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805A - 커먼 복귀 레일들을 가진 에스컬레이터 - Google Patents

커먼 복귀 레일들을 가진 에스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805A
KR20170137805A KR1020177032143A KR20177032143A KR20170137805A KR 20170137805 A KR20170137805 A KR 20170137805A KR 1020177032143 A KR1020177032143 A KR 1020177032143A KR 20177032143 A KR20177032143 A KR 20177032143A KR 20170137805 A KR20170137805 A KR 20170137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s
belt
idling
conveyor
st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마타이즐
토마스 노파첵
게오르크 바겐라이트너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137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66B21/04Escalators linear type

Abstract

본원은 2 개의 편향 영역들 (6, 7) 과 이 편향 영역들 (6, 7) 사이를 순환하도록 배열된 스텝 벨트 (10) 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스텝 벨트 (10) 는 선회가능한 스텝들 (12) 을 가지고, 이러한 스텝들의 선회 운동은, 스텝들 (12) 의 양측에 배열되어 레일들 (16, 17) 에서 롤링하는 스텝 롤러들 (14) 및 아이들링 롤러들 (15) 에 의해 순환 (U) 중에 규정된다. 스텝 벨트 (10) 의 순환 배열로 인해, 사람과 물건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정방향 주행 (V) 과 스텝들 (12) 을 복귀시키는데 사용되는 복귀 주행 (R) 이 있다. 스텝 벨트 측마다 2 개의 별개의 복귀 레일들 대신에, 본 발명은 복귀 주행 (R) 시에 스텝 벨트 (10) 의 양측 각각에 아이들링 롤러들 (15) 및 스텝 롤러들 (14) 을 위한 커먼 복귀 레일 (17) 을 가진다.

Description

커먼 복귀 레일들을 가진 에스컬레이터 {ESCALATOR HAVING COMMON RETURN RAILS}
본원은 2 개의 편향 영역들과 이 편향 영역들 사이를 순환하도록 배열된 스텝 벨트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스텝 벨트는 선회가능한 스텝들을 가지고, 이러한 스텝들의 선회 운동은, 스텝들의 양측에 배열되어 레일에서 롤링하는 스텝 롤러들 또는 체인 롤러들 및 아이들링 롤러들에 의해 순환 중에 규정된다. 순환 배열로 인해, 스텝 벨트는 사람과 물건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정방향 주행 (forward run) 과 스텝들을 복귀하는데 사용되는 복귀 주행 (return run) 을 한다.
인용된 유형의 에스컬레이터들은, 예를 들어 WO 2013/010838 A1 에 개시되어 있다. 스텝 벨트의 정방향 주행에서, 편향 영역들은 또한 스텝 벨트를 위한 접근 영역들이다. 이러한 접근 영역들에서 스텝 벨트를 가능한 쉽고 안전하게 진입시키고 나오게 할 수 있도록, 적어도 3 개의 연속 스텝들의 트레드 표면들 (tread surface) 은 개별 스텝들의 트레드 표면들이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변위되기 전에 동일한 수평면에 유지되어, 에스컬레이터의 기울어진 또는 경사진 구간으로의 천이 영역들에서 스텝을 구현한다. 각 스텝의 양측에 배열된 스텝 롤러들 및 아이들링 롤러들은 스텝의 트레드 표면에 대하여 상이한 레벨들에 배열된다. 상이한 레벨들상의 배열은 스텝 롤러들 및 아이들링 롤러들 둘 다가 롤링하는 하나의 정방향 레일만이 스텝 벨트의 양측상의 정방향 주행의 기울어진 구역에 배열되어야 하는 장점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접근 영역들내의 동일한 수평 레벨에서 연속 스텝들의 트레드 표면들을 유지하기 위해, 스텝 벨트측 각각에 대해 스텝 롤러들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레일이 필요하고 아이들링 롤러들을 안내하기 위한 제 2 가이드 레일이 필요하다. 제 1 가이드 레일들 및 제 2 가이드 레일들은 스텝 벨트의 전체 복귀 영역을 가로질러 2 개의 편향 영역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복귀 주행에 배열된 스텝들이 설치 높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유리한 위치로 선회될 수 있기 때문에, 편향 영역들의 설치 높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WO 2013/010838 A1 에 개시된 에스컬레이터의 조립 중에 복귀 주행에는 4 개의 가이드 레일들이 설치된다. 이는, 우선 에스컬레이터의 조립 시간을 길어지게 하고, 두번째로 에스컬레이터의 구조 부품들, 예를 들어 프레임들, 장착 플레이트들 및 지지 구조물상에 재료를 부착하고 부착 위치를 형성하는 재료비를 높힌다.
US 764 906 A 에는 아이들링 롤러들 및 스텝 롤러들을 위한 커먼 복귀 레일을 가진 에스컬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편향 영역에서, 선회가능한 스위치 텅 (tongue) 을 포함하는 스위치에 의해, 제 1 가이드 레일 및 제 2 가이드 레일상으로 분리되어, 입구 영역에 복수의 스텝들의 트레드 표면으로부터 크고 평평한 트레드 표면을 형성한다. 스위치에는 이의 스위치 텅이 오염 및 마모로 인해 달라붙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는, 스텝 롤러들과 아이들링 롤러들이 더 이상 적절하게 분리되지 않으면, 사용자를 위험하게 할 수 있고 에스컬레이터의 부품들을 파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 효과적으로 구성된 복귀 주행을 포함하는 작동가능하게 신뢰성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2 개의 편향 영역들과 이 편향 영역들 사이를 순환하도록 배열된 스텝 벨트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를 사용하여 달성되며, 상기 스텝 벨트는 선회가능한 스텝들을 가진다. 이 스텝들의 선회 운동은, 스텝들의 양측에 배열되어 레일들에서 롤링하는 스텝 롤러들 또는 체인 롤러들 및 견인 롤러들 뿐만 아니라 아이들링 롤러들에 의해 순환 중에 규정되고, 이러한 순환 배열 때문에 스텝 벨트는 사람과 물건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정방향 주행과 스텝들을 복귀하는데 사용되는 복귀 주행을 한다. 재료 및 조립 시간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귀 주행시에 스텝 벨트의 양측 각각에 아이들링 롤러들 및 스텝 롤러들을 위한 커먼 복귀 레일이 제공된다.
커먼 복귀 레일들은 복귀 주행의 경사진 구역에 배열되고, 2 개의 편향 영역들 각각과 커먼 복귀 레일들 사이에 천이 영역이 제공된다. 이러한 2 개의 천이 영역들 각각에는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가 배열되고, 스텝 벨트의 제 1 순환 방향에서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는 스텝 롤러들을 커먼 복귀 레일로부터 편향 영역에 배열된 제 1 가이드 레일로 이송하고, 아이들러 롤러들을 커먼 복귀 레일로부터 편향 영역에 배열된 제 2 가이드 레일로 이송한다. 스텝 벨트의 제 2 순환 방향에서, 아이들링 롤러들과 스텝 롤러들은 그 결과 커먼 복귀 레일상에 결합 (bring together) 된다.
스텝 롤러들과 아이들링 롤러들을 천이 영역에 결합하거나 분리시키면, 특히 편향 영역이 기존의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높이를 적어도 초과하지 않는 설치 높이를 가지는 장점을 가진다.
스텝 벨트는 통상적으로 스텝 축에 의해 순환 방향을 가로질러 서로 연결되는 2 개의 링크 체인들을 가진다. 예를 들어, 스텝 롤러들은 이러한 스텝 축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스텝은 그 상에 선회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로 인해, 2 개의 링크 체인들은 스텝 벨트의 양측에 배열되고, 스텝 축들은 천이 영역에서 아이들링 롤러들의 이론적인 이동 경로와 교차한다. 이동 경로는, 이 영역에서 스텝 축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 레일과 복귀 레일 사이에 중단부 또는 갭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론적인 이동 경로이다. 물론, 예를 들어, 벨트들, 치형 벨트들, 강 케이블들 등과 같은 다른 견인 수단이 링크 체인들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아이들링 롤러들이 이들에게 할당된 제 2 가이드 레일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중단부 또는 갭의 영역에는 접근하는 아이들링 롤러를 제 2 가이드 레일상으로 이송하는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더욱이,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는 접근하는 스텝 축과 스텝 롤러가 이 영역을 간섭없이 교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는 반드시 전체 컨베이어 디바이스가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전체 컨베이어 디바이스는 회전가능할 수 있지만, 또한 컨베이어 디바이스의 단지 일부분이 회전가능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천이 영역의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컨베이어 로터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로터들 중 하나는 중단부의 각각의 영역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어, 컨베이어 로터들이 스텝 벨트의 양측에 제공된다. 하지만, 단지 하나의 컨베이어 로터가 제공될 수도 있지만, 이는 스텝 벨트에 비대칭적으로 부하를 가할 수 있다.
스텝 롤러들 및 아이들링 롤러들은 이러한 컨베이어 로터들을 교대 방식으로 교차한다. 컨베이어 로터들의 설계로 인해, 스텝 롤러들 및 아이들링 롤러들은 다른 이동 경로들에서 이들과 교차하여 제 1 가이드 레일 또는 제 2 가이드 레일상으로 분리된다. 왜란 없는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하나의 천이 영역의 2 개의 컨베이어 로터들은 바람직하게는 둘 다가 동일한 회전 속도 및 방향을 가지도록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는, 2 개의 벨트 풀리들 사이를 순환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천이 영역에서 스텝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벨트를 가질 수 있다. 벨트 풀리들은, 천이 영역에서 스텝이 컨베이어 벨트의 스트랜드에 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컨베이어 벨트는 바람직하게는 스텝의 스텝 본체에 직접 작용하여, 이 스텝 본체가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선회된다. 스텝 본체는 그 폭을 따라서 삼각형 단면을 가지므로, 그 후방 에지는 컨베이어 벨트에 접하여 바람직하게 위치되어, 천이 영역에서 아이들링 롤러는, 제 2 가이드 레일을 커먼 복귀 레일과 연결하고 그리고 아이들링 롤러 및 스텝 롤러의 이동 경로 위에 배열되는 가이드 표면에 접하여 가압된다. 이로 인해, 아이들링 롤러는 제 2 가이드 레일의 이동 경로로 이동한다.
컨베이어 벨트가 천이 영역에만 배열되기 때문에, 아이들링 롤러가 제 2 가이드 레일의 이동 경로 상에 기능적으로 안전한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스텝 본체는 컨베이어 벨트와 접촉하지 않는다. 스텝 축의 영역에 배열된 스텝 전방 에지는 절대로 이동하지 않아서, 컨베이어 벨트에 접하여 위치되어, 링크 체인의 견인력으로 인해, 스텝 롤러는 커먼 복귀 레일과 제 1 가이드 레일 사이를 주행하거나 그에 배열되는 이동 경로에 유지된다.
제 3 실시형태에서,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는 상기 천이 영역에서 상기 스텝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휠을 가질 수 있다. 이송 휠은 본질적으로 전술한 컨베이어 벨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스텝상에 작용한다. 이송 휠 쪽으로 이동될 스텝 후방 에지가 이송 휠에 접촉하자마자, 스텝의 스텝 본체는 선회되어, 아이들링 롤러는 가이드 표면을 따라서 제 2 가이드 레일로 배향된다. 가이드 표면의 형상 또는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이송 휠의 위치 및 직경에 정합하여, 천이 영역을 통하여 이동할 때 스텝들은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에 의해 야기되는 가능한 적어도 기계적 부하를 받게 된다.
전술한 3 개의 모든 실시형태들은, 컨베이어 로터들, 컨베이어 벨트들 또는 이송 휠과 같은 가동부들이 스텝 벨트의 부품들과 직접 접촉에 의해서만 구동되는 완전 수동식의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에 의해 야기되는 기계적 부하를 더 줄이기 위해,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컨베이어 로터들, 컨베이어 벨트들 또는 이송 휠은 또한 능동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는 스텝 벨트에 의해 직접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그 견인 수단의 이동은 기계적으로 픽업되어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의 가동부들에 전달될 수 있다. 견인 수단이 링크 체인이면, 기계적 픽업은 예를 들어 체인 휠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물론,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는 또한 스텝 벨트와는 독립적인 컨베이어 구동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구동부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 유압 모터 등일 수 있다.
적절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또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그리고 천이 영역에서 스텝 롤러들 및 아이들링 롤러들의 정확한 분리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에스컬레이터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들링 롤러들이 제 2 롤러 대신에 제 1 가이드 레일로 배향되면,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에스컬레이터용 제어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에스컬레이터용 제어 디바이스는 에러 신호가 있을 때 즉시 스텝 벨트를 제동한다.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는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사용자를 불편하게 할 수 있는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들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음 기록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소음 보상 디바이스가 에스컬레이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음 기록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바람직하게는 천이 영역 및/또는 편향 영역의 영역에 배열된다. 물론, 예를 들어 편향 영역들 내의 스텝 벨트에 대한 주행 소음 또는 구동 모터의 소음과 같은 에스컬레이터로부터의 다른 작동 소음은 또한 소음 보상 디바이스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많은 에스컬레이터들이 백화점에 사용되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는 스텝 벨트를 가능한 넓게 그리고 가능한 설치 폭을 더 좁혀야 해서, 가능한 적은 크기의 판매 면적이 손실된다. 스텝 롤러들 및 아이들링 롤러들은 관련 커먼 복귀 레일상의 밀접한 평행한 이동 경로들상으로 롤링하기 때문에, 커먼 복귀 레일은 바람직한 설치폭 비에 크게 기여한다. 아이들링 롤러가 견인 수단을 지나 선회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동 경로들 사이의 거리는 견인 수단의 실시형태 및 배열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견인 수단이 스텝 벨트의 양측의 스텝 축의 최외부 단부들에 부착되면, 스텝 롤러들 및 아이들링 롤러들은 또한 중첩 이동 경로들상의 커먼 복귀 레일들상에서 롤링할 수 있다. 아이들링 롤러들 및 스텝 롤러들의 2 개의 이동 경로들은 복귀 레일들의 동일한 레벨상에 바람직하게 배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롤러들 및 아이들링 롤러들을 위한 커먼 복귀 레일은, 매우 좁을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허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설계는 기존의 에스컬레이터를 현대화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에스컬레이터를 현대화하는 가능한 일 방법은, 우선, 기존의 에스컬레이터의 지지 구조물 또는 프레임을 제외하고 기존의 모든 기계 구성품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새로운 기계적 구성품이 설치되고, 새로운 기계적 구성품들은 순환하도록 배열된 스텝 벨트를 포함하고, 이 스텝 벨트는 선회가능한 벨트들을 가지며, 스텝 벨트의 선회 운동은, 스텝들의 양측에 배열되어 레일들상에서 롤링하는 스텝 롤러들 및 아이들링 롤러들에 의해 순환 중에 규정된다. 또한, 기계적인 구성품들은 스텝 벨트의 양측 각각에 있는 스텝 벨트의 아이들링 롤러들 및 스텝 롤러들을 위한 커먼 복귀 레일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컨베이어 구동부들, 소음 보상 디바이스들 등의 다양한 실시형태와 같이 전술한 모든 다른 구성품들은 또한 현대화될 에스컬레이터에 설치될 수 있다.
본원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며, 대응하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도 1 은 지지 구조물 또는 트러스 및 2 개의 편향 영역들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개략도로서, 지지 구조물내에 그리고 복귀 주행에 순환 스텝 벨트가 배열되며, 이 스텝 벨트의 스텝 롤러들 및 아이들링 롤러들은 커먼 복귀 레일상에서 롤링한다.
도 2 는 정방향 레일들 및 커먼 복귀 레일들의 캐리어들로서 프레임을 가진 도 1 의 라인 A-A 를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3a ~ 도 3d 는 도 1 의 에스컬레이터의 천이 영역에 스텝 벨트의 스텝 롤러들 및 아이들링 롤러들을 분리 또는 결합하기 위한 컨베이어 로터들을 가진 제 1 실시형태에서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가 기능하는 방식을 4 개의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4 는 도 1 의 에스컬레이터의 천이 영역에 스텝 벨트의 스텝 롤러들 및 아이들링 롤러들을 분리 또는 결합하기 위한 제 2 실시형태에서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의 3 차원 입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에스컬레이터의 천이 영역에 스텝 벨트의 스텝 롤러들 및 아이들링 롤러들을 분리 또는 결합하기 위한 제 3 실시형태에서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의 3 차원 입면도이다.
도 1 및 도 2 는 지지 구조물 (5) 또는 트러스 (5) 및 2 개의 편향 영역 (6, 7)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1) 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에스컬레이터 (1) 는 제 1 레벨 (E1) 및 제 2 레벨 (E2) 을 연결한다. 순환 스텝 벨트 (10) 는 지지 구조물 (5) 내에 배열된다. 스텝 벨트 (10) 는 제 1 레벨 (E1) 및 제 2 레벨 (E2) 사이에서 에스컬레이터 (1)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난간 베이스들 (3) 에 의해 측면에서 경계지어진다. 추가로, 각 난간 (2) 을 위한 하나의 순환 핸드레일 (4) 은 난간 베이스 (3) 에 배열된다. 스텝 벨트 (10) 는 적어도 하나의 견인 수단 (11) 및 복수의 스텝들 (12) 을 가진다. 스텝 벨트 (10) 의 순환 배열로 인해, 사람과 물건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정방향 주행 (V) 과 스텝들 (12) 을 복귀시키는데 사용되는 복귀 주행 (R) 이 있다.
도 2 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스텝 벨트 (10) 는 각 측에서 링크 체인으로서 구현된 하나의 견인 수단 (11) 을 가진다. 물론, 예를 들어, 벨트들, 강 케이블들 등과 같은 다른 견인 수단 (11) 은 링크 체인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2 개의 링크 체인들 (11) 은 스텝 축 (13) 에 의해 순환 방향 (U) 을 가로질러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스텝 축 (13) 에는 스텝 롤러들 (14) 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텝 (12) 은 그 상에 선회가능하게 배열된다. 스텝들 (12) 은 또한 아이들링 롤러들 (15) 을 가진다. 스텝들 (12) 의 선회 운동은, 스텝 (12) 의 양측에 배열되어 레일들 (16, 17) 상에서 롤링하는 스텝 롤러들 (14) 및 아이들링 롤러들 (15) 에 의해 순환 (U) 중에 규정된다.
보나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 에는 스텝 롤러들 (14) 및 아이들링 롤러들 (15) 을 위한 회전축의 운동 라인만이 도시되는 반면, 도 2 는 지지 구조물 (5), 레일들 (16, 17) 을 지지하는 프레임들 (18), 레일들의 횡방향 크로스-타이들 (19) 및 견인 수단 (11) 을 자세히 도시한다.
재료 및 조립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아이들링 롤러들 (15) 및 스텝 롤러들 (14) 을 위한 커먼 복귀 레일 (17) 은 복귀 주행 (R) 에서 스텝 벨트 (10) 의 양측 각각에 제공된다. 커먼 복귀 레일들 (17) 은 복귀 주행 (R) 의 경사진 구역에 배열된다. 2 개의 편향 영역들 (6, 7) 각각과 커먼 복귀 레일들 (17) 사이에 천이 영역 (8, 9) 이 제공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 벨트 (10) 의 정방향 주행 (V) 에서의 편향 영역들 (6, 7) 은 또한 스텝 벨트 (10) 에 대한 접근 영역들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접근 영역들에서 스텝 벨트 (10) 를 가능한 쉽고 안전하게 진입시키고 나오게 할 수 있도록, 적어도 3 개의 연속 스텝들 (12) 의 트레드 표면들 (20) 은 개별 스텝들 (12) 의 트레드 표면들(20) 이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변위되기 전에 동일한 수평면에 유지되어, 에스컬레이터 (1) 의 기울어진 또는 경사진 구간으로의 천이 영역들 (8, 9) 에서 스텝을 구현한다. 각 스텝 (12) 의 양측에 배열된 스텝 롤러들 (14) 및 아이들링 롤러들 (15) 은 스텝 (12) 의 트레드 표면 (20) 으로부터 상이한 평면들에 배열된다. 상이한 평면들상의 배열은 스텝 롤러들 (14) 및 아이들링 롤러들 (15) 둘 다가 롤링하는 하나의 정방향 레일 (16) 만이 스텝 벨트 (10) 의 양측상의 정방향 주행 (V) 의 경사진 구역에 배열되어야 하는 장점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편향 구역들 (6, 7) 을 위한 접근 영역들에서 동일한 수평면에 연속 스텝들 (12) 을 유지하기 위해서, 스텝 벨트측 각각에 대해 스텝 롤러들 (14) 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레일 (21) 및 아이들링 롤러들 (15) 을 안내하기 위한 제 2 가이드 레일 (22) 이 필요하다. 제 1 가이드 레일 (21) 및 제 2 가이드 레일 (22) 은 2 개의 편향 영역 (6, 7) 에서 정방향 레일들 (16) 과 복귀 레일들 (17) 사이에서 연장된다.
2 개의 링크 체인 (11) 이 스텝 벨트 (10) 의 양측에 배열되고 스텝 축 (13) 에 의해 횡방향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스텝 축 (13) 은 천이 영역 (8, 9) 에서 아이들링 롤러들 (15) 의 이론적인 이동 경로와 교차한다. 이러한 이동 경로 (파선으로 도시됨) 는, 이 영역에서 스텝 축 (13) 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 레일 (22) 과 복귀 레일 (17) 사이에 중단부 (23) 또는 갭 (23) 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론적인 것이다.
하지만, 아이들링 롤러들 (15) 이 그들에 할당된 제 2 가이드 레일 (22) 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아이들링 롤러들 (15) 이 이러한 중단부 (23) 또는 갭 (23) 내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제 2 가이드 레일로 이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회전 컨베이어 벨트 (50, 60, 70) (도 3 ~ 도 5 참조) 는 각각의 스텝 벨트 측에 대하여 천이 영역 (8, 9) 에 배열되고, 스텝 벨트 (10) 의 제 1 순환 방향 (U) 으로 각각의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는 커먼 복귀 레일 (17) 로부터 제 1 가이드 레일 (21) 로 스텝 롤러들 (14) 을 이송하고 그리고 커먼 복귀 레일 (17) 로부터 제 2 가이드 레일 (22) 로 아이들링 롤러들 (15) 을 이송한다 . 스텝 벨트 (10) 의 제 2 순환 방향 (U) 에서, 아이들링 롤러들 (15) 과 스텝 롤러들 (14) 은 그 결과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60, 70) 에 의해 커먼 복귀 레일 (17) 상에 결합된다.
스텝 롤러들 (14) 과 아이들링 롤러들 (15) 을 천이 영역 (6, 7) 에 결합하거나 분리시키면, 특히 편향 영역 (6, 7) 이 기존의 에스컬레이터들 (1) 의 설치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설치 높이를 가지는 장점을 가진다.
도 3a ~ 도 3d 는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의 제 1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단면 측면도를 제공한다. 도시된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는 제 1 레벨 (E1) (도 1 참조) 의 천이 영역 (8) 에 배열되고 2 개의 컨베이어 로터들 (51) 을 가진다. 2 개의 컨베이어 로터들 (51) 은 스텝 벨트 (10) 의 양측에 배열되어, 도 3a ~ 도 3d 의 단면 측면도로 인해, 하나의 컨베이어 로터 (51) 만이 도시된다. 컨베이어 로터 (51) 는 2 개의 컨베이어 윙들 (52, 53) 을 가진다. 컨베이어 로터 (51) 가 회전축 (54) 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컨베이어 윙들 (52, 53) 은 아이들링 롤러들 (15) 의 이론적인 이동 경로에 결합한다.
컨베이어 로터 (51) 를 통과할 때 스텝 롤러들 (14) 및 아이들링 롤러들 (15) 의 이동 시퀀스는 도 3a 에서 진행하여 도 3d 를 통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2 개의 스텝 (12) 만이 도시되어 있고; 이 스텝들은 복귀 레일 (17) 에서부터 시작하여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를 이동 방향 (Z) 으로 커버한다.
도 3a 에서, 스텝들 (12) 은 이동 방향 (Z) 으로 컨베이어 로터 (51) 쪽으로 이동한다. 컨베이어 윙들 (52, 53) 은 컨베이어 로터 (51) 상에 구현되고, 그리고 회전에 의해 아이들링 롤러들 (15) 의 이동 경로 내로 돌출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링 롤러 (15) 는 컨베이어 윙들 (52, 53) 로 포획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 2 가이드 트랙 (22) 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컨베이어 윙 (52) 은 접근하는 아이들링 롤러 (15) 를 포획하기 위한 시퀀스에 대해 이상적인 위치에 이미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로터의 각속도 (ω) 는 ω = 0 으로서 표시된다.
물론, 컨베이어 로터 (51) 는 또한 스텝 벨트 (10) 의 순환 속도에 정합된 각속도 (ω) 를 가질 수 있어서, 컨베이어 윙들 (52, 53) 은 아이들링 롤러 (15) 가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컨베이어 윙 (52, 53) 에 도달할 때까지 시퀀스를 위한 이상적인 위치에 있지 않다. 아이들링 롤러 (15) 가 대응하는 컨베이어 윙 (52, 53) 에 도달하자마자, 컨베이어 로터 (51) 는 미리 결정된 각속도 (ω) 로 회전한다. 이는 아이들링 롤러 (15) 를 승강시키고 제 2 가이드 레일 (22) 을 향해 이 아이들링 롤러를 이송한다.
컨베이어 윙들 (52, 53) 이 늦어도 도 3c 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컨베이어 로터들 (51) 의 각속도 (ω) 는 ω = 0 이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컨베이어 윙 (53) 이 후단 스텝 (12) 의 스텝 축 (13) 의 이론적인 이동 경로로 돌출할 수 있고 그리고 이 이동 경로를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아이들링 롤러 (15) 용 컨베이어 윙 (53) 의 후방은 컨베이어 로터 (51) 와 제 2 가이드 레일 (22) 사이에 무단 천이부를 형성한다.
아이들링 롤러 (15) 가 컨베이어 윙 (53) 을 나오자마자, 컨베이어 로터 (51) 는 도 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회전할 수 있다. 하지만, 컨베이어 윙 (51) 이 스텝 롤러 (14) 또는 스텝 축 (13) 을 포획하지 않도록 컨베이어 로터 (51) 의 각속도 (ω) 를 조정해야 한다. 스텝 롤러 (14) 가 제 1 가이드 레일 (21) 에 도달하면, 스텝 축 (13) 및 스텝 롤러 (14) 는 컨베이어 윙 (53) 의 범위 밖에 있고, 컨베이어 로터 (51) 는 도 3a 에 도시된 초기 상황이 다시 달성될 때까지 계속 회전할 수 있다. 도 3a 와의 유일한 차이점은, 컨베이어 윙 (52) 대신에, 컨베이어 윙 (53) 이 다음의 아이들링 롤러 (15) 를 제 2 가이드 레일 (22) 로 이제 이송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스텝 벨트 (10) 또는 스텝 롤러들 (14) 및 아이들링 롤러들 (15) 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를 통과하면, 스텝 롤러들 (14) 및 아이들링 롤러들 (15) 은, 도 3d 에서 시작하여 도 3c 및 도 3b 를 통하여 도 3a 로 진행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커먼 복귀 레일 (17) 상에 결합된다. 컨베이어 로터들 (51) 은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 드라이브 (도시 생략) 에 의해 능동적으로 구동된다.
각각의 아이들링 롤러 (15) 가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를 횡단함으로써 전술한 이송이 실시된다. 스텝 벨트 (10) 가 순환할 때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은 도 1 에 도시된 소음 보상 디바이스 (80) 를 사용하여 제거되거나 적어도 저감될 수 있어서, 에스컬레이터 (1) 의 사용자가 이러한 소음에 의해 불안정해지지 않는다. 소음 보상 디바이스 (80) 는 상보적인 음향파를 생성함으로써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의 소음을 제거한다. 소음 보상 디바이스 (80) 의 필수 구성품들은, 제거될 소음 영역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소음 기록 센서 (82) 또는 마이크로폰 (82), 소음 기록 센서 (82) 에 의해 기록된 신호를 처리하고 그리고 상보적인 신호 또는 오버레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하나의 신호 처리 유닛 (81), 및 또한 제거될 소음 영역에 배열되고 그리고 이 신호 처리 유닛 (81) 으로부터 상보적인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83, 84) 를 포함한다. 물론, 예를 들어 편향 영역 (6, 7) 의 영역에서의 링크 체인 (11) 의 주행 소음 및/또는 에스컬레이터 (1) 의 구동 유닛 (도시되지 않음, 구동 모터 및 기어링을 포함) 으로부터의 소음과 같은 에스컬레이터 (1) 의 다른 작동 소음은 또한 소음 보상 디바이스 (80) 에 의해 제거되거나 적어도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 에서는 예를 들어 천이 영역 (9) (도 1 참조) 에 배열된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60) 의 다른 실시형태의 3 차원 입면도를 제공한다. 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스텝 체인 (10) 의 하나의 스텝 (12) 만이 도시되어 있고, 천이 영역 (9) 의 레일들 (17, 21, 22) 의 절반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60) 는, 2 개의 벨트 풀리들 (61, 62) 사이를 순환하도록 배열되고 천이 영역 (9) 에서 스텝 (12) 과 결합하는 컨베이어 벨트 (63) 를 가진다. 물론,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60) 는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들 (63) 및 벨트 풀리들 (61, 62) 을 가질 수 있다.
벨트 풀리들 (61, 62) 은, 천이 영역 (9) 에서 스텝 (12) 이 컨베이어 벨트 (63) 의 스트랜드 (64) 에 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컨베이어 벨트 (63) 는, 인장 디바이스 (도시되지 않음) 에 의해 2 개의 벨트 풀리들 (61, 62) 사이에서 신장되기 때문에, 스텝 (12) 상에 힘 (F) 을 가한다. 컨베이어 벨트 (63) 는 바람직하게는 스텝 (12) 의 스텝 본체 (68) 에 직접 작용하여, 이 스텝 본체가 컨베이어 벨트 (63) 의 힘 (F) 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선회된다. 스텝 본체 (68) 는 그 폭을 따라서 삼각형 단면을 가지므로, 그 후방 에지 (67) 는 컨베이어 벨트 (63) 에 접하여 바람직하게 위치되어, 천이 영역 (9) 에서 아이들링 롤러 (15) 는, 2 개의 가이드 레일 (22) 을 커먼 복귀 레일 (17) 과 연결하고 그리고 아이들링 롤러 (15) 의 가이드 트랙들 (S17) 및 스텝 롤러 (14) 의 상방에 배열되는 가이드 표면 (65) 에 접하여 가압된다. 이로 인해, 아이들링 롤러 (15) 는 제 2 가이드 레일 (22) 의 이동 경로 (S22) 로 신뢰가능하게 이동한다. 컨베이어 벨트 (63) 가 천이 영역 (9) 에만 배열되기 때문에, 아이들링 롤러 (15) 가 제 2 가이드 레일 (22) 의 이동 경로 (S22) 상에 기능적으로 안전한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스텝 본체 (68) 는 컨베이어 벨트 (63) 와 접촉하지 않는다. 스텝 축 (13) 의 영역에 배열된 스텝 전방 에지 (66) 는 절대로 이동하지 않아서, 컨베이어 벨트 (63) 에 접하여 위치되어, 링크 체인의 견인력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도시되지 않음) 으로 인해, 스텝 롤러 (14) 는 커먼 복귀 레일 (17) 과 제 1 가이드 레일 (21) 사이를 주행하거나 그에 배열되는 이동 경로 (S17, S21) 에 유지된다.
도 4 에 도시된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60) 는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는 컨베이어 벨트들 (63) 이 스텝 본체 (68) 와의 접촉을 이용하여 단독으로 구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2 개의 벨트 풀리들 (61, 62) 은 특히 낮은 마찰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야 한다. 컨베이어 벨트 (63) 상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 (63) 는 치형 벨트일 수 있으며, 이 치형 벨트의 치형부는 스텝 후방 에지 (67) 쪽으로 배향된다. 하지만 물론, 컨베이어 벨트 (63) 는 또한 별개의 컨베이어 구동부 (도 4 에 도시되지 않음) 에 의해 능동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 (63) 의 회전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스텝 후방 에지 (67) 의 속도로 조정된다.
도 5 에서는, 예를 들어 천이 영역 (9) (도 1 참조) 에 배열된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70) 의 다른 실시형태의 3 차원 입면도를 제공한다. 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스텝 체인 (10) 의 하나의 스텝 (12) 만이 도시되어 있고, 천이 영역 (9) 의 레일들 (17, 21, 22) 의 절반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70) 는 천이 영역 (9) 에서 스텝 (12) 과 결합하는 이송 휠 (71) 을 가진다. 이송 휠 (71) 은 전술한 컨베이어 벨트 (63) 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이송 휠 (71) 쪽으로 이동될 스텝 후방 에지 (67) 가 이송 휠 (71) 에 접촉하자마자, 스텝 (12) 의 스텝 본체 (68) 는 선회되어, 아이들링 롤러 (15) 는 예를 들어 커먼 복귀 레일 (17) 의 가이드 표면 (75) 을 따라서 제 2 가이드 레일 (22) 로 배향된다. 상기 가이드 표면 (75) 은 제 2 안내 레일 (22) 과 커먼 복귀 레일 (17) 을 연결하고 그리고 아이들링 롤러 (15) 및 스텝 롤러 (14) 의 이동 경로 (S17) 위에 배열된다. 가이드 표면 (75) 의 형상 또는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이송 휠 (71) 의 위치 및 직경에 정합하여, 천이 영역 (9) 을 통하여 이동할 때 스텝들 (12) 은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70) 에 의해 야기되는 가능한 적어도 기계적 부하를 받게 된다.
이송 휠 (71) 은, 예를 들어 기어링 (73) 이 부착된 도시된 전기 모터 (72) 와 같은 컨베이어 구동부 (72) 에 의해 능동적으로 구동된다. 물론, 이송 휠 (71) 은 또한 유압식 또는 공압식 컨베이어 구동부 (72) 등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이송 휠 (71) 은 스텝 후방 에지 (67) 와의 접촉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수동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5 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도시된 이송 휠 (71) 은, 예를 들어 림을 가진 공압식 타이어이다. 공압식 타이어가 너무 적은 내부 압력을 가지거나 심지어 내부 압력이 없다면, 아이들링 롤러들 (15) 을 커먼 복귀 레일 (17) 로부터 제 2 가이드 레일 (22) 로 신뢰가능하게 이송하는 것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 주요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70) 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79) 및/또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78) 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어서, 이송 휠 (71) 이 고장나면 즉시 스텝 벨트 (10) 가 정지된다.
본원은 특정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여 설명되었지만, 예를 들어 개별 실시형태들의 특징을 서로 조합함으로써 및/또는 실시형태들 중 개별 기능 유닛들을 교환함으로써 본 발명의 지식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형성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컨베이어 벨트 대신에, 작은 직경을 포함하는 복수의 이송 휠이 앞뒤로 배열되면,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 중 하나의 가능한 조합을 얻을 수 있다. 추가로, 모든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 1 ~ 도 5 에서 구동 유닛, 신호 전달 수단 및 전원 공급 라인 등에 대한 도시를 대부분 생략하였다. 하지만, 이는 에스컬레이터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대응하여 구성된 에스컬레이터들은 본 청구항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9)

  1. 2 개의 편향 영역들 (6, 7) 및 상기 편향 영역들 (6, 7)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배열된 스텝 벨트 (10) 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1) 로서,
    상기 스텝 벨트 (10) 는 선회가능한 스텝들 (12) 을 포함하고, 상기 스텝들의 선회 운동은, 상기 스텝들 (12) 의 양측에 배열되어 레일들 (16, 17) 상에서 롤링하는 스텝 롤러들 (14) 및 아이들링 롤러들 (15) 에 의해 순환 (U) 중에 규정되며,
    상기 스텝 벨트 (10) 는 사람과 물건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정방향 주행 (V) 과 상기 스텝들 (12) 을 복귀시키는데 사용되는 복귀 주행 (R) 을 가지고, 상기 복귀 주행 (R) 에서 상기 스텝 벨트 (10) 의 양측 각각에 상기 아이들링 롤러들 (15) 및 상기 스텝 롤러들 (14) 을 위한 커먼 복귀 레일 (17) 이 제공되며,
    커먼 복귀 레일들 (17) 은 복귀 주행 (R) 의 경사진 구역에 배열되고, 2 개의 상기 편향 영역들 (6, 7) 각각과 상기 커먼 복귀 레일들 (17) 사이에는 천이 영역 (8, 9) 이 제공되며,
    2 개의 상기 천이 영역들 (8, 9) 각각에는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60, 70) 가 배열되고,
    상기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60, 70) 는, 상기 스텝 벨트 (10) 의 제 1 순환 방향 (U) 에서, 상기 스텝 롤러들 (14) 을 상기 커먼 복귀 레일 (17) 에서부터 상기 편향 영역 (6, 7) 에 배열된 제 1 가이드 레일 (21) 까지 이송하고 상기 아이들링 롤러들 (15) 을 상기 커먼 복귀 레일 (17) 에서부터 상기 편향 구역 (6, 7) 에 배열된 제 2 가이드 레일 (22) 까지 이송하고, 상기 스텝 벨트 (10) 의 제 2 순환 방향 (U) 에서, 상기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60, 70) 는 상기 아이들링 롤러들 (15) 과 상기 스텝 롤러들 (14) 을 상기 커먼 복귀 레일 (17) 상에 결합 (bring together)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는 상기 스텝 벨트 (10) 의 양측에 배열되는 2 개의 컨베이어 로터들 (51) 을 가지고, 상기 스텝 롤러들 (14) 및 상기 아이들링 롤러들 (15) 은 상기 컨베이어 로터들 (51) 을 교대로 교차하는, 에스컬레이터 (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60) 는 적어도 2 개의 벨트 풀리들 (61, 62) 사이를 순환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벨트 (63) 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 (63) 는 상기 천이 영역 (8, 9) 에서 상기 스텝 (12) 과 결합하는, 에스컬레이터 (1).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70) 는 상기 천이 영역 (8, 9) 에서 상기 스텝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휠 (71) 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60, 70) 는 상기 스텝 벨트 (10) 와의 직접 접촉을 사용하여 수동적으로 구동되는, 에스컬레이터 (1).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60, 70) 는 상기 스텝 벨트 (10) 와는 독립적으로 컨베이어 구동부 (72) 를 사용하여 또는 상기 스텝 벨트 (10) 를 사용하여 능동적으로 구동되는, 에스컬레이터 (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롤러들 (14) 및/또는 상기 아이들링 롤러들 (15) 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센서 (79) 및/또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78) 가 제공되는, 에스컬레이터 (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소음 기록 센서 (82)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83, 84) 를 포함하는 소음 보상 디바이스 (80) 가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음 기록 센서 (8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83, 84) 는 상기 천이 영역 (8, 9) 및/또는 상기 편향 영역 (6, 7) 의 영역에 배열되는, 에스컬레이터 (1).
  9. 기존의 에스컬레이터 (1) 의 지지 구조물 (5) 을 제외하고 모든 기존의 기계적 구성품들을 제거함으로써 그리고 새로운 기계적 구성품들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기존의 에스컬레이터 (1) 를 현대화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새로운 기계적 구성품들은 선회가능한 스텝들 (12) 을 포함하는 순환 배열된 스텝 벨트 (10) 를 포함하고, 상기 스텝들의 선회 운동은, 상기 스텝들 (12) 의 양측에 배열되어 레일들 (16, 17) 상에서 롤링하는 스텝 롤러들 (14) 및 아이들링 롤러들 (15) 에 의해 순환 (U) 중에 규정되며,
    상기 기계적 구성품들은 상기 스텝 벨트 (10) 의 양측 각각에 상기 스텝 벨트 (10) 의 상기 아이들링 롤러들 (15) 및 상기 스텝 롤러들 (14) 을 위한 커먼 복귀 레일 (17) 을 더 포함하며,
    커먼 복귀 레일들 (17) 은 복귀 주행 (R) 의 경사진 구역에 배열되고, 2 개의 편향 영역들 (6, 7) 각각과 상기 커먼 복귀 레일들 (17) 사이에는 천이 영역 (8, 9) 이 제공되며,
    2 개의 상기 천이 영역들 (8, 9) 각각에는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60, 70) 가 배열되고,
    상기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60, 70) 는, 상기 스텝 벨트 (10) 의 제 1 순환 방향 (U) 에서, 상기 스텝 롤러들 (14) 을 상기 커먼 복귀 레일 (17) 에서부터 상기 편향 영역 (6, 7) 에 배열된 제 1 가이드 레일 (21) 까지 이송하고 그리고 상기 아이들링 롤러들 (15) 을 상기 커먼 복귀 레일 (17) 에서부터 상기 편향 구역 (6, 7) 에 배열된 제 2 가이드 레일 (22) 까지 이송하고, 상기 스텝 벨트 (10) 의 제 2 순환 방향 (U) 에서, 상기 회전 컨베이어 디바이스 (50, 60, 70) 는 상기 아이들링 롤러들 (15) 과 상기 스텝 롤러들 (14) 을 상기 커먼 복귀 레일 (17) 상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를 현대화하는 방법.
KR1020177032143A 2015-04-16 2016-04-01 커먼 복귀 레일들을 가진 에스컬레이터 KR201701378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63933 2015-04-16
EP15163933.3 2015-04-16
PCT/EP2016/057197 WO2016165955A1 (de) 2015-04-16 2016-04-01 Fahrtreppe mit gemeinsamen rücklaufschien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805A true KR20170137805A (ko) 2017-12-13

Family

ID=5294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143A KR20170137805A (ko) 2015-04-16 2016-04-01 커먼 복귀 레일들을 가진 에스컬레이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80118521A1 (ko)
EP (1) EP3283426B1 (ko)
KR (1) KR20170137805A (ko)
CN (1) CN107531462B (ko)
BR (1) BR112017021240A2 (ko)
ES (1) ES2713684T3 (ko)
PL (1) PL3283426T3 (ko)
TR (1) TR201905376T4 (ko)
WO (1) WO20161659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83426B1 (de) * 2015-04-16 2019-01-23 Inventio AG Fahrtreppe mit gemeinsamen rücklaufschienen
TWI720212B (zh) * 2016-06-21 2021-03-01 瑞士商伊文修股份有限公司 將手扶梯或移動步道現代化之方法、用於此方法的裝置組合及新的橫樑
EP3747821A1 (en) 2019-06-04 2020-12-09 Otis Elevator Company Belt-driven people conveyo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906A (en) 1901-01-02 1904-07-12 Otis Elevator Co Traveling stairway.
US857125A (en) * 1901-03-20 1907-06-18 Otis Elevator Co Traveling conveyer.
GB197744A (en) * 1922-02-21 1923-05-22 James Hendry A combined elevator and conveyor of the step or stairway type
US2524248A (en) * 1947-11-07 1950-10-03 Albertoli John Fruit guiding apparatus
US5494151A (en) * 1993-08-06 1996-02-27 Shinko Electric Co., Ltd. Vibratory parts-feeder apparatus
WO2000007924A1 (de) * 1998-08-08 2000-02-17 Kone Corporation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führen einer kette im bereich von kettenrädern eines stetigförderers
EP1306342B1 (en) * 2000-06-28 2011-01-19 Hitachi, Ltd. Passenger conveyor
JP2002348081A (ja) * 2001-05-16 2002-12-04 Inventio Ag 直接駆動されるステップ本体を備えた人用搬送装置及びそのような装置のステップ本体
JP2003089492A (ja) * 2001-09-18 2003-03-25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CN1970424A (zh) * 2006-12-01 2007-05-30 苏州新达电扶梯成套部件有限公司 自动扶梯的梯路导轨
KR101439383B1 (ko) * 2010-10-08 2014-09-11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이동가능한 측면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수송기
EP2548832A1 (de) 2011-07-21 2013-01-23 Inventio AG Bauteil mit einer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Anbauteile
EP3283426B1 (de) * 2015-04-16 2019-01-23 Inventio AG Fahrtreppe mit gemeinsamen rücklaufschie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3426B1 (de) 2019-01-23
ES2713684T3 (es) 2019-05-23
EP3283426A1 (de) 2018-02-21
WO2016165955A1 (de) 2016-10-20
TR201905376T4 (tr) 2019-05-21
US20180118521A1 (en) 2018-05-03
CN107531462A (zh) 2018-01-02
PL3283426T3 (pl) 2019-07-31
BR112017021240A2 (pt) 2018-06-26
CN107531462B (zh)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367B1 (en) Low profile over-under conveyor
US7562761B2 (en) Slat driven positive displacement sorter
KR0147083B1 (ko)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
EP0530946B1 (en) Handrail drive mechanism for a passenger conveyor
KR20170137805A (ko) 커먼 복귀 레일들을 가진 에스컬레이터
KR20070055341A (ko) 유희장치
WO2007077937A1 (ja) 乗客コンベア
CN110239894A (zh) 无极车组链多点驱动带式输送机及链张紧方法
CN109678038B (zh) 用于人员输送机的传动带
JPS62185692A (ja) 走行速度が変化するエスカレ−タ
KR100214868B1 (ko) 승객용콘베이어의 가이드기구
US10494043B2 (en) Multi-strand flat top conveyor
CN102123933B (zh) 载人工具以及在使用载人工具中的方法
US8636134B2 (en) Moving skirt mechanism for chain driven passenger conveyors
AU2004203530A1 (en) Drive equipment for escalator step or moving walkway plate
US3530799A (en) Guiding arrangement for platform carriages for passenger conveyor installations
AU2007361432A1 (en) Slat driven positive displacement sorter
JP2017095268A (ja) 乗客コンベア
US10427890B2 (en) Multi-strand flat top conveyor
JP6139753B1 (ja) 乗客コンベア
CN107352376B (zh) 乘客输送装置
US3150757A (en) Moving sidewalk
CN112777464B (zh) 带驱动式自动扶梯
JP7178922B2 (ja) 据付の手間を低減する乗客コンベア
JP2581854B2 (ja) マンコンベア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