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874B1 - 세포 배양 용기, 세포 배양 용기의 지지 지그 및 세포 배양 방법 - Google Patents

세포 배양 용기, 세포 배양 용기의 지지 지그 및 세포 배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874B1
KR102222874B1 KR1020187022886A KR20187022886A KR102222874B1 KR 102222874 B1 KR102222874 B1 KR 102222874B1 KR 1020187022886 A KR1020187022886 A KR 1020187022886A KR 20187022886 A KR20187022886 A KR 20187022886A KR 102222874 B1 KR102222874 B1 KR 102222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ulture
concave portion
cells
container body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407A (ko
Inventor
사토시 타나카
료 슈에나가
타카히코 토타니
Original Assignee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07035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979B1/ko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7/01226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170335A1/ja
Publication of KR2018009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2Well or multiwell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4Gas permeable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4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gas introduction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04Flat or tray type, dra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08Flask, bottle or test tub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4Ba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6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flexibl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가스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2)와 주입출용 포트(3)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2)는 주변부가 밀봉되어 그 윗면(2a)측이 불룩한 모양을 가짐과 동시에, 저면(2b)에 세포배양부가 되는 오목부(4)가 여러 개 형성된 세포 배양 용기(1)에 주입출용 포트(3)로 배지와 함께 배양 대상인 세포를 용기 본체(2)에 주입하여 세포배양을 한다. 그러면, 배양시 세포 밀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오염의 위험을 줄이면서 동일한 용기내에서 효율적으로 세포를 배양한다.

Description

세포 배양 용기, 세포 배양 용기의 지지 지그 및 세포 배양 방법
본 발명은 각종 세포를 효율적으로 배양하기 위한 세포 배양용기, 세포 배양 용기의 지지 지그(jig, 治具), 및 세포 배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약품의 생산과 유전자 치료, 재생의료, 면역요법 등의 분야에서 세포 (조직, 미생물, 바이러스 등)을 인공적인 환경하에서 효율적으로 대량배양 분화 유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세포 배양에 있어서는, 배지 중의 세포 밀도를 적정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세포의 증식에 따라 배지 중의 세포 밀도가 높아지면 증식에 필요한 배지 성분의 고갈이나 세포 자신의 대사 산물의 축적 등에 의해 세포의 성장이 저해되고 세포의 증식 효율이 저하 된다. 또한, 배지 중의 세포 밀도가 너무 낮아져도 세포를 효율적으로 증식·분화 유도를 시킬 수 없다. 따라서, 세포를 어느 정도의 규모로 배양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배지 중의 세포 밀도가 적당하게 유지되도록 계대를 반복하면서 배양 하고 있다.
종래 계대 배양에 있어서는 웰 플레이트나 플라스크 등이 배양용기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적당한 세포 밀도가 되도록 배지와 함께 세포를 각 웰에 첨가하여 배양을 개시하고 웰 내에서 세포를 충분히 증식시킨 후 플라스크에 옮겨서 세포 증식에 맞추어 배지를 추가하여 배양하는 동시에, 일정량으로 증식한 시점에서 더 큰 용량의 플라스크에 옮겨 더욱 배지를 추가함으로써 계대를 반복하여 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0027]단락 등 참조).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플라스크 타입의 배양 용기로서, 직육면체 등의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용기의 일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 플라스크 타입의 배양 용기가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제1배양면에 여러 개의 요설 (凹設)된 제1배양부가 되는 오목부에서 단일 세포의 합일에 의한 응집덩어리를 형성하고, 이것을 용기 내의 제2배양면에 형성된 제1배양부 보다 면적이 넓은 제2배양부에 옮겨서 더 큰 응집덩어리가 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특개 2011-24115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공보 특개 2006-55069호 공보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계대 배양을 실행함에 있어서는 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세포를 추가할 때나 웰 플레이트에서 플라스크에 세포를 옮길 때 피펫팅 조작을 여러 번 반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계대마다 새로운 플라스크 등의 배양용기에 세포를 옮겨야 하며, 번잡한 작업이 강요될 뿐만 아니라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오염의 위험도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은 플라스크 타입의 배양용기에서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뚜껑을 분리하여 개구부를 개방했을 때에만 가스교환이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배양 중인 세포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가스교환에 있어서도 오염의 위험이 불가피하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실험실 수준을 넘어, 어느 정도의 규모로 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하려면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플라스크 타입의 배양 용기는 부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배양시 세포 밀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오염의 위험을 줄이면서 동일한 용기 내에서 효율적으로 세포를 배양·분화 유도하기 위한 세포 배양 용기, 세포 배양 용기의 지지 지그 및 세포 배양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세포 배양 용기는 가스 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와 주입출용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주변부가 밀봉된 용기 윗면측이 불룩한 형상을 갖는 동시에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에 세포 배양부가 되는 오목부를 복수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용기의 지지 지그는 상기 세포 배양 용기를 지지하는 지그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저면측을 상기 오목부에 비접촉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방법은 상기 세포 배양 용기를 사용한 세포 배양 방법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저면측을 상기 오목부에 비접촉으로 지지하여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 세포를 모아 배양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양 시 세포 밀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오염의 위험을 줄이면서 동일한 용기 내에서 효율적으로 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세포 배양용기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세포 배양 용기의 변형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세포 배양 용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의 세포 배양 용기(1)는 가스 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2)와 배지나 세포 등이 유통 가능한 관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주입출용 포트(3)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는 주변부가 밀봉되어 그 윗면(2a)측이 대지(台地) 모양으로 불룩해진 팽출(膨出, 부풀어 나옴)모양을 하고 있으며, 평탄면으로된 윗면(2a)의 가장자리가 경사져서 주변부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용기 본체(2)의 저면(2b)에는 세포 배양부가 되는 오목부(4)가 여러 개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의 저면(2b)에 형성된 오목부(4)는 용기 본체(2) 내에서의 세포의 이동을 억제하여 배양 중인 세포가 하나의 오목부(4)에 머물게 하기 위해서, 개구 지름(직경, D)이 0.3 ~ 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4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2mm이며, 깊이(d)가 0.1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4)의 개구 지름은 모든 오목부(4)에서 동일해도 되고, 예를 들면, 저면(2b)을 여러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영역마다 오목부(4)의 개구 지름을 다르게 하는 등, 저면(2b)에 형성하는 오목부(4)가 개구 지름이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의 윗면(2a)측을 대지 모양으로 불룩하게 하여 윗면(2a)의 가장자리가 경사져서 주변부에 이어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주변부 측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배지와 함께 배양 대상인 세포를 용기 본체(2)에 주입했을 때 세포를 포함하는 배지의 양이 주변부 측에서 적어지고 배지중을 침강하는 세포수도 적어진다. 그러면 모든 오목부(4) 개구 지름을 동일하게 하면 주변부 측의 오목부(4)에 침강하여 들어가는 세포 수가 적어져 버리기 때문에, 모든 오목부(4)에 같은 정도의 수의 세포가 침강하여 들어오도록, 주변부 측에서는 오목부(4)의 개구 지름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나타나는 세포 배양 용기(1)에서는 오목부(4)의 저면에 세포가 모이기 쉽도록 오목부(4)의 형상을 구관형상(球冠
Figure 112018078419394-pct00001
)으로 하였지만, 오목부(4)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목부(4)의 하단에 세포가 모이기 쉽게 하려면 오목부(4) 개구 지름(D)에 대한 깊이(d)의 비d/D를 0.05 ~ 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면(2b)에서 차지하는 오목부(4)의 점유면적은 저면(2b)의 오목부(4) 이외의 부분에 세포가 체류해버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성형성(成形性)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저면(2b)의 면적에 30 ~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4)의 배열은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지그재그형으로 하여 저면(2b)에서 차지하는 오목부(4)의 점유 면적은 가능한 한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격자모양으로도 배열할 수도 있다.
또한, 용기 본체(2)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세로 50 ~ 500 mm, 가로 50 ~ 50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세포 배양 용기(1)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용기 본체(2)의 윗면(2a)측이 되는 윗면측 플라스틱 필름과 용기 본체(2)의 저면(2b)측이 되는 저면측 플라스틱 필름을 준비한다. 그리고 윗면측 플라스틱 필름을 그 주변부를 남기고 대지 모양으로 불룩하도록 성형한다. 한편, 저면측 플라스틱 필름에는 여러개의 오목부(4)를 소정의 배열로 성형한다. 이들은 일반적인 진공 성형이나 압공 성형 등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금형(金型) 등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불룩한 모양과 오목부(4)의 형상이 원하는 모양이 되도록 성형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성형된 윗면측 플라스틱 필름과 저면측 플라스틱 필름을 포개는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주입 출용 포트(3)를 형성하는 관 형상 부재를 사이에 두고 주변부를 열 융착에 의해 밀봉하고 필요에 따라 주변부를 트리밍한다. 그러면 도 1과 같은 세포 배양 용기(1)를 제조 할 수 있다.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의 가스 투과성은 JIS K 7126의 가스 투과도 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 온도 37℃에서 측정한 산소 투과도가 5000 mL/(m2 ·day·at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플라스틱 필름은 세포 배양의 진행 상황이나 세포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 또는 전부가 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원하는 가스 투과성을 갖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 에스테르,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층으로 사용해도 되고, 동종 또는 이종 재료를 적층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주변부를 밀봉할 때의 열 융착성을 고려하면 밀봉층으로서 기능하는 층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용성을 가지면서도 윗면(2a)측의 불룩한 모양과 오목부(4)의 형상이 유지되는 적당한 형상 유지성을 갖도록,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데 이용하는 플라스틱 필름 두께는 30 ~ 200μ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입출용 포트(3)는 배지나 세포 등이 유통 가능한 관 형상 부재로 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지만, 주입출용 포트(3)를 형성하는 관 형상 부재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화비닐,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 FEP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에 의해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주입출용 포트(3)에는 용기 본체(2)의 윗면(2a)측과 저면(2b)측과의 접착에 의해 포트가 막혀 버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그 기단부에서 용기 본체(2) 내에 돌출하는 포트폐색방지 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포트폐색방지 편을 설치하는 경우, 저면(2b)에 설치한 오목부(4)에 대한 세포의 침강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용기 본체(2)의 윗면(2a)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세포 배양용기(1)를 사용하여 세포 배양을 하는데는 주입출용 포트(3)에 접속된 액송(液送, 액체 이송)튜브를 통해서 폐쇄계를 유지하면서 배지와 함께 배양 대상의 세포를 용기 본체(2)에 주입한다. 그리고 용기 본체(2)에 주입된 세포는 배지 속을 침강하여 각 오목부(4)의 하단에 모아진다.
여기서 두 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겹쳐 주변부를 밀봉한 만큼의 평파우치 모양의 용기에서는 용기 내부가 내용액으로 채워짐에 따라 주변부가 들어올려지듯이 저면이 변형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2)의 윗면(2a)측이 불룩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주입량을 고려하여 윗면(2a)측의 불룩한 모양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배지와 함께 배양 대상인 세포를 주입할 때의 저면(2b)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면(2b)에 마련된 오목부(4)가 기울어지거나 하지 않고 각각의 오목부(4)에 균일하게 세포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배지 내를 침강하는 세포가 각 오목부(4)의 저면에 모이기 쉽도록, 오목부(4)를 포함하는 저면(2b)에 세포저접착처리(細胞低接着
Figure 112018078419394-pct00002
理)를 실시하여 세포가 접착되기 어려워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포저접착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처리, 인지질 폴리머, 계면 활성제, 알부민과 같은 단백질 등을 코팅하여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세포 접착성 단백질이 흡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면(2b)의 오목부(4) 이외의 부분, 특히 저면(2b)의 주변부 측에 세포가 체류하는 것을 피하고, 오목부(4)의 저면에 세포가 더 모이기 쉽게 하기 위해, 용기 본체(2)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저면(2b)측도 윗면(2a)측과 마찬가지로 대지 모양으로 불룩해진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저면(2b)의 가장자리가 경사져서 주변부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저면(2b)의 주변부측에 세포가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의 저면(2b)측도 불룩한 모양을 갖도록 하는 것은 배지와 함께 배양 대상인 세포를 주입할 때 저면(2b)의 변형을 억제하는데 있어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형태로 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세포 배양 용기(1)를 제조할 때 저면측 플라스틱 필름을 그 주변부를 남기고 불룩해지도록 성형하는 동시에, 불룩해진 부위에 오목부(4)를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세포 배양 용기(1)에 의하면, 용기 본체(2)에 주입된 세포는 배지중을 침강하여 각 오목부(4)의 저면에 모여 세포 밀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배양과 분화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2)는 가스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져서 배양중인 세포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저면측 플라스틱 필름에 오목부(4)를 성형할 때 해당 플라스틱 필름이 연신(stretching)되어, 오목부(4)의 두께가 저면(2b)의 오목부(4) 이외의 부분의 두께보다 얇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오목부(4)의 가스 투과성을 높여서, 오목부(4)에 모인 세포에 의해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세포 배양 용기(1)를 이용하여 세포 배양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CO2 인큐베이터 등의 배양기 내에서 소정의 조건 하에서 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 이때, 세포 배양 용기(1)는 도 3과 같이 그 저면(2b)측을 오목부(4)에 비접촉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그(10)를 통해서 배양기 내의 가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목부(4)가 무너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오목부(4)에 모아진 배양 중인 세포가 오목부(4) 주위에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면(2b)으로부터의 가스투과성을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세포 배양 용기(1)의 저면(2b)측을 오목부(4)에 비접촉으로 지지가능한 지그(10)로는, 예를 들면, 해당 오목부(4)가 비접촉으로 삽입 가능한 직경의 천공 또는 오목부를 해당 오목부(4)의 배열에 대응시켜서 복수 설치한 평판 형상의 지그나 해당 오목부(4) 사이에 해당 오목부(4)와 비접촉이 되도록 그물 모양으로 선재를 짠 철망 모양의 지그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오목부(4)의 저면에 모아진 세포가 일정 이상으로 증식하여 그 세포 밀도가 배양에 적합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포 배양 용기(1)의 상하를 거꾸로 하여 윗면(2a)을 배양면으로서 이용함으로써 배양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동일한 용기 내에서 적절한 세포 밀도를 유지하면서 세포 배양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배양 대상인 세포가 부착 의존성 세포(足場依存性 細胞, anchorage-dependent cell)인 경우에는 세포 배양 용기(1) 상하를 거꾸로 할 때 필요에 따라 세포를 오목부(4)의 저면에서 떨어지게 하는 효소 용액을 용기 본체(2)에 주입하지만, 이 경우에도 주입출용 포트(3)에 접속된 액송 튜브를 통해서 폐쇄계를 유지하면서, 이러한 효소 용액을 용기 본체(2)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세포의 배양에는 보통 수 일 내지 수 주간의 기간을 요하고 그 기간 동안 필요에 따라 배지를 추가하거나 배지를 교환해야 하는데, 주입출용 포트(3)에 연결된 액송 튜브를 통해서 배지를 추가하거나 배지를 교환함으로써 폐쇄계를 유지하면서 이러한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종료 후 주입출용 포트(3)에 연결된 액송 튜브를 통해서 폐쇄계를 유지한 채 세포 배양 용기(1)의 세포를 회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세포 배양 용기(1)를 이용하여 세포 배양을 함으로써 계대를 하지 않고 폐쇄계를 유지하면서 배양시의 세포밀도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세포를 효율적으로 증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잡하게 옮기는 작업이 불필요하며, 오염의 위험을 줄이면서 동일한 용기내에서 효율적으로 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여 용기 본체(2)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용량을 늘려도 경량이며, 부피도 없기 때문에, 대량의 세포배양에 적합하며, 용기 본체(2)에 미리 충분한 양의 배지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클램프 등을 사용하여 용기 본체(2)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세포 수, 배지량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특허문헌 2와 같은 플라스크 타입의 배양용기에서는 크기가 다른 용기로 교체하여 대응해야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2)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그 단변측의 한변에 주입출용 포트(3)를 갖추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 본체(2)의 형상은 사각형 모양, 타원형 모양, 원형 등으로 하는 경우도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주입출용 포트(3)를 구비하는 위치나 그 숫자도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 명세서에 기재된 문헌 및 본원의 파리조약 우선권의 기초가 되는 일본 출원 명세서의 내용 모두를 여기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세포를 효율적으로 배양하는 기술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세포 배양 용기
2 용기본체
2a 윗면
2b 저면
3 주입출용 포트
4 오목부
10 지그

Claims (14)

  1. 가스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가요성을 갖는 용기 본체와 주입출용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주변부가 밀봉되고, 용기 윗면측이 대지모양으로 팽출한 팽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평탄면으로 된 상기 윗면의 가장자리가 경사져서 상기 주변부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용기본체의 저면에 세포 배양부가 되는 구관형상의 오목부를 여러개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 두께는 30~200μm이며, 가요성을 가지면서도 상기 윗면측의 팽출 형상과 상기 오목부의 형상이 유지되는 형상 유지성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개구 지름이 0.3 ~ 10mm이며, 깊이가 0.1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에서 차지하는 상기 오목부의 점유면적이 상기 저면 면적에 대해서 30 ~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개구 지름이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산소 투과도가 5000mL/(m2·day·at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두께가 상기 저면의 상기 오목부 이외의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상기 저면에 세포저접착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용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출용 포트의 기단으로부터 상기 용기본체 내에 돌출하는 포트폐색방지 편을 상기 윗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용기.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용기.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세포 배양 용기를 지지하는 지그이며,
    상기 용기본체의 저면측을 상기 오목부에 비접촉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용기의 지그.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세포 배양 용기를 사용한 세포 배양 방법이며,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측을 상기 오목부에 비접촉으로 지지하여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세포를 모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방법.
KR1020187022886A 2016-03-31 2017-03-27 세포 배양 용기, 세포 배양 용기의 지지 지그 및 세포 배양 방법 KR102222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35625A KR102328979B1 (ko) 2016-03-31 2017-03-27 세포 배양 용기, 세포 배양 용기의 지지 지그 및 세포 배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0718 2016-03-31
JPJP-P-2016-070718 2016-03-31
JPJP-P-2016-208335 2016-10-25
JP2016208335A JP2017184716A (ja) 2016-03-31 2016-10-25 細胞培養容器、細胞培養容器の支持治具、及び細胞培養方法
PCT/JP2017/012265 WO2017170335A1 (ja) 2016-03-31 2017-03-27 細胞培養容器、細胞培養容器の支持治具、及び細胞培養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625A Division KR102328979B1 (ko) 2016-03-31 2017-03-27 세포 배양 용기, 세포 배양 용기의 지지 지그 및 세포 배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407A KR20180098407A (ko) 2018-09-03
KR102222874B1 true KR102222874B1 (ko) 2021-03-03

Family

ID=600443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625A KR102328979B1 (ko) 2016-03-31 2017-03-27 세포 배양 용기, 세포 배양 용기의 지지 지그 및 세포 배양 방법
KR1020187022886A KR102222874B1 (ko) 2016-03-31 2017-03-27 세포 배양 용기, 세포 배양 용기의 지지 지그 및 세포 배양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625A KR102328979B1 (ko) 2016-03-31 2017-03-27 세포 배양 용기, 세포 배양 용기의 지지 지그 및 세포 배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14637B2 (ko)
EP (1) EP3438237A4 (ko)
JP (2) JP2017184716A (ko)
KR (2) KR102328979B1 (ko)
CN (1) CN108699500B (ko)
TW (1) TWI7328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61716A1 (en) * 2016-08-03 2019-05-30 Toyo Seikan Group Holding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ntainer, cell culture vessel, method for culturing cells, method for producing cell culture vessel,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ell culture vessel
JP7102734B2 (ja) * 2018-01-09 2022-07-20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細胞培養方法及び装置
JP7379824B2 (ja) * 2019-02-12 2023-11-15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厚制御機構、培養装置、及び液厚制御方法
JP7006634B2 (ja) * 2019-02-27 2022-02-10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培養容器の製造方法、及び培養容器
KR102209346B1 (ko) * 2019-03-13 2021-01-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미세관통막 기반의 수화젤 마이크로웰 어레이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단일세포 분리 및 배양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2177A1 (en) 2002-12-20 2004-07-08 Antoine Heron Thermoformed container for cell culture
JP2005295904A (ja) * 2004-04-13 2005-10-27 Toyo Seikan Kaisha Ltd 培養容器および培養方法
JP2009011260A (ja) * 2007-07-06 2009-01-22 Fukoku Co Ltd トレイ状容器並びに同容器への収容物の充填方法
JP2014128247A (ja) * 2012-12-28 2014-07-10 National Cancer Center 細胞培養容器、細胞培養用具、及び細胞培養方法
JP2016007170A (ja) 2014-06-25 2016-01-18 カジックス株式会社 細胞培養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S231615B1 (en) * 1981-12-29 1984-12-14 Vladislav Vlcek Method of cultivation of cells of higher organism and device to perform the method
US5362642A (en) * 1993-02-10 1994-11-08 Hyclone Laboratories Methods and containment system for storing, reconstituting, dispensing and harvesting cell culture media
US7560274B1 (en) * 1999-05-28 2009-07-14 Cellon S.A. Culture chamber
JP4543212B2 (ja) * 2004-08-20 2010-09-15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細胞培養容器及び培養方法
KR101179355B1 (ko) 2004-11-17 2012-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푸쉬 투 토크 오버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및 클라이언트와 이를 이용한 응답 모드에 따른 호처리 방법
JP5407345B2 (ja) * 2009-01-13 2014-02-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生体組織の作製方法
JP2011241159A (ja) 2010-05-17 2011-12-01 Toyo Shinyaku Co Ltd 美白剤
JP2012210166A (ja) * 2011-03-30 2012-11-01 Sumitomo Bakelite Co Ltd 胚様体形成用培養容器
EP2860239B1 (en) * 2012-06-08 2019-11-13 Riken Vessel for culturing human es cells
US9790465B2 (en) * 2013-04-30 2017-10-17 Corning Incorporated Spheroid cell culture well article and methods thereof
JP6427872B2 (ja) * 2013-12-18 2018-11-28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細胞培養方法、及び細胞培養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2177A1 (en) 2002-12-20 2004-07-08 Antoine Heron Thermoformed container for cell culture
JP2005295904A (ja) * 2004-04-13 2005-10-27 Toyo Seikan Kaisha Ltd 培養容器および培養方法
JP2009011260A (ja) * 2007-07-06 2009-01-22 Fukoku Co Ltd トレイ状容器並びに同容器への収容物の充填方法
JP2014128247A (ja) * 2012-12-28 2014-07-10 National Cancer Center 細胞培養容器、細胞培養用具、及び細胞培養方法
JP2016007170A (ja) 2014-06-25 2016-01-18 カジックス株式会社 細胞培養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8237A1 (en) 2019-02-06
JP2021118749A (ja) 2021-08-12
KR20200140948A (ko) 2020-12-16
TWI732842B (zh) 2021-07-11
KR102328979B1 (ko) 2021-11-18
CN108699500A (zh) 2018-10-23
JP2017184716A (ja) 2017-10-12
TW201738369A (zh) 2017-11-01
JP7092235B2 (ja) 2022-06-28
EP3438237A4 (en) 2020-03-04
US20190031994A1 (en) 2019-01-31
CN108699500B (zh) 2022-08-16
KR20180098407A (ko) 2018-09-03
US11414637B2 (en)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874B1 (ko) 세포 배양 용기, 세포 배양 용기의 지지 지그 및 세포 배양 방법
US20230303967A1 (en) Highly efficient gas permeable devices and methods for culturing cells
EP3640322A1 (en) Cell culturing method and device
CN103173354B (zh) 利用透气性材料进行细胞培养的方法及装置
JP7102734B2 (ja) 細胞培養方法及び装置
WO2017170335A1 (ja) 細胞培養容器、細胞培養容器の支持治具、及び細胞培養方法
KR102296679B1 (ko) 세포 배양용 용기 및 그 사용 방법
CN109563459B (zh) 容器的制造方法及它的制造装置和细胞培养方法、细胞培养容器及它的制造方法、制造装置
JP2018019652A (ja) 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