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813A - 폴리우레탄과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합성 멤브레인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과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합성 멤브레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813A
KR20200049813A KR1020207008882A KR20207008882A KR20200049813A KR 20200049813 A KR20200049813 A KR 20200049813A KR 1020207008882 A KR1020207008882 A KR 1020207008882A KR 20207008882 A KR20207008882 A KR 20207008882A KR 20200049813 A KR20200049813 A KR 20200049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mbrane
composition
polyurethan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462B1 (ko
Inventor
제니퍼 알-라쉬드
제이콥 리페이
채드 스기야마
존 주판시치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0004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analy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ons, cytochr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61B5/147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 A61B5/1473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comprising an immobilised re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5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4Polyureas;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08G18/24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2Alkanols, cycloalkanols or arylalkanols including terpenealcohols
    • C08G18/2825Alkanols, cycloalkanols or arylalkanols including terpenealcohols having at least 6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3Compounds containing ether groups, e.g. oxyalkylated mono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8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 C08G18/2885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8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 C08G18/289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93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04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08G18/4808Mixtures of two or more polyetherdi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54Polyethers containing oxyalkylene groups having four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1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7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74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two or more cycloaliph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6Polyhydrazides; Polytriazoles; Polyamino-triazoles; Polyoxad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95Strip shaped analyte sensors for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145 or A61B5/1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4Molecular weight or degree of polyme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6Hydrophilic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01Enzyme electrodes
    • C12Q1/005Enzyme electrodes involving specific analytes or enzymes
    • C12Q1/006Enzyme electrodes involving specific analytes or enzymes for gluco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합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방법, 및 상기 멤브레인이 개시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자유 친수성 중합체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은,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임의적으로, 쇄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골격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과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합성 멤브레인 조성물
개시된 발명은, 합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방법, 및 상기 멤브레인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7년 8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 62/550922 호, 2017년 8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 62/550929 호, 2017년 8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 62/550937 호, 2017년 9월 15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제 17191475.7 호, 2017년 9월 15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제 17191476.5 호, 및 2017년 9월 15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제 17191477.3 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는 국제 출원이이며, 이들 가출원 및 출원 각각의 전체 내용을 본원에 참고로 인용한다.
센서는 분석물(analyte) 확산-제한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물 확산-제한 멤브레인이 없다면, 센서는 신속히 및 낮은 분석물 농도에서 포화된다. 이상적으로, 센서는 적절한 작동을 위해 충분한 산소를 갖지만, 센서 표면에서 표적 분석물의 포화는 방지된다. 따라서, 분석물 플럭스를 감지 층으로 제한하는 산소 투과성 멤브레인이 흔히 요구된다. 바람직한 확산-제한 멤브레인은 기계적으로 강하고, 생체-적합성이며, 단백질 흡착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산소 확산도를 가지며, 용이하게 제조된다.
폴리우레탄으로부터 형성된 합성 멤브레인은 공지되어 있다. 폴리우레탄은, 다양한 용매와 블렌딩될 때 필름을 형성하는 이의 능력 및 센서에 대한 분석물의 플럭스를 조절하는 능력으로 인해 선택되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5,589,563 호는, 표면 개질 말단 기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으로부터 멤브레인을 캐스팅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표면 개질 말단 기를 갖는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 골격의 말단에 하나 이상의 말단 기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이다. 표면 개질 말단 기 및 골격은, 상기 폴리우레탄의 표면 활성이 골격보다는 표면 개질 말단 기의 표면 활성을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다.
폴리우레탄으로부터 멤브레인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기술은 미국 특허 제 7,226,978 호에 개시되어 있다. 양친매성 공중합체 및 소수성 중합체의 블렌드로부터 형성된 멤브레인이 개시된다. 상기 블렌드는 소수성 매트릭스에 분산된 결과로서 분석물의 확산을 제어하는 친수성 도메인을 갖는 멤브레인을 허용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상기 양친매성 공중합체 또는 소수성 중합체로서 폴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
막을 형성하기 위한 또다른 기술은 미국 특허 제 7,157,528 호 및 미국 특허 제 7,687,586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문헌에는, 생체-적합성 다중-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다중-중합체는 친수성 연질 분절 및 산소-투과성 연질 분절을 포함한다.
폴리우레탄으로부터 멤브레인을 형성하기 위한 또다른 기술은 미국 특허 제 8,255,032 호에 개시되어 있다. 실리콘-함유 폴리우레탄과 친수성 중합체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멤브레인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친수성 중합체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터 및 이들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들 문헌에도 불구하고, 적합한 기계적 특성 및 필름 품질을 더 재현성있는 공정으로 제공하는 합성 멤브레인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이 여전히 필요하다.
합성 멤브레인을 형성하기 위한 공지된 조성물은 목적하는 성능 및 처리 특성이 부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수성 중합체(예컨대, PVP)와 소수성 폴리우레탄의 블렌드로부터 필름을 형성하는 것은 상이한 중합체들의 미세-상 분리로 인해 재현성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은 감소된 분석물 확산도의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강한 고 비점 유기 용매(예컨대,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또는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를 사용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지만, 상기 용매는 중합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건강 및 안전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용매는 센서 상의 중합체 층을 용해시켜 특정 센서-관련 용도에서의 이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멤브레인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9.5 중량%의 용매, 및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혼합물은, 중합체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중합체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40 중량%의,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은,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임의적으로, 쇄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골격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a)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자유 친수성 중합체, 및
(b)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임의적으로, 쇄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골격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 방법, 멤브레인 및 물품은 필름 형성, 재현성, 기계적 특성, 오염 방지, 건강 및 안전, 센서와의 개선 된 호환성 및/또는 용매 제거에 이점을 나타낼 수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멤브레인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9.5 중량%의 용매, 및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혼합물은, 중합체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중합체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4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은,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임의적으로, 쇄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골격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로부터 멤브레인이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a)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자유 친수성 중합체, 및 (b)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임의적으로, 쇄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골격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4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반응 생성물"은,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임의적으로, 쇄 연장제가 동시적 또는 순차적 화학 반응에 관여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i)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쇄 연장제가 모두 함께 단일 용액에서 반응할 때, 또는 (ii) 먼저, 다이이소시아네이트와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반응함으로써 예비-중합체가 형성되고, 이어서 상기 예비-중합체가 후속적으로 쇄 연장제와 반응할 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쇄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이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 또는 상기 멤브레인의 중합체 혼합물은 7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0.5 내지 3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 또는 상기 멤브레인의 중합체 혼합물은 8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0.5 내지 2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 또는 상기 멤브레인의 중합체 혼합물은 85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0.5 내지 15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 또는 상기 멤브레인의 중합체 혼합물은 9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0.5 내지 1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개시된 조성물, 멤브레인 및 센서는 기계적 특성(예컨대, 모듈러스, 인장 강도, 신도 또는 내구성), 분석물 투과도, 산소 투과도, 기계적 특성의 등방성, 표면 품질, 및 더 넓은 범위의 용매, 공정 재현성, 공정 속도, 건강 및 안전 문제(예컨대, 더 용이하거나 더 편리한 잔류 용매의 제거) 면에서 종래 기술보다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자유 친수성 중합체
상기 멤브레인 또는 상기 멤브레인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자유 친수성 중합체는 공유 결합에 의해 폴리우레탄에 결합되지 않은 친수성 중합체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는 폴리옥사졸린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는 폴리(2-메틸-2-옥사졸린) 또는 폴리(2-에틸-2-옥사졸린)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는 폴리(2-메틸-2-옥사졸린), 폴리(2-에틸-2-옥사졸린),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는 폴리옥사졸린;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히알루론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는 폴리옥사졸린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는 5,000 g/mol 이상, 10,000 g/mol 이상, 50,000 g/mol 이상, 100,000 g/mol 이상 또는 200,000 g/mol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는 10,000,000 g/mol 이하, 5,000,000 g/mol 이하, 2,000,000 g/mol 이하, 1,000,000 g/mol 이하, 500,000 g/mol 이하 또는 200,000 g/mol 이하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진다.
폴리우레탄
상기 폴리우레탄은,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임의적으로, 쇄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골격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임의적으로, 쇄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골격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말단 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선형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분지형이다.
상기 골격, 말단 기 또는 이들 둘 다는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한다.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한다"는,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 잔기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골격은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평균 0.1개 이상의 말단 기, 0.25개 이상의 말단 기, 0.5개 이상의 말단 기, 1개 이상의 말단 기, 1.5개 이상의 말단 기, 1.8개 이상의 말단 기, 약 2개의 말단 기 또는 2개 이상의 말단 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골격 및 말단 기 둘 다가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은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한다. 상기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는,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다이올을 폴리우레탄이 형성되는 제형에 혼입함으로써 골격 내로 혼입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은 1H,1H,4H,4H-퍼플루오로-1,4-부탄다이올, 1H,1H,5H,5H-퍼플루오로-1,5-펜탄다이올, 1H,1H,6H,6H-퍼플루오로-1,6-헥산다이올, 1H,1H,8H,8H-퍼플루오로-1,8-옥탄다이올, 1H,1H,9H,9H-퍼플루오로-1,9-노난다이올, 1H,1H,10H,10H-퍼플루오로-1,10-데칸다이올, 1H,1H,12H,12H-퍼플루오로-1,12-도데칸다이올, 1H,1H,8H,8H-퍼플루오로-3,6-다이옥사옥탄-1,8-다이올, 1H,1H,11H,11H-퍼플루오로-3,6,9-트라이옥사운데칸-1,11-다이올, 불화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또는 불화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의 잔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은, 150 g/mol 이상, 250 g/mol 이상 또는 500 g/mol 이상의 Mn을 갖는 플루오로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블록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예비-중합체는, 1500 g/mol 이하, 1000 g/mol 이하 또는 850 g/mol 이하의 Mn을 갖는 플루오로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블록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또는 5 중량% 이상의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또는 8 중량% 이하의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 말단 기 또는 이들 둘 다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는, 폴리실록산 잔기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골격은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은 폴리실록산 잔기가 없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없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폴리실록산 잔기를 포함하는 말단 기가 없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없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또는 15 중량% 이상의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또는 30 중량% 이하의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친수성 중합체 잔기가 없다. 상기 친수성 중합체 잔기의 예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옥사졸린 잔기이다.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은 다이이소시아네이트의 잔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는 분자 당 평균 1.9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기 및 분자 당 평균 2.7개 미만의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는 지방족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는 4,4'-다이페닐메탄 다이이소시아네이트(MDI), 2,4-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HDI), 테트라메틸렌-1,4-다이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산-1,4-다이이소시아네이트, 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4,4'-다이이소시아네이트(HMDI), 이소포론 다이이소시아네이트(IPDI)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는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 4,4'-다이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는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다이사이클로 헥실메탄 4,4'-다이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는 4,4'-다이페닐메탄 다이이소시아네이트(MDI), 2,4-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또는 1,4-페닐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는 4,4'-다이페닐메탄 다이이소시아네이트(MDI), 2,4-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의 분자량은 100 내지 500 g/mol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의 분자량은 150 내지 260 g/mol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형성되는 제형은,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또는 40 중량% 이상의 다이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형성되는 제형은,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또는 20 중량% 이하의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또는 40 중량% 이상의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잔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또는 20 중량% 이하의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잔기를 포함한다.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상기 폴리우레탄은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의 잔기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2개의 OH 기 및 골격을 포함한다. OH 기는 상기 골격에 직접 부착될 수 있거나 연결체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알킬 종결된 폴리다이메틸실록산(카비놀 종결됨)이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실록산, 이들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카보네이트, 이들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다이올,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폴리(이소부틸렌) 다이올, 폴리에스터 다이올(예컨대, 아디프산 또는 이소프탈산과 단량체성 다이올로부터 형성된 폴리에스터 다이올), 알칸다이올(예컨대, 수소화된 폴리부타다이엔 다이올 또는 폴리에틸렌 다이올),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 다이올, 폴리(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 카보네이트) 다이올, 폴리실록산 다이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다이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다이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폴리실록산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다이올,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폴리(이소부틸렌) 다이올, 폴리실록산 다이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다이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다이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폴리실록산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다이올,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다이올,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다이올,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다이올 중 하나 이상과 폴리실록산 다이올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 다이올 또는 폴리(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 카보네이트) 다이올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 다이올, 폴리(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 카보네이트) 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500 g/mol 이상, 750 g/mol 이상, 1000 g/mol 이상 또는 1500 g/mol 이상의 Mn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10,000 g/mol 이하, 7500 g/mol 이하, 5000 g/mol 이하, 4000 g/mol 이하, 3000 g/mol 이하 또는 2500 g/mol 이하의 Mn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폴리실록산 다이올,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폴리실록산 다이올,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폴리실록산 다이올,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폴리실록산 다이올,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폴리실록산 다이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폴리실록산 다이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의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를 포함하거나,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가 없다.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또는 2 중량% 이하의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거나, 폴리실록산이 없다. 폴리실록산의 예는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또는 2 중량% 이하의,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거나,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및 폴리실록산이 없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200 g/mol 이상, 250 g/mol 이상, 300 g/mol 이상, 400 g/mol 이상 또는 500 g/mol 이상, 600 g/mol, 700 g/mol 이상, 800 g/mol 이상, 900 g/mol 이상 또는 1000 g/mol 이상의 Mn을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은 10,000 g/mol 이하, 8500 g/mol 이하, 6000 g/mol 이하, 5000 g/mol 이하, 4000 g/mol 이하, 3000 g/mol 이하, 2000 g/mol 이하 또는 1500 g/mol 이하의 Mn을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또는 60 중량% 이상의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을 포함하는 제형으로부터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또는 50 중량% 이하의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을 포함하는 제형으로부터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또는 60 중량% 이상의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잔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또는 50 중량% 이하의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잔기를 포함한다.
쇄 연장제
상기 폴리우레탄은 쇄 연장제의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쇄 연장제는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칸다이올이며, 이때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산소로 치환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쇄 연장제는 60 g/mol 이상, 70 g/mol 이상, 80 g/mol 이상, 90 g/mol 이상 또는 100 g/mol 이상의 분자량을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쇄 연장제는 500 g/mol 이하, 400 g/mol 이하, 300 g/mol 이하, 200 g/mol 이하 또는 150 g/mol 이하의 분자량을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쇄 연장제는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다이올, 1,4-부탄다이올, 1,5-펜탄다이올, 1,6-헥산다이올 또는 1,8-옥탄다이올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의 쇄 연장제를 포함하는 제형으로부터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의 쇄 연장제를 포함하는 제형으로부터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의 쇄 연장제의 잔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의 쇄 연장제의 잔기를 포함한다.
말단 기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하나 이상의 말단 기를 포함한다. 말단 기는 분자의 말단에 존재하는 잔기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선형이며, 골격의 각각의 말단에 말단 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선형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분지형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평균 0.1개 이상의 말단 기, 0.25개 이상의 말단 기, 0.5개 이상의 말단 기, 1개 이상의 말단 기, 1.5개 이상의 말단 기, 1.8개 이상의 말단 기, 약 2개의 말단 기 또는 2개 이상의 말단 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평균 4개 이하의 말단 기, 평균 2개 이하의 말단 기 또는 평균 2개 이하의 말단 기를 포함한다.
상기 말단 기는, 중합체 골격을 형성한 후 존재하는 말단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일작용성 잔기 상의 공-반응성 기와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단 이소시아네이트 기는 1-옥탄올 또는 옥틸아민과 반응하여 C8 알킬 말단 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말단 기는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의 형성에 사용되는 제형에 쇄 종결제(예컨대, 일작용성 알코올)를 포함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우레탄을 형성하기 위한 제형은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쇄 연장제 및 일작용성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친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친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와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실록산, C2-C20 알킬, C2-C16 플루오로알킬,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폴리실록산은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친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소수성 폴리(알릴렌 옥사이드)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친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친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와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C2-C20 알킬, C2-C16 플루오로알킬,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말단 기는, 전술된 것들의 일작용성 알코올(예컨대, 카비놀) 또는 아민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한다. 상기 말단 기는,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일작용성 알코올 또는 아민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일작용성 알코올 또는 아민으로부터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1H,1H-퍼플루오로-3,6-다이옥사헵탄-1-올, 1H,1H-노나플루오로-1-펜탄올, 1H,1H-퍼플루오로-1-헥실 알코올, 1H,1H-퍼플루오로-3,6,9-트라이옥사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1-헵틸 알코올, 1H,1H-퍼플루오로-3,6-다이옥사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1-옥틸 알코올, 1H,1H-퍼플루오로-1-노닐 알코올, 1H,1H-퍼플루오로-3,6,9-트라이옥사트라이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1-데실 알코올, 1H,1H-퍼플루오로-1-운데실 알코올, 1H,1H-퍼플루오로-1-라우릴 알코올, 1H,1H-퍼플루오로-1-미리스틸 알코올 또는 1H,1H-퍼플루오로-1-팔미틸 알코올로부터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단량체성이고, 200 g/mol 이상, 300 g/mol 이상 또는 500 g/mol 이상의 분자량을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단량체성이고, 1,000 g/mol 이하 또는 800 g/mol 이하의 분자량을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중합체성이고, 10,000 g/mol 이하, 8,000 g/mol 이하, 6,000 g/mol 이하 또는 4,000 g/mol 이하의 Mn을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중합체성이고, 500 g/mol 이상, 1,000 g/mol 이상 또는 2,000 g/mol 이상의 Mn을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폴리우레탄이 형성되는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또는 0.5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폴리우레탄이 형성되는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또는 0.5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말단 기는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폴리우레탄의 형성
상기 폴리우레탄은 당분야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촉매는 제 1 주석 옥토에이트 또는 다이부틸주석 다이라우레이트이다. 아민 촉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용매
상기 조성물은 용매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멤브레인을 형성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자유 친수성 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필름을 캐스팅한 후, 용매를 증발시킨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틸-THF),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또는 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틸-THF)을 포함한다.
공용매도 존재할 수 있다. 공용매는 용매의 총량의 50 중량% 미만을 차지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공용매가 존재하고, 이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부탄올, 프로판올,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용매는 50 중량% 이상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틸-THF)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50 중량% 미만의, 메탄올, 에탄올, 이소부탄올,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용매는, 조성물 중 용매의 총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이상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틸-THF)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1 내지 60 중량%의 양의, 메탄올, 에탄올, 이소부탄올, 프로판올,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용매는, 상기 조성물의 80 내지 99.8 중량%, 85 중량% 내지 99.5 중량%, 또는 90 중량% 내지 99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공용매는, 용매의 총량의 50 중량% 미만, 40 중량% 미만, 30 중량% 미만, 20 중량% 미만 또는 10 중량% 미만으로 존재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용매는, 조성물 중 용매의 총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이상의, THF, 메틸-THF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1 내지 60 중량%의 양의,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용매는, 조성물 중 용매의 총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이상의 THF, 및 1 내지 60 중량%의 양의,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용매는, 조성물 중 용매의 총량을 기준으로, 70 중량% 이상의 THF, 및 1 내지 30 중량%의 양의, 프로판올, 이소부탄올, 메틸-THF,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은 전형적으로, 폴리우레탄, 자유 친수성 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판(예컨대, 센서) 또는 지지체 라이너 상에 직접 캐스팅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어서, 임의적으로 진공 또는 승온을 사용하여 용매를 증발시킨다. 전형적인 온도는 40 내지 90℃이다. 캐스팅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가제(예컨대, 이형제)가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이형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5 내지 99.5 중량%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글루코스 및 산소 둘 다에 대해 투과성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멤브레인 또는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멤브레인은 1×10-10 cm2/초 내지 9×10-9 cm2/초의 글루코스 투과도를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멤브레인 또는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멤브레인은 1×10-7 cm2/초 내지 1×10-2 cm2/초의 산소 투과도를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멤브레인 또는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멤브레인은 1×10-5 cm2/초 내지 1×10-3 cm2/초의 산소 투과도를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1 내지 100 ㎛의 두께를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질소 하에 24시간 동안 멤브레인을 건조시키고 이어서 50℃에서 1시간 동안 대류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50 ppm 미만의 잔류 용매 함량을 가진다.
응용
개시된 멤브레인은 의료 장치 및 센서에서 유용성을 가진다. 상기 센서는 광범위한 분석물, 예컨대 글루코스, 락트산, 갈락토스, 알코올, 의학적 또는 기분 전환용 약물, 콜레스테롤, 항원, 항체, 바이러스, 비타민, 미네랄, 영양소, 단백질, 아미노산, 호르몬 또는 신경 전달 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혈류 또는 다른 체액에서 글루코스, 락트산, 글루타메이트, 피루베이트, 콜린, 아세틸콜린, 산화 질소, 나트륨, 칼륨, 칼슘, 클로라이드, 바이카보네이트, 우레아, 크레아틴 또는 도파민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는 개시된 바와 같은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분석물과 반응성인 효소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멤브레인 및 제 2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멤브레인은 분석물과 반응성인 효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의료 장치 또는 센서는 신체에 이식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연속 분석물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연속 글루코스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추가로 설명하는 것이지만, 물론,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실리콘 및 소수성 폴리에터 골격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Sil-PE), 플루오로알킬 말단 기와 함께 실리콘 및 소수성 폴리에터 골격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Sil-PE-F), 및 폴리실록산 및 폴리카보네이트 골격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Sil-PC)을 형성하였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촉매 및 이형제의 도움 하에, 언급된 제형으로부터 형성하였다. 산화방지제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재료의 조성을 하기 표 0.1에 제시한다. 모든 양은 중량%로 표시된다.
표 0.1 - 폴리우레탄 재료
Figure pct00001
용액 점도, 산소 투과도, 글루코스 확산도 및 락타아제 확산도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용액 점도
용액 점도는, 보정된 동축 실린더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스핀들 및 샘플 컵을, 외부 순환기를 사용하여 23℃의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였다. 샘플을 상기 컵에 첨가하고, 온도 평형을 위해 30분 이상 동안 유지하였다. 이어서, 스핀들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여, 샘플에 적어도 세 가지 상이한 전단 속도를 적용하였다. 용액 중의 모든 기포가 제거되고 판독 값이 안정화된 후, 점도를 기록하였다. 시험 동안의 용매 증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플라스틱 컵을 상기 샘플 컵 위에 놓았다.
산소 투과도
필름 샘플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고, 호일을 마스킹하여 임의의 누출을 막았다. 멤브레인 두께를 측정하였다. 상기 필름을 모콘 옥스트란(Mocon OxTran) 2/20 시스템에 장착하고, 시험 기체로서의 압축 공기 및 캐리어 기체로서의 99% 질소(1% 수소 함유)를 사용하여, 일정한 기체 투과율로 평형화하였다. 습도는 95%였다. 평형 기체 투과율을 기록하였으며, 기체 투과율은 Barrer로 계산하였다.
글루코스 및 락테이트 확산도
샘플의 필름을 원 형태(직경 약 6 cm)로 절단하여, 임의의 말린 엣지 또는 기포를 제거하였다. 필름의 두께는 두께 게이지를 사용하여 10회 측정하였다. 10 회 측정의 평균을 필름 두께로서 사용하였다. 이어서, 상기 필름을 진공 그리스를 사용하여 두개의 실리콘 개스킷 사이에 장착하였다. 상기 개스킷의 내부 직경은 약 5 cm였다. 이어서, 상기 개스킷을, 탈이온수로 충전된 수용체 공극 및 자기 교반 막대를 갖는 프란츠(Franz) 셀 장치에 장착하였다. 수용체 용기는 샘플링 포트를 장착하고 있으며, 여기서 샘플은 시간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상단을 상기 수용체 용기 상에 놓아, 상기 프란츠 셀 상에 상기 필름을 밀봉하여, 공여체 용기를 생성하였다. 농축된 글루코스 용액(2000 mg/dL) 또는 락테이트 용액(200 mg/mL)을 상기 공여체 용기 내로 삽입하였다. 이어서, 상기 프란츠 셀을 뚜껑으로 닫아, 증발을 방지하였다. 800 RPM에서 교반 하에, 6시간에 걸쳐 100 μL 샘플을 취하였다.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상기 공여체 용기의 액체를 대체하고, 싱크(sink) 조건을 유지하였다.
이어서, 글루코스 비색 분석 및 UV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상기 액체 샘플을 글루코스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교정 곡선을 사용하여 각각의 샘플 중 글루코스의 양을 결정하였다. 시간에 따른 글루코스(mg)/cm2의 기울기를 결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플럭스 값을 이용하여, 각각의 필름의 글루코스 확산도를 계산하였다. 모든 필름을 최소한 2회 분석하여, 누출이 존재하지 않음을 보장하였다.
실시예 1
제시된 용매 중의 제시된 폴리우레탄 및 제시된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시된 고형분%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하여 필름을 형성하였다. PVP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이고, POX는 폴리(2-에틸-2-옥사졸린)이고, PEG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모든 필름을 질소 하에 1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오븐 내에서 50℃에서 1시간 동안(열거된 용매가 THF인 경우) 및 80℃에서 1시간 동안(열거된 용매가 DMAc인 경우) 건조시켰다. 상기 필름을 상기 절차에 따라 산소 투과도 및 글루코스 확산도에 대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제시한다. 자유 친수성 중합체의 중량%는, 폴리우레탄과 자유 친수성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고형분%는, 조성물 중 자유 친수성 중합체 및 폴리 우레탄의 합친 중량의 %이다. 임의의 블랭크 값은 측정되지 않은 것이다.
표 1 - 실시예 1의 조성물 및 결과
Figure pct00002
상기 멤브레인은 글루코스, 및 시험되는 경우, 락트산에 대한 선택도를 나타냈다. 상기 데이터는, 자유 친수성 중합체로서 POX를 포함하는 멤브레인이, 체내 다른 소분자(예컨대, 아세트아미노펜)로부터의 센서 간섭을 감소시켜, 센서의 검출 한계를 낮추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음을 보여준다. Sil-PC 및 POX로 제조된 멤브레인은, THF 또는 DMAc로 캐스팅될 때 글루코스 확산도 및 산소 투과도에 대해 동등한 필름 성능을 나타낸다. Sil-PE-F 및 THF(실험 14 내지 16)로 제조된 조성물은, Sil-PE-F, PVP 및 THF(실험 12 및 13)로 제조된 조성물보다 더 높은 고형분 함량에서 개선된 점도를 나타냈으며, PVP를 용해시키려면 공용매(메탄올)가 필요했다.
PEG로 형성된 멤브레인은 물 또는 가습 공기에 노출시 외관이 흰색이었다. 상기 필름은 불량한 구조적 보전성 및 엣지에서의 말림을 나타냈다. 상기 멤브레인은 쉽게 부서졌다.
실시예 2
자유 친수성 중합체로서 폴리(2-에틸-2-옥사졸린)(POX)(500,000 g/mol의 Mw를 가짐)을 포함하는 멤브레인으로부터 멤브레인 특성에 대한 공용매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다양한 멤브레인을 형성하였다. 폴리우레탄은 SIL-PE-F였다. 상기 필름을 질소 하에 24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이어서 50℃에서 1시간 동안 대류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필름을 상기 절차에 따라 산소 투과도 및 글루코스 확산도에 대해 측정하였다. 제시된 중량%는, 폴리우레탄, 자유 친수성 중합체, 용매 및 공용 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준으로 한다. 블랭크 값은 측정되지 않은 것이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제시한다.
표 2 -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결과
Figure pct00003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추가적 설명
1. (a)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자유 친수성 중합체, 및
(b)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임의적으로, 쇄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골격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4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5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99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상기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0 내지 99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상기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 내지 99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1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5 내지 99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15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11.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9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1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12. 멤브레인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9.5 중량%의 용매, 및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혼합물은, 중합체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중합체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40 중량%의,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은,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임의적으로, 쇄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골격을 포함하는, 조성물.
1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혼합물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0.5 내지 3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1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혼합물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1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혼합물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5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0.5 내지 15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1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혼합물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5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0.5 내지 15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1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혼합물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1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폴리옥사졸린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폴리(2-메틸-2-옥사졸린) 또는 폴리(2-에틸-2-옥사졸린)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2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폴리(2-메틸-2-옥사졸린), 폴리(2-에틸-2-옥사졸린),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21.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폴리옥사졸린;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 알콜 또는 히알루론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2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폴리옥사졸린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2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5,000 g/mol 이상, 10,000 g/mol 이상, 50,000 g/mol 이상, 100,000 g/mol 이상 또는 200,000 g/mol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2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10,000,000 g/mol 이하, 5,000,000 g/mol 이하, 2,000,000 g/mol 이하, 1,000,000 g/mol 이하, 500,000 g/mol 이하 또는 200,000 g/mol 이하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2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2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골격이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2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말단 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2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 및 말단 기 둘 다가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2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또는 5 중량% 이상의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3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또는 8 중량% 이하의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31.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3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골격이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3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말단 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3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 및 말단 기 둘 다가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3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또는 15 중량% 이상의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3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또는 30 중량% 이하의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3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실록산 잔기를 포함하는 말단 기가 없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없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3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또는 상기 조성물이 실록산이 없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3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실록산이 없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4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인,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41.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선형인,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4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친수성 중합체 잔기가 없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4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옥사졸린이 없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4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가 없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4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이 플루오로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 에터 다이올의 잔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4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이 플루오로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 에터 다이올 또는 다이아민의 잔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4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이 1H,1H,4H,4H-퍼플루오로-1,4-부탄다이올, 1H,1H,5H,5H-퍼플루오로-1,5-펜탄다이올, 1H,1H,6H,6H-퍼플루오로-1,6-헥산다이올, 1H,1H,8H,8H-퍼플루오로-1,8-옥탄다이올, 1H,1H,9H,9H-퍼플루오로-1,9-노난다이올, 1H,1H,10H,10H-퍼플루오로-1,10-데칸다이올, 1H,1H,12H,12H-퍼플루오로-1,12-도데칸다이올, 1H,1H,8H,8H-퍼플루오로-3,6-다이옥사옥탄-1,8-다이올, 1H,1H,11H,11H-퍼플루오로-3,6,9-트라이옥사운데칸-1,11-다이올. 불화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또는 불화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의 잔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4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이, 150 g/mol 이상, 250 g/mol 이상 또는 500 g/mol 이상의 Mn을 갖는 플루오로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블록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4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예비-중합체가, 1500 g/mol 이하, 1000 g/mol 이하 또는 850 g/mol 이하의 Mn을 갖는 플루오로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블록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5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이, 골격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또는 5 중량% 이상의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51.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이, 골격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또는 8 중량% 이하의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5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이, (i) 다이이소시아네이트; (ii)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iii) 쇄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5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이, (i) 다이이소시아네이트; (ii)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iii) 쇄 연장제; 및 (iv)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다이올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5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가 지방족 다이이소시아네이트인,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5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가 4,4'-다이페닐메탄 다이이소시아네이트(MDI), 2,4-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HDI), 테트라메틸렌-1,4-다이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산-1,4-다이이소시아네이트, 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4,4'-다이이소시아네이트(HMDI), 이소포론 다이이소시아네이트(IPDI)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5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가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 4,4'-다이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5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가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 4,4'-다이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5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가 방향족 다이이소시아네이트인,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5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가 4,4'-다이페닐메탄 다이이소시아네이트(MDI), 2,4-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또는 1,4-페닐렌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6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가 4,4'-다이페닐메탄 다이이소시아네이트(MDI), 2,4-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61.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가 분자 당 평균 1.9 내지 2.7개의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6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가 100 내지 500 g/mol, 또는 150 내지 260 g/mol의 분자량을 갖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6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형성되는 제형이, 폴리우레탄이 형성되는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또는 40 중량% 이상의 다이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6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또는 20 중량% 이하의 다이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제형으로부터 형성된 것인,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6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또는 40 중량% 이상의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잔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6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또는 20 중량% 이하의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잔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6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6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실록산, 이들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6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카보네이트, 이들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7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다이올,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폴리(이소부틸렌) 다이올,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 다이올, 폴리(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 카보네이트) 다이올, 폴리실록산 다이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다이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다이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폴리실록산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71.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 다이올 또는 폴리(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 카보네이트) 다이올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7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7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7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 다이올, 폴리(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 카보네이트) 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7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실록산 다이올, 또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다이올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7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500 g/mol 이상, 750 g/mol 이상, 1000 g/mol 이상 또는 1500 g/mol 이상의 Mn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7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10,000 g/mol 이하, 7500 g/mol 이하, 5000 g/mol 이하, 4000 g/mol 이하, 3000 g/mol 이하 또는 2500 g/mol 이하의 Mn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7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200 g/mol 이상, 250 g/mol 이상, 300 g/mol 이상, 400 g/mol 이상, 500 g/mol 이상, 600 g/mol 이상, 700 g/mol 이상, 800 g/mol 이상, 900 g/mol 이상 또는 1000 g/mol 이상의 Mn을 갖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7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10,000 g/mol 이하, 8500 g/mol 이하, 6000 g/mol 이하, 5000 g/mol 이하, 4000 g/mol 이하, 3000 g/mol 이하, 2000 g/mol 이하 또는 1500 g/mol 이하의 Mn을 갖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8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또는 2 중량% 이하의,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거나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및 폴리실록산이 없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81.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실록산 다이올,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8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실록산 다이올,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8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실록산 다이올,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8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실록산 다이올,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8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실록산 다이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8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실록산 다이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8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친수성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없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8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가 없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8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지방족 다이올이,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또는 2 중량% 이하의,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을 포함하거나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이 없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9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또는 60 중량% 이상의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을 포함하는 제형으로부터 형성된 것인,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91.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또는 50 중량% 이하의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을 포함하는 제형으로부터 형성된 것인,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9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또는 60 중량% 이상의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잔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9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또는 50 중량% 이하의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잔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9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쇄 연장제가 60 g/mol 이상, 70 g/mol 이상, 80 g/mol 이상, 90 g/mol 이상 또는 100 g/mol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9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쇄 연장제가 500 g/mol 이하, 400 g/mol 이하, 300 g/mol 이하, 200 g/mol 이하 또는 150 g/mol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9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쇄 연장제가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다이올, 1,4-부탄다이올, 1,5-펜탄다이올, 1,6-헥산다이올 또는 1,8-옥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9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쇄 연장제가,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다이올, 1,4-부탄다이올, 1,5-펜탄다이올, 1,6-헥산다이올 또는 1,8-옥탄다이올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9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의 쇄 연장제를 포함하는 제형으로부터 형성된 것인,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9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의 쇄 연장제를 포함하는 제형으로부터 형성된 것인,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0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의 쇄 연장제의 잔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01.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의 쇄 연장제의 잔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0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말단 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0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선형 말단 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0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분지형 말단 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0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선형이고, 상기 골격의 각각의 말단에 말단 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0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평균 0.1개 이상의 말단 기, 0.25개 이상의 말단기, 0.5개 이상의 말단기, 1개의 말단 기, 1.5개 이상의 말단 기, 1.8개 이상의 말단 기, 약 2개의 말단 기 또는 2개 이상의 말단 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0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말단 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0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일작용성 알코올 또는 아민으로부터 형성된 것인,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0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1H,1H-퍼플루오로-3,6-다이옥사헵탄-1-올, 1H,1H-노나플루오로-1-펜탄올, 1H,1H-퍼플루오로-1-헥실 알코올, 1H,1H-퍼플루오로-3,6,9-트라이옥사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1-헵틸 알코올, 1H,1H-퍼플루오로-3,6-다이옥사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1-옥틸 알코올, 1H,1H-퍼플루오로-1-노닐 알코올, 1H,1H-퍼플루오로-3,6,9-트라이옥사트라이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1-데실 알코올, 1H,1H-퍼플루오로-1-운데실 알코올, 1H,1H-퍼플루오로-1-라우릴 알코올, 1H,1H-퍼플루오로-1-미리스틸 알코올 또는 1H,1H-퍼플루오로-1-팔미틸 알코올로부터 형성된 것인,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1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친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친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와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실록산, C2-C20 알킬, C2-C16 플루오로알킬,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11.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1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1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1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친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친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와 소수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C2-C20 알킬, C2-C16 플루오로알킬,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1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단량체성이고, 200 g/mol 이상, 300 g/mol 이상, 또는 500 g/mol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1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단량체성이고, 1,000 g/mol 이하 또는 800 g/mol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1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중합체성이고, 10,000 g/mol 이하, 8,000 g/mol 이하, 6,000 g/mol 이하, 또는 4,000 g의 Mn을 갖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1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중합체성이고, 500 g/mol 이상, 1,000 g/mol 이상, 또는 2,000 g/mol 이상의 Mn을 갖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1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폴리우레탄이 형성되는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또는 0.5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2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폴리우레탄이 형성되는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21.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또는 0.5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2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기가,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2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골격 또는 말단 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2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또는 2.5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2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또는 4.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2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폴리우레탄 및 자유 친수성 중합체의 총 합친 중량을 기준으로 2.5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또는 25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2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폴리우레탄 및 자유 친수성 중합체의 총 합친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또는 2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멤브레인 또는 조성물.
12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틸-THF),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또는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를 포함하는, 조성물.
12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틸-THF)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13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틸-THF)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이때 공용매가 존재하고, 이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부탄올, 프로판올,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131.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50 중량% 미만, 40 중량% 미만, 30 중량% 미만, 20 중량% 미만 또는 10 중량% 미만의, 메탄올, 에탄올, 이소부탄올, 프로판올,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3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50 중량% 이상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틸-THF)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50 중량% 미만의, 메탄올, 에탄올, 이소부탄올, 프로판올,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3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조성물 중 용매의 총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이상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틸-THF)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1 내지 60 중량%의 양의, 메탄올, 에탄올, 이소부탄올, 프로판올,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3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5 중량% 내지 99.5 중량% 또는 90 중량% 내지 99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3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조성물 중 용매의 총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이상의, THF, 메틸-THF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1 내지 60 중량%의 양의,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3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조성물 중 용매의 총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이상의 THF; 및 1 내지 60 중량%의 양의,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3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조성물 중 용매의 총량을 기준으로, 70 중량% 이상의 THF; 및 1 내지 30 중량%의 양의, 프로판올, 이소부탄올, 메틸-THF,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3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조성물 중 용매의 총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이상의 THF; 및 1 내지 20 중량%의 양의, 프로판올, 이소부탄올, 메틸-THF,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3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조성물 중 용매의 총량을 기준으로, 85 중량% 이상의 THF; 및 1 내지 15 중량%의 양의, 프로판올, 이소부탄올, 메틸-THF,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4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멤브레인.
141. (a)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형성 방법.
14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방법에 따라 형성된 멤브레인.
143.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1×10-10 cm2/초 내지 9×10-9 cm2/초의 글루코스 투과도를 갖는, 멤브레인.
144.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1×10-7 cm2/초 내지 1×10-2 cm2/초의 산소 투과도를 갖는, 멤브레인.
145.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1×10-5 cm2/초 내지 1×10-3 cm2/초의 산소 투과도를 갖는, 멤브레인.
146.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1 내지 100 ㎛의 두께를 갖는, 멤브레인.
147.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질소 하에 24시간 동안 멤브레인을 건조시키고 이어서 50℃에서 1시간 동안 대류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50 ppm 미만의 잔류 용매 함량을 갖는, 멤브레인.
14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센서.
149.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센서로서, 상기 센서가 혈류 또는 다른 체액에서 글루코스, 락트산, 글루타메이트, 피루베이트, 콜린, 아세틸콜린, 산화 질소, 나트륨, 칼륨, 칼슘, 클로라이드, 바이카보네이트, 우레아, 크레아틴 또는 도파민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
150.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151.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연속 분석물 모니터링 시스템.
152.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연속 글루코스 모니터링 시스템.
본 발명을 기술하는 것과 관련하여(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단수 및 유사한 지시대상은, 본원에 달리 제시되거나 문맥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를 둘 다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포함하는", "갖는", "비롯한" 및 "함유하는"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개방-종지형 용어(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의미함)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값의 범위의 인용은, 본원에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단지 상기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값을 지칭하는 속기법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며, 각각의 개별 값은, 이것이 본원에 개별적으로 인용된 것처럼, 본원 명세서에 혼입된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및 모든 예 또는 예시적 언어(예를 들어, "예컨대")의 사용은, 달리 청구되지 않는 한, 단지 본 발명을 더 잘 예시하도록 의도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에서 말이 없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임의의 비-청구된 요소를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본 발명을 수행하는 발명자에게 공지된 최선의 방식 포함)가 본원에 기술되어 있다. 전술된 설명을 읽을 때, 상기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변형이 당업자에게 자명해질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적절한 경우, 숙련자가 상기 변형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하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이 본원에 기술된 것과 달리 실시되는 것도 의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한 법률에 의해 허용되는 바와 같이, 본원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인용된 요지의 모든 개질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 특정 임의적 특징이 본 발명의 실시양태로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술은, 명시적으로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또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지 않는 한, 상기 실시양태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개시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1)

  1. 멤브레인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9.5 중량%의 용매, 및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혼합물은, 중합체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99.5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중합체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40 중량%의,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은,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임의적으로, 쇄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골격(backbone)을 포함하는, 조성물.
  2. (a)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자유 친수성 중합체, 및
    (b)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 및 임의적으로, 쇄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골격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9 중량%의 폴리우레탄, 및 멤브레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10 중량%의 자유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폴리(2-메틸-2-옥사졸린) 또는 폴리(2-에틸-2-옥사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멤브레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폴리(2-메틸-2-옥사졸린), 폴리(2-에틸-2-옥사졸린),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또는 멤브레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100,000 g/mol 이상 1,000,000 g/mol 이하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조성물 또는 멤브레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말단 기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 기가, 폴리우레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또는 멤브레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실록산 다이올, 또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다이올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멤브레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멤브레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실록산 다이올,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멤브레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지방족 다이올이 폴리실록산 다이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다이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멤브레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친수성 중합체 잔기가 없는, 조성물 또는 멤브레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골격이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이, C2-C16 플루오로알킬 또는 C2-C16 플루오로알킬 에터를 포함하는, 분자 당 평균 0.25 내지 3개의 말단 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멤브레인.
  14.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조성물 중 용매의 총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이상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틸-THF)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1 내지 60 중량%의 양의, 메탄올, 에탄올, 이소부탄올, 프로판올,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5.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조성물 중 용매의 총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이상의 THF; 및 1 내지 60 중량%의 양의,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조성물 중 용매의 총량을 기준으로, 70 중량% 이상의 THF; 및 1 내지 30 중량%의 양의, 프로판올, 이소부탄올, 메틸-THF,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친수성 중합체가, 폴리우레탄과 자유 친수성 중합체의 총 합친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또는 멤브레인.
  18.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멤브레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상기 멤브레인을 질소 하에 24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이어서 50℃에서 1시간 동안 대류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50 ppm 미만의 잔류 용매 함량을 갖는, 멤브레인.
  20. 제 2 항 내지 제 13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센서로서,
    상기 센서는 혈류 또는 다른 체액에서 글루코스, 락트산, 글루타메이트, 피루베이트, 콜린, 아세틸콜린, 산화 질소, 나트륨, 칼륨, 칼슘, 클로라이드, 바이카보네이트, 우레아, 크레아틴 또는 도파민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
  21. 제 2 항 내지 제 13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연속 분석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07008882A 2017-08-28 2018-08-28 폴리우레탄과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합성 멤브레인 조성물 KR102573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50937P 2017-08-28 2017-08-28
US201762550929P 2017-08-28 2017-08-28
US201762550922P 2017-08-28 2017-08-28
US62/550,937 2017-08-28
US62/550,929 2017-08-28
US62/550,922 2017-08-28
EP17191476.5 2017-09-15
EP17191475 2017-09-15
EP17191475.7 2017-09-15
EP17191477.3 2017-09-15
EP17191477 2017-09-15
EP17191476 2017-09-15
PCT/US2018/048315 WO2019046284A1 (en) 2017-08-28 2018-08-28 SYNTHETIC MEMBRANE COMPOSITION COMPRISING POLYURETHANE AND POLYOXAZOL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813A true KR20200049813A (ko) 2020-05-08
KR102573462B1 KR102573462B1 (ko) 2023-09-04

Family

ID=6011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882A KR102573462B1 (ko) 2017-08-28 2018-08-28 폴리우레탄과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합성 멤브레인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43551B2 (ko)
EP (1) EP3675734B1 (ko)
JP (1) JP7139555B2 (ko)
KR (1) KR102573462B1 (ko)
CN (1) CN111278357B (ko)
WO (1) WO20190462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765B1 (ko) * 2020-11-04 2021-03-19 이정훈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8358B (zh) 2017-08-28 2022-10-28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包含氟化聚氨酯的合成膜组合物
US11643551B2 (en) 2017-08-28 2023-05-09 Dsm Ip Assets B.V. Synthetic membrane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urethane and a polyoxazoline
CN109251765B (zh) * 2018-10-31 2020-05-05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石脑油中提取有机硫化物的聚氨酯/聚偏氟乙烯复合膜及其制备方法
WO2023152224A1 (en) 2022-02-10 2023-08-17 Dsm Ip Assets B.V. Polyurethane membrane for s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3550A (en) * 1974-07-27 1976-02-25 Kuraray Co Kaishitsusareta horienkabinirukeijushisoseibutsu
JP2010539534A (ja) * 2007-09-14 2010-12-16 エシロール アテルナジオナール カンパニー ジェネラーレ デ オプティック 防汚皮膜を具えたレンズの面を該レンズのエッジングのために準備する方法
JP2014138881A (ja) * 2009-05-15 2014-07-31 Nterface Biologics Inc 抗血栓形成性中空糸膜およびフィルター
KR20140145017A (ko) * 2013-06-12 2014-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유체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0731A (en) 1959-06-26 1962-08-21 Sinclair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isplays of seismic information
US4686137A (en) 1980-02-29 1987-08-11 Thoratec Laboratories Corp. Moisture vapor permeable materials
DE4036591A1 (de) * 1990-11-16 1992-05-21 Bayer Ag Primer zum metallisieren von substratoberflaechen
US5589563A (en) 1992-04-24 1996-12-31 The Polymer Technology Group Surface-modifying endgroups for biomedical polymers
US5882494A (en) * 1995-03-27 1999-03-16 Minimed, Inc. Polyurethane/polyurea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e for biosensor membranes
US5786439A (en) * 1996-10-24 1998-07-28 Minimed Inc. Hydrophilic, swellable coatings for biosensors
DE19955341A1 (de) * 1999-11-17 2001-08-02 Haemosys Gmbh Blutkompatible Polymeroberflächen
US7459167B1 (en) * 2000-07-27 2008-1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iocidal polyurethan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CN1176966C (zh) * 2001-02-28 2004-11-24 四川大学 含氟聚氨酯材料的制备方法
US6932894B2 (en) 2001-05-15 2005-08-23 Therasense, Inc. Biosensor membranes composed of polymers containing heterocyclic nitrogens
US6800342B2 (en) * 2002-02-06 2004-10-05 Eastman Kodak Company Ink recording element containing a laminate adhesion promoting inner layer
US20060258761A1 (en) 2002-05-22 2006-11-16 Robert Boock Silicone based membranes for use in implantable glucose sensors
US7226978B2 (en) 2002-05-22 2007-06-05 Dexcom, Inc. Techniques to improve polyurethane membranes for implantable glucose sensors
JP4283577B2 (ja) * 2003-03-28 2009-06-24 日華化学株式会社 無孔質膜型透湿性防水布帛、該無孔質膜型透湿性防水布帛用の水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を含有するコーティング剤
WO2004104070A1 (en) 2003-05-21 2004-12-02 The Polymer Technology Group Permselective structurally robust membrane material
US7687586B2 (en) 2003-05-21 2010-03-30 Isense Corporation Biosensor membrane material
JP4708342B2 (ja) 2003-07-25 2011-06-22 デックスコム・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埋設可能な装置に用いる酸素増大膜システム
US8133178B2 (en) 2006-02-22 2012-03-13 Dexcom, Inc. Analyte sensor
US9346021B2 (en) 2008-12-02 2016-05-24 Membrane Distillation Desalination Ltd., Co. Composite membranes for membrane distillation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US8491975B2 (en) 2009-10-23 2013-07-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lossy medium for inkjet printing
US8660628B2 (en) 2009-12-21 2014-02-25 Medtronic Minimed, Inc. Analyte sensors comprising blended membran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SI3230044T1 (sl) * 2014-12-11 2020-10-30 Eth Zuerich Nosilec transplantata za popravilo hrustanca in postopek izdelave le-tega
US20170188923A1 (en) * 2015-12-30 2017-07-06 Dexcom, Inc. Diffusion resistance layer for analyte sensors
CN109562332B (zh) 2016-08-09 2022-04-15 索尔维特殊聚合物意大利有限公司 多孔膜
JP7167394B2 (ja) 2017-08-28 2022-11-09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ポリウレタンブレンドを含む合成膜組成物
US11643551B2 (en) 2017-08-28 2023-05-09 Dsm Ip Assets B.V. Synthetic membrane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urethane and a polyoxazoline
CN111278358B (zh) 2017-08-28 2022-10-28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包含氟化聚氨酯的合成膜组合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3550A (en) * 1974-07-27 1976-02-25 Kuraray Co Kaishitsusareta horienkabinirukeijushisoseibutsu
JP2010539534A (ja) * 2007-09-14 2010-12-16 エシロール アテルナジオナール カンパニー ジェネラーレ デ オプティック 防汚皮膜を具えたレンズの面を該レンズのエッジングのために準備する方法
JP2014138881A (ja) * 2009-05-15 2014-07-31 Nterface Biologics Inc 抗血栓形成性中空糸膜およびフィルター
KR20140145017A (ko) * 2013-06-12 2014-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유체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765B1 (ko) * 2020-11-04 2021-03-19 이정훈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462B1 (ko) 2023-09-04
US20210070989A1 (en) 2021-03-11
EP3675734B1 (en) 2023-09-20
CN111278357B (zh) 2023-10-31
WO2019046284A1 (en) 2019-03-07
EP3675734A1 (en) 2020-07-08
JP7139555B2 (ja) 2022-09-21
JP2020531601A (ja) 2020-11-05
CN111278357A (zh) 2020-06-12
US11643551B2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462B1 (ko) 폴리우레탄과 폴리옥사졸린을 포함하는 합성 멤브레인 조성물
KR102573459B1 (ko) 폴리우레탄 블렌드를 포함하는 합성 멤브레인 조성물
US7687586B2 (en) Biosensor membrane material
EP1629028B1 (en) Permselective structurally robust membrane material
Yilgör et al. Hydrophilic polyurethaneurea membranes: influence of soft block composition on the water vapor permeation rates
EP0637323B1 (en) Copolymers and non-porous, semi-permeable membrane thereof and its use for permeating molecules of predetermined molecular weight range
KR102573460B1 (ko) 불화된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합성 멤브레인 조성물
CA1323151C (en) Crosslinked polyetherurethane membranes useful in blood electrolyte sensors
Khayet et al. Morphological study of fluorinated asymmetric polyetherimide ultrafiltration membranes by surface modifying macromolecules
CN106397727A (zh) 一种高生物相容性的三嵌段共聚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493558A (zh) 植入式生物传感器用三嵌段共聚物及其应用和制备方法
EP0870191A1 (en) Silicon-containing biocompatible membranes
WO2023152224A1 (en) Polyurethane membrane for sensor
JP4098364B2 (ja) 珪素含有生体適合性膜
JP2000500691A (ja) 珪素含有生体適合性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