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171B1 - 자동차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8171B1 KR102218171B1 KR1020200165498A KR20200165498A KR102218171B1 KR 102218171 B1 KR102218171 B1 KR 102218171B1 KR 1020200165498 A KR1020200165498 A KR 1020200165498A KR 20200165498 A KR20200165498 A KR 20200165498A KR 102218171 B1 KR102218171 B1 KR 1022181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port
- catching
- descending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어 음료컵 등이 거치되는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컵홀더의 케이스(10)가 장착되고, 케이스(10) 내부에는 회동판(11)과 포착구(17)가 수납되어 구성되며, 사용시 회동판(11)을 회전시켜 포착구(17)가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음료컵을 거치하되, 대용량 음료컵의 거치가 필요할 경우 포착구(17)를 상승시켜 대용량 음료컵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컵홀더의 수납 공간을 대폭 축소하면서도, 전개된 상태의 컵홀더의 수용 용량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차체내 컵홀더 장착에 있어서 공간상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용량 음료컵 등 대형 피착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컵홀더의 수납 공간을 대폭 축소하면서도, 전개된 상태의 컵홀더의 수용 용량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차체내 컵홀더 장착에 있어서 공간상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용량 음료컵 등 대형 피착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어 음료컵 등이 거치되는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컵홀더의 케이스(10)가 장착되고, 케이스(10) 내부에는 회동판(11)과 포착구(17)가 수납되어 구성되며, 사용시 회동판(11)을 회전시켜 포착구(17)가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음료컵을 거치하되, 대용량 음료컵의 거치가 필요할 경우 포착구(17)를 상승시켜 대용량 음료컵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의 실내에는 탑승자가 사용하는 음료컵 또는 음료병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컵홀더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컵홀더는 자동차 실내 전방측의 계기반 내부 또는 그 주변에 장착되거나, 암레스트, 차문(車門) 또는 좌석 배후부 등에 장착된다.
자동차 실내의 내장품은 효율적이고 안전한 운행 및 조작에 있어서 최적의 여견을 조성함과 동시에, 탑승자에게 괘적하고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함에 주안점이 두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에 불필요한 공간의 잠식을 지양하고 운행 및 기기 조작의 방해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 내장품의 일종인 컵홀더 역시 운행 및 조작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최소한의 공간을 점유하되 사용시에는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현재 시판되는 승용차에 있어서 보편적으로 채택되는 컵홀더는 미사용 상태에서는 절첩되어 차체에 수납됨으로써 자동차 실내 공간을 잠식하지 않고, 사용 상태에 한하여 돌출 내지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미사용 상태에서의 수납 공간 역시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절첩 상태의 체적을 가능한한 축소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916710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916710호를 비롯한 종래의 절첩 수납형 컵홀더는 음료컵 등이 결합되는 컵홀더 본체가 다양한 방식으로 절첩 축소되어 계기반 또는 암레스트 등에 수납되는 것으로서, 컵홀더의 사용시에는 수납된 본체를 외부로 인출하여 전개 내지 확대함으로써 음료컵 등을 결합, 지지하게 된다.
즉, 부피가 축소된 상태로 차체에 수납된 컵홀더를 인출함과 동시에 그 부피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컵홀더의 미사용 수납시에는 그 소요 공간을 최소화하되, 컵홀더의 노출 및 사용시에는 음료컵을 결합, 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단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설령 절첩 수납 및 돌출 전개 방식으로 자동차용 컵홀더를 구성한다 하여도, 수납 공간의 축소 및 전개를 통한 구성 확대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즉, 수납 공간의 절감을 위하여 컵홀더의 절첩 구성을 축소하는 경우 각 부품 자체의 축소가 불가피하므로, 전개시의 구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대용량 음료컵 등 대형 피착물의 결합 및 지지는 불가능하며, 반대로 대형 피착물의 지지를 위하여 기본 부품을 대형화할 경우 절첩 구성에도 불구하고 수납 공간의 확대가 불가피한 것이다.
특히, 종래의 음료컵 또는 음료캔 등은 350ml 내외의 체적을 가지는 반면, 최근 테이크아웃 방식으로 판매되는 음료의 일회용 컵의 경우 내용적이 500ml를 상회하는 바, 컵홀더의 결합구 내경 뿐 아니라, 결합구에 결합된 음료컵을 포착 및 지지하는 지점의 높이도 상향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자동차용 컵홀더는 충분한 결합구 내경 및 포착 위치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컵홀더의 문제점은 단순한 사용자 불편에 그 영향이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중 음료컵의 이탈이 발생될 경우 운행중 자동차의 사고가 초래될 수도 있는 바, 안전에 직결되는 심각한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미사용 수납시에는 전체 구성이 최대한 절첩되어 최소한의 수납 공간이 소요되고, 사용시 전개될 경우 피착물에 대한 충분한 포착 공간 및 포착 위치가 확보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절첩 구조의 효율화 및 각 부품의 집약화가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케이스(10)에 수납되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한 쌍의 회동판(11)이 회동축(15)을 축으로 회동되어 케이스(10)의 전방으로 진출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회동판(11)에는 포착구(17)가 끼워져 승강되도록 형성된 포착구지주(14)와, 핀회동구(28)로 연결된 승강구(26) 및 승강유도구(4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승강구홈(25)과, 포착구(17)를 탄성지지하는 승강스프링(19)이 삽입되도록 승강스프링홈(18)이 구성되고, 포착구지주(14)에 끼워져 승강되는 포착구(17)에는 포착암경첩(21)으로 연결된 포착암(20)이 구성되며, 승강구(26)에는 핀회동구(28)의 핀회동축돌기(29)가 끼워져 연결되는 핀회동공(27)이 중앙에 형성되고, 승강구(26)의 상부는 포착구(17)와 결합되며, 핀회동구(28)에는 핀회동공(27)에 끼워져 회동되는 핀회동축돌기(29)가 중앙에 형성되며, 핀회동구(28) 하단의 핀끼움공(31)에 끼워진 유도핀(30)은 승강유도구(40)의 유도홈(41)에 삽입되어 승강 이동되는 과정에서 핀회동축돌기(29)를 축으로 핀회동구(28)가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승강유도구(40)에는 일면이 유도핀(30)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유도홈(41)이 형성되고, 승강유도구(40)의 타면은 포착구지주(14)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포착구(17)가 하강되거나,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포착구(17)가 상승될 때, 포착구(17)와 결합된 승강구(26)와, 승강구(26)와 연결된 핀회동구(28)가 포착구(17)와 함께 승강면서 유도홈(41)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유도핀(30)에 의해 포착구(17)가 상승 또는 하강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이다.
또한, 상기 승강유도구(40)의 유도홈(41)은 포착구(17)가 하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유도핀(30)이 걸리는 걸림홈(53)과, 유도핀(30)이 걸림홈(53)에 걸린 상태에서 포착구(17)의 상면을 누르면, 하강되는 유도핀(30)을 제1하강홈(43)으로 안내하는 하강경사면(42)과, 하강경사면(42)의 안내로 하강된 유도핀(30)이 삽입되면 포착구(17)의 하강을 멈추는 제1하강홈(43)과, 유도핀(30)이 제1하강홈(43)에 삽입된 상태에서 포착구(17)를 누르지 않으면,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포착구(17)와 유도핀(30)이 상승되는 과정에서 유도핀(30)을 상승유도로(44)로 안내하는 제1상승면(45)과, 제1상승면(45)에 안내로 상승되는 유도핀(30)을 제2상승면(46)으로 유도하는 상승유도로(44)와, 상승유도로(44)를 통해 상승되는 유도핀(30)을 상부승강로(47)로 안내하는 제2상승면(46)과, 제2상승면(46)의 안내로 삽입된 유도핀(30)이 상승되고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포착구(17)가 상승 상태로 위치되는 상부승강로(47)와, 포착구(17)가 상승된 상태에서 포착구(17)의 상면을 누르면 상부승강로(47)에 위치된 유도핀(30)이 하강되면서 하강유도로(48)로 안내하는 제1하강면(49)과, 제1하강면(49)에 의해 안내된 유도핀(30)이 하강되면서 제2하강면(50)으로 유도하는 하강유도로(48)와, 하강유도로(48)로 유도된 유도핀(30)을 제2하강홈(51)으로 안내하는 제2하강면(50)과, 제2하강면(50)에 의해 안내된 유도핀(30)이 삽입되면 포착구(17)의 하강을 멈추는 제2하강홈(51)과, 유도핀(30)이 제2하강홈(51)에 위치된 상태에서 포착구(17)를 누르지 않으면,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상승되는 유도핀(30)을 걸림홈(53)으로 안내하는 걸림경사면(52)과, 걸림경사면(52)에 의해 안내된 유도핀(30)이 걸림홈(53)에 걸려 포착구(17)가 하강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컵홀더의 수납 공간을 대폭 축소하면서도, 전개된 상태의 컵홀더의 수용 용량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차체내 컵홀더 장착에 있어서 공간상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용량 음료컵 등 대형 피착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대용량 음료컵 등 종래기술에 있어서 포착 안정성이 부족할 수 밖에 없는 대형 피착물에 대한 안정적인 포착 및 지지가 본 발명을 통하여 가능한 바, 사용자 편의 증진은 물론 운행 안전성 역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스에 회동판이 수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케이스 전방으로 회동판이 진출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회동판에 구성된 포착구가 상승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이 분해된 상태를 예시한 절단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핀회동구에 의해 연결되는 승강구와 승강유도구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승강유도구에 형성된 유도홈의 형상을 상세히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유도핀이 걸림홈에 걸려 포착구가 하강되어 고정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포착구를 누르면 유도핀이 걸림홈에서 제1하강홈으로 이동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포착구가 상승되면서 유도핀이 제1하강홈에서 상승유도로를 통해 상부유도로로 이동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포착구를 누르면 유도핀이 상부유도로에서 하강유도로를 통해 제2하강홈으로 이동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유도핀이 제2하강홈에서 걸림홈으로 이동되어 포착구가 하강되어 고정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케이스 전방으로 회동판이 진출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회동판에 구성된 포착구가 상승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이 분해된 상태를 예시한 절단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핀회동구에 의해 연결되는 승강구와 승강유도구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승강유도구에 형성된 유도홈의 형상을 상세히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유도핀이 걸림홈에 걸려 포착구가 하강되어 고정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포착구를 누르면 유도핀이 걸림홈에서 제1하강홈으로 이동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포착구가 상승되면서 유도핀이 제1하강홈에서 상승유도로를 통해 상부유도로로 이동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포착구를 누르면 유도핀이 상부유도로에서 하강유도로를 통해 제2하강홈으로 이동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유도핀이 제2하강홈에서 걸림홈으로 이동되어 포착구가 하강되어 고정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자동차의 센터패시아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케이스(10)를 예시한 것으로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회동축(15)을 축으로 회동되는 부채 모양의 회동판(11)이 좌우로 대칭되게 구성되는데, 회동판(11)에 포착구(17)가 구성되고, 포착구(17)와 연결된 포착암(20)은 포착구(17)와 근접되게 회동되어 부피가 축소된 상태로 수납된다.
부채모양 회동판(11)의 양 직선부에는 각각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벽부(13)와 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벽부(12)가 형성되고, 전면벽부(13)와 수납벽부(12)의 교차 부분에는 케이스(10)에 고정되어 회동판(11)의 축을 이루는 회동축(15)이 구성되며, 회동축(15)의 상부에는 회동판(11)이 회동축(15)을 축으로 회동되어 전방으로 진출되도록 비틀림탄성을 가진 회동축스프링(16)이 구성되고, 포착구(17)의 내주면과 포착구(17)와 연결된 포착암(20)의 내주면은 각각 음료컵의 외주면과 맞닿아 포착력을 높일 수 있는 호형(弧形)으로 형성된다.
도 2는 케이스(10)에 수납된 회동판(11)이 회동레일(24)의 안내와 회동축스프링(16)의 탄성에 의해 회동축(15)을 축으로 회동되어 전방으로 진출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케이스(10) 하판의 상면에 형성된 회동레일(24)은 회동판(11)이 회동축스프링(16)의 탄성에 의해 회동되어 케이스(10)의 전방으로 진출되거나, 회동판(11)이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케이스(10) 내로 수납되도록 안내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에 형성된 회동레일(24)이 요입된 오목레일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이 밖에 볼록레일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도 3은 회동판(11)이 케이스(10)의 전방으로 진출된 후, 포착구지주(14)를 포갠 상태로 끼워져 승강되는 포착구(17)가 포착구지주(14)에서 상승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이 분해된 상태를 예시한 절단도면으로, 회동판(11)의 상면에 형성된 포착구지주(14)는 상부에 포착구(17)가 포개져 끼워진 상태에서 승강되도록 형성되고, 포착구지주(14)의 상면에 형성된 승강스프링홈(18)에는 포착구(17)를 탄성지지하는 승강스프링(19)의 하부가 삽입된다.
포착구(17)와 연결된 포착암(20)에는 포착구(17)의 일면과 포착암(20)의 일면이 서로 교차되어 연결되는 포착암경첩(21)이 구성되고, 포착암경첩(21)의 내부에는 포착암(20)을 탄성 지지하는 포착암스프링(22)이 구성되어, 도 1에서와 같이 회동판(11)이 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되도록 회동되는 과정에서, 포착암(20)의 외면이 케이스(10)의 테두리에 맞닿아 포착암(20)이 포착암경첩(21)에 의해 접히면서 수납되고, 도 2에서와 같이 회동판(11)이 케이스(10) 외부로 진출되면, 포착암(20)은 포착암스프링(22)의 탄성에 의한 포착암경첩(21)의 회동으로 펼쳐지고, 음료컵을 거치하면 회동판(11)에 음료컵이 거치됨과 동시에 포착구(17)와 포착암(20)이 음료컵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포착하게 된다.
수납벽부(12) 및 전면벽부(13)와 포착구지주(14)의 사이에 형성된 승강구홈(25)에는 핀회동구(28)로 연결된 승강구(26)와 승강유도구(40)가 삽입되고 승강구홈(25)에 삽입된 상태의 승강구(26)와 승강유도구(40)는 다시 포착구(17)의 하측으로 삽입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승강구(26)는 포착구(17)의 하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구(26)의 상면이 포착구(17) 상판과 결합되고, 승강구(26)의 중앙은 핀회동축돌기(29)가 끼워지는 핀회동공(27)이 형성된다.
핀회동구(28)의 중앙에는 핀회동공(27)에 끼워지는 핀회동축돌기(29)가 형성되고, 핀회동구(28)의 하부에는 유도핀(30)이 끼워져 고정되는 핀끼움공(31)이 형성되며, 핀끼움공(31)에 끼워지는 유도핀(30)은 그 말단이 승강유도구(40)의 유도홈(41)에 삽입된다.
따라서, 핀회동구(28)는 포착구(17) 및 포착구(17)와 연결된 승강구(26)와 함께 승강되는 과정에서, 유도홈(41)에 삽입되어 승강되는 유도핀(30)에 의해 핀회동축돌기(29)을 축으로 회동된다.
승강구홈(25)에 삽입된 승강유도구(40)에는 일면이 포착구지주(14)에 고정되고, 타면은 유도핀(30)의 말단이 삽입되는 유도홈(41)이 형성되는데, 포착구(17)가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상승되거나 상면부를 누르는 외력에 의해 하강될 때, 유도홈(41)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유도핀(30)이 상승 또는 하강된 상태에서 포착구(17)가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서 유도홈(41)의 상세한 형상을 도 6을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유도구(40)의 유도홈(41)에는 포착구(17)가 하측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유도핀(30)이 걸리는 걸림홈(53)과, 포착구(17)가 하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포착구(17)의 상면을 눌렀을 때 걸림홈(53)에 위치된 유도핀(30)을 제1하강홈(43)으로 안내하는 하강경사면(42)과, 포착구(17)의 상면을 누르지 않으면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상승되면서 제1하강홈(43)에 위치된 유도핀(30)을 상측의 상부승강로(47)로 안내하는 제1상승면(45)과 상승유도로(44) 및 제2상승면(46)과, 포착구(17)가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상승된 상태에서 포착구(17)의 상면을 누르면 상부승강로(47)에 위치된 유도핀(30)을 제2하강홈(51)으로 안내하는 제1하강면(49)과 하강유도로(48) 및 제2하강면(50)과, 포착구(17)가 하강된 상태에서 포착구(17)의 상면을 누르지 않으면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상승되면서 제2하강홈(51)에 위치된 유도핀(30)을 걸림홈(53)으로 안내하는 걸림경사면(52)이 형성된다.
여기서 누르지 않는다는 의미는 사용자가 눌렀던 힘 즉, 사용자가 가하였던 외력을 제거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누르지 않는 행위는 특정한 능동적 동작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직전에 수행하였던 누르는 동작을 멈추고 손을 떼어 더이상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후술할 내용에 있어서의 누르지 않는 행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내지 작동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서와 같이 케이스(10)에 수납된 회동판(11)이 도 2에서와 같이 회동축(15)을 축으로 회동되면, 회동판(11)과 회동판(11)에 구성된 포착구(17)가 케이스(10) 전방으로 진출된다.
이러한 회동판(11)의 인출 작동은 사용자가 회동판(10)과 연결된 부위를 조작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로 구성된 스위치 등을 조작함에 따라 회동판(11) 배후에 설치된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하여 회동판(11)이 회전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음료컵을 거치하면 음료컵의 하면은 회동판(11)에 받쳐지고, 음료컵의 외주면은 포착구(17) 및 포착암(20)이 감싸면서 포착되며, 대용량 음료컵의 거치기 필요한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포착구(17)를 상승시켜 대용량 음료컵을 포착할 수 있는데, 포착구(17)가 승강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7에서와 같이 포착구(17)는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려 하나, 유도핀(30)이 걸림홈(53)에 걸려 하강된 상태에서, 도 8에서와 같이 포착구(17)의 상면을 누르면 걸림홈(53)에서 이탈된 유도핀(30)이 하강되면서 하강경사면(42)의 안내에 의해 제1하강홈(43)으로 삽입되어 포착구(17)의 하강이 정지되고, 도 9에서와 같이 포착구(17)를 누르지 않으면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포착구(17)가 상승되면서 제1하강홈(43)에 위치된 유도핀(30)이 제1상승면(45)의 안내로 상승유도로(44)를 통해 상승되다가 제2상승면(46)의 안내에 의해 상부승강로(47)로 삽입되어 정지되기 때문에, 도 3에서와 같이 상승된 포착구(17)와 포착암(20)이 대용량 음료컵의 중간 내지 상부 부위를 포착할 수 있어 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한 진동 또는 요동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다.
도 10에서와 같이 포착구(17)의 상면을 누르면 포착구(17)가 하강되면서 상부승강로(47)에 위치된 유도핀(30)이 제1하강면(49)의 안내에 의해 하강유도로(48)를 통해 하강되다가 제2하강면(50)의 안내에 의해 제2하강홈(51)으로 삽입되어 포착구(17)의 하강이 정지된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포착구(17)를 누르지 않으면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포착구(17)가 상승되면서 제2하강홈(51)에 위치된 유도핀(30)이 걸림경사면(52)의 안내에 의해 걸림홈(53)에 걸려 포착구(17)가 하강된 상태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포착구(17)가 하강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케이스(10)의 전방으로 진출된 회동판(11)을 회동축(15)을 축으로 회동시키면, 도 1에서와 같이 포착암(20)의 외면이 케이스(10)의 테두리에 맞닿으면서 포착암경첩(21)에 의해 포착암(20)이 접혀진 상태로 회동판(11)에 구성된 포착구(17)와 포착암(20)이 케이스(10) 내부로 수납되어, 전체 구성의 부피가 대폭 축소될 수 있다.
10 : 케이스
11 : 회동판
12 : 수납벽부
13 : 전면벽부
14 : 포착구지주
15 : 회동축
16 : 회동축스프링
17 : 포착구
18 : 승강스프링홈
19 : 승강스프링
20 : 포착암
21 : 포착암경첩
22 : 포착암스프링
24 : 회동레일
25 : 승강구홈
26 : 승강구
27 : 핀회동공
28 : 핀회동구
29 : 핀회동축돌기
30 : 유도핀
31 : 핀끼움공
40 : 승강유도구
41 : 유도홈
42 : 하강경사면
43 : 제1하강홈
44 : 상승유도로
45 : 제1상승면
46 : 제2상승면
47 : 상부승강로
48 : 하강유도로
49 : 제1하강면
50 : 제2하강면
51 : 제2하강홈
52 : 걸럼경사면
53 : 걸림홈
11 : 회동판
12 : 수납벽부
13 : 전면벽부
14 : 포착구지주
15 : 회동축
16 : 회동축스프링
17 : 포착구
18 : 승강스프링홈
19 : 승강스프링
20 : 포착암
21 : 포착암경첩
22 : 포착암스프링
24 : 회동레일
25 : 승강구홈
26 : 승강구
27 : 핀회동공
28 : 핀회동구
29 : 핀회동축돌기
30 : 유도핀
31 : 핀끼움공
40 : 승강유도구
41 : 유도홈
42 : 하강경사면
43 : 제1하강홈
44 : 상승유도로
45 : 제1상승면
46 : 제2상승면
47 : 상부승강로
48 : 하강유도로
49 : 제1하강면
50 : 제2하강면
51 : 제2하강홈
52 : 걸럼경사면
53 : 걸림홈
Claims (2)
- 케이스(10)에 수납되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한 쌍의 회동판(11)이 회동축(15)을 축으로 회동되어 케이스(10)의 전방으로 진출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회동판(11)에는 포착구(17)가 끼워져 승강되도록 형성된 포착구지주(14)와, 핀회동구(28)로 연결된 승강구(26) 및 승강유도구(4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승강구홈(25)과, 포착구(17)를 탄성지지하는 승강스프링(19)이 삽입되도록 승강스프링홈(18)이 구성되고;
포착구지주(14)에 끼워져 승강되는 포착구(17)에는 포착암경첩(21)으로 연결된 포착암(20)이 구성되며;
승강구(26)에는 핀회동구(28)의 핀회동축돌기(29)가 끼워져 연결되는 핀회동공(27)이 중앙에 형성되고, 승강구(26)의 상부는 포착구(17)와 결합되며;
핀회동구(28)에는 핀회동공(27)에 끼워져 회동되는 핀회동축돌기(29)가 중앙에 형성되며, 핀회동구(28) 하단의 핀끼움공(31)에 끼워진 유도핀(30)은 승강유도구(40)의 유도홈(41)에 삽입되어 승강 이동되는 과정에서 핀회동축돌기(29)를 축으로 핀회동구(28)가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승강유도구(40)의 일면은 유도핀(30)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유도홈(41)이 형성되고, 승강유도구(40)의 타면은 포착구지주(14)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포착구(17)가 하강되거나,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포착구(17)가 상승될 때, 포착구(17)와 결합된 승강구(26)와, 승강구(26)와 연결된 핀회동구(28)가 포착구(17)와 함께 승강되면서 유도홈(41)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유도핀(30)에 의해 포착구(17)가 상승 또는 하강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 청구항 1에 있어서,
승강유도구(40)의 유도홈(41)은 포착구(17)가 하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유도핀(30)이 걸리는 걸림홈(53)과, 유도핀(30)이 걸림홈(53)에 걸린 상태에서 포착구(17)의 상면을 누르면, 하강되는 유도핀(30)을 제1하강홈(43)으로 안내하는 하강경사면(42)과, 하강경사면(42)의 안내로 하강된 유도핀(30)이 삽입되면 포착구(17)의 하강을 멈추는 제1하강홈(43)과, 유도핀(30)이 제1하강홈(43)에 삽입된 상태에서 포착구(17)를 누르지 않으면,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포착구(17)와 유도핀(30)이 상승되는 과정에서 유도핀(30)을 상승유도로(44)로 안내하는 제1상승면(45)과, 제1상승면(45)에 안내로 상승되는 유도핀(30)을 제2상승면(46)으로 유도하는 상승유도로(44)와, 상승유도로(44)를 통해 상승되는 유도핀(30)을 상부승강로(47)로 안내하는 제2상승면(46)과, 제2상승면(46)의 안내로 삽입된 유도핀(30)이 상승되고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포착구(17)가 상승 상태로 위치되는 상부승강로(47)와, 포착구(17)가 상승된 상태에서 포착구(17)의 상면을 누르면 상부승강로(47)에 위치된 유도핀(30)이 하강되면서 하강유도로(48)로 안내하는 제1하강면(49)과, 제1하강면(49)에 의해 안내된 유도핀(30)이 하강되면서 제2하강면(50)으로 유도하는 하강유도로(48)와, 하강유도로(48)로 유도된 유도핀(30)을 제2하강홈(51)으로 안내하는 제2하강면(50)과, 제2하강면(50)에 의해 안내된 유도핀(30)이 삽입되면 포착구(17)의 하강을 멈추는 제2하강홈(51)과, 유도핀(30)이 제2하강홈(51)에 위치된 상태에서 포착구(17)를 누르지 않으면, 승강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상승되는 유도핀(30)을 걸림홈(53)으로 안내하는 걸림경사면(52)과, 걸림경사면(52)에 의해 안내된 유도핀(30)이 걸림홈(53)에 걸려 포착구(17)가 하강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5498A KR102218171B1 (ko) | 2020-12-01 | 2020-12-01 | 자동차용 컵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5498A KR102218171B1 (ko) | 2020-12-01 | 2020-12-01 | 자동차용 컵홀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8171B1 true KR102218171B1 (ko) | 2021-02-23 |
Family
ID=7468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5498A KR102218171B1 (ko) | 2020-12-01 | 2020-12-01 | 자동차용 컵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817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2580A (ko) * | 2023-04-21 | 2023-11-03 | (주)현대공업 | 자동차용 컵홀더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3779Y1 (ko) * | 2002-07-27 | 2002-11-01 | (주)현대공업 | 자동차의 뒷좌석 팔걸이용 컵홀더 |
JP2005306148A (ja) * | 2004-04-20 | 2005-11-04 | Kojima Press Co Ltd | 車両用ドリンクホルダ |
JP2007326509A (ja) * | 2006-06-09 | 2007-12-20 | Calsonic Kansei Corp | カップホルダー |
KR101447930B1 (ko) * | 2013-07-24 | 2014-10-13 | (주)현대공업 | 자동차용 포착암 절곡형 컵홀더 |
-
2020
- 2020-12-01 KR KR1020200165498A patent/KR1022181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3779Y1 (ko) * | 2002-07-27 | 2002-11-01 | (주)현대공업 | 자동차의 뒷좌석 팔걸이용 컵홀더 |
JP2005306148A (ja) * | 2004-04-20 | 2005-11-04 | Kojima Press Co Ltd | 車両用ドリンクホルダ |
JP2007326509A (ja) * | 2006-06-09 | 2007-12-20 | Calsonic Kansei Corp | カップホルダー |
KR101447930B1 (ko) * | 2013-07-24 | 2014-10-13 | (주)현대공업 | 자동차용 포착암 절곡형 컵홀더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2580A (ko) * | 2023-04-21 | 2023-11-03 | (주)현대공업 | 자동차용 컵홀더 |
KR102634023B1 (ko) | 2023-04-21 | 2024-02-06 | (주)현대공업 | 자동차용 컵홀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8171B1 (ko) | 자동차용 컵홀더 | |
US5202913A (en) | Communications unit for fitting in vehicles | |
KR101048573B1 (ko) | 시트 백의 록 장치 | |
JP2648469B2 (ja) | 自動車のセンタコンソールに設けられた2つのドリンク容器を保持するための装置 | |
CN210161967U (zh) | 一种车用杯托 | |
KR19980028248A (ko) | 자동차의 접이식 컵 홀더 | |
KR102492999B1 (ko) | 승합차용 무빙 콘솔박스 | |
CN110077325B (zh) | 用于在机动车辆中存放两轮车的存放系统 | |
CN113173084B (zh) | 车辆用充电系统 | |
CN112140972B (zh) | 车用按压式杯托及汽车 | |
KR20090114756A (ko) | 탈착 가능한 전동식 헤드레스트 | |
CN212307169U (zh) | 一种客车用可折叠办公桌 | |
KR102634023B1 (ko) | 자동차용 컵홀더 | |
CN214523496U (zh) | 一种可折叠杯托 | |
CN213973730U (zh) | 一种车用升降杯托 | |
JP3538379B2 (ja) | 自動車において使用される飲み物容器用のホルダ | |
CN100415630C (zh) | 叉车 | |
CN216545886U (zh) | 一种可充当头枕的汽车扶手箱 | |
CN221691672U (zh) | 车载升降机 | |
CN212195289U (zh) | 一种汽车货厢侧开梯 | |
CN216599987U (zh) | 一种便携式tws蓝牙耳机充电装置 | |
CN218839322U (zh) | 气动翻转踏步 | |
CN213948306U (zh) | 一种车载导航仪 | |
CN216733995U (zh) | 航空座椅扶手用收纳机构 | |
CN219544618U (zh) | 一种集装箱运输半挂车的转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