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676B1 - 이륜차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이륜차의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676B1
KR102230676B1 KR1020200183262A KR20200183262A KR102230676B1 KR 102230676 B1 KR102230676 B1 KR 102230676B1 KR 1020200183262 A KR1020200183262 A KR 1020200183262A KR 20200183262 A KR20200183262 A KR 20200183262A KR 102230676 B1 KR102230676 B1 KR 102230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wire
housing
moving member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엽
Original Assignee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83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8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braking more than on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동레버 조작시 후륜에 비하여 전륜의 제동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안정감 있는 제동이 이루어져 자전거가 앞으로 전복 또는 옆으로 회전하여 전복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기존 자전거의 설계 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추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륜차의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동장치는, 제동레버에 일단이 연결된 메인제동와이어와 전,후륜제동와이어 사이에는 제동력차등기구가 구비되며, 제동력차등기구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우징의 일측으로 관통하는 메인제동와이어의 타단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관통하는 후륜제동와이어의 타단이 제1 및 제2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이동부재와, 하우징 내에서 일단은 이동부재와 제3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타측으로 관통하는 전륜제동와이어의 타단과 제4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인장코일스프링과, 이동부재에 구비되어 이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동레버의 작동시 초반당김구간에서는 상기 제4 고정부에 근접하고 후반당김구간에서는 제4 고정부 및 전륜 제동와이어를 함께 이동시키는 제동차등당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이륜차의 제동장치{Braking system of two-wheel vehicle}
본 발명은 이륜차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륜보다 전륜의 제동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급정거시 이륜차가 앞으로 전복되거나 후륜이 옆으로 미끄러지면서 회전하여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안정감 있는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륜차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발전과 복지분야의 개선으로 여가생활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특히 건강을 위해 이륜차중 하나인 자전거를 타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적극적으로 자전거 도로를 신설하거나 활성화하고 있다.
일반적인 자전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200)과, 프레임(200)의 전방에 구비되는 좌,우측의 핸들부(100)와, 프레임(200)의 전,후 하방에 설치되는 전,후륜(400a,400b)과, 후륜(400b) 상부의 프레임(200)에 구비된 안장(210)과, 페달(430)의 구동으로 인한 회전력을 체인(420)을 통해 뒷바퀴(400b)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다.
또한 핸들부(100)는 핸들바(120)와, 핸들바(120)에 고정 설치된 지지브라켓(130)과, 지지브라켓(130)에 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동레버(110)를 구비하고, 전륜(400a)과 후륜(400b)에는 자전거의 속도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동레버(110)와 제동와이어(300)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제동기구(5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동기구(500)의 구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공지의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자전거의 제동장치는, 운행중에 운전자가 속력을 줄이거나 정지시키기 위해 제동레버(110)를 조작하여 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제동 와이어(300)가 당겨지면서 전,후륜(400a,400b)의 제동기구(500)가 작동하여 자전거의 속력을 줄이거나 멈출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자전거의 제동장치는, 오른쪽 핸들부(100)의 제동레버(110)는 전륜측 제동기구(500)를 동작시키고, 왼쪽 핸들부(100)의 제동레버(110)는 후륜측 제동기구(500)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급작스럽게 전륜측에 제동을 걸면, 계속 회전하려는 후륜이 앞쪽으로 들리면서 자전거가 전방으로 전복되거나, 전,후륜 동시에 제동을 거는 경우에도 후륜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미끄러지면서 자전거가 옆으로 회전하여 전복되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운전자가 크게 다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선행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들어, 국내등록특허 10-1238513호의 회전판을 이용한 자전거 브레이크 장치에는, 핸들바에 브레이크 조작부를 1개소만 설치하여도 뒷바퀴와 앞바퀴의 브레이크를 동시에 제동할 수 있어 어느 바퀴를 먼저 제동해야 하는지를 선택을 하지 않아도 되며, 항상 뒷바퀴에 앞바퀴보다 강한 제동이 걸리게 함으로써 고속주행시 앞바퀴의 브레이크가 먼저 제동되어 자전거가 앞으로 전복되는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의 사이즈가 커서 자전거에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고, 부품수의 증가로 자전거의 제작비용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앞바퀴의 제동력이 뒷바퀴의 제동력보다 약하긴 하지만, 앞바퀴 제동시 제동력이 계속 유지됨에 따라 자전거가 앞으로 전복되거나 옆으로 회전하여 전복되는 사고를 완전하게 방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제동레버 조작시 후륜에 비하여 전륜의 제동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안정감 있는 제동이 이루어져 자전거가 앞으로 전복 또는 옆으로 회전하여 전복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기존 자전거의 설계 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추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륜차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핸들부의 지지브라켓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동레버와, 전륜과 후륜에 각각 설치되는 전,후륜 제동기구와, 상기 제동레버와 전,후륜 제동기구 사이에 연결된 제동와이어를 포함하는 이륜차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와이어는, 제동레버에 일단이 연결된 메인제동와이어와, 전,후륜 제동기구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전,후륜제동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제동와이어와 전,후륜제동와이어 사이에는, 제동력차등기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동력차등기구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관통하는 메인제동와이어의 타단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관통하는 후륜제동와이어의 타단이 제1 및 제2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이동부재;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일단은 이동부재와 제3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타측으로 관통하는 전륜제동와이어의 타단과 제4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인장코일스프링; 및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되어 이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동레버의 작동시 초반당김구간에서는 상기 제4 고정부에 근접하고, 후반당김구간에서는 상기 제4 고정부 및 전륜 제동와이어를 함께 이동시키는 제동차등당김부를 포함하는 이륜차 제동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후반당김구간에서는 이동부재가 후륜제동와이어의 제2 고정부측으로 경사 이동하도록 하우징의 내벽면에 이동부재의 일측 모서리부가 접촉하는 경사유도부을 형성하여, 후반당김구간에서는 후륜제동와이어의 이동길이가 전륜제동와이어의 이동길이보다 짧아지게 한 이륜차 제동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제2 고정부쪽을 중심방향으로 하여 곡선 이동하도록 하우징의 내벽면에 이동부재의 곡선 이동을 안내하는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곡면의 곡률반경과 인장코일스프링의 인장길이는, 초반당김구간에서 전륜제동와이어의 당김길이가 후륜제동와이어의 당김길이보다 더 짧아지게 설정한 이륜차 제동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차등기구의 이동부재와 전륜 제동와이어 사이에 인장코일스프링이 설치되고, 이동부재에 제동차등당김부가 구비됨에 따라, 전,후륜 제동와이어를 동시에 당길 때, 초반당김구간에서는 전륜 제동와이어와 연결된 인장코일스프링의 인장에 의해 후륜 제동기구의 제동력보다 전륜 제동기구의 제동력을 약하게 작용시킬 수 있고, 이로써 자전거가 앞으로 전복되거나 후륜이 좌우로 미끄러지면서 회전하여 전복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후반당김구간에서는 제동차등당김부가 전륜 제동와이어를 직접 당겨 후륜 제동기구와 전륜 제동기구의 제동력을 동일하게 상승시킬 수 있어 자전거의 제동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륜에 비하여 전륜의 제동력이 약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구성이 전륜 제동와이어에 탄력설치한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성이 간단하여 기존의 자전거에도 설계변경 없이 설치하는 것이 용이함과 동시에, 추가되는 부품이 최소화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동장치가 구비된 자전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가 구비된 자전거의 주요부 배치도.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동장치에서 제동력차등기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동력차등기구에 의한 전,후륜제동기구의 제동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동장치에서 제1 변형예의 제동력차등기구에 의한 동작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동장치에서 제2 변형예의 제동력차등기구에 의한 동작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변형예의 제동력차등기구에 의한 전,후륜제동기구의 제동력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를 나타낸 자전거의 주요구성 배치도로서, 한쪽의 핸들부(10)와 전,후륜제동기구(23,24)를 전,후륜제동와이어(25,26)로 각각 연결하여 한쪽 핸들부(10)의 조작으로 전,후륜제동기구(23,24)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타입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0)는 핸들바(11)에 고정설치한 지지브라켓(12)을 구비하고, 지지브라켓(12)에는 제동레버(13)가 힌지축(14)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동레버(13)는 전,후륜(21,22)에 각각 설치되는 전,후륜제동기구(23,24)와 제동와이어로 연결되어 제동레버(13)의 조작시 전,후륜제동기구(23,24)가 작동하여 전,후륜(21,22)에 제동력를 작용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동와이어는, 제동레버(13)에 일단이 연결된 메인제동와이어(15)와, 전,후륜제동기구(23,24)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전,후륜제동와이어(25,26)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제동와이어(15)와 전,후륜제동와이어(25,26) 사이에는, 전,후륜제동기구(23,24)의 제동력이 차등지게 걸리게 하는 제동력차등기구(30)가 구비된다.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력차등기구(30)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31)을 구비하고, 하우징(31)의 내부공간에는 이동부재(32)가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이동부재(32)과 하우징(31)의 내부 공간은 이동부재(32)가 소정거리 직선이동만 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부재(32)에는 메인제동와이어(15)와 전,후륜제동와이어(25,26)의 타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메인제동와이어(15)는 하우징(31)의 일측을 관통하여 이동부재(32)과 제1 고정부(41)에 의해 고정되고, 후륜제동와이어(26)는 하우징(31)의 타측으로 관통하여 이동부재(32)와 제2 고정부(42)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하우징(31) 내에서 이동부재(32)와 전륜제동와이어(25) 사이에 인장코일스프링(33)이 설치된다. 인장코일스프링(33)의 일단은 이동부재(32)와 제3 고정부(43)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하우징(31)의 타측으로 관통하는 전륜제동와이어(25)의 타단과 제4 고정부(44)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제1 고정부(41)와 제2 및 제3 고정부(42,43)의 위치는 서로 이동부재(32)의 반대쪽에 위치시킴으로써 메인제동와이어(15)의 당김력이 이동부재(32)를 통해 전,후륜제동와이어(25,26)에 확실하게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 내지 제3 고정부(41,42,43)에 대한 고정력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동력차등기구(30)는, 상기 이동부재(32)에 구비되어 이동부재(32)와 함께 이동하는 제동차등당김부(34)를 구비한다. 상기 제동차등당김부(34)는 이동부재(32)와 별도로 구성하여 결합하여도 좋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동부재(32)와 일체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동차등당김부(34)는 제4 고정부(44)를 기준으로 하여 인장코일스프링(33) 반대쪽에 위치하여 전륜제동와이어(25)가 관통하게 되며, 제4 고정부(44)와는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된다.
따라서, 도 3의 (b)에서와 같이 제동레버(13)의 작동시 메인제동와이어(15)의 초반당김구간(L0~L1)에서는 제동차등당김부(34)가 제4 고정부(44)에 근접하고, 도 3의 (c)에서와 같이 후반당김구간(L1~L2)에서는 제동차등당김부(34)가 제4 고정부(44)와 함께 전륜제동와이어(25)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의 (a)에서와 같이 제동레버(13)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동력차등기구(30)의 이동부재(32)와 전륜제동와이어(25) 사이에서 제3 및 제4 고정부(43,44)로 연결된 인장코일스프링(33)은 인장되지 않은 상태에 있고, 제4 고정부(44)와 제동차등당김부(34)는 소정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이상태에서 제동레버(13)를 조작하여 전,후륜(21,22)에 제동을 걸게 되면, 전체 제동구간을 초반당김구간(L0~L1)과 후반당김구간(L1~L2)으로 구분할 때, 초반당김구간(L0~L1)에서는 전,후륜제동기구(23,24)에 걸리는 제동력이 다르게 상승하고, 후반당김구간(L1~L2)에서는 전,후륜제동기구(23,24)에 제동력이 동일하게 상승하게 된다.
즉,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반당김구간(L0~L1)은 이동부재(32)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여 제4 고정부(44)에 접촉할 때까지의 구간으로서, 제동레버(13)의 조작에 의해 메인제동와이어(15)가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제1 고정부(41)에 의해 이동부재(32)가 당겨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및 제3 고정부(42,43)에 의해 전,후륜제동와이어(25,26)가 당겨지게 되고, 전,후륜제동와이어(25,26)의 당김 길이에 의해 전,후륜제동기구(23,24)에 제동력이 걸리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전륜제동와이어(25) 쪽에 인장코일스프링(33)이 연결된 것이므로, 이동부재(32)의 이동시 인장코일스프링(33)이 인장되고, 이로 인해 전륜제동와이어(25)의 당김 길이는 후륜제동와이어(26)에 비해 인장코일스프링(33)의 인장길이(ΔL)만큼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그래프와 같이 초반당김구간(L0~L1)에서는 전륜제동기구(23)의 제동력이 후륜제동기구(24)에 비하여 약하게 증가되고, 이로써 급정거시 전륜(21)보다 후륜(22)에 더 큰 제동력이 작용하여 후륜(22)이 앞으로 전진하려는 현상에 의해 전복되거나 옆으로 회전하여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반당김구간(L1~L2)에서는, 제동레버(13)의 조작에 의해 메인제동와이어(15)가 계속해서 당겨지게 되면, 전륜제동와이어(25)는 제동차등당김부(34)에 의해 제4 고정부(44)와 함께 당겨지게 되므로, 후륜제동와이어(26)와 당김 길이가 동일하게 되고 이로써 도 4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전,후륜제동기구(23,24)에 걸리는 제동력도 동일하게 증가하여 전,후륜(21,22)에 안정된 제동이 걸리게 된다.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이륜차 제동장치에서 제1 변형예의 제동력차등기구(130)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a) 내지 (c)에 나타낸 제동력차등기구(30)에 있어서, 후반당김구간(L1~L2)에서는 이동부재(32)가 제2 고정부(42)측으로 경사지게 이동하도록 하우징(31)의 내벽면에 이동부재(32)의 경사이동을 안내하는 경사유도부(131,132)를 형성한 구성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경사유도부(131,132)는 하우징(31)과 이동부재(32) 사이에 경사 돌기와 홈을 형성하는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 3의 (a) 내지 (c)에 나타낸 제동력차등기구(30)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초반당김구간(L0~L1)에서는 도 3의 (a) 내지 (c)에 나타낸 제동력차등기구(30)와 마찬가지로, 전륜제동기구(23)의 제동력을 후륜제동기구(24)의 제동력보다 약하게 할 수 있고, 후반당김구간(L1~L2)에서는 전륜제동기구(23)의 제동력을 후륜제동기구(24)의 제동력보다 크게 하여 최종적으로는 전,후륜제동기구(23,24)의 제동력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5의 (c)에서와 같이 후반당김구간(L1~L2)에서는 이동부재(32)가 양쪽 경사유도부(131,132)에 안내되면서 후륜제동와이어(26)가 고정된 제2 고정부(42)쪽으로 경사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경사 이동방향의 내측에 위치한 제2 고정부(42)측 후륜제동와이어(26)의 당김 길이는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한 제3 고정부(43)측 전륜제동와이어(25)의 당김 길이보다 짧게 되므로, 도 7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후륜제동기구(24)보다 전륜제동기구(23)의 제동력 증가폭이 점점 더 커지게 된다.
이로인해 하우징(31)에 형성한 경사유도부(131,132)의 경사각도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따라, 후반당김구간(L1~L2)에서의 전,후륜제동와이어(25,26)의 당김길이 및 이에 따른 제동력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므로, 전,후륜제동기구(23,24)의 제동력을 최종적으로는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후륜(21,22)에 안정된 제동이 걸리게 할 수 있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이륜차 제동장치에서 제2 변형예의 제동력차등기구(230)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a) 내지 (c)에 나타낸 제동력차등기구(30)에 있어서, 이동부재(32)가 제2 고정부(42)쪽을 중심방향으로 하여 곡선 이동하도록 하우징(31)의 내벽면에 이동부재(32)의 곡선 이동을 안내하는 곡면(231,232)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곡면(231,232)의 곡률반경과 인장코일스프링(33)의 인장길이(ΔL)는, 초반당김구간(L0~L1)에서 전륜제동와이어(25)의 당김길이가 후륜제동와이어(26)의 당김길이보다 더 짧아지게 설정해야 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고정부(41,42,43)와 각각 대향하는 하우징(31)의 내벽에 제1 내지 제3 가이드홈(241,242,243)을 형성하여 제1 내지 제3 고정부(41,42,43)이 제1 내지 제3 가이드홈(241,242,243)에 안내되어 삽입되게 함으로써 이동부재(32)의 시작위치와 끝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구성이다.
그 외의 구성은 도 3의 (a) 내지 (c)에 나타낸 제동력차등기구(30)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초반당김구간(L0~L1)에서는 전륜제동기구(23)쪽의 제동력을 후륜제동기구(24)쪽보다 약하게 하고, 후반당김구간(L1~L2)에서는 전륜제동기구(23)쪽의 제동력을 후륜제동기구(24)쪽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즉, 이동부재(32)가 하우징(31)의 곡면(231,132)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곡률반경이 큰 전륜제동와이어(25)쪽의 당김길이가 후륜제동와이어(26)보다 길어질 수 있지만, 초반당김구간(L0~L1)에서는 전륜제동와이어(25)의 당김 길이는 제3 고정부(43)와 제4 고정부(44) 사이에 연결된 인장코일스프링(33)이 인장되는 것에 의해 인장길이(ΔL)만큼 짧아지게 된다.
또한, 인장코일스프링(33)의 인장길이(ΔL)와 곡면(241,242)의 곡률반경은, 초반당김구간(L0~L1)에서 전륜제동와이어(25)의 당김길이가 후륜제동와이어(26)의 당김길이보다 더 짧아지게 설정된 것이므로, 전륜제동와이어(25)의 당김길이는 후륜제동와이어(26)의 당김길이보다 더 짧게 되어 도 7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전륜제동기구(23)의 제동력이 후륜제동기구(24)에 비하여 약하게 되고, 이로써 급정거시 전륜(21)보다 후륜(22)에 더 큰 제동력이 작용하여 후륜(22)이 앞으로 전진하려는 현상에 의해 전복되거나 옆으로 회전하여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의 (c)에서와 같이 후반당김구간(L1~L2)에서는 이동부재(32)가 계속해서 곡면(231,232)에 안내되면서 상대적으로 곡률반경이 큰 전륜제동와이어(25)쪽의 당김길이가 후륜제동와이어(26)보다 길어지고, 이때에는 제동차등당김부(34)가 제4 고정부(44) 및 전륜제동와이어(25)를 당기게 되므로, 전륜제동와이어(26)의 당김길이가 그대로 유지되어 전륜제동기구(23)의 제동력을 후륜제동기구(24)의 제동력보다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초반당김구간(L0~L1)에서는 전륜제동기구(23)의 제동력을 후륜제동기구(24)보다 약하게 하고, 후반제동구간(L1~L2)에서는 전륜제동기구(23)의 제동력을 후륜제동기구(24)보다 강하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전,후륜제동기구(23,24)의 제동력을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후륜(21,22)에 안정된 제동이 걸리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의 제동장치를 자전거에 적용한 것을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자전거와 유사한 제동장치를 가지는 킥보드 또는 오토바이에 적용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핸들부 11 : 지지브라켓
12 : 힌지축 13 : 제동레버
15 : 메인제동와이어 21,22 : 전,후륜
23,24 : 전,후륜제동기구 25,26 : 전,후륜제동와이어
30,130,230 : 제동력차등기구 31 : 하우징
31a : 경사유도부 32 : 이동부재
33 : 인장코일스프링 34 : 제동차등당김부
41,42,43,44 : 제1 내지 제4 고정부 131,132 : 경사유도부
231,232 : 곡면

Claims (3)

  1. 핸들부의 지지브라켓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동레버와, 전륜과 후륜에 각각 설치되는 전,후륜 제동기구와, 상기 제동레버와 전,후륜 제동기구 사이에 연결된 제동와이어를 포함하는 이륜차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와이어는, 제동레버에 일단이 연결된 메인제동와이어와, 전,후륜 제동기구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전,후륜제동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제동와이어와 전,후륜제동와이어 사이에는, 제동력차등기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동력차등기구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관통하는 메인제동와이어의 타단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관통하는 후륜제동와이어의 타단이 제1 및 제2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이동부재;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일단은 이동부재와 제3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타측으로 관통하는 전륜제동와이어의 타단과 제4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인장코일스프링; 및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되어 이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동레버의 작동시 초반당김구간에서는 상기 제4 고정부에 근접하고, 후반당김구간에서는 상기 제4 고정부 및 전륜 제동와이어를 함께 이동시키는 제동차등당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제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반당김구간에서는 이동부재가 후륜제동와이어의 제2 고정부측으로 경사 이동하도록 하우징의 내벽면에 이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유도부를 형성하여, 후반당김구간에서는 후륜제동와이어의 이동길이가 전륜제동와이어의 이동길이보다 짧아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제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제2 고정부쪽을 중심방향으로 하여 곡선 이동하도록 하우징의 내벽면에 이동부재의 곡선 이동을 안내하는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곡면의 곡률반경과 인장코일스프링의 인장길이는, 초반당김구간에서 전륜제동와이어의 당김길이가 후륜제동와이어의 당김길이보다 더 짧아지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제동장치.
KR1020200183262A 2020-12-24 2020-12-24 이륜차의 제동장치 KR102230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262A KR102230676B1 (ko) 2020-12-24 2020-12-24 이륜차의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262A KR102230676B1 (ko) 2020-12-24 2020-12-24 이륜차의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676B1 true KR102230676B1 (ko) 2021-03-22

Family

ID=7522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262A KR102230676B1 (ko) 2020-12-24 2020-12-24 이륜차의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67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7522B2 (ko) * 1980-05-27 1986-12-08 Hokkaido Togyo
JPH10287287A (ja) * 1997-04-14 1998-10-27 Tokico Ltd 二輪車用ブレーキ装置
JP2004352181A (ja) * 2003-05-30 2004-12-16 Honda Motor Co Ltd 小型車両用連動ブレーキ装置
EP2684788A2 (en) * 2012-07-11 2014-01-15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traddle type vehicle interlocking brake system and straddle type vehicle
JP3191940U (ja) * 2013-02-07 2014-07-24 一品機械股▲ふん▼有限公司 二輪における省力かつ同期ブレーキ可能な補助装置
KR101647591B1 (ko) * 2015-03-27 2016-08-10 박희범 자전거의 순차 제동 브레이크 시스템
JP2016147607A (ja) * 2015-02-13 2016-08-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連動ブレーキ装置
KR20190021371A (ko) * 2016-08-03 2019-03-05 진다 뉴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유압식 시간차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7522B2 (ko) * 1980-05-27 1986-12-08 Hokkaido Togyo
JPH10287287A (ja) * 1997-04-14 1998-10-27 Tokico Ltd 二輪車用ブレーキ装置
JP2004352181A (ja) * 2003-05-30 2004-12-16 Honda Motor Co Ltd 小型車両用連動ブレーキ装置
EP2684788A2 (en) * 2012-07-11 2014-01-15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traddle type vehicle interlocking brake system and straddle type vehicle
JP3191940U (ja) * 2013-02-07 2014-07-24 一品機械股▲ふん▼有限公司 二輪における省力かつ同期ブレーキ可能な補助装置
JP2016147607A (ja) * 2015-02-13 2016-08-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連動ブレーキ装置
JP6157522B2 (ja) 2015-02-13 2017-07-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連動ブレーキ装置
KR101647591B1 (ko) * 2015-03-27 2016-08-10 박희범 자전거의 순차 제동 브레이크 시스템
KR20190021371A (ko) * 2016-08-03 2019-03-05 진다 뉴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유압식 시간차 제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3510A (en) Brake system for bicycles
JP3894733B2 (ja) 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EP1739000B1 (en) Control device for a bicycle derailleur
JP2002220045A (ja) 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TWI249494B (en) Adjusting device for a bicycle brake control device
US20120192669A1 (en) Front/rear wheel brake control device
KR102230676B1 (ko) 이륜차의 제동장치
JP5415733B2 (ja) フェンダー構造
JP2019507707A (ja) 自動二輪車用の連動ブレーキシステム
JPS5812873A (ja) 揺動式三輪車のローリングロック装置
US8136638B2 (en) Safety braking system
JP6636645B2 (ja) 鞍乗り型車両
JP2001310789A (ja) 鞍乗型車両における動力伝達チェーンのガイド装置
US11787506B2 (en) Derailleur for human-powered vehicle
JP2004256054A (ja) 自動三輪車のブレーキ装置
JP2003335235A (ja) 同期ブレーキ装置
CN110573417B (zh) 跨骑型车辆的前后连动制动装置
JP3791957B2 (ja) 自転車
CN108216475B (zh) 鞍乘型车辆的联动制动装置
KR200416207Y1 (ko) 자전거
JP2020057049A (ja) レバー支持構造
JP6951477B2 (ja) 鞍乗型車両
RU2788536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верховой посадкой водителя
JPH09240557A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PL168920B1 (pl) Uklad stabilizujacy do pojazdów jednosladowych, zwlaszcza napedzanych przez jadacego P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