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620B1 -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 - Google Patents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620B1
KR102336620B1 KR1020190116939A KR20190116939A KR102336620B1 KR 102336620 B1 KR102336620 B1 KR 102336620B1 KR 1020190116939 A KR1020190116939 A KR 1020190116939A KR 20190116939 A KR20190116939 A KR 20190116939A KR 102336620 B1 KR102336620 B1 KR 102336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oving plate
plat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949A (ko
Inventor
김남욱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Priority to KR102019011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6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1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with shuttle-typ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16H7/023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with belts having a toothed contact surface or regularly spaced bosses or hollows for slipless or nearly slipless meshing with complementary profiled contact surface of a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2Mounting or support of tensio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단으로 연장되면서 화물을 이송시키도록 이루어진 텔레스코픽 포크장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장착된 다수의 제1주행롤러를 구비하는 고정판; 고정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가공되면서 정면상 양측에 가공된 주행홈, 주행홈의 상면과 하면에 고정된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을 구비하는 제1이동판; 제1이동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장착된 다수의 제2주행롤러를 구비하는 제2이동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판들의 결합해체가 방지되고, 고정판, 제1이동판 및 제2이동판들의 간섭이 최대한 방지되면서 서로 간의 이동이 충분히 보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Telescopic fork Device for moving cart}
본 발명은 텔레스코픽 포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면상 수평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띠벨트에 의해 이동하는 다단의 이동판이 상호 롤러에 의한 구름 이동하도록 됨으로써, 이동판들의 안정되면서 원활한 이동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스코픽 포크장치는, 랙의 선반에 놓인 물품을 수취하여 주행대차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텔레스코픽 포크장치(10)의 종래 구성은 일례로 도 1에서 보듯이, 정면상 주행대차(20)의 양측에 배치되고,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화물(P)을 수취하여 주행대차(20) 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텔레스코픽 포크장치(1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복귀하도록 고정판(11), 제이동판(12) 및 제2이동판(1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고정판(11)은 주행대차(20)의 몸체(21)에 고정되고, 고정판(11)의 내측으로 제1이동판(12)과 제2이동판(13)이 순차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판(11), 제1이동판(12) 및 제2이동판(13)은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 및 오목부가 가공되고, 이들 돌출부 및 오목부가 정합되는 구조로 상호 장착되며, 이로 인해 제1이동판(12) 및 제2이동판(13)의 이동시 이동 경로를 안내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판(11), 제1이동판(12) 및 제2이동판(13)의 서로 간의 돌출부 및 오목부의 정합에 의한 장착 구조는 외부 충격에 매우 쉽게 해체되고, 약간의 뒤틀림으로도 쉽게 간섭발생하며, 이 간섭으로 인해 판들의 동작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1997호(2015.09.09. 공고) 국제출원 WO 2015/038999 A2(2015.03.19. 공개) 일본 특개 2013-47150(2013.03.07. 공개) 유럽 특허 EP0733563 A1(1996.09.25. 공개) 미국 특허 US2005/0047895 A1(2005.03.03. 공개)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판, 제1이동판과 제2이동판이 서로 간에 주행롤러의 끼움 장착으로 견고히 결합되고, 정면상 수평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2개의 띠벨트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기도록 설치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판들의 결합 해체 및 뒤틀림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고, 제1이동판과 제2이동판이 좌우 양방향 이동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는 다단으로 연장되면서 화물을 이송시키도록 이루어진 텔레스코픽 포크장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장착된 다수의 제1주행롤러를 구비하는 고정판; 고정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가공되면서 정면상 양측에 가공된 주행홈을 구비하고 주행홈의 상면과 하면에 고정된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제1이동판; 제1이동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장착된 다수의 제2주행롤러를 구비하는 제2이동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주행롤러와 제2주행롤러는 각각 제1이동판의 양측에 가공된 주행홈에 장착되고, 롤러들 중 일부는 주행홈의 상면 또는 상부레일과 접촉하고, 나머지는 주행홈의 하면 또는 하부레일에 접촉하며, 제1이동판 및 제2이동판이 좌우로 주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이동판의 하부에 길이를 따라 가공된 타이밍벨트기어와 맞물리도록 설치된 타이밍벨트, 타이밍벨트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 적어도 1개의 구동롤러 또는 종동롤러와,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제1동력원을 구비한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동력원이 전달된 타이밍벨트에 의해 제1이동판이 좌 또는 우로 주행할 수 있다.
한편, 고정판에 대해 제1이동판 및 제2이동판의 이동 거리를 조정하도록 설치된 이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수단은 일단 부위가 고정판의 제1이동판측 일면의 우측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위가 제1이동판의 좌측 상면에 장착된 케이블베어풀리에 감긴 후 제2이동판의 제1이동판측 일면의 좌측부에 고정된 제1띠벨트; 일단 부위가 고정판의 제1이동판측 일면의 좌측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위가 제1이동판의 우측 상면에 장착된 띠벨트롤러에 감긴 후 제2이동판의 제1이동판측 일면의 우측부에 고정된 제2띠벨트;와, 일단 부위가 고정판의 제1이동판측 일면에 우측부에 고정되고, 제1띠벨트가 제1이동판측 일면에 겹쳐지게 배치되며, 타단부위가 제1띠벨트와 함께 케이블베어풀리에 감긴 후 제2이동판의 제1이동판측 일면의 좌측부에 고정되고, 수용된 전선을 외부 간섭으로부터 보호하는 케이블베어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케이블베어와 제1띠벨트의 겹침으로 두꺼워져 돌출된 높이를 낮추기 위해 고정판에 기공된 끼움장홈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베어 및 제1띠벨트와, 제2띠벨트는 상하로 배치되고, 각각 대향 위치되면서 높이가 다른 케이블베어풀리와 띠벨트롤러에 정면상 수평으로 감기며, 제1이동판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제1띠벨트와 제2띠벨트의 연계 동작으로 고정판을 기준으로 제1이동판의 이동 거리에 대해 제2이동판의 이동거리가 더 길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고정판은 상부 좌측에 슬롯형태로 가공된 제2띠벨트고정홀, 상부 우측에 슬롯형태로 가공되면서 제2띠벨트고정홀보다 정면상 높거나 낮게 위치된 제1띠벨트고정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1띠벨트 또는 제2띠벨트의 일단 부위와 체결되어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고정판에 장착된 제1장력조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장력조정수단은 고정판을 사이에 두고 내측에 위치한 제1띠벨트 또는 제2띠벨트에 대해 반대측면인 외면에 배치된 장착부재와, 제1띠벨트고정홀 또는 제2띠벨트고정홀을 관통하여 제1띠벨트 또는 제2띠벨트와 장착부재를 결합시키는 제1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제1띠벨트 또는 제2띠벨트는 제1체결부재와의 체결을 위해 선단 부위에 장착된 제1띠벨트블럭 또는 제2띠벨트블럭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부재가 장슬롯인 제1띠벨트고정홀 또는 제2띠벨트고정홀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면서 제1띠벨트 또는 제2띠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장력조정수단은 장착부재의 인근의 고정판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와, 제1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장착부재와 결합되면서 왕복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체결된 장력조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장력조정부재가 왕복 이동하여 장착부재를 밀거나 당겨 제1띠벨트 또는 제2띠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고정판은 상부 우측에 제1띠벨트고정홀 근처에 정면상 동일 높이로 가공된 케이블베어고정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케이블베어의 일단 부위와 체결되어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고정판에 장착된 제2장력조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장력조정수단은 고정판을 사이에 두고 내측에 위치한 케이블베어에 대해 반대측면인 외면에 배치되고, 슬롯이 가공된 제2고정부재;, 제2고정부재를 고정판에 고정시키는 제2체결부재와, 케이블베어고정홀을 관통하여 제2장착부재와 케이블베어의 일단 부위를 결합시키는 제3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케이블베어는 제3체결부재와의 체결을 위해 선단 부위에 장착된 케이블베어블럭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체결부재가 조임과 풀림되면서 제2고정부재의 슬롯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어 케이블베어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이동판은 양단 부위에 배치된 핑거 및 이 핑거를 축회전시키도록 양단 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2동력원를 구비한 핑거수단과, 핑거가 입상인 상태와 와상인 상태를 각각 감지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2개의 핑거감지센서, 화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핑거의 축회전 시점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화물감지센서와, 핑거감지센서 및 화물감지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핑거의 축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제2동력원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기판을 구비한 제어수단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핑거는 입상인 상태를 어느 하나의 핑거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도록 돌출된 제1감지부와, 와상인 상태를 다른 하나의 핑거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도록 돌출된 제2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판, 제1이동판과 제2이동판이 서로 간에 주행롤러가 끼움 장착되고, 레일을 따라 구름이동하도록 견고히 결합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판들의 결합해체가 방지되고, 고정판, 제1이동판 및 제2이동판들의 간섭이 최대한 방지되면서 서로 간의 이동이 충분히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면상 수평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2개의 띠벨트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기도록 설치됨으로써, 제1이동판과 제2이동판이 좌우 양방향 이동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주행롤러와 제2주행롤러는 각 롤러들의 높이 차이에 의해 일부 롤러는 상부레일에 접촉되고, 나머지 롤러는 하부레일에 접촉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주행홈에 제1주행롤러 및 제2주행롤러가 단단히 장착되고, 제1이동판 및 제2이동판의 이동이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종래의 주행대차에 장착된 텔레스코픽 포크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텔레스코픽 포크장치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판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제1이동판 및 주변 구성 요소가 도시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2이동판의 내측 부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제1띠벨트와 제2띠벨트와 결합된 제1장력조정수단과, 케이블베어와 결합된 제2장력조정수단이 도시된 확대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일측', '타측', '상부' 및 '하부' 등의 방향은 해당 도면에서 보이는 방향으로 한정할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0), 제1이동판(200), 구동수단(300), 제2이동판(400), 이동수단(500), 제1장력조정수단(600)과, 제2장력조정수단(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판(100)은 주행대차의 몸체(도 1 참조) 또는 몸체에 부착된 샤시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고정판(100)은 도 4에서 보듯이 정면상 일정 길이를 가지고, 양측 하부에 가공된 구동롤러장착홀(110) 및 종동롤러장착홀(120), 높이 방향에 대해 중간 부위쯤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된 다수의 제1주행롤러(130), 상부이면서 일측에 가공된 제2띠벨트고정홀(140)과, 상부이면서 타측에 가공된 케이블베어고정홀(150), 제1띠벨트고정홀(160) 및 끼움장홈(170)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구동롤러장착홀(110)은 구동롤러(3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종동롤러장착홀(120)은 구동롤러(320)와 타이밍벨트(310)로 연결된 제2종동롤러(3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주행롤러(130)는 고정판(100)에 회전하도록 고정되고, 제1이동판(200)에 구름운동을 하도록 장착됨으로써, 고정판(100)을 기준으로 제1이동판(200)이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제1주행롤러(130)는 2개 이상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거나 다수를 1세트로하여 다수의 세트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주행롤러(130)는 적어도 1개의 롤러와 나머지 롤러들 간에 높이 차이(H)를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를 보면, 4개를 1세트로 하고, 일정 간격으로 4세트가 설치되고, 1세트의 4개 중 2개는 높게, 나머지 2개는 낮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보듯이, 높게 설치된 2개의 롤러는 제1이동판(200)의 상부레일(220)과 접촉하면서 하부레일(230)과 떨어지고, 낮게 설치된 2개의 롤러는 제1이동판(200)의 하부레일(230)과 접촉하면서 상부레일(220)과 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4에서 제1이동판(200)이 고정판(100)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때, 높게 설치된 2개의 롤러와 낮게 설치된 2개의 롤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이동판(200)의 이동이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주행롤러(130)의 설치구조는 후술된 제2주행롤러(410)의 설치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제2띠벨트고정홀(140)은 도 3에서 보듯이, 제2띠벨트(540)의 일단 부위를 고정판(100)의 좌측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이 제2띠벨트고정홀(140)은 고정판(100)의 내측에 위치한 제2띠벨트(540)의 일단 부위와 외측에 위치한 제1장력조정수단(600)과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제1장력조정수단(60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롯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띠벨트고정홀(140)과 제1장력조정수단(600)의 연계 구조는 후술된다.
또한, 케이블베어고정홀(150)은 도 3에서 보듯이, 케이블베어(510)의 일단 부위를 제2띠벨트고정홀(140)의 반대측인 고정판(100)의 우측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이 케이블베어고정홀(150)은 정면상 제2띠벨트고정홀(140)과 다른 높이로 가공되고, 일례로 도 4에서와같이 제2띠벨트고정홀(140)보다 더 높게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베어고정홀(150)은 외부의 전선들이 고정판(100)의 내측으로 통과되도록 하고, 고정판(100)의 내측에 위치한 케이블베어(510)의 일단 부위와 외측에 위치한 제2장력조정수단(700)과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제2장력조정수단(70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롯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베어고정홀(150)과 제2장력조정수단(700)의 연계 구조는 후술된다. 여기서, 고정판(100)의 내측으로 인입된 전선들은 케이블베어(510)에 삽입되어 보호받도록 장착되고, 후술된 제2이동판(400)의 제2동력원(421) 및 제어수단(43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띠벨트고정홀(160)은 도 3에서 보듯이, 제1띠벨트(520)의 일단 부위를 케이블베어고정홀(150)의 근처인 고정판(100)의 우측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이 제1띠벨트고정홀(160)은 케이블베어고정홀(150)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이로 인해 제1띠벨트(520)와 케이블베어(510)는 겹쳐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제1띠벨트고정홀(160)은 고정판(100)의 내측에 위치한 제1띠벨트(520)의 일단 부위와 외측에 위치한 제1장력조정수단(600)과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제1장력조정수단(60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롯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띠벨트고정홀(160)과 제1장력조정수단(600)의 연계 구조는 후술된다.
그리고 끼움장홈(170)은 고정판(100)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 끼움장홈(170)에는 케이블베어고정홀(150)과 제1띠벨트고정홀(160)이 가공될 수 있다. 즉, 끼움장홈(170)으로 인해 케이블베어(510)와 제1띠벨트(520)가 겹치면서 두꺼워진 두께로 인해 고정판(100)과 제1이동판(200)의 간격이 벌어짐은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이동판(200)는 도 2, 도 3 및 도 5에서 보듯이, 고정판(100)과 제2이동판(400)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이 제1이동판(200)은 도 5에서와같이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가공된 한 쌍의 주행홈(210), 주행홈(210)의 상면과 하면에 장착된 레일(220)과, 하부에 가공된 타이밍벨트기어(2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주행홈(210)은 폭 방향에 대해 대략 "I"자 형상인 상부의 양측면 즉, 고정판(100)측면과 제2이동판(400)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 주행홈(210)에 고정판(100)의 제1주행롤러(130)와 제2이동판(400)의 제2주행롤러(410)가 각각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레일(220)은 주행홈(210)에 장착된 제1주행롤러(130) 및/또는 제2주행롤러(410)와 접촉하여 주행롤러들의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 레일(220)은 환봉 형상이거나 철도 레일의 "I"자 형상이거나 롤러의 주행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레일(220)은 양측 주행홈(2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장착되고, 일례로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주행롤러(130)와 제2주행롤러(410)는 도 4에서 보듯이 각 롤러들의 높이 차이(H)에 의해 일부 롤러는 상부레일(220)에 접촉되고, 나머지 롤러는 하부레일(230)에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모든 롤러가 상부레일(220)과 하부레일(230)에 동시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1이동판(200)의 좌우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구조는 주행홈(210)에 제1주행롤러(130) 및 제2주행롤러(410)가 단단히 장착되고, 제1이동판(200) 및 제2이동판(400)의 좌우 이동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타이밍벨트기어(240)는 대략 "I"자 형상인 상부에서 하방 연장된 하부에 가공될 수 있다. 이때, 하부는 상부의 양단측 부위를 배제한 가운데 부위에만 하방 연장되어 가공되고, 이 하부의 하면에 타이밍벨트(310)와 치합되도록 타이밍벨트기어(240)가 길이방향으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하부는 타이밍벨트기어(240)의 폭을 넓게 하기 위해 측면상 대략 "ㄴ"자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판(200)의 상면에 설치된 케이블베어풀리(530)와 제2띠벨트롤러(550)는 후술된다.
한편, 구동수단(300)은 제1이동판(200)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구동수단(300)은 도 2, 도 3 및 도 5에서 보듯이, 타이밍벨트(310), 구동롤러(320), 제1동력원(330), 제1종동롤러(340)와 제2종동롤러(3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타이밍벨트(310)는 제1이동판(200)의 하부에 가공된 타이밍벨트기어(240)와 치합되면서 구동롤러(320)와 제2종동롤러(350)에 감겨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롤러(320)는 도 2와 도 3에서와같이 구동축(331)을 매개로 고정판(100)의 하부에 가공된 구동롤러장착홀(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동력원(330)은 구동롤러(32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롤러(320)와 구동축(331)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동력원(330)의 작동으로 구동롤러(320)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종동롤러(340)는 도 2에서 보듯이, 구동롤러(320)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구동롤러(320)와 종동축(341)을 매개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롤러(320)의 동력이 종동축(341)에 전달되므로 양측에 배치된 타이밍벨트(310)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이는 1개의 동력원으로 2의 타이밍벨트(310)를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한 구조로, 양측의 타이밍벨트(310)가 각각의 동력원을 통해 각각 작동하도록 설계 변경 가능하고, 이때 양측 타이밍벨트(310)의 동시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어해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제2종동롤러(350)는 후미에 위치되고, 구동롤러(320) 또는 제1종동롤러(340)와 짝을 이루어 타이밍벨트(310)가 감겨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제2종동롤러(350)는 고정판(100)의 종동롤러장착홀(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이동판(400)은 도 2, 도 3 및 도 6에서 보듯이, 제1이동판(2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이동수단(500)에 의해 제1이동판(200)의 이동거리보다 1배를 초과하여 이동할 수 있고, 일례로 대략 2배 정도 더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이동판(400)은 제2주행롤러(410), 핑거수단(420)과 제어수단(4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2주행롤러(410)는 제1이동판(200)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다수 설치되고, 제1이동판(200)의 주행홈(210)에 끼워지면서 레일(220)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 제2주행롤러(410)의 설치 위치, 개수 및 높이 차이(H)는 제1주행롤러(13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갈음한다.
또한, 핑거수단(420)은 제2동력원(421)과 핑거(4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동력원(421)은 제2이동판(400)에서 제1이동판(200)측 하부에 장착되고, 케이블베어(510)에 의해 보호된 전선들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핑거(422)는 제2동력원(421)에 의해 축회전하도록 제2이동판(400)의 양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 핑거(422)의 하부는 도 2에서 보듯이, 핑거(422)의 축회전 위치를 후술된 핑거감지센서(432)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핑거(422)가 입상인 상태에서 핑거감지센서(432)에 감지되는 제1감지부(423)와, 와상인 상태에서 핑거감지센서(432)에 감지되는 제2감지부(424)가 돌출 가공될 수 있다. 이때, 1개의 핑거(422)를 감지하기 위한 핑거감지센서(432)는 2개 이상이고, 각각 핑거(422)가 축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감지부(423)와 제2감지부(424)를 각각 감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430)는 화물감지센서(431), 핑거감지센서(432)와 기판(433)을 구비할 수 있다.
화물감지센서(431)는 도 2에서 보듯이 양측에 배치되어 연장된 제2이동판(400)들 사이에 화물이 위치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이 화물감지센서(431)는 화물의 하단을 감지하도록 레이저 또는 광센서이고, 양측 제2이동판(400)의 하부에 각각 수광 및 발광센서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화물감지센서(431)는 제1이동판(200)과 제2이동판(400)이 신축되면서 화물이 핑거(422)에 파지되는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핑거(422)를 축회전시켜 눕히기 위한 시점을 제어수단(430)에 제공할 수 있다.
핑거감지센서(432)는 핑거(422)의 축회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이 핑거감지센서(432)는 핑거(422)가 입상일 때 제1감지부(423)를 감지하고, 핑거(422)가 와상일 때 제2감지부(424)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핑거감지센서(432)는 핑거(422)가 입상 또는 와상인 상태가 되어 제1감지부(423) 또는 제2감지부(424)를 감지하면 핑거(422)의 위치를 파악함은 물론 과도한 핑거(422)의 축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어수단(430)에 제공할 수 있다.
기판(433)은 화물감지센서(431)를 통해 제2이동판(400) 사이에 화물이 위치함을 인지하면 제2동력원(421)을 작동시켜 핑거감지센서(432)를 와상으로 축회전시키고, 핑거감지센서(432)를 통해 핑거(422)의 회전이 완료되면 축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이동판(400)이 복귀한 후 핑거(422)를 입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기판(433)은 제1,2이동판(200,400)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구동수단(3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이동수단(500)은 도 3에서 보듯이, 케이블베어(510), 제1띠벨트(520), 케이블베어풀리(530), 제2띠벨트(540)와 띠벨트롤러(5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케이블베어(510)는 제2이동판(400)의 내측에 장착된 제2동력원(421), 기판(433), 핑거감지센서(432) 및 화물감지센서(43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 등을 포함한 모든 전선이 고정판(100)과 제2이동판(400) 사이에서 외부의 간섭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케이블베어(510)의 일단 부위는 도 3에서와같이 고정판(100)의 우측에 가공된 케이블베어고정홀(150)을 통해 제2장력조정수단(700)과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베어(510)의 타단 부위는 제1이동판(200)의 상면 좌측에 장착된 케이블베어풀리(530)에 감겨 제2이동판(400)의 우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띠벨트(520)는 구동수단(30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판(200)의 이동력으로 제2띠벨트(540)와의 연계 동작을 통해 제2이동판(400)을 1배를 초과한 길이, 일례로 대략 2배의 길이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제1띠벨트(520)은 케이블베어(510)에서 제1이동판(200)측 일면에 겹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띠벨트(520)의 일단 부위는 도 3에서와같이 고정판(100)의 우측에서 케이블베어(510)보다 우측으로 튀어나오고, 제1띠벨트고정홀(160)을 통해 제1장력조정수단(600)과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제1띠벨트(520)의 타단 부위는 케이블베어(510)와 겹쳐진 상태에서 제1이동판(200)의 상면 좌측에 장착된 케이블베어풀리(530)에 감겨 제2이동판(400)의 좌측 부위이면서 제1이동판(200)측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띠벨트(520)의 타단 부위는 케이블베어(510)의 타단 부위와의 간섭이 회피되도록 제2이동판(400)에서 케이블베어(510)의 고정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내면에서 돌출되게 덧대어진 높이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베어풀리(530)는 도 3에서 보듯이, 겹쳐진 제1띠벨트(520)와 케이블베어(510)가 감기도록 제2이동판(400)의 좌측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띠벨트(520)와 케이블베어(510)의 배치 높이는 정면상 제2띠벨트(540)의 배치 높이 보다 높으므로, 높은 만큼 케이블베어풀리(530)는 띠벨트롤러(550)보다 더 높게 설치되고, 제1띠벨트(520)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띠벨트(540)는 도 3에서 보듯이, 제1띠벨트(520)와는 반대방향으로 제2이동판(400)의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띠벨트(540)의 일단 부위는 고정판(100)의 좌측에 위치되고, 제2띠벨트고정홀(140)을 통해 제1장력조정수단(600)과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제2띠벨트(540)의 타단 부위는 제1이동판(200)의 상면 우측에 장착된 띠벨트롤러(550)에 감겨 제2이동판(400)의 우측 부위이면서 제1이동판(200)측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띠벨트(520) 및 케이블베어(510)는 겹쳐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띠벨트(540)는 제1띠벨트(520)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띠벨트(540)는 제2띠벨트블럭(541), 제1띠벨트(520)는 제1띠벨트블럭(521) 및, 케이블베어(510)는 케이블베어블럭(511)를 매개로 고정판(100) 또는 제2이동판(4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띠벨트롤러(550)는 도 3에서 보듯이, 제2띠벨트(540)가 감기도록 제2이동판(400)의 우측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띠벨트롤러(550)는 케이블베어풀리(530)보다 낮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정면상 제1띠벨트(520) 및 케이블베어(510)와의 배치 높이가 다르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장력조정수단(600)은 제1띠벨트(520)와 제2띠벨트(540)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제1장력조정수단(600)은 도 7과 도 8에서 보듯이 제1띠벨트고정홀(160) 및 제2띠벨트고정홀(140)을 통해 제1띠벨트(520) 및 제2띠벨트(540)와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장력조정수단(600)은 장착부재(610), 제1체결부재(620), 제1고정부재(630)와 장력조정부재(6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띠벨트(520)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장착부재(610)는 고정판(100)의 외면에 배치되고, 제1띠벨트고정홀(160)을 관통하는 제1체결부재(620)을 통해 고정판(100)의 내측에 위치한 제1띠벨트(520)와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는 제1체결부재(620)가 제1띠벨트(520)의 선단에 장착된 제1띠벨트블럭(521)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띠벨트(540)의 경우, 제1체결부재(620)가 제2띠벨트(540)의 선단에 장착된 제2띠벨트블럭(541)에 체결될 수 있다. 물론, 제1체결부재(620)는 제1띠벨트블럭(521) 또는 제2띠벨트블럭(541)이 배제되고, 제1띠벨트(520) 또는 제2띠벨트(540)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다. 이때, 장착부재(610)는 장력조정부재(640)와 체결되거나 접촉할 수 있는 형상이고, 일례로 대략 "ㄴ"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체결부재(620)는 슬롯 형상인 제1띠벨트고정홀(160)을 관통하여 장착부재(610)와 제1띠벨트(5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재(630)는 고정판(100)의 외면이면서 제1띠벨트고정홀(16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장력조정부재(640)는 제1고정부재(630)에 관통하여 체결되고, 선단 부위가 장착부재(610)에 체결되거나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장력조정부재(640)가 제1고정부재(630)를 중심으로 전후진하면서 슬롯 형상인 제1띠벨트고정홀(160)을 따라 제1띠벨트(520)를 밀거나 당겨 제1띠벨트(520)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외에 제1장력조정수단(600)은 장착부재(610)와 제1체결부재(620)만 구비하고, 제1체결부재(620)를 풀거나 조여 장착부재(610)를 고정판(100)에 고정시키거나 이동 가능하도록 설정하여 제1띠벨트(520)와 제2띠벨트(540)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장력조정수단(700)은 케이블베어(510)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제2장력조정수단(700)은 도 7에서 보듯이 제2고정부재(710), 제2체결부재(720)와 제3체결부재(7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2고정부재(710)는 고정판(100)의 외면에서 케이블베어고정홀(150)에 겹쳐서 고정되고, 고정판(100)의 내측에 위치한 케이블베어(510)의 일단 부위와 제2체결부재(720)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 제2고정부재(710)는 제2체결부재(720)가 관통하는 슬롯(711)이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제2체결부재(720)는 제2체결부재(720)의 슬롯(711)을 관통하여 제2고정부재(710)를 고정판(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3체결부재(730)는 케이블베어고정홀(150)을 관통하여 제2고정부재(710)와 케이블베어(510)를 체결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는 제3체결부재(730)는 케이블베어(510)의 선단에 장착된 케이블베어블럭(511)에 체결될 수 있다. 물론, 제3체결부재(730)는 케이블베어블럭(511)이 배제되고, 케이블베어(510)에 직접 체결될 수 있다. 이 케이블베어블럭(511)은 제1띠벨트블럭(521)에 비해 더 두껍게 제작될수 있고, 이는 도 7에서 보듯이 고정판(100)에 대해 제1띠벨트(520)가 케이블베어(510)보다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2체결부재(720)는 조이거나 풀어 제2고정부재(710)에 단단히 고정되거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체결부재(720)를 풀어 슬롯(711)을 따라 이동하고, 다시 조여 제2체결부재(720)를 제2고정부재(710)에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써, 케이블베어(510)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외에, 제2장력조정수단(700)이 제1장력조정수단(600)의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고, 제1장력조정수단(600)이 제2장력조정수단(700)의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고정판
110:구동롤러장착홀 120:종동롤러장착홀
130:제1주행롤러 140:제2띠벨트고정홀
150:케이블베어고정홀 160:제1띠벨트고정홀
170:끼움장홈
200:제1이동판
210:주행홈 220:상부레일
230:하부레일 240:타이밍벨트기어
300:구동수단
310:타이밍벨트 320:구동롤러
330:제1동력원 331:구동축
340:제1종동롤러 341:종동축
350:제2종동롤러
400:제2이동판
410:제2주행롤러 420:핑거수단
421:제2동력원 422:핑거
423:제1감지부 424:제2감지부
430:제어수단 431:화물감지센서
432:핑거감지센서 433:기판
500:이동수단
510:케이블베어 511:케이블베어블럭
520:제1띠벨트 521:제1띠벨트블럭
530:케이블베어풀리 540:제2띠벨트
541:제2띠벨트블럭 550:띠벨트롤러
600:제1장력조정수단
610:장착부재 620:제1체결부재
630:제1고정부재 640:장력조정부재
700:제2장력조정수단
710:제2고정부재 711:슬롯.
720:제2체결부재.

Claims (7)

  1. 다단으로 연장되면서 화물을 이송시키도록 이루어진 텔레스코픽 포크장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장착된 다수의 제1주행롤러(130)를 구비하는 고정판(100);
    상기 고정판(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가공되면서 정면상 양측에 가공된 주행홈(210)을 구비하고, 주행홈(210)의 상면과 하면에 고정된 상부레일(220) 및 하부레일(230)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제1이동판(200);
    상기 제1이동판(200)의 일측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장착된 다수의 제2주행롤러(410)를 구비하는 제2이동판(400);
    상기 제1이동판(200)의 하부에 길이를 따라 가공된 타이밍벨트기어(240)와 맞물리도록 설치된 타이밍벨트(310), 타이밍벨트(31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 적어도 1개의 구동롤러(320) 또는 종동롤러와, 구동롤러(320)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제1동력원(330)을 구비한 구동수단(300);과
    상기 고정판(100)에 대해 제1이동판(200) 및 제2이동판(400)의 이동 거리를 조정하도록 설치된 이동수단(5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주행롤러(130)와 제2주행롤러(410)는 각각 제1이동판(200)의 양측에 가공된 주행홈(210)에 장착되고, 롤러들 중 일부는 주행홈(210)의 상면 또는 상부레일(220)과 접촉하고, 나머지는 주행홈(210)의 하면 또는 하부레일(230)에 접촉하며, 제1이동판(200) 및 제2이동판(400)이 좌우로 주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동력원(330)이 전달된 타이밍벨트(310)에 의해 제1이동판(200)이 좌 또는 우로 주행하며,
    상기 이동수단(500)은,
    일단 부위가 고정판(100)의 제1이동판(200)측 일면의 우측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위가 제1이동판(200)의 좌측 상면에 장착된 케이블베어풀리(530)에 감긴 후 제2이동판(400)의 제1이동판(200)측 일면의 좌측부에 고정된 제1띠벨트(520),
    일단 부위가 고정판(100)의 제1이동판(200)측 일면의 좌측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위가 제1이동판(200)의 우측 상면에 장착된 띠벨트롤러(550)에 감긴 후 제2이동판(400)의 제1이동판(200)측 일면의 우측부에 고정된 제2띠벨트(540),
    일단 부위가 고정판(100)의 제1이동판(200)측 일면에 우측부에 고정되고, 제1띠벨트(520)가 제1이동판(200)측 일면에 겹쳐지게 배치되며, 타단부위가 제1띠벨트(520)과 함께 케이블베어풀리(530)에 감긴 후 제2이동판(400)의 제1이동판(200)측 일면의 좌측부에 고정되고, 수용된 전선을 외부 간섭으로부터 보호하는 케이블베어(51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베어(510)와 제1띠벨트(520)의 겹침으로 두꺼워져 돌출된 높이를 낮추기 위해 고정판(100)에 기공된 끼움장홈(170)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베어(510) 및 제1띠벨트(520)와, 제2띠벨트(540)는 상하로 배치되고, 각각 대향 위치되면서 높이가 다른 케이블베어풀리(530)와 띠벨트롤러(550)에 정면상 수평으로 감기며, 제1이동판(200)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띠벨트(520)와 제2띠벨트(540)의 연계 동작으로 고정판(100)을 기준으로 제1이동판(200)의 이동 거리에 대해 제2이동판(400)의 이동거리가 더 길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포크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판(100)은 상부 좌측에 슬롯형태로 가공된 제2띠벨트고정홀(140), 상부 우측에 슬롯형태로 가공되면서 제2띠벨트고정홀(140)보다 정면상 높거나 낮게 위치된 제1띠벨트고정홀(16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띠벨트(520) 또는 제2띠벨트(540)의 일단 부위와 체결되어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고정판(100)에 장착된 제1장력조정수단(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장력조정수단(600)은,
    상기 고정판(100)을 사이에 두고 내측에 위치한 제1띠벨트(520) 또는 제2띠벨트(540)에 대해 반대측면인 외면에 배치된 장착부재(610)와,
    상기 제1띠벨트고정홀(160) 또는 제2띠벨트고정홀(140)을 관통하여 제1띠벨트(520) 또는 제2띠벨트(540)와 장착부재(610)를 결합시키는 제1체결부재(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띠벨트(520) 또는 제2띠벨트(540)는 제1체결부재(620)와의 체결을 위해 선단 부위에 장착된 제1띠벨트블럭(521) 또는 제2띠벨트(541)을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재(610)가 장슬롯인 제1띠벨트고정홀(160) 또는 제2띠벨트고정홀(1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면서 제1띠벨트(520) 또는 제2띠벨트(540)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포크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장력조정수단(600)은 장착부재(610)의 인근의 고정판(100)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630)와, 제1고정부재(630)를 관통하여 장착부재(610)와 결합되면서 왕복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체결된 장력조정부재(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력조정부재(640)가 왕복 이동하여 장착부재(610)를 밀거나 당겨 제1띠벨트(520) 또는 제2띠벨트(540)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포크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고정판(100)은 상부 우측에 제1띠벨트고정홀(160) 근처에 정면상 동일 높이로 가공된 케이블베어고정홀(15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베어(510)의 일단 부위와 체결되어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고정판(100)에 장착된 제2장력조정수단(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장력조정수단(700)은,
    상기 고정판(100)을 사이에 두고 내측에 위치한 케이블베어(510)에 대해 반대측면인 외면에 배치되고, 슬롯(711)이 가공된 제2고정부재(710),
    상기 제2고정부재(710)를 고정판(100)에 고정시키는 제2체결부재(720)와,
    상기 케이블베어고정홀(150)을 관통하여 제2장착부재(610)와 케이블베어(510)의 일단 부위를 결합시키는 제3체결부재(73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베어(510)는 제3체결부재(720)와의 체결을 위해 선단 부위에 장착된 케이블베어블럭(511)을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제2체결부재(720)가 조임과 풀림되면서 제2고정부재(710)의 슬롯(711)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어 케이블베어(510)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포크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2이동판(400)은,
    양단 부위에 배치된 핑거(422) 및, 핑거(422)를 축회전시키도록 양단 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2동력원(421)를 구비한 핑거수단(420)과,
    상기 핑거(422)가 입상인 상태와 와상인 상태를 각각 감지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2개의 핑거감지센서(432), 화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핑거(422)의 축회전 시점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화물감지센서(431)와, 핑거감지센서(432) 및 화물감지센서(431)의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핑거(422)의 축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제2동력원(42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기판(433)을 구비한 제어수단(430)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핑거(422)는 입상인 상태를 어느 하나의 핑거감지센서(432)에 의해 감지되도록 돌출된 제1감지부(423)와, 와상인 상태를 다른 하나의 핑거감지센서(432)에 의해 감지되도록 돌출된 제2감지부(4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포크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90116939A 2019-09-23 2019-09-23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 KR102336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939A KR102336620B1 (ko) 2019-09-23 2019-09-23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939A KR102336620B1 (ko) 2019-09-23 2019-09-23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949A KR20210034949A (ko) 2021-03-31
KR102336620B1 true KR102336620B1 (ko) 2021-12-09

Family

ID=75237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939A KR102336620B1 (ko) 2019-09-23 2019-09-23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8659B (zh) * 2021-12-15 2024-06-11 安徽精菱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件输送用导向组件及大型件中转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307A (ja) * 2001-07-16 2003-01-29 Itoki Crebio Corp 自動倉庫
JP2013252954A (ja) 2012-06-08 2013-12-19 Mitsubishi Nichiyu Forklift Co Ltd スライドフォーク
KR101551997B1 (ko) 2008-10-27 2015-09-09 디마틱 어카운팅 서비시즈 게엠베하 자동 창고용 이동셔틀
KR101717447B1 (ko) 2015-05-21 2017-03-2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셔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창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33563A1 (en) 1995-03-22 1996-09-25 Toyokanetsu Kabushiki Kaisha Merchandise handling equipment and merchandise storage equipment
US7591630B2 (en) 2003-08-29 2009-09-22 Casepick Systems, Llc Materials-handling system using autonomous transfer and transport vehicles
JP2013047150A (ja) 2012-12-04 2013-03-07 Ihi Corp 物品移載装置
CN105705441B (zh) 2013-09-13 2018-04-10 西姆伯蒂克有限责任公司 自主运输车、存储和取回系统及在该系统内传递拣选面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307A (ja) * 2001-07-16 2003-01-29 Itoki Crebio Corp 自動倉庫
KR101551997B1 (ko) 2008-10-27 2015-09-09 디마틱 어카운팅 서비시즈 게엠베하 자동 창고용 이동셔틀
JP2013252954A (ja) 2012-06-08 2013-12-19 Mitsubishi Nichiyu Forklift Co Ltd スライドフォーク
KR101717447B1 (ko) 2015-05-21 2017-03-2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셔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창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949A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989B2 (en) Device for detecting the tension of scraper chains
US8162132B2 (en) Deflection apparatus for a conveying system
US9446899B2 (en) Transferring apparatus with pinion gears
US20020195317A1 (en) Storage apparatus
KR102336620B1 (ko)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
US20080271975A1 (en) Transfer Device for the Lateral Ejection of Transported Goods and Transport Unit
US10358295B2 (en) Transport device
CA2310405C (en) Conveying apparatus and corresponding transporting means
US9205986B2 (en) Conveyor chain link, conveyor chain, drive wheel for a conveyor chain and a system comprising such a drive wheel
US10822174B2 (en) Conveying system
NZ531595A (en) Crinkling device
EP3546630B1 (en) Flat knitting machine
CN108025872B (zh) 带有偏置轴承的传送带组件
CN102123933B (zh) 载人工具以及在使用载人工具中的方法
KR20170137805A (ko) 커먼 복귀 레일들을 가진 에스컬레이터
JP6577338B2 (ja) 無端搬送装置およびその接続構造
US7131523B2 (en) Transport system, in particular an airport luggage transport system
WO20141396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nveyor with a catenary in the return path
JP5290621B2 (ja) コンベア装置
US20210021115A1 (en) Line guiding appartus
JP5858771B2 (ja) 乗客コンベア
JP6839978B2 (ja) 駐車装置
JP6609215B2 (ja) 駐車装置
JP4835468B2 (ja) 紙葉類の搬送装置
US20220126324A1 (en) Article Sor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