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593A - 피스톤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피스톤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593A
KR20220049593A KR1020227009594A KR20227009594A KR20220049593A KR 20220049593 A KR20220049593 A KR 20220049593A KR 1020227009594 A KR1020227009594 A KR 1020227009594A KR 20227009594 A KR20227009594 A KR 20227009594A KR 20220049593 A KR20220049593 A KR 20220049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ody
drive shaft
path
chamb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 이나츠
아키히로 무라니시
켄이치 가도구치
신야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220049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2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having plural sets of cylinders or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95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8Actuation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피스톤식 압축기는, 제어 압력에 기초하여 구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구동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체를 구비한다. 이동체는, 제1 이동체부와 제2 이동체부를 갖는다. 제1 이동체부는, 제어 압력에 기초하여 축로 내를 축심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이동체부는, 제1 이동체부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안내창에 배치됨과 함께 축공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만곡판 형상이다. 제1 이동체부는, 안내창으로부터 향하는 걸어맞춤부를 갖는다. 제2 이동체부는,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하는 피걸어맞춤부를 갖는다. 피걸어맞춤부는, 제2 이동체부에 있어서의 제2 연통로의 내주연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안내창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된 판 형상이다.

Description

피스톤식 압축기
본 개시는,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피스톤식 압축기의 하우징은, 실린더 블록을 갖고 있다. 실린더 블록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cylinder bor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흡입실과, 토출실과, 사판실과, 축공(shaft hole)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사판실에 피스톤식 압축기의 외부로부터의 냉매가 흡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사판실이 흡입실로서 사용되는 피스톤식 압축기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축공 내에는, 구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승(支承)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식 압축기는, 고정 사판(swash plate)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 사판은,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사판실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고정 사판은, 구동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갖는다. 또한, 피스톤식 압축기는, 고정 사판에 연결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은, 실린더 보어 내에 압축실을 형성한다. 또한, 피스톤식 압축기는, 압축실 내의 냉매를 토출실에 토출시키는 토출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고정 사판이 회전함으로써, 각 피스톤이 대응하는 실린더 보어 내를 상사점과 하사점의 사이에서 왕복동한다. 여기에서, 피스톤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압축실은 흡입 행정이 된다. 한편, 피스톤이 하사점으로부터 상사점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압축실은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 행정이 된다. 또한, 압축실은, 당해 압축실 내에서 압축한 냉매를, 토출 밸브를 통하여 토출실에 토출하는 토출 행정이 된다.
이러한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구동축에 이동체가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식 압축기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동체는, 구동축과 일체 회전함과 함께, 제어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압력에 기초하여 구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구동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특허문헌 1의 피스톤식 압축기의 실린더 블록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에 각각 연통(communication)하는 복수의 제1 연통로(communication passag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에는, 구동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간헐적으로 제1 연통로와 연통하는 제2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을 향하여 이동하여 압축실이 흡입 행정이 되었을 때에, 제1 연통로와 제2 연통로가 서로 연통함으로써, 압축실에 냉매가 흡입된다. 여기에서, 이동체에 있어서의 구동축의 축심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구동축의 1회전 당에서 제1 연통로와 제2 연통로가 서로 연통하는 축심 둘레의 연통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압축실로부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5-306680호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압축 행정 중 또는 토출 행정 중의 압축실에 연통하는 제1 연통로를 통하여, 압축실 내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에 의한 하중인 압축 하중이 이동체에 작용한다. 그러면, 이동체가 축공 내에서 구동축의 축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압압되고, 이동체는 축공의 내주면에 밀어붙여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구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체와 축공의 내주면의 마찰력이 커진다. 그 결과, 이동체가 구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져, 제어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높은 제어성을 발휘함과 함께 소형화를 실현 가능한 피스톤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피스톤식 압축기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을 갖고, 흡입실과, 토출실과, 사판실과, 축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축공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승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사판실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갖는 고정 사판과, 상기 각 실린더 보어 내에 압축실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사판에 연결되는 피스톤과, 상기 압축실 내의 냉매를 상기 토출실에 토출시키는 토출 밸브와,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과 일체 회전함과 함께, 제어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체와, 상기 제어 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 블록에는, 상기 실린더 보어에 연통하는 제1 연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체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간헐적으로 상기 제1 연통로와 연통하는 제2 연통로가 형성된다. 피스톤식 압축기는, 상기 이동체의 상기 축심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구동축의 내부를 상기 구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함과 함께 상기 흡입실에 연통하는 축로(shaft passage)와, 상기 축로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구동축에 있어서의 상기 축공 내에 위치하는 부위의 외주면에 개구하고, 상기 이동체를 상기 축심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창을 갖는다. 상기 이동체에 의해 상기 제1 연통로와 상기 제2 연통로가 서로 연통된다. 상기 구동축에 의해 상기 제1 연통로와 상기 제2 연통로가 서로 비(非)연통으로 된다. 상기 이동체는, 상기 축로 내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어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축로 내를 상기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체부와, 상기 제1 이동체부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창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축공의 내주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만곡판 형상이고, 상기 제2 연통로가 관통한 상태에서 형성된 제2 이동체부를 갖는다. 상기 제1 이동체부는, 상기 안내창으로부터 임하는 걸어맞춤부를 갖는다. 상기 제2 이동체부는,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하는 피(被)걸어맞춤부를 갖는다. 상기 피걸어맞춤부는, 상기 제2 이동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연통로의 내주연(內周緣)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상기 안내창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된 판 형상이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스톤식 압축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토출실 및 제2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대일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6은 구동축, 이동체 및 흡입 밸브체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7은 구동축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8-8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소일 때의 제2 이동체부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대일 때의 제2 이동체부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소일 때의 흡입 밸브체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대일 때의 흡입 밸브체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 이동체부와 제2 이동체부가 조립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이동체부, 제2 이동체부 및, 구동축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2 이동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별도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이동체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피스톤식 압축기를 구체화한 일 실시 형태를 도 1∼도 15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피스톤식 압축기는,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식 압축기는, 차량 공조 장치에 이용됨과 함께 냉매를 압축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식 압축기(10)는, 대략 원통 형상의 하우징(11)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은, 서로 연결된 제1 실린더 블록(12) 및 제2 실린더 블록(13)과, 제1 실린더 블록(12)에 연결되는 프런트 하우징(14)과, 제2 실린더 블록(13)에 연결되는 리어 하우징(15)을 갖고 있다. 제1 실린더 블록(12), 제2 실린더 블록(13), 프런트 하우징(14) 및, 리어 하우징(15)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된 금속 재료제의 대략 원통 형상이다. 제1 실린더 블록(12)의 축심, 제2 실린더 블록(13)의 축심, 프런트 하우징(14)의 축심 및, 리어 하우징(15)의 축심은, 각각 일치하고 있다.
프런트 하우징(14)과 제1 실린더 블록(12)의 사이에는, 대략 원판 형상의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프런트 하우징(14)은,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를 통하여 제1 실린더 블록(1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리어 하우징(15)과 제2 실린더 블록(13)의 사이에는, 대략 원판 형상의 제2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7)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리어 하우징(15)은, 제2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7)를 통하여 제2 실린더 블록(13)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실린더 블록(12)에 있어서의 제2 실린더 블록(13)과 대향하는 단면에는, 제1 실린더 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실린더 오목부(18)는, 원공(圓孔) 형상이다. 제1 실린더 오목부(18)의 축심은, 제1 실린더 블록(12)의 축심에 일치하고 있다. 또한, 제1 실린더 블록(12)의 중앙부에는, 원공 형상의 제1 축공(1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축공(19)의 축심은, 제1 실린더 블록(12)의 축심에 일치하고 있다. 제1 축공(19)은, 제1 실린더 블록(12)을 축심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1 축공(19)의 일단은, 제1 실린더 오목부(18)의 저면에 개구함과 함께, 제1 축공(19)의 타단은, 제1 실린더 블록(12)에 있어서의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와 대향하는 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린더 블록(12)에는,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는, 원공 형상이다.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의 내경은 각각 동일하다.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는, 제1 축공(19)의 주위에서 제1 실린더 블록(12)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는, 제1 실린더 블록(12)을 축심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각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의 일단은, 제1 실린더 오목부(18)의 저면에 개구함과 함께, 각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의 타단은, 제1 실린더 블록(12)에 있어서의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와 대향하는 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린더 블록(12)에는,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가 형성되어 있다. 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는, 제1 축공(19)으로부터 대응하는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를 향하여 제1 실린더 블록(12)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의 일단은, 제1 축공(19)에 연통하고 있다. 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의 타단은, 대응하는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에 연통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린더 블록(12)에는, 흡입구(22), 제1 토출 통로(23) 및, 토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22)는, 제1 실린더 오목부(18)에 연통하고 있다. 흡입구(22)는, 제1 실린더 블록(12)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실린더 블록(12)의 외부에 개구하고 있다. 흡입구(22)는, 도시하지 않는 외부 냉매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입구(22)는, 도시하지 않는 배관을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를 구성하는 증발기에 접속되어 있다.
제1 토출 통로(23)는, 제1 실린더 오목부(18)보다도 제1 실린더 블록(12)의 지름 방향 외측에서, 제1 실린더 블록(12)을 축심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1 토출 통로(23)의 일단은, 제1 실린더 블록(12)에 있어서의 제2 실린더 블록(13)과 대응하는 단면에 개구함과 함께, 제1 토출 통로(23)의 타단은, 제1 실린더 블록(12)에 있어서의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와 대향하는 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토출구(24)는, 제1 토출 통로(23)에 연통하고 있다. 토출구(24)는, 제1 실린더 블록(12)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실린더 블록(12)의 외부에 개구하고 있다. 토출구(24)는, 외부 냉매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토출구(24)는, 도시하지 않는 배관을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를 구성하는 응축기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실린더 블록(13)에 있어서의 제1 실린더 블록(12)과 대향하는 단면에는, 제2 실린더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실린더 오목부(25)는, 원공 형상이다. 제2 실린더 오목부(25)의 축심은, 제2 실린더 블록(13)의 축심에 일치하고 있다. 또한, 제2 실린더 블록(13)에 있어서의 제2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7)와 대향하는 단면에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 보스부(26)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보스부(26)의 축심은, 제2 실린더 블록(13)의 축심에 일치하고 있다.
제2 실린더 블록(13)의 중앙부에는, 원공 형상의 제2 축공(2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축공(27)의 축심은, 제2 실린더 블록(13)의 축심에 일치하고 있다. 제2 축공(27)은, 제2 실린더 블록(13)을 축심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2 축공(27)의 일단은, 제2 실린더 오목부(25)의 저면에 개구함과 함께, 제2 축공(27)의 타단은, 실린더 보스부(26)의 내측을 통과하여 실린더 보스부(26)의 선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실린더 보스부(26)의 내측은, 제2 축공(27)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제2 축공(27)의 내경은, 제1 축공(19)의 내경과 동일하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린더 블록(13)에는, 실린더 보어로서의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실린더 블록(13)은,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이다. 각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는, 원공 형상이다.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의 내경은 각각 동일하다. 각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의 내경은, 각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의 내경과 동일하다.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는, 제2 축공(27)의 주위에서 제2 실린더 블록(13)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는, 제2 실린더 블록(13)을 축심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각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의 일단은, 제2 실린더 오목부(25)의 저면에 개구함과 함께, 각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의 타단은, 제2 실린더 블록(13)에 있어서의 제2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7)와 대향하는 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린더 블록(13)에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가 형성되어 있다.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는, 제2 축공(27)으로부터 각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를 향하여 제2 실린더 블록(13)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의 일단은, 제2 축공(27)에 연통하고 있다.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의 타단은, 대응하는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에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는, 제2 실린더 블록(13) 형성됨과 함께 대응하는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에 연통하는 제1 연통로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린더 블록(13)에는, 제2 토출 통로(30)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토출 통로(30)는, 제2 실린더 오목부(25)보다도 제2 실린더 블록(13)의 지름 방향 외측에서, 제2 실린더 블록(13)을 축심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2 토출 통로(30)의 일단은, 제2 실린더 블록(13)에 있어서의 제1 실린더 블록(12)과 대향하는 단면에 개구함과 함께, 제2 토출 통로(30)의 타단은, 제2 실린더 블록(13)에 있어서의 제2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7)와 대향하는 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제1 실린더 블록(12)과 제2 실린더 블록(13)의 사이에는, 개스킷(31)이 개재되어 있다. 개스킷(31)은, 제1 실린더 블록(12)과 제2 실린더 블록(13)의 사이를 시일한다. 개스킷(31)에는, 제1 실린더 오목부(18)와 제2 실린더 오목부(25)를 연통하는 제1 개스킷공(3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스킷(31)에는, 제1 토출 통로(23)와 제2 토출 통로(30)를 연통하는 제2 개스킷공(3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린더 오목부(18), 제1 개스킷공(31a) 및, 제2 실린더 오목부(25)에 의해 제1 실린더 블록(12)과 제2 실린더 블록(13)의 사이에 사판실(32)이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11)에는, 사판실(32)이 형성되어 있다. 사판실(32)에는, 증발기를 통과한 저압의 냉매 가스가 외부 냉매 회로로부터 흡입구(22)를 통하여 흡입된다. 따라서, 사판실(32)은,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외부로부터 냉매 가스가 흡입되는 흡입실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각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와 대응하는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는, 서로 축심이 일치한 상태에서, 사판실(32)을 통하여 대향하고 있다. 또한, 제1 축공(19)과 제2 축공(27)은, 서로 축심이 일치한 상태에서, 사판실(32)을 통하여 대향하고 있다.
프런트 하우징(14)의 중앙부에는, 원공 형상의 프런트 축공(33)이 형성되어 있다. 프런트 축공(33)의 축심은, 프런트 하우징(14)의 축심에 일치하고 있다. 또한, 프런트 하우징(14)에 있어서의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와는 반대측의 단면에는, 원통 형상의 프런트 보스부(34)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프런트 보스부(34)의 축심은, 프런트 하우징(14)의 축심에 일치하고 있다. 프런트 축공(33)의 일단은, 프런트 하우징(14)에 있어서의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와 대향하는 단면에 개구함과 함께, 프런트 축공(33)의 타단은, 프런트 보스부(34)의 내측을 통과하여 프런트 보스부(34)의 선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프런트 보스부(34)의 내측은, 프런트 축공(33)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프런트 하우징(14)에 있어서의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와 대향하는 단면에는, 프런트 하우징(14)의 축심 둘레로 연장되는 환(環) 형상의 프런트 오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프런트 오목부(35)는, 프런트 축공(33)의 주위에서 환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프런트 오목부(35) 및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에 의해, 프런트 하우징(14)과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의 사이에 제1 토출실(36)이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토출실(36)은, 프런트 축공(33)의 축심 둘레로 환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는, 제1 밸브 플레이트(37), 제1 토출 밸브 플레이트(38) 및, 제1 리테이너 플레이트(39)를 갖고 있다. 제1 밸브 플레이트(37), 제1 토출 밸브 플레이트(38) 및, 제1 리테이너 플레이트(39)는, 대략 원판 형상이다. 제1 밸브 플레이트(37)에는,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에 연통하는 제1 토출공(37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는, 대응하는 제1 토출공(37a)을 통하여 제1 토출실(36)에 연통하고 있다.
제1 밸브 플레이트(37)는, 제1 실린더 블록(12)에 있어서의 프런트 하우징(14)과 대향하는 단면에 접합되어 있다. 제1 리테이너 플레이트(39)는, 프런트 하우징(14)에 있어서의 제1 실린더 블록(12)과 대향하는 단면에 접합되어 있다. 제1 토출 밸브 플레이트(38)는, 제1 밸브 플레이트(37)와 제1 리테이너 플레이트(39)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1 토출 밸브 플레이트(38)에는, 제1 토출공(37a)을 각각 개폐 가능한 복수의 제1 토출 리드 밸브(38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리테이너 플레이트(39)는, 제1 토출 리드 밸브(38a)의 탄성 변형에 의한 최대 개도(開度)를 규제한다.
또한,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의 중앙부에는, 원공 형상의 제1 플레이트 관통공(16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레이트 관통공(16a)은, 제1 밸브 플레이트(37), 제1 토출 밸브 플레이트(38) 및 제1 리테이너 플레이트(39)를 관통하고 있다. 제1 플레이트 관통공(16a)의 내경은, 제1 축공(19)의 내경보다도 크다. 제1 플레이트 관통공(16a)의 축심은, 제1 축공(19)의 축심에 일치하고 있다. 제1 플레이트 관통공(16a)은, 제1 축공(19)과 프런트 축공(33)을 연통한다.
또한,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에는, 제1 플레이트 연통공(16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레이트 연통공(16b)은, 각 제1 토출공(37a)보다도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의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플레이트 연통공(16b)은, 제1 밸브 플레이트(37), 제1 토출 밸브 플레이트(38) 및 제1 리테이너 플레이트(39)를 관통하고 있다. 제1 플레이트 연통공(16b)은, 제1 토출실(36)과 제1 토출 통로(23)를 연통한다. 그리고, 제1 토출실(36)은, 제1 플레이트 연통공(16b) 및 제1 토출 통로(23)를 통하여 토출구(24)에 연통하고 있다.
리어 하우징(15)의 중앙부에는, 원공 형상의 실(室) 형성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실 형성 오목부(40)의 축심은, 리어 하우징(15)의 축심에 일치하고 있다. 실 형성 오목부(40)의 내경은, 실린더 보스부(26)의 외경보다도 근소하게 크다.
리어 하우징(15)에 있어서의 제2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7)와 대향하는 단면에는, 리어 하우징(15)의 축심 둘레로 연장하는 환 형상의 리어 오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리어 오목부(41)는, 실 형성 오목부(40)의 주위에서 환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리어 오목부(41) 및 제2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7)에 의해, 리어 하우징(15)과 제2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7)의 사이에 토출실로서의 제2 토출실(42)이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토출실(42)은, 실 형성 오목부(40)의 축심 둘레로 환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7)는, 제2 밸브 플레이트(43), 제2 토출 밸브 플레이트(44) 및, 제2 리테이너 플레이트(45)를 갖고 있다. 제2 밸브 플레이트(43), 제2 토출 밸브 플레이트(44) 및, 제2 리테이너 플레이트(45)는, 대략 원판 형상이다. 제2 밸브 플레이트(43)에는,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에 연통하는 제2 토출공(4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는, 대응하는 제2 토출공(43a)을 통하여 제2 토출실(42)에 연통하고 있다.
제2 밸브 플레이트(43)는, 제2 실린더 블록(13)에 있어서의 리어 하우징(15)과 대향하는 단면에 접합되어 있다. 제2 리테이너 플레이트(45)는, 리어 하우징(15)에 있어서의 제2 실린더 블록(13)과 대향하는 단면에 접합되어 있다. 제2 토출 밸브 플레이트(44)는, 제2 밸브 플레이트(43)와 제2 리테이너 플레이트(45)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2 토출 밸브 플레이트(44)에는, 제2 토출공(43a)을 각각 개폐 가능한 복수의 제2 토출 리드 밸브(44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리테이너 플레이트(45)는, 제2 토출 리드 밸브(44a)의 탄성 변형에 의한 최대 개도를 규제한다.
또한, 제2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7)의 중앙부에는, 원공 형상의 제2 플레이트 관통공(17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레이트 관통공(17a)은, 제2 밸브 플레이트(43), 제2 토출 밸브 플레이트(44) 및 제2 리테이너 플레이트(45)를 관통하고 있다. 제2 플레이트 관통공(17a)의 내경은, 실 형성 오목부(40)의 내경과 동일하다. 제2 플레이트 관통공(17a)의 축심은, 실 형성 오목부(40)의 축심에 일치하고 있다. 제2 플레이트 관통공(17a)은, 실 형성 오목부(40)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제2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7)에는, 제2 플레이트 연통공(17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레이트 연통공(17b)은, 각 제2 토출공(43a)보다도 제2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7)의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플레이트 연통공(17b)은, 제2 밸브 플레이트(43), 제2 토출 밸브 플레이트(44) 및 제2 리테이너 플레이트(45)를 관통하고 있다. 제2 플레이트 연통공(17b)은, 제2 토출실(42)과 제2 토출 통로(30)를 연통한다.
제1 토출실(36)과 제2 토출실(42)은, 제1 플레이트 연통공(16b), 제1 토출 통로(23), 제2 개스킷공(31b), 제2 토출 통로(30), 제2 플레이트 연통공(17b)을 통하여 서로 연통하고 있다. 제2 토출실(42)은, 제2 플레이트 연통공(17b), 제2 토출 통로(30), 제2 개스킷공(31b) 및, 제1 토출 통로(23)를 통하여 토출구(24)에 연통하고 있다.
실린더 보스부(26)는, 제2 플레이트 관통공(17a)을 통하여 실 형성 오목부(40) 내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 보스부(26)의 선단면 및 실 형성 오목부(40)에 의해, 제어압실(46)이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리어 하우징(15)에는, 제어압실(46)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압실(46)은, 리어 하우징(15)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토출실(42)은, 제어압실(46)의 주위에서 환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식 압축기(10)는, 구동축(47)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축(47)은,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이 하우징(11)의 축심 방향에 일치하도록 하우징(11) 내에 수용되어 있다. 구동축(47)은, 예를 들면, 철강제이고, 고압의 냉매 가스의 압축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고 있다. 구동축(47)은, 제1 축공(19), 제2 축공(27) 및, 프런트 축공(33) 각각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제1 축공(19) 및 제2 축공(27)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승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축(47)은,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축공(19) 및 제2 축공(27)은, 하우징(11)에 형성됨과 함께 구동축(47)을 지승하는 축공(48)을 구성하고 있다.
구동축(47)의 일단은, 프런트 축공(33) 내에 위치함과 함께, 구동축(47)의 타단은, 실린더 보스부(26)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제어압실(46) 내에 위치하고 있다. 프런트 축공(33)의 내주면과 구동축(47)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축봉 장치(49)가 형성되어 있다. 축봉 장치(49)는, 하우징(11)의 내부와 하우징(11)의 외부의 사이를 봉지한다. 구동축(47)에는, 구동축(47)의 일단면에 개구하는 나사공(47a)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공(47a)에는, 도시하지 않는 풀리 및 전자 클러치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축(47)은, 풀 및 전자 클러치를 통하여 차량의 엔진에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식 압축기(10)는, 고정 사판(50)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 사판(50)은, 구동축(47)에 압입됨으로써, 구동축(47)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사판(50)은, 사판실(32) 내에 수용되어 있다. 고정 사판(50)은, 구동축(47)의 회전에 의해 사판실(32) 내에서 구동축(47)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고정 사판(50)은, 구동축(47)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갖는다. 고정 사판(50)은, 제1 스러스트 베어링(51a)을 통하여 제1 실린더 블록(1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고정 사판(50)은, 제2 스러스트 베어링(51b)을 통하여 제2 실린더 블록(13)에 지지되어 있다.
피스톤식 압축기(10)는, 고정 사판(50)에 연결되는 복수의 피스톤(52)을 구비하고 있다. 각 피스톤(52)은, 제1 두부(頭部)(52a), 제2 두부(52b) 및, 접속부(52c)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피스톤식 압축기(10)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이다. 각 피스톤(52)의 제1 두부(52a)는, 대응하는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두부(52a)와, 제1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6)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 내에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은, 각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에 연통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피스톤(52)의 제2 두부(52b)는, 대응하는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두부(52b)와, 제2 밸브 포트 형성 플레이트(17)에 의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 내에 압축실로서의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피스톤(52)은, 대응하는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 내에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을 형성한다.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은, 각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에 연통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52c)는, 제1 두부(52a)와 제2 두부(52b)를 접속하고 있다. 접속부(52c) 내에는, 반구 형상의 한 쌍의 슈(55)가 형성되어 있다. 각 피스톤(52)은, 한 쌍의 슈(55)를 통하여 고정 사판(50)의 외주부에 계류되어 있다. 한 쌍의 슈(55)는, 고정 사판(50)의 회전을 각 피스톤(52)의 왕복동으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각 피스톤(52)의 제1 두부(52a)가 대응하는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 내를 제1 두부(52a)의 상사점과 하사점의 사이에서 왕복동한다. 각 피스톤(52)의 제2 두부(52b)가 대응하는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 내를 제2 두부(52b)의 상사점과 하사점의 사이에서 왕복동한다.
구동축(47)의 회전에 수반하여, 사판실(32) 내에서 고정 사판(50)이 회전하면, 각 피스톤(52)의 제1 두부(52a)가 대응하는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 내를 상사점과 하사점의 사이에서 왕복동한다. 또한, 구동축(47)의 회전에 수반하여 각 피스톤(52)의 제2 두부(52b)가 대응하는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 내를 상사점과 하사점의 사이에서 왕복동한다. 이에 따라,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 및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서는, 재팽창 행정, 흡입 행정, 압축 행정 및, 토출 행정이 반복하여 행해진다.
재팽창 행정에서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 및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의 내부의 냉매 가스가 재팽창한다. 흡입 행정에서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 및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의 내부에 냉매 가스가 흡입된다. 압축 행정에서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 및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의 내부의 냉매 가스가 압축된다.
토출 행정에서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가, 대응하는 제1 토출 리드 밸브(38a)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1 토출실(36)에 토출된다. 또한, 토출 행정에서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가, 대응하는 제2 토출 리드 밸브(44a)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2 토출실(42)에 토출된다. 따라서, 각 제2 토출 리드 밸브(44a)는, 대응하는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 내의 냉매를 제2 토출실(42)에 토출시키는 토출 밸브이다. 제1 토출실(36) 내에 토출된 냉매 가스는, 제1 플레이트 연통공(16b), 제1 토출 통로(23) 및, 토출구(24)를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의 응축기에 토출된다. 제2 토출실(42) 내에 토출된 냉매 가스는, 제2 플레이트 연통공(17b), 제2 토출 통로(30), 제2 개스킷공(31b), 제1 토출 통로(23) 및, 토출구(24)를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의 응축기에 토출된다.
고정 사판(50)은, 구동축(47)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통 형상의 사판 보스부(50a)를 갖고 있다. 고정 사판(50)은, 사판 보스부(50a)가 구동축(47)의 외주면에 고정됨으로써, 구동축(47)에 부착되어 있다. 사판 보스부(50a)에는, 사판 흡입공(56)이 형성되어 있다. 사판 흡입공(56)은, 구동축(47)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사판 보스부(50a)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사판 흡입공(56)은, 사판실(32)에 연통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47)에는, 축로(57), 제1 경로(58), 제2 경로(59) 및, 안내창(60)이 형성되어 있다. 축로(57)는, 원공 형상이다. 축로(57)는, 구동축(47)의 내부를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축로(57)는, 나사공(47a)이 개구하는 구동축(47)의 단면과는 반대측의 단면에 개구함과 함께 나사공(47a)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축로(57)는, 대경로(61) 및, 대경로(61)보다도 내경이 작은 소경로(62)를 갖고 있다. 대경로(61)는, 소경로(62)보다도 나사공(47a)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대경로(61)는, 나사공(47a)이 개구하는 구동축(47)의 단면과는 반대측의 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대경로(61)의 내주면과 소경로(62)의 내주면은, 구동축(47)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 형상의 단차면(6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1 경로(58)는, 구동축(47)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경로(58)의 일단은, 소경로(62)의 내주면에 개구함과 함께, 제1 경로(58)의 타단은, 구동축(47)의 외주면에 개구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사판(50)은, 사판 흡입공(56)이 제1 경로(58)에 연통하도록, 구동축(47)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축로(57)의 소경로(62)는, 제1 경로(58) 및 사판 흡입공(56)을 통하여 사판실(32)에 연통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경로(59)는, 구동축(47)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경로(59)는, 구동축(47)에 있어서, 제1 경로(58)보다도 나사공(47a)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2 경로(59)의 일단은, 소경로(62)의 내주면에 개구함과 함께, 제2 경로(59)의 타단은, 구동축(47)의 외주면에 개구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경로(59)는, 소경로(62)에 가까운 개소에서는 구동축(47)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구동축(47)의 외주면에 가까운 개소에서는, 구동축(47)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창(60)은, 구동축(47)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절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안내창(60)은, 축로(57)의 대경로(61)에 연통함과 함께 구동축(47)의 외주면에 개구하고 있다. 안내창(60)은,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구동축(47)은, 구동축(47)의 축심(L1)을 사이에 두고 안내창(60)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인 본체부(64)를 갖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창(60)은,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내창(60)에 있어서,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이, 90° 이상이고, 또한 180° 미만이다. 본체부(64)는,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의 홈통 형상이다. 본체부(64)는,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64)에 있어서는,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연장되는 영역이, 180° 이상이며, 또한 270° 미만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창(60)은, 구동축(47)의 축심(L1)을 사이에 두고 제2 경로(59)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안내창(60) 및 제2 경로(59)는, 위상이 약 180° 어긋난 상태에서 구동축(47)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경로(58)는, 안내창(60) 및 제2 경로(59)에 대하여 위상이 약 90° 어긋난 상태에서 구동축(47)에 형성되어 있다.
안내창(60)은, 제1 규제면(65), 제2 규제면(66) 및, 쌍을 이루는 2개의 안내면(67)을 갖고 있다. 제1 규제면(65) 및 제2 규제면(66)은, 구동축(47)의 지름 방향으로 평면 형상으로 연장됨과 함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1 규제면(65) 및 제2 규제면(66)은, 구동축(47)의 축선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다. 제1 규제면(65)은, 제2 규제면(66)보다도 대경로(61)의 개구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2 규제면(66)은, 제1 규제면(65)보다도 단차면(63)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안내면(67)은, 제1 규제면(65)과 제2 규제면(66)을 접속하고, 또한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평면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내면(67)은, 본체부(64)에 있어서의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구동축(47)의 외주면에는, 환 형상의 장착 홈(68)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홈(68)은, 구동축(47)의 외주면에 있어서, 안내창(60)보다도 나사공(47a)이 개구하는 구동축(47)의 단면과는 반대측의 단면 근방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장착 홈(68)에는, 시일 링(69)이 장착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로(57)의 대경로(61)는, 제어압실(46)에 연통하고 있다. 시일 링(69)은, 구동축(47)의 외주면과 제2 축공(27)의 내주면의 사이를 시일한다. 안내창(60)은, 제2 축공(27)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안내창(60)은, 구동축(47)에 있어서의 축공(48) 내에 위치하는 부위의 외주면에 개구하고 있다. 안내창(60)은, 제2 축공(27) 내에 개구하면서, 제2 축공(27) 내에서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대향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창(60)은,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 중,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에 있는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대향한다. 한편, 본체부(64)는,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 중의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대향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경로(59)는, 제1 축공(19)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2 경로(59)는, 구동축(47)에 있어서의 축공(48) 내에 위치하는 부위의 외주면에 개구하고 있다. 제2 경로(59)는, 제1 축공(19) 내에 개구하면서, 제1 축공(19) 내에서 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와 대향하고 있다. 제2 경로(59)는, 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와 축로(57)를 연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식 압축기(10)는, 이동체(70)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체(70)는, 제1 이동체부(71)와, 제2 이동체부(81)를 갖고 있다. 제1 이동체부(71)는, 제1 본체부(72)와, 제1 축부(73)를 갖고 있다. 제1 본체부(72)는, 원주 형상이다. 제1 축부(73)는, 제1 본체부(72)보다도 작은 외경을 갖는 가늘고 긴 원주 형상이다. 제1 축부(73)는, 제1 본체부(72)의 제1 단면(72a)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본체부(72)의 축심과 제1 축부(73)의 축심은 서로 일치하고 있다. 제1 축부(73)의 선단에는, 흡입 밸브체(74)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밸브체(74)는, 원주 형상이다. 흡입 밸브체(74)의 외경은, 제1 축부(73)의 외경보다도 크고, 또한 제1 본체부(72)의 외경보다도 작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이동체부(71)는, 축로(57)의 대경로(61)의 개구로부터 축로(57) 내에 삽입되어, 축로(57)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본체부(72)의 외경은, 축로(57)의 대경로(6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다. 제1 본체부(72)의 외주면에는, 환 형상의 장착 홈(75)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홈(75)에는, 시일 링(76)이 형성되어 있다. 시일 링(76)은, 제1 본체부(72)의 외주면과 대경로(61)의 내주면의 사이를 시일한다. 제1 본체부(72)의 외주면에는, 걸어맞춤부로서의 환 형상의 걸어맞춤 홈(77)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홈(77)은, 제1 본체부(72)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장착 홈(75)보다도 제1 축부(73) 근방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축부(73)의 외경은, 축로(57)의 소경로(62)의 내경보다도 작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밸브체(74)의 외경은, 축로(57)의 소경로(62)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이동체부(81)는,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보다도 작게 형성된 만곡판 형상이다. 제2 이동체부(81)는, 예를 들면, 박판의 평판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2 이동체부(81)는, 안내창(60)에 배치됨과 함께, 2개의 안내면(67)의 사이에서 구동축(47)의 축심 둘레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은,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제2 이동체부(81)는,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에서 연장되는 영역이, 90° 이상이고, 또한 180° 미만이다. 제2 이동체부(81)는, 안내창(60)에 있어서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이동체부(81)에 있어서의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의 길이는, 안내창(60)에 있어서의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제2 이동체부(81)에는, 이동체 통로(82)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체 통로(82)는, 제2 이동체부(81)를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이동체부(81)에는, 이동체 통로(82)가 관통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동체 통로(82)는, 제2 이동체부(81)에 있어서의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함에 따라서,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에서의 유로 면적이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동체 통로(82)는,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에서 유로 면적이 크게 형성된 대개구부(83)와,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에서 유로 면적이 대개구부(83)보다도 작게 형성된 소개구부(84)를 갖고 있다. 대개구부(83) 및 소개구부(84)는,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됨과 함께 서로 연통하고 있다. 소개구부(84)는, 대개구부(83)보다도 제2 이동체부(81)에 있어서의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동체 통로(82)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개구부(83)는, 직사각 형상이고, 길이 방향이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제2 이동체부(81)는,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이동체 통로(82)의 양 가장자리부를 형성함과 함께 2개의 안내면(67)에 안내되는 2개의 안내부(85)를 갖고 있다. 2개의 안내부(85)는 쌍을 이룬다. 각 안내부(85)는, 가늘고 긴 박판 형상이다. 2개의 안내부(85)의 한쪽은, 대개구부(83) 및 소개구부(84)에 있어서의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있다. 2개의 안내부(85)의 다른 한쪽은, 대개구부(83)에 있어서의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2 이동체부(81)는, 이동체 통로(82)에 있어서의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 가장자리부를 각각 형성하는 만곡판 형상의 제1 만곡부(81a) 및 제2 만곡부(81b)를 갖고 있다. 제1 만곡부(81a)와 제2 만곡부(81b)는, 이동체 통로(82)를 통하여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제1 만곡부(81a) 및 제2 만곡부(81b)는, 2개의 안내부(85)끼리를 접속한다. 제1 만곡부(81a)가 형성하는 이동체 통로(82)의 가장자리부는, 이동체 통로(82)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대개구부(83)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있다. 제2 만곡부(81b)가 형성하는 이동체 통로(82)의 가장자리부는, 이동체 통로(82)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사교(斜交)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소개구부(84)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있다. 2개의 안내부(85), 제1 만곡부(81a) 및, 제2 만곡부(81b)는, 이동체 통로(82)의 내주연(82a)을 형성한다.
제2 이동체부(81)는, 제1 이동체부(71)의 걸어맞춤 홈(77)에 걸어맞춤하는 피걸어맞춤부로서의 걸어맞춤 돌출부(86)를 갖고 있다. 걸어맞춤 돌출부(86)는, 제1 만곡부(81a)가 형성하는 이동체 통로(82)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돌출하는 평판 형상이다. 따라서, 걸어맞춤 돌출부(86)는, 이동체 통로(82)의 내주연(82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출부(86)는, 제1 만곡부(81a)로부터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된 후, 안내창(60)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고, 안내창(6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 돌출부(86)는, 안내창(60)의 내부에 대하여 구동축(47)의 지름 방향에서 겹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출부(86)의 선단부의 판두께 방향은,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걸어맞춤 돌출부(86)의 선단부는, 제1 본체부(72)의 걸어맞춤 홈(77)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2개의 안내부(85)의 한쪽은, 이동체 통로(82)에 연속됨과 함께 축공(48)의 내주면에 대하여 이간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단차부(87)를 갖고 있다. 단차부(87)는, 2개의 안내부(85)의 한쪽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가늘고 긴 박판 형상이다. 따라서, 2개의 안내부(85)의 한쪽의 외면의 일부분은, 축공(48)의 내주면에 대하여 이간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2개의 안내부(85)의 한쪽은, 소개구부(84) 근방의 부위가 단차부(87)로 되어 있다.
구동축(47)이, 도 14에 나타내는 화살표 R1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2개의 안내부(85) 중, 단차부(87)를 갖는 안내부(85)가,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선행측에 위치하도록, 안내창(60)에 대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이동체부(81)는, 대개구부(83)가, 소개구부(84)보다도 제1 규제면(65) 근방에 위치하도록, 안내창(60)에 대하여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안내부(85) 중,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선행측에 위치하는 안내부(85)는, 단차부(87)를 갖고 있다.
단차부(87)는, 안내창(60)의 안내면(67)에 대하여,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겹쳐 있고, 안내면(67) 상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단차부(87)에 있어서의 축공(4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거리는, 단차부(87)가 안내면(67) 상에 위치하는 거리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단차부(87)는, 안내면(67)에 안내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밸브체(74)는, 축로(57)의 소경로(62)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이동체부(71)의 제1 본체부(72)는, 축로(57)의 대경로(61) 내에 위치하고 있다. 걸어맞춤 홈(77)은, 축로(57) 내에 삽입될 때의 제1 이동체부(71)의 둘레 방향의 방향에 관계없이, 그의 일부분이 안내창(60)으로부터 항상 향하고 있다. 제1 본체부(72)의 제1 단면(72a)에는, 사판실(32)로부터 사판 흡입공(56), 제1 경로(58) 및, 축로(57)를 통하여 흡입 압력이 작용한다. 한편, 제1 본체부(72)에 있어서의 제1 축부(73)와는 반대측의 제2 단면(72b)에는, 제어압실(46)의 제어 압력이 작용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이동체부(81)는, 안내창(60) 내에 형성됨으로써, 구동축(47)의 축심(L1)을 사이에 두고 구동축(47)의 본체부(64)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제2 축공(27) 내에 노출되어 있다. 제2 이동체부(81)는, 제2 축공(27)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2 이동체부(81)는, 안내창(60) 내에 형성됨으로써, 본체부(64)와 협동하여 제2 축공(27)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이루는 원통체를 구성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이동체부(81)는, 걸어맞춤 돌출부(86)가 걸어맞춤 홈(77) 내에 삽입됨으로써, 제1 이동체부(71)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안내창(60)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이동체부(71)와 제2 이동체부(81)가 조립됨으로써, 제1 이동체부(71)와 제2 이동체부(81)는,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이동체부(81)의 이동체 통로(82)는, 축로(57)와 연통하고 있다.
대경로(61) 내에는, 탄성 지지 용수철(88)이 수용되어 있다. 탄성 지지 용수철(88)의 일단은, 단차면(63)에 지지되어 있다. 탄성 지지 용수철(88)의 타단은, 제1 본체부(72)의 제1 단면(72a)에 지지되어 있다. 탄성 지지 용수철(88)은, 제어압실(46)의 제어 압력에 저항하여, 제1 본체부(72)를 제어압실(46)을 향하여 탄성 지지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47)의 회전은, 안내면(67)을 통하여 제2 이동체부(81)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2 이동체부(81)는, 구동축(47)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 걸어맞춤 홈(77)과 걸어맞춤 돌출부(86)가 걸어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이동체부(71)가, 축로(57) 내에 있어서, 제2 이동체부(81)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체(70)는, 구동축(47)에 형성되어, 구동축(47)과 일체 회전한다. 그리고, 구동축(47)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체(70)가 구동축(47)과 일체 회전함으로써, 이동체 통로(82)가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에 간헐적으로 연통한다. 따라서, 이동체 통로(82)는, 구동축(47)의 회전에 수반하여 간헐적으로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연통하는 제2 연통로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47)의 회전에 의해, 제2 경로(59)가 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와 간헐적으로 연통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식 압축기(10)는, 제어 밸브(89)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밸브(89)는, 리어 하우징(15)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식 압축기(10)는, 사판실(32)과 제어 밸브(89)를 접속하는 검지 통로(90)를 구비하고 있다. 검지 통로(90)는, 리어 하우징(15) 및 제2 실린더 블록(13)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리어 하우징(15)에는, 제1 급기 통로(91) 및 제2 급기 통로(9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급기 통로(91)는, 제2 토출실(42)과 제어 밸브(89)를 접속하고 있다. 제2 급기 통로(92)는, 제어압실(46)과 제어 밸브(89)를 서로 접속하고 있다.
제어압실(46)에는, 제2 토출실(42) 내의 냉매 가스의 일부가, 제1 급기 통로(91), 제어 밸브(89) 및, 제2 급기 통로(92)를 통하여 도입된다. 또한, 제어압실(46)은, 도시하지 않는 추기 통로에 의해 사판실(32)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어압실(46)의 냉매 가스는, 추기 통로를 통하여 사판실(32)에 배출된다.
제어 밸브(89)는, 사판실(32) 내의 냉매 가스의 압력인 흡입 압력을 검지 통로(90)를 통하여 감지함으로써, 밸브 개도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제어 밸브(89)는, 제2 토출실(42)로부터 제1 급기 통로(91), 제어 밸브(89) 및, 제2 급기 통로(92)를 통하여 제어압실(46)에 도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조정한다. 제어 밸브(89)의 밸브 개도가 커지면, 제2 토출실(42)로부터 제1 급기 통로(91), 제어 밸브(89) 및, 제2 급기 통로(92)를 통하여 제어압실(46)에 도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증대한다. 또한, 제어 밸브(89)의 밸브 개도가 작아지면, 제2 토출실(42)로부터 제1 급기 통로(91), 제어 밸브(89) 및, 제2 급기 통로(92)를 통하여 제어압실(46)에 도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감소한다. 이와 같이, 제어 밸브(89)는, 제어압실(46)로부터 사판실(32)에 배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에 대하여, 제2 토출실(42)로부터 제어압실(46)에 도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제어압실(46)의 냉매 가스의 압력인 제어 압력을 제어한다.
도 3,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을 화살표 R1로 나타낸다. 구동축(47)이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회전 각도에 있을 때에, 도 3에 나타내는 제1 압축실(53a)은,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로 된다. 따라서, 제1 압축실(53a)에 대하여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1 압축실(53b, 53e) 중,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1 압축실(53b)에서는, 제1 압축실(53a)보다도 흡입 행정이 진행된 상태가 되어, 흡입 행정의 중기 단계로 된다. 그리고, 제1 압축실(53b)에 대하여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1 압축실(53a, 53c) 중,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1 압축실(53c)에서는, 피스톤(52)의 제1 두부(52a)가 하사점이 되고, 흡입 행정으로부터 압축 행정으로 이행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 압축실(53c)에서는, 흡입 행정의 후기 단계로부터 압축 행정의 초기 단계로 이행하는 상태에 있다. 또한, 제1 압축실(53c)에 대하여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1 압축실(53b, 53d) 중,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1 압축실(53d)에서는, 제1 압축실(53c)보다도 압축 행정이 진행된 상태가 되어, 압축 행정의 중기 단계로 된다. 또한, 제1 압축실(53d)에 대하여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1 압축실(53c, 53e) 중,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1 압축실(53e)에서는, 피스톤(52)의 제1 두부(52a)가 상사점이 되어, 압축 행정의 후기 단계로부터 토출 행정으로 이행하는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제2 경로(59)는,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에 있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과 연통하는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와 연통한다. 또한, 제2 경로(59)는, 흡입 행정의 중기 단계에 있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과 연통하는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와 대향한다.
따라서, 구동축(47)의 회전 각도가 도 3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1 압축실(53a)이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에 있고, 제1 압축실(53b)이 흡입 행정의 중기 단계에 있는 점에서, 제2 경로(59)는, 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와 대향한다. 그리고, 구동축(47)이 도 3에 나타내는 위치보다도 더욱 회전하면, 제2 경로(59)는, 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e)에 대향한다.
이 때, 프런트측 연통로(21e)와 연통하는 제1 압축실(53e)은,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로 되어 있고, 프런트측 연통로(21a)와 연통하는 제1 압축실(53a)은, 흡입 행정의 중기 단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경로(59)는, 구동축(47)의 회전에 수반하여,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에 있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에 연통하는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에 순차적으로 대향한다. 또한, 제2 경로(59)는, 구동축(47)의 회전에 수반하여, 흡입 행정의 중기 단계에 있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과 연통하는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에 순차적으로 대향한다.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흡입 행정 또는 토출 행정 등의 행정에 있을 때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제2 압축실(54a)은, 압축 행정의 중기 단계에 있다. 또한, 제2 압축실(54a)에 대하여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2 압축실(54b, 54e) 중,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2 압축실(54b)에서는, 제2 압축실(54a)보다도 압축 행정이 진행된 상태로 되어, 압축 행정의 후기 단계로 된다. 그리고, 제2 압축실(54b)에 대하여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2 압축실(54a, 54c) 중,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2 압축실(54c)에서는, 피스톤(52)의 제2 두부(52b)가 상사점이 되어, 토출 행정으로부터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로 이행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제2 압축실(54c)에 대하여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2 압축실(54b, 54d) 중,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2 압축실(54d)에서는, 제2 압축실(54c)보다도 흡입 행정이 진행된 상태로 되어, 흡입 행정의 중기 단계로 된다. 그리고, 제2 압축실(54d)에 대하여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2 압축실(54c, 54e) 중,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2 압축실(54e)에서는, 제2 압축실(54d)보다도 흡입 행정이 더욱 진행된 상태로 되어, 흡입 행정의 후기 단계로 된다. 즉,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 중, 제2 압축실(54a, 54b)은 고압 상태로 되고,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 중, 제2 압축실(54c, 54d, 54e)은 저압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제2 이동체부(81)가 안내창(60) 내에 형성됨으로써, 제2 이동체부(81)는,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에 대향한다. 따라서, 구동축(47)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회전 각도에 있을 때에, 제2 이동체부(81)는, 제2 압축실(54c)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c)와, 제2 압축실(54d)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d)와, 제2 압축실(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e)에 대향한다.
한편, 구동축(47)의 본체부(64)는,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대향한다. 따라서, 구동축(47)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회전 각도에 있을 때에, 본체부(64)는, 제2 압축실(54a)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와, 제2 압축실(54b)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b)에 대향한다.
제2 이동체부(81)는, 구동축(47)의 회전에 수반하여,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순차적으로 대향한다. 또한, 본체부(64)는, 구동축(47)의 회전에 수반하여,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순차적으로 대향한다.
여기에서, 본체부(64)에 있어서의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단면은,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에 있는 제2 압축실(54c)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c)와, 압축 행정의 후기 단계로 되는 제2 압축실(54b)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b)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부(64)는,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에 있는 제2 압축실(54c)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c)와, 압축 행정의 후기 단계로 되는 제2 압축실(54b)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b)의 사이로부터 축공(48)의 내주면을 따라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보다도 크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64)에 있어서의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선행측에 위치하는 단면은, 압축 행정의 중기 단계로 되는 제2 압축실(54a)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와, 흡입 행정의 후기 단계로 되는 제2 압축실(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e)의 사이를 넘은 위치에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64)에 있어서의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선행측에 위치하는 단면은, 흡입 행정의 후기 단계로 되는 제2 압축실(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e)와 대향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피스톤식 압축기(10)에서는, 제2 이동체부(81)의 안내창(60) 내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서, 구동축(47)의 1회전 당에 있어서의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의 연통 면적이 변화한다. 또한, 소경로(62) 내에 있어서의 흡입 밸브체(74)의 위치에 따라서, 제2 경로(59)와 축로(57)의 연통 면적이 변화하고, 구동축(47)의 1회전 당에 있어서의 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와 제2 경로(59)의 연통 면적이 변화한다.
예를 들면, 제어 밸브(89)의 밸브 개도를 작게 하면, 제2 토출실(42)로부터 제어압실(46)에 도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감소하고, 제1 본체부(72)에 작용하는 제어 압력과 흡입 압력의 차인 가변 차압이 작아 진다. 그리고, 탄성 지지 용수철(88)의 탄성 지지력과 제1 본체부(72)의 제1 단면(72a)에 작용하는 흡입 압력을 서로 더한 힘이, 제1 본체부(72)의 제2 단면(72b)에 작용하는 제어 압력을 이겨, 제1 이동체부(71)가 제어압실(46)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이동체부(81)의 2개의 안내부(85)가, 안내창(60) 내를 2개의 안내면(67)으로 안내되면서, 제2 이동체부(81)가 제1 규제면(65)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동체 통로(82)가,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에 대하여 제1 규제면(65)을 향하여 상대 이동한다. 따라서, 2개의 안내면(67)은, 제2 이동체부(81)를 안내한다. 따라서, 안내창(60)은, 이동체(70)를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이동체 통로(82)가,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에 대하여 제1 규제면(65)을 향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는, 이동체 통로(82)에 있어서의 소개구부(84) 근방에서 이동체 통로(82)와 연통한다. 이에 따라, 구동축(47)의 1회전 당에 있어서의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의 연통 면적이 서서히 작아 진다.
또한, 제1 이동체부(71)가 제어압실(46)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흡입 밸브체(74)는, 축로(57)의 소경로(62) 내를 대경로(61)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 소경로(62) 내에 있어서, 흡입 밸브체(74)가 제2 경로(59)를 폐쇄하기 시작하고, 축로(57)와 제2 경로(59)의 연통 면적이 서서히 작아진다.
그리고, 제어 밸브(89)의 밸브 개도를 더욱 작게 하여, 제어압실(46)의 제어 압력을 더욱 감소시키면, 가변 차압이 최소가 된다. 이에 따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이동체부(71)가 대경로(61) 내에서 가장 제어압실(46)을 향하여 이동한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제2 이동체부(81)가 안내창(60) 내를 가장 제1 규제면(65)을 향하여 이동한 상태로 되어, 제2 이동체부(81)의 제1 만곡부(81a)가 제1 규제면(65)과 맞닿는다. 이 제2 이동체부(81)의 제1 만곡부(81a)와 제1 규제면(65)의 맞닿음에 의해, 제1 이동체부(71)에 있어서의 제어압실(46)을 향한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가, 이동체 통로(82)에 있어서의 소개구부(84)와 연통하고, 구동축(47)의 1회전 당에 있어서의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의 연통 면적이 최소가 된다.
제2 이동체부(81)의 제1 만곡부(81a)와 제1 규제면(65)이 맞닿은 상태에서, 구동축(47)이,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회전 각도에 있을 때에, 제2 이동체부(81)는, 리어측 연통로(29c)와 이동체 통로(82)를 서로 연통시킨다. 이 때, 리어측 연통로(29c)가 연통하는 제2 압축실(54c)은, 토출 행정으로부터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로 이행하는 상태에 있다. 또한, 제2 이동체부(81)는, 제2 만곡부(81b)의 외면에 의해, 각 리어측 연통로(29d, 29e)와 이동체 통로(82)를 서로 비연통으로 한다. 즉, 제2 이동체부(81)는,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만, 이동체 통로(82)와 연통시킨다.
또한, 구동축(47)의 본체부(64)는,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대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동축(47)의 본체부(64)는,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를 서로 비연통으로 한다. 즉, 구동축(47)을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에 노출시킴으로써, 구동축(47)에 의해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가 비연통으로 된다.
이와 같이, 가변 차압이 최소일 때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는,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에 있을 때만, 사판실(32)로부터 사판 흡입공(56), 제1 경로(58), 축로(57), 이동체 통로(82) 및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를 통하여 냉매 가스가 흡입된다. 이에 따라, 사판실(32)로부터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흡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가장 작아 지고,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로부터 제2 토출실(42)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소가 된다.
이 때, 구동축(47)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체 통로(82)가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대향하기 전의 타이밍에서, 단차부(87)가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대향한다. 축공(48)의 내주면과 단차부(87)의 사이는, 이동체 통로(82)로부터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로 냉매 가스를 유도하기 위한 유로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이동체 통로(82)로부터의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로의 냉매 가스의 흡입이, 구동축(47)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체 통로(82)가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대향하기 전의 타이밍에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변 차압이 최소가 되고, 제1 이동체부(71)가 대경로(61) 내를 가장 제어압실(46)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밸브체(74)는, 소경로(62) 내에 있어서 제2 경로(59)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축로(57)와 제2 경로(59)의 연통 면적이 최소, 즉, 거의 제로가 된다. 그 결과, 가변 차압이 최소일 때는, 사판실(32)로부터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에 흡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거의 제로가 되고,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로부터 제1 토출실(36)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거의 제로가 된다. 따라서, 가변 차압이 최소일 때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은, 흡입일 및 압축일이 행해지지 않는 기통(氣筒) 휴지 상태로 된다. 이상에 의해,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 및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로부터 제1 토출실(36) 및 제2 토출실(42)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감소한다.
예를 들면, 제어 밸브(89)의 밸브 개도를 크게 하면, 제2 토출실(42)로부터 제어압실(46)에 도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증대하여, 가변 차압이 커진다. 그리고, 제1 본체부(72)의 제2 단면(72b)에 작용하는 제어 압력이, 탄성 지지 용수철(88)의 탄성 지지력과, 제1 본체부(72)의 제1 단면(72a)에 작용하는 흡입 압력을 서로 더한 힘에 이겨, 제1 이동체부(71)가 제어압실(46)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이동체부(81)의 2개의 안내부(85)가, 안내창(60) 내를 2개의 안내면(67)에 안내되면서, 제2 이동체부(81)가 제2 규제면(66)을 향하여 이동하고, 이동체 통로(82)가,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에 대하여 제2 규제면(66)을 향하여 상대 이동한다. 따라서, 제1 이동체부(71)는, 제어 압력에 기초하여 축로(57) 내를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동체(70)는, 제어 압력에 기초하여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구동축(47)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이동체 통로(82)가,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에 대하여 제2 규제면(66)을 향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는, 이동체 통로(82)에 있어서의 대개구부(83) 근방에서 이동체 통로(82)와 연통한다. 이에 따라, 구동축(47)의 1회전 당에 있어서의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의 연통 면적이 서서히 커진다.
또한, 제1 이동체부(71)가 제어압실(46)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흡입 밸브체(74)는, 축로(57)의 소경로(62) 내를 대경로(61)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소경로(62) 내에 있어서, 흡입 밸브체(74)가 제2 경로(59)를 열기 시작하여, 축로(57)와 제2 경로(59)의 연통 면적이 서서히 커지고, 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와, 제2 경로(59)의 연통 면적이 제로보다도 커진다. 이에 따라,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 또는 흡입 행정의 중기 단계에 있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에 대하여, 사판실(32)로부터 사판 흡입공(56), 제1 경로(58), 축로(57), 제2 경로(59) 및, 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를 통하여 냉매 가스가 흡입된다. 그 결과,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에 있어서, 흡입일 및 압축일이 행해지고,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로부터 제1 토출실(36)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증대한다.
그리고, 제어 밸브(89)의 밸브 개도를 더욱 크게 하고, 제어압실(46)의 제어 압력을 더욱 증대시키면, 가변 차압이 최대가 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이동체부(71)가 대경로(61) 내에서 가장 제어압실(46)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이동한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제2 이동체부(81)가 안내창(60) 내를 가장 제2 규제면(66)을 향하여 이동한 상태로 되어, 제2 이동체부(81)의 제2 만곡부(81b)가 제2 규제면(66)과 맞닿는다. 이 제2 이동체부(81)의 제2 만곡부(81b)와 제2 규제면(66)의 맞닿음에 의해, 제1 이동체부(71)에 있어서의 제어압실(46)과는 반대측을 향한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가, 이동체 통로(82)에 있어서의 대개구부(83)와 연통하고, 구동축(47)의 1회전 당에 있어서의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의 연통 면적이 최대가 된다.
제2 이동체부(81)의 제2 만곡부(81b)와 제2 규제면(66)이 맞닿은 상태에서, 구동축(47)이,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회전 각도에 있을 때에, 제2 이동체부(81)는, 각 리어측 연통로(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를 서로 연통시킨다. 즉, 제2 이동체부(81)는,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를 서로 연통시킨다. 또한, 제2 이동체부(81)는, 흡입 행정의 중기 단계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를 서로 연통시킨다. 또한, 제2 이동체부(81)는, 흡입 행정의 후기 단계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를 서로 연통시킨다. 따라서, 이동체(70)에 의해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가 연통한다.
또한, 구동축(47)의 본체부(64)는,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대향한다. 따라서, 구동축(47)에 의해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가 서로 비연통이 된다.
이와 같이, 가변 차압이 최대가 됨으로써,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는,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로부터 후기 단계에 걸쳐, 사판실(32) 내의 냉매 가스가 흡입된다. 이 때문에,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 내에 흡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증대하여,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로부터 제2 토출실(42)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대가 된다.
또한, 가변 차압이 최대가 되어, 제1 이동체부(71)가 대경로(61) 내를 가장 제어압실(46)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밸브체(74)는, 소경로(62) 내에 있어서 제2 경로(59)의 개도를 최대로 한다. 이에 따라, 축로(57)와 제2 경로(59)의 연통 면적이 최대가 되고, 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와, 제2 경로(59)의 연통 면적이 최대가 된다. 그 결과,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 내에 흡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대가 되기 때문에,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로부터 제1 토출실(36)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대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피스톤식 압축기(10)는, 이동체(70)의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 및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로부터 제1 토출실(36) 및 제2 토출실(42)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변화한다.
예를 들면,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과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를 통하여, 압축 행정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 가스의 일부가 제2 축공(27) 내를 향하여 유통한다. 이 때, 제2 축공(27) 내에 있어서, 구동축(47)의 본체부(64)가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과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대향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64)는,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과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를 서로 비연통으로 한다. 그리고, 구동축(47)은 철강제인 점에서, 구동축(47)은,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로부터의 압축 하중을 받아 들인다. 이 때문에, 제2 이동체부(81)에는 압축 하중이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동체(70)가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과 연통하는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를 통하여, 압축 행정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 가스의 일부가 제1 축공(19) 내를 향하여 유통한다. 이 때도, 구동축(47)은,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로부터의 압축 하중을 받아 들인다. 이 때문에, 흡입 밸브체(74)에 압축 하중이 작용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종래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제어성을 향상하기 위해, 보다 큰 추력에 의해 이동체를 구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체에 있어서의 제어 압력의 수압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체에 있어서의 제어 압력의 수압(受壓) 면적을 크게 하면, 이동체가 대형화하고, 이동체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축공도 대형화하게 되기 때문에, 피스톤식 압축기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는, 높은 제어성을 발휘함과 함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 압력에 기초하여, 제1 이동체부(71)가 축로(57) 내를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이동체부(81)는, 안내창(60)에 있어서 제1 이동체부(71)와 일체적으로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이동체부(81)에 있어서의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구동축(47)의 1회전 당에서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가 연통하는 축심 둘레의 연통 각도가 변화한다. 이에 따라,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로부터 제2 토출실(42)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변화한다.
여기에서, 제2 이동체부(81)를 제1 이동체부(71)에 걸어맞춤하기 위해 이용되는 걸어맞춤 홈(77)은, 제1 이동체부(71)에 있어서의 안내창(60)으로부터 임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홈(77)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돌출부(86)는, 제2 이동체부(81)에 있어서의 이동체 통로(82)의 내주연(82a)으로부터 돌출함과 함께 안내창(60)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된 평판 형상이다. 이에 의하면, 걸어맞춤 돌출부(86)가, 제2 이동체부(81)의 외방으로 돌출해 있지 않기 때문에, 제2 이동체부(81)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어,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그리고, 구동축(47)을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에 노출시킴으로써, 구동축(47)에 의해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이동체 통로(82)가 서로 비연통이 되고, 피스톤(52)이 하사점으로부터 상사점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은 압축 행정, 또는 토출 행정이 된다. 이에 따라, 구동축(47)에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 내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 가스에 의한 하중인 압축 하중이 대응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를 통하여 작용하는 한편, 이동체(70)에는, 압축 하중이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동체(70)가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큰 추력을 얻기 위해 이동체(70)를 필요 이상으로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높은 제어성을 발휘함과 함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2) 걸어맞춤 돌출부(86)는, 제2 이동체부(81)의 제1 만곡부(81a)가 형성하는 이동체 통로(82)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2 만곡부(81b)가 형성하는 이동체 통로(82)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된 걸어맞춤 돌출부(86)가 걸어맞춤 홈(77)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구성에 비하면, 제2 이동체부(81)가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2 이동체부(81)가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3) 걸어맞춤 돌출부(86)는, 제2 이동체부(81)의 제1 만곡부(81a)가 형성하는 이동체 통로(82)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예를 들면, 걸어맞춤 돌출부(86)가, 제1 만곡부(81a)가 형성하는 이동체 통로(82)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어긋난 위치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면, 제2 이동체부(81)가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2 이동체부(81)가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구동축(47)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제2 이동체부(81)는, 축공(48)의 내주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만곡판 형상이다. 제2 이동체부(81)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예를 들면, 2개의 안내부(85)에 있어서의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의 폭을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안내부(85)에 있어서의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의 폭을 크게 하는 분만큼, 이동체 통로(82)에 있어서의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의 폭이 작아지기 때문에, 이동체 통로(82)의 유로 면적이 작아진다. 그 결과, 이동체 통로(82)로부터의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로의 냉매 가스의 흡입이 행해지기 어려워져, 제어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2개의 안내부(85)의 한쪽이, 이동체 통로(82)에 연속함과 함께 축공(48)의 내주면에 대하여 이간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단차부(87)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축공(48)의 내주면과 단차부(87)의 사이를 이동체 통로(82)로부터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로 냉매 가스를 유도하기 위한 유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동체부(81)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2개의 안내부(85)에 있어서의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의 폭을 크게 해도, 이동체 통로(82)로부터의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로의 냉매 가스의 흡입이 행해지기 어려워지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5) 예를 들면, 구동축(47)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회전 각도일 때, 본체부(64)는,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에 있는 제2 압축실(54c)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c)와, 압축 행정의 후기 단계로 되는 제2 압축실(54b)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b)의 사이로부터 축공(48)의 내주면을 따라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보다도 크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구동축(47)의 회전에 수반하여,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부(64)와 제2 이동체부(81)의 경계가, 압축 행정의 후기 단계로 되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연통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에 대향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압축 행정의 후기 단계로 되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로부터 대응하는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를 향하여 냉매 가스의 역류가 발생해도,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부(64)와 제2 이동체부(81)의 경계를 통하여 축로(57)에 냉매 가스가 새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 행정의 후기 단계로 되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 내의 압축 압력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각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 내를 왕복동하는 피스톤(52)의 제2 두부(52b)의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으로의 이동이 행해지기 쉬워진다. 그 결과, 피스톤식 압축기(10)가 소비하는 동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로(57)에 고온의 냉매 가스가 새버리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압축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6) 2개의 안내부(85) 중,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선행측에 위치하는 안내부(85)는, 단차부(87)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하면, 구동축(47)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체 통로(82)가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대향하기 전의 타이밍에서, 단차부(87)가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와 대향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2 이동체부(81)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2개의 안내부(85)에 있어서의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의 폭을 크게 해도, 이동체 통로(82)로부터의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로의 냉매 가스의 흡입 타이밍이 늦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7) 본체부(64)가, 축공(48)의 내주면을 따라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보다도 커지도록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2 이동체부(81)는,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보다도 작게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이동체 통로(82)의 개구 면적을 확보하고자 하면, 2개의 안내부(85)에 있어서의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의 폭이 작아져, 제2 이동체부(81)의 강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안내부(85)의 한쪽이, 이동체 통로(82)에 연속함과 함께 축공(48)의 내주면에 대하여 이간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단차부(87)를 갖고 있기 때문에, 축공(48)의 내주면과 단차부(87)의 사이를 이동체 통로(82)로부터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로 냉매 가스를 유도하기 위한 유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동체부(81)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2개의 안내부(85)에 있어서의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의 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8) 본체부(64)가, 축공(48)의 내주면을 따라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보다도 크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본체부(64)가 축공(48)의 내주면을 따라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보다도 작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면, 본체부(64)의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64)에 있어서, 압축 행정이나 토출 행정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로부터의 압축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이 확보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 및 이하의 변경예는,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이동체부(81)는, 2개의 안내부(85)의 한쪽이, 2개의 안내부(85)의 다른 한쪽을 향하여 절곡된 가늘고 긴 박판 형상의 절곡부(93)를 갖는 구성이라도 좋다. 절곡부(93)는, 2개의 안내부(85)의 한쪽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절곡부(93)는, 2개의 안내면(67)의 한쪽을 따라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부(93)에 있어서의 2개의 안내부(85)의 다른 한쪽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에, 축공(48)의 내주면에 대하여 이간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단차부(87)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차부(87)는, 이동체 통로(82)에 연속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이동체부(81)는, 제2 이동체부(81)를 보강하는 보강 리브(94)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보강 리브(94)는, 예를 들면, 제1 만곡부(81a)와 제2 만곡부(81b)를 연결하는 가늘고 긴 박판 형상이다. 이에 의하면, 제2 이동체부(81)의 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차부(87)에 있어서의 축공(4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축공(48)의 내주면과 단차부(87)의 사이를, 이동체 통로(82)와 각 리어측 연통로(29a, 29b, 29c, 29d, 29e)의 사이에 형성되는 조리개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로부터 제2 토출실(42)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최소로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차부(87)에 있어서의 축공(4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단차부(87)가 안내면(67) 상에 위치하고 있지 않고, 안내창(60)의 내부에 위치하는 거리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요는, 단차부(87)가, 안내면(67)에 안내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따라서, 2개의 안내부(85)의 한쪽은, 적어도 일부가 2개의 안내면(67)의 한쪽에 안내되는 구성이면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2개의 안내부(85)의 다른 한쪽도 단차부(87)를 갖고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즉, 2개의 안내부(85) 중, 구동축(47)의 회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안내부에도 단차부(87)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2개의 안내부(85)의 한쪽은, 소개구부(84) 근방의 부위에 더하여, 대개구부(83) 근방의 부위도 단차부(87)로 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즉, 2개의 안내부(85)의 대부분이 단차부(87)로 되어 있어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내창(60)이,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즉, 본체부(64)가,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2 이동체부(81)도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된 만곡판 형상이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내창(60)이,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보다도 작게 연장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즉, 본체부(64)가,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보다도 작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2 이동체부(81)는, 구동축(47)의 둘레 방향에서 반둘레보다도 크게 형성된 만곡판 형상이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1 이동체부(71)의 제1 본체부(72)의 외주면에,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구멍 형상의 걸어맞춤공이 형성되어 있고, 걸어맞춤 돌출부(86)가 걸어맞춤공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제2 이동체부(81)가 제1 이동체부(71)에 걸어맞춤되도록 해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걸어맞춤 돌출부(86)가, 제2 만곡부(81b)가 형성하는 이동체 통로(82)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걸어맞춤 돌출부(86)가, 2개의 안내부(85)가 형성하는 이동체 통로(82)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걸어맞춤 돌출부(86)가, 제1 만곡부(81a)가 형성하는 이동체 통로(82)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제2 이동체부(81)의 둘레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어긋난 위치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걸어맞춤 돌출부(86)가, 예를 들면, 만곡판 형상이라도 좋다. 요는, 걸어맞춤 돌출부(86)는, 제2 이동체부(81)에 있어서의 이동체 통로(82)의 내주연(82a)으로부터 돌출함과 함께 안내창(60)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된 판 형상이라면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이동체(70)에 의해, 구동축(47)의 1회전 당에서 사판실(32) 내로부터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 내에 흡입시키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화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흡입 밸브체(74)에 의해, 구동축(47)의 1회전 당에서 사판실(32) 내로부터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 내에 흡입시키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경로(59)는, 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를 통하여,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로부터 흡입 행정의 후기 단계에 있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에 냉매 가스가 흡입되도록 구동축(47)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경로(59)는, 각 프런트측 연통로(21a, 21b, 21c, 21d, 21e)를 통하여,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에 있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에만 냉매 가스가 흡입되도록 구동축(47)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우징(11)에, 흡입구(22)와 연통하는 흡입실을 사판실(32)과는 따로 형성하고,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 및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대하여, 흡입실 내의 냉매 가스가 흡입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흡입실은, 축로(57)에 연통해 있을 필요가 있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동체(70)는, 압축 행정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의 일부를 재팽창 행정 또는 흡입 행정에 있는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에 유통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축(47)의 1회전 당에서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로부터 제2 토출실(42)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밸브(89)는, 외부로부터의 전류의 ON과 OFF를 전환하여 제어 압력을 제어하는 외부 제어 밸브라도 좋고, 외부로부터의 전류에 의존하지 않고 제어 압력을 제어하는 내부 제어 밸브라도 좋다. 여기에서, 제어 밸브(89)가 외부 제어 밸브인 경우, 제어 밸브(89)로의 전류를 OFF로 함으로써, 제어 밸브(89)가 밸브 개도를 작게 하도록 하면,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정지 시에 있어서, 밸브 개도가 작아져, 제어압실(46)의 제어 압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 및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로부터 제1 토출실(36) 및 제2 토출실(42)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소인 상태에서 피스톤식 압축기(10)를 기동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기동 쇼크를 저감할 수 있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밸브(89)는, 추기 통로를 거쳐 제어압실(46)로부터 사판실(32)에 도출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발취측 제어를 행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 및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로부터 제1 토출실(36) 및 제2 토출실(42)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변화시킬 때에 사용하는 제2 토출실(42) 내의 냉매 가스의 양을 적게할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식 압축기(1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어 밸브(89)로의 전류를 OFF로 함으로써 밸브 개도를 크게 하도록 구성하면,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정지 시에 있어서, 밸브 개도가 커져, 제어압실(46)의 제어 압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 및 각 제2 압축실(54a, 54b, 54c, 54d, 54e)로부터 제1 토출실(36) 및 제2 토출실(42)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최소인 상태에서 피스톤식 압축기(10)를 기동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기동 쇼크를 저감할 수 있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밸브(89)는, 추기 통로와 급기 통로의 양자에서 개도를 조정 가능한 3방 밸브라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린더 보어의 개수는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제1 실린더 보어(20a, 20b, 20c, 20d, 20e)의 내경과, 각 제2 실린더 보어(28a, 28b, 28c, 28d, 28e)의 내경이 상이해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2 실린더 블록(13)에 대하여 흡입구(22) 및 토출구(24)를 형성해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경로(58)가, 구동축(47)을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이라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경로(59)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스톤식 압축기(10)는, 예를 들면, 각 제1 압축실(53a, 53b, 53c, 53d, 53e)을 생략한 편두 피스톤식 압축기라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스톤식 압축기(10)는, 구동축(47)에, 풀리 및 전자 클러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상시 동력 전달형의 클러치리스 기구를 통하여 구동축(47)이 차량의 엔진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스톤식 압축기(10)의 탑재 대상은, 차량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다. 따라서, 피스톤식 압축기(10)는, 차량 이외의 공조 장치에 이용되고 있어도 좋다.

Claims (3)

  1.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을 갖고, 흡입실과, 토출실과, 사판실과, 축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축공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승(支承)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사판실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갖는 고정 사판과,
    상기 각 실린더 보어 내에 압축실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사판에 연결되는 피스톤과,
    상기 압축실 내의 냉매를 상기 토출실에 토출시키는 토출 밸브와,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과 일체 회전함과 함께, 제어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체와,
    상기 제어 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블록에는, 상기 실린더 보어에 연통하는 제1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간헐적으로 상기 제1 연통로와 연통하는 제2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의 상기 축심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토출실에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변화하도록 구성된 피스톤식 압축기로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구동축의 내부를 상기 구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함과 함께 상기 흡입실에 연통하는 축로와, 상기 축로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구동축에 있어서의 상기 축공 내에 위치하는 부위의 외주면에 개구하고, 상기 이동체를 상기 축심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창을 갖고,
    상기 이동체에 의해 상기 제1 연통로와 상기 제2 연통로가 서로 연통되고,
    상기 구동축에 의해 상기 제1 연통로와 상기 제2 연통로가 서로 비연통으로 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축로 내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어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축로 내를 상기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체부와,
    상기 제1 이동체부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창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축공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만곡판 형상이고, 상기 제2 연통로가 관통한 상태에서 형성된 제2 이동체부를 갖고,
    상기 제1 이동체부는, 상기 안내창으로부터 임하는 걸어맞춤부를 갖고,
    상기 제2 이동체부는,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하는 피(被)걸어맞춤부를 갖고,
    상기 피걸어맞춤부는, 상기 제2 이동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연통로의 내주연(內周緣)으로부터 돌출함과 함께 상기 안내창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된 판 형상인, 피스톤식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체부는, 상기 제2 연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축심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 가장자리부를 각각 형성하는 만곡판 형상의 제1 만곡부 및 제2 만곡부를 갖고,
    상기 제1 만곡부가 형성하는 상기 제2 연통로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2 연통로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축심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2 만곡부가 형성하는 상기 제2 연통로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2 연통로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축심 방향에 대하여 사교(斜交)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피걸어맞춤부는, 상기 제1 만곡부가 형성하는 상기 제2 연통로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피스톤식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어맞춤부는, 상기 제1 만곡부가 형성하는 상기 제2 연통로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체부의 둘레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피스톤식 압축기.
KR1020227009594A 2019-08-29 2020-08-26 피스톤식 압축기 KR202200495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57340 2019-08-29
JP2019157340A JP7160001B2 (ja) 2019-08-29 2019-08-29 ピストン式圧縮機
PCT/JP2020/032202 WO2021039847A1 (ja) 2019-08-29 2020-08-26 ピストン式圧縮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593A true KR20220049593A (ko) 2022-04-21

Family

ID=7467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594A KR20220049593A (ko) 2019-08-29 2020-08-26 피스톤식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60001B2 (ko)
KR (1) KR20220049593A (ko)
CN (1) CN114341493B (ko)
BR (1) BR112022002543A2 (ko)
WO (1) WO202103984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6680A (ja) 1992-03-04 1993-11-19 Nippon Soken Inc 斜板型可変容量コンプレッサ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5176A (ja) * 2004-04-28 2005-11-10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可変容量圧縮機
JP5306680B2 (ja) 2008-03-18 2013-10-02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子機器
JP6201575B2 (ja) * 2013-09-27 2017-09-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6477441B2 (ja) * 2015-11-20 2019-03-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2018155200A (ja) * 2017-03-17 2018-10-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2018155228A (ja) * 2017-03-21 2018-10-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6680A (ja) 1992-03-04 1993-11-19 Nippon Soken Inc 斜板型可変容量コンプレッ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41493B (zh) 2023-05-09
BR112022002543A2 (pt) 2022-07-19
CN114341493A (zh) 2022-04-12
JP2021032235A (ja) 2021-03-01
JP7160001B2 (ja) 2022-10-25
WO2021039847A1 (ja)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8923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US20120301341A1 (en) Compressor
KR19980070415A (ko) 압축기
KR101194431B1 (ko) 가변 용량 압축기
KR101056882B1 (ko) 스크롤 압축기
EP1298322A1 (en) Reciprocating refrigerant compressor
US6254356B1 (en) Fitting structure for controlling valve in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H05231309A (ja) ピストン型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KR20040107824A (ko) 밀폐형 압축기
US5380163A (en) Gas guiding mechanism in a piston type compressor
US20050196291A1 (en) Piston compressor
KR20220049593A (ko) 피스톤식 압축기
US8215924B2 (en) Oil separating structur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2547594B1 (ko) 가변 용량 사판식 압축기
CN111788391B (zh) 旋转式压缩机
JP2021032237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21032236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KR102235426B1 (ko) 피스톤식 압축기
KR100840919B1 (ko) 압축기
EP3896284B1 (en) Swash plate compressor
JP4663579B2 (ja) 可変容量圧縮機の容量制御弁
CN113677889A (zh) 活塞式压缩机
EP1795750A1 (en) Piston compressor
JP2020056403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10007588A (ja) 冷媒圧縮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