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765B1 -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765B1
KR102230765B1 KR1020200146158A KR20200146158A KR102230765B1 KR 102230765 B1 KR102230765 B1 KR 102230765B1 KR 1020200146158 A KR1020200146158 A KR 1020200146158A KR 20200146158 A KR20200146158 A KR 20200146158A KR 102230765 B1 KR102230765 B1 KR 102230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eet
weight
chemical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이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훈 filed Critical 이정훈
Priority to KR102020014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05Removing selectively parts of at least the upper layer of a multi-layer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베이스시트와 PE시트를 합지한 후 상기 PE시트 위에 약품층을 형성한 다음 약품층 위에 반짝이층, 프라이머층 및 핫멜트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PE시트와 약품층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약품층이 반짝이층의 표면요철을 마감하도록 함으로써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러운 반짝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는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GLITTER SHEET}
본 발명은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시트와 PE시트를 합지한 후 상기 PE시트 위에 약품층을 형성한 다음 약품층 위에 반짝이층, 프라이머층 및 핫멜트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PE시트와 약품층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약품층이 반짝이층의 표면요철을 마감하도록 함으로써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러운 반짝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는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짝이시트란 기재층 위에 반짝이가루로 이루어진 반짝이층을 형성한 시트로서, 일정한 도형, 글자, 숫자 등으로 절단한 후 의류, 문구에 부착되거나 가구등에 인테리어용으로 부착하여 반짝거리는 특성에 의해 시각적 효과를 높이고 외적 미려함을 향상시키는 장식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반짝이 시트는 빛굴절에 의한 반짝거림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최상층을 반짝이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데, 오히려 반짝이층의 표면요철로 인해 표면이 꺼칠거려 의류등이 반짝이층과의 마찰로 인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특허 제10-1305483호에서는 "PET시트와 폴리우레탄 박막시트를 한 쌍의 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자체 택기로 서로 합지하는 단계와; 상기 합지된 폴레우레탄 박막시트의 표면에 다양한 색체무늬를 인쇄하되,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의 일부면에는 인쇄면이 형성되고 일부면에는 인쇄되지 않는 비인쇄면이 되도록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층 상면에 반짝이를 도포하여 반짝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짝이층 상면에 핫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에서 PET 시트를 분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반짝이시트 제조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에서 PET 시트를 분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반짝이층 표면을 폴리우레탄 박막시트가 마감하도록 함으로써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러운 반짝이 시트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기술에 따른 반짝이시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에 보호필름을 부착한 다음 인쇄층부터 폴리우레탄박막시트 부분까지 하프커팅하여 특정한 문양, 예를 들면 로고, 상표, 문자 또는 그림이 표현되도록 절단한 후 문양 이외의 부분을 떼어낸 다음 핫멜트층을 의류와 같은 피부착물에 면접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보호필름에 열을 가해 프레스하면 핫멜트가 녹으면서 피부착물에 부착되며, 이 상태에서 보호필름을 폴리우레탄박막시트에서 분리한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인쇄층부터 폴리우레탄박막시트 부분까지 하프커팅할 때 폴리우레탄시트가 얇더라도 시트로 구성되므로 폴리우레탄시트의 절단이 잘 되지 않아 제품 불량률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베이스시트와 PE시트를 합지한 후 상기 PE시트 위에 약품층을 형성한 다음 약품층 위에 반짝이층, 프라이머층 및 핫멜트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PE시트와 약품층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약품층이 반짝이층의 표면요철을 마감하도록 함으로써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러운 반짝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는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짝이층의 표면요철을 마감을 시트로 구성하지 않고 약품층으로 구성하여 하트커팅이 용이하도록 한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이스시트(110)와 PE시트(120)를 합지하는 단계와; 상기 PE시트(120)의 상면에 약품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약품층(130) 상면에 반짝이층(14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짝이층(140) 상면에 프라이머층(15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층(150) 상면에 핫멜트층(16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PE시트(120)와 약품층(130)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약품층(130) 상면에 투명코팅층(17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시트와 PE시트를 합지한 후 상기 PE시트 위에 약품층을 형성한 다음 약품층 위에 반짝이층, 프라이머층 및 핫멜트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PE시트와 약품층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약품층이 반짝이층의 표면요철을 마감하도록 함으로써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러운 반짝이 시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짝이시트의 제조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반짝이시트의 커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4는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반짝이시트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짝이시트의 제조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짝이시트 제조방법은 베이스시트(110)와 PE시트(120)를 합지하는 단계; 상기 PE시트(120)의 상면에 약품층(1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약품층(130) 상면에 반짝이층(14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짝이층(140) 상면에 프라이머층(15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150) 상면에 핫멜트층(16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E시트(120)와 약품층(130)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약품층(130) 상면에 투명코팅층(17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시트(110)는 기재로서, 종이 또는 PET시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PE시트(120)는 완충성, 연질성, 신축성을 유지하여 반짝이층(140)을 형성할 때 자유롭게 변형되면서 반짝이층(140)이 약품층(130)에 완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구비되며, 나중에 이형된다.
때문에, 상기 PE시트(120)는 약품층(130)과 접착성 보다는 이형성이 좋게 구성되어야 한다. 다만, 약품층(130)에 도포된 반짝이층(140)이 경화될 때 열을 가하게 되는데, PE시트(120)는 열에 약해 쉽게 늘어날 수 있는 바, 베이스시트(110)가 이를 잡아주어 늘어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또한, 약품층(130)은 반짝이층(140)의 표면요철을 마감하여 표면이 매끈하고 부드러운 반짝이시트를 구성하도록 하는 층이다.
하지만, 앞서 설명하였듯이 단순히 구성해서는 안되고, PE시트(120)로부터 용이하게 이형될 수 있는 성분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이것은 반짝이층(140)을 경화고정시킬 때 그 변형을 막고, 완전하고 미려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도입된 PE시트(120)의 존재로 인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약품층(130)은 N,N-다이에틸폼아마이드 6-9중량%, 메틸에틸케톤(MEK) 21-24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조성된다.
이때, N,N-다이에틸폼아마이드는 CAS번호 68-12-2로서, 폴리우레탄수지의 연질화와 가교화에 기여하여 고정안정성 및 부착력 증진에 기여한다.
그리고, 메틸에틸케톤은 용제로서 N,N-다이에틸폼아마이드와 폴리우레탄 간의 결속력을 높인다.
또한, 폴리우레탄수지는 점착력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수지이다.
이 경우, 상기 약품층(130)은 약품층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중량부와, 트리페닐포스핀 5중량부와, 디메틸하이드로겐실란:2-프로판올: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가 1:2: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5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때,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은 극성을 가져 PE시트(120)와의 계면에서의 결합력을 떨어뜨려 이형성을 증대시키도록 작용한다.
또한, 트리페닐포스핀은 경화성을 높이고, 내후성을 증대시켜 반짝이층(140)을 포함한 상태에서 표면 균질화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디메틸하이드로겐실란:2-프로판올: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가 1:2: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은 약품층(130) 내부에 3차원 망상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폴리우레탄이 높은 가교밀도로 인해 일정기간 경과시에도 제품의 박리성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렇게 구성된 약품층(130)과 PE시트(120)간의 박리력(g/25mm)을 테스트한 결과, 65로 확인되었으며, 밀착성은 상중하 중 상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박리력이 50 이상이고 70 이하이기 때문에 박리가 잘 되지만 밀착성도 좋아 어느 정도 점착력도 유지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본 발명에 매우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약품층(130)에는 약품층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5중량부와, 페트롤륨술포네이트 5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젤화 특성 때문에 완충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고, 페트롤륨술포네이트는 변색을 방지하면서 내화학성과 내약품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반짝이층(140)은 잘게 분쇄된 반짝이가루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일종의 장식층이다.
또한, 프라이머층(150)은 핫멜트층(160)을 견고하게 고정, 경화시키기 위한 층으로서,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경시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폴리에스터공중합체(Co-PET)와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우레탄이 6:3:1의 중량비로 혼합된 실록산-우레탄 혼합물이 도포 형성된 층이다.
특히, 프라이머층(150)을 구성할 때 실록산-우레탄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 15중량부, 메타크레졸 25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는데, 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은 슬립성을 양호하게 하여 계면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해 첨가되며, 메타크레졸은 계면에서의 앵커링 기능을 통해 계면 분리를 억제하게 된다.
아울러, 핫멜트층(160)은 프라이머층(150) 위에 도포경화되는 층으로 피착물과의 부착력을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층이며, 통상적으로 알려진 핫멜트를 사용한다.
나아가, 투명코팅층(170)은 약품층(130)이 이형된 후 보호필름(180)에 부착될 때 남은 스티키성(끈적임)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반짝이시트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코팅층(170) 일면에는 보호필름(180)을 부착한 다음, 핫멜트층(160) 부터 투명코팅층(170) 부분까지 하프커팅하여 특정한 문양이 표현되도록 절단한 후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 이외의 부분을 떼어낸 다음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멜트층(160)을 의류와 같은 피부착물(200)에 면접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보호필름(180)에 열을 가해 프레스하여 핫멜트가 녹으면서 피부착물에 부착되도록 한 후 보호필름(180)을 투명코팅층(170)에서 분리한다.
그러면, 반짝이층(140)을 마감하고 있는 약품층(130)으로 인해 표면이 부드러운 반짝이시트를 얻을 수 있다.
110: 베이스시트 120: PE시트
130: 약품층 140: 반짝이층
150: 프라이머층 160: 핫멜트층
170: 투명코팅층 180: 보호필름
200: 피부착물

Claims (4)

  1. 베이스시트(110)와 PE시트(120)를 합지하는 단계와; 상기 PE시트(120)의 상면에 약품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약품층(130) 상면에 반짝이층(14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짝이층(140) 상면에 프라이머층(15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층(150) 상면에 핫멜트층(16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PE시트(120)와 약품층(130)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약품층(130) 상면에 투명코팅층(17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110)는 종이 또는 PET시트이고;
    상기 약품층(130)은 N,N-다이에틸폼아마이드 6-9중량%, 메틸에틸케톤(MEK) 21-24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조성하되,
    상기 약품층(130)은 약품층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중량부와, 트리페닐포스핀 5중량부와, 디메틸하이드로겐실란:2-프로판올: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가 1:2: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5중량부, 폴리아크릴산나트륨 5중량부와, 페트롤륨술포네이트 5중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층(150)은 핫멜트층(160)을 고정, 경화시켜 밀착성과 경시안정성을 높이도록 폴리에스터공중합체(Co-PET)와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우레탄이 6:3:1의 중량비로 혼합된 실록산-우레탄 혼합물이 도포 형성된 층으로서, 실록산-우레탄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 15중량부, 메타크레졸 25중량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46158A 2020-11-04 2020-11-04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 KR102230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158A KR102230765B1 (ko) 2020-11-04 2020-11-04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158A KR102230765B1 (ko) 2020-11-04 2020-11-04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765B1 true KR102230765B1 (ko) 2021-03-19

Family

ID=7526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158A KR102230765B1 (ko) 2020-11-04 2020-11-04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7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0721A (ja) * 2009-06-16 2011-01-06 Kb Seiren Ltd 伸縮性シート
KR101305483B1 (ko) * 2013-03-22 2013-09-06 주식회사 신한양행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KR101434611B1 (ko) * 2012-03-07 2014-08-26 장순동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KR20200049813A (ko) * 2017-08-28 2020-05-08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폴리우레탄과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합성 멤브레인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0721A (ja) * 2009-06-16 2011-01-06 Kb Seiren Ltd 伸縮性シート
KR101434611B1 (ko) * 2012-03-07 2014-08-26 장순동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KR101305483B1 (ko) * 2013-03-22 2013-09-06 주식회사 신한양행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KR20200049813A (ko) * 2017-08-28 2020-05-08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폴리우레탄과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합성 멤브레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315B1 (ko) 표면 위에 3차원 미세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를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미세구조 생성물
DE112017000166B4 (de) Übertragungsfolie, Dekorfolie und Dekorgegenstand
JP2007245647A (ja) インサート成形用加飾シート
GB2134009A (en) Decorative surface covering
CN105980143A (zh) 具有高温稳定性的柔性微球体制品
JP4121488B2 (ja) 化粧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30765B1 (ko)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
KR20170108508A (ko) 입체 패턴을 갖는 실리콘 디자인 전사지
US5169681A (en) Method of producing an ornamental sticker without a separate cutting step
KR101469199B1 (ko) 입체 라벨 및 그 제조방법
JP7405166B2 (ja) 積層体および物品
JP2008137368A (ja) 人体付着用装飾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39186B1 (ko)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872328B2 (ja) 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6264121A (ja) 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05483B1 (ko)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KR20030066083A (ko) 탑경화 코팅 열 전사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 필름의전사방법
JP3841894B2 (ja) 化粧シート
JP6524128B2 (ja) バルーンへの画像転写方法、バルーン
JP2009530147A (ja) ガラスを装飾するための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47441B1 (ko) 장식 시이트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에프알피장식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516939B1 (ko) 버튼부를 갖는 인서트 패널의 제조방법
ATE212917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färbten flächigen dekormaterialien
JPH01166957A (ja) 内装材の製造方法
KR100897453B1 (ko) 장식용 코팅물질 전사필름을 이용한 장식용 패턴 시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