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584B1 - 전선 조작 공구,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전선 절분 방법, 및, 전선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전선 조작 공구,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전선 절분 방법, 및, 전선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584B1
KR102235584B1 KR1020207003185A KR20207003185A KR102235584B1 KR 102235584 B1 KR102235584 B1 KR 102235584B1 KR 1020207003185 A KR1020207003185 A KR 1020207003185A KR 20207003185 A KR20207003185 A KR 20207003185A KR 102235584 B1 KR102235584 B1 KR 102235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bar member
connector
tool
ro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291A (ko
Inventor
다카유키 나가키
도모하루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ublication of KR2020002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cutting cables or wires, or splic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Kniv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선의 절분 공사 및 전선의 접속 공사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선 조작 공구,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전선 절분 방법, 및, 전선 접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선 조작 공구(1)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1 전선 파지구에 연결되고, 이동부가 베이스부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제1 봉부재(3)와, 제2 전선 파지구(4)와, 제2 전선 파지구에 연결된 제2 봉부재(5)와, 제1 봉부재와 제2 봉부재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구(60)와, 제2 봉부재에 대한 제1 봉부재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부재(7)와, 제1 봉부재의 이동부와 함께 이동하는 제1 전선 지지구(80)를 구비한다. 당해 전선 조작 공구에 의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 조작 공구,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전선 절분 방법, 및, 전선 접속 방법
본 발명은, 전선 조작 공구,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전선 절분(切分) 방법, 및, 전선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선의 절분 공법이 알려져 있다. 전선의 절분 공법에서는, 전선 절분 공구가 사용된다. 전선 절분 공구는,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와,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에 배치된 신축 가능한 봉을 구비한다. 전선 절분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을 잘라 나눌 때에는, 첫째로, 전선의 제1 부분을 제1 전선 파지구로 파지하고, 전선의 제2 부분을 제2 전선 파지구로 파지한다. 둘째로,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신축 가능한 봉을 수축시킨다. 당해 수축의 결과,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에 위치하는 전선이 느슨해진다. 셋째로,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의 위치(전선이 느슨해져 있는 위치)에 있어서, 전선을 절단한다. 넷째로, 한쪽의 전선 절단 단부를 지지하는 전선 지지구를 신축 가능한 봉의 둘레로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한쪽의 전선 절단 단부와, 다른쪽의 전선 절단 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나눈다.
전선 공사 완료 후에, 한쪽의 전선 절단 단부와, 다른쪽의 전선 절단 단부를 재접속할 때에는, 첫째로, 한쪽의 전선 절단 단부를 지지하는 전선 지지구를 신축 가능한 봉의 둘레로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한쪽의 전선 절단 단부의 위치와, 다른쪽의 전선 절단 단부의 위치를 정합시킨다. 둘째로, 한쪽의 전선 절단 단부에 접속 슬리브의 제1 단부를 장착한다. 셋째로, 접속 슬리브의 제2 단부의 위치와, 다른쪽의 전선 절단 단부를 위치 맞춤한 상태로, 다른쪽의 전선 절단 단부를, 접속 슬리브의 제2 단부 내에 삽입한다. 넷째로, 접속 슬리브를 압축 변형시켜, 접속 슬리브와, 한쪽의 전선 절단 단부와, 다른쪽의 전선 절단 단부를 압착한다.
관련된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가선 공사용 보조구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선 공사용 보조구는, 피복 전선을 잡는 한 쌍의 유지기와, 피복 전선의 유지기의 사이의 부분을 만곡시키는 신축기와, 유지기의 사이에서 절단된 피복 전선의 절단 위치의 양단부 근방의 피복부를 각각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한 쌍의 파지기 중 적어도 한쪽이 신축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선 공사용 보조구에서는, 접속 슬리브를 심선으로 압착할 때에, 한 쌍의 파지기 중 적어도 한쪽이 신축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기 때문에, 전선의 접속부에 휨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0-51081호 공보
전선의 절분 공법에 있어서는, 한쪽의 전선 절단 단부와, 다른쪽의 전선 절단 단부를 재접속할 때에, 전선 지지구를 180도 회전시켜 한쪽의 전선 절단 단부의 위치와, 다른쪽의 전선 절단 단부의 위치를 정합시키는 공정, 한쪽의 전선 절단 단부에 접속 슬리브의 제1 단부를 장착하는 공정, 접속 슬리브의 제2 단부의 위치와, 다른쪽의 전선 절단 단부를 위치 맞춤한 상태로, 다른쪽의 전선 절단 단부를, 접속 슬리브의 제2 단부 내에 삽입하는 공정 등을 포함하여, 작업자의 작업 부담이 크다. 특히, 이들 공정을 실행할 때에, 고소(高所) 작업차의 버킷 내의 작업자가, 장척(長尺)의 스틱을 통해, 전선 절분 공구의 각 조작부를 조작하는 경우, 작업자의 작업 부담은 크고, 작업 시간도 길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선의 절분 공사 및 전선의 접속 공사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선 조작 공구,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전선 절분 방법, 및, 전선 접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하는, 전선 조작 공구,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전선 절분 방법, 및, 전선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에 연결되고, 이동부가 베이스부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제1 봉부재와,
제2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에 연결된 제2 봉부재와,
상기 제1 봉부재와 상기 제2 봉부재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봉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봉부재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부재와,
상기 제1 봉부재의 상기 이동부와 함께 이동하는 제1 전선 지지구를 구비하는 전선 조작 공구.
(2) 상기 이동 제한 부재는, 상기 제2 봉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봉부재의 상기 이동부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전선 조작 공구.
(3) 상기 제1 봉부재의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봉부재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구를 더 구비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전선 조작 공구.
(4)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3)에 기재된 전선 조작 공구.
(5) 상기 제1 봉부재의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제2 봉부재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선 조작 공구.
(6) 상기 제1 전선 지지구는, 상기 제1 연결구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선 조작 공구.
(7) 상기 제2 봉부재는, 복수의 평행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1 봉부재의 상기 이동부와, 상기 복수의 평행한 로드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선 조작 공구.
(8) 상기 제1 연결구 또는 상기 제1 전선 지지구는, 상기 이동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치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전선 조작 공구.
(9)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와, 제1 전선 파지구에 연결된 신축 가능한 제1 봉부재를 구비하는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으로서,
제2 전선 파지구에 연결되는 제2 봉부재와,
상기 제1 봉부재와 상기 제2 봉부재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봉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봉부재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부재와,
상기 제1 봉부재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제1 전선 지지구를 구비하는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10) 전선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을 잘라 나누는 전선 절분 방법으로서,
상기 전선 조작 공구는,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에 연결된 제1 봉부재와,
제2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에 연결된 제2 봉부재와,
상기 제1 봉부재와 상기 제2 봉부재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1 봉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제1 전선 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선 절분 방법은,
상기 제1 전선 파지구를 상기 전선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전선 파지구를 상기 전선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상기 전선을 휘게 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을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전선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제1 절단 단부를, 상기 제1 전선 지지구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봉부재를 상기 제2 봉부재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절단 단부와, 상기 전선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제2 절단 단부를 이격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전선 절분 방법.
(11) 전선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을 접속하는 전선 접속 방법으로서,
상기 전선 조작 공구는,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에 연결된 제1 봉부재와,
제2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에 연결된 제2 봉부재와,
상기 제1 봉부재와 상기 제2 봉부재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1 봉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제1 전선 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선 접속 방법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에 파지된 제2 전선의 단부를, 접속 슬리브의 제2 단부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봉부재를 상기 제2 봉부재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전선 지지구에 고정된 제1 전선의 단부를, 상기 접속 슬리브의 제1 단부에 삽입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전선 접속 방법.
본 발명에 의해,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선의 절분 공사 및 전선의 접속 공사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선 조작 공구,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전선 절분 방법, 및, 전선 접속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 전선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접속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변형예)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은, 전선 지지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 전선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접속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 전선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접속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전선 절분 방법(전선을 절단하고, 2개의 절단 단부를 서로 분리하는 방법), 및, 전선 접속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종의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그리고,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붙여진 부재에 대해서, 반복되는 설명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방향의 정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봉부재(3)의 길이 방향축(L1)을 따르는 방향으로서,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로부터 제1 봉부재(3)의 베이스부(30)를 향하는 방향을 「X방향」이라고 정의하고, 「X방향」과 반대의 방향을 「-X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A)의 개략 측면도이다.
전선 조작 공구(1A)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1 전선 파지구(2)에 연결된 제1 봉부재(3)와, 제2 전선 파지구(4)와, 제2 전선 파지구(4)에 연결된 제2 봉부재(5)와, 제1 봉부재(3)와 제2 봉부재(5)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구(60)와, 이동 제한 부재(7)와, 제1 봉부재(3)와 함께 이동하는 제1 전선 지지구(80)를 구비한다.
제1 전선 파지구(2)는, 전선(W)의 제1 부분을 파지한다. 제1 전선 파지구(2)는, 예를 들어, 제1 파지편(21)과 제2 파지편(22)을 구비하고, 제1 파지편(21)과 제2 파지편(22)에 의해서, 전선(W)의 제1 부분을 협지한다.
제1 봉부재(3)는, 제1 전선 파지구(2)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봉부재(3)와 제1 전선 파지구(2) 사이의 연결은, X방향에 수직인 축 둘레로 요동 가능한 연결이어도 되고, 요동 불가능한 연결이어도 된다.
제1 봉부재(3)는, 베이스부(30)와, 이동부(32)를 구비한다. 제1 봉부재(3)는, 이동부(32)가 베이스부(30)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신축 가능하다. 제1 봉부재(3)는, 베이스부(30)와 이동부(32)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톱니바퀴 기구, 나사 기구 등)를 구비하고, 제1 봉부재(3)는, 베이스부(30)에 설치된 조작부(300)를 조작함으로써 신축한다. 조작부(300)의 조작은, 예를 들어,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제1 봉부재(3)는, 예를 들어, FRP제(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이다. 또한, 제1 봉부재(3)(베이스부(30), 이동부(32))의 단면 형상은, 베이스부(30)와 이동부(32)가 상대 이동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반구형 등,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제2 전선 파지구(4)는, 전선(W)의 제2 부분을 파지한다. 제2 전선 파지구(4)는, 예를 들어, 제1 파지편(41)과 제2 파지편(42)을 구비하고, 제1 파지편(41)과 제2 파지편(42)에 의해서, 전선(W)의 제2 부분을 협지한다.
제2 봉부재(5)는, 제2 전선 파지구(4)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봉부재(5)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연결은, X방향에 수직인 축 둘레로 요동 가능한 연결이어도 되고, 요동 불가능한 연결이어도 된다. 제2 봉부재(5)는, 예를 들어, FRP제(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봉부재(5)는, 빠짐방지부(5a)를 구비한다. 당해 빠짐방지부(5a)에 의해서, 제2 봉부재(5)가, 제1 봉부재(3)(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3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 연결구(60)는, 제1 봉부재(3)(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와 제2 봉부재(5)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와 제2 봉부재(5)는, 제1 연결구(60)를 통해 연결되고,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는, 제2 봉부재(5)에 대해서, X방향 또는 -X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제2 봉부재(5)의 단면 형상도, 제1 연결구(60)를 통해 제1 봉부재(3)와 상대 이동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반구형 등,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제1 연결구(60)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연결구(60)는, 이동부(32)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연결구(60)는, 구멍부(61)를 구비하고, 구멍부(61) 내에 제2 봉부재(5)가 삽입되어 있다. 제1 연결구(6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이다.
이동 제한 부재(7)는,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의 상대 이동(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부재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이동 제한 부재(7A)는,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상태와,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를 취한다. 제한 상태에서는, 제2 봉부재(5)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와 함께 이동한다. 한편, 허용 상태에서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는, 제2 봉부재(5)와는 독립적으로 이동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연결구(60)에 지지된 이동 제한 부재(7A)를 제2 봉부재(5)에 접촉시킨 상태(이동 제한 부재(7)를 밀어넣은 상태)가 제한 상태이며, 제1 연결구(60)에 지지된 이동 제한 부재(7A)를 제2 봉부재(5)로부터 이격시킨 상태가 허용 상태이다. 제한 상태로부터 허용 상태로의 전환, 혹은, 허용 상태로부터 제한 상태로의 전환은, 이동 제한 부재(7A)의 조작부(70A)를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이동 제한 부재(7A)는, 제1 연결구(60)에 설치된 암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 부재이다. 그러나, 이동 제한 부재(7A)의 형상, 배치, 구조는, 도 1에 기재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전선 지지구(80)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와 함께 이동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전선 지지구(80)는, 제1 연결구(60)를 통해 이동부(32)에 지지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제1 전선 지지구(80)는, 이동부(32)에 직접적으로 지지(즉,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전선 지지구(80)는, 전선(W)의 제1 절단 단부(Wa)를 지지 가능(고정 가능)하다. 상세는, 후술된다.
(전선 절분 방법)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 도 3 내지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단계(ST1)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2)가 전선(W)에 장착된다. 제2 단계(ST2)에 있어서, 제2 전선 파지구(4)가, 전선(W)에 장착된다. 또한, 제2 단계(ST2)는, 제1 단계(ST1)보다 후에 실행되어도 되고, 제2 단계(ST2)보다 전에 실행되어도 된다. 도 1은, 제1 단계(ST1) 및 제2 단계(ST2)를 실행 후의 전선 조작 공구(1A)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3 단계(ST3)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전선(W)을 휘게 한다(도 3을 참조). 제3 단계(ST3)는, 제1 봉부재(3)를 수축시킴으로써 실행 가능하다. 또한, 제1 봉부재(3)의 수축은,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상태로 실행된다.
제4 단계(ST4)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위치(예를 들어, 도 3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어서, 전선(W)이 절단된다. 전선(W)의 절단에 의해, 전선(W)에는, 제1 절단 단부(Wa) 및 제2 절단 단부(Wb)가 형성된다(도 4를 참조).
제5 단계(ST5)에 있어서, 전선(W)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제1 절단 단부(Wa)가, 제1 전선 지지구(80)에 고정된다. 당해 고정은, 예를 들어, 제1 절단 단부(Wa)를, 제1 전선 지지구(80)의 제1 파지편(801)과 제1 전선 지지구(80)의 제2 파지편(802)에 의해서 협지시킴으로써 실행된다.
계속해서, 이동 제한 부재(7A)의 상태가 제한 상태로부터 허용 상태로 변경된다. 즉, 조작부(70A)를 조작함으로써, 이동 제한 부재(7A)의 상태가,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로 변경된다.
제1 봉부재(3)와 제2 봉부재(5)에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가 파지하는 전선(W)에 의해서 장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동 제한 부재(7A)의 상태가 제한 상태로부터 허용 상태로 변경되면, 제1 봉부재(3)(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는, 제2 봉부재(5)에 대해서 X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도 4 및 도 5를 참조). 또한, 이동 제한 부재(7A)의 상태가 제한 상태로부터 허용 상태로 변경되면, 제1 봉부재(3)가, 제2 봉부재(5)에 대해서 상대 이동하고, 빠짐방지부(5a)에 충격력이 작용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당해 충격력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제1 봉부재(3)와, 제2 봉부재(5)(보다 구체적으로는, 빠짐방지부(5a)) 사이에, 탄성 부재 등의 완충 부재를 개재시켜도 된다.
제6 단계(ST6)에 있어서, 제1 봉부재(3)(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를 제2 봉부재(5)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제1 절단 단부(Wa)와, 전선(W)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제2 절단 단부(Wb)가 이격된다(도 6을 참조). 이렇게 하여, 제1 절단 단부(Wa)와 제2 절단 단부(Wb) 사이의 거리가 확대되고, 제1 절단 단부(Wa)와 제2 절단 단부(Wb)가 분리된다.
제6 단계(ST6)는, 제1 봉부재(3)를 수축시킴으로써 실행 가능하다. 또한, 제1 봉부재(3)의 수축은,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로 실행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봉부재(3)를 수축시킴으로써 전선을 휘게 하고(제3 단계(ST3)), 제1 봉부재(3)를 수축시킴으로써 제1 절단 단부(Wa)와 제2 절단 단부(Wb) 사이의 거리를 확대시킨다(제6 단계(ST6)). 이로 인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예와 같이, 제1 절단 단부와 제2 절단 단부 사이의 거리를 확대시키기 위해서, 제1 절단 단부를 지지하는 전선 지지구를 신축 가능한 봉의 둘레로 180도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에서는, 작업자의 작업 부담이 경감되고, 작업자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선의 절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제1 전선 지지구(80)를 제1 봉부재(3)의 둘레로 회전시키는 공정이 부가되어도 되는데, 당해 공정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필수의 공정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A)는, 상기 서술한 전선 절분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즉, 작업자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A)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선의 절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전선 접속 방법)
도 2, 도 7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접속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전선 접속 방법의 실행 전에, 제1 전선(W1)의 제1 단부(제1 절단 단부(Wa)) 및 제2 전선(W2)의 제2 단부(제2 절단 단부(Wb))에 있어서 절연 피복이 제거되어, 제1 단부(Wa) 및 제2 단부(Wb)에 있어서 전선(W)의 심선은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7 단계(ST7)에 있어서, 제2 전선 파지구(4)에 파지된 제2 전선(W2)의 제2 단부(Wb)가, 접속 슬리브(SV)의 제2 단부(Sb)에 삽입된다(도 7을 참조). 또한, 제7 단계(ST7)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전선 절분 방법의 제6 단계(ST6)보다 후에 실행된다.
제8 단계(ST8)에 있어서, 제1 봉부재(3)(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를 제2 봉부재(5)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제1 전선 지지구(80)에 고정된 제1 전선(W1)의 제1 단부(Wa)가, 접속 슬리브(SV)의 제1 단부(Sa)에 삽입된다. 이렇게 하여, 제1 전선(W1)의 제1 단부(Wa)와 제2 전선(W2)의 제2 단부(Wb)가 접속 슬리브(SV)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제8 단계(ST8) 후에, 접속 슬리브(SV)가 코킹되어, 접속 슬리브(SV)와 제1 단부(Wa)가 압착되고, 접속 슬리브(SV)와 제2 단부(Wb)가 압착되어도 된다.
제8 단계(ST8)는, 제1 봉부재(3)를 신장시킴으로써 실행 가능하다. 또한, 제1 봉부재(3)의 신장은,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로 실행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봉부재(3)를 신장시키는 것만으로, 접속 슬리브(SV) 내에 제1 전선(W1)의 제1 단부(Wa)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슬리브(SV)에 제1 단부(Wa)를 삽입할 때의 작업 부담이 큰 폭으로 경감된다. 또, 접속 슬리브(SV)에 제1 단부(Wa)를 삽입할 때에, 작업자에게는, 무리한 자세 혹은 어려운 동작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선 접속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접속 방법에서는, 전선(W)의 절단 후에,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고, 이동부(32)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1 전선(W1)의 제1 단부(Wa)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거리가 변화함으로써, 제1 전선 파지구(2) 또는 제2 전선 파지구(4)에 의해서 파지된 전선(W)에 작용하는 장력이 변화하거나, 전선(W)의 휨량이 변화하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고, 제1 전선(W1)의 제1 단부(Wa)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중의 전선(W)의 하방의 휨량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작업 중의 전선이 다른 전선에 간섭하는 리스크가 저감한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또한 안전하게, 제1 전선(W1)의 제1 단부(Wa)를 이동시켜 전선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A)는, 상기 서술한 전선 접속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즉, 작업자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A)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선의 접속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도 8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A)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변형예)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A)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조작 공구(1A)는, 제2 전선 지지구(8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전선 지지구(82)는, 제2 봉부재(5)에 지지(즉, 고정)되어 있다. 제2 전선 지지구(82)는, 전선(W)의 제2 단부(제2 절단 단부(Wb))를 지지 가능하다.
변형예에서는, 전선 조작 공구(1A)는, 전선(W)의 제2 단부를 지지 가능한 제2 전선 지지구(82)를 구비한다. 전선 조작 공구(1A)가 제2 전선 지지구(82)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전선(W)을 절단 후에, 전선(W)의 제2 절단 단부(Wb)가 적절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 전선(W)을 절단 후에, 제2 전선(W2)의 늘어짐(휨)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접속 슬리브(SV)에, 제2 전선(W2)의 제2 단부(Wb)를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전선(W)을 제2 전선 지지구(82)에 지지시키는 공정(예를 들어, 전선(W)을 제2 전선 지지구(82)에 고정하는 공정)은, 제1 단계(ST1) 및 제2 단계(ST2)보다 전에 실행되어도 되고, 제1 단계(ST1)와 제2 단계(ST2)의 사이에 실행되어도 되고, 제1 단계(ST1) 및 제2 단계(ST2)보다 후에 실행되어도 된다. 전선(W)을 제2 전선 지지구(82)에 지지시키는 공정(예를 들어, 전선(W)을 제2 전선 지지구(82)에 고정하는 공정)은, 제4 단계(ST4)보다 전에 실행되어도 되고, 제4 단계(ST4)보다 후에 실행되어도 된다.
도 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전선 지지구(80, 82)의 개수가 2개인데, 전선 지지구의 개수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조작 공구(1A)는, 접속 슬리브(SV)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리브 지지 부재(9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슬리브 지지 부재(90)는, 예를 들어, 제2 봉부재(5)에 고정되고, 제2 봉부재(5)에 의해서 지지된다. 전선 조작 공구(1A)가, 슬리브 지지 부재(9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접속 슬리브(SV)에, 제1 전선(W1)의 제1 단부(Wa)를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접속 슬리브(SV)에, 제1 전선(W1)의 제1 단부(Wa)를 삽입할 때에, 작업자는,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접속 슬리브(SV)를 지지할 필요가 없다.
슬리브 지지 부재(90)에 접속 슬리브(SV)를 지지시키는 공정은, 제1 단계(ST1) 및 제2 단계(ST2)보다 전에 실행되어도 되고, 제1 단계(ST1) 및 제2 단계(ST2)보다 후에 실행되어도 된다. 슬리브 지지 부재(90)에 접속 슬리브(SV)를 지지시키는 공정은, 제7 단계(ST7)보다 전에 실행되어도 되고, 제7 단계(ST7)보다 후에 실행되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슬리브 지지 부재(90)의 구성은, 후술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B)에 있어서 채용되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B)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B)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B)의 개략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2) 및 제2 전선 파지구(4)의 기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11은, 전선 지지구(80, 82, 84)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B)는, 이동 제한 부재(7)가,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71)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A)와는 상이하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을 끝낸 사항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선 조작 공구(1B)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1 전선 파지구(2)에 연결된 제1 봉부재(3)와, 제2 전선 파지구(4)와, 제2 전선 파지구(4)에 연결된 제2 봉부재(5)와, 제1 봉부재(3)와, 제2 봉부재(5)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구(60)와, 이동 제한 부재(7)와, 제1 봉부재(3)와 함께 이동하는 제1 전선 지지구(80)를 구비한다.
(제1 전선 파지구(2))
제1 전선 파지구(2)는, 제1 파지편(21)과 제2 파지편(22)을 구비하고, 제1 파지편(21)과 제2 파지편(22)에 의해서, 전선(W)의 제1 부분을 협지한다. 제1 전선 파지구(2)는, 제1 접속부(24)를 통해, 제1 봉부재(3)의 베이스부(30)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봉부재(3))
제1 봉부재(3)는, 베이스부(30)와, 이동부(32)를 구비한다. 제1 봉부재(3)는, 이동부(32)가 베이스부(30)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신축 가능하다. 제1 봉부재(3)는, 베이스부(30)와 이동부(32)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톱니바퀴 기구, 나사 기구 등)를 구비하고, 제1 봉부재(3)는, 베이스부(30)에 설치된 조작부(300)를 조작함으로써 신축한다.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신축 가능한 제1 봉부재(3)를 신축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일례로서, (A) 조작부(300)에는, 조작부와 함께 회전축(R1) 둘레를 회전하는 제1 베벨기어가 설치되고, (B) 베이스부(30)의 내측에는, 제1 베벨기어와 하중 전달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베벨기어가 배치되며, (C) 제2 베벨기어는, 외측 나사가 외주에 배치된 나사봉과 함께, 제1 봉부재(3)의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하고, (D) 이동부(32)가, 당해 나사봉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원격 조작 부재에 의해서, 조작부(300)를 회전축(R1) 둘레로 회전시키면, 제1 베벨기어가 회전축(R1) 둘레를 회전하고, 제2 베벨기어가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한다. 제2 베벨기어가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하면, 나사봉이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한다. 나사봉이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하면, 나사봉에 나사 결합하는 이동부(32)가, 베이스부(30)로 끌려드는 방향(또는 베이스부(30)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1 봉부재(3)가 신축한다.
(제2 전선 파지구(4))
제2 전선 파지구(4)는, 제1 파지편(41)과 제2 파지편(42)을 구비하고, 제1 파지편(41)과 제2 파지편(42)에 의해서, 전선(W)의 제2 부분을 협지한다. 제1 전선 파지구(2)는, 제2 접속부(44)를 통해, 제2 봉부재(5)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봉부재(5))
제2 봉부재(5)의 기단부는, 제2 전선 파지구(4)에 연결되고, 제2 봉부재(5)의 선단부는, 연결구(제1 연결구(60), 제2 연결구(62) 등)를 통해,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연결구(60))
제1 연결구(60)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와 제2 봉부재(5)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는, 제2 봉부재(5)에 대해서, X방향 또는 -X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다.
도 9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연결구(60)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제1 연결구(60)는, 구멍부(61)를 구비하고, 구멍부(61) 내에 제2 봉부재(5)가 삽입되어 있다.
(제1 스토퍼(71))
이동 제한 부재(7)는, 제1 스토퍼(71)를 포함한다. 제1 스토퍼(71)는,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부재이다.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스토퍼(71)는, 제2 봉부재(5)에 설치되어 있다(제2 봉부재(5)에 고정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예에 있어서, 제1 봉부재(3)가 수축하여,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가 X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부(32)에 설치된 제1 연결구(60)가 제1 스토퍼(71)에 맞닿는다.
제1 연결구(60)가 제1 스토퍼(71)에 맞닿은 후, 또한 이동부(32)가 X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봉부재(5)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와 함께 이동한다. 즉, 제1 스토퍼(71)가,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을 제한한다.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연결구(60)와 제1 스토퍼(71)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이 제한되는 제한 상태이며, 제1 연결구(60)와 제1 스토퍼(71)가 이격되어 있는 상태가,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이 허용되는 허용 상태이다.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연결구(60)가, 제1 스토퍼(71)와 접촉함으로써 제한 상태가 실현되는데,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에 고정된 접촉 부재(제1 연결구(60) 이외의 부재)와, 제2 봉부재(5)에 고정된 제1 스토퍼(71)가 접촉함으로써 제한 상태가 실현되어도 된다.
제한 상태(제1 연결구(60)가 제1 스토퍼(71)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봉부재(3)가 수축하면,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다. 따라서,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에 위치하는 전선(W)을 휘게 할 수 있다.
(제1 전선 지지구(80))
제1 전선 지지구(80)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와 함께 이동한다. 도 9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전선 지지구(80)는, 제1 연결구(60)를 통해 이동부(32)에 지지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 전선 지지구(80)는, 제1 연결구(60)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전선 지지구(80)는, 전선(W)의 제1 절단 단부(Wa)를 지지 가능(고정 가능)하다.
비제한 상태(제1 연결구(60)가 제1 스토퍼(71)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제1 봉부재(3)가 수축하면, 제1 전선 지지구(80)에 지지된 전선(W)의 제1 절단 단부(Wa)와, 제2 절단 단부(Wb)의 거리가 증가한다. 이렇게 하여, 제1 절단 단부(Wa)와, 제2 절단 단부(Wb)가, 적절하게 분리된다.
계속해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채용 가능한 임의 부가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연결구(62))
전선 조작 공구(1B)는, 제2 연결구(6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연결구(62)는, 제1 봉부재(3)의 베이스부(30)와 제2 봉부재(5)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연결구(62)는, 제1 봉부재(3)의 베이스부(30)(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30)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전선 조작 공구(1B)가, 제1 연결구(60) 및 제2 연결구(62)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 봉부재와 제2 봉부재(5)가, 보다 확실히 평행하게 유지된다.
제2 연결구(62)는, 제1 스토퍼(71) 및/또는 후술의 제2 스토퍼(72)와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연결구(62)는, 제1 봉부재의 베이스부(30)에 대한 제2 봉부재(5)의 이동 범위를 규정하는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전선 조작 공구(1B)가, 제1 연결구(60) 및 제2 연결구(62)를 구비하는 경우, 제1 스토퍼(71)는, 제1 연결구(60)와 제2 연결구(6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봉부재(3)를 수축시키면, (A) 제1 연결구(60)와 제1 스토퍼(71)가 접촉할 때까지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가, 제2 봉부재(5)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B) 제1 연결구(60)와 제1 스토퍼(71)가 접촉한 후에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가, 제2 봉부재(5)와 함께 이동하며, (C) 제1 스토퍼(71)와 제2 연결구(62)가 접촉하면,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 및 제2 봉부재(5)의 이동(베이스부(30)에 대한 이동)이 정지한다.
(제2 스토퍼(72))
전선 조작 공구(1B)는, 제2 스토퍼(7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스토퍼(72)는, 제1 봉부재(3)의 베이스부(30)에 대한 제2 봉부재(5)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부재이다.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스토퍼(72)는, 제2 봉부재(5)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다(제2 봉부재(5)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2 스토퍼(72)는, 제1 스토퍼(71)보다, 제2 봉부재(5)의 선단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스토퍼(72)는, 제2 연결구(62) 등의 연결구가, 제2 봉부재(5)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스토퍼(72)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을 규정하는 부재로서 기능한다. 제2 연결구(62)가 제2 스토퍼(72)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에 대응한다.
(제2 전선 지지구(82))
전선 조작 공구(1B)는, 제2 전선 지지구(8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전선 지지구(82)는, 제2 봉부재(5)에 지지(즉, 고정)되어 있다. 제2 전선 지지구(82)는, 전선(W)을 지지 가능하다.
제2 전선 지지구(82)는, 제2 봉부재(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 변경 가능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전선 지지구(82)는, 제2 봉부재(5)를 미끄러짐 가능하게 받아들이는 관통 구멍과, 제2 전선 지지구(82)를 제2 봉부재(5)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부재(고정 나사 등)를 구비한다.
전선 조작 공구(1B)가, 제2 전선 지지구(82)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전선(W)을 절단 후에, 전선(W)의 제2 절단 단부(Wb)가 제2 전선 지지구(82)에 의해서, 적절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 전선(W)을 절단 후에, 제2 전선(W2)의 늘어짐(휨)이 억제된다.
(제3 전선 지지구(84))
전선 조작 공구(1B)는, 제3 전선 지지구(84)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전선 지지구(84)는, 제2 연결구(62)에 지지(즉, 고정)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제3 전선 지지구(84)는, 제1 봉부재(3)의 베이스부(30)에, 직접적으로, 지지(즉,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제3 전선 지지구(84)는, 전선(W)을 지지 가능하다.
전선 조작 공구(1B)가, 제3 전선 지지구(84)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전선(W)을 절단 후에, 전선(W)의 제1 절단 단부(Wa)가 제3 전선 지지구(84)에 의해서, 적절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 전선(W)을 절단 후에, 제1 전선(W1)의 늘어짐(휨)이 억제된다.
(제1 로드(51) 및 제2 로드(52))
제2 봉부재(5)는, 제1 로드(51)와, 제1 로드(51)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된 제2 로드(5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2 봉부재(5)가, 제1 로드(51) 및 제2 로드(52)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2 봉부재(5)의 굽힘 강성이 향상한다.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봉부재(3)가, 제1 로드(51)와 제2 로드(5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가, 제1 로드(51)와 제2 로드(52)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적절하게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로드(51) 및 제2 로드(52)와,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가, 제1 연결구(60)에 의해서 상대 이동 가능(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제1 로드(51) 및 제2 로드(52)와, 제1 봉부재(3)의 베이스부(30)가, 제2 연결구(62)에 의해서 상대 이동 가능(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로드(51) 및 제2 로드(52)의 각각에 제1 스토퍼(71)가 배치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제1 스토퍼(71)는, 제1 로드(51) 및 제2 로드(52) 중 어느 한쪽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로드(51) 및 제2 로드(52)의 각각에 제2 스토퍼(72)가 배치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제2 스토퍼(72)는, 제1 로드(51) 및 제2 로드(52) 중 어느 한쪽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봉부재(5)가, 2개의 로드를 구비하고 있는데, 제2 봉부재(5)가 구비하는 로드의 수는, 1개, 혹은,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전선 지지구의 구조)
도 11을 참조하여, 제1 전선 지지구(80)의 구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전선 지지구(80)는, 제1 파지편(801)과, 제2 파지편(802)과, 제2 파지편(802)을 제1 파지편(801)에 근접(또는 이격)시키는 지지구 조작부(805)를 구비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지지구 조작부(805)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파지편(802)이 제1 파지편(80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지지구 조작부(805)를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파지편(802)이 제1 파지편(8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파지편(801)과 제2 파지편(802) 사이에 전선(W)이 배치된 상태로, 지지구 조작부(805)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선(W)을 제1 전선 지지구(80)에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지지구 조작부(805)를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전선 지지구(80)로부터 전선(W)을 해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전선 지지구(82)는, 제1 전선 지지구(80)와 동일한 구조여도 되고, 제1 전선 지지구(80)와는 상이한 구조여도 된다. 제2 전선 지지구(82)는, 전선(W)을 협지함으로써 전선을 지지하는 전선 지지구여도 된다. 대체적으로, 제2 전선 지지구(82)는, C자형 부재와 개폐 부재를 구비하고, C자형 부재와 개폐 부재에 의해서 규정되는 공간 내에 전선(W)을 위치 결정하는 전선 지지구여도 된다.
제3 전선 지지구(84)는, 제1 전선 지지구(80)와 동일한 구조여도 되고, 제1 전선 지지구(80)와는 상이한 구조여도 된다. 제3 전선 지지구(84)는, 전선(W)을 협지함으로써 전선을 지지하는 전선 지지구여도 된다. 대체적으로, 제3 전선 지지구(84)는, C자형 부재와 개폐 부재를 구비하고, C자형 부재와 개폐 부재에 의해서 규정되는 공간 내에 전선(W)을 위치 결정하는 전선 지지구여도 된다.
(전선 절분 방법)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제1 단계(ST101)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2)가 전선(W)에 장착된다. 제2 단계(ST102)에 있어서, 제2 전선 파지구(4)가, 전선(W)에 장착된다. 또한, 제2 단계(ST102)는, 제1 단계(ST101)보다 후에 실행되어도 되고, 제2 단계(ST102)보다 전에 실행되어도 된다.
제3 단계(ST103)에 있어서, 제2 전선 지지구(82)에, 전선(W)이 지지된다(고정된다). 또한, 전선 조작 공구(1B)가, 제2 전선 지지구(82)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3 단계(ST103)는, 생략된다.
제4 단계(ST104)에 있어서, 제3 전선 지지구(84)에, 전선(W)이 지지된다(고정된다). 또한, 전선 조작 공구(1B)가, 제3 전선 지지구(84)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4 단계(ST104)는, 생략된다.
도 13은, 제1 단계(ST101) 내지 제4 단계(ST104)를 실행 후의 전선 조작 공구(1B)의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제1 단계(ST101) 내지 제4 단계(ST104)의 실행 후의 상태에 있어서, 제1 전선 지지구(80)에는, 전선(W)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
제3 단계(ST103) 및 제4 단계(ST104)는, 제1 단계(ST101) 및 제2 단계(ST102)보다 전에 실행되어도 되고, 제1 단계(ST101) 및 제2 단계(ST102)보다 후에 실행되어도 된다.
제5 단계(ST105)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전선(W)을 휘게 한다(도 14를 참조).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전선 지지구(82)와 제3 전선 지지구(84) 사이의 거리가 축소됨으로써, 전선(W)이 휜다.
제5 단계(ST105)는,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제1 봉부재(3)를 수축시킴으로써 실행 가능하다. 제1 연결구(60)가 제1 스토퍼(71)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는,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이 제한되는 제한 상태에 해당한다. 제5 단계(ST105)가, 제1 연결구(60)가 제1 스토퍼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즉, 제한 상태)로 실행되면, 제2 봉부재(5)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와 함께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거리가 축소한다.
제5 단계(ST105)의 실행 중에, 제1 스토퍼(71)가 제2 연결구(62)에 접촉하면, 제2 봉부재(5) 및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는, 제1 봉부재(3)의 베이스부(30)에 대한 이동을 정지한다.
제6 단계(ST106)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위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전선 지지구(82)와 제3 전선 지지구(84) 사이의 위치(예를 들어, 도 14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어서, 전선(W)이 절단된다. 전선(W)의 절단에 의해, 전선(W)에는, 제1 절단 단부(Wa) 및 제2 절단 단부(Wb)가 형성된다(도 15를 참조).
제7 단계(ST107)에 있어서, 제1 전선 지지구(80)를 제1 절단 단부(Wa)에 접근시킨다. 제7 단계(ST7)는,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제1 봉부재(3)를 신장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제1 봉부재(3)를 신장시키면,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가, 베이스부(30)에 대해서 -X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봉부재(3)와 제2 봉부재(5)에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가 파지하는 전선(W)에 의해서 장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동부(32)가 -X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봉부재(5)도, 이동부(32)의 이동에 추종하여, -X방향으로 이동한다.
제7 단계(ST107)에 있어서, 또한, 제1 봉부재(3)를 신장시키면, 제2 연결구(62)와 제2 스토퍼(72)가 접촉한다(도 15를 참조). 제2 연결구(62)와 제2 스토퍼(72)가 접촉하면, 제2 봉부재(5)는, 베이스부(30)에 대해서 -X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는, 제2 봉부재(5)와는 독립적으로 -X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부(32)에 연결된 제1 연결구(60)와, 제2 봉부재(5)에 고정된 제1 스토퍼(71)는 이격된다(도 15를 참조).
제8 단계(ST108)에 있어서, 제1 절단 단부(Wa)가, 제1 전선 지지구(80)에 고정된다. 당해 고정은, 예를 들어, 제1 절단 단부(Wa)를, 제1 전선 지지구(80)의 제1 파지편(801)과 제1 전선 지지구(80)의 제2 파지편(802)에 의해서 협지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제7 단계(ST107)의 실행에 의해, 제1 전선 지지구(80)는, 제1 절단 단부(Wa)에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절단 단부(Wa)를, 제1 전선 지지구(80)에 고정하는 공정은, 용이하게 실행 가능하다.
또한, 제1 절단 단부(Wa)가 제1 전선 지지구(80)에 고정된 후, 제3 전선 지지구(84)에 의한 전선(W)의 지지는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9 단계(ST109)에 있어서,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를 제2 봉부재(5)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제1 절단 단부(Wa)와, 제2 절단 단부(Wb)가 이격된다(도 16을 참조). 이렇게 하여, 제1 절단 단부(Wa)와 제2 절단 단부(Wb) 사이의 거리가 확대되고, 제1 절단 단부(Wa)와 제2 절단 단부(Wb)가 분리된다.
제9 단계(ST109)는,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제1 봉부재(3)를 수축시킴으로써 실행 가능하다. 또한, 제1 봉부재(3)의 수축은,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로 실행된다. 즉, 제9 단계(ST109)에 있어서의 제1 봉부재(3)의 수축은, 제1 스토퍼(71)가 제1 연결구(6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실행된다. 제9 단계(ST109)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고, 이동부(32)를 제2 봉부재(5)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실행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봉부재(3)를 수축시킴으로써 전선을 휘게 하고(제5 단계(ST105)), 제1 봉부재(3)를 수축시킴으로써 제1 절단 단부(Wa)와 제2 절단 단부(Wb) 사이의 거리를 확대시킨다(제9 단계(ST109)). 즉, 전선(W)을 휘게 하는 작업과, 제1 절단 단부(Wa)와 제2 절단 단부(Wb) 사이의 거리를 확대시키는 작업을, 간단히, 제1 봉부재(3)를 수축시키는 것만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스토퍼(71)와 제1 연결구(60)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이 제한되는 제한 상태이며, 제1 스토퍼(71)와 제1 연결구(60)가 이격되어 있는 상태가,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이 허용되는 허용 상태이다. 이로 인해,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제한 상태로부터 허용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혹은, 허용 상태로부터 제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조작부(70A)를 조작할 필요가 없다. 환언하면, 조작부(300)의 조작만으로, 제1 봉부재(3)의 모든 신축 동작, 및, 제1 봉부재(3)와 제2 봉부재(5)의 상대 이동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더욱 작업자의 작업 부담이 경감되고, 작업자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선의 절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B)는, 상기 서술한 전선 절분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즉, 작업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B)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선의 절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전선 접속 방법)
도 12, 도 17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접속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전선 접속 방법의 실행 전에, 제1 전선(W1)의 제1 단부(제1 절단 단부(Wa)) 및 제2 전선(W2)의 제2 단부(제2 절단 단부(Wb))에 있어서 절연 피복이 제거되어, 제1 단부(Wa) 및 제2 단부(Wb)에 있어서 전선의 심선은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10 단계(ST110)에 있어서, 제2 전선 파지구(4)에 파지된 제2 전선(W2)의 제2 단부(Wb)가, 접속 슬리브(SV)의 제2 단부(Sb)에 삽입된다(도 17을 참조). 또한, 제10 단계(ST110)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전선 절분 방법의 제9 단계(ST109)보다 후에 실행된다.
제11 단계(ST111)에 있어서,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를 제2 봉부재(5)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제1 전선 지지구(80)에 고정된 제1 전선(W1)의 제1 단부(Wa)가, 접속 슬리브(SV)의 제1 단부(Sa)에 삽입된다. 이렇게 하여, 제1 전선(W1)의 제1 단부(Wa)와 제2 전선(W2)의 제2 단부(Wb)가 접속 슬리브(SV)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제11 단계(ST111)의 후에, 접속 슬리브(SV)가 코킹되어, 접속 슬리브(SV)와 제1 단부(Wa)가 압착되고, 접속 슬리브(SV)와 제2 단부(Wb)가 압착되어도 된다.
제11 단계(ST111)는,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제1 봉부재(3)를 신장시킴으로써 실행 가능하다. 또한, 제1 봉부재(3)의 신장은, 제1 스토퍼(71)와 제1 연결구(60)가 이격되어 있는 상태(허용 상태)로 실행된다. 제11 단계(ST111)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고, 이동부(32)를 제2 봉부재(5)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실행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봉부재(3)를 신장시키는 것만으로, 접속 슬리브(SV) 내에 제1 전선(W1)의 제1 단부(Wa)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슬리브(SV)에 제1 단부(Wa)를 삽입할 때의 작업 부담이 큰 폭으로 경감된다. 또, 접속 슬리브(SV)에 제1 단부(Wa)를 삽입할 때에, 작업자에게는, 무리한 자세 혹은 어려운 동작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작업 중의 전선(W)의 하방의 휨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 중의 전선이 다른 전선에 간섭하는 리스크가 저감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선 접속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B)는, 상기 서술한 전선 접속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즉, 작업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B)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선의 접속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8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C)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C)의 개략 측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C)와 제1 실시 형태(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는, 제1 봉부재의 구조, 제2 봉부재의 구조, 제1 봉부재와 제2 봉부재의 배치 관계, 제1 연결구의 구조, 제2 연결구의 구조, 이동 제한 부재의 배치, 및, 제1 전선 지지구의 구조에 있어서 상이하다. 이로 인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봉부재(3)의 구조, 제2 봉부재(5)의 구조, 제1 봉부재(3)와 제2 봉부재(5)의 배치 관계, 제1 연결구(60')의 구조, 제2 연결구(62')의 구조, 이동 제한 부재(7)의 배치, 및, 제1 전선 지지구(80')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 외의 구성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봉부재(3)는, 베이스부(30)와, 이동부(32)를 구비한다. 제1 봉부재(3)는, 이동부(32)가 베이스부(30)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신축 가능하다. 제1 봉부재(3)는, 베이스부(30)와 이동부(32)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톱니바퀴 기구, 나사 기구 등)를 구비하고, 제1 봉부재(3)는, 베이스부(30)에 설치된 조작부(300)를 조작함으로써 신축한다. 조작부(300)의 조작은, 예를 들어,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또한,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신축 가능한 제1 봉부재(3)를 신축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봉부재(3)를 신축시키기 위한 메커니즘과 동일해도 된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에는, 제1 전선 지지구(80')가 제1 봉부재(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조작부(310)를 원격 조작 공구에 의해서 조작함으로써, 제1 전선 지지구(80')를 이동부(32)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제1 전선 지지구(80')의 이동부(32)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전선 지지구(80')가 이동부(32)에 고정된 상태로 제1 봉부재(3)를 신축시키면, 제1 전선 지지구(80')는 이동부(32)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1 전선 지지구(80')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제1 전선 지지구(80')를 이동부(32)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전선 지지구(80')는, 제1 봉부재(3)에 대해서 위치 조정 가능한데, 제1 전선 지지구(80')는, 제1 봉부재(3)에 대해서 위치 조정 가능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제2 조작부(310)를 생략할 수 있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 있어서, 제1 연결구(60')는, 제1 봉부재(3)와 제2 봉부재(5)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전선 지지구(80')가 제1 연결구(60')를 겸용하고 있다. 제1 연결구(60')(제1 전선 지지구(80'))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에 고정 가능하다. 또, 제1 연결구(60')는, 제2 봉부재(5)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연결구(60')와 제1 전선 지지구(80')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인데, 대체적으로, 제1 연결구(60')와 제1 전선 지지구(80')는 별체이며, 서로 고착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제1 연결구(60')와 제1 전선 지지구(80')가, 따로따로, 이동부(32)에 장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봉부재(3)(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30))가, 제2 연결구(62')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1 전선 파지구(2)에 장치되어 있다. 이 점에서, 제3 실시 형태는, 제1 봉부재(3)가 직접적으로 제1 전선 파지구(2)에 장치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그러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봉부재(3)가 직접적으로 제1 전선 파지구(2)에 장치되어도 상관없다. 즉,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연결구(62')가, 제1 접속부(24)를 통해 제1 전선 파지구(2)에 연결되어 있는데, 제1 봉부재(3)(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30))가, 제1 접속부를 통해 제1 전선 파지구(2)에 연결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제2 연결구(62')(또는, 베이스부(30))와 제1 전선 파지구(2)의 연결은, 요동 가능한 연결이어도 되고, 요동 불가능한 연결이어도 된다.
제2 연결구(62')는, 제1 봉부재(3)와 제2 봉부재(5)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연결구(62')는, 제1 봉부재(3)에 장치되어 있고, 제2 연결구(62')와 제2 봉부재(5)는 상대 이동 가능하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연결구(62')는, 제2 봉부재(5)의 단부(58)를 받아들일 수 있는 수용부(600)를 구비한다. 또, 제2 봉부재(5)의 단부(58)가, 수용부(600)에 의해서 규정되는 공간(SP) 내를 이동 가능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봉부재(5)의 단부(58)는, 수용부(600)의 제1 단부(601)에 접촉하는 제1 접촉 위치와, 수용부(600)의 제2 단부(602)에 접촉하는 제2 접촉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수용부(600)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폐각 형상이어도 되고, 측면이 개구한 사각틀 형상 또는 U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봉부재(5)와, 제2 연결구(62')가 X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연결구(62')에 수용부(6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2 봉부재(5)와 제2 연결구(62')가 편심하여 배치되는 경우, 환언하면, 제2 봉부재(5)의 이동이, 제2 연결구(62')에 간섭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용부(600)는 생략되어도 된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이동 제한 부재(7)가, 제2 봉부재(5)에 설치되어 있다. 이동 제한 부재(7)는,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71')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봉부재(3)가 수축하여, 이동부(32)가 X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연결구(60')(제1 전선 지지구(80'))도 X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연결구(60')(제1 전선 지지구(80'))가, 제1 스토퍼(71')에 맞닿은 후에 제1 봉부재(3)가 더 수축하면, 제2 봉부재(5)는,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와 함께 X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이 제한된다. 제1 연결구(60')(제1 전선 지지구(80'))는, 이동 제한 부재(7)(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스토퍼(71'))에 맞닿을 수 있음과 더불어, 이동 제한 부재(7)로부터 이격 가능하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스토퍼(71')는, 제2 봉부재(5)에 설치된 돌출부(보다 구체적으로는, X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이다. 제1 스토퍼(71')는, 제1 연결구(60')와 제2 연결구(6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봉부재(5)의 한쪽의 단부에 제2 전선 파지구(4)가 장치되어 있다. 또, 제2 봉부재(5)의 다른쪽의 단부(58)는, 제2 봉부재(5)가 제2 연결구(6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부(5a)로서 기능하고 있다.
(전선 절분 방법)
도 19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8, 도 20 내지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절분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단계(ST201), 제2 단계(ST202)는, 각각,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단계(ST101), 제2 단계(ST102)와 동일하다. 이로 인해,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제1 단계(ST201) 및 제2 단계(ST202)를 실행 후의 전선 조작 공구(1C)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C)가, 제2 전선 지지구(82)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2 전선 지지구(82)에 전선(W)을 지지시키는 공정(제2 전선 지지구(82)에 전선(W)을 고정하는 공정)이 실행되어도 된다. 당해 공정은, 제1 단계(ST201) 및 제2 단계(ST202)보다 전에 실행되어도 되고, 후에 실행되어도 된다.
제3 단계(ST203)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전선(W)을 휘게 한다(도 20을 참조). 제3 단계(ST3)는,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제1 봉부재(3)를 수축시킴으로써 실행 가능하다. 또한, 제1 봉부재(3)를 수축시키면, 제1 연결구(60')(제1 전선 지지구(80'))가, 제1 스토퍼(71')에 접촉한다. 그 후, 제1 봉부재(3)가 더 수축하면, 제2 봉부재(5)가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와 함께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다.
제4 단계(ST204)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위치(예를 들어, 도 20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어서, 전선(W)이 절단된다. 전선(W)의 절단에 의해, 전선(W)에는, 제1 절단 단부 및 제2 절단 단부가 형성된다.
제5 단계(ST205)에 있어서, 제1 전선 지지구(80')를 제1 절단 단부(Wa)에 접근시킨다(도 21을 참조). 제5 단계(ST205)는,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제1 봉부재(3)를 신장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제1 봉부재(3)를 신장시키면,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가, 베이스부(30)에 대해서 -X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봉부재(3)와 제2 봉부재(5)에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가 파지하는 전선(W)에 의해서 장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동부(32)가 -X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봉부재(5)도, 이동부(32)의 이동에 추종하여, -X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봉부재(3)의 신장은, 제1 연결구(60')(제1 전선 지지구(80'))와 제1 스토퍼(71') 사이의 접촉이 해제될 때까지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봉부재(3)의 신장은, 제2 봉부재(5)의 빠짐방지부(5a)가 제2 연결구(62')(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단부(601))에 접촉할 때까지 행해진다.
제6 단계(ST206)에 있어서, 제1 절단 단부(Wa)가, 제1 전선 지지구(80')에 고정된다. 당해 고정은, 예를 들어, 제1 절단 단부(Wa)를, 제1 전선 지지구(80')의 제1 파지편(801)과 제1 전선 지지구(80')의 제2 파지편(802)에 의해서 협지시킴으로써 실행된다(도 22를 참조).
또한, 제6 단계(ST206)는, 제1 전선 지지구(80')를,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에 대해서 -X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에 실행되어도 된다. 당해 슬라이드 이동은, 제2 조작부(310)를 조작하여, 이동부(32)와 제1 전선 지지구(80') 사이의 고정을 해제하고, 그 후, 제1 전선 지지구(80')를 -X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제2 조작부(310)의 조작 및 제1 전선 지지구(80')의 슬라이드 이동은,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슬라이드 이동 후, 제2 조작부(310)를 조작함으로써, 제1 전선 지지구(80')가 이동부(32)에 재고정된다. 또한,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에 대한 제1 전선 지지구(80')의 배치 및/또는 제2 봉부재(5)에 있어서의 제1 스토퍼(71')의 배치 등에 의해서는, 제1 전선 지지구(80')의 이동부(32)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 공정이 생략되어도 된다.
제7 단계(ST207)에 있어서,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를 제2 봉부재(5)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제1 절단 단부(Wa)와, 제2 절단 단부(Wb)가 이격된다(도 23을 참조). 이렇게 하여, 제1 절단 단부(Wa)와 제2 절단 단부(Wb) 사이의 거리가 확대되고, 제1 절단 단부(Wa)와 제2 절단 단부(Wb)가 분리된다.
제7 단계(ST207)는,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제1 봉부재(3)를 수축시킴으로써 실행 가능하다. 또한, 제1 봉부재(3)의 수축은, 제2 봉부재(5)에 대한 제1 봉부재(3)의 이동부(32)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로 실행된다. 즉, 제7 단계(ST207)에 있어서의 제1 봉부재(3)의 수축은, 제1 스토퍼(71')가 제1 연결구(60')(제1 전선 지지구(8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실행된다. 제7 단계(ST207)는, 제1 전선 파지구(2)와 제2 전선 파지구(4)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고, 이동부(32)를 제2 봉부재(5)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실행 가능하다. 제7 단계(ST207)에 있어서, 빠짐방지부(5a)는, 제2 연결구(62')(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단부(601))에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C)는, 상기 서술한 전선 절분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전선 접속 방법)
도 19, 도 24를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접속 방법의 일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8 단계(ST208)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0 단계(ST110)와 동일하다. 또,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9 단계(ST20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1 단계(ST111)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8 단계(ST208) 및 제9 단계(ST209)에 대해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10 단계(ST110) 및 제11 단계(ST111)의 설명에 있어서, 「제10 단계(ST110)」, 「제11 단계(ST111)」, 「제1 전선 지지구(80)」, 「제1 스토퍼(71)」, 「제1 연결구(60)」를, 각각, 「제8 단계(ST208)」, 「제9 단계(ST209)」, 「제1 전선 지지구(80')」, 「제1 스토퍼(71')」, 「제1 연결구(60')」로 대체하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8 단계(ST208) 및 제9 단계(ST209)에 대한 설명이 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C)는, 상기 서술한 전선 접속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즉,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선의 절분 공사 및 전선의 접속 공사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선 조작 공구, 전선 절분 방법, 및, 전선 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조작 공구(1) 중, 제1 전선 파지구(2), 제2 전선 파지구(4), 및, 제1 봉부재(3)에 대해서는, 기존의 전선 절분 공구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전선 파지구(2), 제2 전선 파지구(4), 및, 제1 봉부재(3)에 대해서는 기존의 부품을 사용하고, 제2 봉부재(5), 제1 전선 지지구(80, 80') 등의 전선 지지구, 제1 연결구(60, 60') 등의 연결구, 제1 스토퍼(71, 71') 등의 이동 제한 부재에 대해서는, 새롭게 공급되는 부품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각 실시 형태의 자유로운 조합, 혹은 각 실시 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변형, 또는, 임의의 구성 요소의 생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임의의 구성 요소가 추가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전선 조작 공구를 이용하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선의 절분 공사 및 전선의 접속 공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 조작 공구의 제조업자, 전선 절분 작업 및 전선 접속 작업을 실시하는 업자에게 있어서 유용하다.
1, 1A, 1B, 1C: 전선 조작 공구 2: 제1 전선 파지구
3: 제1 봉부재 4: 제2 전선 파지구
5: 제2 봉부재 7, 7A: 이동 제한 부재
21: 제1 파지편 22: 제2 파지편
24: 제1 접속부 30: 베이스부
32: 이동부 41: 제1 파지편
42: 제2 파지편 44: 제2 접속부
51: 제1 로드 52: 제2 로드
58: 단부 60, 60': 제1 연결구
61: 구멍부 62, 62': 제2 연결구
70A: 조작부 71, 71': 제1 스토퍼
72: 제2 스토퍼 80, 80': 제1 전선 지지구
82: 제2 전선 지지구 84: 제3 전선 지지구
90: 슬리브 지지 부재 300: 조작부
310: 제2 조작부 600: 수용부
601: 제1 단부 602: 제2 단부
801: 제1 파지편 802: 제2 파지편
805: 지지구 조작부 SV: 접속 슬리브
Sa: 제1 단부 Sb: 제2 단부
W: 전선 W1: 제1 전선
W2: 제2 전선 Wa: 제1 절단 단부
Wb: 제2 절단 단부

Claims (17)

  1.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에 연결되고, 이동부가 베이스부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제1 봉부재와,
    제2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에 연결된 제2 봉부재와,
    상기 제1 봉부재와 상기 제2 봉부재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봉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봉부재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부재와,
    상기 제1 봉부재의 상기 이동부와 함께 이동하는 제1 전선 지지구를 구비하는, 전선 조작 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 부재는, 상기 제2 봉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봉부재의 상기 이동부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는, 전선 조작 공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봉부재의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봉부재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구를 더 구비하는, 전선 조작 공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전선 조작 공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봉부재의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제2 봉부재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전선 조작 공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봉부재의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제2 봉부재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전선 조작 공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봉부재의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제2 봉부재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전선 조작 공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지지구는 상기 제1 연결구에 설치되어 있는, 전선 조작 공구.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봉부재는, 복수의 평행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1 봉부재의 상기 이동부와, 상기 복수의 평행한 로드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선 조작 공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봉부재는, 복수의 평행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1 봉부재의 상기 이동부와, 상기 복수의 평행한 로드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선 조작 공구.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 또는 상기 제1 전선 지지구는, 상기 이동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치되는, 전선 조작 공구.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 또는 상기 제1 전선 지지구는, 상기 이동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치되는, 전선 조작 공구.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 또는 상기 제1 전선 지지구는, 상기 이동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치되는, 전선 조작 공구.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 또는 상기 제1 전선 지지구는, 상기 이동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치되는, 전선 조작 공구.
  15. 제1 전선 파지구와, 제2 전선 파지구와, 제1 전선 파지구에 연결된 신축 가능한 제1 봉부재를 구비하는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으로서,
    제2 전선 파지구에 연결되는 제2 봉부재와,
    상기 제1 봉부재와 상기 제2 봉부재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봉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봉부재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부재와,
    상기 제1 봉부재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제1 전선 지지구를 구비하는,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16. 전선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을 잘라 나누는 전선 절분(切分) 방법으로서,
    상기 전선 조작 공구는,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에 연결된 제1 봉부재와,
    제2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에 연결된 제2 봉부재와,
    상기 제1 봉부재와 상기 제2 봉부재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1 봉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제1 전선 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선 절분 방법은,
    상기 제1 전선 파지구를 상기 전선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전선 파지구를 상기 전선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상기 전선을 휘게 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을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전선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제1 절단 단부를, 상기 제1 전선 지지구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봉부재를 상기 제2 봉부재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절단 단부와, 상기 전선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제2 절단 단부를 이격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전선 절분 방법.
  17. 전선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을 접속하는 전선 접속 방법으로서,
    상기 전선 조작 공구는,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에 연결된 제1 봉부재와,
    제2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에 연결된 제2 봉부재와,
    상기 제1 봉부재와 상기 제2 봉부재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1 봉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제1 전선 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선 접속 방법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에 파지된 제2 전선의 단부를, 접속 슬리브의 제2 단부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전선 파지구와 상기 제2 전선 파지구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봉부재를 상기 제2 봉부재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전선 지지구에 고정된 제1 전선의 단부를, 상기 접속 슬리브의 제1 단부에 삽입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전선 접속 방법.
KR1020207003185A 2017-07-06 2018-07-02 전선 조작 공구,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전선 절분 방법, 및, 전선 접속 방법 KR102235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32687 2017-07-06
JPJP-P-2017-132687 2017-07-06
PCT/JP2018/025069 WO2019009244A1 (ja) 2017-07-06 2018-07-02 電線操作工具、電線操作工具用の部品、電線切分方法、および、電線接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291A KR20200024291A (ko) 2020-03-06
KR102235584B1 true KR102235584B1 (ko) 2021-04-02

Family

ID=6495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185A KR102235584B1 (ko) 2017-07-06 2018-07-02 전선 조작 공구,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전선 절분 방법, 및, 전선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732318B2 (ko)
KR (1) KR102235584B1 (ko)
CN (1) CN110832721B (ko)
MY (1) MY193770A (ko)
PH (1) PH12020500031A1 (ko)
TW (1) TWI775892B (ko)
WO (1) WO2019009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5066B2 (ja) * 2018-12-27 2022-02-24 株式会社永木精機 線材操作工具、線材操作工具用の部品、線材切分方法、および、線材接続方法
TWI711238B (zh) * 2019-07-26 2020-11-21 日商永木精機股份有限公司 套筒裝設工具及套筒裝設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9527A (ja) 2000-12-22 2002-07-12 Asahi Tec Corp 弛度調整工具
JP2002199526A (ja) 2000-12-22 2002-07-12 Asahi Tec Corp 弛度調整工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96C (zh) * 1987-02-05 1997-09-03 休斯顿工业公司 一种容许切断带电输电线的装置和方法
JPH04207A (ja) * 1990-04-13 1992-01-06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ケーブル張線装置
JP2990103B2 (ja) * 1997-06-10 1999-12-13 関西電力株式会社 張線装置
JPH11215633A (ja) * 1998-01-26 1999-08-06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動力張線器の電線跳ね防止装置
TWI366965B (en) * 2005-12-30 2012-06-21 Hon Hai Prec Ind Co Ltd Apparatus for cutting dielectric layer of electrical wire
JP2010051081A (ja) 2008-08-20 2010-03-04 Nagaki Seiki Co Ltd 架線工事用補助具及び架線工事方法
JP5268778B2 (ja) * 2009-05-20 2013-08-21 中国電力株式会社 腕金交換装置
JP2011067007A (ja) * 2009-09-17 2011-03-31 Hokkai Denki Koji Kk 架線切分け工具及びその取付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9527A (ja) 2000-12-22 2002-07-12 Asahi Tec Corp 弛度調整工具
JP2002199526A (ja) 2000-12-22 2002-07-12 Asahi Tec Corp 弛度調整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07419A (zh) 2019-02-16
WO2019009244A1 (ja) 2019-01-10
CN110832721B (zh) 2021-01-22
PH12020500031A1 (en) 2020-09-14
TWI775892B (zh) 2022-09-01
JP6732318B2 (ja) 2020-07-29
JPWO2019009244A1 (ja) 2020-04-09
KR20200024291A (ko) 2020-03-06
MY193770A (en) 2022-10-27
CN110832721A (zh)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584B1 (ko) 전선 조작 공구, 전선 조작 공구용의 부품, 전선 절분 방법, 및, 전선 접속 방법
JP2010051081A (ja) 架線工事用補助具及び架線工事方法
WO2013175768A1 (ja) 掴線器
JP2017212773A (ja) 電線仮支持工具
KR102637231B1 (ko) 선재 조작 공구, 선재 조작 공구용의 부품, 선재 절분 방법 및 선재 접속 방법
JP5595817B2 (ja) 電線用巻付バインド及びバインド方法
KR102425231B1 (ko)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
JP6656137B2 (ja) 引下線用工具と、電線設備を交換する施工方法
JP2016144327A (ja) 間接活線作業用工具
JP66011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
JP5911833B2 (ja) 操作棒連結具および電線支持方法
JP2015035845A (ja) 電線ベンダー
JP59602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JP5886347B2 (ja) 間接活線作業用バインド
JP6468042B2 (ja) 圧縮用工具
TWI711238B (zh) 套筒裝設工具及套筒裝設方法
KR102549108B1 (ko) 간접활선용 개폐조작그립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관절 슬라이딩 레버 링크형 전선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
JP2017070136A (ja) 電線の支持及び張緩用器具
WO2022102566A1 (ja) 活線振分工具
JP2009017759A (ja) ジャンパー線保持具
JP2021089404A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外装交換用ケーブル移動ツール
JP2018116785A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