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700B1 -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700B1
KR102218700B1 KR1020130073190A KR20130073190A KR102218700B1 KR 102218700 B1 KR102218700 B1 KR 102218700B1 KR 1020130073190 A KR1020130073190 A KR 1020130073190A KR 20130073190 A KR20130073190 A KR 20130073190A KR 102218700 B1 KR102218700 B1 KR 102218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ovinylidene
weight
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155A (ko
Inventor
코지 호시바
사토시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3154496A priority Critical patent/JP6411715B2/ja
Priority to CN201310316586.8A priority patent/CN103579561B/zh
Priority to US13/951,407 priority patent/US9385358B2/en
Publication of KR2014001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다공질 기재, 그리고 상기 다공질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위치하는 접착성 다공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성 다공질층은 제1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제2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필러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SEPARATOR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근래 태블릿 단말기, 스마트폰의 급격한 보급에 따라 리튬 이차 전지는 고용량뿐만 아니라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리튬 이차 전지의 외장 재료로 전지 사이즈 설계가 자유로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은 강성이 낮아서 이를 외장 재료로 사용할 경우 이차 전지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일 구현예는 내좌굴성 및 고온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구현예는 다공질 기재; 및 상기 다공질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위치하고, 제1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제2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필러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성 다공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0 이상이고, 상기 제2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상기 플루오로비닐리덴의 총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포함되고, 상기 필러 입자는 평균입경(D50)이 1.5 내지 3 ㎛ 이고 평균입경(D10)이 1 ㎛ 이상인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필러 입자는 상기 접착성 다공질층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0 이상 3,000,0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상기 플루오로비닐리덴의 총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러 입자는 가교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가교 폴리스티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양극; 음극;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세퍼레이터; 및 상기 양극, 상기 음극 및 상기 세퍼레이터를 함침하는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음극은 음극 활물질, 수용성 고분자 및 엘라스토머계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내좌굴성 및 고온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권회 소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영역 A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예로 리튬 이차 전지의 굴곡 시험 시, 압자의 변위와 압자에 걸리는 시험력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일 구현예에 따른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일 구조를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권회 소자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서 영역 A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권회 소자(100), 전해액 및 외장 재료를 포함한다.
도 1a를 참고하면, 상기 권회 소자(100)는 음극(10), 세퍼레이터(20), 양극(30) 및 세퍼레이터(20)가 순서대로 적층된 전극 적층체(100a)를 길이 방향으로 감아서 B로 표시되는 화살표 방향으로 압축한 것이다.
도 1a에서 영역 A를 확대한 도 1b를 참고하면, 상기 세퍼레이터(20)는 다공질 기재(20c) 및 상기 다공질 기재(20c)의 적어도 일면, 구체적으로는 양면에 형성된 접착성 다공질층(2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질 기재(20c)는 리튬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기재로서 충분한 물성 및 이온 투과성을 가지기 위한 미세 공극을 가지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다공질 기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 셀룰로오스계 부직포, 세라믹스 페이퍼, 폴리이미드, 아라미드 등의 내열성 다공질 시트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다공질층(20a)은 제1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VDF-HFP) 공중합체, 제2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VDF-HFP) 공중합체, 그리고 필러 입자(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VDF-HFP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0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000,000 이상 3,000,000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500,000 이상 2,500,000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VDF-HFP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포액의 점도가 적당히 유지되어 고형분의 비율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접착성 다공질층 표면의 평활성이 향상되고 세퍼레이터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일본분광사(JASCO CORPORATION)의 GPC-900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측정에 사용되는 컬럼은 토소사(TOSOH CORPORATION)의 TSKgel Super AWM-H를 이용할 수 있고,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VDF-HFP 공중합체는 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상기 플루오로비닐리덴의 총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리튬 이차 전지의 내좌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좌굴성은 리튬 이차 전지의 일 방향으로 압축 하중을 가하여 접히도록 할 경우 얼마나 잘 접히는가(구부러지는가)의 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내좌굴성이란 이러한 접힘(구부러짐)에 대한 내성이 강한 물성을 나타낸다. 즉, 전지를 접기 위한 힘의 정도가 클수록 내좌굴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함유율은 NMR 스펙트럼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함유율은 각각 상기 제1 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VDF-HFP 공중합체 20mg을 디메틸 술폭사이드 0.6ml에 용해하고 이 용액의 19F-NMR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VDF-HFP 공중합체의 각각의 함유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VDF-HFP 공중합체는 상기 접착성 다공질층의 총량에 대하여 2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2 VDF-HFP 공중합체는 상기 접착성 다공질층의 총량에 대하여 2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러 입자(20b)는 평균입경(D50)이 1.5 내지 3 ㎛,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2.5 ㎛ 일 수 있고, 평균입경(D10)이 1 ㎛ 이상인 입자일 수 있다. 상기 필러 입자의 평균입경(D10)의 상한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면 1.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필러 입자가 상기 범위 내의 평균입경을 가질 경우, 서로 뭉치지 않고 얇고 균일한 접착성 다공질층(20a)을 다공질 기재(20c) 위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평균입경(D50)은 메디안 직경일 수 있고, 50 체적%의 체적기준누적 값에 대응하는 입자 직경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균입경(D10)은 10 체적%의 체적기준누적 값에 대응하는 입자 직경일 수 있다. 상기 평균입경은 상기 필러 입자를 구형으로 간주했을 때의 입자 직경이며, 예를 들면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측정 장치(MALVERN사, MASTER SIZER)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필러 입자의 형상은 상기 평균입경의 범위 내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분쇄 및 분급으로 제조하는 것 보다 고분자를 유화 중합 및 현탁 중합하여 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필러 입자는 구체적으로 가교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가교 폴리스티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 중 좋게는 가교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교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 원료로 한 중합체로서, 화학적으로 3차원으로 가교된 중합체를 의미한다. 화학적인 3차원의 가교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관능 모노머에 의한 중합시 가교시키는 방법, 가교성기 함유 모노머를 도입하여 가열 처리하는 방법, 중합체에 전자선 조사 등의 후처리에 의해 가교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필러 입자는 상기 접착성 다공질층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러 입자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리튬 이차 전지의 내좌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다공질층(20a)은 상기 제1 VDF-HFP 공중합체, 상기 제2 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필러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접착성 다공질층과 각 전극과의 전단 방향의 결착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좌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다공질층을 구성하는 물질, 즉, 상기 제1 VDF-HFP 공중합체, 상기 제2 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필러 입자를 분산매에 분산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 용액을 다공질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여,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량의 상기 혼합 용액을 보유한 다공질 기재를, 상기 다공질 기재의 반송로를 개재해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가지며 대치하는 2개의 마이어 바의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혼합 용액을 상기 다공질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마이어 바의 직경 또는 상기 클리어런스의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도막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용액을 보유하게 하는 방법으로 함침법, 스프레이법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 좋게는 상기 혼합 용액의 용기에 상기 다공질 기재를 침지 및 통과시키는 함침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마이어 바를 통과한 다공질 기재는 응고 액내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다공질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성 다공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질 기재로 유지시키는 액의 양은 상기 다공질 기재의 내부에 함침되는 혼합 용액의 양과 상기 다공질 기재의 표면에 균일하게 형성하는 접착성 다공질층의 두께, 상기 혼합 용액의 물성이나 상기 다공질 기재에의 혼합 용액의 유지 및 지지성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 용액을 상기 다공질 기재의 양면에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음극(10)은 음극 집전체(10b) 및 상기 음극 집전체(10b)의 적어도 일면, 구체적으로는 양면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10a)을 포함한다.
상기 음극 집전체(10b)는 도전체이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켈 도금 강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10b)에는 음극 단자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10a)은 음극 활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과의 합금화, 또는 리튬의 가역적인 흡장 및 방출이 가능한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리튬, 인듐, 주석, 알루미늄, 규소 등의 금속 및 이들 합금이나 산화물; Li4 /3Ti5 /3O4, SnO 등의 전이금속산화물; 인조흑연, 천연흑연, 인조흑연과 천연흑연과의 혼합물, 인조흑연을 피복한 천연흑연, 흑연탄소섬유, 수지 소성 탄소, 열분해 기상성장 탄소, 코크스, 메소카본 마이크로비즈(MCMB), 퍼푸릴 알코올 수지 소성 탄소, 폴리아센, 피치계 탄소섬유, 기상성장 탄소섬유, 천연흑연, 난 흑연화성 탄소 등의 탄소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중 좋게는 상기 탄소 재료 중에서도 흑연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10a)은 증점제 및 결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음극 활물질층 슬러리를 도포에 적당한 점도로 조정하는 동시에 상기 음극 활물질층(10a) 내에서 결착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로는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예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이들의 암모늄 염 또는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폴리아크릴산염;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이의 변성물;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전분; 인산 전분; 카제인; 각종 변성 전분; 키틴; 키토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중 좋게는 상기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고, 더욱 좋게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착제는 상기 음극 활물질층(10a)의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음극 활물질층(10a)에 가요성(flexibility)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결착제는 유기용매를 분산매로 하는 슬러리에 첨가될 경우, 유기용매에 용해할 수 있는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의 예로는, 플루오로비닐리덴 중합체,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 이들의 산 변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제는 물을 분산매로 하는 슬러리에 첨가될 경우, 상기 결착제는 물 분산체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결착제로는 엘라스토머계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계 고분자의 예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부타디엔 고무(BR),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천연 고무(NR), 이소프렌 고무(I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EPDM), 클로로프렌 고무(CR),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CSM),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부분 수소화물 또는 완전 수소 화물,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결착성 향상을 위해 카르복실산기, 술폰산기, 인산기, 수산기 등의 극성 작용기를 가지는 단량체에 의해 변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 상기 증점제 및 상기 결착제의 조성비를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음극 활물질층(10a)은 상기 음극 활물질 90 내지 99 중량%, 상기 증점제 0.5 내지 5 중량% 및 상기 결착제 0.5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1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양극(30)은 양극 집전체(30b) 및 상기 양극 집전체(30b)의 적어도 일면, 구체적으로 양면에 형성된 양극 활물질층(30a)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 집전체(30b)는 도전체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니켈 도금 강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30b)에는 양극 단자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층(30a)은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흡장 및 방출하는 것이 가능한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리튬 코발트 산화물, 리튬 니켈 산화물, 리튬 니켈 코발트 산화물, 리튬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산화물,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산화물,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인산 철 산화물, 황화니켈, 황화구리, 황, 산화철, 산화 바나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중 좋게는 층상 암염형 구조를 가지는 상기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층상이란 얇은 시트 형의 형상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암염형 구조란 결정 구조의 1종인 염화나트륨형 구조를 말하며, 양 이온 및 음이온 각각이 형성하는 면심입방 격자가 서로 단위격자의 모서리의 1/2만 어긋난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층상 암염형 구조를 가지는 상기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Li1 -x-y- zNixCoyAlzO2
[화학식 2]
Li1 -x-y- zNixCoyMnzO2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0<x<1, 0<y<1, 0<z<1, 및 x+y+z<1 이다.)
상기 양극 활물질층(30a)은 결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착제는 상기 양극 활물질들을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양극 활물질과 상기 양극 집전체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폴리플루오로비닐(PVF) 등의 불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제는 전술한 엘라스토머계 고분자일 수도 있다.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은 각각 도전 보조제, 첨가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극(10) 및 상기 양극(30)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각각 음극 및 양극 구성하는 물질을 분산매에 분산하여 각각 음극 활물질층 슬러리 및 양극 활물질층 슬러리를 제조한 후, 각각의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한 후, 가열 건조에 의해 분산매를 제거하여 음극 및 양극을 각각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적층체(100a)는 상기 음극(10), 상기 세퍼레이터(20), 상기 양극(30) 및 상기 세퍼레이터(20)를 순서대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 적층체(100a)의 한 면에는 상기 세퍼레이터(20)가 배치되고 다른 한 면에는 상기 음극(10)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전극적층체(100a)를 감으면 상기 세퍼레이터(20)에 상기 음극(10)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권회 소자(100)는 B로 표시되는 화살표와 평행한 방향으로 전도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은 리튬염을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이다.
상기 리튬염은 LiPF6, LiClO4, LiBF4, LiAsF6, LiCF3SO3, LiCF3CF2SO3, LiC(CF3SO2)3, LiN(CF3SO2)2, LiN(CF3CF2SO2)2, LiN(CF3SO2)(C4F9SO2), LiN(CF3CF2CO)2, LiBOB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환형 탄산 에스테르나,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등의 쇄상 탄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전해액은 상기 양극, 상기 음극 및 상기 세퍼레이터에 함침될 수 있다.
상기 외장 재료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양극 제조)
LiCoO2 95 중량%, 도전제로서 카본 블랙 2 중량% 및 결착제로서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 3 중량%를 혼합한 후, 이를 분산매인 N-메틸-2-피롤리돈에 분산하여 양극 활물질층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층 슬러리를 두께 15㎛의 알루미늄 박으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의 양면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롤 프레스기로 압축 성형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양극 집전체에 양극 단자를 장착하였다. 상기 양극 집전체의 양면에 형성된 양극 활물질층의 두께는 110 ㎛ 이었다.
(음극 제조)
흑연 분말 98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나트륨 염 1 중량%, 그리고 카르복시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물 분산체 1 중량%를 분산매인 탈이온수에 분산하여 음극 활물질층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층 슬러리를 두께 9㎛의 구리 박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의 양면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롤 프레스기로 압축 성형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음극 집전체에 음극 단자를 장착하였다. 상기 음극 집전체의 양면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의 두께는 120 ㎛ 이었다.
(세퍼레이터 제조)
중량평균분자량이 1,950,000인 제1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VDF-HFP) 공중합체(플루오로비닐리덴 97 중량%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3 중량%) 1.5 중량%, 중량평균분자량이 470,000인 제2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VDF-HFP) 공중합체(플루오로비닐리덴 89 중량%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11 중량%) 3.5 중량%, 평균입경(D10)이 1.3㎛이고 평균입경(D50)이 1.8㎛이고 가교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필러 입자 5 중량부, 디메틸 아세트아미도 66.5 중량%, 그리고 트리프로필렌글리콜 28.5 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물 50 중량%,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30 중량%, 그리고 트리프로필렌글리콜 20 중량%로 이루어지는 응고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 용액을 두께 9㎛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의 양면에 도포하였다. 도포는 일본특허 제4588286호의 도 1에 제시된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이때, 계량 및 평활화 지그에는 직경 20 mm의 마이어 바를 이용하였다. 2개의 마이어 바와 상기 응고 용액 사이의 에어갭은 7cm로 하였다. 2개의 마이어 바 간의 클리어런스를 40㎛로 하여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이 2개의 마이어 바 사이의 중앙에 오도록 설치하였다. 이후, 30℃로 조절한 상기 혼합 용액과 40℃로 조절한 상기 응고 용액을 소정의 용기에 넣었다.
상기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3m/분의 속도로 이동시키고, 도포 및 응고시킨 후, 수세 및 건조하여 세퍼레이터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응고 시간은 30초 였고, 상기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의 양면에 형성된 접착성 다공질층의 막 두께는 3㎛ 였고, 중량이 2g/m2 이었다.
(리튬 이차 전지 제작)
위에서 제조된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를 도 1에 나타낸 순서대로 겹친 후, 길이 방향으로 감아서 압축하여 편평상 권회 소자를 제작하였다.
상기 권회 소자를 내측으로부터 폴리프로필렌/알루미늄/나일론의 3층으로 이루어진 두께 120㎛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외장 재료에 삽입하고, 전극 단자를 열 융착에 의해 외장 재료로부터 꺼냈다.
상기 권회 소자가 삽입된 외장 부재 내에,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DEC)(EC:DEC=3:7의 중량비)의 혼합 용매에 1.2 mol/l의 농도로 LiPF6를 용해시킨 전해액을 주입하고, 감압 하에서 외장 재료의 나머지의 1변을 열 융착하여 감압 밀봉하였다. 이를 금속판에서 80℃에서 3분간 가열하여, 두께 3mm × 폭 30mm × 높이 30mm인 리튬 이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에서 제1 VDF-HFP 공중합체, 제2 VDF-HFP 공중합체 및 필러 입자의 조성을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변경하여 세퍼레이터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평가 1: 초기 방전 용량 측정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각각의 리튬 이차 전지를 25℃에서 30mA의 정전류에서 4.2V까지 충전하고, 계속해서 충전 전류 3mA까지 정전압 충전을 하였다. 이후, 60mA로 종지 전압 3.0V까지 정전류 방전을 하였다. 이때 방전된 용량은 초기 방전 용량에 해당된다.
평가 2: 굴곡 시험
평가 1에서 초기 방전 용량을 측정한 후, 시마즈제작소(Shimadzu Corporation)사의 탁상형 정밀만능시험기 AGS-X를 이용하여 좌굴 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 이차 전지를 15mm의 간극을 가진 지그에 싣고, 간극 직경 2mmφ의 곡률, 폭 30mm의 압자를 권회 소자에 대하여 평행해지게 배치하였다. 그리고, 압자에서 아래 방향으로 1mm/분으로 누를 때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고, 하중의 최대치를 리튬 이차 전지의 좌굴점으로 간주하여 좌굴 강도를 측정하였다.
도 2는 일 예로 리튬 이차 전지의 굴곡 시험 시, 압자의 변위와 압자에 걸리는 시험력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서는, 29000 mN의 하중에서 좌굴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바, 리튬 이차 전지가 29000 mN의 좌굴 강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평가 3: 고온 수명 특성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각각의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하여 평가 1의 초기 방전 용량을 측정한 후, 50℃의 항온조 내에서 300mA로 4.2V까지 충전하고, 계속해서 전류 30mA까지 정전압 충전을 하였다. 이후, 3.0V까지 300mA로 정전류 방전을 하였다. 이러한 충방전 조작을 300회 반복한 후, 방전 용량을 측정하여, 용량 유지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용량 유지율(%)은 50℃에서 초기 방전 용량 대비 300회 방전 용량의 백분율로 얻어진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4
PVdF 중량평균분자량 - - - - - - 47만 - - -
함량(중량%)* - - - - - - 5 - - -
제1 VDF-HFP 공중합체 중량평균분자량 195만 195만 195만 195만 195만 195만 - 195만 - 195만
HFP 함유량(중량%)** 3 3 3 3 3 3 - 3 - 3
함량(중량%)* 1.5 3.5 1.5 3.5 3.5 3.5 - 5 - 1.5
제2 VDF-HFP 공중합체 중량평균분자량 47만 47만 47만 47만 47만 47만 - - 86만 47만
HFP 함유량(중량%)** 11 11 11 11 11 11 - - 11 11
함량(중량%)* 3.5 1.5 3.5 1.5 1.5 1.5 - - 5 3.5
필러 입자(중량부)*** 5 5 5 10 15 30 - - - -
디메틸 아세트아미드(중량%)* 66.5 66.5 66.5 66.5 66.5 66.5 66.5 66.5 66.5 66.5
트리프로필렌글리콜(중량%)* 28.5 28.5 28.5 28.5 28.5 28.5 28.5 28.5 28.5 28.5
좌굴강도(mN) 52000 48000 54000 53000 53000 53000 30000 39000 41000 44000
용량 유지율 (%) 88 91 86 92 92 93 85 82 77 80
- (중량%)*는 PVdF, 제1 VDF-HFP 공중합체, 제2 VDF-HFP 공중합체,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총합 100을 기준으로 나타낸 단위이다.
- (중량%)**는 제1 VDF-HFP 공중합체의 총량 또는 제2 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을 기준으로 각각의 HFP의 함유량을 나타낸 단위이다.
- (중량부)***는 PVdF, 제1 VDF-HFP 공중합체, 제2 VDF-HFP 공중합체,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총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나타낸 단위이다.
- 제1 VDF-HFP 공중합체 및 제2 VDF-HFP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다음 조건으로 일본분광사(JASCO CORPORATION)의 GPC-900에 의해 측정되었다.
컬럼: TSKgel Super AWM-H(2개)(동소(thor) 社)
이동상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DMF)
표준 시료: 단분산 폴리스티렌(동소(thor) 社)
컬럼 온도: 40℃
유량: 10 ml/분
-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의 함유율은 각각 제1 VDF-HFP 공중합체 및 제2 VDF-HFP 공중합체 20mg을 디메틸 술폭사이드 0.6ml에 100℃에서 용해하고 이 용액의 19F-NMR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얻어졌다.
- 필러 입자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Triton X-100)를 함유한 물에 분산시켜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시스멕스社 마스터사이더-2000)를 이용하여 필러 입자의 평균입경을 측정하였다. 이때 체적 기준의 입도 분포에 대하여, 작은 사이즈로부터 체적 누적이 10%가 되는 입자 지름을 평균입경(D10)으로, 체적 누적이 50%가 되는 입자 지름을 평균입경(D50)으로 얻었다.
상기 표 1을 통하여, 일 구현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6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4 대비 우수한 고온 수명 특성을 유지하면서 향상된 내좌굴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100: 권회 소자
100a: 전극 적층체
10: 음극
20: 세퍼레이터
20a: 접착성 다공질층
20b: 필러 입자
20c: 다공질 기재
30: 양극

Claims (7)

  1. 다공질 기재; 및
    상기 다공질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위치하고, 제1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상기 제1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구조가 다른 제2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필러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성 다공질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500,000 이상이고,
    상기 제2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에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는 상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상기 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총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포함되고,
    상기 접착성 다공질층 내 상기 제1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상기 제2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제1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20 중량% 내지 80 중량%이고,
    상기 필러 입자는 평균입경(D50)이 1.5 내지 3 ㎛ 이고 평균입경(D10)이 1 ㎛ 이상인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입자는 상기 접착성 다공질층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500,000 이상 3,000,000 이하인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에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는 상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상기 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총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입자는 가교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가교 폴리스티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6. 양극;
    음극;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세퍼레이터; 및
    상기 양극, 상기 음극 및 상기 세퍼레이터를 함침하는 전해액
    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음극 활물질, 수용성 고분자 및 엘라스토머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130073190A 2012-07-25 2013-06-25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218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54496A JP6411715B2 (ja) 2012-07-25 2013-07-25 リチウム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CN201310316586.8A CN103579561B (zh) 2012-07-25 2013-07-25 用于可再充电锂电池的隔板和包括其的可再充电锂电池
US13/951,407 US9385358B2 (en) 2012-07-25 2013-07-25 Separator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4505 2012-07-25
JPJP-P-2012-164505 2012-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155A KR20140016155A (ko) 2014-02-07
KR102218700B1 true KR102218700B1 (ko) 2021-02-22

Family

ID=5026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190A KR102218700B1 (ko) 2012-07-25 2013-06-25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11715B2 (ko)
KR (1) KR102218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0262B (zh) * 2013-05-15 2019-03-12 株式会社吴羽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结构体、非水电解质二次电池以及该结构体的制造方法
WO2016002567A1 (ja) 2014-06-30 2016-01-07 帝人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系二次電池
WO2017002947A1 (ja) * 2015-07-02 2017-01-05 帝人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非水系二次電池及び非水系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17084621A (ja) * 2015-10-28 2017-05-18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測定方法及び電池電極
EP3376561A4 (en) * 2015-11-11 2018-09-19 Teijin Limited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cell, and non-aqueous secondary cell
KR102063594B1 (ko) 2015-11-11 2020-01-09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비수계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계 이차전지
WO2017094252A1 (ja) * 2015-11-30 2017-06-0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接着層用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接着層、積層体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KR102162403B1 (ko) 2016-05-17 2020-10-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8055882A1 (ja) * 2016-09-21 2018-03-29 帝人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系二次電池
TWI750288B (zh) * 2016-12-27 2021-12-21 日商東麗股份有限公司 電池用隔離材、電極體及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6824559B2 (ja) * 2017-02-13 2021-02-0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接着層を備えたリチウム二次電池用分離膜
CN110249449B (zh) * 2017-03-17 2022-03-08 东丽株式会社 电池用隔膜、电极体和非水电解质二次电池
CN111357133B (zh) * 2017-11-30 2022-10-25 帝人株式会社 非水系二次电池用隔膜及非水系二次电池
KR102211371B1 (ko) * 2018-02-12 2021-0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TWI803648B (zh) * 2018-06-12 2023-06-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含無機塗層的電化學裝置用之隔板及彼之製造方法
KR20240035802A (ko) * 2021-07-16 2024-03-18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스 이태리 에스.피.에이.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CN114142176B (zh) * 2021-11-30 2023-08-25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1135A (ja) * 2003-02-03 2004-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735A (ja) * 2000-04-17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6120462A (ja) * 2004-10-21 2006-05-11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質電池
KR101040482B1 (ko) * 2008-03-04 2011-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코팅층이 코팅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054976B1 (ko) * 2009-03-31 2011-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US10312491B2 (en) * 2009-12-04 2019-06-0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eparator and battery
KR20110083515A (ko) * 2010-01-13 2011-07-20 소니 주식회사 세퍼레이터 및 비수 전해질 전지
KR101680187B1 (ko) * 2010-12-22 2016-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개선된 세퍼레이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1135A (ja) * 2003-02-03 2004-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11715B2 (ja) 2018-10-24
KR20140016155A (ko) 2014-02-07
JP2014041818A (ja)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70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9385358B2 (en) Separator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2165556B1 (ko)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KR102201335B1 (ko)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활물질,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2434888B1 (ko)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전극권회 소자, 이를 이용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 및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전극권회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393257B1 (ko) 이차 전지 전극용 도전재 페이스트, 이차 전지 정극용 슬러리의 제조 방법, 이차 전지용 정극의 제조 방법 및 이차 전지
KR102232543B1 (ko) 전기 화학 소자 전극용 복합 입자, 전기 화학 소자 전극용 복합 입자의 제조 방법, 전기 화학 소자 전극 및 전기 화학 소자
KR102005281B1 (ko)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396616B1 (ko)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전극 권회 소자, 이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이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141448A1 (zh) 电化学装置、电子装置及电化学装置的制备方法
CN111357141B (zh) 电化学元件用导电材料糊、电化学元件正极用浆料组合物及其制造方法、电化学元件用正极以及电化学元件
EP3038186B1 (en)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rechargeable battery, non-aqueous electrolyte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method of preparing same
US10707493B2 (en)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KR102439364B1 (ko) 전해질 조성물, 전해질막, 전극, 전지 및 전해질 조성물의 평가 방법
CN106716683A (zh) 非水电解质蓄电元件用正极板及非水电解质蓄电元件
US20150147627A1 (en)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KR102043925B1 (ko) 높은 팽윤도를 가진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425512B1 (ko)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전극 권회 소자, 이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93111A (ko) 이차 전지용 페이스트, 이차 전지 정극용 슬러리, 이차 전지용 정극,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용 페이스트의 제조 방법
KR102088858B1 (ko) 흡습성 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EP3038185B1 (en) Wound electrode element for non-aqueous electrolyte rechargeable battery, non-aqueous electrolyte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method of preparing same
KR101613281B1 (ko)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106119B1 (ko) 수계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KR20200018148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50023B1 (ko)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