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580A - 자동차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580A
KR20230152580A KR1020230052689A KR20230052689A KR20230152580A KR 20230152580 A KR20230152580 A KR 20230152580A KR 1020230052689 A KR1020230052689 A KR 1020230052689A KR 20230052689 A KR20230052689 A KR 20230052689A KR 20230152580 A KR20230152580 A KR 20230152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late
support plate
hol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2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023B1 (ko
Inventor
김민수
장우정
Original Assignee
(주)현대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공업 filed Critical (주)현대공업
Priority to KR1020230052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023B1/ko
Publication of KR20230152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되어 음료컵이나 음료캔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컵홀더의 전면덮개(13)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수납되거나 전방으로 진출되는 포착구(21)에는 제1링크판(51)과 제2링크판(54)을 통해 연결된 받침판(31)이 구성되어, 케이스(10)에서 포착구(21)가 진출된 사용 상태에서는, 노출된 상태에서 받침판(31)에 음료컵을 거치하거나 받침판(31)을 소폭 하방 이동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조작하면 받침판(31)이 하측으로 신속하게 이동된 후, 그 이동상태가 유지되고, 반대로 받침판(31)을 비롯한 포착구(21)를 평면상 회전시켜 케이스(10)에 수납하거나, 받침판(31)을 소폭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받침판(31)이 상측으로 신속하게 이동 절첩되어 포착구(21)와 함께 케이스(31)에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CUP HOLD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되어 음료컵이나 음료캔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컵홀더의 전면덮개(13)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수납되거나 전방으로 진출되는 포착구(21)에는 제1링크판(51)과 제2링크판(54)을 통해 연결된 받침판(31)이 구성되어, 케이스(10)에서 포착구(21)가 진출된 사용 상태에서는, 노출된 상태에서 받침판(31)에 음료컵을 거치하거나 받침판(31)을 소폭 하방 이동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조작하면 받침판(31)이 하측으로 신속하게 이동된 후, 그 이동상태가 유지되고, 반대로 받침판(31)을 비롯한 포착구(21)를 평면상 회전시켜 케이스(10)에 수납하거나, 받침판(31)을 소폭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받침판(31)이 상측으로 신속하게 이동 절첩되어 포착구(21)와 함께 케이스(31)에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의 실내에는 탑승자가 사용하는 음료컵 또는 음료병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컵홀더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컵홀더는 자동차 실내 전방측의 계기반 내부 또는 그 주변에 장착되거나, 암레스트, 차문(車門) 또는 좌석 배후부 등에 장착된다.
자동차 실내의 내장품은 효율적이고 안전한 운행 및 조작을 위하여 최적의 여견을 조성함과 동시에, 탑승자에게 괘적하고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함에 주안점이 두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에 불필요한 공간의 잠식을 지양하고 운행 및 기기 조작의 방해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 내장품의 일종인 컵홀더 역시 운행 및 조작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최소한의 공간을 점유하되 사용시에는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현재 시판되는 승용차에 있어서 보편적으로 채택되는 컵홀더는 미사용 상태에서는 절첩되어 차체에 수납됨으로써 자동차 실내 공간을 잠식하지 않고, 사용 상태에 한하여 돌출 내지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종래의 특허 제10-916710호와 같이 미사용 상태에서는 수납공간 역시 최소화할 수 있도록 컵홀더가 컵홀더 케이스 내부로 수납되고, 사용 상태에서는 컵홀더 케이스 외부로 컵홀더가 돌출된 후, 컵받침부가 하방으로 회동되어 음료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창안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음료컵 또는 음료캔 등은 350ml 내외의 체적을 가지는 반면, 최근 테이크아웃 방식으로 판매되는 음료의 일회용 음료컵의 경우 내용적이 500ml를 상회하는 바, 결합구에 결합된 음료컵을 포착 및 지지하는 지점의 높이도 상향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자동차용 컵홀더는 높이가 낮아 충분한 포착 위치를 확보하지 못하여, 사용중 음료컵의 이탈이 발생될 경우 운행중 자동차의 사고가 초래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출원인의 특허 제10-2218171호는 컵홀더의 수납공간을 대폭 축소하면서도, 전개된 상태의 컵홀더의 수용 용량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컵홀더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절첩 상태로 내부에 수납되어 자동차의 실내 공간을 잠식하지 않고, 사용 상태에서는 평면상 회동판이 회동되어 전방으로 진출된 후, 포착구와 포착암이 상승되어 컵홀더의 수용 용량을 확대함으로 대용량 음료컵 등 대형 피착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었다.
본 발명 출원인의 특허 제10-2218171호의 컵홀더는 미사용 상태에서는 평면상 회동되는 회동판을 통해 포착구와 포착암이 케이스 내부로 수납되고, 사용 상태에서는 회동판의 회동을 통해 포착구와 포착암이 케이스 외부로 진출된 후, 상승되어 대용량의 음료컵 등을 포착하도록 구성된 것인 바, 포착구 내부에는 포착구 승강을 위한 승강구, 스프링 및 유도홈이 형성된 승강유도구와, 핀회동구 및 유도핀 등이 조립되어야 하는 복잡한 구성으로 제조되기에, 제조비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미 사용상태에서는 평면상 회동되는 전면덮개(13)를 통해 포착구(21)와 포착암(23)이 케이스(10) 내부로 수납되고, 사용 상태에서는 포착구(21)와 포착암(23)이 케이스(10) 외부로 진출되어 음료컵을 포착하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비가 절감되고, 부피가 축소되어 실내공간의 잠식이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케이스(10)에 수납된 포착구(21)가 전면덮개(13)의 회동축(15)을 통해 회동되어 전방으로 진출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포착구(21) 내부에는 제1링크판(51)의 제1링크고정축(52)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링크고정공(22)과, 제2링크판(54)의 제2링크고정축(55)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2링크고정공(25)과, 스프링링크(61)의 일단이 끼워지는 스프링축공(26)이 형성되고, 포착구(21)와 연결되는 받침판(31)의 일측에는 수직판(32)이 형성되되, 수직판(32)의 상단에는 제1링크판(51)의 제1링크회동공(53)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1링크회동축(33)이 형성되고, 수직판(32)의 배면에는 제2링크판(54)의 제2링크회동공(56)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2링크회동축(36)이 형성되며, 받침판(31)의 수직판(32)과 포착구(21) 사이에는 수직판(32)과 포착구(21)를 연결하는 제1링크판(51)과 제2링크판(54)이 구성되되, 제1링크판(51)의 일단에는 포착구(21)의 제1링크고정공(22)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1링크고정축(52)이 구성되고, 타단에는 수직판(32)의 제1링크회동축(33)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링크회동공(53)이 형성되며, 제2링크판(54)의 일단에는 포착구(21)의 제2링크고정공(25)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2링크고정축(55) 구성되고, 타단에는 수직판(32)의 제2링크회동축(36)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2링크회동공(56)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스프링링크(61)의 일단이 끼워져 연결되는 스프링회동공(57)이 형성되고, 스프링축공(26)과 스프링회동공(57)에는 양 말단이 서로 벌어지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링크(61)의 말단이 각각 끼워져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이다.
또한, 포착구(21) 내부에는 제2링크판(54)이 부드럽게 회동도록 댐퍼기어(28)가 구성된 회전댐퍼(27)가 구성되고, 제2링크고정축(55)의 일단에는 댐퍼기어(28)와 맞물리는 회동기어(5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이다.
본 발명은 평면상 수평으로 회동되는 전면덮개(13)를 통해, 미사용 상태에서는 포착구(21)와 포착암(23) 및 받침판(31)이 케이스(10) 내부로 수납되어 자동차의 실내공간 잠식이 최소화되고, 사용 상태에서는 포착구(21)와 포착암(23) 및 받침판(31)이 전방으로 진출된 후, 받침판(31)을 하방으로 소폭 이동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조작하면, 받침판(31)이 하측으로 신속하게 이동된 후 그 이동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서,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비가 절감되고, 부피의 축소로 실내공간 잠식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받침판이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예시한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받침판이 절첩되어 케이스 내부로 수납된 상태를 예시한 주요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받침판이 승강되는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받침판이 케이스의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예시한 주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받침판이 상승된 상태의 링크판을 발췌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받침판이 승강되는 상태의 링크판을 발췌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받침판이 하강된 상태의 링크판을 발췌한 측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용 컵홀더를 예시한 것으로서, 케이스(10)에는 회동축(15)을 축으로 평면상 수평으로 회동되는 전면덮개(13)가 구성되고, 전면덮개(13)에는 음료컵의 외주면과 맞닿아 포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호형(弧形)의 포착구(21)가 구성되며, 포착구(21)의 일측에는 전면덮개(13)의 회동으로 포착구(21)가 케이스(10) 내부로 수납되는 과정에서 접히거나, 포착구(21)가 진출되면 음료컵을 포착하는 호형의 포착암(23)이 구성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포착구(21)의 하측에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제1링크판(51)과 제2링크판(54)을 통해 포착구(21)와 연결된 받침판(31)이 구성되는데, 받침판(31)은 포착구(21)가 케이스(10) 내부로 수납되는 과정에서 포착구(21)로 내로 이동되거나, 포착구(21)가 진출되면 음료컵의 하단을 받칠 수 있도록 포착구(21) 하방으로 이동되는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음료컵의 하단을 받치는 수평의 받침판(31) 일측에는 수직판(32)이 형성되되, 수직판(32)의 상단에는 제1링크판(51)의 제1링크회동공(53)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1링크회동축(33)이 구성되고, 수직판(32)의 배면에는 제2링크판(54)의 제2링크회동공(56)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2링크회동축(36)이 구성된다.
포착구(21)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직내벽과 수직외벽이 구성되어 있는데, 포착구(21)의 수직내벽에는 제1링크판(51)의 제1링크고정축(52)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링크고정공(22)과, 제2링크판(54)의 제2링크고정축(55)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2링크고정공(25)이 형성되고, 수직내벽과 인접한 수직외벽에는 스프링링크(61)의 일단이 끼워져 연결되는 스프링축공(26)이 형성된다.
그리고 포착구(21)의 내부 상측에는 제2링크판(54)이 부드럽게 회동도록 댐퍼기어(28)가 구성된 회전댐퍼(27)가 구성된다.
받침판(31)에 구성된 수직판(32)과 포착구(21) 사이에는 수직판(32)과 포착구(21)를 연결하는 제1링크판(51)과 제2링크판(54)이 구성되는데, 제1링크판(51)의 일단에는 포착구(21)의 제1링크고정공(22)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1링크고정축(52)이 구성되고, 타단에는 수직판(32)의 제1링크회동축(33)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링크회동공(53)이 형성된다.
또한, 제2링크판(54)의 일단에는 포착구(21)의 제2링크고정공(25)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2링크고정축(55)과, 댐퍼기어(28)와 맞물리는 회동기어(58)가 구성되고, 타단에는 수직판(32)의 제2링크회동축(36)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2링크회동공(56)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스프링링크(61)의 일단이 끼워져 연결되는 스프링회동공(57)이 형성된다.
상기, 제1링크고정축(52)과 제2링크고정축(55) 및 스프링링크(61)의 일단은 포착구(21) 내부에 형성된 수직내벽과 수직외벽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된 고정축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는 고정축을 내부가 검게 채워진 원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스프링축공(26)과 스프링회동공(57)에는 스프링링크(61)의 양단이 각각 끼워져 연결되는데, 스프링링크(61)는 'C'형으로 양단이 서로 벌어지려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링크고정축(52)과 제2링크고정축(55)을 축으로 제1링크판(51) 및 제2링크판(54)이 연결된 포착구(21)는 위치가 고정된 1개의 고정링크이고, 제1링크회동축(33)과 제2링크회동축(36)을 통해 제1링크판(51) 및 제2링크판(54)과 연결된 받침판(31)과, 제1링크판(51) 및 제2링크판(54)은 일정한 모양으로 위치가 이동되는 3개의 이동링크의 기능이 수행되는데, 이는 4개의 링크가 4개의 조인트로 연결된 4절링크와 같은 것으로서, 받침판(31)은 포착구(21)가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높낮이로 상하 이동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은 케이스(10) 내부에서 포착구(21)와 받침판(31)이 수납된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로서, 제2링크판(54)은 스프링링크(61)의 양 말단이 서로 벌어지려는 탄성에 의해 도면상 제2링크고정축(55)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된다.
따라서, 스프링링크(61)의 탄성에 의해 제2링크판(54)은 제2링크고정축(55)을 축으로 수평상태가 유지되고, 수직판(32)을 통해 제2링크판(54)과 연결된 받침판(31)과, 수직판(32)과 연결된 제1링크판(51)도 제1링크고정축(52)을 축으로 수평상태가 유지되므로 받침판(31)이 케이스(10)에 수납된다.
컵홀의더 사용을 위하여, 도 4에서와 같이 평면상 수평으로 회동되는 회동축(15)을 통해 전면덮개(13)를 회동하면, 포착구(21)와 포착구(21)에 연결된 받침판(31)이 전방으로 진출되는데, 진출된 받침판(31)의 상면을 음료컵이나 손가락 등으로 가압하여 받침판(31)을 소폭 하강시킨다.
받침판(31)이 소폭 하강됨에 따라, 수직판(32)에 연결된 제1링크판(51)과 제2링크판(54)은 스프링링크(61)의 탄성을 이기고 각각 제1링크고정축(52)과 제2링크고정축(55)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스프링축공(26)을 축으로 스프링링크(61)가 회전되면서 양 말단이 서로 근접되다가, 제2링크고정축(55)과, 스프링축공(26) 및 스프링회동공(57)이 일직선을 이루는 중심선(C)을 지나면, 도 5에서와 같이 스프링링크(61)의 양 말단이 탄성에 의해 벌어지면서 제2링크고정축(55)을 축으로 제2링크판(54)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되고, 받침판(31)은 스프링링크(61)의 탄성에 의해 스스로 하강한 후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포착구(21)에 구성된 회전댐퍼(27)의 댐퍼기어(28)와 맞물린 회동기어(58)를 통해 제2링크판(54)이 부드럽게 회동되므로, 수직판(32)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소음이나 진동 발생이 억제된다.
받침판(31)이 하방으로 이동된 후에는, 음료컵을 포착구(21)와 포착암(23) 및 받침판(31)을 통해 거치할 수 있다.
컵홀더의 사용을 마치고 받침판(31)의 하면을 손가락 등으로 가압하여 받침판(31)을 소폭 상승시키거나, 회동축(15)을 통해 전면덮개(13)가 닫히도록 평면상 수평으로 회동하여, 제2링크판(54)의 배면이 케이스(10)의 테두리에 맞닿게 하면, 받침판(31)이 상승된다.
받침판(31)이 소폭 상승됨에 따라, 수직판(32)에 연결된 제1링크판(51)과 제2링크판(54)은 스프링링크(61)의 탄성을 이기고 각각 제1링크고정축(52)과 제2링크고정축(55)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스프링축공(26)을 축으로 스프링링크(61)가 회전되면서 양 말단이 서로 근접되다가, 제2링크고정축(55)과, 스프링축공(26) 및 스프링회동공(57)이 일직선을 이루는 중심선(C)을 지나면, 도 3에서와 같이 스프링링크(61)의 양 말단이 탄성에 의해 벌어지면서 제2링크고정축(55)을 축으로 제2링크판(54)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되고, 받침판(31)은 스프링링크(61)의 탄성에 의해 스스로 상승하여 포착구(21)로 이동되며, 전면덮개(13)가 완전히 닫히면 포착구(21)는 케이스(10) 내부로 수납된다.
본 발명을 다시 한번 정리하면, 컵홀더의 사용상태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절첩된 받침판(31)의 상면을 하측으로 소폭 가압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제1링크판(51)과 제2링크판(54)이 각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동시에 스프링링크(61)가 회전되면서 말단이 서로 근접되다가 중심선(C)을 지나게 된다.
이후, 도 8에서와 같이 스프링링크(61)의 말단이 서로 벌어지는 탄성에 의해 받침판(31)이 스스로 하강된 후, 하강상태가 유지되므로 받침판(31)에 음료컵을 거치할 수 있다.
반대로 컵홀더의 미 사용상태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펼쳐진 받침판(31)의 하면을 상측으로 소폭 가압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제1링크판(51)과 제2링크판(54)이 각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동시에 스프링링크(61)가 회전되면서 말단이 서로 근접되다가 중심선(C)을 지나게 된다.
이후, 도 6에서와 같이 스프링링크(61)의 말단이 서로 벌어지는 탄성에 의해 받침판(31)이 스스로 상승된 후, 절첩 상태가 유지되므로 케이스(31) 내에 컵홀더를 수납할 수 있다.
10 : 케이스
13 : 전면덮개
15 : 회동축
21 : 포착구
22 : 제1링크고정공
23 : 포착암
25 : 제2링크고정공
26 : 스프링축공
27 : 회전댐퍼
28 : 댐퍼기어
31 : 받침판
32 : 수직판
33 : 제1링크회동축
36 : 제2링크회동축
51 : 제1링크판
52 : 제1링크고정축
53 : 제1링크회동공
54 : 제2링크판
55 : 제2링크고정축
56 : 제2링크회동공
57 : 스프링회동공
58 : 회동기어
61 : 스프링링크
C : 중심선

Claims (2)

  1. 케이스(10)에 수납된 포착구(21)가 전면덮개(13)의 회동축(15)을 통해 회동되어 전방으로 진출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포착구(21) 내부에는 제1링크판(51)의 제1링크고정축(52)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링크고정공(22)과, 제2링크판(54)의 제2링크고정축(55)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2링크고정공(25)과, 스프링링크(61)의 일단이 끼워지는 스프링축공(26)이 형성되고,
    포착구(21)와 연결되는 받침판(31)의 일측에는 수직판(32)이 형성되되, 수직판(32)의 상단에는 제1링크판(51)의 제1링크회동공(53)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1링크회동축(33)이 형성되고, 수직판(32)의 배면에는 제2링크판(54)의 제2링크회동공(56)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2링크회동축(36)이 형성되며,
    받침판(31)의 수직판(32)과 포착구(21) 사이에는 수직판(32)과 포착구(21)를 연결하는 제1링크판(51)과 제2링크판(54)이 구성되되, 제1링크판(51)의 일단에는 포착구(21)의 제1링크고정공(22)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1링크고정축(52)이 구성되고, 타단에는 수직판(32)의 제1링크회동축(33)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링크회동공(53)이 형성되며, 제2링크판(54)의 일단에는 포착구(21)의 제2링크고정공(25)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2링크고정축(55) 구성되고, 타단에는 수직판(32)의 제2링크회동축(36)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2링크회동공(56)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스프링링크(61)의 일단이 끼워져 연결되는 스프링회동공(57)이 형성되고,
    스프링축공(26)과 스프링회동공(57)에는 양 말단이 서로 벌어지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링크(61)의 말단이 각각 끼워져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포착구(21) 내부에는 제2링크판(54)이 부드럽게 회동도록 댐퍼기어(28)가 구성된 회전댐퍼(27)가 구성되고, 제2링크고정축(55)의 일단에는 댐퍼기어(28)와 맞물리는 회동기어(5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KR1020230052689A 2023-04-21 2023-04-21 자동차용 컵홀더 KR102634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689A KR102634023B1 (ko) 2023-04-21 2023-04-21 자동차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689A KR102634023B1 (ko) 2023-04-21 2023-04-21 자동차용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580A true KR20230152580A (ko) 2023-11-03
KR102634023B1 KR102634023B1 (ko) 2024-02-06

Family

ID=8874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689A KR102634023B1 (ko) 2023-04-21 2023-04-21 자동차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02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6210A (ja) * 1997-02-27 1998-09-08 Nifco Inc カップホルダ
JP2000062514A (ja) * 1998-08-25 2000-02-29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カップホルダ
KR20060109322A (ko) * 2005-04-15 2006-10-19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컵 홀더
KR101695142B1 (ko) * 2016-05-07 2017-01-11 (주)현대공업 자동차용 컵홀더
KR102218171B1 (ko) * 2020-12-01 2021-02-23 주식회사 현대공업 자동차용 컵홀더
JP6895655B2 (ja) * 2017-12-28 2021-06-30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6210A (ja) * 1997-02-27 1998-09-08 Nifco Inc カップホルダ
JP2000062514A (ja) * 1998-08-25 2000-02-29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カップホルダ
KR20060109322A (ko) * 2005-04-15 2006-10-19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컵 홀더
KR101695142B1 (ko) * 2016-05-07 2017-01-11 (주)현대공업 자동차용 컵홀더
JP6895655B2 (ja) * 2017-12-28 2021-06-30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KR102218171B1 (ko) * 2020-12-01 2021-02-23 주식회사 현대공업 자동차용 컵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023B1 (ko)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281A (en) Generic beverage container holder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5791616A (en) Holder for two drink containers,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US5673891A (en) Cup holder
US5598999A (en) Device for holding two drink containers in central console of motor vehicle
CN210161967U (zh) 一种车用杯托
CN104057856B (zh) 可升降式后排座椅扶手及具有其的车辆
KR19980028248A (ko) 자동차의 접이식 컵 홀더
KR102264389B1 (ko) 자동차용 파워 테이블 장치
KR102634023B1 (ko) 자동차용 컵홀더
CN104972947A (zh) 一种深度可变的杯托装置
CN110422121B (zh) 一种对开式双扶手锁止机构
KR10221817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CN201816491U (zh) 车门扶手结构
CN111252012A (zh) 智能座舱多功能箱
CN213973730U (zh) 一种车用升降杯托
KR102492999B1 (ko) 승합차용 무빙 콘솔박스
CN110871717A (zh) 一种车辆及其后排座椅控制方法
JP3538379B2 (ja) 自動車において使用される飲み物容器用のホルダ
CN211417052U (zh) 车用可折叠杯托
CN112440851A (zh) 一种车用升降杯托
CN104002736B (zh) 中控台置杯座构造
CN216545886U (zh) 一种可充当头枕的汽车扶手箱
KR20020026712A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컵홀더 장치
JP4986133B2 (ja) カップ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