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491B1 -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491B1
KR102221491B1 KR1020197017124A KR20197017124A KR102221491B1 KR 102221491 B1 KR102221491 B1 KR 102221491B1 KR 1020197017124 A KR1020197017124 A KR 1020197017124A KR 20197017124 A KR20197017124 A KR 20197017124A KR 102221491 B1 KR102221491 B1 KR 102221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very
elevator
failure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7559A (ko
Inventor
사토시 야마사키
히로야스 다바타
고지 사카타
나나호 오사와
겐이치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7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는 회전자 위상(θ)과 전류치(Iu, Iv, Iw)에 기초하여 구동계 기기의 이상을 검지했을 때 고장 신호를 원격 복구 장치(300)에 송신한다. 원격 복구 장치(300)는 구동계 기기의 고장 신호를 수신했을 때, 회전 전기(400)에 대해서 역행 전력의 공급을 정지한 상태에서 브레이크(401)의 간헐 제동으로 엘리베이터 칸(22)을 승강시키는 비상 운전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에 실행시킨다. 또한 원격 복구 장치(300)는 비상 운전시의 회전자 위상(θ) 및 전류치(Iu, Iv, Iw)에 기초하여, 복구 동작으로서 실행되는 회전 전기(400)에 대한 자극 보정 운전의 실행 가부를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구동계 기기의 이상이 검지되었을 때, 자극 보정의 실행이 타당한지 여부를 미리 판정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 이것을 원격으로 복구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과 같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계 기기의 이상이 검지되었을 때, 구동계 기기의 회전 전기(電機)(권상기)와, 당해 회전 전기의 회전자 위상을 검출하는 인코더의 자극 어긋남을 보정하는 자극 보정 운전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9-280318호 공보
그런데, 구동계 기기의 이상의 원인은, 회전 전기와 인코더의 위상 어긋남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인코더나 회전 전기의 단선 등, 복수의 원인을 생각할 수 있다. 위상 어긋남 이외의 원인으로 고장난 구동계 기기에 대해서 자극 보정을 행했을 경우, 구동계 기기가 복구되지 않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고장 기기의 증가 등, 고장 규모의 확대로 이어질 우려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구동계 기기의 이상이 검지되었을 때, 자극 보정의 실행이 타당한지 여부를 미리 판정 가능한,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 가능한 회전 전기, 회전 전기의 회전자 위상을 검출하는 인코더, 및 회전 전기에 접속된 배선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를 구비하는 구동계 기기와,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 가능한 브레이크와, 인코더가 검출한 회전자 위상과 전류 센서가 검출한 전류치에 기초하여 구동계 기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통신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고장의 복구 동작을 행하게 하는 원격 복구 장치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회전자 위상과 전류치에 기초하여 구동계 기기의 이상을 검지했을 때 고장 신호를 원격 복구 장치에 송신한다. 원격 복구 장치는 구동계 기기의 고장 신호를 수신했을 때, 회전 전기에 대해서 역행 전력의 공급을 정지한 상태에서 브레이크의 간헐 제동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비상 운전(척취(尺取) 운전)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실행시킨다. 또한 원격 복구 장치는 비상 운전시의 회전자 위상 및 전류치에 기초하여, 복구 동작으로서 실행되는 회전 전기에 대한 자극 보정 운전의 실행 가부를 판정한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비상 운전시의 회전자 위상의 주파수와, 비상 운전에 따라서 회생 구동되는 회전 전기로부터 출력된 전류치의 주파수의 차가 소정차 이내인 경우에, 원격 복구 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대해서 자극 보정 운전을 실행시켜도 된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비상 운전시의 회전자 위상의 파형, 및 비상 운전시의 전류치의 파형 중 적어도 한쪽이 비주기적인 경우에, 원격 복구 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대해서 자극 보정 운전의 실행을 금지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계 기기의 이상이 검지되었을 때, 자극 보정의 실행이 타당한지 여부를 미리 판정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보수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다른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로서, 비상 운전을 실행하는 기능 블록이 추가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비상 운전 플로우를 포함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비상 운전시의 전류 센서 및 인코더의 검출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원격 복구 시스템(100)은 빌딩(10)의 승강로(11) 안에 배치된 엘리베이터(20)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와 통신하여,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의 복구 동작을 행하게 하는 원격 복구 장치(300)를 구비하고 있다. 원격 복구 장치(300)가 복구 동작을 행하게 하는 엘리베이터(20)는, 1대여도 되고 복수 대여도 된다. 또, 엘리베이터(20)가 복수인 경우에는, 각 엘리베이터(20)는 동일한 빌딩(1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이한 빌딩(1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는 엘리베이터(20)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반(210)과 통신 장치(250)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반(210)은 내부에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이다. 또, 원격 복구 장치(300)는 통신 장치(320)와 감시반(330)을 포함하는 원격 감시 센터(310)와, 정보 처리 장치(360)와,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와,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를 포함하고 있다. 원격 감시 센터(310)와 정보 처리 장치(360)와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와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는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장소에 설치되어 서로를 인터넷 회선 등에 의해서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 장치(250)는 제어반(210)에 접속되어, 제어반(210)으로부터의 출력을 통신 네트워크(30)에 발신한다. 또, 통신 장치(250)는 정보 처리 장치(360)가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를 참조하여 선택한 제어반(210)에 대한 지령을 통신 장치(320),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수신하여, 제어반(210)에 출력한다. 통신 장치(320)는 제어반(210)으로부터의 신호를 통신 장치(250),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수신하여, 정보 처리 장치(360)에 출력한다. 또, 통신 장치(320)는 정보 처리 장치(360)가 선택한 제어반(210)에 대한 지령을 통신 네트워크(30)에 발신한다. 통신 장치(250, 320)는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기여도 되고 유선 통신을 행하는 기기여도 된다. 또, 통신 네트워크(30)는 인터넷 통신망이어도 되고, 전화 회선망이어도 된다.
원격 감시 센터(310)는 정보 처리 장치(360)와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여,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상황, 고장 상황을 감시하는 감시반(330)이 배치되어 있다. 감시반(330)에는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상황, 고장 상황, 정보 처리 장치(360)로부터의 통지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1)와, 디스플레이(331)의 표시를 조작하는 스위치(332)가 마련되어 있다. 또, 감시반(330)에는 통신 네트워크(35)를 통해서 서비스 센터(340)와의 통신을 행하는 전화(333)가 구비되어 있다.
보수 데이터베이스(370)는 엘리베이터(20)의 사양이나 검사, 보수, 수리 등의 이력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는 엘리베이터(20)의 제어반(210)으로부터 출력된 고장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장 요인과 그 건수 및 복구율 등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내부에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이다. 정보 처리 장치(360)에는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제어반(210)이 출력하는 고장 신호가 통신 장치(250, 320),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입력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신호가 입력되면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고장 신호에 포함되는 고장 코드에 대응하는 복구 지령과 복구 진단 지령을 선택한다. 선택된 복구 지령과 복구 진단 지령은, 통신 장치(250, 320)와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제어반(210)에 입력되어, 엘리베이터(20)에 복구 동작, 복구 진단 동작을 실행시킨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에는,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 검사 이력 데이터(372), 보수 작업 이력 데이터(373),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374), 변조 이력 데이터(375), 수리 공사 이력 데이터(376), 고장 이력 데이터(377),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 운전 이력 데이터(379)가 격납되어 있다. 운전 이력 데이터(379)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면서,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 검사 이력 데이터(372), 보수 작업 이력 데이터(373),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374), 변조 이력 데이터(375), 수리 공사 이력 데이터(376), 고장 이력 데이터(377),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기종, 제조일, 제조 번호, 설치 빌딩의 명칭, 설치 빌딩의 용도의 데이터를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설치 빌딩의 용도란, 예를 들면, 사무소, 일반 거주용, 음식점, 학교 등이다.
검사 이력 데이터(372)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기술자(350)가 현지에서 행한 검사의 일시, 검사 항목, 검사 결과의 데이터를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검사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20)의 도어(13, 26)의 개폐 상태의 검사, 각층의 정지 위치의 검사(층상(12)과 엘리베이터 칸(22)의 바닥(27)의 높이 편차량의 점검), 와이어(23)의 검사, 주행 속도의 검사 등이다. 또, 검사 결과에는, 검사의 결과, 이상이 발견되었는지 여부나,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청소 등의 보수 작업이 필요, 혹은, 곧 부품 교환이 필요한 것 등이 입력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호 25는 추를 나타낸다.
보수 작업 이력 데이터(373)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기술자(350)가 현장에서 행한 엘리베이터(20)의 보수 작업 일시, 보수 작업 항목, 보수 작업 결과를 격납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수 작업 항목이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20)의 운전 상태의 점검, 엘리베이터(20)의 도어 레일의 청소, 도 1에 나타내는 구동 장치(24)로의 급유, 엘리베이터(20)의 브레이크의 조정 등이다. 보수 작업 결과에는, 점검, 청소, 급유, 조정 등을 실시한 실적이 입력되어 있다.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374)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원격 점검 일시, 원격 점검 항목, 원격 점검 결과를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20)의 원격 점검은, 예를 들면, 1개월에 1회 등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서, 엘리베이터(20)의 제어반(210)에 의해서 실시된다. 엘리베이터(20)의 제어반(210)은,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20)의 엘리베이터 칸(22)을 소정의 층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시에 엘리베이터(20)에 장착된 각종의 센서에 의해서 운전 성능(가속도, 이상음(音)의 유무), 도어 개폐, 브레이크, 비상용 배터리, 외부 연락 장치 등에 이상이 없는가를 점검한다. 그 점검결과를 통신 장치(250, 320),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360)로부터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374)에 격납하는 것이다. 또한, 원격 점검은 원격 감시 센터(31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변조 이력 데이터(375)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변조 발생 일시, 변조 항목, 변조 대응 결과를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20)의 변조란, 기술자(350)에 의한 검사, 점검, 보수 작업, 혹은 원격 점검의 결과가 이상값에는 도달하지 않았지만, 그 엘리베이터(20)의 통상의 값보다도 변화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주행 속도의 검사를 행한 결과, 허용치 내에 들어가 있지만, 전회(前回) 점검시, 혹은 그 엘리베이터(20)의 지금까지의 검사 결과의 값으로부터의 차이가 큰 경우에, 변조 항목 안에 「주행 속도」라고 기록된다.
수리 공사 이력 데이터(376)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수리 공사 일시, 수리 공사 항목, 수리 공사 결과를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수리 공사란, 와이어(23)의 교환, 행거 롤러(hanger roller) 교환, 브레이크 패드 교환, 제어 기판 교환, 릴레이 교환 등의 부품 교환에 의한 복구 공사이다. 따라서, 수리 공사 항목에는, 「와이어 교환」, 「행거 롤러 교환」, 「브레이크 패드 교환」 등의 교환 부품의 명칭이 입력되고, 수리 공사 결과의 란에는, 「수리 공사 종료」, 「재수리 필요」 등의 사항이 입력된다.
고장 이력 데이터(377)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고장 발생 일시, 고장 코드, 복구 방법, 복구 판정 결과를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고장 코드란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제어반(210)으로부터 출력되는 숫자 혹은 숫자와 영문자를 조합한 코드이다. 고장 코드의 종류는, 예를 들면, 1000종류 정도이다. 복구 방법의 항목에는, 예를 들면, 기술자(350)가 출동하여 검사, 점검, 복구를 행했을 경우에는 「기술자 출동」과 같이 입력된다. 또, 복구 방법의 항목에는, 예를 들면, 원격 복구 시스템(100)에 의해서 복구했을 경우에는 「원격 복구」와 같이 입력된다. 복구 판정 결과의 항목에는, 엘리베이터(20)가 복구되어 운행 재개되었을 경우에는, 「복구」와 같이 입력된다. 또, 복구 판정 결과의 항목에는, 엘리베이터(20)가 복구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실패」와 같이 입력된다.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는 어느 고장 코드가 제어반(210)으로부터 출력되었을 때, 기술자(350)가 현장에 출동하여 검사, 점검한 결과에 의한 그 고장 코드에 대응하는 고장 요인의 건수, 및 원격 복구 시스템(100)으로 복구했을 경우의 그 고장 코드에 대응하는 고장 요인의 건수의 합계 건수가 격납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고장 코드가 도어(13, 26)에 관한 고장을 나타내는 0001의 경우, 기술자(350)가 현지에서 점검한 결과, 그 고장 코드 「0001」이 출력된 요인이 도어 문턱의 쓰레기 쌓임(고장 요인 1)이거나, 도어 개폐 장치의 스위치의 접촉 불량(고장 요인 2)이거나, 그 외의 고장 요인 3이거나 한다. 이에, 고장 요인별 데이터는 고장 코드 「0001」이 출력되었을 경우, 도어 문턱의 쓰레기 쌓임 요인(고장 요인 1)인 경우가 100건, 도어 개폐 장치의 스위치의 접촉 불량이 요인(고장 요인 2)인 경우가 50건, 그 외의 고장 요인 3인 경우가 10건이라고 하는 데이터 구조에서, 그 건수가 많은 순으로 데이터가 늘어서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격 복구 시스템(100)에 의한 복구의 경우, 복구 지령에 의해서 엘리베이터(20)의 복구에 성공했을 경우에 그 복구 지령의 기초가 된 고장 코드에 대응하는 고장 요인의 건수가 전체의 고장 요인의 건수에 추가된다.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는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의 고장 요인의 건수가 많은 순으로, 복구 지령과 복구 진단 지령의 세트인 복구 진단 지령 세트와, 그 복구 지령의 실행에 의해서 엘리베이터(20)의 고장이 복구된 비율인 복구율(%)이 격납되어 있다.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는 먼저 설명한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에 복구 진단 지령 세트와 복구율을 링크시킨 데이터베이스이다.
이하, 고장 코드가 도어(13, 26)에 관한 고장을 나타내는 「0001」인 경우의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의 데이터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 문턱의 쓰레기 쌓임이 요인(고장 요인 1)인 경우, 복구 진단 데이터는 고장 요인 1의 건수 데이터에 복구 지령으로서 「도어 회로 리셋+도어 고(高)토크 개폐」, 복구 진단 지령으로서 「도어 개폐 진단」의 2개 지령의 세트인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와, 이 복구 지령에 의한 복구 동작에 의한 복구율 x%를 링크시킨 데이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어 개폐 장치의 스위치의 접촉 불량이 요인(고장 요인 2)인 경우에는, 복구 진단 데이터는 고장 요인 2의 건수 데이터에 복구 지령으로서 「도어 회로 리셋+도어 개폐 리트라이(retry)」, 복구 진단 지령으로서 「도어 개폐 진단」의 2개 지령의 세트인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와, 이 복구 지령에 의한 복구 동작의 복구율 y%를 링크시킨 데이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고장 요인 3의 경우에는, 복구 진단 데이터는 고장 요인 3의 건수 데이터에 복구 진단 지령 세트 C와 복구율 z%를 링크시킨 데이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는 고장 코드와, 그 고장 코드에 대응하는 고장 요인과, 그 고장 요인의 건수와, 복구 지령과 복구 진단의 세트인 복구 진단 지령 세트와, 복구율을 대응지어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구율 y%는 복구율 x%, z% 보다도 큰 수치이고,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는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 복구 진단 지령 세트 C 보다도 복구율이 높게 되어 있다.
이하, 도 2 및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20)로부터 고장 신호가 발신되었을 경우의 원격 복구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처음에 도어(13, 26)에 관한 고장 코드 신호 「0001」이 발신되었을 경우의 원격 복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다음에, 제어반(210) 내에 조립되어 있는 제어 회로에 관한 고장 코드 「0002」가 발신되었을 경우의 원격 복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그 다음에, 구동 장치(24) 중의 브레이크에 관한 고장 코드 「0003」이 발신되었을 경우의 원격 복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원격 복구 시스템(100)은 상기 이외의 부분에 관한 고장 코드가 발신되었을 경우에도 대응 가능하다.
도 2 및 도 5의 스텝 S101에 나타내는 것처럼, 엘리베이터(20)의 제어반(210)은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행한다. 엘리베이터(20)의 도어(13, 26)에 관한 고장, 예를 들면, 도어 개폐 불량 등의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제어반(210)은 고장 발생 일시와 고장이 도어에 관한 고장인 것을 나타내는 고장 코드 「0001」을 통신 장치(250)에 출력한다.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반(210)은 스텝 S101의 처음으로 돌아가 엘리베이터(20)의 감시를 계속한다.
통신 장치(250)는 제어반(210)으로부터 고장 코드 「0001」이 입력되면, 도 2 및 도 5의 스텝 S102에 나타내는 것처럼, 고장 코드 「0001」 및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및 고장 발생 일시를 포함하는 고장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30)에 발신한다. 도 2 및 도 5의 스텝 S103에 나타내는 것처럼, 원격 감시 센터(310)의 통신 장치(320)는,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통신 장치(250)가 발신한 고장 신호를 수신한다. 통신 장치(320)는 고장 신호를 수신하면, 고장 신호에 포함되는 고장 코드 「0001」과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및 고장 발생 일시를 정보 처리 장치(360)에 출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입력된 고장 코드 「0001」과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고장 발생 일시를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의 고장 이력 데이터(377)에 격납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5의 스텝 S104에 나타내는 것처럼,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20)가 원격 복구 가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로부터 엘리베이터(20)의 기종, 제조일, 제조 번호를 취득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취득한 사양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엘리베이터(20)가 원격 복구 장치(300)로부터의 복구 지령, 복구 진단 지령에 의해서 복구 동작, 복구 진단 동작이 가능한 사양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엘리베이터(20)가 원격 복구 동작이 불가능한 기종인 경우에는, 도 2 및 도 5의 스텝 S124에 나타내는 것처럼, 원격 감시 센터(310)에 원격 복구 불가를 통지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검사 이력 데이터(372), 보수 작업 이력 데이터(373),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374), 변조 이력 데이터(375), 수리 공사 이력 데이터(376), 고장 이력 데이터(377)를 참조하여, 이하의 (a)~(f)에 대해서 확인한다.
(a) 엘리베이터(20)가 최근 검사에서 조정 수리 지시가 있던 것임.
(b) 엘리베이터(20)가 최근, 혹은, 당일에 보수 계획이 있어 조정 미스의 가능성이 예측되는 것임.
(c) 원격 점검에서 엘리베이터(20)에 이상의 진단 결과가 있었음.
(d) 최근, 엘리베이터(20)에 변조의 발생이 있었음.
(e) 엘리베이터(20)가, 최근, 수리 공사가 실시되고 있는 것임.
(f) 엘리베이터(20)가, 최근, 같은 고장 코드 「0001」에 의한 고장 신호를 발신하고 있음.
그리고 상기 (a)~(f) 중 어느 1개 또는 복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360)는 원격 복구 시스템(100)에 의한 복구보다도 기술자(350)를 빌딩(10)에 파견하는 쪽이 좋다고 판단하여, 도 5의 스텝 S104에서 NO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5의 스텝 S124에 나타내는 것처럼, 정보 처리 장치(360)는 원격 감시 센터(310)에 원격 복구 불가의 통지를 출력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60)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와 고장 이력 데이터(377)로부터, 빌딩(10)이 고장 신호의 오발신이 많은 건물인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신호의 오발신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원격 복구 시스템(100)에 의한 복구보다도 기술자(350)를 빌딩(10)에 파견하는 쪽이 좋다고 판단하여, 도 5의 스텝 S104에서 NO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2 및 도 5의 스텝 S124에 나타내는 것처럼, 원격 감시 센터(310)에 원격 복구 불가의 통지를 출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로부터 원격 감시 센터(310)에 출력된 원격 복구 불가의 통지는,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원격 감시 센터(310)의 디스플레이(331)에 표시된다. 감시자(334)는 이 표시를 확인하면, 도 2 및 도 6의 스텝 S125에 나타내는 것처럼, 엘리베이터(20)의 운행 휴지(休止)의 지시, 및 아나운스 동작을 행하게 한다. 그리고 감시자(334)는 전화(333)에 의해서 도 2 및 도 6의 스텝 S126에 나타내는 것처럼, 빌딩(10) 인근의 서비스 센터(340)에 기술자(350)를 빌딩(10)에 파견하도록 지시한다.
도 5의 스텝 S104에서 엘리베이터(20)가 원격 복구 불가라는 판단을 했을 경우는, 정보 처리 장치(360)는 스텝 S103에 있어서, 입력된 고장 코드 「0001」과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고장 발생 일시를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의 고장 이력 데이터(377)에 격납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의 다른 데이터의 갱신, 및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의 갱신은 행하지 않고 원격 복구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스텝 S104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검사 이력 데이터(372), 보수 작업 이력 데이터(373),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374), 변조 이력 데이터(375), 수리 공사 이력 데이터(376), 고장 이력 데이터(377)를 참조하여 이하의 (g)~(n)에 대해서 확인한다.
(g) 엘리베이터(20)가 원격 복구 장치(300)로부터의 복구 지령, 복구 진단 지령에 의해서 복구 동작, 복구 진단 동작이 가능한 사양임.
(h) 엘리베이터(20)가 최근 검사에서 조정 수리 지시가 있던 것은 아님.
(i) 엘리베이터(20)가, 최근, 혹은, 당일에 보수 계획이 없어 조정 미스의 가능성이 예측되는 것은 아님.
(j) 원격 점검에서 엘리베이터(20)에 이상의 진단 결과가 없음.
(k) 최근, 엘리베이터(20)에 변조의 발생이 없음.
(l) 엘리베이터(20)가, 최근, 수리 공사가 실시되고 있는 것은 아님.
(m) 엘리베이터(20)가, 최근, 같은 고장 코드 「0001」에 의한 고장 신호를 발신하지 않았음.
(n) 빌딩(10)이 고장 신호의 오발신이 많은 건물은 아님.
그리고 상기 (g)~(n)의 모든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5에 나타내는 스텝 S104에서 YES라고 판단하여, 스텝 S105에서 원격 감시 센터(310)에 원격 복구 개시를 통지한다. 이 신호는 원격 감시 센터(310)의 디스플레이(331)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원격 감시 센터(310)의 감시자(334)에 엘리베이터(20)의 원격 복구가 개시되는 것이 통지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스텝 S105에서 원격 감시 센터(310)에 원격 복구 개시를 통지하면, 도 5에 나타내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하여,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복구 지령과 복구 진단 지령을 선택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는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에 복구 진단 지령 세트와 복구율을 링크시킨 데이터베이스이다. 이하, 고장 코드가 도어(13, 26)에 관한 고장을 나타내는 「0001」인 경우의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의 데이터 구성에 대해 재차 간단하게 설명해 둔다. 도어 문턱의 쓰레기 쌓임이 요인(고장 요인 1)인 경우에는, 복구 진단 데이터는 고장 요인 1의 건수 데이터에 복구 지령으로서 「도어 회로 리셋+도어 고토크 개폐」, 복구 진단 지령으로서 「도어 개폐 진단」의 2개 지령의 세트인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와, 이 복구 지령에 의한 복구 동작에 의한 복구율 x%를 링크시킨 데이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어 개폐 장치의 스위치의 접촉 불량이 요인(고장 요인 2)인 경우에는, 복구 진단 데이터는 고장 요인 2의 건수 데이터에 복구 지령으로서 「도어 회로 리셋+도어 개폐 리트라이」, 복구 진단 지령으로서 「도어 개폐 진단」의 2개 지령의 세트인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와, 이 복구 지령에 의한 복구 동작의 복구율 y%를 링크시킨 데이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고장 요인 3의 경우에는, 복구 진단 데이터는 고장 요인 3의 건수 데이터에 복구 진단 지령 세트 C와 복구율 z%를 링크시킨 데이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먼저 설명한 것처럼, 복구율 y%는 복구율 x%, z% 보다도 큰 수치이며,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는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 복구 진단 지령 세트 C 보다도 복구율이 높게 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장 요인 중의 건수가 가장 많은 고장 요인에 따른 지령을 복구 지령으로서 선택해도 된다. 또,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령 중의 복구율이 가장 높은 지령을 복구 지령으로서 선택해도 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선택한 복구 지령에 대응하는 복구 진단 지령이 선택한 복구 지령과 세트로 되어 있는 복구 진단 지령 세트를 선택한다.
우선, 정보 처리 장치(360)가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장 요인 중에서 건수가 가장 많은 고장 요인에 따른 지령을 복구 지령으로서 선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를 참조하여, 복구 지령으로서 고장 코드 「0001」의 경우에 가장 건수가 많은 고장 요인을 확인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가장 건수가 많은 고장 요인인 도어 문턱의 쓰레기 쌓임(고장 요인 1)에 대응하는 복구 동작을 실행시키는 복구 지령인 「도어 회로 리셋+도어 고토크 개폐」와, 이 복구 동작의 결과에 대응하는 복구 진단 동작을 실행시키는 복구 진단 지령인 「도어 개폐 진단」의 2개로 이루어진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를 선택한다.
다음에, 정보 처리 장치(360)가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령 중의 복구율이 가장 높은 지령을 복구 지령으로서 선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를 참조하여, 복구 지령으로서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복구율이 가장 높은 복구율을 확인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가장 높은 복구율 y%인 스위치의 접촉 불량이 요인(고장 요인 2)에 대응하는 복구 동작을 실행시키는 복구 지령인 「도어 회로 리셋+도어 개폐 리트라이」와, 이 복구 동작의 결과에 대응하는 복구 진단 동작을 실행시키는 복구 진단 지령인 「도어 개폐 진단」의 2개로 이루어진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를 선택한다.
복구 진단 지령 세트를 선택하는 경우,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가장 건수가 많은 고장 요인에 기초할지,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복구 진단 지령 세트의 복구율에 기초할지에 대한 선택은 다음과 같이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면, 최대 건수와 다음의 건수의 비율(건수 비율)과 최대 복구율과 다음의 복구율의 비율(복구율 비율) 중, 비율이 크게 되어 있는 쪽, 즉, 다음의 수치에 대해서 최대치가 돌출되어 있는 쪽을 선택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전회(前回)의 원격 복구에서 실패했을 경우에는, 전회와 상이한 선택 방법을 취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복구 진단 지령 세트의 선택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20)의 기종, 사양 등에 의해서 결정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360)가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가장 건수가 많은 고장 요인 1에 기초하여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를 선택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스텝 S106에서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를 선택하면,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2 및 도 5의 스텝 S107에 나타내는 것처럼, 선택한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를 통신 장치(320)로부터 발신한다. 도 2 및 도 5의 스텝 S108에 나타내는 것처럼, 통신 장치(250)는 통신 장치(320)로부터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를 수신하면, 복구 지령과 복구 진단 지령을 제어반(210)에 출력한다.
제어반(210)은, 우선, 도 5의 스텝 S109에 나타내는 것처럼, 엘리베이터(20)가 정지해 있는 것, 엘리베이터 칸(22)의 중량 센서, 엘리베이터 칸(22) 내의 카메라, 엘리베이터 칸(22) 내의 인물 센서 등의 출력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22) 안에 승객이 없다는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반(210)은 엘리베이터(20)가 정지해 있는 것, 엘리베이터 칸(22) 안에 승객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면, 엘리베이터 칸(22) 안에 설치된 통화 장치의 스피커로부터 「지금부터 원격 복구를 개시합니다.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폐됩니다. 」 등의 아나운스를 행한다.
제어반(210)은 아나운스가 종료되면, 도 5의 스텝 S110으로 진행하여, 복구 지령에 따라서 복구 동작을 실행한다. 지금, 수신하고 있는 복구 지령은, 도어 문턱의 쓰레기 쌓임(고장 요인 1)에 대응하는 복구 동작을 실행시키는 복구 지령인 「도어 회로 리셋+도어 고토크 개폐」이기 때문에, 제어반(210)은, 우선, 제어반(210)의 도어 회로를 리셋한다. 이 동작은, 도어 회로가 도어(13) 또는 도어(26)가 개폐 불능이고, 열림(또는 닫힘) 상태, 혹은 반열림(또는 반닫힘) 상태를 검지하고 있는 상태를 리셋하여, 도어(13) 또는 도어(26)를 개폐 동작 가능하게 하는 동작이다. 다음에, 제어반(210)은 도어(13) 및 도어(26)의 구동 모터의 토크를 통상보다도 20~30% 높게 하여 통상보다도 큰 힘으로 도어(13) 및 도어(26)를 개폐 동작시킨다. 이 동작은 도어의 문턱에 쌓여 있던 쓰레기를 문턱으로부터 이동시켜, 도어(13, 26)의 개폐 동작을 통상 상태로 복구하는 동작이다. 상기 동작에 의해서 도어(13, 26)의 문턱에 쌓여 있던 쓰레기가 이동하여, 도어(13, 26)의 개폐가 복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어반(210)은, 도 5의 스텝 S111에 나타내는 것처럼, 복구 진단 지령인 「도어 개폐 진단」을 실행한다. 제어반(210)은 통상의 토크로 도어(13) 및 도어(26)의 개폐를 행하고, 소정의 개폐 시간에 개폐 동작을 할 수 있는지, 도어(13) 및 도어(26)의 구동 모터의 전류가 통상보다도 커져 있지 않은지를 확인한다. 다음에 제어반(210)은 구동 모터의 토크를 통상보다도 20% 정도 낮게 하여 도어(13) 및 도어(26)를 개폐하여, 개폐 시간에 이상이 없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반(210)은, 도 5의 스텝 S112에 나타내는 것처럼, 복구 진단 동작에 의해서 도어(13, 26)가 통상 상태로 복구되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도 5의 스텝 S1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13에 있어서, 제어반(210)은 엘리베이터(20)가 복구되었다고 하는 판정 결과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통신 장치(25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30)에 발신된다. 발신된 판정 결과 신호는, 도 6의 스텝 S114에 나타내는 것처럼 통신 장치(320)에서 수신되고, 판정 결과는 정보 처리 장치(360)에 입력된다. 또, 판정 결과는, 도 6의 스텝 S115에 나타내는 것처럼, 정보 처리 장치(360)로부터 원격 감시 센터(310)에 통지되고, 그 결과가 원격 감시 센터(310)의 디스플레이(331)에 표시된다. 원격 감시 센터(310)의 감시자(334)는, 이 표시를 확인하면, 도 6의 스텝 S116에 나타내는 것처럼,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재개, 및 아나운스 동작을 행하게 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6의 스텝 S117, 스텝 S118에 나타내는 것처럼,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와,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를 갱신한다.
한편, 제어반(210)은 복구 진단 동작의 결과, 도 5의 스텝 S112에서 NO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도 5의 스텝 S119로 진행한다. 스텝 S119에 있어서 제어반(210)은, 엘리베이터(20)의 복구에 실패했다고 하는 판정 결과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통신 장치(25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30)에 발신된다. 발신된 판정 결과 신호는, 도 6의 스텝 S120에 나타내는 것처럼 통신 장치(320)에서 수신되고, 판정 결과는 정보 처리 장치(360)에 입력된다. 또, 판정 결과는, 도 6의 스텝 S121에 나타내는 것처럼, 정보 처리 장치(360)로부터 원격 감시 센터(310)에 통지되고, 그 결과가 원격 감시 센터(310)의 디스플레이(331)에 표시된다. 감시자(334)는 이 표시를 확인하면, 도 6의 스텝 S122에 나타내는 것처럼, 엘리베이터(20)의 운행 휴지의 지시, 및 아나운스 동작을 행하게 한다. 또, 감시자(334)는 전화(333)에 의해서 도 2 및 도 6의 스텝 S123에 나타내는 것처럼, 빌딩(10) 인근의 서비스 센터(340)에 기술자(350)를 빌딩(10)에 파견하도록 지시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6의 스텝 S117, 스텝 S118에 나타내는 것처럼,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와,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를 갱신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5의 스텝 S113에 나타내는 것 같은 엘리베이터(20)가 복구되었다고 하는 판정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다음과 같이, 보수 데이터베이스(370)를 갱신한다.
도 5의 스텝 S113에 나타내는 것 같은 엘리베이터(20)가 복구되었다고 하는 판정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이력 데이터(377)의 복구 방법의 항목에 「원격 복구」, 복구 판정 결과의 항목에 「복구」를 격납한다. 먼저, 설명한 것처럼, 통신 장치(320)가 고장 신호를 수신했을 때, 정보 처리 장치(360)는 통신 장치(320)로부터 입력된 고장 코드 「0001」과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고장 발생 일시를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의 고장 이력 데이터(377)에 격납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복구 방법, 복구 판정 결과의 격납에 의해, 고장 이력 데이터(377)의 모든 항목이 갱신되게 된다.
또, 이번 원격 복구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360)는,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를 참조하여, 복구 지령으로서 고장 코드 「0001」의 경우에 가장 건수가 많은 고장 요인인 도어 문턱의 쓰레기 쌓임(고장 요인 1)에 대응하는 복구 동작을 실행시키는 복구 지령인 「도어 회로 리셋+도어 개폐 리트라이」와, 이 복구 동작의 결과에 대응하는 복구 진단 동작을 실행시키는 복구 진단 지령인 「도어 개폐 진단」의 2개로 이루어진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를 선택하여 복구 동작 및 복구 진단 동작을 실행시키고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20)의 복구에 성공했을 경우에는,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의 고장 코드 「0001」, 고장 요인 1(도어 문턱의 쓰레기 쌓임)의 건수를 1건 많게 하고, 복구에 성공한 분만큼 복구율을 높게 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의 고장 코드 「0001」의 고장 요인 1의 건수를 1건 많게 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5의 스텝 S119에 나타내는 것 같은 엘리베이터(20)의 복구에 실패했다고 하는 판정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다음과 같이,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와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를 갱신한다. 도 5의 스텝 S119에 나타내는 것 같은 엘리베이터(20)의 복구에 실패했다고 하는 판정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이력 데이터(377)의 복구 방법의 항목에 「원격 복구」, 복구 판정 결과의 항목에 「실패」를 격납한다. 또,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의 고장 코드 「0001」, 고장 요인 1(도어 문턱의 쓰레기 쌓임)의 건수는 그대로로 하고, 복구에 실패한 분만큼 복구율을 저하시킨다. 또한, 복구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의 고장 코드 「0001」의 고장 요인 1의 건수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360)가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가장 건수가 많은 고장 요인에 기초하여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를 선택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정보 처리 장치(360)가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복구 진단 지령 세트의 복구율에 기초하여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도어 고토크 개폐」의 복구 동작을 대신하여, 통상의 토크로 도어(13, 26)의 개폐 동작을 재차 행하는 「도어 개폐 리트라이」의 복구 동작을 행하는 점이 다르다. 그 외의 동작은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를 선택했을 경우와 같다.
엘리베이터(20)의 원격 복구에 성공하면, 그때까지, 고장 코드 「0001」의 경우에 가장 건수가 많은 고장 요인이었던 도어 문턱의 쓰레기 쌓임(고장 요인 1)의 건수가 많아진다. 이 때문에, 원격 복구 시스템(100)이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가장 건수가 많은 고장 요인에 기초하여 복구 진단 지령 세트를 선택하는 경우, 다음의 원격 복구 시에 고장 코드 「0001」이 입력되었을 때, 정보 처리 장치(360)는, 재차,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를 선택한다. 또,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의 복구율이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의 복구율보다도 높아졌을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360)가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령 중에서 복구율이 가장 높은 지령을 복귀 지령으로서 선택하는 경우에도,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를 선택한다.
한편, 엘리베이터(20)의 원격 복구에 실패하면,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의 고장 코드 「0001」의 고장 요인 1의 건수는 변경되지 않지만,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의 복구율이 저하된다. 이것에 의해,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의 복구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즉,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의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에 대한 복구율 비율이 높아진다. 이 복구율 비율이 고장 요인 2의 건수에 대한 고장 요인 1의 건수의 비율로서 계산되는 건수 비율보다도 커지면,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령 중에서 복구율이 가장 높은 지령을 복귀 지령으로서 선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360)는 다음의 원격 복구 시에 고장 코드 「0001」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복구율이 가장 높은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를 선택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360)가 전회의 원격 복구에서 복구에 실패한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장 요인 1의 다음에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건수가 많은 고장 요인 2에 링크된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를 선택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360)가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령 중에서 복구율이 가장 높은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를 선택하여 엘리베이터(20)의 복구에 성공했을 경우에는,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의 복구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360)는 다음의 원격 복구에서는, 전회와 마찬가지로,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를 선택한다. 한편,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로 엘리베이터(20)의 복구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의 복구율이 낮아진다. 그리고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의 복구율이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의 복구율보다도 낮아지면, 정보 처리 장치(360)는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를 선택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60)가 전회의 원격 복구에서 복구에 실패한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구 진단 지령 세트 B의 다음에 고장 코드 「0001」에 대응하는 복구율이 높은 복구 진단 지령 세트 A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원격 복구 시스템(100)은 원격 복구에 성공하면 고장 요인의 건수, 선택한 복구 진단 지령 세트의 복구율을 증가시킨다. 또, 원격 복구 시스템(100)은 원격 복구에 실패하면 고장 요인의 건수는 그대로로, 선택한 복구 진단 지령 세트의 복구율을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원격 복구에 성공하면, 그 원격 복구에서 선택한 복구 진단 지령 세트가 다음의 원격 복구 시에 선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원격 복구에 실패하면 그 원격 복구에서 선택한 복구 진단 지령 세트가 다음의 원격 복구 시에 선택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이 때문에, 원격 복구의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360)는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로부터 고장 코드에 대응한 복구 가능성이 높은 복구 진단 지령 세트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엘리베이터(20)의 복구의 확실성을 향상시켜 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반(210)으로부터 도어(13, 26)에 관한 고장인 것을 나타내는 고장 코드 「0001」이 출력되었을 경우의 원격 복구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했다. 다음에, 제어반(210)으로부터, 제어 회로에 관한 고장인 것을 나타내는 고장 코드 「0002」가 출력되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고장 코드 「0001」이 출력되었을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은 생략한다.
고장 코드가 제어 회로에 관한 고장을 나타내는 「0002」인 경우, 기술자(350)가 현지에서 점검한 결과, 그 고장 코드 「0002」가 출력된 요인이 제어반(210)에 장착되어 있는 릴레이에 결함이 있는 경우(고장 요인 4)이거나, 릴레이를 구동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에 결함이 있는 경우(고장 요인 5)이거나, 그 외의 고장 요인 6이거나 한다.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는 고장 코드 「0002」의 경우, 릴레이 결함이 요인(고장 요인 4)인 경우가 100건, 릴레이 구동 회로의 결함이 요인(고장 요인 5)인 경우가 50건, 그 외의 고장 요인 6인 경우가 10건이라고 하는 데이터 구조에서, 그 건수가 많은 순으로 데이터가 늘어서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원격 복구 시스템(100)에 의한 복구의 경우, 복구 지령에 의해서 엘리베이터(20)의 복구에 성공했을 경우에 그 복구 지령의 기초가 된 고장 코드에 대응하는 고장 요인의 건수가 전체의 고장 요인의 건수에 추가된다.
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는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에 복구 진단 지령 세트와 복구율을 링크시킨 데이터베이스이다. 이하, 고장 코드가 제어 회로에 관한 고장을 나타내는 「0002」인 경우의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의 데이터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릴레이에 결함이 있는 경우(고장 요인 4)에는, 복구 진단 데이터는 고장 요인 4의 건수 데이터에 복구 지령으로서 「제어 회로 리셋+저속 업, 다운 운전」, 복구 진단 지령으로서 「각층 운전, 고속 운전 진단」의 2개 지령의 세트인 복구 진단 지령 세트 D와, 이 복구 진단 지령에 의한 복구 동작에 의한 복구율 a%를 링크시킨 데이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릴레이 구동 회로에 결함이 있는 경우(고장 요인 5)에는, 복구 진단 데이터는 고장 요인 5의 건수 데이터에 복구 지령으로서 「제어 회로 리셋+최상층, 최하층간 운전」, 복구 지령으로서 「각층 운전, 고속 운전 진단」의 2개 지령의 세트인 복구 진단 지령 세트 E와, 이 복구 진단 지령에 의한 복구 동작에 의한 복구율 b%를 링크시킨 데이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고장 요인 6의 경우에는, 복구 진단 데이터는 고장 요인 6의 건수 데이터에 복구 진단 지령 세트 F와 복구율 c%를 링크시킨 데이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는 고장 코드와, 그 고장 코드에 대응하는 고장 요인과, 그 고장 요인의 건수와, 복구 지령과 복구 진단 지령의 세트인 복구 진단 지령 세트와, 복구율을 대응지어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한 것이다. 또한, 복구율은 복구 진단 지령 세트 E의 b%가 가장 높게 되어 있다.
고장 코드가 「0002」인 경우, 정보 처리 장치(360)가 고장 코드 「0002」에 대응하는 가장 건수가 많은 고장 요인에 기초하여 복구 진단 지령 세트 D를 선택했을 경우, 정보 처리 장치(360)는 복구 진단 지령 세트 D를 제어반(210)에 송신한다. 제어반(210)은 제어 회로 리셋 동작을 실행한 후, 엘리베이터(20)의 엘리베이터 칸(22)을 저속으로 상승, 하강시키는 저속 업, 다운 운전을 실행한다. 그 후, 제어반(210)은 도어(13, 26)의 개폐를 행하지 않고 각층에 정지하는 각층 운전, 복수의 층간을 고속으로 운전하는 고속 운전을 실행하여, 각층에 정지하는 운전, 및 고속으로의 주행 운전에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한다. 제어반(210)은 각층 운전, 고속 운전에서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20)의 복구에 성공한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 또, 각층 운전, 고속 운전에서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제어반(210)은 엘리베이터(20)의 복구에 실패한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 이 판정 결과는 제어반(210)으로부터 통신 장치(250, 320)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360)에 입력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먼저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보다 복구 가능성이 높은 복구 진단 지령 세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고장 이력 데이터(377),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를 갱신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360)가 고장 코드 「0002」에 대응하는 복구율이 가장 높은 복구 진단 지령 세트 E를 선택했을 경우, 정보 처리 장치(360)는 복구 진단 지령 세트 E를 제어반(210)에 송신한다. 제어반(210)은 제어 회로 리셋 동작을 실행한 후, 엘리베이터(20)의 엘리베이터 칸(22)을 최하층과 최상층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최하층, 최상층간 운전을 실행한다. 다음에, 제어반(210)은 먼저 설명한 각층 운전, 고속 운전을 실행하여, 엘리베이터(20)의 복구 진단을 행하여, 엘리베이터(20)의 복구에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에 대한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 먼저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 판정 결과는, 제어반(210)으로부터 통신 장치(250, 320)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360)에 입력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보다 복구 가능성이 높은 복구 진단 지령 세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고장 이력 데이터(377),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를 갱신한다.
다음에, 고장 코드가 브레이크에 관한 고장인 것을 나타내는 「0003」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고장 코드가 브레이크에 관한 고장을 나타내는 0003인 경우, 기술자(350)가 현지에서 점검한 결과, 그 고장 코드 「0003」이 출력된 요인이 제어반(210)의 브레이크 회로의 이상이 요인(고장 요인 7)이거나, 그 외의 고장 요인 8, 고장 요인 9이거나 한다. 이에,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는 고장 코드 「0003」의 경우, 브레이크 회로의 이상이 요인(고장 요인 7)인 경우가 100건, 고장 요인 8인 경우가 50건, 그 외의 고장 요인 9인 경우가 10건이라고 하는 데이터 구조에서, 그 건수가 많은 순으로 데이터가 늘어서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원격 복구 시스템(100)에 의한 복구의 경우, 복구 지령에 의해서 엘리베이터(20)의 복구에 성공했을 경우에 그 복구 지령의 기초가 된 고장 코드에 대응하는 고장 요인의 건수가 전체의 고장 요인의 건수에 추가된다.
도 8에 나타내는 것처럼,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는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에 복구 진단 지령 세트와 복구율을 링크시킨 데이터베이스이다. 이하, 고장 코드가 브레이크에 관한 고장을 나타내는 「0003」인 경우의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의 데이터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브레이크 회로의 이상이 요인(고장 요인 7)인 경우에는, 복구 진단 데이터는 고장 요인 7의 건수 데이터에 복구 지령으로서 「제어 회로 리셋」, 복구 진단 지령으로서 「브레이크 토크 진단」의 2개 지령의 세트인 복구 진단 지령 세트 G와, 이 복구 진단 지령에 의한 복구 동작에 의한 복구율 d%를 링크시킨 데이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고장 요인 8, 고장 요인 9의 경우에는, 복구 진단 데이터는 고장 요인 8 및 고장 요인 9의 각 건수 데이터에 복구 진단 지령 세트 H와 복구율 e%, 복구 진단 지령 세트 I와 복구율 f%를 각각 링크시킨 데이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는 고장 코드와, 그 고장 코드에 대응하는 고장 요인과, 그 고장 요인의 건수와, 복구 지령과 복구 진단의 세트인 복구 진단 지령 세트와, 복구율을 대응지어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한 것이다. 또한, 복구율은 복구 진단 지령 세트 H의 e%가 가장 높게 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반(210)이 브레이크에 관한 고장 발생을 검출했을 경우의 원격 복구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고장 코드가 「0003」인 경우, 정보 처리 장치(360)가 도 5의 스텝 S106에서 정보 처리 장치(360)가 고장 코드 「0003」에 대응하는 가장 건수가 많은 고장 요인에 기초하여 복구 진단 지령 세트 G를 선택했을 경우, 정보 처리 장치(360)는 복구 진단 지령 세트 G를 제어반(210)에 송신한다.
고장 코드가 「0003」인 경우, 이 복구 진단 지령 세트 G를 수신하면, 제어반(210)은, 도 5의 스텝 S109에 나타내는 현장 확인에 있어서, 브레이크 토크 진단 동작을 실행한다. 브레이크 토크 진단 동작은 기계적인 브레이크로 구동 장치(24) 안의 권상기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하고, 권상기에 구동력을 주어 브레이크의 유지력으로 권상기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는 동작이다. 이 동작에서 이상이 없으면, 제어반(210)은, 도 5의 스텝 S109에서 엘리베이터(20)의 현장 확인을 할 수 있었다고 하여 원격 복구의 아나운스를 행한다. 그 후, 도 5의 스텝 S110으로 진행하여, 제어반(210)은 제어 회로 리셋 동작을 실행한다.
그 후, 제어반(210)은 브레이크 토크 진단 동작을 실행한다. 제어반(210)은 이 동작에 의해 권상기의 회전이 없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20)의 복구에 성공한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 또, 권상기가 회전했을 경우에는, 제어반(210)은 엘리베이터(20)의 복구에 실패한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 이 판정 결과는, 제어반(210)으로부터 통신 장치(250, 320)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360)에 입력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복구 가능성이 높은 복구 진단 지령 세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고장 이력 데이터(377),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를 갱신한다.
또, 먼저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장치(360)가 고장 코드 「0003」에 대응하는 복구율이 가장 높은 복구 진단 지령 세트 H를 선택하여 제어반(210)에 복구 동작 및 복구 진단 동작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반(210)은, 브레이크 토크 진단 동작으로 이상이 있었을 경우에는, 원격 복구를 개시할 수 없다고 판단해, 원격 복구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원격 감시 센터(310)에 원격 복구 불가를 통지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원격 복구 시스템(100)은 엘리베이터(20)에서 여러가지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20)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배치된 원격 복구 장치(300)로부터의 지령으로 엘리베이터(20)에 복구 동작, 복구 진단 동작을 실행시켜 엘리베이터(20)의 복구를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기술자(350)를 현지에 출동시키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20)을 단시간에 복구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서비스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원격 복구 시스템(100)은 복구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 회의 원격 복구시 보다 복구 가능성이 높은 복구 진단 지령 세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고장 이력 데이터(377), 고장 요인별 데이터(378),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를 갱신한다. 이 때문에, 원격 복구의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360)는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380)로부터 고장 코드에 대응했던 것보다 적절한 복구 진단 지령 세트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더욱, 엘리베이터(20)의 복구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복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여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서비스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구동계 기기의 원격 복구 시스템>
도 9~도 13을 이용하여, 구동계 기기에 대한 원격 복구 대응이 포함되는 원격 복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는, 도 1에서 나타낸 엘리베이터(20)의 확대도가 예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2)은 와이어(23)에 매달려 있고, 와이어(23)의 타단에는 추(25)(카운터 웨이트)가 매달린다. 와이어(23)는 구동 장치(24)인 회전 전기(400)(권상기)에 걸려 놓여져, 당해 회전 전기(400)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22)(및 추(25))이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 전기(400)는 예를 들면 삼상 교류 동기 모터로 구성된다.
회전 전기(400) 및 엘리베이터 칸(22)을 제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회전 전기(400)에는 브레이크(401)가 마련된다. 브레이크(401)는 예를 들면 회전 전기(400)의 회전축에 장착된 브레이크 드럼과 그 브레이크 드럼에 압접(壓接)/이격가능한 브레이크 슈를 구비한다. 브레이크(401)의 맞물림(압접)/해방(이격)은 제어반(210)(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에 의해서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 전기(400)에는 삼상 배선(403u, 403v, 403w)이 접속되어 있고, 삼상 배선(403u, 403v, 403w)의 타단에는 인버터(402)가 접속된다. 인버터(402)는 회전 전기(400)의 역행시에, 상용 전원 등의 전원을 변환하여, 삼상 배선(403u, 403v, 403w)을 통해서 회전 전기(400)에 공급한다. 또 인버터(402)는 회전 전기(400)의 회생시에, 회전 전기(400)로부터 삼상 배선(403u, 403v, 403w)을 통해서 공급되는 회생 전력을 변환하여 도시하지 않은 축전 장치 등에 공급한다.
인버터(402)는 예를 들면 삼상 인버터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인버터(402)는 하나의 상에 대해 2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있어, 삼상으로 6개의 스위칭 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는 제어반(210)(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에 의해서 제어된다.
삼상 배선(403u, 403v, 403w)에는 전류 센서가 마련된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u상 배선(403u)에 전류 센서(404u)가 마련되고, v상 배선(403v)에 전류 센서(404v)가 마련된다. 삼상 전류의 합은 0이 된다고 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전류 센서(404u) 및 전류 센서(404v)의 값으로부터 w상 전류 Iw를 구할 수 있다. 전류 센서(404u) 및 전류 센서(404v)의 검출치 Iu 및 Iv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제어반(210))에 송신된다.
인코더(406)는 회전 전기(400)의 회전자에 마련되고, 회전자 위상 θ를 검출한다. 또 회전자 위상 θ를 미분함으로써 회전 전기(400)의 회전 속도를 구할 수 있다. 인코더(406)에 의한 회전자 위상 θ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제어반(210))에 송신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는, 인코더(406)로부터 수신하는 회전자 위상 θ, 및 전류 센서(404u) 및 전류 센서(404v)의 검출치 Iu 및 Iv에 기초하여 구동계 기기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에는, 회전 전기(400)에 대한 피드백 루프 제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는 회전자 위상 θ, 전류치 Iu 및 Iv와, 소정의 지령치(예를 들면 토크 지령)에 기초하여, 인버터(402)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PWM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인버터(402)의 제어를 통해서, 회전 전기(400)가 구동 제어된다.
또, 회전 전기(400)의 회전자 위치와 인코더(406)의 기준 위치의 위치에 어긋남이 생기는 자극 어긋남이 생겼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는 자극 어긋남을 해소하는 자극 보정 운전을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회전 전기(400)에 대해서 dq 좌표계를 이용한 비간섭 제어를 행하는 경우, 보상 전압의 값으로부터 자극 어긋남 판정이 가능해진다. 또, d축 전류를 0으로 하는 것 같은 인코더(406)의 위상각 보정에 의해, 자극 어긋남이 해소 가능해진다.
즉, 비간섭 제어에 있어서는, 토크 발생에 기본적으로 불필요한 d축 전류는 0으로 제어된다. 예를 들면, 회전 전기(400)가 회전하면 유기 전압이 생기고, d축 전압에는 q축 전류에 의한 영향이 나타나고, q축 전압에는 d축 전류에 의한 영향이 생긴다. 비간섭 제어에서는 d축 전류를 0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q축 전압에 대한 보상 전압이 출력된다. 바꾸어 말하면 q축 전압이 d축 전류를 간섭하지 않도록 보상 전압을 출력한다. 이 보상 전압이 소정의 임계치 전압을 초과하면, 회전 전기(400)의 회전자 위치와 인코더(406)의 기준 위치의 자극 어긋남이 생겼다고 판정된다. 자극 어긋남 발생 판정 후, 자극 보정이 실행된다. 즉, 인코더(406)가 검출하는 위상각에 보정을 가하고, 그때의 d축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여, 이것이 0으로 수렴했을 때, 회전 전기(400)의 회전자 위치와 인코더(406)의 기준 위치가 일치했다(가지런하게 되었다)고 판정된다.
즉, 만일 엘리베이터(20)의 구동계 기기에 이상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그 원인이 회전 전기(400)와 인코더(406)의 자극 어긋남에 있을 때에는, 기본적으로는 부품 교환 등, 현지에 작업원을 파견하는 것 없이, 엘리베이터(20)의 복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자극 보정은 원격 복구 장치(300)로부터의 지령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원격 복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엘리베이터(20)의 구동계 기기로서, 회전 전기(400), 인버터(402), 인코더(406), 및 전류 센서(404u, 404v)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계 기기에 관한 고장 신호가 발신되었을 때, 자극 보정의 실행 전에, 당해 자극 보정의 실행 가부를 미리 판정한다. 구동계 기기의 고장 원인이 자극 보정과는 상이한 것인 경우, 자극 보정을 행해도 구동계 기기가 복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장의 확대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미리 자극 보정 실행의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자극 보정에 의한 복구율을 향상시켜, 고장의 확대를 억제 가능해진다.
도 10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격 복구 시스템(100)의 개요가 나타내져 있다. 도 2와의 차이는, 원격 복구 장치(300)의 정보 처리 장치(360)에 대해서, 그 기능 블록에, 비상 운전 실행 지령부가 추가되어 있는 점에 있다. 그 외는 도 2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1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격 복구 동작의 순서도가 예시되어 있다. 도 5와의 차이는, 스텝 S103과 스텝 S104의 사이에 스텝 S1002가 삽입되고, 또한 스텝 S1002부터 도 12의 스텝으로 이행하는 참조 기호 4가 마련된 점에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동일한 스텝에 대해서는, 적당히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101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에 의해,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면 구동계 기기의 고장의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가 수신하는 인코더(406)의 회전자 위상 θ, 전류 센서(404u, 404v)로부터 얻어지는 전류 Iu, Iv, Iw에 기초하여 고장 유무가 판정된다. 예를 들면 자극 어긋남의 경우, 회전 전기(400)의 제어계(피드백 루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회전자 위상 θ 및 전류 Iu, Iv, Iw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보상 전압의 값이 소정의 상한 임계치를 초과한다. 이때,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로부터 원격 복구 장치(300)에 고장 신호가 발신된다.
또 스텝 S103에서 정보 처리 장치(360)가 고장 코드를 수신하면, 정보 처리 장치(360)는 당해 고장 코드가 구동계 기기 고장을 나타내는 코드 「0011」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002). 코드 「0011과 상이한 경우는, 스텝 S104로 진행한다.
수신한 고장 코드가 「0011」인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정보 처리 장치(360)는 브레이크(401)의 간헐 제동에 의한 비상 운전의 실행 지령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제어반(210))에 송신한다(S1004).
구동계 기기 고장이 발생했을 때, 원격 복구 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22) 내의 승객을 신속하게 엘리베이터 칸 밖으로 퇴피(退避)시킬 필요가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22)을 움직일 때, 엘리베이터 칸(22) 내에 승객이 있는 상태에서, 고장 판정되어 있는 구동계 기기를 가동시키는 것은 피하는 쪽이 적절하다. 이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는 회전 전기(400)에 대해서 역행 전력의 공급을 정지한 상태에서 브레이크(401)를 간헐 제동시켜, 즉 브레이크 맞물림과 해방을 교호로 행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22)을 승강시키는 비상 운전을 실행한다. 엘리베이터 칸(22)의 이동 방향(올라감/내려감)은, 추(25)와 엘리베이터 칸(22)의 중량차로 정해진다.
이때,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제어반(210))는, 비상 운전시에 있어서의 전류 센서(404u, 404v), 및 인코더(406)의 검출치를 수신하여 차례로 원격 복구 장치(300)에 송신한다. 원격 복구 장치(300)에서는, 원격 감시 센터(310) 및 정보 처리 장치(360)를 통해서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의 운전 이력 데이터로서 이들 값이 기억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칸(22)이 최근층(가장 가까운 층)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06).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착상 스위치(408)가 승강로(11) 내에 마련된 도어 존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에 근접하여 온(ON) 신호가 출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최근층에 도착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006으로 돌아간다.
엘리베이터 칸(22)이 최근층에 도달했을 경우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는, 브레이크(401)를 맞물림 상태로 한다. 또, 도어(13(도 1 참조), 26)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22) 내의 표시기, 음성 출력기 등을 이용하여 퇴피 경고 동작을 실행한다(S1008).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22)으로부터 층상(12)(도 1 참조)으로 퇴피하라는 취지의 문자 표시 및 음성 출력을 행한다.
추가로 엘리베이터 칸(22) 내의 감시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2) 내에 승객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10).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는 화상 인식에 의해 승객의 유무를 판정한다. 또는, 감시 카메라의 화상을 원격 감시 센터(310)에 송신하여 감시자에 의해 승객의 유무를 판정해도 된다.
스텝 S1010에서 엘리베이터 칸(22) 내에 승객이 있는 경우, 스텝 S1008로 돌아가 퇴피 경고 동작을 계속시킨다. 퇴피가 완료되어 엘리베이터 칸(22) 내에 승객이 없어지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는 비상 운전을 종료시켜(S1012), 원격 복구 장치(300)로부터의 지시를 대기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로부터 비상 운전 종료의 신호를 수신하면, 보수 데이터베이스(370)로부터, 전류 센서(404u, 404v) 및 인코더(406)의, 비상 운전시의 운전 이력 데이터를 취득한다(S1014). 또한 취득하는 전류로서 삼상 모든 전류 대신에, 어느 하나의 상의 전류여도 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류 센서(404u)로부터 전류 Iu를 취득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전류의 대표치로서 전류 Iu를 이용하지만, 전류 Iv, Iw를 대신 이용해도 된다.
비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22) 및 추(25)의 승강에 따라서, 와이어(23)가 걸려 놓여진 회전 전기(400)가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자가 구동되고, 인코더(406)가 그 회전자 위상 θ의 변화를 검출한다. 또 회전자의 구동에 따라서 회전 전기(400)가 회생 구동되는 것으로부터, 이것에 따라서 전류 센서(404u, 404v)는 전류(회생 전류)를 검지한다.
도 13 상단에는, 전류 센서(404u)에 의한 전류 Iu의 검출치가 나타내지고, 동 도면 하단에는, 인코더(406)에 의한 회전자 위치 θ의 검출치의 파형이 예시되어 있다. 도 13 상단의 그래프는 세로축에 전류 Iu, 가로축에 시간이 나타내지고, 도 13 하단의 그래프는 세로축에 회전자 위치 θ, 가로축에 시간이 나타내진다. 가로축은 양그래프 모두 동기되어 있다. 또 그래프 중 Bk_OFF는 브레이크(401)가 해방되어 있는 기간(엘리베이터 칸(22)이 승강하는 기간)을 나타내고, Bk_ON은 브레이크(401)가 맞물려 있는 기간(엘리베이터 칸(22)이 정지하는 기간)을 가리키고 있다. 즉, 그래프의 시점(始点)부터 시각 t1까지는 브레이크(401)의 맞물림 기간이고, 시각 t1부터 시각 t2까지는 브레이크(401)의 해방 기간이고, 시각 t3 이후는 다시 브레이크(401)의 맞물림 기간이 된다.
도 13에서는, 자극 어긋남이 발생해 있지만, 인코더(406) 및 전류 센서(404u, 404v)가 정상인, 즉 자극 어긋남과는 상이한 이상은 발생해 있지 않은 예가 나타내져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것처럼, 만일 인코더(406)에 자극 어긋남이 생겨 있었을 경우에도, 회전자 위상 θ와 전류 Iu, Iv, Iw의 변화는 위상 어긋남을 수반하면서 거의 같은 주파수로 추이한다.
한편, 인코더(406) 및 전류 센서(404u, 404v)에, 자극 어긋남과는 상이한 이상, 예를 들면 단선 등이 있는 경우, 도 13과는 상이한 파형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회전 전기(400)가 회생 구동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류 Iu가 일정한 경우나, 회전자가 회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코더(406)가 검출하는 회전자 위상이 일정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상을 근거로 하여, 정보 처리 장치(360)는 비상 운전시의 회전자 위상 θ 및 전류치 Iu, Iv, Iw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 전기(400)에 대해서 복구 동작으로서 실행되는 자극 보정 운전의 실행 가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 장치(360)는 전류 Iu, Iv, Iw의 파형이 주기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016). 예를 들면 상술한 것처럼 값이 일정한 채 변화가 없거나, 주기가 심하게 변동하는 것 같은 파형은 비주기로 판정된다. 비주기로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 S1028로 진행한다.
전류 Iu, Iv, Iw의 파형이 주기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정보 처리 장치(360)는 전류치 Iu, Iv, Iw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형의 극(極)값을 샘플링하여, 전류 주파수 fIu_k, fIv_k, fIw_k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한다(S1018). 이후에는 적당한 대표치로서 전류 주파수 fIu_k를 이용한다. k는 브레이크(401)의 해방 기간에 있어서의 파수(波數)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예에서는 k=1~5이다.
다음에 정보 처리 장치(360)는 인코더(406)가 검출한 회전자 위상 θ의 파형이 주기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020). 예를 들면 전류 Iu, Iv, Iw와 마찬가지로, 값이 일정한 채 변화가 없거나, 주기가 심하게 변동하는 것 같은 파형은 비주기로 판정된다. 비주기로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 S1028로 진행한다.
회전자 위상 θ의 파형이 주기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정보 처리 장치(360)는 인코더(406)의 파형의 극값(피크)을 샘플링하여, 회전자 위상 주파수 fE_k를 구한다(S1022). 전류 주파수 fIu_k와 마찬가지로, k는 브레이크(401)의 해방 기간에 있어서의 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예에서는 k=1~5이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60)는 전류 주파수 fIu_k와 회전자 위상 주파수 fE_k의 차분을 구하고, 이 차분이 소정 차 이내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fIu_1과 fE_1의 차분, fIu_2와 fE_2의 차분,···, fIu_5와 fE_5의 차분을 모두 더하고 이것을 5로 나누어 이것을 차분치로 한다(차분치=Σ(fIu_k-fE_k)/k). 또한 정보 처리 장치(360)는 얻어진 값(차분치)이 소정의 임계치 차분 Δf_th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024). 차분치가 임계치 차분 Δf_th 이상인 경우, 스텝 S1028로 진행한다.
스텝 S1028에서, 정보 처리 장치(36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에 대한 자극 보정의 실행을 금지하고, 원격 복구는 불가능하다고 판정한다. 또한 도 6의 스텝 S125로 진행한다.
스텝 S1024에서 차분치 Σ(fIu_k-fE_k)/k가 임계치 차분 Δf_th 미만인 경우, 정보 처리 장치(36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에 대해서 자극 보정 운전 실행 지령을 출력한다(S1026). 그 후, 복구 진단 동작(S111)이 실행된다. 예를 들면 구동계 기기를 소정의 보수 운전 모드로 운전시킨다. 그 후의 복구 판정(S112)에서는, 복구 진단 동작시에 있어서의 고장 신호의 발신 유무를 판정한다. 고장 신호가 발신되고 있지 않으면, 판정 결과(복구) 발신 스텝(S113)에서 정상 운전으로의 전환이 실행되고, 고장 신호가 발신되고 있으면, 판정 결과(복구 실패) 발신(S119) 스텝에서 원격 복구 장치(300)에 복구가 실패했다는 취지의 신호가 송신된다. 이후의 스텝은 상술에서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격 복구 장치에서는, 구동계 기기의 이상이 검지되었을 때, 자극 보정의 실행이 타당한지 여부를 미리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무익한 (복구 실패의 가능성이 높은) 자극 보정의 실행을 억제 가능해지고, 또 자극 보정의 실행에 따른 고장의 확대를 억제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자극 보정의 실행 가부의 판정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 및 원격 복구 장치(300)의 협동으로 행하고 있었지만, 이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 단독으로 자극 보정의 실행 가부를 판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의 기능부로서 비상 운전 실행 지령부를 마련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가 구동계 기기의 이상을 검지했을 때, 도 12의 플로우를 실행한다. 여기에서는 참조 기호 4가, 구동계 기기의 이상 검지로 치환되어, 도 12의 플로우를 실행하는 트리거가 된다. 도 12의 플로우에 있어서의 각 스텝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가 실행하고, 그 결과(복구 성공/실패)가 원격 복구 장치(300)에 송신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지 본질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는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10: 빌딩 11: 승강로
12: 층상 13, 26: 도어
20: 엘리베이터 22: 엘리베이터 칸
23; 와이어 24: 구동 장치
25: 추 27: 바닥
30, 35: 통신 네트워크 100: 원격 복구 시스템
200: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210: 제어반
250, 320: 통신 장치 300: 원격 복구 장치
310: 원격 감시 센터 330: 감시반
331: 디스플레이 332: 스위치
333: 전화 334: 감시자
340: 서비스 센터 350: 기술자
360: 정보 처리 장치 370: 보수 데이터베이스
371: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 372: 검사 이력 데이터
373: 보수 작업 이력 데이터 374: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
375: 변조 이력 데이터 376: 수리 공사 이력 데이터
377: 고장 이력 데이터 378: 고장 요인별 데이터
379: 운전 이력 데이터 380: 복구 진단 데이터베이스
400: 회전 전기 401: 브레이크
402: 인버터 403u, 403v, 403w: 삼상 배선
404u, 404v: 전류 센서 406: 인코더
408: 착상 스위치 fE_k: 회전자 위상 주파수
fIu_k: 전류 주파수

Claims (4)

  1.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 가능한 회전 전기, 상기 회전 전기의 회전자 위상을 검출하는 인코더, 및 상기 회전 전기에 접속된 배선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를 구비하는 구동계 기기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 가능한 브레이크와,
    상기 인코더가 검출한 상기 회전자 위상과, 상기 전류 센서가 검출한 전류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계 기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고장의 복구 동작을 행하게 하는 원격 복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회전자 위상과 상기 전류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계 기기의 이상을 검지했을 때 고장 신호를 상기 원격 복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원격 복구 장치는,
    상기 구동계 기기의 고장 신호를 수신했을 때, 상기 회전 전기에 대해서 역행 전력의 공급을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의 간헐 제동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비상 운전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고,
    상기 비상 운전시의 상기 회전자 위상 및 상기 비상 운전에 따라서 회생 구동되는 상기 회전 전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류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구 동작으로서 실행되는 상기 회전 전기에 대한 자극 보정 운전의 실행 가부를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운전시의 상기 회전자 위상의 주파수와, 상기 비상 운전에 따라서 회생 구동되는 상기 회전 전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류치의 주파수의 차가 소정 차 이내인 경우에, 상기 원격 복구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대해서 상기 자극 보정 운전을 실행시키는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운전시의 상기 회전자 위상의 파형, 및 상기 비상 운전시의 상기 전류치의 파형 중 적어도 한쪽이 비주기적인 경우에, 상기 원격 복구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대해서 상기 자극 보정 운전의 실행을 금지하는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복구 장치는 상기 비상 운전시의 상기 회전자 위상의 파형 및 상기 전류치의 파형이 주기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자극 보정 운전의 실행 가부를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KR1020197017124A 2016-12-28 2016-12-28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KR102221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9121 WO2018123027A1 (ja) 2016-12-28 2016-12-28 エレベーター故障の遠隔復旧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559A KR20190077559A (ko) 2019-07-03
KR102221491B1 true KR102221491B1 (ko) 2021-03-02

Family

ID=6271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124A KR102221491B1 (ko) 2016-12-28 2016-12-28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87759B2 (ko)
KR (1) KR102221491B1 (ko)
CN (1) CN110088024B (ko)
WO (1) WO2018123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5454B1 (en) * 2017-06-14 2021-09-22 KONE Corporation Automatic fault clearing for elevators, escalators and automatic doors
CN111675063A (zh) * 2020-07-07 2020-09-18 广东卓梅尼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电流监测技术的电梯曳引机故障判定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0318A (ja) * 2008-05-20 2009-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9648B2 (ja) * 1995-06-22 2002-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EP1068661B1 (de) * 1998-09-02 2002-07-03 Wittenstein Motion Control GmbH Notbetriebseinrichtung für eine vorrichtung mit einem elektromotor
JP3960983B2 (ja) * 2004-03-23 2007-08-15 三菱電機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監視センターサーバ
JP4857893B2 (ja) * 2006-05-08 2012-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CN101259930B (zh) * 2008-04-10 2010-11-03 上海交通大学 电梯门系统监测预警系统
KR100949849B1 (ko) * 2008-07-04 2010-03-29 (주)에이치피엔알티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 및 방법
JP6435895B2 (ja) * 2015-02-05 2018-12-1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0318A (ja) * 2008-05-20 2009-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3027A1 (ja) 2018-07-05
CN110088024B (zh) 2020-09-18
KR20190077559A (ko) 2019-07-03
CN110088024A (zh) 2019-08-02
JPWO2018123027A1 (ja) 2019-04-04
JP6587759B2 (ja) 2019-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7097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0121475B (zh) 电梯的远程监视装置
KR102221491B1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JP200815607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6437176B2 (ja) エレベーター故障の遠隔復旧システム
WO2018100606A1 (ja) エレベーター故障の遠隔復旧システム
KR102236152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JP5388801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復旧診断運転装置
KR102162669B1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KR102180954B1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고장의 복구 시스템
KR102143902B1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KR102143904B1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JP2007145472A (ja) 地震管制運転の復旧システム
JP2012051711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システム
KR102161285B1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JP2017013986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6062799A (ja) エレベータの改造方法
JP2011241086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