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573B1 - 횡편기 - Google Patents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573B1
KR102226573B1 KR1020190036521A KR20190036521A KR102226573B1 KR 102226573 B1 KR102226573 B1 KR 102226573B1 KR 1020190036521 A KR1020190036521 A KR 1020190036521A KR 20190036521 A KR20190036521 A KR 20190036521A KR 102226573 B1 KR102226573 B1 KR 102226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tension
yarn
adjusting device
knitting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877A (ko
Inventor
아쓰시 모리
히로미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90114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4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04B15/12Shogg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편성 시의 편사의 장력을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횡편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복수의 편침을 갖는 니들베드(1B)와, 니들베드(1B)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레일(1R)에 부착되어 레일(1R)을 따라 주행하고 편사(9)를 니들베드(1B)의 니들베드갭에 급사하는 얀피더(2A)와, 급사에 관한 편성조건을 조정하는 편성조건 조정장치(5)와, 편사(9)의 장력에 의거하여 편성조건 조정장치(5)를 제어하는 편성조건 제어부를 구비하는 횡편기(1)이다. 얀피더(2A)는, 편사(9)의 장력에 상관되는 정보를 취득하고, 그 정보를 편성조건 제어부에 출력하는 장력센서(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편침(編針)이 배열되는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에는, 레일(rail)에 부착되어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얀피더(yarn feeder)(이하, YF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는, YF를 리니어 모터(linear motor)에 의하여 구동시키거나 YF에 구동모터 등을 부착하여, YF를 자주(自走)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YF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그 제어장치에는, 레일에 설치되는 콘택트 스트립(contact strip)을 통하여 접촉급전(接觸給電)에 의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특허문헌2에는, YF가 부착되는 레일 위를 주행하고, YF에 전환핀(轉換pin)을 꽂아서 YF를 연행(連行)하는 이동체(특허문헌2의 부호 300)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서는, 레일에 설치된 도전시트(導電sheet)와 이동체에 설치된 카본 브러시(carbon brush)의 접촉에 의하여 이동체에 급전하여, 전환핀의 출납을 하고 있다.
: 독일국 특허출원공개 제4308251호 명세서 : 중국 특허출원공개 제101139777호 명세서
YF에는, 편사가 감긴 콘(cone) 등의 편사공급원으로부터 편사가 공급된다. YF가 이동하였을 때에 YF에 편사가 잡아당겨져서 콘으로부터 편사가 풀린다. 여기에서 편성포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편성포의 편성 시에 편사에 적정한 장력(설정장력)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편사의 종류나 그 상태, 습도나 온도 등의 외적요인 혹은 편성속도나 편성동작 등의 편성조건에 따라 편사의 장력이 부적절한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지금 편성이 실시되고 있는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떨어진 편사경로의 상류(上流)에서 편사의 장력 측정이나 조정을 실시하고 있어, 니들베드갭 근방에서의 편사의 장력변화를 신속하게 검지하는 것이 어려워서, 장력의 조정도 지연되는 경향을 띠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편성 시의 편사의 장력을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횡편기는,
복수의 편침을 갖는 니들베드와, 상기 니들베드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레일에 부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편사를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에 급사하는 얀피더와, 급사에 관한 편성조건을 조정하는 편성조건 조정장치와, 상기 편사의 장력에 의거하여 상기 편성조건 조정장치를 제어하는 편성조건 제어부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상기 얀피더는, 상기 편사의 장력에 상관되는 정보를 취득하고, 그 정보를 상기 편성조건 제어부에 출력하는 장력센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장력센서는,
상기 얀피더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얀피더의 두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둘레면에 상기 편사가 가이드되는 가이드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축부의 변위의 정도를 상기 편성조건 제어부에 출력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편성조건 조정장치는, 상기 얀피더에 탑재되고 상기 편사에 있어서의 상기 장력센서보다 상류측의 부분에 작용하여 상기 편사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정장치인 형태를 들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정장치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얀피더는, 상기 레일에 부착되는 캐리어부와, 상기 캐리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캐리어부보다 폭이 좁은 수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력조정장치는, 상기 레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얀피더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수하부의 측방의 위치에 설치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정장치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장력조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편성조건 제어부는, 상기 얀피더에 탑재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정장치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장력조정장치는, 상기 편사에 대하여 상기 얀피더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편사의 장력을 조정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얀피더(이하, YF)에 장력센서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횡편기에 의하면, 니들베드갭 근방의 편성장소에 가까운 위치에서 편사의 장력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편성장소에서의 편사의 장력변화를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보다 빠른 타이밍으로 편사의 장력에 따른 편성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편성조건을 조정하는 편성조건 조정장치로서는, 편사에 작용하여 편사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정장치나, 능동적으로 편사의 송출량을 조정하는 송출장치, 그 외에 편침에 의한 편사의 인입량을 조정하는 캠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어느 것의 구성이더라도 편사의 장력을 변화시킬 수 있어, 편성장소에 있어서의 편사의 장력을 최적으로 유지하기 쉽게 됨으로써, 편성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축부가 YF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축부이면, 도입 가이드로부터 가이드축부에 이르는 편사에 꼬임 등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가이드축부를 YF의 두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이드축부의 변위 시에 가이드축부가 YF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가이드축부가 다른 YF에 접촉되는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편성조건 조정장치의 일종인 장력조정장치를 YF에 설치함으로써, 니들베드갭 근방의 위치에서의 편사의 장력의 변화에 즉응하여, 편사의 장력을 최적으로 할 수 있다.
횡편기에는 복수의 YF가 배치되고, 니들베드갭 근방의 좁은 공간에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YF의 선단에 가까운 위치에 장력조정장치를 설치한다는 발상이 없었다. 이에 대하여 본원발명의 횡편기에서는, 본원발명의 과제를 고려하여 굳이 YF의 위치에 장력조정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YF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장력조정장치가 YF의 이동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지만, 장력조정장치를 YF의 수하부의 측방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그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편성조건 제어부를 YF에 설치함으로써, 장력센서에서 취득한 정보를 YF 외로 송신하지 않고 장력조정장치의 제어에 사용할 수 있다.
장력조정장치의 작용방향을, YF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즉 YF의 평면방향)으로 함으로써, 장력조정장치가 YF로부터 크게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1은, 실시형태에 관한 횡편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2는, 레일의 일면측에서 본 얀피더의 개략도이다.
도3은, 도2의 반대측에서 본 얀피더의 개략도이다.
도4는, 얀피더에 있어서의 장력센서와 장력조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5에 있어서, (A)는 장력센서의 가이드축부의 개략적인 정면도, (B)는 가이드축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실시형태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횡편기(橫編機)(1)를 도1∼도5에 의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횡편기(1)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면(紙面)의 후방의 방향으로 대향(對向)하여 배치되는 1쌍의 니들베드(needle bed)(1B)와, 양 니들베드(1B)의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에 편사(編絲)(9)를 급사(給絲)하는 얀피더(yarn feeder)(이하, YF)(2A∼2D)를 구비한다. 니들베드(1B)에는 복수의 편침(編針)이 병렬로 설치되어 있고, 그들의 편침은 니들베드(1B) 위를 왕복하는 캐리지(carriage)(1C)에 탑재되는 캠 시스템(cam system)(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구동된다. 한편 YF(2A∼2D)는 레일(1R)을 따라 주행한다. 레일(1R)은, 횡편기(1)의 양단측(兩端側)에 세워서 설치되고 횡편기(1)와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부동(不動)의 부재인 1쌍의 프레임(1FR, 1FL)의 사이를 가로지른다. 레일(1R)은, 지면의 후방의 방향으로 복수 병렬되어 있고, 모든 레일(1R)은 니들베드(1B)의 상방에서 니들베드(1B)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하, YF(2A∼2D)에 대하여 공통적인 설명을 할 때에는, 각 YF(2A∼2D)를 구별하지 않고 YF(2)라고 표기한다.
본 예에서는, 1개의 레일(1R)에 복수의 YF(2)가 부착되어 있다. YF(2A, 2B)는 레일(1R)에 있어서 지면의 전방측의 면에 부착되어 있고, YF(2C, 2D)는 레일(1R)에 있어서 지면의 후방측의 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 YF(2)는, 레일(1R)의 상방에 덮어 씌워지는 실렉터(selector)(1S)에 선택·연행(選擇·連行)됨으로써 레일(1R)을 따라 주행한다. 실렉터(1S)에 설치되는 출몰식(出沒式)의 전환핀(轉換pin)이 YF(2)에 맞물림으로써 YF(2)가 선택된다. 실렉터(1S)는, 캐리지(1C)에 연결되어 캐리지(1C)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실렉터(1S)가, 편성에 사용되는 YF(2)를 선택·연행함으로써 YF(2)로부터 공급되는 편사(9)에 의하여 편성이 실시된다. 또 YF(2)를 주행시키는 구성은, 본 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YF(2)가 자주(自走)하는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캐리지(1C)나 실렉터(1S)의 동작은, 횡편기(1)에 구비되는 컴퓨터(10)에 의하여 제어된다.
YF(2)에는, 횡편기(1)의 상방 등에 배치된 콘(cone) 등의 편사공급원(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으로부터, 텐션장치(tension裝置)(90)를 통하여 또한 횡편기(1)의 측방의 사이드 텐션장치(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통하여 풀린 편사(9)가 공급된다. 즉 본 예의 YF(2)는 그 측방으로부터 편사(9)의 급사를 받는 구성이다. 본 예와는 달리, YF(2)의 상방으로부터 편사(9)의 급사를 받는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본 예의 횡편기(1)에서는, YF(2)의 위치에 편사(9)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와, 장력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給電部)를 설치하고 있다. 우선 본 예의 YF(2A)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2, 도3에 의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YF(2A)에 설치되는 구성에 대하여 언급한다.
≪얀피더≫
도2는 레일(1R)에 부착되는 YF(2A)를 도1의 지면의 전방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3은 상기 YF(2A)를 도1의 지면의 후방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2, 도3에서는, 레일(1R)의 측면에 설치되고, YF(2A)가 슬라이딩 접촉(sliding contact)되는 리지(ridge)(1b)만을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 편의상, 도2의 측을 YF(2A)의 표면, 도3의 측을 YF(2A)의 이면이라고 한다. 도2, 도3에 나타내는 본 예의 YF(2A)는, 본체부(2M)와 하방 탑재부(2L)와 상방 탑재부(2U)를 구비한다. 물론 도2, 도3에 나타내는 YF(2A)의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도2, 도3에서는, 편사(9)의 경로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편사(9)를 강조하여 나타내고 있다.
본체부(2M)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1R)의 리지(1b)를 상하에 끼우는 주행롤러(走行roller)(2r)를 구비하고, 레일(1R)의 위치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장척(長尺)의 판재(板材)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체부(2M)는, 주행롤러(2r)가 설치되는 캐리어부(carrier部)(2a)와, 캐리어부(2a)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늘어지도록 연장되는 수하부(垂下部)(2b)로 나누어진다. 강도를 확보한다는 점에서 본체부(2M)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부(2a)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도1의 실렉터(1S)의 전환핀이 삽발(揷拔)되는 핀홈(2h)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하부(2b)의 하단(下端)에는 편사(9)를 니들베드갭으로 인도하는 급사구(給絲口)(2f)가 설치되고, 중간부에도 약간 상측 근처에는 편사(9)를 급사구(2f)측으로 인도하는 롤러 모양의 도입 가이드(導入 guide)(2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예의 도입 가이드(21)는, 본체부(2M)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갖는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도입 가이드(21)는, 레일(1R)의 연신방향(延伸方向)으로 연장되어 수하부(2b)에 고정되는 소편(小片) 중에서 수하부(2b)로부터 튀어 나오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 도입 가이드(21)는 롤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편사(9)를 삽입하여 통과시킬 수 있는 통모양 부재이더라도 좋다.
하방 탑재부(2L)는, 도입 가이드(21)보다 하방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하방 탑재부(2L)는 판모양 부재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판자 조각이나 골재 등을 조합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이 하방 탑재부(2L)는, 도3에 나타내는 장력센서(tension sensor)(4)나 장력조정장치(5) 등의 전기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하방 탑재부(2L)의 일부는, 레일(1R)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YF(2A)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본체부(2M)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부분의 이면측(도3의 측)에 장력센서(4)나 장력조정장치(5)가 설치된다.
상방 탑재부(2U)는, 캐리어부(2a)의 표면측(도2의 측)에 설치되는 판모양 부재이다. 상방 탑재부(2U)는, 후술하는 제어회로(20) 등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캐리어부(2a)의 표면측을 상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캐리어부(2a)의 내부에 상방 탑재부(2U)를 수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캐리어부(2a)에 뚜껑을 설치하면, 제어회로(20)를 먼지나 오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급전부≫
급전부(3)는, 후술하는 제어회로(20)나 장력센서(4), 장력조정장치(5)에 전력을 공급한다. 급전부(3)는, 전지 등의 자력(自力)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능동전원이더라도 좋고, YF(2A)의 외부로부터 수전(受電)하고 그 전력을 제어회로(20) 등에 공급하는 수동전원이더라도 좋다. 수동전원에 대한 급전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 2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접촉식의 급전방법이나 전자유도 등을 이용한 비접촉식의 급전방법을 들 수 있다.
≪제어회로≫
제어회로(20)는, 상방 탑재부(2U)의 표면측에 설치되고, 급전부(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YF(2A)에 장력조정장치(5)가 구비되어 있고, 본 예의 제어회로(20)는, 장력센서(4)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장력조정장치(5)를 제어하는 장력제어부(편성조건 제어부)를 갖는다. 또한 본 예의 YF(2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수신기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그 경우에 송수신기의 통신제어부는 제어회로(2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들 YF(2A)에 설치되는 각 제어부는, 횡편기(1)의 컴퓨터(10)에 구비되는 통합제어부에 의하여 연계하여 제어된다.
≪장력센서≫
장력센서(4)는, YF(2A)의 하방 탑재부(2L)에 설치되고, 편사(9)의 장력에 상관되는 물리량의 정보를 취득하고, 그 정보를 전기신호로서 제어회로(20)에 출력한다. YF(2A)에 장력센서(4)를 설치함으로써, 편사(9)의 이완이나 긴장을 종래보다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취득하는 물리량은, 편사(9)의 장력의 변화에 상관하여 변화되는 물리량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본 예의 장력센서(4)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4, 도5를 참조한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력센서(4)는, 도입 가이드(21)보다 편사(9)의 송출방향의 하류측(도2, 도3의 본체부(2M)의 급사구(2f)측)에 설치되고, 편사(9)에 접촉하여 편사(9)로부터 받는 응력에 따른 물리량을 취득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장력센서(4)는, 가이드 롤러(41, 42)와, 가이드 롤러(41, 42) 사이의 위치에 경사지는 모양으로 부착된 가이드축부(40)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41, 42)의 사이를 지나는 편사(9)의 장력을 가이드축부(40)에서 측정한다. 가이드축부(40)는, 지면의 좌우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변위량에 따른 변형량을 상기 물리량으로서 취득한다.
가이드축부(40)의 구성을 도5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예의 가이드축부(40)는 롤러(4r)를 구비하고 있고, 롤러(4r)는, 지면의 좌우방향(도3의 레일(1R)의 연신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롤러 지지축(4b)의 선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롤러 지지축(4b)의 후단(後端)은 1쌍의 벽부(4w)에 끼워져 있어, 롤러 지지축(4b)은 지면의 좌우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롤러 지지축(4b)의 중간부의 상면에는, 롤러 지지축(4b)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홈부(4g)가 형성되어 있고, 그 홈부(4g)에는 소편(4p)이 끼워져 있다. 소편(4p) 중에서 홈부(4g)와는 반대측의 단부(端部)는 변형센서(4s)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편사(9)의 장력이 작용하여 가이드축부(40)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축(4b)이 변위되면, 소편(4p)이 홈부(4g)에 눌려서 휘어진다. 그 휘어짐에 의하여 생긴 소편(4p)의 변형량을 변형센서(4s)가 검지한다. 물론 소편(4p) 자체를 변형센서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장력센서(4)의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다른 검출원리로 장력의 측정을 실현하여도 좋다.
장력센서(4)에서 취득한 물리량의 정보(본 예에서는 변형량)는, 전기신호로서 도2의 제어회로(20)에 입력된다. 제어회로(20)는 그 정보에 의거하여 장력조정장치(5)를 제어한다. 편사(9)의 장력의 조정에 있어서 제어회로(20)는, 예를 들면 제어회로(20)의 메모리에 기억되는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참조한다. 룩업 테이블로서는, 상기 물리량과 편사(9)의 장력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제어회로(20)는, 구한 편사(9)의 장력과 메모리에 기억되는 설정장력을 비교하여, 편사(9)의 장력이 설정장력에 근접하도록 장력조정장치(5)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면 구한 장력이 설정장력보다 낮으면, 편사(9)의 장력이 높아지게 되도록 장력조정장치(5)를 동작시킨다. 반대로 구한 장력이 설정장력보다 높으면, 편사(9)의 장력이 낮아지게 되도록 장력조정장치(5)를 동작시킨다. 이 장력조정장치(5)의 동작과, 장력센서(4)에서의 측정 및 제어회로(20)에서의 장력의 비교를 반복함으로써, 편사(9)의 장력을 설정장력에 가깝게 한다.
≪장력조정장치≫
본 예의 장력조정장치(5)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사(9)에 있어서의 도입 가이드(21)와 장력센서(4)의 사이를 지나는 부분에 작용하여 편사(9)의 장력을 조정한다. 이 장력조정장치(5)는, 편사(9)에 직접 작용하여 편성의 조건인 편사(9)의 장력 자체를 조정함으로써, 편사(9)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편성조건 조정장치이다. 장력조정장치(5)는, 반드시 YF(2A)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종래와 같이 도1의 횡편기(1)의 사이드 텐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본 예의 장력조정장치(5)와 같이 니들베드갭에 가까운 위치에서 편사(9)를 조정하는 것이, 신속하게 편사(9)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예의 장력조정장치(5)는, 레일(1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YF(2A)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수하부(2b)의 측방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장력조정장치(5)가 YF(2A)의 주행루트의 근방에 있는 부재(예를 들면 다른 레일의 YF)에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본 예의 장력조정장치(5)는, 레일(1R)의 연신방향에 있어서의 캐리어부(2a)의 폭을 튀어 나오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1의 YF(2A, 2B)를 좌우로 밀착시켜서 나란하게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장력조정장치(5)를 YF(2A) 외에 설치하는 경우에, 장력센서(4)에서 취득한 정보를 YF(2A) 외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둘 필요가 있다.
본 예의 장력조정장치(5)는, 하방 탑재부(2L)에 고정되는 부동의 고정편(固定片)(51)과, 고정편(51)에 대하여 근접·이반하는 방향으로 직선모양으로 움직이는 가동편(可動片)(50)의 사이에 편사(9)를 끼움으로써, 편사(9)의 장력을 조정한다. 가동편(50)은 솔레노이드(solenoid) 등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에 대한 통전량(通電量)을 변화시킴으로써, 고정편(51)과 가동편(50)에 편사(9)를 끼우는 힘을 변화시킬 수 있다. 편사(9)를 끼우는 힘이 강하면 편사(9)가 움직이기 어렵게 되어, 장력조정장치(5)보다 하류측의 편사(9)의 장력이 높아지게 된다. 반대로, 편사(9)를 끼우는 힘이 약하면 편사(9)가 움직이기 쉽게 되어, 장력조정장치(5)보다 하류측의 편사(9)의 장력이 낮아지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가동편(50)의 직선모양으로 움직이는 방향 즉 편사(9)에 대한 장력조정장치(5)의 작용방향은, YF(2A)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YF(2A)의 본체부(2M)의 평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동편(50)이 동작하여도 가동편(50)이 YF(2A)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아, 가동편(50)의 동작이 YF(2A)의 주행루트의 근방에 있는 부재에 간섭하지 않는다.
≪기타≫
YF(2A)는, 편사(9)의 종류나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조직에 따른 편사(9)의 장력을 실현하기 위하여 도1의 횡편기(1)의 컴퓨터(10)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YF(2A)에 광무선방식 등의 송수신기를 설치하여, YF(2A)의 제어회로(20)와 컴퓨터(10)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송수신기는, 제어회로(20) 상에 설치할 수 있으며, 제어회로(20)에 구비되는 통신제어부에서 제어할 수 있다. 제어회로(20)에서는, 송신하는 정보의 취사선택이나 수신한 정보의 취사선택을 할 수 있다.
<실시형태2>
장력조정장치(5)는, 편사(9)의 장력을 가변(可變)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면 장력조정장치(5)로서, 1쌍의 빗(comb) 모양의 부재를 서로의 빗살(comb tooth)이 교대로 맞물리도록 배치한 구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인접하는 빗살의 사이를 지나가도록 편사(9)를 배치하고, 빗 모양 부재의 두께방향으로 양 빗 모양 부재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편사(9)의 장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3>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성조건 조정장치는 장력조정장치(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편성에 관한 어떤 조건을 변경시킨 결과로서 편사(9)의 장력을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이면, 본 발명의 편성조건 조정장치로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일방이 회전구동하는 1쌍의 롤러에 편사(9)를 끼우고, 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편사(9)를 능동적으로 송출하는 송출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1)이면, 그 송출장치와 그 제어를 하는 송출 제어부를 각각 편성조건 조정장치와 편성조건 제어부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장력센서(4)로부터의 장력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편사(9)의 송출량을 조정함으로써, 편사(9)의 장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송출장치이면, 롤러의 회전수를 많게 하여 편사(9)의 송출량을 늘림으로써 편사(9)의 장력을 이완시킬 수도 있다. 그 외에, 편침에 따른 편사(9)의 인입량을 조정하는 캠 시스템과 그 제어를 하는 캠 제어부를 각각 편성조건 조정장치와 편성조건 제어부로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장력센서(4)로부터의 장력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편침의 인입량을 조정함으로써, 편사(9)의 장력을 최적화 할 수 있다.
또한 편사(9)의 장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유저에게 편성조건의 변경을 촉진시키는 것도 편성조건을 조정하는 것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장력의 이상(異常)을 유저에게 알리는 디스플레이나 경보램프 등의 장력이상 알림장치와 그 제어를 하는 알림 제어부를 각각 편성조건 조정장치와 편성조건 제어부로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을 할 때에 횡편기(1)의 통합제어부는, 편성동작을 일단 정지한다는 판단을 할 수도 있다.
1 : 횡편기
1B : 니들베드
1C : 캐리지
1FL, 1FR : 프레임
1R : 레일
1S : 실렉터
1b : 리지
10 : 컴퓨터
2, 2A, 2B, 2C, 2D : 얀피더(YF)
2M : 본체부
2L : 하방 탑재부
2U : 상방 탑재부
2a : 캐리어부
2b : 수하부
20 : 제어회로(편성조건 제어부)
21 : 도입 가이드
2f : 급사구
2h : 핀홈
2r : 주행롤러
3 : 급전부
4 : 장력센서(전기기기)
40 : 가이드축부
41, 42 : 가이드 롤러
4b : 롤러 지지축
4g : 홈부
4p : 소편
4r : 롤러
4s : 변형센서
4w : 벽부
5 : 장력조정장치(편성조건 조정장치)
50 : 가동편
51 : 고정편
9 : 편사
90 : 텐션장치

Claims (10)

  1. 복수의 편침을 갖는 니들베드(needle bed)와, 상기 니들베드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레일에 부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편사를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에 급사(給絲)하는 얀피더(yarn feeder)와, 급사에 관한 편성조건을 조정하는 편성조건 조정장치와, 상기 편사의 장력에 의거하여 상기 편성조건 조정장치를 제어하는 편성조건 제어부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상기 얀피더는, 상기 편사의 장력에 상관되는 정보를 취득하고, 그 정보를 상기 편성조건 제어부에 출력하는 장력센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센서는,
    상기 얀피더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얀피더의 두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둘레면에 상기 편사가 가이드되는 가이드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축부의 변위의 정도를 상기 편성조건 제어부에 출력하는 횡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조건 조정장치는, 상기 얀피더에 탑재되고 상기 편사에 있어서의 상기 장력센서보다 상류측의 부분에 작용하여 상기 편사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정장치인 횡편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얀피더는, 상기 레일에 부착되는 캐리어부(carrier部)와, 상기 캐리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캐리어부보다 폭이 좁은 수하부(垂下部)를 구비하고,
    상기 장력조정장치는, 상기 레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얀피더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수하부의 측방의 위치에 설치되는
    횡편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편성조건 제어부는, 상기 얀피더에 탑재되는 횡편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편성조건 제어부는, 상기 얀피더에 탑재되는 횡편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장치는, 상기 편사에 대하여 상기 얀피더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편사의 장력을 조정하는 횡편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장치는, 상기 편사에 대하여 상기 얀피더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편사의 장력을 조정하는 횡편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장치는, 상기 편사에 대하여 상기 얀피더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편사의 장력을 조정하는 횡편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장치는, 상기 편사에 대하여 상기 얀피더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편사의 장력을 조정하는 횡편기.
KR1020190036521A 2018-03-30 2019-03-29 횡편기 KR102226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69638 2018-03-30
JP2018069638A JP7111491B2 (ja) 2018-03-30 2018-03-30 横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877A KR20190114877A (ko) 2019-10-10
KR102226573B1 true KR102226573B1 (ko) 2021-03-10

Family

ID=6600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521A KR102226573B1 (ko) 2018-03-30 2019-03-29 횡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546630B1 (ko)
JP (1) JP7111491B2 (ko)
KR (1) KR102226573B1 (ko)
CN (1) CN1103181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393B1 (ko) * 2020-10-12 2021-04-16 주식회사 세계로시스템 마스크 제조장치
CN113512810B (zh) * 2021-07-13 2022-09-23 江南大学 一种纱线张力自调节的横机纱嘴装置
CN113512809B (zh) * 2021-07-13 2022-10-14 江南大学 一种具有纱线张力调控的横机纱嘴装置及张力调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251A (en) 1980-01-11 1981-12-29 Boots Pharmaceuticals, Inc.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of orally-active medicaments
DE3627731C1 (de) * 1986-08-16 1988-03-31 Gustav Memminger Fadenliefervorrichtung mit elektronischer Fadenspannungsregelung
DE3824034C1 (ko) * 1988-07-15 1989-09-14 Gustav 7290 Freudenstadt De Memminger
US4879001A (en) * 1988-09-12 1989-11-07 Beloit Corporation Twin wire former with roll press followed by extended nip press
DE4308251C2 (de) 1992-03-17 1997-10-09 Schieber Universal Maschf Strickmaschine
US5623840A (en) * 1992-07-08 1997-04-29 Tecnit-Technische Textilien Und Systeme Gmbh Process for production of weave-knit material
DE4308663A1 (de) * 1993-03-18 1994-09-22 Schieber Universal Maschf Textilmaschine
JPH10102361A (ja) * 1996-09-27 1998-04-21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給糸装置
DE19811240C2 (de) * 1998-03-14 2000-05-31 Memminger Iro Gmbh Fadenliefergerät mit verbessertem Fadenlauf
JP2008156786A (ja) * 2006-12-25 2008-07-10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編糸のテンション装置
CN101139777B (zh) 2007-09-29 2010-06-23 冯加林 一种电脑横机梭箱控制机构的电源控制信号导入装置
WO2009052846A1 (de) * 2007-10-24 2009-04-30 Memminger-Iro Gmbh Fadenliefergerät mit adaptivem regler
KR101139777B1 (ko) 2010-05-12 2012-04-26 국방과학연구소 저감도 폭발형 반응장갑용 반응물질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
CN203546341U (zh) * 2013-07-29 2014-04-16 常州燎源纺织印染有限公司 一种横机张力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18151A (zh) 2019-10-11
JP7111491B2 (ja) 2022-08-02
CN110318151B (zh) 2021-10-26
JP2019178464A (ja) 2019-10-17
EP3546630A1 (en) 2019-10-02
KR20190114877A (ko) 2019-10-10
EP3546630B1 (en)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573B1 (ko) 횡편기
EP2426242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knitted fabric guide and lapping take-up device using the same
KR100878204B1 (ko) 동선 압연기의 권취장치
ITMI20120478A1 (it) Dispositivo tendifilo dei filati in avvolgimento
KR20150010590A (ko) 직물용 인쇄 장치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
CN110799686A (zh) 用于对用于袜类或类似物的针织机馈送一根或多根纱线的装置
TW382002B (en) Apparatus for winding a thread onto a bobbin
CN110318150B (zh) 横机
JP5955738B2 (ja) 張力検出装置
CN105712126A (zh) 纺织机、自动绕线器及纱线引导机构
CN102753742B (zh) 具有用于导向皮带的导向台的牵伸机构
JP2015151233A (ja) 液体吐出装置及び媒体の繰出し方法
KR102336620B1 (ko)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
CN112424100A (zh) 丝线卷绕机
JP4173067B2 (ja) 金属線の線切れ検出方法および装置
KR20210059740A (ko) 와인딩 머신
EP1652981B1 (en) Sinker unit of weft knitting machine
CN217459719U (zh) 一种整经设备
CN113584704B (zh) 一种电脑横编针织机衬纬纱导纱系统
CN110356913B (zh) 卷绕宽度调整装置
EP4253620A1 (en) Yarn heater
KR102482582B1 (ko) 급전기구가 부착된 장치
CN210886454U (zh) 一种能够预防断纱的棕片导纱装置
EP4332036A1 (en) Yarn length measurement device and knitting yarn buffer device
JP2013188884A (ja) 熱転写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