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019B1 -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및 이로 형성된 젤리 - Google Patents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및 이로 형성된 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019B1
KR102230019B1 KR1020200054344A KR20200054344A KR102230019B1 KR 102230019 B1 KR102230019 B1 KR 102230019B1 KR 1020200054344 A KR1020200054344 A KR 1020200054344A KR 20200054344 A KR20200054344 A KR 20200054344A KR 102230019 B1 KR102230019 B1 KR 102230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
beads
fiber
bea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흥
Original Assignee
황정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흥 filed Critical 황정흥
Priority to KR1020200054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15Konjak; Konntak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약을 포함하는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젤리 베이스;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포함하는 비드 조성물을 비드 형태로 응고시킨 화이버 비드; 식용 분산제; 및 물을 포함함으로써, 곤약 성분을 포함하는 비드를 과량 포함하면서도 비드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한 맛을 가지는 젤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및 이로 형성된 젤리{JELLY COMPOTISION CONTAINING FIBER BEAD, AND JELLY FORM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및 이로 형성된 젤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포함하는 비드 조성물을 비드 형태로 응고시킨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및 이로 형성된 젤리에 관한 것이다.
곤약은 토란과 다년생 식물 또는 그 뿌리를 가공하여 만든 식품으로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 식품으로 적합하고 미네랄 특히 칼슘이 풍부하며 글루코만난이라는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변비개선 및 정장작용의 효과를 가진다. 특히, 곤약의 주요 성분인 글루코만난은 난소화성, 난흡수성 물질로서, 섭취시 저작활동이 많아져 타액 분비 및 포만감 부여로 인한 다이어트 효과가 있으며, 장관벽을 자극하여 연동운동 촉진 및 장액 분비 촉진, 변비 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
한편, 곤약은 판곤약 또는 실곤약 등의 형태로 시장에 유동되어 왔으나, 판곤약 또는 실곤약 등은 그대로 섭취가 어려워, 섭취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곤약을 젤리 형태로 제조하여,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바로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3949호에서는 젤란검, 카라기난, 산탄검, 구연산나트륨 및 순수로 이루어진 겔화제 용액과, 정제수에 식품으로 허용된 통상의 첨가물 3.8 ~ 21.98 중량%를 용해시킨 용액으로 이루어진 젤리 질감의 액상에, 곤약비드와 젖산칼슘이 용해된 정제수가 포함된 젤리 음료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젤리 음료는 실질적으로 함유된 곤약비드의 함량이 적어 곤약 섭취에 따른 효과의 구현이 미미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곤약 성분을 포함하는 비드의 함량을 증가시킬 경우에는, 비드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비드가 서로 응집되거나 비드가 하측으로 가라앉아 균일한 맛을 가지는 젤리의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곤약 성분을 포함하는 비드를 과량 포함하면서도 비드의 분산성이 우수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맛을 가지는 젤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3949호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곤약 성분을 포함하는 비드를 과량 포함하면서도 비드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한 맛을 가지는 젤리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의 젤리 조성물을 경화하여 제조되어, 관능 특성이 우수한 젤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젤리 베이스, 화이버 비드, 식용 분산제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이버 비드는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포함하는 비드 조성물을 비드 형태로 응고시킨 것인,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젤리 조성물은 상기 젤리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젤리 베이스 20 ~ 45 중량%, 상기 화이버 비드 30 ~ 50 중량%, 상기 식용 분산제 0.1 ~ 4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젤리 베이스는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타마린드검, 젤라틴, 한천, 잔탄검, 카라기난 및 로커스트빈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이버 비드는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1 : 0.2 ~ 16 : 0.1 ~ 0.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비드 조성물을 비드 형태로 응고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이버 비드는 구형으로 형성되되, 입경이 1 ~ 2.5 mm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식용 분산제는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용 분산제는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을 1 : 5 ~ 8 : 1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젤리 조성물은 탄수화물, 향미제, 풍미제, 감미제, 착색제, 유기산,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과육 및 당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젤리 베이스,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포함하는 비드 조성물을 비드 형태로 응고시킨 것인 화이버 비드, 식용 분산제 및 물을 포함하는 젤리 조성물로 형성된 젤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젤리 조성물은 곤약을 포함하는 화이버 비드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한 맛을 갖는, 젤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젤리 조성물은 곤약을 포함하는 화이버 비드를 고함량으로 포함함에 따라, 다이어트, 연동운동 촉진, 장액 분비 촉진, 변비 예방 등의 효과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젤리 조성물은 곤약을 포함하는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한 맛과 식감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관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젤리는 곤약을 포함하는 고함량의 화이버 비드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에 따라, 우수한 관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젤리 베이스, 화이버 비드, 식용 분산제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이버 비드는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포함하는 비드 조성물을 비드 형태로 응고시킨 것인,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곤약을 포함하는 화이버 비드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한 맛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곤약을 포함하는 화이버 비드를 고함량으로 포함함에 따라, 다이어트, 연동운동 촉진, 장액 분비 촉진, 변비 예방 등의 효과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곤약을 포함하는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한 맛과 식감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관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젤리 베이스를 포함한다.
젤리 베이스는 본 실시예에 따르는 젤리 조성물을 겔화하여 젤리 제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다. 구체적으로, 젤리 베이스는 물과 혼합 시, 겔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는 젤리 조성물이 젤리 제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젤리 베이스는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타마린드검, 젤라틴, 한천, 잔탄검, 카라기난 및 로커스트빈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상기 젤리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젤리 베이스를 20 ~ 45 중량%, 구체적으로는 25 ~ 4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30 ~ 3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젤리 베이스를 20 ~ 45 중량%로 포함할 때,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화이버 비드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을 구현하여, 전체적으로 향상된 관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젤리 베이스를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젤리 베이스를 45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젤리 베이스를 20 ~ 4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 관능 특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화이버 비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화이버 비드는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포함하는 비드 조성물을 비드 형태로 응고시킨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화이버 비드는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포함하는 비드 조성물과 응고제를 혼합하여 비드 조성물을 응고시키되, 상기 비드 조성물을 구형의 비드 형태로 응고시킨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이버 비드는 상기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1 : 0.2 ~ 16 : 0.1 ~ 0.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비드 조성물을 비드 형태로 응고시킨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이버 비드가 상기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1 : 0.2 ~ 16 : 0.1 ~ 0.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비드 조성물을 비드 형태로 응고시킨 것일 때, 상기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의 관능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면서도 세 가지 성분에 의한 다이어트, 연동운동 촉진, 장액 분비 촉진, 변비 예방 등의 효과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이버 비드는 상기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1 : 0.5 ~ 1 : 0.1 ~ 0.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비드 조성물을 비드 형태로 응고시킨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이버 비드가 상기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1 : 0.5 ~ 1 : 0.1 ~ 0.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비드 조성물을 비드 형태로 응고시킨 것일 때, 상기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의 관능 특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으면서도 세 가지 성분에 의한 다이어트, 연동운동 촉진, 장액 분비 촉진, 변비 예방 등의 효과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이버 비드는 구형으로 형성되되, 입경이 1 ~ 2.5 mm, 구체적으로는 1.5 ~ 2.3 mm, 더 구체적으로는 1.8 ~ 2.2 mm 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이버 비드가 구형으로 형성되되, 입경이 1 ~ 2.5 mm 로 형성될 때,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화이버 비드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한 맛을 가질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이버 비드의 입경이 1 mm 미만인 경우에는, 화이버 비드의 입경이 1 ~ 2.5 mm 인 경우 보다,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이 저하되고, 화이버 비드의 사용에 따른 탱글탱글한 식감의 향상 효과가 미미하여 전반적인 관능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이버 비드의 입경이 2.5 mm 초과인 경우에는, 화이버 비드의 입경이 1 ~ 2.5 mm 인 경우 보다, 화이버 비드의 분선성이 저하되며, 침전 또는 응집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상기 젤리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화이버 비드를 30 ~ 50 중량%, 구체적으로는 31 ~ 45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32 ~ 4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화이버 비드를 30 ~ 50 중량%로 포함할 때,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화이버 비드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을 구현하여, 전체적으로 향상된 관능 특성을 구현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화이버 비드에 의한 다이어트, 연동운동 촉진, 장액 분비 촉진, 변비 예방 등의 효과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화이버 비드를 3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화이버 비드를 5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화이버 비드를 30 ~ 5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 관능 특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식용 분산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젤리 베이스 내에서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용 분산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식용 분산제는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식용 분산제는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라, 식용 분산제로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을 모두 포함할 때, 상기 세 가지 성분을 각각 단독으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식용 분산제는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을 1 : 5 ~ 8 : 1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라,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을 1 : 5 ~ 8 : 1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더욱 향상된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을 구현할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식용 분산제는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을 1 : 5 ~ 8 : 4 ~ 7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라,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을 1 : 5 ~ 8 : 4 ~ 7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현저히 향상된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상기 젤리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식용 분산제를 0.1 ~ 4 중량%, 구체적으로는 0.5 ~ 3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1 ~ 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식용 분산제를 0.1 ~ 4 중량%로 포함할 때,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화이버 비드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을 구현하여, 전체적으로 향상된 관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식용 분산제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식용 분산제를 4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식용 분산제를 0.1 ~ 4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화이버 비드의 분산성, 관능 특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젤리 조성물은 탄수화물, 향미제, 풍미제, 감미제, 착색제, 유기산,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과육 및 당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식품에 적용 가능한 공지의 모든 식용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당류는 물엿, 꿀, 백설탕, 흑설탕, 올리고당 및 슈가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젤리는 상기된 젤리 조성물을 공지의 방법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화는 냉각, 건조 등의 공지의 방법을 따른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및 젤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5
(1) 화이버 비드의 제조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1 : 0.5 : 0.5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비드 조성물을 제조한 뒤, 이를 칼슘 용액에 적하하여 비드 형태로 응고시킴으로써, 입자 크기가 2 mm 인 구형의 화이버 비드를 제조하였다. 이때, 비드 조성물의 제조에는 적정량의 물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칼슘용액은 약 5 % 구연산칼슘 용액을 사용하였다.
(2)젤리 조성물의 제조
표 1[단위 : 중량%]의 조성에 따라, 젤리 베이스, 상기 (1)에 따라 제조된 화이버 비드, 식용 분산제, 첨가제 및 잔량의 물을 혼합하여 젤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젤리 베이스, 화이버 비드, 식용 분산제, 첨가제 및 잔량의 물을 혼합한 다음, 약 85 ~ 95 ℃ 로 약 10 분 동안 가열 및 교반하여, 겔 상태의 젤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식용 분산제로는 표 2[단위 : 중량비]의 중량 비율로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이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젤리 베이스 35
화이버 비드 32
식용 분산제 2
첨가제 5
to.100
*젤리 베이스 :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첨가제 : 사과농축과즙(고형분 72 brix)



1



2



3



4



5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1 1 1 1 1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6 6 6 6 6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 1 3 5 7 10
(3)젤리의 제조
상기에 따라 제조된 젤리 조성물을 성형 틀에 분주하고, 상온으로 냉각함으로써, 젤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내지 7
표 3[단위 : mm]의 입경을 가지는 화이버 비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6 실시예7
화이버 비드 입경(mm) 2 mm 0.5 mm 5 mm
[ 비교예 ]
비교예 1 내지 6
표 4[단위 : 중량%]에 따르도록 각 조성을 혼합하여 젤리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젤리 베이스 15 50 35 35 35 35
화이버 비드 32 32 25 55 32 32
식용 분산제 2 2 2 2 0.01 10
첨가제 5 5 5 5 5 5
To.100
비교예 7
식용 분산제로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8
식용 분산제로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9
식용 분산제로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 실험예 ]
실험예 1 : 분산성
실시예 1의 젤리 조성물(상온으로 냉각하기 전)을 성형 틀에 분주하고 상온으로 냉각하는 과정에서 비드의 분산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성형 틀은 내부가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투명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고온의 젤리 조성물을 상온으로 냉각하는 데에는 약 2 시간 정도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분산성의 평가는 냉각 과정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조성물 내에 비드가 균일하게 분산된 경우 '○'로 표기하였고, 조성물 내에서 전체 비드 중 50 % 미만의 비드가 침전된 경우 '△'로 표기하였으며, 조성물 내에서 전체 비드 중 90 % 이상의 비드가 침전된 경우 '×'로 표기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예 2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9의 분산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분산성 평가 분산성 평가
실시예1 비교예1 ×
실시예2 비교예2 ×
실시예3 비교예3
실시예4 비교예4 ×
실시예5 비교예5 ×
실시예6 비교예6
실시예7 비교예7 ×
비교예8 ×
비교예9 ×
표 5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젤리 조성물 내에서 화이버 비드가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7을 비교하면, 화이버 비드의 입경이 1 ~ 2.5 mm 일 때, 분산성이 현저히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젤리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젤리 베이스 20 ~ 45 중량%, 상기 화이버 비드 30 ~ 50 중량%, 상기 식용 분산제 0.1 ~ 4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2 및 비교예 4 내지 6의 경우에는 분산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식용 분산제로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7 내지 9의 경우에는 분산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관능 평가
관능 평가는 10 ~ 50 세 일반인(여성과 남성의 비율이 1 : 1로 구성) 총 30 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젤리의 관능 평가를 하기 항목에 따라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실험 대상자들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젤리를 섭취하기 전에 생수로 입안을 헹구도록 하였으며, 상기 실험을 총 10 회 반복한 뒤, 그 평균값을 표 6[단위 : 점수]에 나타내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관능 평가는 전반적인 맛, 화이버 비드를 함유함에 따른 씹히는 식감,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전체의 탄성감의 항목을 평가하였다. 각 항목은 5 점법에 의해 평가하였으며, 5 점에 가까울수록 맛, 씹히는 식감, 탄성감이 우수함을 의미하고, 1 점에 가까울수록 맛, 씹히는 식감, 탄성감이 나쁨을 의미한다.
식감
비드에 의한 씹힘성 젤리 특유의 탄성감
실시예1 4.5 4.0 4.0
실시예2 4.5 4.0 4.0
실시예3 5.0 5.0 5.0
실시예4 5.0 5.0 5.0
실시예5 4.5 4.0 4.0
실시예6 3.5 3.0 3.0
실시예7 3.5 3.0 3.0
비교예1 2.5 2.0 1.5
비교예2 2.5 2.5 3.0
비교예3 2.5 1.5 3.0
비교예4 2.5 1.5 1.5
비교예5 2.5 1.5 2.0
비교예6 2.5 2.5 2.0
비교예7 3.0 2.0 2.0
비교예8 3.0 2.0 2.0
비교예9 3.0 2.0 2.0
표 6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전체적인 맛과 비드에 의한 식감 향상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2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30 중량% 이상의 고함량의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면서도, 조성물 내에 화이버 비드가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전체적인 관능 특성이 우수한 젤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젤리 베이스, 화이버 비드, 식용 분산제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이버 비드는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포함하는 비드 조성물을 비드 형태로 응고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식용 분산제는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을 포함하는,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젤리 조성물은
    상기 젤리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젤리 베이스 20 ~ 45 중량%, 상기 화이버 비드 30 ~ 50 중량%, 상기 식용 분산제 0.1 ~ 4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젤리 베이스는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타마린드검, 젤라틴, 한천, 잔탄검, 카라기난 및 로커스트빈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버 비드는
    상기 곤약,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나트륨을 1 : 0.2 ~ 16 : 0.1 ~ 0.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비드 조성물을 비드 형태로 응고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버 비드는
    구형으로 형성되되, 입경이 1 ~ 2.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분산제는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피마자오일을 1 : 5 ~ 8 : 1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젤리 조성물은
    탄수화물, 향미제, 풍미제, 감미제, 착색제, 유기산,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과육 및 당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9. 제 1 항의 젤리 조성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KR1020200054344A 2020-05-07 2020-05-07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및 이로 형성된 젤리 KR102230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344A KR102230019B1 (ko) 2020-05-07 2020-05-07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및 이로 형성된 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344A KR102230019B1 (ko) 2020-05-07 2020-05-07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및 이로 형성된 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019B1 true KR102230019B1 (ko) 2021-03-19

Family

ID=7526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344A KR102230019B1 (ko) 2020-05-07 2020-05-07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및 이로 형성된 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0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788A (ko) * 2008-02-19 2009-08-24 오리히로가부시끼가이샤 젤리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123949B1 (ko) 2004-03-24 2012-03-26 (주)한미식품 곤약비드가 함유된 젤리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128785A (ko) * 2012-05-18 2013-11-27 주식회사 서흥캅셀 정제어유를 함유한 짜먹는 젤리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56903B1 (ko) * 2017-01-19 2017-07-11 팜드림주식회사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곡물 즉석 밥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49B1 (ko) 2004-03-24 2012-03-26 (주)한미식품 곤약비드가 함유된 젤리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89788A (ko) * 2008-02-19 2009-08-24 오리히로가부시끼가이샤 젤리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8785A (ko) * 2012-05-18 2013-11-27 주식회사 서흥캅셀 정제어유를 함유한 짜먹는 젤리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56903B1 (ko) * 2017-01-19 2017-07-11 팜드림주식회사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곡물 즉석 밥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9044B2 (en) Acidic soy protein gel food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4263513B2 (ja) 咀嚼・嚥下困難者用食品ならびに咀嚼・嚥下補助組成物
CN101946874A (zh) 一种缓解视疲劳的果冻
CN107410648A (zh) 一种乳矿物盐凝胶糖果及其制备方法
CN111657485B (zh) 快速凝胶组合物及其产品和用途
KR100398470B1 (ko) 연하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230019B1 (ko) 화이버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및 이로 형성된 젤리
CN112167578A (zh) 一款天然的魔芋果冻的制作方法
CN112401045A (zh) 一种植物胶类凝胶软糖的制备方法
KR102097212B1 (ko) 복숭아과육 함유 알긴산비드가 첨가된 젤리 제조방법
JPS6363366A (ja) 整腸増進健康食品
CN115039872B (zh) 一种植物基温敏性凝胶皮冻及其制备方法
KR102620947B1 (ko) 젤리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젤리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JP2002034505A (ja) シリマリン配合食品組成物
KR102605261B1 (ko) 부드러운 식감의 겔화 식품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306282A (zh) 乳酸菌胶原蛋白软糖及其制造方法
CN106562334A (zh) 果冻及其制备方法
KR102230020B1 (ko) 알긴산 비드를 함유하는 젤리 조성물 및 이로 형성된 젤리
JPH1099058A (ja) 固形物入り液状飲食品
CN112753979A (zh) 茯苓牛乳果冻及其制作方法
CN111264855A (zh) 一种火龙果风味竹燕窝果冻及其制备方法
KR20200061963A (ko) 숙취해소 및 요오드결핍 개선용 한천젤리의 제조방법
CN107691741B (zh) 一种椰糯糕及其制备方法
JPS633767A (ja) ゲル状ブロツクを混入した食品
KR102636692B1 (ko) 젤라틴을 겔화제로 이용한 콜라겐 젤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