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176B1 - 건축용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건축용 안전발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8176B1 KR102218176B1 KR1020200100946A KR20200100946A KR102218176B1 KR 102218176 B1 KR102218176 B1 KR 102218176B1 KR 1020200100946 A KR1020200100946 A KR 1020200100946A KR 20200100946 A KR20200100946 A KR 20200100946A KR 102218176 B1 KR102218176 B1 KR 1022181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pin
- safety
- fixing
- pipe
- lock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발판의 양측에 4지점 마련되는 연결고리에 적용 설치되어 파이프로부터 연결고리를 지지시키는 록킹가이드를 생략하는 타입으로 제작되고, 간단하게 가설구조물의 파이프에 지지시키는 록킹부재를 포함하여 건설작업현장에서 안전발판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충격에 의해 안전발판의 마구리부분의 찌그러짐을 보완과 두께 대비 발판의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연결고리에 적용되어 파이프를 홀딩하는 록킹가이드 부품을 생략하여 제작에 따른 비용을 현저히 절감하는 효과제공은 물론, 안전발판의 양측 마구리부에 연결고리중 일측의 연결고리는 45도상에서 탈착이 이루어지고, 그 반대측은 직하방 안착되게 하되, 록킹부재로써, 파이프의 저부를 상대적으로 지지시켜 견고한 안전발판을 제공하며, 해체시에도 간단하게 록킹부재측 받침체를 파이프로부터 해제시키는 각도로 회동시켜 간단히 안전발판을 경사진 상태로 들어올려 해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설작업현장에서의 안전발판 설치 및 설치에 따른 안전성보장과 함께 해체 작업 또한 용이하게 실시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연결고리에 적용되어 파이프를 홀딩하는 록킹가이드 부품을 생략하여 제작에 따른 비용을 현저히 절감하는 효과제공은 물론, 안전발판의 양측 마구리부에 연결고리중 일측의 연결고리는 45도상에서 탈착이 이루어지고, 그 반대측은 직하방 안착되게 하되, 록킹부재로써, 파이프의 저부를 상대적으로 지지시켜 견고한 안전발판을 제공하며, 해체시에도 간단하게 록킹부재측 받침체를 파이프로부터 해제시키는 각도로 회동시켜 간단히 안전발판을 경사진 상태로 들어올려 해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설작업현장에서의 안전발판 설치 및 설치에 따른 안전성보장과 함께 해체 작업 또한 용이하게 실시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발판의 양측에 4지점 마련되는 연결고리에 적용 설치되어 파이프로부터 연결고리를 지지시키는 록킹가이드를 생략하는 타입으로 제작되고, 간단하게 가설구조물의 파이프에 지지시키는 록킹부재를 포함하여 건설작업현장에서 안전발판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충격에 의해 안전발판의 마구리부분의 찌그러짐을 보완과 두께 대비 발판의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안전발판은 건축공사장, 토목공사장 또는 일반산업현장 등의 높은 곳에서 인부들이 디디고 작업하거나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해 놓는 물품이다.
통상 건축분야에서는 안전발판 및 이를 설치하기 위한 바(bar)를 포함하여 비계라고 일컫는다.
바는 가로바와 세로바로 구성된다. 안전발판이 구비해야 하는 필수적인 기능은 안전성이며, 기타 설치 및 해체의 용이성, 물류의 용이성 등이 요구된다.
안전발판은 통상 30 ~ 50cm의 폭을 가지며 기다란 판형상으로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곳곳에 요철부가 형성되며, 설치작업성을 위한 곳곳에 구멍이 뚫려져 경량화하였으며, 안전발판의 양쪽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되어 건물 등의 외벽에 설치되는 바에 안전발판을 거치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연결고리는 후크형태로 되어 있으며, 하나의 안전발판의 각 모서리에 총 4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가설구조물의 바(bar, 이하 '파이프'라 총칭함) 위에 얹힌 상태에서 들썩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가진다.
이 고정수단은 연결고리와 파이프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연결고리에 회동가능한 록킹가이드가 설치된 구조로서, 상기 록킹가이드와 연관된 선원기술 자료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8240호(명칭: 작업용 안전발판, 등록일자: 2012년 01월 17일), 공개특허 제10-2013-0134613호(명칭: 비계용 안전발판 어셈블리, 공개일자: 2013년 12월 10일), 등록실용 제20-0453456호(명칭: 작업용 안전발판, 등록일자: 2011년 04월 26일)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선행기술들은 각 문헌에서 록킹가이드와 같이 가설구조물의 파이프에 4지점 걸쳐지는 연결고리를 통해 안전발판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이동 및 디디고 작업할 수 있는 안전한 발판을 제공한다.
하지만, 안전발판을 제작함에 있어,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록킹가이드가 각각 연결되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 면에 있어서도 상기 록킹가이드를 연결고리 부분이 걸쳐지는 파이프를 더 안정적으로 잡아 주는 역할을 하고 있지만 제작상에 있어, 좌우측 각각 연결고리의 용접 혹은 리벳팅이 정확히 이루어져야만 파이프를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높아지고, 제작과정 중에는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이프에 지지된 안전발판의 설치와 해체작업시에 있어서, 안전발판의 일측에서 각각 좌우 측에 위치한 연결고리로부터 록킹가이드를 회동시켜 파이프로부터 해제시키고, 반대측에서도 동일하게 좌우측에 위치한 록킹가이드를 파이프로부터 해제시켜야 하기 때문에 총 4지점의 해체에 따른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안전발판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이동, 설치, 해체하는 과정에서 마구리부분, 연결고리부분이 특히 많이 부딪히는 사례가 있어 훼손발생으로 안전발판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연결고리에 록킹가이드가 적용된 안전발판인 경우에는 훼손에 따른 교체 및 수선하는 비경제적인 손실을 발생시킨다.
상기 연결고리의 설치지점은 마구리 부분에서 전면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호 평행하는 프레임에 리벳팅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안전발판을 다루는 과정 중 상술한 바와 같이 충격에 의한 손상될 확률이 높아지는 폐단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전발판의 양측에 4지점 마련되는 연결고리에 적용 설치되어 파이프로부터 연결고리를 지지시키는 록킹가이드를 생략하는 타입으로 제작되고, 간단하게 가설구조물의 파이프에 지지시키는 록킹부재를 포함하여 건설작업현장에서 안전발판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충격에 의해 안전발판의 마구리부분의 찌그러짐을 보완과 두께 대비 발판의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요홈(11)이 배열 형성되고, 요홈이 형성된 사이에는 미끄럼 방지공(12)이 천공된 발판부(10)와, 발판부(10)의 전후측에 용접되는 마구리부(20)와, 발판부(10)의 전후 양측에 부착되어 가설구조물을 이루는 파이프(P)에 양측이 걸쳐지도록 연결고리(30)가 전후 상호 대향되게 구비된 건축용 안전발판(100)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부(20)는 상기 발판부(10)의 양단 측을 수용하여 용접 부착되는 커버형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연결고리(30)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22) 및 연결고리(30)를 장착하기 위한 설치공(24)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30)는 상기 마구리부(20)의 설치공(24)에 안내되어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부(31)가 절곡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31)에는 상기 결합공(22)과 일치되어 리벳(L)으로 관통 고정되는 고정공(32)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10) 양측에 부착되는 마구리부(20) 중 어느 하나의 마구리부(20) 전면에는 상기 파이프(P)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록킹부재(40)가 부착되되, 상기 록킹부재(40)는 상기 마구리부(20) 전면에 용접 부착되는 고정브라켓(41)과, 상기 고정브라켓(41)의 전면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각도를 갖고 고정되는 가이드핀(42)과, 상기 가이드핀(42)에 걸쳐져 원주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호형의 장홈(43a), 상기 장홈(43a)이 형성된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파이프(P)의 저부를 받치는 절곡부(43b), 상기 절곡부(43b) 사이에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부(43c), 상기 장홈(43a)의 내측면에 톱니 형태로 형성되는 위치고정용홈(43d)으로 이루어진 호형의 받침체(43)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핀(42)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핀몸체(42b)에는 다각형 형태의 톱니가 측면으로 돌출된 위치고정부(42d)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부(42d)는 상기 받침체(43)가 상기 고정브라켓(4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용홈(43d)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핀(42)은 상측에 평평한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헤드(42a)와, 상기 헤드(42a)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핀몸체(42b)와, 상기 가이드핀몸체(42b)의 말단에 형성되는 나사산(42c)과, 상기 헤드(42a)와 상기 나사산(42c)의 사이에 형성되며, 원통형인 상기 가이드핀몸체(42b)의 단면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는 위치고정부(42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40)는 상기 가이드핀(42)에 형성된 나사산(42c)에 나사결합되는 너트(44)와, 상기 가이드핀몸체(42b)가 가운데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41)과 상기 너트(44)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생하는 스프링(45)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위치고정부(42d) 및 상기 나사산(42c)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핀몸체(42b)의 단면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톱니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각도고정부(42e)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각도고정부(42e)는 상기 고정브라켓(41)의 관통공(41a)의 내측면에 톱니 형태로 형성된 각도고정용홈(41b)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연결고리에 적용되어 파이프를 홀딩하는 록킹가이드 부품을 생략하여 제작에 따른 비용을 현저히 절감하는 효과제공은 물론, 안전발판의 양측 마구리부에 연결고리중 일측의 연결고리는 45도상에서 탈착이 이루어지고, 그 반대측은 직하방 안착되게 하되, 록킹부재로써, 파이프의 저부를 상대적으로 지지시켜 견고한 안전발판을 제공하며, 해체시에도 간단하게 록킹부재측 받침체를 파이프로부터 해제시키는 각도로 회동시켜 간단히 안전발판을 경사진 상태로 들어올려 해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설작업현장에서의 안전발판 설치 및 설치에 따른 안전성보장과 함께 해체 작업 또한 용이하게 실시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안전발판의 일측 일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안전발판의 타측 일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안전발판에 적용된 록킹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록킹부재의 구성요소를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록킹부재가 결합 및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받침체와 가이드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록킹부재의 톱니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가이드핀과 고정브라켓의 맞물림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안전발판의 일측 일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안전발판의 타측 일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안전발판에 적용된 록킹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록킹부재의 구성요소를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록킹부재가 결합 및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받침체와 가이드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록킹부재의 톱니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가이드핀과 고정브라켓의 맞물림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이하, '안전발판'이라 함)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안전발판의 일측 일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안전발판의 타측 일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안전발판에 적용된 록킹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록킹부재의 구성요소를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록킹부재가 결합 및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받침체와 가이드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록킹부재의 톱니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가이드핀과 고정브라켓의 맞물림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요홈(11)이 배열 형성되고, 요홈이 형성된 사이사이에는 미끄럼 방지공(12)이 천공된 발판부(10)와, 발판부(10)의 전후 측에 덧대어져 용접되는 마구리부(20)와, 발판부(10)의 전후 양측에 부착되어 가설구조물을 이루는 파이프(P)에 양측이 걸쳐지도록 연결고리(30)가 전후 상호 대향되게 구비된 건축용 안전발판(100)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부(20)는 상기 발판부(10) 양단 측을 수용하여 용접 부착되는 커버형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연결고리(30)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22) 및 연결고리(30)를 장착하기 위한 설치공(24)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고리(30)는 마구리부(20)의 설치공(24)에 안내되어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부(31)가 절곡 형성되되, 고정부(31)에는 상기 결합공(22)과 일치되어 리벳(L)으로 관통 고정되는 고정공(32)이 형성된다.
상기 발판부(10) 양측에 부착되는 마구리부(20) 중 어느 하나의 마구리부 전면에는 상기 파이프(P)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록킹부재(40)가 부착된다.
상기 록킹부재(40)가 부착되는 마구리부(20)측 연결고리(30)의 수용홈(30a)은 파이프(P)의 상방에서 수직으로 안착되도록 ∩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마구리부(20)에 설치되는 연결고리(30)는 그 모퉁이로부터 적어도 50~60mm 이격된 위치에 연결고리가 위치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부재(40)가 설치되지 않은 상대측 마구리부(20)측 연결고리(30)는 파이프(P)의 상방 45도 선상에서 탈거가 이루어지고, 안전발판(100)이 수평으로 위치된 선상에서는 파이프(P)의 저부를 받쳐 지지도록 연결고리의 수용홈(30a)에는 받침턱(30b)이 더 형성된다.
상기 안전발판(100)에 구비되는 록킹부재(40)는, 마구리부(20) 전면에 용접 부착되는 고정브라켓(41)과, 상기 고정브라켓(41)의 전면에 관통되어 상방향으로 각도를 갖고 고정되는 가이드핀(42)과, 상기 가이드핀(42)에 걸쳐져 원주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호형의 장홈(43a) 및 장홈(43a)이 형성된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파이프(P)의 저부를 받치는 절곡부(43b)와, 절곡부 사이에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부(43c)로 이루어진 호형의 받침체(4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41)은 ㄷ형으로 작곡형성되어 상기 안전발판(100)의 마구리부(20)에 2지점 용접에 의해 부착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핀(42)은 복수개 구비되며, 고정브라켓(41)으로부터 받침체(43)가 회전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방향으로 각도를 갖고 고정된다.
상기 받침체(43)는 가이드핀(42)에 안내되는 호형의 장홈(43a) 및 장홈(43a)이 형성된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파이프(P)의 저부를 받치는 절곡부(43b)와, 절곡부 사이에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부(43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곡부(43b)는 파이프(P)를 떠받치는 이유로 받침체(43)의 강성을 위해 5~8㎜의 비교적 짧은 길이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핀(42)은 양측에 머리부를 두어 상기 고정브라켓(41)에 고착되어 다른 한쪽의 머리부는 상기 받침체(43)의 장홈(43a)이 이탈되지 않도록 조합된다.
상기 록킹부재(40)는 안전발판(100)의 발판부(10) 중앙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도록 한다. 이는 안전발판(100)의 양측을 파이프(P)에 지지함에 있어, 상기 록킹부재(40)의 위치를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부착하여 파이프를 지지토록 함으로써, 연결고리와 함께 안정된 지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고정브라켓(41)에 고정된 상태에서 파이프(P)를 지지하는 절곡부(43b)는 파이프(P)의 위치에 대응되게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발판부(1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파이프(P)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파이프(P)의 굵기에 따라서 받침체(43)의 고정 위치가 달라지는데, 받침체(43)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안전발판(100)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진동, 충격에 의해 받침체(43)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핀(42)과 받침체(43)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핀(42)과 받침체(43)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톱니와 홈 구조를 채용하였다.
가이드핀(42)의 상측은 평평한 원판 형상의 헤드(42a)로 구성되며, 헤드(42a)의 하측으로는 원통형의 가이드핀몸체(42b)가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핀몸체(42b)의 말단에는 나사산(42c)이 형성된다.
가이드핀몸체(42b)에서 헤드(42a)와 나사산(42c) 사이에는 위치고정부(42d)가 형성된다. 위치고정부(42d)는 가이드핀몸체(42b)의 표면에서 다각형 형태의 톱니가 측면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인 가이드핀몸체(42b)의 단면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6각형이나 8각형으로 형성한다. 위치고정부(42d)는 가이드핀(42)이 받침체(43)와 결합된 상태에서 받침체(43)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받침체(43)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위치고정부(42d)와 나사산(42c)의 사이에는 각도고정부(42e)가 형성된다. 각도고정부(42e) 역시 가이드핀몸체(42b)의 표면에서 단면 방향 측면으로 돌출된 톱니 형태로 형성되는데, 위치고정부(42d)와는 다르게 16각형 내지 32각형으로 형성한다. 각도고정부(42e)는 받침체(43)가 가이드핀(42)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각도고정부(42e)의 구조로 인해 받침체(43)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파이프(P)의 길이방향이 발판부(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이 아니라 약간 틀어진 상태에서도 받침체(43)가 파이프(P)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받침체(43)에는 가이드핀(42)과 결합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된다.
받침체(43)에서 가이드핀(42)에 안내되는 호형의 장홈(43a)의 내측면에는 동일한 형태의 톱니로 된 위치고정용홈(43d)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용홈(43d)은 가이드핀(42)의 위치고정부(42d)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되며, 위치고정부(42d)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려서 가이드핀(42)이 장홈(43a)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어느 한 곳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받침체(43)를 가이드핀(42)을 매개로 고정브라켓(41)에 결합시키면 위치고정부(42d)가 위치고정용홈(43d)에 맞물리면서 가이드핀(42)과 받침체(43)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받침체(43)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가이드핀(42)을 위쪽으로 들어서 위치고정부(42d)와 위치고정용홈(43d)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손잡이부(43c)를 잡고 받침체(4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가이드핀(42)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위치고정부(42d)와 위치고정용홈(43d)이 맞물리면서 위치가 고정된다.
가이드핀(42)의 말단부에 형성된 나사산(42c)에는 너트(44)가 나사결합된다. 너트(44)는 고정브라켓(41)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관통공(41a)을 통과하여 고정브라켓(41)의 아래쪽까지 내려온 가이드핀몸체(42b) 하단에 형성된 나사산(42c)에 결합된다. 이로써 가이드핀(42)이 고정브라켓(41)으로부터 이탈하여 분리되는 것을 막아준다.
고정브라켓(41)의 아래쪽 면과 너트(44)의 사이에는 스프링(45)이 삽입된다. 일반적인 코일형상의 원통형 스프링(45)의 가운데에 가이드핀몸체(42b)가 관통하며, 너트(44)와 결합되면서 스프링(45)이 가이드핀(42)과 결합된다. 가이드핀몸체(42b)는 스프링(45)의 가운데 통로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핀(42)을 너트(44)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스프링(45)이 너트(44)와 고정브라켓(41)의 아래쪽 면에 동시에 접촉하면서 탄성력을 발생한다. 이로 인해 가이드핀(42)은 고정브라켓(41)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핀(42)에 형성된 위치고정부(42d)가 위치고정용홈(43d)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받침체(43)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가이드핀(42)의 헤드(42a)를 잡아서 위쪽으로 당기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핀몸체(42b)가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위치고정부(42d)와 위치고정용홈(43d)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한편, 고정브라켓(41)의 관통공(41a)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톱니로 구성된 각도고정용홈(41b)이 형성된다. 각도고정용홈(41b)를 구성하는 톱니의 크기 및 형상은 각도고정부(42e)를 구성하는 톱니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된다. 따라서 각도고정부(42e)가 각도고정용홈(41b)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가이드핀(42)이 가이드핀몸체(42b)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전의 위치 조정과 동일하게, 작업자가 가이드핀(42)을 위쪽으로 당기면, 각도고정부(42e)가 위쪽으로 함께 올라가면서 각도고정용홈(41b)과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작업자는 이 상태에서 받침체(43)를 가이드핀몸체(42b)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이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파이프(P)와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파이프(P)와 록킹부재(40)가 서로 직각으로 만나도록 하여 록킹부재(40)가 파이프(P)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발판부 11: 요홈
12: 미끄럼 방지공 20: 마구리부
22: 결합공 24: 설치공
30: 연결고리 30a: 수용홈
30b: 받침턱 31: 고정부
32: 고정공 40: 록킹부재
41: 고정브라켓 41a: 관통공
41b: 각도고정용홈 42: 가이드핀
42a: 헤드 42b: 가이드핀몸체
42c: 나사산 42d: 위치고정부
42e: 각도고정부 43: 받침체
43a: 장홈 43b: 절곡부
43c: 손잡이부 43d: 위치고정용홈
44: 너트 45: 스프링
100: 안전발판 L: 리벳
P: 파이프
12: 미끄럼 방지공 20: 마구리부
22: 결합공 24: 설치공
30: 연결고리 30a: 수용홈
30b: 받침턱 31: 고정부
32: 고정공 40: 록킹부재
41: 고정브라켓 41a: 관통공
41b: 각도고정용홈 42: 가이드핀
42a: 헤드 42b: 가이드핀몸체
42c: 나사산 42d: 위치고정부
42e: 각도고정부 43: 받침체
43a: 장홈 43b: 절곡부
43c: 손잡이부 43d: 위치고정용홈
44: 너트 45: 스프링
100: 안전발판 L: 리벳
P: 파이프
Claims (4)
-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요홈(11)이 배열 형성되고, 요홈이 형성된 사이에는 미끄럼 방지공(12)이 천공된 발판부(10)와, 발판부(10)의 전후측에 용접되는 마구리부(20)와, 발판부(10)의 전후 양측에 부착되어 가설구조물을 이루는 파이프(P)에 양측이 걸쳐지도록 연결고리(30)가 전후 상호 대향되게 구비된 건축용 안전발판(100)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부(20)는 상기 발판부(10)의 양단 측을 수용하여 용접 부착되는 커버형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연결고리(30)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22) 및 연결고리(30)를 장착하기 위한 설치공(24)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30)는 상기 마구리부(20)의 설치공(24)에 안내되어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부(31)가 절곡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31)에는 상기 결합공(22)과 일치되어 리벳(L)으로 관통 고정되는 고정공(32)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10) 양측에 부착되는 마구리부(20) 중 어느 하나의 마구리부(20) 전면에는 상기 파이프(P)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록킹부재(40)가 부착되되,
상기 록킹부재(40)는
상기 마구리부(20) 전면에 용접 부착되는 고정브라켓(41)과,
상기 고정브라켓(41)의 전면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각도를 갖고 고정되는 가이드핀(42)과,
상기 가이드핀(42)에 걸쳐져 원주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호형의 장홈(43a), 상기 장홈(43a)이 형성된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파이프(P)의 저부를 받치는 절곡부(43b), 상기 절곡부(43b) 사이에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부(43c), 상기 장홈(43a)의 내측면에 톱니 형태로 형성되는 위치고정용홈(43d)으로 이루어진 호형의 받침체(43)와,
상기 가이드핀(42)에 형성된 나사산(42c)에 나사결합되는 너트(44)와,
상기 고정브라켓(41)과 상기 너트(44)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생하는 스프링(45)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핀(42)은
상측에 평평한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헤드(42a)와,
상기 헤드(42a)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45)의 가운데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핀몸체(42b)와,
상기 가이드핀몸체(42b)의 말단에 형성되는 나사산(42c)과,
상기 헤드(42a)와 상기 나사산(42c)의 사이에 형성되며, 원통형인 상기 가이드핀몸체(42b)의 단면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는 위치고정부(42d)와,
상기 위치고정부(42d) 및 상기 나사산(42c)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핀몸체(42b)의 단면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톱니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각도고정부(42e)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핀(42)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핀몸체(42b)에는 다각형 형태의 톱니가 측면으로 돌출된 위치고정부(42d)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부(42d)는 상기 받침체(43)가 상기 고정브라켓(4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용홈(43d)에 맞물리며,
상기 각도고정부(42e)는 상기 고정브라켓(41)의 관통공(41a)의 내측면에 톱니 형태로 형성된 각도고정용홈(41b)에 맞물리는 것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발판.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0946A KR102218176B1 (ko) | 2020-08-12 | 2020-08-12 | 건축용 안전발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0946A KR102218176B1 (ko) | 2020-08-12 | 2020-08-12 | 건축용 안전발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8176B1 true KR102218176B1 (ko) | 2021-02-22 |
Family
ID=7468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0946A KR102218176B1 (ko) | 2020-08-12 | 2020-08-12 | 건축용 안전발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817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8944B1 (ko) * | 2021-12-29 | 2022-06-14 | 서대운 | 강관 클램핑용 어테치먼트 |
KR102633365B1 (ko) * | 2023-04-24 | 2024-02-05 | 화일산기(주) | 비계용 안전로프 클램프 |
KR102655603B1 (ko) * | 2024-01-05 | 2024-04-09 | 삼성물산 주식회사 | 리모델링현장 말뚝 정재하시험을 활용한 수직강성측정 및 보강말뚝 선재하량 도출방법 |
KR102655616B1 (ko) * | 2024-01-05 | 2024-04-09 | 삼성물산 주식회사 | 리모델링공사 비파괴 말뚝 반력 추정방법 |
KR102667172B1 (ko) * | 2023-04-24 | 2024-05-20 | 화일산기(주) | 비계용 안전로프 클램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8472B1 (ko) | 2015-08-20 | 2016-04-01 | 반도스틸(주) |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 |
KR20190022006A (ko) * | 2017-08-25 | 2019-03-06 | 박성임 | 비계용 발판 도어 |
KR102113869B1 (ko) * | 2019-12-26 | 2020-05-21 | 박용진 | 안전발판 설치구조 |
-
2020
- 2020-08-12 KR KR1020200100946A patent/KR1022181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8472B1 (ko) | 2015-08-20 | 2016-04-01 | 반도스틸(주) |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 |
KR20190022006A (ko) * | 2017-08-25 | 2019-03-06 | 박성임 | 비계용 발판 도어 |
KR102113869B1 (ko) * | 2019-12-26 | 2020-05-21 | 박용진 | 안전발판 설치구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8944B1 (ko) * | 2021-12-29 | 2022-06-14 | 서대운 | 강관 클램핑용 어테치먼트 |
KR102633365B1 (ko) * | 2023-04-24 | 2024-02-05 | 화일산기(주) | 비계용 안전로프 클램프 |
KR102667172B1 (ko) * | 2023-04-24 | 2024-05-20 | 화일산기(주) | 비계용 안전로프 클램프 |
KR102655603B1 (ko) * | 2024-01-05 | 2024-04-09 | 삼성물산 주식회사 | 리모델링현장 말뚝 정재하시험을 활용한 수직강성측정 및 보강말뚝 선재하량 도출방법 |
KR102655616B1 (ko) * | 2024-01-05 | 2024-04-09 | 삼성물산 주식회사 | 리모델링공사 비파괴 말뚝 반력 추정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8176B1 (ko) | 건축용 안전발판 | |
JP4159093B2 (ja) | 吊り足場用朝顔とその組立て施工法 | |
JP2018048450A (ja) | 吊り足場の支持構造、支持方法及び構築方法 | |
KR20120140340A (ko) | 비계장치 | |
JP4457146B2 (ja) | コアドリル装置のベース取付け構造 | |
KR200389693Y1 (ko) | 선체블록작업용 조립식 가설발판 | |
JP6625443B2 (ja) | 天井用取付金具及び施工方法 | |
JP5489532B2 (ja) | 足場用幅木の取付具 | |
JP4551199B2 (ja) | 筋交部材用固定金具及び筋交部材 | |
TWI816976B (zh) | 臨時性設置構造物之安定化構造、及基部連結體之設置方法 | |
JP6663726B2 (ja) | 吊り足場板の吊下げ金具 | |
JP3222737U (ja) | 仮設足場における棒材の支柱への固定構造 | |
JP7249892B2 (ja) | 柱吊治具及びワイヤ固定具 | |
JP6223874B2 (ja) | 揚重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るポールの取付および取外方法 | |
KR20220086143A (ko) | 건축용 비계 | |
JP5059567B2 (ja) | 壁面パネル地組装置及び壁面パネルの地組方法 | |
JP5384185B2 (ja) | 足場用幅木 | |
KR200358782Y1 (ko) | 교량 상부 슬라브의 거푸집 받침대 | |
JP7477339B2 (ja) | 柱吊治具 | |
JP2006336267A (ja) | 親綱支柱システム | |
JP2020180463A (ja) | 足場用連結具及びこれを用いた大組み工法並びに大払し工法 | |
JP3788407B2 (ja) | 安全手摺 | |
JP5851315B2 (ja) | 足場金具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 |
JP3127555U (ja) | 高所作業用足場装置 | |
JP7098807B1 (ja) | 足場用ジャッキ固定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