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099B1 - 볶음팥 추출물을 함유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팥물 - Google Patents

볶음팥 추출물을 함유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팥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099B1
KR102222099B1 KR1020200079349A KR20200079349A KR102222099B1 KR 102222099 B1 KR102222099 B1 KR 102222099B1 KR 1020200079349 A KR1020200079349 A KR 1020200079349A KR 20200079349 A KR20200079349 A KR 20200079349A KR 102222099 B1 KR102222099 B1 KR 102222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bean
red
extract
red beans
dried persi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주)유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도리 filed Critical (주)유도리
Priority to KR1020200079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not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곶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팥 추출물과 상기 곶감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계피를 넣고 추출 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팥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팥물은 체지방 감소, 소화력 증진, 붓기 제거, 이뇨 작용, 노폐물 배출, 불면증 완화에 도움을 주고 곶감 우린 물을 첨가하여 계피팥물의 맛과 향을 더욱 깊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볶음팥 추출물을 함유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팥물{Method for producing red bean water containing fried red bean extract and red bean water made therefrom}
본 발명은 팥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팥, 계피, 곶감을 포함하여 체지방 감소, 소화력 증진, 붓기 제거, 이뇨 작용, 노폐물 배출, 불면증 완화 및 맛과 향의 풍미가 우수한 팥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팥물에 관한 것이다.
팥(赤豆)은 쌍떡잎식물이며,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중국, 한국, 일본 등 극동아시아의 온대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어 동양이 원산지인 것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는 중국에서 전파되어 재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팥은 100g당 열량이 307cal나 되는 뛰어난 건강식품이며, 단백질 20.94%, 지방 0.7% 당질 51.13% 회분 3.63%, 수분 14.91% 외에 비타민 B1과 사포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 작용을 하며 장을 자극하여 변통을 좋게 하며 독소를 체외로 배출하고 해독작용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팥은 예로부터 이뇨작용이 뛰어나 임산부와 수술 후 환자들의 붓기완화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
계피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생달나무의 나무껍질로 만든 약재로서 효능은 비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므로 소화기가 차서 소화장애가 있거나 복부가 차서 일어나는 복통 설사 등에 널리 이용된다.
시나몬으로 알려져있는 계피는 소화력을 증진시켜주고, 위장활동을 활발하게 하며, 몸을 따뜻하게 해주어 혈액순환에 도움을 준다.
한편, 전세계적 인구 고령화 현상이 급속화 됨에 따라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인종,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비만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비만이란 지방이 체내에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하며, 비만도의 측정방법으로 BMI, 허리둘레, 허리 엉덩이 둘레비 등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비만은 다양한 내장기관에 지질의 축적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장기의 기능이상, 만성 염증 및 조직 손상이 유도되며, 고지혈증(hyperlipidemia) 등이 발생될 수 있다.
팥과 계피를 포함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과 관련한 종래기술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팥 및 계피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사상의학에 기초하여 곡물과 약재 성분을 각 성분의 특성에 따라 배합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체지방 감소 및 소화력 증진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의 팥물과 기술적 구성이 상이하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팥, 작두콩, 우엉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곶감 및 계피를 포함하지 않아 본 발명의 팥물의 제조방법과 기술적 구성이 상이하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675334호 (2016. 11. 11. 공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845014호 (2018. 04. 03. 공개)
최근 산업화 및 도시화의 영향으로 전세계적으로 비만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질병에 대한 의료적 치료가 아닌 개인이 쉽게 예방, 관리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 하는 과제는 팥의 체지방 감소 및 붓기 완화 효과, 계피의 소화력 증진 효과를 제공하면서 맛과 향이 우수한 팥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짜고 매운 음식을 많이 먹는 현대사회에서는 소화장애와 붓기 때문에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본 발명으로 인해 체지방 감소와 소화력 증진 그리고 붓기완화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곶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팥 추출물과 상기 곶감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계피를 넣고 추출 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팥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곶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팥 추출물과 상기 곶감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계피를 넣고 추출 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고형물이 제거된 팥물을 용기에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팥물이 충진된 용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팥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팥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물에 불리는 단계; 상기 불린 팥을 로스팅 및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한 팥에 정제수를 가한 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로스팅 단계는 불린 팥을 150 내지 250℃에서 1 내지 30분간 로스팅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분쇄 단계는 로스팅한 팥을 0.1 내지 5㎜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 단계는 분쇄된 팥에 20 내지 300배 부피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75 내지 95℃에서 10 내지 120분간 추출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곶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외피를 제거한 곶감에 10 내지 300배 부피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75 내지 95℃에서 10 내지 120분간 추출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단계는 상기 팥 추출물과 상기 곶감 추출물을 1 : 0.001 내지 1 : 0.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계피는 상기 팥 추출물과 상기 곶감 추출물의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0.5중량%로 혼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살균 단계는 팥물이 충진된 용기를 90 내지 100℃에서 10 내지 20분간 살균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팥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팥물은 볶음팥과 계피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체지방 감소, 소화력 증진, 붓기 제거, 이뇨 작용, 노폐물 배출, 불면증 완화에 도움을 주고 곶감 우린 물을 첨가하여 자연의 식재료에서 단맛을 가미하여 계피팥물의 맛과 향을 더 깊게 한다.
이로 인해 팥 소비 증진을 촉진하고 소비자들에게는 기존 팥물에 비해 풍미가 우수한 기능성 팥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팥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팥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팥물의 제조공정도로서, 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곶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팥 추출물과 상기 곶감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계피를 넣고 추출 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팥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팥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물에 불리는 단계; 상기 불린 팥을 로스팅 및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한 팥에 정제수를 가한 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팥은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팥이라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세척 단계는 팥의 외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2 내지 3회에 걸쳐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림 단계는 팥의 내부에 수분이 스며들 정도로 1 내지 24시간 동안 함침하여 충분히 불리는 과정이다.
상기 로스팅 단계는 불린 팥을 팬에 넣고 가열하여 팥의 외피를 볶는 과정이다. 이와 같이 팥의 외피가 로스팅되면 팥의 풍미가 향상되면서 팥의 외피에 함유된 유효 물질의 추출이 보다 원활해진다.
팥을 직접 추출하여 음용하는 경우 팥 특유의 비린 맛을 느낄 수 있으며, 용출량이 적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팥을 로스팅하여 향과 맛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용출량을 늘려 음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로스팅은 150 내지 250℃의 온도에서 1 내지 30분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로스팅 온도가 250℃를 초과하거나 로스팅 시간이 30분을 초과하는 경우 팥의 표면부가 탄화하여 팥물에서 탄맛이 나타날 수 있으며, 팥물의 색이 지나치게 검어질 수 있다. 상기 로스팅 온도가 150℃미만이거나 로스팅 시간이 1분 미만인 경우 로스팅이 적절히 수행되지 못하여, 비린맛이 나거나 용출량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분쇄 단계는 상기 로스팅된 팥을 일정 크기로 분쇄하는 과정으로서, 팥의 표면적을 높여 단시간에 많은 양의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수행된다. 이 때 팥은 0.1 내지 5㎜의 크기를 가지도록 분쇄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물과 골고루 혼합되어 팥의 유효성분의 추출이 가장 용이하다.
상기 추출 단계는 분쇄된 팥에 20 내지 300배 부피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추출기에 넣어 75 내지 95℃에서 10 내지 120분간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출 과정을 통해 팥에 함유된 안토시안, 사포닌 등의 유효 성분이 거의 대부분 우러나와 물에 혼합된다.
이 때, 정제수가 로스팅된 팥의 20배 미만일 경우 추출물의 생산량이 적어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며, 300배 이상일 경우 팥의 유효성분의 함량이 적고 팥의 진한 맛이 나오기 어렵다.
상기 추출 온도가 75℃미만이거나 10분 미만으로 추출하는 경우 추출이 원활하지 않아 용출량이 줄어들 수 있으며, 95℃를 초과하거나 120분 이상으로 추출하는 경우 팥에 포함된 부성분이 용출되어 팥물의 색상이 변화되거나 비린맛이 날 수 있다.
상기 곶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외피를 포함 또는 제거한 곶감에 10 내지 300배 부피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추출기에 넣어 75 내지 95℃에서 10 내지 120분간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정제수가 곶감의 10배 미만일 경우 추출물이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며 단 맛이 지나치게 강하고, 300배 이상일 경우 곶감의 맛과 향을 느끼기 어렵다.
상기 제조된 팥 추출물과 곶감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음료를 제조한다.
이 때, 상기 팥 추출물과 상기 곶감 추출물은 1 : 0.001 내지 1 : 0.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팥물의 맛과 향이 가장 조화롭다.
상기 혼합음료에 계피를 넣고 추출하여 최종 팥물을 제조한다.
계피는 상기 제조된 혼합음료에 첨가되어 팥의 찬 성질을 보완해주고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몸을 따뜻하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계피는 상기 혼합음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0.5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이때, 계피가 0.001중량% 미만일 경우 계피의 효과가 미미하고, 0.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음료 본연의 맛을 해칠 수 있다.
계피를 첨가한 혼합음료를 추출기에 넣고 75 내지 95℃에서 10 내지 120분간 추출한다. 상기 추출 온도가 75℃미만이거나 10분 미만으로 추출하는 경우 추출이 원활하지 않고, 95℃를 초과하거나 120분 이상으로 추출하는 경우 팥물의 맛과 향이 변할 수 있다.
최종 제조된 혼합 팥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팥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고형물이 제거된 팥물을 용기에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팥물이 충진된 용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과된 혼합 팥물은 용기에 충진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는 파우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혼합 팥물이 충진된 용기를 90 내지 100℃에서 10 내지 20분간 살균할 수 있으며, 그 이후 상온에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팥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팥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팥 추출물의 제조
국내산 붉은이팥을 물로 세척한 다음, 10시간 동안 불리고 로스팅기에 투입하여 200℃의 온도에서 20분간 로스팅하고 분쇄하였다. 분쇄한 콩에 100배의 정제수를 가하고 추출기에 넣어 8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2) 곶감 추출물의 제조
곶감의 외피를 포함 또는 제거한 후 정제수를 가하고 추출기에 넣어 8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3) 혼합 팥물의 제조
팥 추출물과 곶감 추출물을 1 : 0.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혼합물 대비 0.1중량%의 계피를 첨가한 후 8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최종 팥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18세에서 75세 성인 남녀 60명을 3군으로 나누어, 20명을 1개군으로 한 후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팥물의 색감, 풍미, 맛 및 기호도를 4점 척도법(4점: 매우 좋음, 3점: 좋음, 2점: 조금 좋음, 1: 모름, 0: 더 나쁘다)에 따라 평가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4점 척도법은 매우 좋음(먹어 본 팥물 중에서 최고), 좋음(먹어 본 팥물 중에서 좋음), 조금 좋음(먹어본 팥물 중에서 조금 좋음), 모름(먹어 본 팥물과 비슷함), 더 나쁘다(먹어 본 팥물 중에서 제일 나쁘다)를 기준으로 하였다.
구분 점수
3.75
4
4
종합적 기호도 4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팥물은 색, 맛, 향 및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Claims (11)

  1. 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곶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팥 추출물과 상기 곶감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계피를 넣고 추출 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팥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물에 불리는 단계;
    상기 불린 팥을 150 내지 250℃에서 1 내지 30분간 로스팅하고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한 팥에 정제수를 가한 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단계는 상기 팥 추출물과 상기 곶감 추출물을 1 : 0.001 내지 1 : 0.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팥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고형물이 제거된 팥물을 용기에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팥물이 충진된 용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하는 단계는 로스팅한 팥을 0.1 내지 5㎜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분쇄된 팥에 20 내지 300배 부피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75 내지 95℃에서 10 내지 120분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곶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외피를 포함 또는 제거한 곶감에 10 내지 300배 부피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75 내지 95℃에서 10 내지 120분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피는 상기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0.5중량%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하는 단계는 팥물이 충진된 용기를 90 내지 100℃에서 10 내지 20분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11.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7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팥물.
KR1020200079349A 2020-06-29 2020-06-29 볶음팥 추출물을 함유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팥물 KR102222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49A KR102222099B1 (ko) 2020-06-29 2020-06-29 볶음팥 추출물을 함유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팥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49A KR102222099B1 (ko) 2020-06-29 2020-06-29 볶음팥 추출물을 함유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팥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099B1 true KR102222099B1 (ko) 2021-03-03

Family

ID=7515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349A KR102222099B1 (ko) 2020-06-29 2020-06-29 볶음팥 추출물을 함유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팥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0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34B1 (ko) 2014-01-27 2016-11-11 주옥희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80006019A (ko) * 2016-07-08 2018-01-17 송덕례 팥빙수의 제조방법
KR101845014B1 (ko) 2015-07-27 2018-04-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하린식품 팥, 작두콩, 우엉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KR20190047986A (ko) * 2017-10-30 2019-05-09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단계별 로스팅 공정을 활용한 팥 추출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34B1 (ko) 2014-01-27 2016-11-11 주옥희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845014B1 (ko) 2015-07-27 2018-04-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하린식품 팥, 작두콩, 우엉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KR20180006019A (ko) * 2016-07-08 2018-01-17 송덕례 팥빙수의 제조방법
KR20190047986A (ko) * 2017-10-30 2019-05-09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단계별 로스팅 공정을 활용한 팥 추출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글래드 호텔 여의도, 강원도 고랭지 팥에 계피와 알싸한 생강이 만난 빙수 선봬. 디지털타임스. [online], 2016.06.16., [2020.11.06. 검색], 인터넷: <URL: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6061602109952660002>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70823A (zh) 一种调节内分泌保健冲料
KR20180003670A (ko)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누룽지
KR101647125B1 (ko) 흑염소탕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흑염소탕
KR20170013131A (ko) 팥, 작두콩, 우엉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KR101747793B1 (ko) 꾸지뽕의 풍미가 있는 떡의 제조방법
KR102222099B1 (ko) 볶음팥 추출물을 함유하는 팥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팥물
KR102054487B1 (ko) 오디 메밀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9903A (ko) 마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0810582B1 (ko) 기능성 재료를 함유하는 쌀두부 제조방법
KR101993992B1 (ko) 단계별 로스팅 공정을 활용한 팥 추출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6575B1 (ko) 흑염소 중탕 엑기스 제조방법
KR102541326B1 (ko) 떡쑥을 이용한 인절미 제조 방법
KR100971360B1 (ko) 당삼과 쥐눈이콩을 이용한 장어죽 및 그 제조방법
CN114680288A (zh) 一种多味香辣豆豉的制备方法
KR101699219B1 (ko) 한방약재를 이용한 가금류 조리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조리된 한방 오리 또는 한방 닭
KR102221080B1 (ko)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
KR102126179B1 (ko) 건강백숙의 제조방법
KR20180061624A (ko) 무카페인 킹빈 까르페 분말 및 그 제조방법
CN109105440B (zh) 一种山稔子荔枝蓉糕点馅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37437A (ko) 녹차 두부 제조방법
KR20010081369A (ko) 항비만 녹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101498A (ko) 대추와 잣을 이용한 영양죽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41934A (ko) 강황 한방삼계탕 제조방법
KR102428173B1 (ko)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KR101433888B1 (ko) 밤을 주재로 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