이통에 사료를 배급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롤러 및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배합사료와 풀사료를 혼합시킨 습식형의 완전배합 사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사료 급이기를 통해 급이통에 사료를 배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는,
    모노레일로 구성되되, 축사우리 형태에 따라 일직선 또는 순환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다수의 선택키를 구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급이 현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
KR1020130139617A 2013-11-18 2013-11-18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 KR101573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617A KR101573826B1 (ko) 2013-11-18 2013-11-18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617A KR101573826B1 (ko) 2013-11-18 2013-11-18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943A KR20150056943A (ko) 2015-05-28
KR101573826B1 true KR101573826B1 (ko) 2015-12-03

Family

ID=5339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617A KR101573826B1 (ko) 2013-11-18 2013-11-18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8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506A (ko) *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연합축산 프로그램을 이용한 습식형 급이기의 자동 급이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8404A (zh) * 2016-11-03 2017-03-29 北京探感科技股份有限公司 精准喂料的方法和系统
KR102011401B1 (ko) * 2017-10-25 2019-08-16 주식회사 다운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9169338A (zh) * 2018-09-13 2019-01-11 安徽省保莱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养猪场的饲料添加装置
KR102142785B1 (ko) * 2018-11-30 2020-08-10 주)엠트리센 가축 사육 장치
CN110896869A (zh) * 2019-12-06 2020-03-24 张丽娟 一种猪舍自动喂食器和猪舍
KR102214489B1 (ko) * 2020-09-21 2021-02-08 박상일 축사정보에 따른 먹이공급 자동화시스템
KR102556706B1 (ko) * 2020-12-28 2023-07-17 오영준 곤충 먹이 자동급이장치
CN112715398B (zh) * 2020-12-29 2022-08-09 泌阳县夏南牛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夏南牛饲养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9864A (en) 1990-11-12 1994-05-10 N.V. Nederlandsche Apparatenfabriek Nedap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nimals
US6779486B2 (en) * 2001-10-17 2004-08-24 Feedlogic Systems Inc. Automatic animal fee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9864A (en) 1990-11-12 1994-05-10 N.V. Nederlandsche Apparatenfabriek Nedap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nimals
US6779486B2 (en) * 2001-10-17 2004-08-24 Feedlogic Systems Inc. Automatic animal fee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506A (ko) *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연합축산 프로그램을 이용한 습식형 급이기의 자동 급이 제어방법
KR101867672B1 (ko) 2016-06-23 2018-06-14 주식회사 연합축산 프로그램을 이용한 습식형 급이기의 자동 급이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943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826B1 (ko)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
CA2882395C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animal-related action
US20130298837A1 (en) Mixing and dosing device for cattle feed
US10401212B2 (en) Automated hopper and belt conveyor apparatus
KR101614884B1 (ko) 축사용 이동식 무인 사료 공급 장치
KR101577971B1 (ko) 무인 사료 공급장치
EP3108755B1 (en) Mixer-wagon for animal food products
CN107410064B (zh) 一种智能饲料搅拌投喂车及投喂系统
CN211960546U (zh) 一种奶牛机械化养殖用饲料投放装置
CN104322385A (zh) 一种养猪场饲料分配机
EP2989890A1 (de)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füttern von gruppen von tieren
CN211407222U (zh) 一种自动投料装置及猪舍
CN110934078B (zh) 一种自动投料装置及猪舍
CN209898253U (zh) 一种管道密闭式大行程饲料运输预混综合管理系统
CN104859092B (zh) 智能生产线
KR101886666B1 (ko) 축사용 이동식 무인사료공급장치의 제어방법
US20170325422A1 (en) Feeding system and method for feeding non-human animals
KR20160075043A (ko) 웹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돈용 tmr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급이 방법
CN206601753U (zh) 用于自助式鞋子试穿售卖机的定点定向出货装置
KR200462895Y1 (ko) 사료 정량 공급장치
CN113812345A (zh) 智能生猪生产线
KR101244872B1 (ko) 자가 이동형 사료 급이기
CN211185372U (zh) 一种动物喂养的自动投料装置
CN106946058A (zh) 饲料分配填充系统
CN211671889U (zh) 一种固液双料添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