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849B1 -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849B1
KR100949849B1 KR1020080065009A KR20080065009A KR100949849B1 KR 100949849 B1 KR100949849 B1 KR 100949849B1 KR 1020080065009 A KR1020080065009 A KR 1020080065009A KR 20080065009 A KR20080065009 A KR 20080065009A KR 100949849 B1 KR100949849 B1 KR 10094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elevator car
elevator
voltag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695A (ko
Inventor
송종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피엔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피엔알티 filed Critical (주)에이치피엔알티
Priority to KR102008006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8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excessiv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은, 승강기 운행정보로부터 승강기 카의 언밸런스 부하율을 검출하는 부하검출수단과; 상기 언밸런스 부하율에 따른 적절한 브레이크 라이닝 마찰력을 인가하기 위해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수단과; 상기 전압조정수단에 의해 정해지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브레이크 코일에 인가하여 브레이크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승강기 카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제어수단과;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의 동작에 의한 상기 승강기 카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감시결과를 승강기 운전자에 제공하여 상기 승강기 운전자에 의한 상기 승강기 카 브레이크의 적절한 제어를 가능케 하는 감시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승강기, 구출, 언밸런스, 원격, 브레이크, 마찰

Description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 A Method For Elevator Operation Rescuing Passengers From An Elevator Cage}
본 발명은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기 카의 언밸런스 부하율에 따라서 승강기 카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찰력을 적절히 제어하여, 정전고장에 의한 승객갇힘발생시 등 비상시에 최소 전력으로 승강기 카를 도어오픈존으로 안전이동하고 탑승객의 신속한 구조를 가능케 하는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 카 제어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종래의 승강기 카 제어시스템에서, 승강기 승객갇힘이 발생한 경우 승강기 운전자의 대응은 승강기의 상태에 따라 상이해 진다(제 10 단계).
예컨대, 메인전원이 정상인 경우, 승강기 정지고장의 원인이 전원 리셋에 의해 해소될 수 있는 경우에는 전원을 리셋시켜 기 정의된 구출운전로직에 의한 자동 구출운전을 수행하여 승강기 카를 도어오픈존으로 이동시키고 도어를 오픈하여 승 객을 구출한다(제13단계 내지 제18단계).
예컨대, 승강기 카의 저속운전이 가능한 고장인 경우에는, 승강기 상태를 파악하여 기계실 또는 승강기 카 상부 저속운전을 수행하여 승강기 카를 도어오픈존으로 이동시켜 승객을 구출한다(제12단계,제 19단계, 제16단계 내지 제18단계).
한편, 정전이나 메인전원 트립이 발생한 경우에는, 비상전원을 가동하고, 비상전원 배터리가 충분한 경우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기 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자동구출운전이 수행된다(제11단계, 제20단계, 제21단계, 제15단계 내지 제18단계). 하지만, 비상전원 배터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승강기 카 브레이크 개방에 의한 수동 구출운전을 시도한다(제21단계).
즉, 수동 구출운전을 시도하는 승강기 운전자는 감시반 정보 또는 CCTV 영상정보를 통해 승강기 상태를 파악하고 비상통화장치로 승객과 통화하여 구출방법에 대한 설명을 하고, 승강기 카 브레이크 개방에 의한 승객구출방식을 시도한다(제23단계 내지 제27단계, 제16단계 내지 제18단계).
그러나, 종래의 승강기 카 브레이크 개방에 의해 승객을 구출하는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승강기 카 브레이크 개방에 의해 승강기 카를 구동시켜야 하는 경우는, 승강기 카와 균형추의 무게차에 의해 이동방향이 정해지며, 승강기 카는 가속운동을 하기 때문에 급격한 속도상승으로 승객에 쇼크를 줄 우려가 있다.
특히, 종래의 승강기 카 제어시스템에서는 브레이크 개방시 정상운전의 경우와 동일하게 브레이크를 완전개방하기 때문에 탑승자가 적거나 많아서 승강기 카와 균형추 사이 언밸런스 부하율이 큰 경우에는 승강기 카의 가속도가 크기 때문에 승강기 카는 급격히 가속될 수 있다(이는 한 쌍의 브레이크 암 중에서 일방만을 개방하고 타방을 일시 개방하여 승강기 카를 이동시키는 숙련된 운전자에 의해 수행되는 수동구출운전과정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승강기 카의 가속에 의해 승객에 쇼크를 주거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기 운전자가 브레이크 개방 시간을 매우 짧게 하여 다수 회 신호입력수단을 동작시켜 승강기 카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의하고 있어 고도로 숙련된 전문가가 아닌 경우에는 승객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과속방지 수단을 구비시키는 경우에도 안전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대해 (사후적으로) 브레이크를 오프 제어하여 승강기 카를 정지시키는 방식으로 과속제어를 하기 때문에 승강기 카 내부의 승객은 큰 충격과 공포를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고도로 숙련된 승강기 운전자는 통상 해당 승강기를 직접 조작할 수 있는 가까운 위치에 있지 않기 때문에 승객의 구출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그동안 승객은 갇힌 공간에서 추락의 공포에 시달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 카의 언밸런스 부하율에 따라서 승강기 카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찰력을 적절히 제어하여, 정전으로 인한 승객 갇힘 발생시 등 비상시에 최소 전력으로 승강기 카를 도어오픈존으로 안전이동하고 탑승객의 신속한 구조를 가능케 하는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전으로 인하 승객 갇힘 발생시 등 비상시에 최소 전력으로 승강기 카의 브레이크 개방 제어를 하여 승강기 카를 도어오픈존으로 안전이동시키는 구출운전을 승강기 운전자가 원격지에서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은, 승강기 운행정보로부터 승강기 카의 언밸런스 부하율을 검출하는 부하검출수단과; 상기 언밸런스 부하율에 따른 적절한 브레이크 라이닝 마찰력을 인가하기 위한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수단과; 상기 전압조정수단에 의해 정해지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브레이크 코일에 인가하여 브레이크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승강기 카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제어수단과;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의 동작에 의한 상기 승강기 카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감시결과를 승강기 운전자에 제공하여 상기 승강기 운전자에 의한 상기 승강기 카 브레이크 의 적절한 제어를 가능케 하는 감시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카 승객구출운전 시스템은, 승강기 운전자가 브레이크 개방 신호입력시, 입력된 언밸런스 부하율에 따른 적절한 브레이크 라이닝 마찰력을 인가하기 위해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수단과; 상기 전압조정수단에 의해 정해지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브레이크 코일에 인가하여 브레이크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승강기 카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제어수단과;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의 동작에 따른 상기 승강기 카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감시결과를 상기 승강기 운전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승강기 운전자에 의한 승강기 카 브레이크의 적절한 제어를 가능케 하는 감시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은, 상하 이동하는 상기 승강기 카의 속도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전압조정수단으로 입력함으로써, 상기 전압조정수단이 상기 브레이크 코일 전압을 피드백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피드백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기 카의 언밸런스 부하율이 커짐에 따라 상기 전압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되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은 감소하며, 이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에 인가되는 마찰력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시시스템은, 승강기 카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한 영상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정보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승강기 내부 영상을 관리 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을 피드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시시스템은, 상기 승강기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명령의 이행상태, 승강기의 현재 정지 층, 고장내용, 각종 스위치의 동작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승강기 운행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승강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수단은 로컬의 승강기 관리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승강기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수단은 로컬 또는 원격지의 중앙통제시스템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승강기 운전자가 브레이크 개방을 위한 신호입력수단을 1회 동작시키면, 상기 승강기 카 승객구출운전시스템은 상기 전압조정수단에 의한 전압조정 및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승강기 카 브레이크 제어과정을 적어도 1회 반복수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카 승객구출운전 시스템은, 정전시 승강기 운행모드를 자동 구출 운전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수단과; 상기 모드전환단계에서 자동 구출 운전모드로 전환되면, 승강기 카의 언밸런스 부하율에 대응한 적절한 브레이크 라이닝 마찰력을 인가하기 위해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수단과; 상기 전압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된 전압에 따라 브레이크를 개방하여 상기 승강기 카를 자연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시켜 도어 오픈 존까지 이동시키는 브레이크 제어수단과; 상기 승강기 카의 상태를 순시 검출하여 상기 전압조정수단으로 입력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개방 전압을 피드백으로 연속제어하여 상기 승강기 카의 이동속도가 일정범위에 놓여지도록 하는 피드백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방법은, 정전사고 발생시 비상전원을 온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비상전원이 온 되면 승강기 카의 언밸런스 부하율을 검출하고 적절한 라이닝 마찰력을 유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단계와; 상기 전압조정단계에 의해 조정된 전압에 따라 브레이크 제어수단을 동작시켜 브레이크가 개방되도록 하고 자연력에 의해 정해진 방향으로 상기 승강기 카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능케 하는 브레이크 제어단계와; 상기 브레이크 제어단계의 실행과정 전체에 걸쳐서 상기 승강기 카의 이동속도를 검출하고, 그 이동속도가 기준치를 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하강시키고, 그 이동속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상승시켜서 상기 승강기 카가 일정 속도범위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피드백 제어단계와; 상기 승강기 카의 도어 오픈 존 도달 여부를 검출하고, 도어 오픈 존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을 동작시켜 브레이크를 폐쇄하는 것에 의해 승강기 카를 정지시키는 카 정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정전에 의한 승강기 승객갇힘 발생과 같 은 비상상황 발생시 혹은 승강기 카의 층 레벨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 등의 경우에 관리자가 기계실에 가지 않고도 브레이크 개방에 의한 승강기 카의 안전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승강기 운행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가능하고, 비상시에 신속적절한 대응으로 사용자의 안전감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승강기 카의 위치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피드백 제어가 가능하므로, 상황 변화에 따른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여 승강기 카 비상운전에 안전성을 배가하며, 사용자의 신뢰감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승강기 카 상하 이동이 자연력에 의해 이루어지며 모터 구동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정전 발생으로 저속운전이 불가능한 경우 및 비상전원 배터리의 용량이 작아서 종래 승강기 이동을 모터구동에 의하는 자동 구출운전모드가 실행될 수 없는 경우에도, 승강기 카의 자동 구출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승객 갇힘 발생 등 비상시에 대응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뢰감을 높인다.
본 발명은 승강기 고장이 정전고장으로서 브레이크를 개방하여 승강기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로컬에 승강기에 대한 전문지식이 있는 운전자가 없는 경우에도 원격지의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 승강기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승객의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 템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을 예시한 제어구성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에서 브레이크 개방시 승강기 카의 승객 상태에 따른 승강기 카의 이동상태를 예시한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브레이크 개방전압의 조정상태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카 브레이크의 동작상태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승강기 카 승객 구출시스템(100)은, 승강기 카(50)의 언밸런스 부하율을 검출하는 부하검출수단(110), 적절한 라이닝 마찰력을 인가하기 위한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수단(120), 브레이크(131)의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승강기 카(50)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제어수단(130), 그리고, 승강기 카(50)의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승강기 운전자에 동작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감시시스템(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부하검출수단(110)은, 승강기 카 탑승 인원에 따른 승강기 언밸런스 부하율을 검출하며 상기 전압조정수단에 제공함으로써, 승강기 카 상하이동의 시작 및 전체 상하이동과정에 있어서 과속방지를 위한 적절한 브레이크 개방 전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 언밸런스 부하율은,
언밸런스부하율 0(%) : 총중량(카중량+탑승인원중량) = 카중량+정격인원*50%
언밸런스부하율 50(%): 총중량(카중량+탑승자 중량)= 카무게 + (정격인원중 량 or 0)
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언밸런스 부하율은 균형추(60)와 무게균형이 일치하지 않는 정도를 의미하며, 균형추(60)의 무게는 대략 (카무게 + 정격인원중량*50%)로 주어지기 때문에 이에서 벗어날수록 언밸런스 부하율이 커지게 된다.
이처럼 언밸런스 부하율이 큰 경우는 균형추(60)와의 중량차이가 크기 때문에, 브레이크(131) 개방시 승강기 카(50)의 급하강이나 급상승이 일어나 승객에 충격을 주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언밸런스 부하율이 큰 경우에는 라이닝(135) 마찰력을 크게 하여 승강기의 급하강이나 급상승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밸런스 부하율은 상기와 같은 %비율로 표현된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승강기 운행정보로부터 검출되는 탑승자 수 정보 또는 탑승자(51)의 총 중량 정보 등 탑승객을 포함한 정보로 대신할 수 있는 것이며, 화물중량 등을 포함하거나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의 언밸런스부하율의 지정이나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언밸런스부하율(또는 승객 총중량 등의 정보)은 로컬 또는 원격지 승강기 운전자가 메뉴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승강기 운전자는 감시시스템(150)이 제공하는 감시반(204) 정보나 CCTV 또는 DVR(201)을 통하여 승강기 내부 상태에 대해 시각적으로 확인한 정보 또는 승강기 내 승객과의 직접 통화에 의해 얻은 정보를 토대로 언밸런스 부하율을 추정하고 이 를 로컬 또는 원격지에서 메뉴얼로 입력하여 안전한 브레이크 개방전압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또한, 승강기 제어반(153)에서 발생된 승강기 탑승객(51)에 대한 정보에 오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다각적인 정보를 토대로 승강기 내부상태를 명확히 판단하여 승객구출의 과정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압조정수단(120)은, 입력되는 언밸런스 부하율 또는 카 탑승객(51) 중량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승강기 카(50)의 안전운전을 위한 라이닝 마찰력을 도출하며, 이를 토대로 적절한 브레이크 암(133) 개방 압력을 부여하기 위한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결정한다.
예컨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카(50)의 브레이크(131)가 완전개방되면, 승강기 카(50)는 균형추(60)와 승강기 카(50) 중에서 무게가 큰 쪽으로 이동하는데, 이 경우 언밸런스 부하율이 크게 되면(또는, (탑승객 포함)승강기 카(50)와 균형추(60)의 무게차가 커지게 되면) 승강기 카(50)의 가속도가 커지므로 승강기 카(50)는 급상승 또는 급하강하여 승객에 충격을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c와 같이 브레이크 라이닝(135)에 마찰력을 부여하여(즉, 브레이크(133)를 부분개방하여) 승강기 카(50)의 가속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밸런스 부하율이 크면 탑승객(51)이 정격인원에 가깝거나, 0명에 가까운 경우이므로 균형추(60)와 승강기 카(50)의 무게차가 크기 때문에 라이닝(135) 마찰력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언밸런스 부하율이 작으면 탑승객(51)이 정격인원의 50% 정도에 근접하여 브레이크 라이닝(135)의 슬립시 승강기 카(50)의 가속도가 작기 때문에 라이닝 마찰력을 0(즉, 완전 브레이크 개방)에 가깝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레이크 라이닝 마찰력이 크면 브레이크(131) 개방의 부분적이므로, 승강기 카(50)는 천천히 가속되기 때문에 탑승객(510에 큰 충격 없이 승강기 카(50)는 비교적 긴 거리를 안전하게 일 회에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마찰력이 지나치게 커지면 브레이크 라이닝의 슬립에 의한 승강기 카의 이동속도가 매우 느려 승객 구출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라이닝 마찰력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절한 브레이크 라이닝의 슬립이 일어나는 브레이크 코일 전압을 브레이크 개방 전압으로 하여 브레이크 제어수단(130)으로 입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압조정수단(120)은 일정한 프로그램에 따라 브레이크 코일(132)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거나 승강기 카(50)의 이동속도에 따른 브레이크 코일(132)에 인가되는 전압을 피드백 제어 가능하도록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조정하여 브레이크 제어수단(130)으로 입력하여 승객의 충격이 최소가 되게 할 수 있으며, 전압조정수단의 전압조정방식에는 실시예에 따른 변화가 가능한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 제어수단(130)은, 전압조정수단(120)에서 입력되는 전압 값에 따라 브레이크 코일(132)을 여자시켜 브레이크 라이닝의 슬립을 가능하게 하거나 브레이크(131)를 폐쇄하여 승강기 카를 정지시킨다.
본 실시예의 승강기 제동시에는 브레이크 코일전압을 오프 전환하여 브레이크 라이닝(135)과 스틸케이블(160)의 시브(161) 사이 마찰력에 의해 승강기 카(5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승강기 카(50)의 구동시에는 브레이크 코일전압을 온 전환하여 브레이크 라이닝 슬립이 일어나서 승강기 카(5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때 브레이크(131)를 개방시키는 힘의 크기는 브레이크 코일 전압의 자승에 비례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코일전압을 변화시키면 브레이크 암(133)의 개방량이 달라지며, 스틸케이블(160)의 시브(161)와 브레이크 라이닝(135) 사이 마찰력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승강기 카(50)의 상하이동은, 언밸런스 부하율에 의한 자연력에 따라 무게가 무거운 방향으로 이동하며, 무게 차이 및 브레이크 라이닝 마찰력에 의해 정해지는 가속도에 의해 가속된다. 따라서, 승강기 카 속도는 브레이크 개방 전압이 입력된 순간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속되어 커지게 된다.
그리고, 언밸런스 부하율이 "0" 인 경우에는 균형추(60)와 승강기 카(50)가 균형을 이룬 상태이므로 가속도가 "0"이 되지만 승강기 카 자체의 중력 불균형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등속이동을 하게 되며, 이 경우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카 브레이크(131)를 완전개방하여 승강기 카(5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한편, 이 경우 승강기 카가 균형추와 균형을 유지하고 있어서 브레이크를 완전개방해도 승강기 카가 상승도 하강도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에는 기계실에 인원을 더 배치하여 모터를 수동으로 구동시키는 레버를 이용하여 승강기 카를 근접 도어오픈존까지 이동시켜야 한다).
본 실시예의 승강기 카(50)는 자연력에 따라 가속되기 때문에 일정 거리(또는 시간) 이동하는 과정에서 급속히 이동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승강기 승객 구출시스템(100)에서는 승강기 카의 이동상태를 피드백으로 제어할 수 있는 피드백수단(17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피드백수단(170)은 승강기 카(50)의 이동거리를 펄스카운트에 의해 검출하는 포지션 디텍터(Position Detector, 171)를 포함하며, 포지션 디텍터(171)에 의해 검출되는 이동거리에 따라 승강기 카(50)의 이동속도를 검출하고, 승강기 카(50)의 이동속도가 일정기준을 초과하거나, 승강기 카(50)의 이동거리가 일정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브레이크 폐쇄지령을 전압조정수단으로 입력하여 브레이크 코일 전원을 오프 전환함으로써 승강기 카(50)의 과속에 의한 충격발생이나 승강기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다른 한편, 피드백제어수단(170)은 승강기 카(50)의 이동속도가 일정기준을 초과한 경우 브레이크 폐쇄명령을 내리는 대신 브레이크의 코일전압을 하강시키는 지령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코일전압이 하강하여 브레이크 암(133) 부분폐쇄되고 승강기 라이닝 마찰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감속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의 감시시스템(150)은, 승강기 카(50)의 이동상태를 감시하여 승강기 운전자에 승강기 구동에 필요한 다각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감시시스템(150)은, 승강기 제어반(153)의 승강기 운행정보를 받아서 관리실(또는 로컬이나 원격지의 중앙통제시스템)의 승강기 운전자 즉 감시반(204)에 제공하며, 상기 승강기 운행정보는 승강기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명령의 이행상태, 승강기의 현재 정지 층, 고장내용, 각종 스위치의 동작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감시시스템은, 승강기 카 내·외부의 상태를 카메라(151)로 촬영하여 승강기 운전자에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CCTV나 DVR(201) 등의 영상정보제공시스템과, 승강기 내 승객과 통화하여 승강기 및 승객 상태의 파악 및 적절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비상통화시스템(152,20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승강기 카 구출운전을 수행하는 승강기 운전자는 감시시스템(150)에서 제공되는 승강기 운행정보 예컨대 승강기 운행자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명령의 이행상태, 승강기의 현재 정지 층, 고장내용, 각종 스위치의 동작상태 정보 등을 숙지하고, 승강기 내부를 촬영한 영상 및 승객과의 통화를 통하여 얻어진 승강기 카 내부 상태 및 승객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승강기 운전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기 운전자는 감시시스템(150)이 제공되는 다각적인 다양한 정보를 통합하여 승강기 승객갇힘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게 되면, 승강기의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적절한 승강기 운전모드를 선택하여 승객 구출운전을 수행 된다.
예컨대, 승강기 고장상태가 전원리셋에 의해 해소될 수 있는 경우에는 전원 리셋을 수행하며, 안전계통스위치 트립으로 오프상태로 된 경우에는 안전체크 릴레이를 쇼트시키는 것이 안전한지를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안전체크 릴레이를 쇼트시켜 안전계통스위치를 온상태로 전환시킨다. 또한, 정전이 아닌 경우에는 기계실 또는 카상부 저속운전을 통하여 승강기 카를 카 도어오픈존까지 안전하게 이동시켜 도어를 오픈하여 승객을 구출한다.
그런나, 정전고장이나 메인전원 트립의 경우에는 비상전원에 의해 승강기 카(50)의 구동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비상전원(101) 배터리 상태에 따라 승강기 카의 구동모드를 결정한다. 예컨대, 모터에 의해 승강기 카(50)를 도어오픈존으로 이동시키는 자동 구출운전을 실행하기에 충분한 경우에는 이에 의하지만, 감시시스템(150)의 정보에서 전원이 불충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승강기 운전자는 비상 전원에 의해 승강기 카 브레이크를 개방시켜 중력 불평형에 의해 승강기 카를 이동시키는 수동 구출운전모드에 의해 승객을 구출한다.
또한, 승강기 운전자는 승강기 카(50)를 이동시키는 전 과정에 걸쳐서 브레이크 제어명령의 이행상태를 확인하며, 승강기 카 브레이크 오픈 지령을 일회 수행하거나, 이에 의해 승강기 카(50)가 도어오픈존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는 수회 브레이크 오픈지령을 수행하여 승강기 카(50)의 도어오픈존 안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승강기 카(50)의 운전명령을 내리는 신호입력수단(205)은 관리실(200)에 구비되는 것이지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승강기 기계실에 구비될 수 있고, 승강장 제어장치에 해당 신호입력장치(205)를 구비하여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승강기 관리실(200)이 부재중인 경우를 위해 네트워크상의 다른 관리실, 로컬 또는 원격지의 중앙통제시스템(300), 승강기안전관리원이나 AS 센터 등에서도 승강기 감시시스템(150)의 정보를 통하여 수동 구출운전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승강기 고장이 정전고장으로서 브레이크(131)를 개방하여 승강기 카(50)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로컬의 관리실(200)에 승강기에 대한 전문지식이 있는 운전자가 없는 경우에도 원격지의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 승강기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승객의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승강기 카 승객구출운전 시스템에 의한 구출운전 수행의 각 단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에 의한 구출운전 수행의 각 단계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정전고장이나 메인전원 트립시 승강기 승객갇힘이 발생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이 온상태로 전환되며(제30단계), 비상전원 배터리용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모터를 구동시켜 자동으로 승강기 카를 도어오픈존으로 이동시키는 자동 구출운전모드가 자동으로 실행된다(제31단계, 제15단계 내지 제18단계).
하지만, 비상전원(101) 배터리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는 일반 구출운전모드를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승강기 운전자가 수동으로 승강기 카 브레이크(131)를 조작하여 브레이크 암(133)을 구동시키고 승강기 카(50)를 이동시키는 수동 구출운 전을 실행하게 된다(제31단계, 제32단계).
승강기 운전자는 감시시스템(150)의 정보 즉, 승강기 운행정보, 영상정보, 승객과의 통화내역 등을 숙지하여 승강기 승객갇힘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정전고장으로 승객갇힘이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명되면, 승강기 상태를 점검하여 브레이크 개방에 의한 구출운전을 수행한다.
관리실(200) 또는 중앙통제실(300)의 승강기 운전자는 신호입력수단(205,305)을 동작시켜 승강기 브레이크(131)를 개방시키는 신호를 입력한다(제32단계)
이때, 승강기 운전자는 승강기 운행정보 중 승객에 관련된 정보, 영상정보 및 승객과의 통화내용 등을 토대로 언밸런스 부하율을 추정하여 전압조정수단(120)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부하검출수단(110)은 브레이크 개방 신호입력 및 언밸런스 부하율 입력 상태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의 부하검출수단(110)은, 승강기 운전자에 의한 언밸런스 부하율 입력이 없는 경우 또는 시스템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승강기 운행정보로부터 탑승객(51) 수 또는 카 중량 등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언밸런스 부하율을 추정하여 전압조정수단(120)으로 입력한다(제33단계).
본 실시예의 전압조정수단(120)은 입력된 언밸런스 부하율을 토대로, 승강기 카의 적절한 이동속도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라이닝(135)과 스틸 케이블 시브(161) 사이 마찰력과 그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는 브레이크 암(133)의 개방 정도에 대응하게 브레이크 코일 전압을 조정한다(제34단계).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 제어수단(130)은 전압조정수단(120)에서 조정 입력되는 전압값에 따라서 브레이크 코일(132)을 여자시키며 코일여자에 의한 토오크에 의해 브레이크 암(133)은 스프링(138)의 작용력에 대항하여 개방시킨다(제35단계).
브레이크 암(133)의 개방 정도는 브레이크 코일(132)에 인가되는 전압의 자승에 비례하며, 브레이크 암(133)이 개방되면서 브레이크 라이닝(135)과 스틸케이블의 시브(161)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이 감소하게 되며, 그 압력이 일정치에 이르르게 되면, 승강기 카(50)가 상승 또는 하강한다(제36단계).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 개방에 의하는 수동 구출운전시는 모터에 의한 구동이 아니므로, 브레이크 암(133)의 개방됨에 따라 승강기 카(50)는 브레이크 라이닝(135)과 스틸케이블 시브(161)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을 이기고 탑승객(51) 포함 카무게와 균형추(60)의 무게차에 의해 정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즉, 승객 포함 카무게가 균형추(60)보다 무거운 경우에는 승강기 카가 하강하고, 승객포함 카무게 보다 균형추(60)가 더 무거운 경우에 승강기 카는 상승하며, 시간 경과에 따라 승강기 카는 해당 방향으로 가속된다. 한편, 승객포함 카무게와 균형추의 무게가 동일한 경우에는 승강기 카 자체의 중력 불균형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등속운동하게 된다(제36단계).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설정상태에 따라 1회 브레이크 개방 신호입력으로 승강기 카(50)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 또는 승강기 카(50)의 최대 이동속도가 정해질 수 있다. 신호입력에 따라 승강기 카(50)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거나 이동속도가 일정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브레이크(131)를 폐쇄하고 승강기 운전 자에 의해 브레이크 개방신호입력을 대기하게 된다(제39단계).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설정상태에 따라 승강기 카(50)가 도어오픈존에 도달할 때까지 수회 브레이크(131)의 개방과 폐쇄를 반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에도 각 회 승강기 카(50)의 이동거리 또는 최대 이동속도는 시스템의 설정상태에 따른다(제37단계, 제39단계).
본 실시예의 피드백제어수단(170)은 승강기 카(50)의 위치를 펄스카운트로 검출하는 것에 의해 승강기 카(50)의 이동거리 및 속도를 검출하게 되며, 승강기 이동거리를 초과한 경우에는 브레이크 개방전압 하강 또는 브레이크 폐쇄 지령을 내려서 브레이크 제어수단이 이에 대응하여 브레이크를 제어함으로써 승강기 카 속도를 낮추거나 승강기 카를 정지시킨다(제37단계, 제39단계).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피드백수단(170)은 브레이크의 온오프제어에 한정되지 않고 승강기 카 이동속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상승시키고, 속도가 기준치 초과의 경우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상승시켜 상기 승강기 카가 일정 속도범위에서 동작하도록 연속하여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에도 피드백제어수단(170)은 승강기 카의 이동속도가 안전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승강기 카 브레이크 오프 지령을 내려서 승강기 카를 정지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피드백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피드백제어수단(170)은 상기 승강기 카(50)의 도어 오픈 존 도달 여부를 검출하고, 도어 오픈 존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 단(130)을 동작시켜 브레이크(131)를 폐쇄시키고 승강기 카를 정지시킨다(제38단계, 제16단계).
승강기 카(50)가 정지하면, 승강기 카(50)가 정확하게 도어오픈존에 완전정지하였는지를 검출하고, 도어어픈존에 정지한 것으로 판명된 경우에는 승강기 도어 오픈지령을 내려 탑승객을 구출할 수 있도록 한다(제17단계, 제18단계).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카 승객구출운전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승강기 카 승객구출운전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제어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승강기 카 승객구출운전시스템의 작용의 각 단계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승강기 카 승객구출운전시스템(500) 및 방법은, 승강기 카(50)의 승객구출운전이 자동화된 프로그램에 의해 진행되는 경우로 승강기 승객갇힘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제한된 백업전원에 의해 승강기 카 브레이크 전압제어를 수행하여 승강기 카(50)를 인접 승강기 카 도어오픈존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 승강기 도어를 오픈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상기 자동 구출운전모드(제15단계 내지 제18단계)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기 카(50)를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백업전원 용량이 크게 증가하여 설비구현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된 바에 따라 승강기 카(50)의 이동을 승강기 카(50)와 균형추(60) 사이의 무게 불균형에 따른 라이닝 마찰력을 자동 제어하는 것에 의하므로 배터리 용량이 적은 경우에도 승객구출 운전모드를 수행하여 승객구조를 신속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제 2 실시예의 승강기 카 승객구출운전시스템은, 승강기 카 승객갇힘 고장발생시 승강기 운행모드를 승객구출 운전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수단(555)과, 승강기 카(50)의 적정속도 운행을 위해 승강기 카(50)의 언밸런스 부하율에 대응한 라이닝 마찰력 및 이에 대응하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수단(520)과, 조정된 전압에 따라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승강기 카(5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도어 오픈 존까지 이동시키는 브레이크 제어수단(530), 승강기 카(50)의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암(533)이 동작하는 브레이크 개방 전압을 피드백으로 연속제어하여 상기 승강기 카(50)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피드백 제어수단(5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드전환수단(555)은 승강기 카(50)에 정전고장(또는 메인전원 트립)을 알리는 신호입력을 검출하면, 운행중인 승강기 카(50)의 운전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승강기 카(50)의 상태와 비상전원(501) 배터리 충전상태를 검출한다. 즉, 모드전환수단(555)은 승강기 카(50)에 갇힌 승객을 구출하기 위해 모터구동에 의해 승강기 카를 이동시키는 자동 구출운전 모드의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출한다. 그 결과 배터리 용량이 충분한 경우는 자동 구출운전모드를 모드전환을 하고, 비상전원 배터리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조정으로 승강기 카(50)를 도어오픈존으로 이동시키는 제 2의 자동 구출운전모드로 승강기 모드를 전환한다.
본 실시예의 전압조정수단(520)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승강기 언밸런스 부하율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닝 마찰력 및 코일전압을 조정하고 피드백제어수단(570)과 연동하여 프로그램된 바에 따라 승강기 카(50)의 브레이크 코일전압을 연속하여 산출 조정하여 브레이크 제어수단(530)으로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제어수단(530)은 전압조정수단(520)에서 입력되는 전압값에 따라 승강기 카 브레이크 코일(532)을 여자시키고, 코일 여자에 의해 발생하는 토오크에 의해 브레이크 암(533)이 개방되는데, 브레이크 암(533)의 개방 정도는 코일 여자에 입력되는 전압값의 자승에 비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피드백 제어수단(570)은 프로그램된 바에 따라 승강기 카(50)의 이동상태를 검출하고 검출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압조정수단(520)으로 입력하여 전압조정에 적용되도록 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코일 전압 및 브레이크 암(533) 개방 정도는 피드백으로 제어되어 승강기 카(50)의 안전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 피드백 제어수단(570)은 승강기 카(50)의 위치를 펄스카운트에 의해 검출하는 포지션 디텍터(571)를 구비하는데, 검출한 승강기 카(50)의 위치 정보에 의해 승강기 카(50)의 이동속도가 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피드백 제어수단(570)은 승강기 카 이동거리 또는 이동속도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전압조정수단(520)으로 피드백 입력한다. 따라서 현재 이동속도가 기준치에 미달하는 경우 전압조정수단(520)은 브레이크 코일전압을 상승시키며, 이동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전압조정수단은 브레이크 코일전압을 하향시키는 것에 의해 승강기 카(50)의 이동속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킨다.
한편, 피드백 제어수단(570)에서 입력되는 승강기 카 이동속도가 안전기준치를 초과한 경우는 추락의 우려가 있으므로 브레이크 폐쇄지령(즉, 브레이크 코일 전원 오프)을 내려 승강기 카(50)를 정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부하 검출수단(510)이 언밸런스 부하율을 검출하는 과정과, 전압조정수단(520)이 언밸런스 부하율에 따라 브레이크 라이닝 마찰력을 적절하게 인가하기 위해 브레이크 코일전압을 조정하는 과정과, 조정 전압에 따라 브레이크 제어수단(530)이 동작하는 방식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 2의 자동 구출운전 모드로의 전환 및 자동 구출운전모드 실행 전체 과정이 (승강기 운전자 개입의 여지 없이) 자동화되어 있고, 승강기 카 브레이크가 피드백 제어수단(570)에 의해 연속적인 과정으로 제어되고, 도어 오픈존에 이르기까지 계속적인 제어가 수행된다는 것이 상기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며, 다른 구성 예컨대 감시시스템(550)의 구성이나 브레이크 제어수단(530)의 동작방식 및 브레이크 코일 전압 조정원리 등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의 승강기 카 구출운전시스템에 의한 구출운전 수행의 각 단계를 설명한다.
정전고장 시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이 온상태로 전환되며(제70단계), 모드전환수단(555)은 비상전원(501) 배터리용량을 검출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승강기 카를 도어오픈존으로 이동시키는 자동 구출운전모드(제15단계 내지 제18단계)로 전환 할 것인지, 브레이크 개방에 의한 제 2의 자동 구출운전모드로 전환할 것인지를 검출한다(제71단계).
상기 모드전환수단에 의해 제 2의 자동 구출운전모드로 전환되면, 부하검출수단은 승강기 운행정보 또는 외부입력에 의해 승강기 카의 언밸런스 부하율을 검출하여 전압조정수단(520)으로 입력한다(제72단계).
또한, 전압조정수단(520)은 브레이크 라이닝과 스틸케이블의 시브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을 유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암 개방량이 되도록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조정하여 브레이크 제어수단(530)으로 입력한다(제73단계).
브레이크 제어수단(530)은 상기 전압조정수단(520)에 의해 조정된 전압에 따라 브레이크 코일(532)을 여자시키고, 코일여자로 전압자승에 비례하는 토크를 발생하여 브레이크 암(533)을 오픈시킨다(제74단계).
이때, 승강기 카(50)는 균형추(60)와의 중력불균형에 의해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며 무게차 및 라이닝 마찰력에 의해 결정되는 가속도에 의해 가속된다(제75단계).
본 실시예의 피드백제어수단(570)은 승강기 카의 위치를 펄스카운트로 검출하는 것에 의해 승강기 카의 이동속도를 검출하게 되며 이에 대한 정보를 전압조정수단(520)으로 입력한다.
전압조정수단(520)은 승강기 이동속도가 기준치를 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하강시키고, 그 이동속도가 기준치 미만이거나 과소한 경우에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상승시켜서 상기 승강기 카가 일정 속도범위에서 있도록 제어한다 (제77단계, 제73단계 내지 제79단계).
또한, 본 실시예의 피드백제어수단(570)에서 입력되는 승강기 카(50)의 이동속도가 안전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브레이크 제어수단(530)은 승강기 카 브레이크를 오프 전환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피드백제어를 수행한다(제76단계, 제79단계).
본 실시예의 피드백제어수단(570)은 상기 승강기 카(50)의 도어 오픈 존 도달 여부를 검출하여 전압조정수단(520)으로 입력하며, 승강기 카가 도어 오픈 존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530)이 브레이크를 폐쇄시켜 승강기 카(50)를 정지시킬 수 있게 한다(제78단계, 제16단계).
또한, 피드백 제어수단(570)은 승강기 카(50)가 도어오픈존에 완전히 정지하였는지를 검출하여 도어오픈존에 정지한 것으로 판명된 경우에는 승강기 도어 오픈지령이 발생되어 탑승객을 구출한다(제17단계, 제18단계).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균등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 카 제어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예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을 예시한 제어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에서 브레이크 개방시 승강기 카의 승객 상태에 따른 승강기 카의 이동상태를 예시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브레이크 개방전압의 조정상태를 예시한 그래프.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카 브레이크의 동작상태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에 의한 구출운전 수행의 각 단계를 예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승강기 카 승객구출운전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제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승강기 카 승객구출운전시스템의 작용의 각 단계를 예시한 흐름도.

Claims (11)

  1. 승강기 운행정보로부터 승강기 카의 언밸런스 부하율을 검출하는 부하검출수단과;
    상기 언밸런스 부하율에 따른 적절한 브레이크 라이닝 마찰력을 인가하기 위해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수단과;
    상기 전압조정수단에 의해 정해지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브레이크 코일에 인가하여 브레이크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승강기 카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제어수단과;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의 동작에 의한 상기 승강기 카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감시결과를 승강기 운전자에 제공하여 상기 승강기 운전자에 의한 상기 승강기 카 브레이크의 적절한 제어를 가능케 하는 감시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
  2. 승강기 운전자가 브레이크 개방 신호입력시, 승강기 운전자가 수동 입력한 언밸런스 부하율에 따른 적절한 브레이크 라이닝 마찰력을 인가하기 위해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수단과;
    상기 전압조정수단에 의해 정해지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브레이크 코일에 인가하여 브레이크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승강기 카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제어수단과;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의 동작에 따른 상기 승강기 카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감시결과를 상기 승강기 운전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승강기 운전자에 의한 승강기 카 브레이크의 적절한 제어를 가능케 하는 감시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은,
    상하 이동하는 상기 승강기 카의 속도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전압조정수단으로 입력함으로써, 상기 전압조정수단이 상기 브레이크 코일 전압을 피드백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피드백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카의 언밸런스 부하율이 커짐에 따라 상기 전압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된 브레이크 개방전압은 감소하며, 이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에 인가되는 마찰력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감시시스템은,
    승강기 카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한 영상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정보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승강기 내부 영상을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을 피드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감시시스템은,
    상기 승강기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명령의 이행상태, 승강기의 현재 정지 층, 고장내용, 각종 스위치의 동작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승강기 운행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승강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수단은 로컬의 승강기 관리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승강기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수단은 로컬 또는 원격지의 중앙통제시스템에 구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승강기 운전자가 브레이크 개방을 위한 신호입력수단을 1회 동작시키면, 상기 승강기 카 승객구출운전시스템은 상기 전압조정수단에 의한 전압조정 및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승강기 카 브레이크 제어과정을 적어도 1회 반복수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
  10. 정전시 승강기 운행모드를 자동 구출 운전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수단과;
    상기 모드전환단계에서 자동 구출 운전모드로 전환되면, 승강기 카의 언밸런스 부하율에 대응한 적절한 브레이크 라이닝 마찰력을 인가하기 위해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수단과;
    상기 전압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된 전압에 따라 브레이크를 개방하여 상기 승강기 카를 자연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시켜 도어 오픈 존까지 이동시키는 브레이크 제어수단과;
    상기 승강기 카의 상태를 순시 검출하여 상기 전압조정수단으로 입력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개방 전압을 피드백으로 연속제어하여 상기 승강기 카의 이동속도가 일정범위에 놓여지도록 하는 피드백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시스템.
  11. 정전사고 발생시 비상전원을 온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비상전원이 온 되면 승강기 카의 언밸런스 부하율을 검출하고 적절한 라이닝 마찰력을 유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단계와;
    상기 전압조정단계에 의해 조정된 전압에 따라 브레이크 제어수단을 동작시켜 브레이크가 개방되도록 하고 자연력에 의해 정해진 방향으로 상기 승강기 카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능케 하는 브레이크 제어단계와;
    상기 브레이크 제어단계의 실행과정 전체에 걸쳐서 상기 승강기 카의 이동속도를 검출하고, 그 이동속도가 기준치를 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하강시키고, 그 이동속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개방전압을 상승시켜서 상기 승강기 카가 일정 속도범위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피드백 제어단계와;
    상기 승강기 카의 도어 오픈 존 도달 여부를 검출하고, 도어 오픈 존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을 동작시켜 브레이크를 폐쇄하는 것에 의해 승강기 카를 정지시키는 카 정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방법.
KR1020080065009A 2008-07-04 2008-07-04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 및 방법 KR100949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009A KR100949849B1 (ko) 2008-07-04 2008-07-04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009A KR100949849B1 (ko) 2008-07-04 2008-07-04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95A KR20100004695A (ko) 2010-01-13
KR100949849B1 true KR100949849B1 (ko) 2010-03-29

Family

ID=4181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009A KR100949849B1 (ko) 2008-07-04 2008-07-04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7759B2 (ja) * 2016-12-28 2019-10-0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故障の遠隔復旧システム
MX2021007348A (es) * 2018-12-20 2021-09-21 Inventio Ag Metodo para mover una cabina de ascensor de un ascensor para la evacuacion de los pasajeros y dispositivo de liberacion de freno para mover una cabina de ascensor de un ascensor para la evacuacion de los pasajeros.
CN115535770A (zh) * 2020-12-18 2022-12-30 湖南大举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多轿厢电梯系统的应急救援装置
CN115535769A (zh) * 2020-12-18 2022-12-30 湖南大举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多轿厢电梯系统的应急救援方法
JP7248073B1 (ja) * 2021-10-08 2023-03-29 フジテック株式会社 閉じ込め状況推定装置、出向計画システム、閉じ込め状況推定方法、制御方法、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877B1 (ko) * 1998-07-09 2002-05-09 장병우 엘리베이터의속도제어장치
KR20070084411A (ko) 2007-05-21 2007-08-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20070111741A (ko) 2006-05-19 2007-11-22 (주)에이치피엔알티 승강기 승객갇힘 검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877B1 (ko) * 1998-07-09 2002-05-09 장병우 엘리베이터의속도제어장치
KR20070111741A (ko) 2006-05-19 2007-11-22 (주)에이치피엔알티 승강기 승객갇힘 검출시스템
KR20070084411A (ko) 2007-05-21 2007-08-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95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30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2141108B1 (en) Brake device for elevator
EP30039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rescue run
EP2537790A1 (en) Elevator device
KR100949849B1 (ko) 승강기 카 승객 구출운전 시스템 및 방법
JP511497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928118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20170110122A (ko) 리프트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JP2013028423A (ja) 災害対応型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7276986A (ja)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故障救出方法
JP3681602B2 (ja) エレベーターの閉じ込め遠隔救出装置
JP2012025558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EP2020395B1 (en) Actuation process and device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elevator apparatuses
JP482746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975758B1 (ko)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
EP3495302B1 (en) Elevator apparatus and method
JP4265938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用運転装置
JP4754833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733190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558352B2 (ja) エレベータの故障時救出運転装置
JP6902935B2 (ja)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開閉システム
JP494602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48822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および閉じ込め救出運転方法
JPH06227771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EP4177206A1 (en) Avoiding entrapment in an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