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426B1 - 피스톤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피스톤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426B1
KR102235426B1 KR1020200036292A KR20200036292A KR102235426B1 KR 102235426 B1 KR102235426 B1 KR 102235426B1 KR 1020200036292 A KR1020200036292 A KR 1020200036292A KR 20200036292 A KR20200036292 A KR 20200036292A KR 102235426 B1 KR102235426 B1 KR 102235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communication path
moving body
flow rat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292A (ko
Inventor
게이 니시이
신야 야마모토
아키노부 가나이
요시노리 이노우에
요스케 이나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20011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2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having plural sets of cylinders or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7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the members being re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과제) 작동 시에 있어서의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의 증대를 억제함과 함께, 흡입 맥동을 억제 가능한 피스톤식 압축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압축기는, 구동축 (3) 및 이동체 (1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체 (10) 에는, 제 2 연통로 (41)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연통로 (41) 는, 이동체 (10) 의 회전 방향의 선행측에 위치하는 선단 가장자리 (61) 와, 선단 가장자리 (61) 보다 회전 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는 후단 가장자리 (63) 를 갖고 있다. 선단 가장자리 (61) 는, 제 1 가장자리부 (61a) 와, 제 2 가장자리부 (61b) 를 갖고 있다. 제 1 가장자리부 (61a) 는,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대일 때에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대향한다. 제 2 가장자리부 (61b) 는,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대보다 적을 때에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대향한다. 제 1 가장자리부 (61a) 는, 제 2 가장자리부 (61b) 보다 회전 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피스톤식 압축기{PISTON COMPRESSOR}
본 발명은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 종래의 피스톤식 압축기 (이하, 간단히 압축기라고 한다.) 가 개시되어 있다. 이 압축기는, 하우징과, 구동축과, 고정 사판 (斜板) 과, 복수의 피스톤과, 토출 밸브와, 이동체와,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은, 실린더 블록을 갖고 있다. 실린더 블록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 압축실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에는, 토출실과, 사판실과, 축공 (軸孔) 과, 제어압실이 형성되어 있다. 사판실에는 압축기의 외부로부터 흡입 압력의 냉매가 흡입된다. 이에 따라, 사판실은, 흡입압 분위기로 되어 있고, 토출실보다 저압으로 되어 있다. 또, 사판실은 축공과 연통되어 있다. 제어압실은 제어 압력으로 되어 있다.
구동축은, 축공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승 (支承) 되어 있다. 고정 사판은,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사판실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구동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일정하다. 피스톤은, 실린더 보어 내에 압축실을 형성하고, 고정 사판에 연결되어 있다. 압축실과 토출실 사이에는, 압축실 내의 냉매를 토출실에 토출시키는 리드 밸브식 토출 밸브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체는, 구동축을 삽입 통과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체는 구동축에 형성되어 있고, 축공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체는, 축공과 제어압실을 구획하고 있다. 이동체는, 축공 내에서 구동축과 일체 회전함과 함께, 제어 압력에 기초하여 구동축의 구동 축심 방향으로 구동축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동체의 외주면에는, 제 2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연통로는, 이동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구동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간헐적으로 제 1 연통로와 연통한다. 제어 밸브는, 제어 압력을 조정한다.
이 압축기에서는, 구동축이 회전하고, 고정 사판이 회전함으로써, 피스톤이 실린더 보어 내를 상사점과 하사점의 사이에서 왕복동한다. 여기서, 상사점에 있는 피스톤이 하사점을 향하여 이동을 개시하기 시작함으로써, 압축실은, 내부에 잔류하는 냉매가 재팽창하는 재팽창 행정이 된다. 그리고,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가 연통됨으로써, 압축실은, 재팽창 행정에서 흡입 행정으로 이행한다. 이 때, 제 2 연통로는, 제 1 연통로를 통해서 축공 내, 즉 사판실 내의 냉매를 압축실에 흡입시킨다. 그리고, 압축실은, 피스톤이 하사점에서 상사점을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 행정이 되고, 또한, 압축한 냉매를 토출실에 토출하는 토출 행정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구동축에 대한 이동체의 구동 축심 방향의 위치에 따라, 구동축의 1 회전당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가 연통하는 구동 축심 둘레의 연통 각도가 변화한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압축실에 흡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압축실로부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06680호
그런데, 압축실로부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최대일 때 (이하, 최대 유량 시라고 한다) 에는, 압축실로부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가 고압이 되고, 또, 압축실 내에 잔류하는 냉매도 고압이 된다. 이 때문에, 재팽창 행정에 의해, 압축실 내에 잔류하는 냉매가 흡입압 분위기보다 저압이 되기 전에,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가 연통하면, 압축실 내에 잔류하는 냉매가 제 1 연통로로부터 제 2 연통로, 나아가서는, 흡입압 분위기측으로 역류해 버린다.
여기서, 압축기의 작동 시에 상사점측에서 하사점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피스톤은, 압축실 내의 압력을 동력의 일부에 이용한다. 이 때문에, 압축실 내에 잔류하는 냉매가 제 2 연통로로 역류하고, 압축실 내가 급격하게 감압되면, 피스톤이 상사점측에서 하사점측을 향하여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피스톤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 압축실 내에 잔류하는 냉매가 흡입압 분위기측으로 역류함으로써, 흡입압 분위기측의 압력 변동이 커지기 때문에, 흡입 맥동도 커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작동 시에 있어서의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의 증대를 억제함과 함께, 흡입 맥동을 억제 가능한 피스톤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피스톤식 압축기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을 갖고, 토출실과, 사판실과, 축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축공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승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사판실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일정한 고정 사판과,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 압축실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사판에 연결되는 피스톤과,
상기 압축실 내의 냉매를 상기 토출실에 토출시키는 토출 밸브와,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어 상기 축공 내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축과 일체 회전함과 함께, 제어 압력에 기초하여 구동 축심 방향으로 상기 구동축에 대해 이동 가능한 이동체와,
상기 제어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블록에는,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에는, 상기 이동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간헐적으로 상기 제 1 연통로와 연통함으로써, 상기 제 1 연통로를 통해서 상기 압축실에 냉매를 흡입시키는 제 2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의 상기 구동 축심 방향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변화하는 피스톤식 압축기로서,
상기 제 2 연통로는, 상기 이동체의 회전 방향의 선행측에 위치하는 선단 가장자리와, 상기 선단 가장자리보다 상기 회전 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는 후단 가장자리를 갖고,
상기 선단 가장자리는,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최대일 때에 상기 제 1 연통로와 대향하는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최대보다 적을 때에 상기 제 1 연통로와 대향하는 제 2 가장자리부를 갖고,
상기 제 1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 2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회전 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스톤식 압축기는, 제 2 연통로의 선단 가장자리가 제 1 가장자리부와 제 2 가장자리부를 갖고 있고, 제 1 가장자리부는, 제 2 가장자리부보다 구동축의 회전 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대 유량 시에는, 최대 유량 시보다 압축실로부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적을 때에 비해,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가 연통하는 타이밍이 늦어짐으로써, 압축실이 재팽창 행정에서 흡입 행정으로 이행하는 타이밍이 늦어진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최대 유량 시에 압축실 내에 잔류하는 냉매를 재팽창 행정에서 충분히 감압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가 연통했을 때에, 압축실 내에 잔류하는 냉매가 제 2 연통로에 역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가 연통해도 압축실 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저하되기 어렵기 때문에, 최대 유량 시에 피스톤이 이동하기 쉽고,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압축실 내에 잔류하는 냉매가 제 2 연통로로 역류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최대 유량 시에 있어서의 흡입 맥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최대 유량 시보다 압축실로부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적을 때는, 최대 유량 시에 비해,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가 연통하는 타이밍이 빨라짐으로써, 압축실이 재팽창 행정에서 흡입 행정으로 이행하는 타이밍이 빨라진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최대 유량 시보다 압축실로부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적을 때에, 재팽창 행정에 의해, 압축실 내가 흡입 압력보다 저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압축실로부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최대 유량 시보다 적은 상태에 있어서도, 피스톤이 이동하기 쉽고,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압축실 내가 흡입 압력보다 저압이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 압축기에서는, 최대 유량 시보다 압축실로부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적을 때에 있어서의 흡입 맥동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의하면, 작동 시에 있어서의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흡입 맥동을 억제할 수 있다.
구동축에는, 이동체를 구동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안내창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이동체는, 제 2 연통로가 형성됨과 함께, 안내창에 배치되는 제 1 이동체와, 구동축 내에 배치되는 제 2 이동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이동체에 의해,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축에 의해,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가 비연통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압축기에서는, 압축 행정이나 토출 행정에 있는 압축실과 연통하는 제 1 연통로를 통해서, 압축 행정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가 제 2 연통로를 향하여 유통한다. 여기서, 이 압축기에서는, 구동축에 의해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가 비연통으로 되기 때문에, 압축실 내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에 의한 하중 (이하, 압축 하중이라고 한다.) 은, 제 1 연통로를 통해서 구동축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구동축이 압축 하중을 받아들임으로써, 이동체에는, 압축 하중이 작용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이동체가 구동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기 쉽기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제어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이동체를 구동 축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 과도하게 큰 추력이 불필요하고, 이동체를 대형화하여 제어 압력에 대한 수압 면적을 크게 확보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소형화도 가능해진다.
제 1 가장자리부와 제 2 가장자리부는, 회전 방향으로 서서히 변화하면서 연속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가장자리부와 제 2 가장자리부는, 단차를 갖고 연속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들의 경우에는, 선단 가장자리를 포함하여, 제 2 연통로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게 하면서, 최대 유량 시에 있어서의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의 연통 타이밍과, 최대 유량 시보다 압축실로부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적을 때에 있어서의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의 연통 타이밍을 적합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의하면, 작동 시에 있어서의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흡입 맥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최소 유량 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최대 유량 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구동축 및 이동체 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 는,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도 4 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은,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제 1 이동체를 압축기의 전방측에서 본 확대 정면도이다.
도 7 은,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제 2 이동체를 압축기의 후방측에서 본 확대 후면도이다.
도 8 은,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최소 유량 시에 있어서의 구동축 및 이동체 등을 나타내는 요부 (要部)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는,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최대 유량 시에 있어서의 구동축 및 이동체 등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 은,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도 1 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은,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도 1 에 나타내는 위치보다 이동체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0 과 동일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 는,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도 2 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 은,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최소 유량 시에 있어서의 제 1 이동체와 제 1 연통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 는,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중간 유량 시에 있어서의 제 1 이동체와 제 1 연통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 는, 실시예 1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최대 유량 시에 있어서의 제 1 이동체와 제 1 연통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 은, 실시예 2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제 1 이동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 은, 실시예 3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제 1 이동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 은, 실시예 4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제 1 이동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 는, 실시예 4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도 18 의 D-D 단면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 은, 실시예 5 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제 1 이동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 ∼ 5 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들 압축기는, 편두 (片頭) 피스톤식 압축기이다. 이들 압축기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공조 장치의 냉동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압축기는, 하우징 (1) 과, 구동축 (3) 과, 고정 사판 (5) 과, 복수의 피스톤 (7) 과, 밸브 형성 플레이트 (9) 와, 이동체 (10) 와, 제어 밸브 (13) 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형성 플레이트 (9) 는, 본 발명의 「토출 밸브」 의 일례이다.
하우징 (1) 은, 프론트 하우징 (17) 과, 리어 하우징 (19) 과, 실린더 블록 (21) 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하우징 (17) 이 위치하는 측을 압축기의 전방측으로 하고, 리어 하우징 (19) 이 위치하는 측을 압축기의 후방측으로 하여, 압축기의 전후 방향을 규정하고 있다. 또, 도 1 및 도 2 의 지면의 상방을 압축기의 상방측으로 하고, 지면의 하방을 압축기의 하방측으로 하여, 압축기의 상하 방향을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도 3 이후에서는, 도 1 및 도 2 에 대응시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표시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압축기는, 탑재되는 차량에 대응하여, 그 자세가 적절히 변경된다.
프론트 하우징 (17) 은,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벽 (17a) 과, 전벽 (17a) 과 일체를 이루어, 전벽 (17a) 으로부터 구동축 (3) 의 구동 축심 (O) 방향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주벽 (周壁) (17b) 을 갖고 있고, 대략 원통상을 이루고 있다. 구동 축심 (O) 은, 압축기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전벽 (17a) 에는, 제 1 보스부 (171) 와, 제 2 보스부 (172) 와, 제 1 축공 (173)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보스부 (171) 는 구동 축심 (O) 방향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 1 보스부 (171) 내에는 축봉 장치 (25)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보스부 (172) 는 후술하는 사판실 (31) 내에 있어서, 구동 축심 (O) 방향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 1 축공 (173) 은, 구동 축심 (O) 방향에서 전벽 (17a) 을 관통하고 있다.
리어 하우징 (19) 에는, 흡입실 (28) 과, 흡입구 (28a) 와, 토출실 (29) 과, 토출구 (29a) 와, 제 3 접속로 (26c)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실 (28) 은, 리어 하우징 (19) 의 중심측에 위치하고 있다. 흡입구 (28a) 는, 흡입실 (28) 과 연통하고 있고, 리어 하우징 (19) 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리어 하우징 (19) 의 외부에 열려 있다. 흡입구 (28a) 는, 배관을 통해서 증발기와 접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흡입실 (28) 은, 증발기를 거친 저압의 냉매 가스, 요컨대, 흡입 압력의 냉매 가스가 흡입구 (28a) 로부터 흡입된다. 이렇게 하여, 흡입실 (28) 은 흡입 압력으로 되어 있다. 토출실 (29) 은 환상 (環狀) 으로 형성되어 있고, 흡입실 (28) 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토출구 (29a) 는, 토출실 (29) 과 연통하고 있고, 리어 하우징 (19) 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리어 하우징 (19) 의 외부에 열려 있다. 토출구 (29a) 는, 배관을 통해서 응축기와 접속하고 있다. 흡입구 (28a) 및 토출구 (29a) 의 형상은 적절히 설계 가능하다. 또한, 배관, 증발기 및 응축기의 도시는 생략한다. 제 3 접속로 (26c) 는, 흡입구 (28a) 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흡입실 (28) 과 접속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 (21) 은, 프론트 하우징 (17) 과 리어 하우징 (19)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0 ∼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 (21) 에는, 실린더 보어 (21a ∼ 21f) 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 (21a ∼ 21f) 는, 각각 둘레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 (21a ∼ 21f) 는, 각각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보어 (21a ∼ 21f) 의 개수는 적절히 설계 가능하다.
실린더 블록 (21) 은, 프론트 하우징 (17) 과 접합됨으로써, 프론트 하우징 (17) 의 전벽 (17a) 및 주벽 (17b) 과의 사이에 사판실 (31) 을 형성하고 있다. 사판실 (31) 은, 도시되지 않은 연락 통로에 의해 흡입실 (28) 과 연통되어 있다.
또, 실린더 블록 (21) 에는, 제 2 축공 (23)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축공 (173) 및 제 2 축공 (23) 은, 본 발명의 「축공」 의 일례이다. 제 2 축공 (23) 은, 실린더 블록 (21) 의 중심측에 위치하고 있고, 실린더 블록 (21) 을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 2 축공 (23) 의 후방측은, 실린더 블록 (21) 이 밸브 형성 플레이트 (9) 를 통해서 리어 하우징 (19) 과 접합됨으로써, 흡입실 (28) 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 2 축공 (23) 은 흡입실 (28) 과 연통되어 있다.
한편, 제 2 축공 (23) 의 전방측에는, 환상 홈 (24) 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홈 (24) 은, 제 2 축공 (23) 에 원환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 2 축공 (23) 의 내주면에 임하고 있다. 환상 홈 (24) 은 제 1 접속로 (26a) 와 접속하고 있는 것 외에, 제 1 접속로 (26a) 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제 2 접속로 (26b) 와 접속하고 있다. 제 1, 2 접속로 (26a, 26b) 는, 실린더 블록 (21) 및 리어 하우징 (19) 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접속로 (26a) 는, 환상 홈 (24) 과 반대측에서 토출실 (29) 과 접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접속로 (26a) 는, 환상 홈 (24) 과 토출실 (29) 을 연통시키고 있다.
또, 도 10 ∼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 (21) 에는, 제 1 연통로 (22a ∼ 22f)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연통로 (22a ∼ 22f) 는, 실린더 보어 (21a ∼ 21f) 와 제 2 축공 (23)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연통로 (22a ∼ 22f) 는, 각각 실린더 보어 (21a ∼ 21f) 와 제 2 축공 (23) 을 접속하고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형성 플레이트 (9) 는, 리어 하우징 (19) 과 실린더 블록 (2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 형성 플레이트 (9) 를 통해서, 리어 하우징 (19) 과 실린더 블록 (21) 이 접합되어 있다.
밸브 형성 플레이트 (9) 는, 밸브 플레이트 (90) 와, 토출 밸브 플레이트 (92) 와, 리테이너 플레이트 (93) 를 갖고 있다. 밸브 플레이트 (90) 에는, 실린더 보어 (21a ∼ 21f) 에 연통하는 6 개의 토출공 (911) 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 (21a ∼ 21f) 는, 각 토출공 (911) 을 통해서 토출실 (29) 에 연통한다.
토출 밸브 플레이트 (92) 는, 밸브 플레이트 (90) 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다. 토출 밸브 플레이트 (92) 에는, 탄성 변형에 의해 각 토출공 (911) 을 개폐 가능한 6 개의 토출 리드 밸브 (92a) 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플레이트 (93) 는, 토출 밸브 플레이트 (92) 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플레이트 (93) 는, 토출 리드 밸브 (92a) 의 최대 개도를 규제한다.
구동축 (3) 은, 구동축 본체 (33) 와 캡 (35) 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동 축심 (O) 방향에서 하우징 (1) 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구동축 본체 (33) 및 캡 (35) 은 철강제이며, 고압의 냉매 가스의 압축 하중에 대한 강성을 갖고 있다. 구동축 본체 (33) 는, 구동축 (3) 의 전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구동축 본체 (33) 는, 나사부 (33a) 와, 제 1 축부 (33b) 와, 제 2 축부 (33c) 를 갖고 있다. 나사부 (33a) 는, 구동축 본체 (33) 의 전단, 즉, 구동축 (3) 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다. 이 나사부 (33a) 를 통해서 구동축 (3) 은, 도시되지 않은 풀리나 전자 클러치 등과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구동축 (3) 은, 차량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얻고 있다.
제 1 축부 (33b) 는, 나사부 (33a) 의 후단과 연속해 있고,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축부 (33c) 는, 제 1 축부 (33b) 의 후단과 연속해 있고,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축부 (33c) 는, 제 1 축부 (33b) 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축부 (33c) 에는, 제 1 축로 (33d)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축로 (33d) 는, 제 2 축부 (33c) 내를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축부 (33c) 의 후단면, 요컨대 구동축 본체 (33) 의 후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또, 제 2 축부 (33c) 에는, 제 1 직경로 (33e) 가 형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직경로 (33e) 는, 제 1 축로 (33d) 와 연통하면서, 제 2 축부 (33c) 내를 구동축 (3) 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축부 (33c) 의 외주면에 개구하고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35) 은, 구동축 (3) 의 후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도 1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35) 은, 제 2 축공 (23) 과 거의 동 (同) 직경을 이루는 원통상을 이루고 있고,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35) 에는, 안내창 (35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창 (35a) 은, 캡 (35) 의 둘레 방향으로 반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캡 (35) 에 있어서, 구동 축심 (O) 을 사이에 두고 안내창 (35a) 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본체부 (35b) 로 되어 있다. 본체부 (35b) 는, 안내창 (35a) 에 대향하여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의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안내창 (35a) 에 대해, 캡 (35) 의 둘레 방향으로 반둘레보다 크게 형성해도 되고, 또, 캡 (35) 의 둘레 방향으로 반둘레보다 작게 형성해도 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35) 내에는, 제 2 축로 (35c)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축로 (35c) 는,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캡 (35) 을 전후로 관통하고 있다. 제 2 축로 (35c) 는, 제 1 직경부 (351) 와, 제 2 직경부 (352) 와, 제 3 직경부 (353)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직경부 (351) 와, 제 2 직경부 (352) 와, 제 3 직경부 (353) 는, 서로 동축을 이루고 있다.
제 1 직경부 (351) 는, 구동축 본체 (33) 의 제 2 축부 (33c) 와 거의 동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직경부 (351) 는, 캡 (35) 의 전단면에 개구하고 있고,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 2 직경부 (352) 는, 제 1 직경부 (351) 의 후단과 접속하고 있고,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 2 직경부 (352) 는,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축로 (33d) 와 거의 동 직경으로서, 제 1 직경부 (351) 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직경부 (351) 와 제 2 직경부 (352) 사이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제 1 단부 (段部) (35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직경부 (351) 와 제 2 직경부 (352) 는, 안내창 (35a) 과 연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2 직경부 (351, 352) 는, 안내창 (35a) 과 연통하는 지점에 있어서, 캡 (35) 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제 3 직경부 (353) 는, 제 2 직경부 (352) 의 후단과 접속하여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캡 (35) 의 후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제 3 직경부 (353) 는, 제 2 직경부 (352) 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직경부 (352) 와 제 3 직경부 (353) 사이에는 제 2 단부 (355)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캡 (35) 의 전단측에는, 제 1 환상 오목홈 (356) 과 제 2 환상 오목홈 (357)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환상 오목홈 (356) 에는 제 1 시일 링 (358) 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환상 오목홈 (357) 에는 제 2 시일 링 (359)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2 시일 링 (358, 359) 은, PTFE 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 캡 (35) 의 전단측에 있어서, 제 1 환상 오목홈 (356) 과 제 2 환상 오목홈 (357) 의 사이, 즉, 제 1 시일 링 (358) 과 제 2 시일 링 (359) 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는, 제 2 직경로 (35d)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직경로 (35d) 는, 제 1 직경부 (351) 와 연통하면서, 캡 (35) 내를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캡 (35) 의 외주면에 개구하고 있다.
또한, 도 3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35) 은, 제 1 규제면 (301) 과, 제 2 규제면 (302) 과, 제 1 단면 (端面) (303) 과, 제 2 단면 (304) 을 갖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규제면 (301) 은, 캡 (35) 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평면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안내창 (35a) 에 후향으로 면하고 있다. 제 2 규제면 (302) 은, 제 1 규제면 (301) 과 대향하면서 캡 (35) 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평면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안내창 (35a) 에 전향으로 면하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면 (303) 및 제 2 단면 (304) 은, 안내창 (35a) 내, 요컨대, 제 1 규제면 (301) 과 제 2 규제면 (30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단면 (303) 과 제 2 단면 (304) 은, 구동 축심 (O) 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고, 서로 평행으로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평면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단면 (303) 및 제 2 단면 (304) 은, 각각 제 1 규제면 (301) 과 제 2 규제면 (302) 에 접속하고 있다. 제 1 단면 (303) 및 제 2 단면 (304) 은, 본체부 (35b) 의 단면을 구성하고 있다.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 본체 (33) 의 제 2 축부 (33c) 는, 캡 (35) 에 압입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축로 (35c) 의 제 1 직경부 (351) 에 대해, 제 2 축부 (33c) 의 후단측이 압입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축부 (33c) 의 후단이 제 1 단부 (354) 에 맞닿음으로써, 제 1 직경부 (351) 내에서 제 2 축부 (33c) 가 위치 결정된다. 이 때, 제 1 직경로 (33e) 와 제 2 직경로 (35d) 가 정합함으로써, 서로 연통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구동축 본체 (33) 와 캡 (35) 이 일체화됨으로써, 구동축 (3)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 (3) 은, 구동축 본체 (33) 의 제 1 축부 (33b) 를 제 1 축공 (173) 에 지승시킴과 함께, 캡 (35) 을 제 2 축공 (23) 에 지승시킴으로써, 하우징 (1) 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축 (3) 은 구동 축심 (O)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축 (3) 은, 도 10 ∼ 도 12 등에 나타내는 R1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캡 (35) 이 제 2 축공 (23) 에 지승됨으로써,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 홈 (24) 과 제 2 직경로 (35d) 및 제 1 직경로 (33e) 가 대향한다. 이에 따라, 제 1, 2 직경로 (33e, 35d) 를 통해서, 환상 홈 (24) 과 제 1 축로 (33d) 가 연통한다. 그리고, 제 1, 2 시일 링 (358, 359) 에 의해, 제 2 축공 (23) 내와 환상 홈 (24) 의 사이가 봉지 (封止) 된다. 또, 캡 (35) 이 제 2 축공 (23) 에 지승됨으로써, 캡 (35) 의 후단이 제 2 축공 (23) 내로부터 돌출하면서 흡입실 (28) 내로 연장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 3 직경부 (353) 를 통해서, 제 2 축로 (35c) 가 흡입실 (28) 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보스부 (171) 내에서는, 축봉 장치 (25) 에 구동축 (3) 이 삽입 통과된다. 이에 따라, 축봉 장치 (25) 는, 하우징 (1) 의 내부와 하우징 (1) 의 외부의 사이를 봉지한다.
또, 캡 (35) 이 제 2 축공 (23) 에 지승됨으로써, 도 10 ∼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창 (35a) 및 본체부 (35b) 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대향한다. 구체적으로는, 안내창 (35a) 은, 제 1 연통로 (22a ∼ 22f) 중,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대향한다. 한편, 본체부 (35b) 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중,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대향한다. 또한, 압축실 (45a ∼ 45f)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사판 (5) 은, 구동축 본체 (33) 의 제 2 축부 (33c) 에 압입됨으로써, 구동축 본체 (33) 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 고정 사판 (5) 은, 제 2 축부 (33c) 와 제 1 축부 (33b) 의 사이에 형성된 단부 (33f) 에 맞닿음으로써, 구동축 본체 (33) 에 대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하여, 고정 사판 (5) 은, 사판실 (31) 내에 배치되어 있고, 구동축 (3) 이 회전함으로써, 사판실 (31) 내에서 구동축 (3) 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 사판 (5) 은, 구동축 (3) 에 수직인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 사판실 (31) 내에 있어서, 제 2 보스부 (172) 와 고정 사판 (5)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 (6) 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피스톤 (7) 은, 실린더 보어 (21a ∼ 21f) 내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각 피스톤 (7) 과, 밸브 형성 플레이트 (9) 에 의해, 도 10 ∼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 (21a ∼ 21f) 내에 압축실 (45a ∼ 45f)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압축실 (45a ∼ 45f) 은, 각각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연통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피스톤 (7) 에는, 걸어맞춤부 (7a) 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7a) 내에는, 반구상 (半球狀) 의 슈 (8a, 8b)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슈 (8a, 8b) 에 의해, 피스톤 (7) 은 고정 사판 (5) 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슈 (8a, 8b) 는, 고정 사판 (5) 의 회전을 피스톤 (7) 의 왕복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7) 은, 각각 실린더 보어 (21a ∼ 21f) 내를 피스톤 (7) 의 상사점과 피스톤 (7) 의 하사점의 사이에서 왕복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 (10) 는, 제 1 이동체 (11) 와 제 2 이동체 (12) 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 ∼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 (10) 는, 구동축 (3) 에 장착됨으로써, 구동축 (3) 과 함께 구동 축심 (O) 둘레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 1 이동체 (11) 에는, 구동 축심 (O) 을 사이에 두고, 회전 방향의 선행측과, 회전 방향의 후행측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 (3) 에 대한 이동체 (10) 의 장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6 및 도 10 ∼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이동체 (11) 는, 주벽부 (11a) 와 입벽부 (11b) 를 갖고 있다. 주벽부 (11a) 는, 캡 (35) 과 거의 동 직경을 이루는 대략 반원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이동체 (11) 에 있어서의 구동 축심 (O) 방향의 길이, 요컨대 제 1 이동체 (11) 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안내창 (35a) 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비해 짧게 설정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벽부 (11a) 는, 표면 (111) 과 이면 (112) 을 갖고 있다. 주벽부 (11a) 에는, 제 2 연통로 (41)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연통로 (41) 는, 표면 (111) 으로부터 이면 (112) 까지 관통하는 구멍부 (41a)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3 ∼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연통로 (41) 는, 주벽부 (11a) 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연통로 (41) 는, 후단에서 전단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주벽부 (11a) 의 둘레 방향, 요컨대, 제 1 이동체 (11) 의 회전 방향의 선행측에서 후행측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제 1 이동체 (11) 의 회전 방향으로 작게 형성된 제 1 부위 (411) 가 제 2 연통로 (41) 의 후단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 1 이동체 (11) 의 회전 방향으로 크게 형성된 제 2 부위 (412) 가 제 2 연통로 (41) 의 전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제 2 연통로 (41) 가 주벽부 (11a) 에 형성됨으로써, 제 2 연통로 (41) 는, 선단 가장자리 (61) 와, 후단 가장자리 (63) 와, 제 1 접속 가장자리 (65) 와, 제 2 접속 가장자리 (67) 를 갖고 있다. 선단 가장자리 (61) 는, 제 1 이동체 (11) 의 회전 방향의 가장 선행측에 위치하고 있고, 구동 축심 (O) 방향, 요컨대, 제 1 이동체 (11) 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단 가장자리 (63) 는, 선단 가장자리 (61) 보다 구동축 (3) 및 이동체 (10) 의 회전 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 2 연통로 (41) 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단 가장자리 (63) 는, 제 2 연통로 (41) 의 전방을 향함에 따라, 선단 가장자리 (61) 로부터 회전 방향의 후행측으로 멀어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접속 가장자리 (65) 및 제 2 접속 가장자리 (67) 는, 제 1 이동체 (11) 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선단 가장자리 (61) 와 후단 가장자리 (63) 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선단 가장자리 (61) 는, 제 1 가장자리부 (61a) 와, 제 2 가장자리부 (61b) 와, 제 3 가장자리부 (61c)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가장자리부 (61a) 는, 선단 가장자리 (61) 에 있어서의 전단측을 구성하고 있고, 제 1 접속 가장자리 (65) 와 접속하고 있다. 제 1 가장자리부 (61a) 는,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대일 때, 요컨대, 최대 유량 시에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제 3 가장자리부 (61c) 는, 선단 가장자리 (61) 에 있어서의 후단측을 구성하고 있고, 제 2 접속 가장자리 (67) 와 접속하고 있다. 제 3 가장자리부 (61c) 는,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소일 때 (이하, 최소 유량 시라고 한다) 에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가장자리부 (61b) 는, 제 1 가장자리부 (61a) 와 제 3 가장자리부 (61c)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 1 가장자리부 (61a) 와 제 3 가장자리부 (61c) 에 접속하고 있다. 제 2 가장자리부 (61b) 는,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대보다 적고, 또한, 최소보다 많을 때 (이하, 중간 유량 시라고 한다) 에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중간 유량은, 최대 유량과 최소 유량의 사이에서 일정한 폭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제 2 가장자리부 (61b) 는, 제 1 가장자리부 (61a) 및 제 3 가장자리부 (61c) 보다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최대 유량 시, 최소 유량 시 및 중간 유량 시에 있어서의 제 1 ∼ 3 가장자리부 (61a ∼ 61c) 와 제 1 연통로 (22a ∼ 22f) 의 대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최소 유량 시부터 중간 유량 시까지 제 2 가장자리부 (61b) 를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대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선단 가장자리 (61) 를 제 1 가장자리부 (61a) 와 제 2 가장자리부 (61b) 로 구성해도 된다.
여기서, 제 1 가장자리부 (61a) 는, 제 2 가장자리부 (61b) 및 제 3 가장자리부 (61c) 와 비교해서, 구동축 (3) 및 이동체 (10) 의 회전 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 1 가장자리부 (61a) 는, 제 2 가장자리부 (61b) 를 향하여 회전 방향의 선행측으로 만곡하는 만곡 부위 (611) 를 갖고 있다. 제 1 가장자리부 (61a) 는, 만곡 부위 (611) 를 통해서 제 2 가장자리부 (61b) 와 접속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제 1 가장자리부 (61a) 와 제 2 가장자리부 (61b) 는, 회전 방향으로 서서히 변화하면서 연속해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 부위 (611) 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의 형상을 따른 곡률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가장자리부 (61b) 와 제 3 가장자리부 (61c) 에는, 회전 방향의 위치에 차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도 6,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벽부 (11b) 는, 주벽부 (11a) 의 이면 (112) 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이동체 (11) 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입벽부 (11b) 는,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직교하여 상하로 연장되는 판상을 이루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벽부 (11b) 는 단면 (113) 을 갖고 있다. 단면 (113) 은, 주벽부 (11a) 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입벽부 (11b) 에는, 반원상을 이루는 절결부 (114)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 (114) 의 형상은 적절히 설계 가능한 것 외에, 절결부 (114) 의 형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 도 13 ∼ 도 15 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입벽부 (11b) 및 절결부 (114)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후술하는 도 16 ∼ 도 18 및 도 20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3 및 도 7 ∼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이동체 (12) 는, 제 1 축로 (33d) 및 제 2 축로 (35c) 의 제 2 직경부 (352) 와 거의 동 직경을 이루는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이동체 (12) 의 후단에는, 평면상을 이루는 걸어맞춤부 (12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이동체 (12) 에는, 연락로 (12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락로 (120) 는, 제 2 이동체 (12) 내를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이동체 (12) 의 후단에 개구하고 있다. 또, 연락로 (120) 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부 (12a) 측은, 제 2 이동체 (12) 의 외주면에 개구하고 있다. 여기서, 연락로 (120) 는, 제 2 이동체 (12) 내를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지 않고, 제 2 이동체 (12) 의 전단에는 개구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제 2 이동체 (12) 에는, 평면상을 이루는 제 1 면 (121) 과 제 2 면 (122)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면 (121) 은, 제 2 이동체 (12) 의 전단면을 구성하고 있고, 전방에 면해 있다. 제 2 면 (122) 은, 연락로 (120) 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고, 후방에 면해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 (12a) 는, 입벽부 (11b) 와 걸어맞춤 가능하면, 형상을 적절히 설계 가능하다.
또, 제 2 이동체 (12) 에 있어서, 제 1 면 (121) 과 제 2 면 (122) 사이, 요컨대, 연락로 (120) 보다 전방측이 되는 지점에는, 링 홈 (12b) 이 형성되어 있다. 링 홈 (12b) 에는, O 링 (37)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이동체 (12) 는, 걸어맞춤부 (12a) 를 안내창 (35a) 측을 향하게 한 상태, 요컨대, 연락로 (120) 를 안내창 (35a) 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캡 (35) 의 제 2 직경부 (35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캡 (35) 내에 있어서, 제 2 이동체 (12) 는, 전단측을 제 1 축로 (33d) 내에 진입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축로 (33d) 내, 즉 구동축 (3) 내에는, 구동축 본체 (33) 와 제 2 이동체 (12) 에 의해 구획된 제어압실 (27) 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압실 (27) 은, 제 1 직경로 (33e) 및 제 2 직경로 (35d) 를 통해서, 환상 홈 (24) 과 연통되어 있다. 이들의 제 1 접속로 (26a), 환상 홈 (24) 및 제 1, 2 직경로 (33e, 35d) 에 의해, 급기 통로 (13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급기 통로 (13a) 에 의해, 토출실 (29) 과 제어압실 (27) 이 연통되어 있다. 또, 제어압실 (27) 과 제 2 직경부 (352) 사이는, O 링 (37) 에 의해 봉지되어 있다.
여기서, 환상 홈 (24) 은 제 2 축공 (23) 에 원환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축 (3) 이 회전해도, 환상 홈 (24) 과, 제 2 직경로 (35d) 및 제 1 직경로 (33e) 는, 항상 대향한다. 이 때문에, 구동축 (3) 이 회전해도, 환상 홈 (24) 과 제어압실 (27) 은, 항상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이동체 (11) 는, 입벽부 (11b) 를 제 2 이동체 (12) 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안내창 (35a)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이동체 (11) 가 캡 (35) 에 장착되어 있고, 주벽부 (11a) 는, 구동 축심 (O) 을 사이에 두고 본체부 (35b) 의 반대측에 있어서, 제 2 축공 (23) 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주벽부 (11a) 는, 캡 (35) 과 거의 동 직경을 이루는 반원의 통 형상임으로써, 제 1 이동체 (11) 는, 안내창 (35a) 내에 형성됨으로써, 도 10 ∼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35b) 와 함께 제 2 축공 (23) 과 거의 동 직경을 이루는 원통체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제 1 이동체 (11) 는, 본체부 (35b) 와 함께 제 2 축공 (23) 과 정합한다.
또한,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이동체 (11) 는, 안내창 (35a) 내에 형성된 상태에서, 입벽부 (11b) 를 제 2 이동체 (12) 의 걸어맞춤부 (12a) 에 맞닿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입벽부 (11b) 와 걸어맞춤부 (12a) 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제 1 이동체 (11) 와 제 2 이동체 (12) 가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캡 (35) 에 이동체 (10) 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연통로 (41) 는, 연락로 (120) 와 대향하면서, 연락로 (120) 와 연통한다.
또, 캡 (35) 내, 즉 구동축 (3) 내에는, 제 2 직경부 (352), 제 3 직경부 (353) 및 절결부 (114) 에 의해, 흡입 통로 (39)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 통로 (39) 를 통해서, 연락로 (120) 는 흡입실 (28) 과 연통되어 있다. 이에 따라, 흡입 통로 (39) 및 연락로 (120) 는, 흡입 압력으로 되어 있다. 또, 연락로 (120) 는, 흡입 통로 (39) 를 통해서 제 2 연통로 (41) 를 흡입실 (28) 에 연통시키고 있다. 한편, 흡입 통로 (39) 는, 제 2 이동체 (12) 에 의해, 제어압실 (27) 과 구획되어 있다. 이에 따라, 흡입 통로 (39) 및 연락로 (120) 와, 제어압실 (27) 은 비연통으로 되어 있다.
이 압축기에서는, 구동축 (3) 이 구동 축심 (O)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제 1 단면 (303) 을 통해서 제 1 이동체 (11) 에 구동축 (3) 의 회전이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 1 이동체 (11) 를 포함하여, 이동체 (10) 는, 구동축 (3) 과 함께 구동 축심 (O)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입벽부 (11b) 와 걸어맞춤부 (12a) 가 걸어맞춤으로써, 제 2 이동체 (12) 는, 제 1 축로 (33d) 내 및 제 2 직경부 (352) 내에 있어서, 제 1 이동체 (11) 로부터 독립하여 구동 축심 (O) 둘레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또, 캡 (35) 내에 있어서, 제 1 이동체 (11) 의 입벽부 (11b) 와, 제 2 이동체 (12) 의 제 2 면 (122) 에는, 흡입 압력이 작용한다. 한편, 제 2 이동체 (12) 의 제 1 면 (121) 에는, 제어 압력이 작용한다. 또한, 제어 압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입벽부 (11b) 와 걸어맞춤부 (12a) 가 걸어맞춤으로써, 제 1 이동체 (11) 와 제 2 이동체 (12) 가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 1 이동체 (11) 는, 안내창 (35a) 내를 구동 축심 (O) 방향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 2 이동체 (12) 는, 제 1 축로 (33d) 및 제 2 직경부 (352) 내를 슬라이딩함으로써,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동체 (10) 는, 제 2 축공 (23) 내에 있어서, 구동축 (3) 에 대해 구동 축심 (O) 방향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2 연통로 (41) 는, 구동축 (3) 이 회전함으로써, 도 10 ∼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간헐적으로 연통한다. 그리고, 제 2 연통로 (41) 는, 제 1 이동체 (11) 의 안내창 (35a) 내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 구동축 (3) 의 1 회전당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연통하는 구동 축심 (O) 둘레의 연통 각도가 변화한다. 이하에서는, 구동축 (3) 의 1 회전당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가 연통하는 구동 축심 (O) 둘레의 연통 각도에 대해, 간단히 연통 각도라고 기재한다. 또한, 도 4 ∼ 도 9 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위치보다, 구동축 (3) 및 고정 사판 (5) 이 회전한 상태에 있어서의 캡 (35) 이나 제 1, 2 이동체 (11, 12) 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 8 ∼ 도 12 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 2 연통로 (41) 의 형상 등을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35) 내에 있어서, 제 2 단부 (355) 와 이동체 (10) 사이에는, 탄성 지지 스프링 (43) 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지지 스프링 (43) 은, 이동체 (10) 를 캡 (35) 의 전방을 향해서 탄성 지지하고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밸브 (13) 는, 리어 하우징 (19) 에 형성되어 있다. 제어 밸브 (13) 는, 제 2 접속로 (26b) 와 접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밸브 (13) 는, 제 2 접속로 (26b) 를 통해서, 환상 홈 (24), 나아가서는, 제어압실 (27) 과 접속하고 있다. 또, 제어 밸브 (13) 는, 제 3 접속로 (26c) 와 접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밸브 (13) 는, 제 3 접속로 (26c) 를 통해서, 흡입실 (28) 과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어 밸브 (13) 를 통해서 제 2 접속로 (26b) 와 제 3 접속로 (26c) 가 접속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제 2 접속로 (26b) 와 제 3 접속로 (26c) 는, 추기 통로 (13b) 를 형성하고 있다. 요컨대, 이 압축기에서는, 추기 통로 (13b) 및 제어 밸브 (13) 에 의해, 제어압실 (27) 과 흡입실 (28) 이 접속하고 있다. 또, 제어 밸브 (13) 는, 도시되지 않은 검지 통로에 의해서도 흡입실 (28) 과 접속하고 있다.
이 압축기에서는, 급기 통로 (13a) 를 통해서, 토출실 (29) 내의 냉매 가스의 일부가 제어압실 (27) 에 유통한다. 또, 추기 통로 (13b) 를 통해서, 제어압실 (27) 내의 냉매 가스가 흡입실 (28) 에 유통한다. 그리고, 제어 밸브 (13) 는, 검지 통로를 통해서 흡입실 (28) 내의 흡입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밸브 개도가 조정된다. 이에 따라, 제어 밸브 (13) 는, 추기 통로 (13b) 의 개도를 조정함으로써, 추기 통로 (13b) 를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밸브 (13) 는, 밸브 개도를 크게 함으로써, 추기 통로 (13b) 를 거쳐 제어압실 (27) 로부터 흡입실 (28) 에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증대시킨다. 한편, 제어 밸브 (13) 는, 밸브 개도를 작게 함으로써, 추기 통로 (13b) 를 거쳐 제어압실 (27) 로부터 흡입실 (28) 에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어 밸브 (13) 는, 토출실 (29) 로부터 제어압실 (27) 에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에 대해, 제어압실 (27) 로부터 흡입실 (28) 에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제어압실 (27) 의 냉매 가스의 압력인 제어 압력을 제어한다. 또한, 제 3 접속로 (26c) 가 흡입실 (28) 대신에 사판실 (31) 과 접속함으로써, 제 3 접속로 (26c) 를 통해서 제어 밸브 (13) 와 사판실 (31) 을 접속하는 구성, 즉, 추기 통로 (13b) 및 제어 밸브 (13) 에 의해, 제어압실 (27) 과 사판실 (31) 을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압축기에서는, 구동축 (3) 이 구동 축심 (O) 둘레에서 회전함으로써, 사판실 (31) 내에서 고정 사판 (5) 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 (7) 이 실린더 보어 (21a ∼ 21f) 내를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왕복동한다. 이하, 실린더 보어 (21a ∼ 21f) 내에 있어서의 피스톤 (7) 의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으로의 이동을 왕로라고 한다. 또, 실린더 보어 (21a ∼ 21f) 내에 있어서의 피스톤 (7) 의 하사점으로부터 상사점으로의 이동을 귀로라고 한다. 그리고, 피스톤 (7) 이 왕로에 있을 때, 압축실 (45a ∼ 45f) 에서는, 내부에 잔류하는 냉매 가스 (이하, 잔류 가스라고 한다) 가 재팽창하는 재팽창 행정이 되고, 또한,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가 연통함으로써, 냉매 가스를 흡입하는 흡입 행정으로 이행한다. 한편, 피스톤 (7) 이 귀로에 있을 때, 압축실 (45a ∼ 45f) 에서는, 내부의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 행정이 실시되고, 그 후, 압축된 냉매 가스를 토출실 (29) 에 토출하는 토출 행정으로 이행한다. 또한, 피스톤 (7) 이 귀로에 있을 때,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는 비연통으로 된다. 또, 토출 행정에 의해 토출실 (29) 에 토출된 냉매 가스는, 토출구 (29a) 를 거쳐 응축기에 토출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압축기에 있어서, 구동축 (3) 이 도 1, 도 2 및 도 10 ∼ 도 12 에 나타내는 회전 각도에 있을 때, 압축실 (45a ∼ 45c) 에서는, 피스톤 (7) 이 왕로가 된다. 요컨대, 압축실 (45a) 에서는 피스톤 (7) 이 왕로의 초기 단계가 되고, 압축실 (45b) 에서는 피스톤 (7) 이 왕로의 초기 단계보다 진행된 중기 단계가 되고, 압축실 (45c) 에서는 피스톤 (7) 이 왕로의 중기 단계보다 진행된 후기 단계가 된다. 한편, 압축실 (45d ∼ 45f) 에서는, 피스톤 (7) 이 귀로가 된다. 요컨대, 압축실 (45d) 에서는 피스톤 (7) 이 귀로의 초기 단계가 되고, 압축 행정의 초기 단계가 된다. 또, 압축실 (45e) 에서는 피스톤 (7) 이 귀로의 중기 단계가 되고, 압축 행정의 중기 단계가 된다. 그리고, 압축실 (45f) 에서는 피스톤 (7) 이 귀로의 후기 단계가 되고, 압축 행정의 후기 단계로부터 토출 행정으로 이행한다. 또한, 도 10 ∼ 도 12 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피스톤 (7)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제 1 이동체 (11) 가 안내창 (35a) 내에 형성됨으로써, 제 1 이동체 (11) 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중, 피스톤 (7) 이 왕로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대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축 (3) 이 도 1, 도 2 및 도 10 ∼ 도 12 에 나타내는 회전 각도에 있을 때, 제 1 이동체 (11) 는, 압축실 (45a)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와, 압축실 (45b)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b) 와, 압축실 (45c)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c) 에 대향한다. 그리고, 구동축 (3) 이 도 10 등에 나타내는 상태보다 더 R1 방향으로 회전하면, 압축실 (45f) 에 있어서 피스톤 (7) 이 왕로가 되고, 압축실 (45c) 에 있어서 피스톤 (7) 이 귀로가 되기 때문에, 제 1 이동체 (11) 는, 압축실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f) 와, 압축실 (45a)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와, 압축실 (45b)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b) 에 대향한다. 이렇게 하여, 구동축 (3) 이 회전함으로써, 제 1 이동체 (11) 는, 피스톤 (7) 이 왕로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순차 대향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 (7) 이 왕로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은, 재팽창 행정에서 흡입 행정으로 이행한다. 이에 따라, 흡입 행정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는, 흡입 통로 (39), 연락로 (120), 제 2 연통로 (41) 및 제 1 연통로 (22a ∼ 22f) 를 통해서, 흡입실 (28) 내의 냉매 가스가 흡입된다. 요컨대, 제 1 이동체 (11) 는,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순차 대향한다.
한편, 캡 (35) 의 본체부 (35b) 는, 구동 축심 (O) 을 사이에 두고 안내창 (35a) 의 반대측, 즉, 제 1 이동체 (11) 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체부 (35b) 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중, 피스톤 (7) 이 귀로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대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축 (3) 이 도 1, 도 2 및 도 10 ∼ 도 12 에 나타내는 회전 각도에 있을 때, 본체부 (35b) 는, 압축실 (45d)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d) 와, 압축실 (45e)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e) 와, 압축실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f) 에 대향한다. 이렇게 하여, 본체부 (35b) 는, 구동축 (3) 이 회전함으로써, 피스톤 (7) 이 귀로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즉,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순차 대향한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이동체 (10) 를 구동축 (3) 에 대해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구동축 (3) 의 1 회전당 흡입실 (28) 로부터 압축실 (45a ∼ 45f) 에 흡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제어 밸브 (13) 가 밸브 개도를 크게 하고, 추기 통로 (13b) 의 개도를 크게 함으로써, 제어압실 (27) 에서 흡입실 (28) 로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증대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어 밸브 (13) 는, 제어압실 (27) 의 제어 압력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 압력과 흡입 압력의 차압인 가변 차압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이동체 (10) 에서는, 제 2 이동체 (12) 가 탄성 지지 스프링 (43) 의 탄성력에 의해, 도 9 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제 1 축로 (33d) 내 및 제 2 직경부 (352) 내를 구동 축심 (O) 방향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 제 1 이동체 (11) 도 탄성 지지 스프링 (43) 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창 (35a) 내를 구동 축심 (O) 방향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제 2 연통로 (41) 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에 대해 전방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이 압축기에서는, 연통 각도가 서서히 작아진다.
그리고, 제어 밸브 (13) 가 제어압실 (27) 의 제어 압력을 더욱 감소시킴으로써, 가변 차압이 최소가 된다. 이에 따라,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 (10) 에서는, 제 1 이동체 (11) 가 안내창 (35a) 내를 가장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어, 제 1 규제면 (301) 과 맞닿는다. 이에 따라, 안내창 (35a) 내에 있어서의 제 1 이동체 (11) 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제 1 이동체 (11) 를 통해서, 제 1 축로 (33d) 내 및 제 2 직경부 (352) 내에 있어서의 제 2 이동체 (12) 의 전방으로의 이동도 규제된다. 이와 같이, 제 1 이동체 (11) 가 안내창 (35a) 내를 가장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2 연통로 (41) 에서는, 제 1 부위 (411) 에 있어서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연통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연통 각도가 최소가 된다.
이 때문에, 구동축 (3) 이 도 10 에 나타내는 회전 각도에 있을 때, 제 1 이동체 (11) 는, 제 1 연통로 (22a) 와 제 2 연통로 (41) 를 연통시킨다. 그리고, 제 1 이동체 (11) 는, 주벽부 (11a) 에 의해, 제 1 연통로 (22b, 22c) 와 제 2 연통로 (41) 를 비연통으로 한다. 요컨대, 제 1 이동체 (11) 는, 피스톤 (7) 이 왕로의 초기 단계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만, 제 2 연통로 (41) 와 연통시킨다. 한편, 캡 (35) 의 본체부 (35b) 는, 제 1 연통로 (22d ∼ 22f) 와 제 2 연통로 (41) 를 비연통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본체부 (35b) 는,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를 비연통으로 한다.
압축실 (45a) 및 압축실 (45a)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를 예로 설명하면, 가변 차압이 최소, 나아가서는 연통 각도가 최소인 상태에서는, 제 1 이동체 (11) 가 안내창 (35a) 내를 가장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연통로 (41) 에서는, 선단 가장자리 (61) 의 제 3 가장자리부 (61c) 가 제 1 연통로 (22a) 와 대향한다. 그리고, 구동축 (3) 과 함께 제 1 이동체 (11) 가 회전함으로써, 제 1 연통로 (22a) 는, 제 3 가장자리부 (61c) 보다 회전 방향의 후행측, 요컨대 도 13 의 지면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연통로 (22a) 는, 후단 가장자리 (63) 에 대향할 때까지의 동안, 제 2 연통로 (41) 와 연통한다. 이 때문에, 압축실 (45a) 은, 재팽창 행정에서 흡입 행정으로 이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연통로 (22a) 가 후단 가장자리 (63) 에 대향함으로써, 흡입 행정이 종료한다.
이와 같이, 연통 각도가 최소가 됨으로써, 압축실 (45a ∼ 45f) 에는, 피스톤 (7) 이 왕로의 초기 단계에 있을 때만, 흡입 통로 (39), 연락로 (120), 제 2 연통로 (41) 및 제 1 연통로 (22a ∼ 22f) 를 통해서, 흡입실 (28) 로부터 냉매 가스가 흡입된다. 이 때문에, 흡입실 (28) 로부터 압축실 (45a ∼ 45f) 에 흡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가장 적어진다. 이렇게 하여, 이 압축기에서는,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가 최소 유량이 된다.
한편,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증대시키는 경우에는, 제어 밸브 (13) 가 밸브 개도를 작게 하고, 추기 통로 (13b) 의 개도를 작게 함으로써, 제어압실 (27) 로부터 흡입실 (28) 에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어 밸브 (13) 는, 제어압실 (27) 의 제어 압력을 증대시킨다. 이에 따라, 가변 차압이 최소보다 커진다.
이 때문에, 이동체 (10) 에서는, 제 2 이동체 (12) 가 탄성 지지 스프링 (43) 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도 8 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제 1 축로 (33d) 내 및 제 2 직경부 (352) 내를 구동 축심 (O) 방향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제 1 이동체 (11) 도 탄성 지지 스프링 (43) 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안내창 (35a) 내를 구동 축심 (O) 방향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제 2 연통로 (41) 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에 대해 후방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이 압축기에서는, 연통 각도가 최소보다 크고, 최대보다 작아진다.
이 때문에, 구동축 (3) 이 도 11 에 나타내는 회전 각도에 있을 때, 제 1 이동체 (11) 는, 제 1 연통로 (22a, 22b) 와 제 2 연통로 (41) 를 연통시킨다. 그리고, 제 1 이동체 (11) 는, 주벽부 (11a) 에 의해, 제 1 연통로 (22c) 와 제 2 연통로 (41) 를 비연통으로 한다. 요컨대, 제 1 이동체 (11) 는, 피스톤 (7) 이 왕로의 초기 단계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피스톤 (7) 이 왕로의 중기 단계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와 연통시킨다. 또, 이 때도, 제 1 연통로 (22d ∼ 22f) 와, 제 2 연통로 (41) 를 비연통으로 함으로써,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를 비연통으로 한다.
압축실 (45a) 및 제 1 연통로 (22a) 를 예로 설명하면, 가변 차압이 최소보다 커져, 도 14 의 흑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이동체 (11) 가 안내창 (35a) 내를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2 연통로 (41) 에서는, 선단 가장자리 (61) 의 제 2 가장자리부 (61b) 가 제 1 연통로 (22a) 와 대향한다. 그리고, 구동축 (3) 과 함께 제 1 이동체 (11) 가 회전함으로써, 제 1 연통로 (22a) 는 제 2 가장자리부 (61b) 보다 회전 방향의 후행측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연통로 (22a) 는, 후단 가장자리 (63) 에 대향할 때까지의 동안, 제 2 연통로 (41) 와 연통한다. 여기서, 제 2 가장자리부 (61b) 가 제 1 연통로 (22a) 와 대향할 때에는, 제 3 가장자리부 (61c) 가 제 1 연통로 (22a) 와 대향할 때에 비해, 후단 가장자리 (63) 가 회전 방향의 보다 후행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 2 가장자리부 (61b) 가 제 1 연통로 (22a) 와 대향할 때에는, 연통 각도가 최소보다 커진다.
이와 같이, 연통 각도가 최소보다 커짐으로써, 압축실 (45a ∼ 45f) 에는, 피스톤 (7) 이 왕로의 초기 단계부터 중기 단계에 있는 동안에 있어서, 흡입 통로 (39), 연락로 (120), 제 2 연통로 (41) 및 제 1 연통로 (22a ∼ 22f) 를 통해서, 흡입실 (28) 로부터 냉매 가스가 흡입된다. 이 때문에, 흡입실 (28) 로부터 압축실 (45a ∼ 45f) 에 흡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소보다 많아진다. 이렇게 하여, 이 압축기에서는,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가 중간 유량이 된다. 여기서,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가장자리부 (61b) 와 제 3 가장자리부 (61c) 사이에는, 회전 방향의 위치에 차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최소 유량 시와 중간 유량 시에 있어서, 압축실 (45a ∼ 45f) 이 재팽창 행정에서 흡입 행정으로 이행하는 타이밍, 요컨대, 왕로에 있는 피스톤 (7) 의 위치는 동일하다.
그리고, 제어 밸브 (13) 가 제어압실 (27) 의 제어 압력을 더욱 증대시킴으로써, 가변 차압이 최대가 된다. 이 때문에,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 (10) 에서는, 제 1 이동체 (11) 가 안내창 (35a) 내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어, 제 2 규제면 (302) 과 맞닿는다. 이에 따라, 안내창 (35a) 내에 있어서의 제 1 이동체 (11) 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제 1 이동체 (11) 를 통해서, 제 1 축로 (33d) 내 및 제 2 직경부 (352) 내에 있어서의 제 2 이동체 (12) 의 후방으로의 이동도 규제된다. 이와 같이, 제 1 이동체 (11) 가 안내창 (35a) 내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2 연통로 (41) 에서는, 제 2 부위 (412) 에 있어서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연통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연통 각도가 최대가 된다.
이 때문에, 구동축 (3) 이 도 12 에 나타내는 회전 각도에 있을 때, 제 1 이동체 (11) 는, 제 1 연통로 (22a ∼ 22c) 와 제 2 연통로 (41) 를 연통시킨다. 즉, 제 1 이동체 (11) 는, 피스톤 (7) 이 왕로의 초기 단계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피스톤 (7) 이 왕로의 중기 단계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피스톤 (7) 이 왕로의 후기 단계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와 연통시킨다. 또, 이 때도, 제 1 연통로 (22d ∼ 22f) 와, 제 2 연통로 (41) 를 비연통으로 함으로써,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를 비연통으로 한다.
압축실 (45a) 및 압축실 (45a)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를 예로 설명하면, 가변 차압이 최대가 되어, 도 15 의 흑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이동체 (11) 가 안내창 (35a) 내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2 연통로 (41) 에서는, 선단 가장자리 (61) 의 제 1 가장자리부 (61a) 가 제 1 연통로 (22a) 와 대향한다. 그리고, 구동축 (3) 과 함께 제 1 이동체 (11) 가 회전함으로써, 제 1 연통로 (22a) 가 제 1 가장자리부 (61a) 보다 회전 방향의 후행측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연통로 (22a) 는, 후단 가장자리 (63) 에 대향할 때까지의 동안, 제 2 연통로 (41) 와 연통한다. 여기서, 제 1 가장자리부 (61a) 가 제 1 연통로 (22a) 와 대향할 때에는, 제 2 가장자리부 (61b) 나 제 3 가장자리부 (61c) 가 제 1 연통로 (22a) 와 대향할 때에 비해, 후단 가장자리 (63) 가 회전 방향의 보다 후행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 1 가장자리부 (61a) 가 제 1 연통로 (22a) 와 대향할 때에는, 연통 각도가 최대가 된다.
이렇게 하여, 연통 각도가 최대일 때에는, 압축실 (45a ∼ 45f) 에는, 피스톤 (7) 이 왕로의 초기 단계부터 후기 단계에 있는 동안에 있어서, 흡입 통로 (39), 연락로 (120), 제 2 연통로 (41) 및 제 1 연통로 (22a ∼ 22f) 를 통해서, 흡입실 (28) 로부터 냉매 가스가 흡입된다. 이 때문에, 흡입실 (28) 로부터 압축실 (45a ∼ 45f) 에 흡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가장 많아진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대 유량이 된다.
여기서, 제 1 가장자리부 (61a) 는, 제 2 가장자리부 (61b) 및 제 3 가장자리부 (61c) 에 비해, 회전 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연통로 (22a) 를 예로 하면, 최소 유량 시나 중간 유량 시에 있어서, 제 2 연통로 (41) 가 제 1 연통로 (22a) 에 연통하기 시작하는 구동축 (3) 의 회전 각도에서는, 최대 유량 시에는, 아직 제 1 연통로 (22a) 가 제 1 가장자리부 (61a) 와 대향하고 있지 않고, 제 2 연통로 (41) 가 제 1 연통로 (22a) 와 비연통으로 된다. 요컨대, 최대 유량 시에서는, 최소 유량 시나 중간 유량 시에 있어서, 제 2 연통로 (41) 가 제 1 연통로 (22a) 에 연통하기 시작하는 구동축 (3) 의 회전 각도보다, 더욱 구동축 (3) 이 R1 방향으로 회전할 필요가 있다. 이 결과, 최대 유량 시에서는, 최소 유량 시 및 중간 유량 시에 비해, 압축실 (45a ∼ 45f) 이 재팽창 행정에서 흡입 행정으로 이행하는 타이밍이 늦어진다. 요컨대, 최대 유량 시에서는, 최소 유량 시 및 중간 유량 시에 비해, 피스톤 (7) 이 왕로를 보다 진행한 시점에서, 압축실 (45a ∼ 45f) 이 재팽창 행정에서 흡입 행정으로 이행한다. 바꾸어 말하면, 최대 유량 시에서는, 피스톤 (7) 이 왕로의 중간 단계에 가까워졌을 때에, 압축실 (45a ∼ 45f) 이 재팽창 행정에서 흡입 행정으로 이행함으로써, 구동축 (3) 의 1 회전당에 있어서의 재팽창 행정의 기간이 길어져, 흡입 행정의 개시가 늦어진다. 또한, 최대 유량 시에서는, 이와 같이 흡입 행정의 개시가 늦어지기는 하지만, 상기와 같이, 피스톤 (7) 이 왕로의 후기 단계에 있는 동안에도 흡입실 (28) 로부터 냉매 가스가 흡입되기 때문에, 흡입실 (28) 로부터 압축실 (45a ∼ 45f) 에 흡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은 가장 많아진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 최대 유량 시에는, 최소 유량 시 및 중간 유량 시에 비해,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압력이 높아져 있다. 이 때문에, 최대 유량 시에는, 최소 유량 시 및 중간 유량 시에 비해, 토출 행정에서 토출실 (29) 에 토출되지 않고 압축실 (45a ∼ 45f) 내에 잔류하는 잔류 가스의 압력도 높아져 있다.
이 점에서, 이 압축기에서는, 최대 유량 시에는, 최소 유량 시 및 중간 유량 시에 비해,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가 연통하는 타이밍이 늦어짐으로써, 압축실 (45a ∼ 45f) 이 재팽창 행정에서 흡입 행정으로 이행하는 타이밍이 늦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최대 유량 시에 잔류 가스를 재팽창 행정에서 충분히 감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가 연통했을 때, 요컨대, 흡입 행정의 개시 시에, 압축실 (45a ∼ 45f) 내의 잔류 가스가 제 2 연통로 (41), 나아가서는 흡입실 (28) 에 역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가 연통해도, 압축실 (45a ∼ 45f) 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저하되기 어려워져 있다. 이렇게 하여, 피스톤 (7) 은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을 향하여 이동하는 데 있어서, 재팽창 행정 시의 압축실 (45a ∼ 45f) 내의 압력, 즉 잔류 가스의 압력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최대 유량 시에 피스톤 (7) 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을 향하여 이동하기 쉽기 때문에, 구동축 (3) 의 회전 구동력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압축실 (45a ∼ 45f) 내에 잔류하는 잔류 가스가 제 2 연통로 (41) 에 역류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최대 유량 시에 있어서의 흡입 맥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최소 유량 시 및 중간 유량 시에서는, 최대 유량 시에 비해,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압력이 낮고, 그 만큼, 압축실 (45a ∼ 45f) 내에 잔류하는 잔류 가스의 압력도 낮아져 있다. 이 점에서, 이 압축기에서는, 최소 유량 시 및 중간 유량 시에서는, 최대 유량 시에 비해, 압축실 (45a ∼ 45f) 이 재팽창 행정에서 흡입 행정으로 이행하는 타이밍이 빨라진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최소 유량 시 및 중간 유량 시에, 재팽창 행정에 의해, 압축실 (45a ∼ 45f) 내가 흡입 압력, 즉 흡입실 (28) 의 압력보다 저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최소 유량 시 및 중간 유량 시에 있어서도, 피스톤 (7) 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을 향하여 이동하기 쉽기 때문에, 구동축 (3) 의 회전 구동력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압축실 (45a ∼ 45f) 내가 흡입 압력보다 저압이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 압축기에서는, 최소 유량 시 및 중간 유량 시에 있어서의 흡입 맥동도 억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의 압축기에 의하면, 작동 시에 있어서의 구동축 (3) 의 회전 구동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흡입 맥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과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를 통해서, 압축 행정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 가스의 일부가 제 2 축공 (23) 내를 향하여 유통한다. 이 점에서, 이 압축기에서는, 이동체 (10) 가 제 1 이동체 (11) 와 제 2 이동체 (12) 를 갖고 있고, 캡 (35) 에는, 제 1 이동체 (11) 를 배치하는 안내창 (35a) 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제 2 축공 (23) 내에 있어서, 캡 (35) 의 본체부 (35b) 가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대향한다. 이렇게 하여, 본체부 (35b) 는,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를 비연통으로 한다. 여기서, 캡 (35) 은 철강제이기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캡 (35), 요컨대 구동축 (3) 은, 압축 행정이나 토출 행정에 있는 압축실 (45a ∼ 45f) 로부터의 압축 하중을 적합하게 받아 들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이동체 (11), 나아가서는 이동체 (10) 에는 압축 하중이 작용하기 어려워짐으로써, 이동체 (10) 는 구동 축심 (O) 방향으로 이동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구동축 (3) 의 1 회전당 각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화시키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제어 압력에 대한 수압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서, 제 2 이동체 (12) 를 과도하게 대형화시킬 필요도 없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제 2 연통로 (41) 의 선단 가장자리 (61) 에 있어서, 제 1 가장자리부 (61a) 는, 만곡 부위 (611) 를 통해서 제 2 가장자리부 (61b) 와 접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가장자리부 (61a) 와 제 2 가장자리부 (61b) 는, 회전 방향으로 서서히 변화하면서 연속해 있다. 이 때문에, 선단 가장자리 (61) 를 포함하여 제 2 연통로 (41) 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게 하면서, 최대 유량 시에 있어서의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과, 최소 유량 시 및 중간 유량 시에 있어서의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을 적합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중간 유량 시에서 최대 유량 시로 변화하는 과도기에는, 만곡 부위 (611) 에 의해,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이 서서히 느려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만곡 부위 (611) 는, 제 1 연통로 (22a ∼ 22f) 를 따른 곡률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만곡 부위 (611) 가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적합하게 대향한다. 이에 따라, 만곡 부위 (611) 를 통해서, 제 2 연통로 (41) 로부터 제 1 연통로 (22a ∼ 22f) 로 냉매 가스가 새는 것, 요컨대, 만곡 부위 (611) 에 있어서,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이 빨라지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추기 통로 (13b) 를 거쳐 제어압실 (27) 로부터 흡입실 (28) 에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제어 밸브 (13) 에 의해 변화시키는 빼기 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데 있어서 사용하는 토출실 (29) 내의 냉매 가스의 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압축기의 효율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예 2)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의 압축기에서는, 제 2 연통로 (41) 의 선단 가장자리 (61) 에 있어서, 제 1 가장자리부 (61a), 제 2 가장자리부 (61b) 및 제 3 가장자리부 (61c) 가 회전 방향으로 서서히 변화하면서 연속해 있다. 이에 따라, 선단 가장자리 (61) 는, 후단에서 전단을 향함에 따라, 회전 방향의 선행측에서 후행측으로 서서히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압축기에서는, 최소 유량 시부터, 중간 유량 시를 거쳐 최대 유량 시까지 변화하는 동안,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이 서서히 늦어지도록 변화한다. 이렇게 하여, 이 압축기에 있어서도, 실시예 1 의 압축기와 동일한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예 3)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의 압축기에서는, 제 2 연통로 (41) 의 선단 가장자리 (61) 에 있어서, 제 1 가장자리부 (61a) 와 제 2 가장자리부 (61b) 는, 단차 (612) 를 갖고 연속해 있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 있어서, 선단 가장자리 (61) 는, 단차 (612) 의 부분에서 제 2 가장자리부 (61b) 로부터 제 1 가장자리부 (61a) 로 한번에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와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서는, 중간 유량 시에서 최대 유량 시로 변화할 때, 단차 (612) 에 의해,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이 급격하게 변화한다. 요컨대, 이 압축기에서는, 중간 유량 시에서 최대 유량 시로 변화했을 때에,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이 단숨에 늦어지도록 변화하게 된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의 다른 작용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와 동일하다.
(실시예 4)
도 18 및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 의 압축기에서는, 제 2 연통로 (41) 가 구멍부 (41a) 와, 오목부 (41b)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오목부 (41b) 는, 표면 (111) 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41b) 는, 구멍부 (41a) 에 임하면서, 구멍부 (41a) 와 연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제 2 연통로 (41) 의 선단 가장자리 (61) 가 구멍부 (41a) 와 오목부 (41b)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단 가장자리 (61) 에 있어서, 제 2 가장자리부 (61b) 및 제 3 가장자리부 (61c) 는, 오목부 (41b)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가장자리부 (61b) 및 제 3 가장자리부 (61c) 는, 제 1 가장자리부 (61a) 보다 제 1 이동체 (11) 의 회전 방향의 선행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제 1 가장자리부 (61a) 와 제 2 가장자리부 (61b), 즉, 제 1 가장자리부 (61a) 와 오목부 (41b) 는, 단차 (612) 를 갖고 연속해 있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와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서는, 중간 유량 시에 있어서, 선단 가장자리 (61) 의 제 2 가장자리부 (61b) 가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대향한다. 그리고, 구동축 (3) 과 함께 제 1 이동체 (11) 가 회전함으로써, 제 1 연통로 (22a ∼ 22f) 는, 제 2 가장자리부 (61b) 보다 회전 방향의 후행측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오목부 (41b) 와 대향한다. 이에 따라, 제 1 연통로 (22a ∼ 22f) 가 오목부 (41b) 와 대향하고 있는 동안은, 냉매 가스는, 구멍부 (41a) 로부터 오목부 (41b) 를 거쳐, 제 1 연통로 (22a ∼ 22f) 에 유통한다. 최소 유량 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최소 유량 시 및 중간 유량 시에서는, 최대 유량 시보다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가 연통하는 타이밍이 빨라진다. 바꾸어 말하면, 이 압축기에 있어서도, 최대 유량 시에는,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이 늦어진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의 다른 작용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와 동일하다.
(실시예 5)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5 의 압축기에서는, 제 2 연통로 (41) 의 선단 가장자리 (61) 에 있어서, 제 3 가장자리부 (61c) 가 제 2 가장자리부 (61b) 보다 제 1 이동체 (11) 의 회전 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3 가장자리부 (61c) 는, 제 2 가장자리부 (61b) 보다 회전 방향의 후행측이고, 제 1 가장자리부 (61a) 보다 회전 방향의 선행측에 위치하고 있다. 요컨대, 선단 가장자리 (61) 에 있어서, 제 2 가장자리부 (61b) 가 가장 회전 방향의 선행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 1 가장자리부 (61a) 와 제 2 가장자리부 (61b) 는, 단차 (612) 를 갖고 연속해 있다. 그리고, 제 3 가장자리부 (61c) 와 제 2 가장자리부 (61b) 는, 단차 (613) 를 갖고 연속해 있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 있어서, 선단 가장자리 (61) 는, 단차 (612) 의 부분에서 제 2 가장자리부 (61b) 로부터 제 1 가장자리부 (61a) 로 한번에 변화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단차 (613) 의 부분에서 제 3 가장자리부 (61c) 로부터 제 2 가장자리부 (61b) 로 한번에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와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서는, 제 3 가장자리부 (61c) 가 제 2 가장자리부 (61b) 보다 회전 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최소 유량 시에는, 중간 유량 시보다,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이 늦어진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실시예 1 의 압축기와 비교해서, 최소 유량 시에 압축실 (45a ∼ 45f) 이 재팽창 행정에서 흡입 행정으로 이행하는 타이밍이 늦어진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최소 유량 시에 있어서의 흡입 행정의 기간이 보다 짧아지기 때문에, 압축실 (45a ∼ 45f) 에 흡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 나아가서는,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보다 적어진다. 여기서, 제 3 가장자리부 (61c) 는, 제 1 가장자리부 (61a) 보다 회전 방향의 선행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최소 유량 시에 있어서의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은, 최대 유량 시에 있어서의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보다 빠르게 되어 있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의 다른 작용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와 동일하다.
여기서, 이 압축기에 있어서, 최소 유량 시에 있어서의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과, 최대 유량 시에 있어서의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이 동일해지도록, 제 3 가장자리부 (61c) 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설계해도 된다. 또, 최대 유량 시에 있어서의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보다, 최소 유량 시에 있어서의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타이밍이 늦어지도록, 제 3 가장자리부 (61c) 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설계해도 된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 1 ∼ 5 에 입각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 ∼ 5 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실시예 1 ∼ 5 의 압축기를 양두 (兩頭) 피스톤식 압축기로서 구성해도 된다.
또, 실시예 1 ∼ 5 의 압축기에 있어서, 제 2 연통로 (41) 의 선단 가장자리 (61) 에 제 1 이동체 (11) 의 회전 방향의 후행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 등을 형성하고, 이 돌기부 등에 의해 제 1 가장자리부 (61a) 를 구성해도 된다. 또, 제 2 연통로 (41) 의 선단 가장자리 (61) 에 제 1 이동체 (11) 의 회전 방향의 선행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절결부 등을 형성하고, 이 절결부 등에 의해 제 2 가장자리부 (61b) 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 1 ∼ 5 의 압축기에서는, 제 1 이동체 (11) 및 제 2 이동체 (12) 에 의해, 이동체 (10) 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체 (10) 에 대해, 제 2 축공 (23) 과 거의 동 직경을 이루는 원통상으로 형성하고, 구동축 (3) 을 이동체 (10) 에 삽입 통과시켜도 된다.
또, 실시예 1 ∼ 5 의 압축기에 대해, 압축실 (45a ∼ 45f) 에 일단 흡입된 냉매 가스의 일부가 제 2 연통로 (41) 에 의해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배출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연통 각도의 변화에 의해,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구동축 (3) 의 1 회전당,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실시예 1 ∼ 5 의 압축기에서는, 제 1 이동체 (11) 의 안내창 (35a) 내에 있어서의 위치, 즉, 이동체 (10) 의 구동 축심 (O) 방향의 위치에 따라, 연통 각도가 변화함으로써,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체 (10) 의 구동 축심 (O) 방향의 위치에 따라, 제 1 연통로 (22a ∼ 22f) 와 제 2 연통로 (41) 의 연통 면적이 변화함으로써,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실시예 1 ∼ 5 의 압축기에 대해, 제 2 이동체 (12) 는, 제 2 직경부 (352) 와 슬라이딩 하지 않고, 제 2 이동체 (12) 와 제 2 직경부 (35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실시예 1 ∼ 5 의 압축기에 대해, 각 슈 (8a, 8b) 대신에, 고정 사판 (5) 의 후면측에 트러스트 베어링을 개재하여 요동판을 지지함과 함께, 요동판과 피스톤 (7) 을 콘로드에 의해 연접하는 와블형의 변환 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또, 실시예 1 ∼ 5 의 압축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제어 밸브 (13) 에 대한 전류의 ON 과 OFF 를 전환하여 제어 압력을 제어하는 외부 제어를 실시해도 되고, 외부로부터의 전류에 상관없이 제어 압력을 제어하는 내부 제어를 실시해도 된다. 여기서, 제어 밸브 (13) 에 대한 전류를 OFF 로 함으로써 밸브 개도를 크게 하도록 구성하면, 압축기의 정지 시에 있어서, 밸브 개도가 커져, 제어압실 (27) 의 제어 압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소인 상태에서 압축기를 기동할 수 있기 때문에, 기동 쇼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 5 의 압축기에 있어서, 급기 통로 (13a) 를 거쳐 토출실 (29) 로부터 제어압실 (27) 에 도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제어 밸브 (13) 에 의해 변화시키는 넣기 제어를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어압실 (27) 을 신속히 고압으로 할 수 있고,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신속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로서, 제어 밸브 (13) 에 대한 전류를 OFF 로 함으로써, 제어 밸브 (13) 가 밸브 개도를 작게 하도록 구성하면, 압축기의 정지 시에 있어서, 밸브 개도가 작아져, 제어압실 (27) 의 제어 압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소인 상태에서 압축기를 기동할 수 있기 때문에, 기동 쇼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 ∼ 5 의 압축기에 있어서, 제어 밸브 (13) 대신에, 급기 통로 (13a) 와 추기 통로 (13b) 의 양자에서 개도를 조정 가능한 삼방 밸브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 1 ∼ 5 의 압축기에 대해, 제어 밸브 (13) 가 제어압실 (27) 의 제어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압축실 (45a ∼ 45f) 로부터 토출실 (29) 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증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공조 장치 등에 이용 가능하다.
1 : 하우징
3 : 구동축
5 : 고정 사판
7 : 피스톤
9 : 밸브 형성 플레이트 (토출 밸브)
10 : 이동체
13 : 제어 밸브
21 : 실린더 블록
21a ∼ 21f : 실린더 보어
22a ∼ 22f : 제 1 연통로
23 : 제 2 축공 (축공)
29 : 토출실
31 : 사판실
35a : 안내창
41 : 제 2 연통로
45a ∼ 45f : 압축실
61 : 선단 가장자리
61a : 제 1 가장자리부
61b : 제 2 가장자리부
63 : 후단 가장자리
173 : 제 1 축공 (축공)
612 : 단차

Claims (4)

  1.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을 갖고, 토출실과, 사판실 (斜板室) 과, 축공 (軸孔) 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축공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승 (支承) 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사판실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일정한 고정 사판과,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 압축실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사판에 연결되는 피스톤과,
    상기 압축실 내의 냉매를 상기 토출실에 토출시키는 토출 밸브와,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어 상기 축공 내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축과 일체 회전함과 함께, 제어 압력에 기초하여 구동 축심 방향으로 상기 구동축에 대해 이동 가능한 이동체와,
    상기 제어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블록에는,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제 1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에는, 상기 이동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간헐적으로 상기 제 1 연통로와 연통함으로써, 상기 제 1 연통로를 통해서 상기 압축실에 냉매를 흡입시키는 제 2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의 상기 구동 축심 방향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변화하는 피스톤식 압축기로서,
    상기 제 2 연통로는, 상기 이동체의 회전 방향의 선행측에 위치하는 선단 가장자리와, 상기 선단 가장자리보다 상기 회전 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는 후단 가장자리를 갖고,
    상기 선단 가장자리는,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최대일 때에 상기 제 1 연통로와 대향하는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최대보다 적을 때에 상기 제 1 연통로와 대향하는 제 2 가장자리부를 갖고,
    상기 제 1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 2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회전 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이동체를 상기 구동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안내창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제 2 연통로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안내창에 배치되는 제 1 이동체와, 상기 구동축 내에 배치되는 제 2 이동체를 갖고,
    상기 제 1 이동체에 의해, 상기 제 1 연통로와 상기 제 2 연통로가 연통되고,
    상기 구동축에 의해, 상기 제 1 연통로와 상기 제 2 연통로가 비연통으로 되는, 피스톤식 압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가장자리부는, 상기 회전 방향으로 서서히 변화하면서 연속해 있는, 피스톤식 압축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가장자리부는, 단차를 갖고 연속해 있는, 피스톤식 압축기.
KR1020200036292A 2019-03-28 2020-03-25 피스톤식 압축기 KR102235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4500A JP7088113B2 (ja) 2019-03-28 2019-03-28 ピストン式圧縮機
JPJP-P-2019-064500 2019-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292A KR20200115292A (ko) 2020-10-07
KR102235426B1 true KR102235426B1 (ko) 2021-04-01

Family

ID=7261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292A KR102235426B1 (ko) 2019-03-28 2020-03-25 피스톤식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88113B2 (ko)
KR (1) KR102235426B1 (ko)
CN (1) CN111749866B (ko)
DE (1) DE102020108344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0696B2 (ja) * 1992-05-06 2002-05-13 株式会社デンソー 可変容量圧縮機
JP3303381B2 (ja) * 1992-03-04 2002-07-22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斜板型可変容量コンプレッサ
JP3111689B2 (ja) * 1992-09-30 2000-11-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ピストン型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吸入機構
US5486098A (en) * 1992-12-28 1996-01-23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H07119631A (ja) * 1993-08-26 1995-05-09 Nippondenso Co Ltd 斜板型可変容量圧縮機
JPH07324678A (ja) * 1994-05-31 1995-12-12 Nippondenso Co Ltd 斜板型圧縮機
JP4730317B2 (ja) * 2007-02-02 2011-07-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JP6477441B2 (ja) * 2015-11-20 2019-03-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6881375B2 (ja) * 2018-03-30 2021-06-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49866B (zh) 2022-06-07
CN111749866A (zh) 2020-10-09
JP2020165342A (ja) 2020-10-08
DE102020108344A1 (de) 2020-10-01
KR20200115292A (ko) 2020-10-07
JP7088113B2 (ja)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080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EP2728187B1 (en) Piston-type compressor
KR102244423B1 (ko) 피스톤식 압축기
US20150260175A1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2235426B1 (ko) 피스톤식 압축기
KR102186963B1 (ko) 피스톤식 압축기
JP7120103B2 (ja) ピストン式圧縮機
KR970001133B1 (ko)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WO2020196577A1 (ja) ピストン式圧縮機
CN110821778B (zh) 活塞式压缩机
JP2020056404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20023963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20056403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US11047373B2 (en) Piston compressor including a suction throttle
US20160252084A1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2174872B1 (ko) 피스톤식 압축기
JP2020023962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19183837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21032202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19183836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21032200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21032201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21032199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KR20220049593A (ko) 피스톤식 압축기
JP2016166532A (ja) 容量可変型両頭斜板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