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679B1 - 세포 배양용 용기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세포 배양용 용기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679B1
KR102296679B1 KR1020187028050A KR20187028050A KR102296679B1 KR 102296679 B1 KR102296679 B1 KR 102296679B1 KR 1020187028050 A KR1020187028050 A KR 1020187028050A KR 20187028050 A KR20187028050 A KR 20187028050A KR 102296679 B1 KR102296679 B1 KR 102296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cell culture
filter member
contain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174A (ko
Inventor
사토시 타나카
타카히코 토타니
Original Assignee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2Membrane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2Membranes; Filters
    • C12M25/04Membranes; Filters in combination with well or multiwell plates, i.e. culture inse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4Internal compartments or part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6Inoculator or sampler
    • C12M1/28Inoculator or sampler being part of conta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04Flat or tray type, dra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2Well or multiwell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4Ba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4Gas permeable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6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flexibl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4Filters; Permeable or porous membranes or plates, e.g. 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12M3/06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with filtration, ultrafiltration, inverse osmosis or dialysis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12M3/08Apparatus for tissue disaggreg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14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with filters, sieves or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용기 본체(2)와 주입출용 포트(3a, 3b)를 구비한 세포 배양용 용기(1)에 있어서, 용기 본체(2)의 내부를 필터 부재(4)에 의해 여러개의 조(1st, 2nd)로 구획한다. 이는 세포 배양시 이루어지는 다양한 조작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세포 배양용 용기 및 그 사용 방법
본 발명은 세포 배양시 이루어지는 다양한 조작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세포 배양의 용도에 제공되는 세포 배양용 용기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약품의 생산, 유전자 치료, 재생 의료, 면역 요법 등의 의약학·생화학 분야에서 세포(조직, 미생물, 바이러스 등을 포함)를 인공적인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대량으로 배양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폐쇄계 환경을 구축하여 오염의 위험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세포 배양을 할 수 있는 세포 배양 시스템에 대해서 검토를 거듭 해왔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 세포를 배양하기 위한 배양 용기와 배지 등을 저장해두기 위한 배지 저장 용기와 세포를 주입하기 위한 세포 주입 용기와 배양 후의 세포 현탁액을 회수하는 세포 수거 용기를 도관에 의해서 연결하고 폐쇄계 환경을 구축하여 이루어지는 세포 배양용 키트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세포 배양용 키트에 따르면 세포 주입에서 배지 추가, 샘플링, 회수까지를 키트 내에서 폐쇄계를 유지하면서 할 수 있게 된다.
[특허 문헌 1] 국제공개특허 2013/114845호 팜플렛
그런데, 특허 문헌 1에는 배양된 세포를 회수함에 있어서, 배양 용기를 정치하여 세포 현탁액 중의 세포를 침전시킨 후에, 세포 현탁액의 상층액을 배출하여 액량을 감소시킨 후 농축된 세포 현탁액을 배양 용기에서 세포 회수 용기로 이송하는 사례가 제시되고 있다.
또한, 세포의 배양에는 보통 수일에서 수 주간의 기간을 요하므로 배지 성분의 고갈 및 세포의 대사물의 축적에 의해서 세포의 성장이 저해되어 버리지 않도록 배양 기간 동안 필요에 따라 배지 교환을 할 수 있다. 배지를 교환할 때에는 세포 현탁액의 상층액을 배출함으로서 오래된 배지를 제거하는 동시에, 그 대신 새로운 배지를 추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하여 세포의 회수와 배지를 교환하려면 세포 현탁액의 상층액을 배출하기에 앞서 배양 용기를 정치하여 세포 현탁액 중의 세포를 침강시켜 두어야 하며, 세포를 침강시키기까지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충분한 시간을 들여 세포 현탁액중의 세포를 침강시켜도 배출 조작에 의해서 상층액에 세포가 혼입되고, 상층액과 함께 세포가 배출되어 버릴 염려도 있다. 특히, 배지를 교환할 때에는 오래된 배지가 되도록 많이 제거되도록 하여 새로운 배지가 보다 많이 추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층액 배출량이 많아질수록 세포의 혼입을 피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배지를 교환할 때 오래된 배지와 함께 세포가 배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양 용기에 설치된 포트의 유로에 필터를 장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포트의 유로 직경은 일반적으로 1 ~ 10 mm 정도이며, 필터의 면적도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포착된 세포에 의해 필터 막힘이 발생하기 쉽고, 오래된 배지의 배출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또한, 필터에 포착된 세포가 배양 용기에 돌아가지 않고 필터에 포착된 채 사멸해 버릴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면, 배지를 교환 할 때 오래된 배지와 함께 세포가 배출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등 세포 배양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조작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세포 배양의 용도에 제공되는 세포 배양용 용기 및 그 사용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용 용기는 세포 배양의 용도에 제공되는 세포 배양용 용기로서, 용기 본체와 주입출용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가 적어도 하나의 필터 부재에 의해서 여러 개의 조(槽)로 구획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 배양시 이루어지는 다양한 조작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용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용 용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용 용기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용 용기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용 용기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용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용 용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용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용 용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용 용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용 용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용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용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1에 도시한 용기(1)는 용기 본체(2)와 주입출용 포트(3a, 3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2)의 내부는 시트 형상의 필터 부재(4)에 의해서 상면(2a) 측의 제1조(1st)와 저면(2b) 측의 제2조(2nd)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면(2a) 측 제1조(1st)와 저면(2b) 측의 제2조(2nd) 각각에 주입출용 포트(3a, 3b)가 구비되어있다.
용기 본체(2)는 배지 또는 배지 중에 세포를 현탁시킨 세포 현탁액을 배양에 지장없이 수용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등에 의해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용기로도 좋고, 두 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겹쳐서 주변부를 밀봉한 파우치 형태의 용기로도 된다.
주입출용 포트(3a, 3b)는 배지나 세포를 주입, 배출할 때의 출입구가 되는 부위이며, 예를 들면, 배지나 세포 등이 유통 가능한 관 형상의 부재를 용기 본체(2)에 장착하여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상면(2a) 측의 제1조(1st)와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는 예를 들면, 배양 중의 배지나 세포를 샘플링 등을 하기 위한 주입출용 포트를 별도로 갖추게 해도 된다.
필터 부재(4)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조는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주입출용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보여진 일례에서 용기 본체(2)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주변부가 밀봉되어 그 상면(2a) 측이 대지(台地) 모양으로 팽출한 팽출형상을 하고, 평탄면으로 된 상면(2a) 가장자리가 경사져서 주변부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면(2b) 측도 대지 모양으로 팽출된 모양을 하고 있으며, 평탄면으로 된 저면(2b)의 가장자리가 경사져서 주변부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가 이와 같은 팽출형상을 갖는 것으로, 배지나 세포를 주입할 때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두 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겹쳐 주변부를 밀봉한 만큼의 평 파우치 모양의 용기에서는 용기가 내용액으로 채워감에 따라 주변부가 들어올려지는 것처럼 저면이 변형하지만, 주입량을 고려하여 용기 본체(2)의 팽출형상을 설계함으로서 배지나 세포를 주입할 때의 용기 본체(2)의 변형을 억제하여 용기 본체(2)의 저면(2b)을 평탄면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용기(1)는 용기 본체(2)의 저면(2b)에 배지 중의 세포를 균일하게 침강시켜서 저면(2b)에 침강된 세포의 밀도(단위 면적당 세포 수)에 편향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도 1에 도시한 용기(1)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두 장의 플라스틱 필름 및 시트 형상의 필터 부재(4)를 준비하고, 이들을 필요에 따라 재단하여 그 크기를 갖춘다. 그리고 한쪽의 플라스틱 필름을 용기 본체(2)의 상면(2a)측이 되는 상면측 플라스틱 필름으로 하고 다른 플라스틱 필름을 용기 본체(2)의 저면(2b)측이 되는 저면측 플라스틱 필름으로 하고 이들을 진공 성형, 압공 성형 등에 의해서 그 주변부를 남기고 대지형상으로 팽출하도록 성형한다.
다음으로, 성형된 상면측 플라스틱 필름과 저면측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시트 형상의 필터 부재(4)를 삽입하여 이들 주변부를 포갠다. 그리고, 상면측 플라스틱 필름 및 필터 부재(4) 사이와 저면측 플라스틱 필름 및 필터 부재(4) 사이에 각각 주변부의 소정의 위치에서 주입출용 포트(3a, 3b)를 형성하는 관 형상의 부재를 끼워 넣고 그 상태에서 주변부를 열 융착에 의해서 밀봉하고 필요에 따라 주변부를 트리밍한다. 이로서 도 1에 도시한 용기(1)가 제조된다.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은 JIS K 7126의 가스 투과도 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 온도 37 ℃에서 측정한 산소 투과도가 5000 mL/(m2·day·atm) 이상 가스 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플라스틱 필름은 세포 배양의 진행 상황이나 세포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 또는 전부가 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 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 - 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 공중합체(FEP)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층으로 사용해도, 동종 또는 이종 재료를 적층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소정의 가스 투과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변부를 밀봉 할 때의 열 융착성을 고려하면 밀봉층(실런트층)으로서 기능하는 층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요성을 갖고 있으면서 용기 본체(2)의 팽출형상이 유지되는 적당한 형상 유지성을 갖도록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30 ~ 200μ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입출용 포트(3a, 3b)를 형성하는 관 형상의 부재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화 비닐,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 FEP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에 의해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필터 부재(4)는 적어도 배지의 통과를 허용하는 세공(미세한 구멍)을 갖는 다공질체를 사용하여 형성되지만, 세포가 세공에 들어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는 것은 부적합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등의 불소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 섬유로 짠 메쉬 시트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부재(4)의 세공의 크기는 용기(1)의 사용 형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필터 부재(4)에는 배지의 통과 성을 높이기 위해 친수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친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세포가 접착하기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부재(4)는 용기(1)의 사용 형태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이 손상되지 않는 한, 적어도 일부가 상기한 바와 같은 다공질체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하여 용기(1)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체의 주위를 틀 모양으로 재단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유지하는 등 필터 부재(4)를 형성함으로써, 상면측 및 저면측 플라스틱 필름의 열 융착이 더욱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의 크기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세로 50 ~ 500mm, 세로 50 ~ 500mm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1에 도시한 용기(1)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사용예 1]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1)를 배지 교환 등의 작업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배양 용기로서 세포 배양의 용도에 제공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사용예에서는 배지로 채워진 용기 본체(2) 내에 저면(2b) 측의 제2조(2nd)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b)에서 배양 대상 세포(C)를 주입하여 배양한다. 이 때, 배양대상인 세포 C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 부재(4)로서 해당 세포(C)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한다. 이로 인해 배양 중인 세포(C)는 저면(2b)측의 제2조(2nd)에 머물며 상면(2a)측의 제1조(1st)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 2(a) 참조).
배양 기간 동안에 배지를 교환 할 때에는,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 하는 주입출용 포트(3a)에서 오래된 배지를 배출한다(도 2(b) 참조). 이 때, 배양 중인 세포 C를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 머물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래된 배지와 함께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오래된 배지를 더 많이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오래된 배지를 배출한 후, 그것과 같은 양의 새로운 배지를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a)에서 주입하며(도 2(c) 참조), 배양을 계속한다.
이와 같이, 본 사용예에 있어서는, 배양 기간 동안의 배지 교환, 특히 오래된 배지의 배출 조작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사용예에서 용기(1)는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 세포(C)를 머물게 한 상태에서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한 주입출용 포트(3a)에서 용기 내의 내용액을 배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세포 배양용 키트의 배양 용기로 사용하면, 특허 문헌 1이 예시하는 세포의 회수 작업도 세포의 침강에 시간을 들이지 않고 간편하며,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세포 배양용 키트의 세포 회수 용기로서 사용하여 배양 용기에서 회수된 세포 현탁액을 저면(2b) 측의 제2조(2nd)로 이송하여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한 주입출용 포트(3a)에서 세정액의 주입, 배출을 반복하여 세포의 세척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특허 문헌 1의 세포 배양용 키트에 세척 회수기구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항체 생산 세포를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서 배양하여 생산된 항체를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한 주입출용 포트(3a)로부터 꺼낼 수 있게 항체 생산 용기로서의 응용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필터 부재(4)로서 배양대상인 세포 C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하여 필터 부재(4)에 의해서 구획된 한쪽의 조(2nd)에 세포 C를 주입하여 배양함으로써 해당 조(2nd)에 세포 C를 머물게 한 상태에서 필터 부재(4)에 의해서 구획된 다른 한쪽의 조(1st)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a)에서 배지나 세정액 등을 주입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용기(1)를 사용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상면(2a)측의 제1조(1st)에서 세포 배양을 하고, 저면(2b) 측의 제2조(2nd)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b)에서 배지나 세정액 등의 주입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사용예 2]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기(1)를 세포의 응집 덩어리(Cagg)을 원하는 크기로 분할하는 조작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응집 덩어리 분할 용기로서 세포 배양의 용도에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사용예에서는 배지로 채워진 용기 본체(2) 내에 상면(2a) 측의 제1 조(1st)가 구비하는 주입 출용 포트(3a)에서 응집 덩어리(Cagg)를 배지와 함께 압송한다. 이 때 필터 부재(4)로서 응집 덩어리(Cagg)를 분할하고자 하는 크기에 따라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한다. 이렇게 하면 응집 덩어리(Cagg)는 필터 부재(4)를 통과할 때 필터 부재(4)의 세공에 맞는 크기로 분할되면서 저면(2b) 측의 제2 조(2nd)로 전송된다.
원하는 크기로 분할된 응집 덩어리(Cdiv)는 저면(2b) 측의 제2조(2nd)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b)로부터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사용예에 있어서는, 필터 부재(4)로서 세포의 응집 덩어리(Cagg)를 분할하고자 하는 크기에 따라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하고, 필터 부재(4)에 의해서 구획된 한쪽 조(1st) 에 응집 덩어리(Cagg)를 배지와 함께 압송함으로서 세포의 응집 덩어리(Cagg)를 원하는 크기로 분할하는 조작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용기(1)를 사용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저면(2b) 측의 제2조(2nd)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b)에서 응집 덩어리(Cagg)를 배지와 함께 압송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용기 본체(2)의 내부를 3조 이상으로 구획하여 두고, 각 조를 구획하는 필터 부재(4)의 세공의 크기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응집 덩어리(Cagg)를 단계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각 조에 주입출용 포트를 갖추도록 함으로써, 다른 크기로 분할된 응집 덩어리(Cdiv)를 각각 꺼낼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사용예 3]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용기(1)를 혼재하는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세포, 예를 들어, 단일 세포(single cell)(Cs)와 응집 덩어리(Cagg)를 분리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세포 분리 용기로서 세포 배양의 용도에 제공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사용예에서는 배지로 채워진 용기 본체(2) 내에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a)에서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세포(Cs, Cagg)가 혼합된 세포 현탁액을 주입한다(step1). 주입 후 용기(1)를 정치하고 필요에 따라 진동을 준다. 이 때 필터 부재(4)로서 분리하고자 하는 두 종류의 세포(Cs, Cagg) 중 작은 쪽의 세포(Cs)의 통과를 허용하지만, 더 큰 쪽의 세포(Cagg)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한다. 그러면 작은 쪽의 세포(Cs)는 필터 부재(4)의 세공을 통과하여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 침강하고 큰 쪽의 세포(Cagg)는 상면(2a) 측의 제1조(1st)에 머물게 할 수 있다.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 침강한 작은 쪽의 세포(Cs)는 큰 쪽의 세포 Cagg와 분리되어, 저면(2b) 측의 제2조(2nd)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b)로부터 꺼낼 수가 있다(step2). 한편, 작은 쪽의 세포(Cs)와 분리되어 상면(2a) 측의 제1조(1st)에 머무르는 큰 쪽의 세포 Cagg는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a)에서 꺼낼 수가 있다(step3).
이와 같이, 본 사용예에 있어서는, 필터 부재(4)로서 혼재하는 세포 중 적어도 하나의 세포의 통과를 허용하지만, 그 이외의 세포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하고 필터 부재(4)에 의해서 구획된 한쪽 조(1st)에 혼재하는 크기가 다른 세포를 주입하여 필터 부재(4)에 의해서 구획된 다른 쪽의 조(2nd)에서 필터 부재(4)를 통과한 세포를 꺼냄으로써 혼재하는 크기가 다른 세포를 분리하는 작업을 간편하며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용기 본체(2)의 내부를 3 조 이상으로 구획하고, 각 조를 구획하는 필터 부재(4)의 세공의 크기를 적절히 조정하는 동시에, 각 조에 주입출용 포트를 갖추게 함으로써, 크기가 다른 3 종류 이상의 세포를 분리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사용예 4]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용기(1)를 다른 종류의 세포(Ca, Cb)를 동일 용기 내에서 공동 배양한 후에 이들을 따로 꺼내는 작업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공동 배양 용기로서 세포 배양의 용도에 제공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사용예에서는 배지로 채워진 용기 본체(2) 내에 상면(2a) 측의 제1조(1st)이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a)에서 세포(Ca)를 주입하는 동시에, 저면(2b) 측의 제2조(2nd) 가 갖추는 주입출용 포트(3b)에서 세포(Cb)를 주입하여 세포(Ca) 및 세포(Cb)를 공동 배양한다. 이 때, 필터 부재(4)로서 공동 배양되는 것 중 어느 세포(Ca, Cb)도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한다. 이렇게 하면 한쪽의 세포(Ca)는 상면(2a) 측의 제1조(1st)에, 다른 쪽 세포(Cb)는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 각각 머문 상태에서, 양자가 서로 섞이는 일없이 동일 용기 내에서 공동 배양할 수 있다.
배양 종료 후에는, 한쪽의 세포 Ca는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a)로부터 꺼낼 수 있고, 다른 쪽의 세포 Cb는 저면(2b) 측의 제2조(2nd)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b)로부터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사용예에 있어서는, 필터 부재(4)로서 공동 배양되는 어떤 세포(Ca, Cb)도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하고 필터 부재(4)에 의해서 구획된 각각의 조(1st),(2nd)에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Ca, Cb)를 종류별로 따로 주입함으로써, 해당세포(Ca, Cb)가 섞이는 일없이 동일 용기 내에서 공동 배양할 수 있으며, 배양 종료 후에, 이를 따로 분리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용기 본체(2)의 내부를 3조 이상으로 구획하여 두고, 각 조에 주입출용 포트를 갖추도록 함으로써, 3종류 이상의 세포를 공동 배양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6에 도시한 용기(1)는 용기 본체(2) 주입출용 포트(3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2)의 내부는 시트 형상의 필터 부재(4)에 의해서 상면(2a) 측의 제1조(1st)와 저면(2b) 측의 제2조(2nd)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면(2a) 측 제1조(1st)에 주입출용 포트(3a)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용기(1)는 저면(2b) 측의 제2조(2nd)가 주입출용 포트(3b)를 갖추지 않은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1에 나타낸 용기(1)와 다르지만, 그 이외의 구성은 공통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1)는 제 1 실시형태의 도 1에 나타낸 용기(1)와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주입출용 포트(3b)를 형성하는 관형상 부재를 생략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가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저면(2b) 측의 제2조(2nd)가 주입출용 포트(3b)를 갖추지 않은 점에 있는데, 이것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2)의 구체적인 형태가 한정되어 있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6에 도시한 용기(1)의 사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사용예]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용기(1)를 응집 덩어리(Cagg)를 형성하는 세포(Cs)를 배양함에 있어서 그 배지 교환 등의 작업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배양 용기로서 세포 배양의 용도에 제공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사용예에서는 응집 덩어리(Cagg)를 형성하는 세포(Cs)를 배양 대상으로 하고, 필터 부재(4)로서 응집 덩어리(Cagg)를 형성하기 전의 세포(단일 세포, single cell)(Cs)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응집 덩어리(Cagg)의 통과는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한다.
이로서 배지로 채워진 용기 본체(2) 내에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a)에서 배양대상인 세포(단일 세포)(Cs)를 주입하면 세포(Cs)는 필터 부재(4)를 통과하여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 침강해간다(도 7a 참조). 그리고 배양이 진행되면 세포(Cs)는 응집 덩어리(Cagg)를 형성하고, 필터 부재(4)를 통과할 수 없게 되어, 그에 따라서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 응집 덩어리(Cagg)를 머물게 한 상태에서 배양을 진행시킬 수 있다(도 7b 참조).
따라서, 배양 기간 중에 배지를 교환하는 예로는,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a)에서 오래된 배지를 배출함과 동시에, 새로운 배지를 주입함으로써(도 7c 참조),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 응집 덩어리(Cagg)를 머물게 한 채 배지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종료 후에는,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a)에서, 세정액의 주입, 배출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 응집 덩어리(Cagg)를 머물게 한 채 응집 덩어리(Cagg)를 세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사용예에 있어서는, 응집 덩어리(Cagg)를 형성하는 세포(Cs)를 배양하는데 있어서 필터 부재(4)로서 응집 덩어리(Cagg)를 형성하기 전의 세포(Cs)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응집 덩어리(Cagg) 의 통과는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하고, 세포(Cs)를 제1조(1st)에 주입한 다음, 제2조(2nd)에 침강시켜서 형성된 응집 덩어리(Cagg)를 제2조(2nd)에 머물게 한 상태에서 배양함으로써 배양 기간 중의 배지 교환이나 배양 종료 후 세척 등의 작업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 후에는 용기 본체(2) 내에 저장액 등을 주입함으로써 용기(1)를 배양된 세포(응집 덩어리(Cagg))의 보관, 운반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저면(2b) 측의 제2조(2nd)가 주입출용 포트(3b)를 갖추도록 하면 주입출용 포트(3b)에서 배양된 세포(응집 덩어리(Cagg))를 꺼낼 수도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8에 나타낸 용기(1)는 용기 본체(2)와 주입출용 포트(3a)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2)의 내부는 시트 형상의 필터 부재(4)에 의해서 상면(2a)측의 제1조(1st)와 저면(2b)측의 제2조(2nd)로 구획되어 있고, 상면(2a)측 제1조(1st)에 주입출용 포트(3a)가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용기 본체(2)의 저면(2b)에는 여러 개의 오목부(5)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용기(1)는 용기 본체(2)의 저면(2b)에 여러 개의 오목부(5)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 2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6에 나타낸 용기(1)와 다르지만, 그 이외의 구성은 공통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1)는 제 2 실시형태의 도 6에 나타낸 용기(1)와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저면측 플라스틱 필름을 성형할 때, 금형 등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오목부(5)를 원하는 형상, 배열로 성형할 수 있다.
용기 본체(2)의 저면(2b)에 여러 개의 오목부(5)를 형성함으로써, 배지 중을 침강하는 세포가 각각의 오목부(5)의 저면에 모아지고 세포 밀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배양할 수 있다. 각각의 오목부(5)의 저면에 모아진 세포가 용기 본체(2) 내를 이동하지 않고 하나의 오목부(5)에 머물고 세포 밀도가 증가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오목부(5)는 그 개구 지름(직경)이 0.3 ~ 10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4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2mm이며, 깊이가 0.1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오목부(5)를 그릇(bowl)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원추형, 원뿔대 형상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는 전술한 제 2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용기 본체(2)의 저면(2b)에 여러 오목부(5)를 형성한 점에 있고, 이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 2 실시형태와 공통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2)의 구체적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8 에 나타낸 용기(1)의 사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의 사용예]
도 9 는 도 8 에 나타낸 용기(1)를 응집 덩어리(Cagg)를 형성하는 세포(Cs)를 배양하는데 있어서 세포 밀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배양하는 동시에, 그 배지 교환 등의 조작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배양 용기로서 세포 배양의 용도에 제공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사용예에서는 응집 덩어리(Cagg)를 형성하는 세포(Cs)를 배양 대상으로 하고, 필터 부재(4)로서 응집 덩어리(Cagg)를 형성하기 전에 세포(단일 세포)(Cs)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응집 덩어리(Cagg)의 통과는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한다.
이로써 배지로 채워진 용기 본체(2) 내에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a)에서, 배양대상인 세포(단일 세포)(Cs)를 주입하면 세포(Cs)는 필터 부재(4)를 통과하여 바닥(2b) 측의 제2조(2nd)에 침강해 나간다. 침강한 세포(Cs)는 각각의 오목부(5)의 저면에 모아지고 세포 밀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배양할 수 있다. 그리고, 배양이 진행되면 세포(Cs)는 응집 덩어리(Cagg)를 형성하고, 필터 부재(4)를 통과할 수 없게 되고, 그에 따라서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 응집 덩어리(Cagg)를 머물게 한 상태에서 배양을 진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양 기간 동안 배지를 교환할 때에는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a)에서 오래된 배지를 배출함과 동시에 새로운 배지를 주입하여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 응집 덩어리(Cagg)를 머물게 한 채 배지를 교환할 수 있다. 이 때,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저면(2b)의 오목부(5)의 주위(인접한 오목부(5) 사이에 위치하는 면)에 필터 부재(4)를 접착하는 등, 오목부(5)의 개구부를 덮도록 필터 부재(4)를 용기 본체(2) 내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목부(5)의 저면에 모아진 세포(응집 덩어리(Cagg)) 의 이동을 억제하여, 보다 확실하게 하나의 오목부(5)에 머물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종료 후,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a)에서 세정액의 주입, 배출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 응집 덩어리(Cagg)를 머물게 한 채 응집 덩어리(Cagg)를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사용예에 있어서는, 응집 덩어리(Cagg)를 형성하는 세포(Cs)를 배양하는데 있어서 필터 부재(4)로 응집 덩어리(Cagg)를 형성하기 전의 세포(Cs)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응집 덩어리(Cagg)의 통과는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하고 세포(Cs)를 제1조(1st)에 주입한 다음, 제2조(2nd)에 침강시켜서, 침강한 세포(Cs)를 오목부(5)의 저면에 모아, 세포 밀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배양하면서, 형성된 응집 덩어리(Cagg)를 제2조(2nd)에 머물게 한 상태에서 배양함으로써, 배양 기간 동안 배지 교환이나 배양 종료 후 세척 등의 조작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 후에는 용기 본체(2) 내에 보존액 등을 주입함으로써 용기(1)를 배양된 세포(응집 덩어리(Cagg))의 보관, 반송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저면(2b) 측의 제2조(2nd)가 주입출용 포트(3b)를 갖추도록 하면 주입출용 포트(3b)에서 배양된 세포(응집 덩어리(Cagg))를 꺼낼 수도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10에 표시된 용기(1)는 용기 본체(2)와 주입출용 포트(3a, 3b, 3c)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2)의 내부는 두 개의 시트 형상의 필터 부재(4)에 의해 상면(2a) 측의 제1조(1st)와 저면(2b) 측의 제2조(2nd)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3조(3rd)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면(2a) 측의 제1조(1st)에는 그 유입 출구가 되는 주입출용 포트(3a(IN), 3a(OUT))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는 그 유입 출구가 되는 주입출용 포트(3b(IN), 3b(OUT))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3조(3rd)에는 주입출용 포트(3c)가 구비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용기(1)는 용기 본체(2)의 내부를 3개의 조로 구획하고 각각의 조에 주입출용 포트가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상면(2a) 측의 제1조(1st)에 두 개의 주입출용 포트(3a(IN), 3a(OUT))가 구비되고, 저면(2b) 측의 제2조(2nd)에 두 개의 주입출용 포트(3b(IN), 3b(OUT))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 의 일례로서 도 1에 나타낸 용기(1)와 다르지만, 그 이외의 구성은 공통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1)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두 장의 플라스틱 필름과 두 장의 시트 형상의 필터 부재(4)를 준비하고, 이들을 필요에 따라 재단하여 그 크기를 갖춘다. 그리고 한쪽의 플라스틱 필름을 용기 본체(2)의 상면(2a) 측이 되는 상면측 플라스틱 필름으로 하고, 다른 쪽 플라스틱 필름을 용기 본체(2)의 저면(2b)측이 되는 저면 플라스틱 필름으로 하고, 이들을 진공 성형, 압공 성형 등에 의해 그 주변부를 남기고 대지 모양으로 팽출하도록 성형한다.
다음으로 성형된 상면측 플라스틱 필름과 저면측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두 장의 시트 형상의 필터 부재(4)를 삽입하여 이들의 주변부를 포갠다. 그리고 상면 측 플라스틱 필름과 필터 부재(4) 사이에 그 주변부의 소정의 위치에서 주입출용 포트(3a(IN), 3a(OUT))를 형성하는 관 형상의 부재를 끼워 넣고 저면측 플라스틱 필름과 필터 부재(4) 사이에, 그 주변부의 소정의 위치에서 주입출용 포트(3b(IN), 3b(OUT))를 형성하는 관 형상의 부재를 끼워놓고, 두 장의 시트 모양의 필터 부재(4)의 사이에 그 주변부의 소정의 위치에서 주입출용 포트(3c)를 형성하는 관 형상의 부재를 끼워 넣고, 그 상태에서 주변부를 열 융착에 의해 밀봉하고 필요에 따라 주변부를 트리밍 한다. 이로써 도 10에 표시된 용기(1)가 제조된다.
본 실시형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용기 본체(2)의 내부가 제3의 조로 구획되어 각각의 조가 주입출용 포트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두 개의 주입출용 포트(3a(IN), 3a(OUT))를 구비하고, 저면(2b) 측의 제2조(2nd)가 두 개의 주입출용 포트(3b(IN), 3b(OUT))를 갖추고 있는 점에 있으며,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2)의 구체적인 형태가 한정되지 않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10에 도시된 용기(1)의 사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의 사용예]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용기(1)를 배양대상인 세포 C가 생체 내에서 성장, 증식, 분화하는 환경을 재현하는 조작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배양 용기로 세포 배양 용도에 제공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사용예에서는 제3조(3rd)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c)에서 배양되는 세포(C)를 주입하여 배양을 실시하지만, 그 때 상면(2a) 측의 제1조(1st)와 저면(2b) 측의 제2조(2nd) 각각에는 성분 조성이 다른 배지를 유통시킨다. 더 자세하게는 상면(2a) 측의 제1조(1st)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a(IN))와 저면(2b) 측의 제2조(2nd)가 구비하는 주입출용 포트(3b(IN))의 각각에서 유입된 성분 조성이 다른 배지가 제3조(3rd)에 섞여가면서 각각의 주입출용 포트(3a(OUT), 3b(OUT))에서 유출하도록 한다.
이 때, 배양중인 세포(C)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 부재(4)로 해당 세포(C)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면(2a) 측의 제1조(1st)와 저면(2b) 측의 제2조(2nd)의 각각에 유통시키는 배지는 세포의 성장, 증식, 분화를 제어하는 다양한 세포 외 기질과 세포에 자극을 주는 다양한 신호 물질 등을 포함하고, 이들이 제3조(3rd)에서 혼합되었을 때, 그 농도 구배나 도달 방향 등이 생체 내 환경과 동등하게 되도록 성분 조성이나 유량·유속 등이 조정된다. 이로써 제3조(3rd)에 생체 내의 환경을 재현하면서 세포(C)를 제3조(3rd)에 머물게 한 상태에서 배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사용예에 있어서는, 필터 부재(4)로 배양되는 세포 C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하고 제1조(1st)와 제2조(2nd)의 각각에 성분 조성이 다른 배지를 유통시키면서, 제3조(3rd)에 세포 C를 주입하여 배양함으로써, 배양중인 세포 C가 생체 내에서 성장, 증식, 분화하는 환경을 재현하는 조작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배양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기존의 세포 배양시에는 웰 플레이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ES 세포 나 iPS 세포에서 신경 줄기 세포나 심근, 췌장, 간, 연골 등으로 분화 유도시에는 웰 플레이트(예를 들어, 96 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파종하여 웰 내에서 응집 덩어리를 형성시켜 분화 유도를 진행하는 방법이 채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할 때에는 각각의 웰에 대해서 배지를 교환하여야 한다. 따라서, 배양 중인 세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오래된 배지를 피펫으로 흡입하여 배출하고, 이어서 새로운 배지를 피펫으로 주입하듯이 복잡한 피펫 조작을 웰의 수만큼 여러번 반복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는 웰 플레이트처럼 여러 개의 세포 배양부를 갖는 용기를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함에 있어서 배지 교환 등의 조작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도 12에 표시된 용기(1)는 세포 배양부가 되는 여러 오목부(6)를 갖는 용기 본체(2)를 갖추고 있으며, 각각의 오목부(6)의 개구부가 시트 형상의 필터 부재(4)에 의해 덮여있다. 각각의 오목부(6)의 개구부를 덮는 필터 부재(4)는 오목부(6)의 주위(인접한 오목부(6)의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면)에 밀착하도록 용기 본체(2)에 장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본체(2)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용기 본체(2)는 세포나 배지 등을 각각의 오목부(6)에 배양에 지장없이 수용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용기 본체(2)는 그 주위를 둘러싸듯 세워지는 측벽부(7)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 부재(4)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응집 덩어리를 형성하는 세포를 배양 대상으로 하고, 필터 부재(4)로서 응집 덩어리의 통과는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것을 선택한다.
이러한 용기(1)를 사용하여 배양대상인 세포를 배양하려면 세포 배양부가 되는 각각의 오목부(6)에 배양대상인 세포를 배지와 함께 주입하여 배양을 시작한다. 그리고 배양이 진행되면서 오목부(6)에 주입된 세포는 응집 덩어리를 형성한다.
배양이 진행되어 배지를 교체할 시기가 되면 각각의 오목부(6)에서 오래된 배지를 배출한다. 이 때, 각각의 오목부(6)의 개구부를 덮는 필터 부재(4)는 응집 덩어리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배지를 교환할 시에는 용기(1)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오래된 배지만을 유출시킬 수 있으며, 피펫 조작을 수반하지 않고, 각각의 오목부(6)에서 오래된 배지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에 그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고 세워진 측벽부(7)를 형성해두면, 측벽부(7) 안쪽에 새로운 배지를 따르는 것만으로, 각각의 오목부(6)에 새로운 배지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펫 조작을 수반하지 않고, 각각의 오목부(6)에 새로운 배지를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배양 종료 후, 필터 부재(4)를 용기 본체(2)에서 분리하여 오목부(6)의 개구부를 개방함으로써, 응집 덩어리를 무너뜨리지 않고 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양 종료 후, 배지를 교환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오목부(6)에 세정액을 주입, 배출시킴으로써 응집 덩어리를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응집 덩어리를 형성하는 세포를 배양함에 있어서 그 배양 기간 동안의 배지 교환 등의 조작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 배양, 특히, ES 세포 나 iPS 세포의 계대, 및 그 줄기 세포에서 신경 줄기 세포나 심근, 췌장, 간, 연골 등에 대한 분화 유도 과정에서 형성시키는 스피어(sphere, 응집 덩어리) 배양시 이루어지는 다양한 조작을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 또한, 림프구나 하이브리도마 등의 항체 생산 세포, 거핵 세포나 적혈구 등의 부유 세포 배양에 대해서도 다양한 조작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 명세서에 기재된 문헌 및 본원의 파리 우선권의 기초가 되는 일본 출원 명세서의 내용을 모두 여기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의약학·생화학 분야에서 세포를 효율적으로 배양하는 기술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용기(세포 배양용 용기)
2 용기 본체
2a 상면
2b 저면
3a, 3b, 3c 주입출용 포트
4 필터 부재
5 오목부
6 오목부
7 측벽부
1st 제1조
2nd 제2조
3rd 제3조

Claims (16)

  1. 세포 배양 용도에 제공되는 세포 배양용 용기이며,
    용기 본체와 주입출용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가 적어도 하나의 필터 부재에 의해 복수의 조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는, JIS K 7126의 가스 투과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시험 온도 37℃에서 측정한 산소의 투과도가 5000mL/(m²·day·atm)이상의 가스 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30~200μm이며,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측의 제1조와,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측의 제2조로 구획되고,
    상기 상면측의 제1조와 상기 저면측의 제2조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주입출용 포트를 적어도 하나 구비한 세포 배양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 세포 배양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측의 제1조와,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측의 제2조와, 상기 상면측의 제1조와 상기 저면측의 제2조 사이에 위치하는 제3조로 구획되고,
    상기 상면측의 제1조와 상기 저면측의 제2조에 상기 주입출용 포트를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하고,
    상기 제3조에 상기 주입출용 포트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세포 배양용 용기.
  5. 세포 배양 용도에 제공되는 세포 배양용 용기이며,
    세포 배양부가 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의 각각의 개구부가 필터 부재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용기 본체는, JIS K 7126의 가스 투과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시험 온도 37℃에서 측정한 산소의 투과도가 5000mL/(m²·day·atm)이상의 가스 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30~200μm이며,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상기 용기 본체의 주위를 둘러싸고 세워지는 측벽부가 설치되어 있는 세포 배양용 용기.
  7.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가 합성 수지 섬유로 짠 메쉬 시트인 세포 배양용 용기.
  8.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에 사용되는 재료는 폴레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및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헥사 플루오로 프로필렌 공중합체 (FE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수지인 세포 배양용 용기.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의 세포 배양용 용기를 사용하여 배지를 교환하면서 세포를 배양하는 해당 용기의 사용 방법이며,
    상기 필터 부재로 배양 대상인 세포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필터 부재를 선택하고,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구획된 한 쪽의 조에, 상기 세포를 주입하여 배양하고,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구획된 다른 쪽의 조가 구비하는 상기 주입출용 포트에서 배지를 주입출하고 배지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용기의 사용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의 세포 배양용 용기를 사용하여 세포를 세정하는 해당 용기의 사용 방법이며,
    상기 필터 부재로 배양대상인 세포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필터 부재를 선택하고,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구획된 한쪽의 조에, 상기 세포를 주입하여 배양하고,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구획된 다른 쪽의 조가 구비하는 상기 주입출용 포트에서 세정액을 주입출하여 배양된 세포의 세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용기의 사용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의 세포 배양용 용기를 이용하여 세포의 응집 덩어리를 분할하는 해당 용기의 사용 방법이며,
    상기 필터 부재로 세포의 응집 덩어리를 분할하고자 하는 크기에 따른 세공을 갖는 필터 부재를 선택하고,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구획된 한쪽의 조에 상기 응집 덩어리를 배지와 함께 압송(壓送, 압력을 가해 보냄)하여 상기 응집 덩어리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용기의 사용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의 세포 배양용 용기를 사용하여 혼재하는 크기가 다른 세포를 분리하는 해당 용기의 사용 방법이며,
    상기 필터 부재로 혼재하는 세포 중 적어도 하나의 세포의 통과를 허용하지만, 그 이외의 세포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필터 부재를 선택하고,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구획된 한쪽의 조에 혼재하는 크기가 다른 세포를 주입하여,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구획된 다른 한쪽의 조에서, 상기 필터 부재를 통과 한 세포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용기의 사용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의 세포 배양용 용기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를 공동 배양하는 해당 용기의 사용 방법이며,
    상기 필터 부재로 공동 배양되는 어떤 세포도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필터 부재를 선택하고,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조에 상기 세포를 종류별로 따로 따로 주입하여 공동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용기의 사용 방법.
  15. 제2항의 세포 배양용 용기를 사용하여 응집 덩어리를 형성하는 세포를 배양하는 해당 용기의 사용 방법이며,
    상기 필터 부재로 응집 덩어리를 형성하기 전의 세포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응집 덩어리의 통과는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필터 부재를 선택하고,
    상기 세포를 상기 제1조에 주입한 다음, 상기 제2조에 침강시켜 형성된 응집 덩어리를 상기 제2조에 머물게 한 상태에서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용기의 사용 방법.
  16. 제4항의 세포 배양용 용기를 이용하여 세포를 배양하는 해당 용기의 사용 방법이며,
    상기 필터 부재로 배양대상인 세포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세공을 갖는 필터 부재를 선택하고,
    상기 제1조와 상기 제2조 각각에 성분 조성이 다른 배지를 유통시키면서 상기 제3조에 상기 세포를 주입하여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용기 사용 방법.
KR1020187028050A 2016-04-18 2017-04-14 세포 배양용 용기 및 그 사용 방법 KR102296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83193 2016-04-18
JP2016083193 2016-04-18
PCT/JP2017/015248 WO2017183570A1 (ja) 2016-04-18 2017-04-14 細胞培養用容器、及びその使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174A KR20180117174A (ko) 2018-10-26
KR102296679B1 true KR102296679B1 (ko) 2021-08-31

Family

ID=6011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050A KR102296679B1 (ko) 2016-04-18 2017-04-14 세포 배양용 용기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127677A1 (ko)
EP (1) EP3447118A4 (ko)
JP (6) JP7070401B2 (ko)
KR (1) KR102296679B1 (ko)
CN (1) CN108779422A (ko)
TW (2) TWI763665B (ko)
WO (1) WO2017183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92699A1 (en) * 2018-08-06 2021-09-23 Nissan Chemical Corporation Device for dividing cell mass, and method for dividing cell mass using same
JP7271903B2 (ja) * 2018-10-20 2023-05-12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スフェア培養部材、培養容器、穴開き部材の加工方法、及び洗浄容器
JP7348586B2 (ja) * 2019-01-18 2023-09-21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培養容器、培養方法、及び培養装置
JP2021103973A (ja) * 2019-12-26 2021-07-26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接着性細胞用培養容器、及び接着性細胞用培養容器の製造方法
EP4225885A1 (en) * 2020-10-05 2023-08-16 Scinus Holding B.V. Cell culture bag, bioreactor and cell filtration device
KR102456955B1 (ko) 2020-12-28 2022-10-21 농업회사법인 한국발효 주식회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낫토균 배양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720A (ja) * 2005-03-08 2006-09-21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Industrial Science 細胞培養チャンバー
JP4605734B2 (ja) * 1999-06-21 2011-01-05 ザ ジェネラル ホスピタル コーポレイション 臓器補助装置のための細胞培養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1244713A (ja) 2010-05-25 2011-12-08 Shimadzu Corp 細胞培養デバイス、細胞培養システム、及び細胞培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587A (ja) * 1982-07-22 1984-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Crt表示装置の制御方式
ZA839242B (en) * 1982-12-15 1984-09-26 Bio Response Inc A method and system for culturing and treating substances disposed in a flowing culture fluid
JPH0292270A (ja) * 1988-09-30 1990-04-03 Terumo Corp 細胞培養装置
JPH0310674A (ja) * 1989-06-09 1991-01-18 Terumo Corp 細胞培養用多孔質膜およびそれを用いた細胞培養器
DE69022778T2 (de) * 1989-06-09 1996-04-18 Terumo Corp Zellkultursubstrat, Bioreaktor mit Zellkultursubstrat und therapeutische Vorrichtung vom extrakorporalen Umlauftyp.
DE19536390A1 (de) * 1995-09-29 1997-04-03 Siemens Ag Anordnung zur Messung und Regelung des Grundfeldes eines Magneten eines Kernspintomographiegerätes
DE19844154C1 (de) * 1998-09-25 2000-05-04 Gsf Forschungszentrum Umwelt Vorrichtung zur Kultivierung und Konzentrierung nicht adhärenter Zellen sowie zur Kokultur zweier unterschiedlicher Zellsorten
EP1110610A1 (en) * 1999-12-23 2001-06-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titer plate with filter inserts and method of making same
DK2155852T3 (da) * 2007-06-15 2014-01-20 Cellution Biotech B V Forbedret fleksibel bioreaktor
JP4362529B2 (ja) * 2007-09-26 2009-11-11 テルモ株式会社 単球分離培養装置および樹状細胞回収方法
DE102008015386B4 (de) * 2008-03-20 2015-10-01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Bioreaktor
JP2010158214A (ja) * 2009-01-09 2010-07-22 Olympus Corp 培養容器
TWI394832B (zh) * 2009-04-24 2013-05-01 Univ Chang Gung Colloidal unit preparation tool and method thereof, biological sample culture device
KR101131303B1 (ko) * 2009-06-08 2012-03-30 한국과학기술원 세포 배양 장치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세포 배양 방법
KR101381102B1 (ko) 2012-04-10 2014-04-04 최광식 귀금속회수장치용 음극체
WO2014003640A1 (en) * 2012-06-26 2014-01-03 Ge Healthcare Bio-Sciences Ab Collapsible bag with flexible vortex breaker
US20150219622A1 (en) * 2012-08-17 2015-08-06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s, systems and compositions for functional in vitro cellular models of mammalian systems
LT2895595T (lt) * 2012-09-14 2019-03-12 Charm Sciences, Inc. Mitybos terpės būdas ir įtaisas
JP6292415B2 (ja) * 2013-03-06 2018-03-14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多能性幹細胞の培養システム及び多能性幹細胞の継代方法
WO2014145753A1 (en) * 2013-03-15 2014-09-18 Kiyatec Inc. Bioreactor system
JP2014233209A (ja) * 2013-05-31 2014-12-15 株式会社古河電工アドバンストエンジニアリング 細胞分離方法および細胞分離装置
US11549091B2 (en) * 2013-08-27 2023-01-10 Cytiva Sweden Ab Bioreactor with addition tube
JP5731704B1 (ja) * 2014-09-05 2015-06-10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培養容器
US9944894B2 (en) * 2015-01-16 2018-04-17 General Electric Company Pluripotent stem cell expansion and passage using a rocking platform biorea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5734B2 (ja) * 1999-06-21 2011-01-05 ザ ジェネラル ホスピタル コーポレイション 臓器補助装置のための細胞培養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6246720A (ja) * 2005-03-08 2006-09-21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Industrial Science 細胞培養チャンバー
JP2011244713A (ja) 2010-05-25 2011-12-08 Shimadzu Corp 細胞培養デバイス、細胞培養システム、及び細胞培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62116A (ja) 2023-05-02
TW202206589A (zh) 2022-02-16
JPWO2017183570A1 (ja) 2019-02-28
JP2023062115A (ja) 2023-05-02
JP7302678B2 (ja) 2023-07-04
TWI763665B (zh) 2022-05-11
TW201803979A (zh) 2018-02-01
CN108779422A (zh) 2018-11-09
EP3447118A4 (en) 2019-12-25
JP2022050530A (ja) 2022-03-30
JP2023062117A (ja) 2023-05-02
JP7351359B2 (ja) 2023-09-27
EP3447118A1 (en) 2019-02-27
US20190127677A1 (en) 2019-05-02
JP2022050529A (ja) 2022-03-30
KR20180117174A (ko) 2018-10-26
WO2017183570A1 (ja) 2017-10-26
JP7070401B2 (ja)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679B1 (ko) 세포 배양용 용기 및 그 사용 방법
EP2118259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bubble formation in cell culture
JP7092235B2 (ja) 細胞培養容器、細胞培養容器の支持治具、及び細胞培養方法
CN111094534A (zh) 用于微腔体细胞培养容器的处理特征
US20160304823A1 (en) Device and system for cell culture
WO2017170335A1 (ja) 細胞培養容器、細胞培養容器の支持治具、及び細胞培養方法
JP6975240B2 (ja) 重力流細胞培養装置、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の使用方法
WO2018123619A1 (ja) フィルタ付き細胞用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CA3036895C (en) Container for separating microcarriers from cell culture fluids
CN111826286A (zh) 微孔装置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