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072B1 - 타이어 적재시스템 - Google Patents

타이어 적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072B1
KR102218072B1 KR1020200131598A KR20200131598A KR102218072B1 KR 102218072 B1 KR102218072 B1 KR 102218072B1 KR 1020200131598 A KR1020200131598 A KR 1020200131598A KR 20200131598 A KR20200131598 A KR 20200131598A KR 102218072 B1 KR102218072 B1 KR 102218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raised
conveyor device
lifting
stac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춘기
Original Assignee
(주)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함코 filed Critical (주)함코
Priority to KR102020013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added articles being lifted to substantially stationary gripper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7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65G57/04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3T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를 다단으로 적층하고, 적층된 타이어의 상단에 보호용 패드를 적층하여 배출하는 과정을 한 번에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타이어 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올려진 타이어(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장치(10)와,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1)를 적층하는 타이어적층유닛(A)과,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에 의해 적층된 타이어(1)의 상면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하는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B)과 상기 컨베이어장치(10)와 타이어적층유닛(A) 및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C)을 제어하는 제어수단(C)으로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1)를 타이어(1) 적층유닛(A)을 이용하여 적층하면서, 상기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B)을 이용하여 타이어(1)의 상면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한다.
따라서, 타이어(1)를 적층하는 작업과 타이어(1)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하는 작업을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타이어(1)를 적층하는 작업과, 적층된 타이어(1)의 상면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적재시스템{tire loading system}
본 발명은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를 다단으로 적층하고, 적층된 타이어의 상단에 보호용 패드를 적층하여 배출하는 과정을 한 번에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타이어 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작이 완료된 타이어는 4개 또는 5개를 적층하고, 적층된 타이어의 상면에 보호용 패드를 적층하여 이송 및 보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 같이 타이어를 적층하는 작업과, 적층된 타이어의 상면에 보호용 패드를 적층하는 작업이 각각 별도로 실시되었음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타이어를 적층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실시하였음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타이어를 정확하게 상하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적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15323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를 다단으로 적층하고, 적층된 타이어의 상단에 보호용 패드를 적층하여 배출하는 과정을 한 번에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타이어 적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올려진 타이어(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장치(10)와,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1)를 적층하는 타이어적층유닛(A)과,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에 의해 적층된 타이어(1)의 상면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하는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B)과 상기 컨베이어장치(10)와 타이어적층유닛(A) 및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C)을 제어하는 제어수단(C)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은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중간부에 구비된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며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타이어(1)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상승수단(40)과,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어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된 타이어(1)의 중심을 정렬하는 정렬수단(50)과, 상기 정렬수단(50)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된 타이어(1)의 둘레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60)을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장치(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바(11)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바(11)에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이송로울러(12)를 포함하는 로울러컨베이어를 이용하고, 상기 상승수단(40)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결합된 승강대(41)와, 상기 승강대(41)의 상면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승강대(41)가 상승되면 상기 이송로울러(12) 사이의 틈을 통해 컨베이어장치(10)의 상부로 상승되어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1)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푸쉬판(42)과,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41)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승강대(41)를 신축시키는 승강실린더(43)를 포함하고,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B)은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보호용 패드(2)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비된 지지대(81)와, 상기 지지대(81)의 상측에서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의 상부까지 연장된 가이드부재(82a)가 구비된 상부프레임(82)과, 상기 가이드부재(82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며 측방향구동수단(85)에 의해 상기 지지대(81)의 상측에서 타이어(1)적층유닛의 상측으로 왕복하는 왕복대(84)와, 상기 왕복대(84)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왕복대(84)에 구비된 승강구동수단(86)에 의해 승강되며 하강시 상기 지지대(81)에 올려진 보호용 패드(2)를 흡착고정하는 흡착수단(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착수단(90)은 상기 승강구동수단(86)에 연결되어 승강구동수단(86)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91)와, 상기 승강대(91)의 하측에 구비되고 진공발생장치(94)가 연결되며 승강대(91)가 하강되면 상기 진공발생장치(94)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81)에 적층된 다수개의 보호용 패드(2)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된 보호용 패드(2)를 흡착고정하는 복수개의 흡착헤드(93)와, 상기 승강대(91)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91)의 하강시 승강대(91)와 상기 지지대(81)에 올려진 보호용 패드(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수단(95)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승강구동수단(86)을 제어하여 승강대(91)와 흡착헤드(93)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거리측정수단(95)의 신호를 수신하여, 승강대(91)와 지지대(81)에 적층된 보호용 패드(2)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줄어들면, 상기 승강구동수단(86)을 정지시키고 상기 진공발생장치(94)를 구동시켜 보호용 패드(2)가 흡착헤드(93)에 흡착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실린더(4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하우징(43a)과, 상기 실린더하우징(43a)의 상하측으로 연장된 상하측 피스톤로드(43b,43c)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 피스톤로드(43b)는 상기 승강대(41)에 고정되고, 하측 피스톤로드(43c)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고정되어, 상기 상측 또는 하측 피스톤로드(43c)를 신장시켜 상기 타이어(1)가 상기 정렬수단(50)의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하측 또는 상측 피스톤로드(43b)를 신장시켜 상기 타이어(1)를 상기 고정수단(60)의 높이까지 상승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60)은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된 타이어(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어 전후진구동수단(63)에 의해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제1 및 제2 이송대(61,62)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61,62)의 인접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승강대(64)와, 상기 승강대(64)의 인접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된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가압로울러(65)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진구동수단(63)은 상기 제1 이송대(61)에 연결되어 제1 이송대(61)를 제1 이송대(61)쪽으로 전후진시키는 실린더기구(63a)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61,62)를 상호 연결하여 제1 이송대(61)가 제2 이송대(62)쪽으로 전후진되면 상기 제2 이송대(62)가 이에 추종하여 제1 이송대(61)쪽으로 전후진되도록 하는 링크기구(63b)를 포함하여,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타이어(1)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진구동수단(63)으로 제1 및 제2 이송대(61,62)를 인접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가압로울러(65)가 상승된 타이어(1)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이송대(61,62)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대(64)가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승강감지수단(7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61,62)가 인접방향으로 전진되어 상기 가압로울러(65)에 의해 타이어(1)가 고정되고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새로운 타이어(1)가 상측으로 상승되는 상태에서, 상기 승강감지수단(7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되는 새로운 타이어(1)에 의해 고정수단(60)에 고정된 타이어(1)를 상측으로 밀어올려 타이어(1)와 승강대(64)가 상승되는 것이 상기 승강감지수단(71)에 감지되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63)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61,62)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후퇴되도록 하여, 고정수단(60)에 의해 고정된 타이어(1)가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되는 새로운 타이어(1)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압로울러(65)는 복수개의 원판(65a)과, 스페이서(65b)를 상호 상하방향으로 번갈아가면서 적층되도록 결합하여 구성되어, 가압로울러(65)가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될 때, 상기 원판(65a)의 둘레면이 타이어(1)의 둘레면에 형성된 트레드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전면에 구비된 스토퍼(31)와, 상기 스토퍼(3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C)에 의해 제어되어 스토퍼(31)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32)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스토퍼(31)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타이어(1)가 정위치를 통과할 경우 타이어(1)가 상기 스토퍼(31)에 걸려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31)의 내부에 구비되어 타이어(1)가 스토퍼(31)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7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충격감지센서(7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타이어(1)가 스토퍼(31)에 충돌하면, 상기 컨베이어장치(10)를 정지시키고 상기 상승수단(40)과 정렬수단(50) 및 고정수단(60)을 제어하여, 타이어(1)가 고정수단(6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프레임(82)의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81)와 타이어적층유닛(A)의 상부에 대응되는 한 쌍의 관통공(87a)이 형성된 보호패널(87)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착수단(90)은 상기 관통공(87a)을 통해 승강되고 상기 보호패널(87)의 상측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올려진 타이어(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장치(10)와,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1)를 적층하는 타이어적층유닛(A)과,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에 의해 적층된 타이어(1)의 상면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하는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B)과 상기 컨베이어장치(10)와 타이어적층유닛(A) 및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C)을 제어하는 제어수단(C)으로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1)를 타이어(1) 적층유닛(A)을 이용하여 적층하면서, 상기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B)을 이용하여 타이어(1)의 상면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한다.
따라서, 타이어(1)를 적층하는 작업과 타이어(1)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하는 작업을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타이어(1)를 적층하는 작업과, 적층된 타이어(1)의 상면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타이어적층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타이어적층유닛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타이어적층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타이어적층유닛의 승강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9는 본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타이어적층유닛의 정렬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타이어적층유닛의 정렬수단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11은 본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타이어적층유닛의 정열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2는 본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타이어적층유닛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타이어적층유닛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14는 본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타이어적층유닛의 고정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타이어적층유닛의 고정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보호용 패드 적측유닛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21은 본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회로구성도,
도 22는 본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3은 본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24는 본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올려진 타이어(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장치(10)와,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1)를 적층하는 타이어적층유닛(A)과,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에 의해 적층된 타이어(1)의 상면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하는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B)과 상기 컨베이어장치(10)와 타이어적층유닛(A) 및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C)을 제어하는 제어수단(C)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장치(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바(11)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바(11)에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이송로울러(12)가 구비된 로울러컨베이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C)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도시 안된 공급장치에 의해 후방 상면에 타이어(1)가 올려지면, 올려진 타이어(1)를 전방으로 이송한 후, 타이어(1)가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의 중앙부에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은 도 3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중간부에 구비된 지지프레임(2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전면에 구비된 스토퍼(31)와, 상기 스토퍼(3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C)에 의해 제어되어 스토퍼(31)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32)과,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며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타이어(1)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상승수단(40)과,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어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된 타이어(1)의 중심을 정렬하는 정렬수단(50)과, 상기 정렬수단(50)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된 타이어(1)의 둘레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60)과, 상기 고정수단(60)에 구비된 승강감지수단(71)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중간부 하측에 위치되는 프레임본체(21)와, 상기 프레임본체(21)의 후방 상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부(22)와, 상기 수직부(22)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된 수평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공급된 타이어(1)가 정지되는 위치에 비해 조금 전방에 위치되도록 컨베이어장치(10)의 이송로울러(12)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승시, 이송로울러(12)의 사이를 통과하여 컨베이어장치(1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타이어(1)가 정위치에 정지하지 못하고 전방으로 밀려날 경우, 타이어(1)가 스토퍼(31)에 걸려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정지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32)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31)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스토퍼(31)가 승강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상기 상승수단(40)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결합된 승강대(41)와, 상기 승강대(41)의 상면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승강대(41)가 상승되면 상기 이송로울러(12) 사이의 틈을 통해 컨베이어장치(10)의 상부로 상승되어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1)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푸쉬판(42)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41)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승강대(41)를 신축시키는 승강실린더(43)로 구성된다.
상기 푸쉬판(42)은 2개로 구성되며 전후방향 간격이 상기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1)의 지름에 비해 좁게 구성되어, 푸쉬판(42)이 상승되면 푸쉬판(42)의 상단이 타이어(1)의 하측면을 지지하여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실린더(43)는 상기 푸쉬판(42)의 2단계로 상승시켜, 상기 타이어(1)가 상기 정렬수단(50)의 높이로 1차 상승된 후, 상기 고정수단(60)의 높이로 2차 상승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실린더(43)는 상기 승강실린더(4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하우징(43a)과, 상기 실린더하우징(43a)의 상하측으로 연장된 상하측 피스톤로드(43b,43c)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 피스톤로드(43b)는 상기 승강대(41)에 고정되고 하측 피스톤로드(43c)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되어, 승강실린더(43)에 유압을 제어하여, 상기 상측 피스톤로드(43b)와 하측 피스톤로드(43c)가 선택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이어(1)가 상승수단(40)의 상측에 정지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피스톤로드(43c)를 신장시키면 실린더하우징(43a)과 상측 피스톤로드(43b)가 상승되면서 승강대(41)와 푸쉬판(42)을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며, 이에 따라, 컨베이어장치(10)에 올려진 타이어(1)가 푸쉬판(42)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올려져 상기 정렬수단(50)의 높이로 1차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 피스톤로드(43c)가 신장된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피스톤로드(43b)를 신장시키면, 상기 승강대(41)와 푸쉬판(42)이 더욱 상승되면서 타이어(1)가 상기 고정수단(60)의 높이로 2차 상승된다.
상기 정렬수단(50)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1차 상승된 타이어(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전후진구동수단(55)에 의해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제1 및 제2 이송대(51,52)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51,52)의 인접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지지로울러(56)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51,52)는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양측에 상호 인접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53)와, 상기 지지부(53)의 상면에서 인접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부(54)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진구동수단(55)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51,52)에 연결된 링크기구(55a)와, 상기 링크기구(55a)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링크기구(55a)를 구동시키는 구동실린더(55b)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로울러(56)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장부(54)의 인접면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이송대(51,52)가 상호 이격되도록 후퇴된 상태에서,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타이어(1)가 정렬수단(50)의 높이로 상승되면, 상기 제어수단(C)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55)을 구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51,52)가 인접방향으로 전진되면서 상기 지지로울러(56)가 타이어(1)의 둘레면에 4곳에 밀착되어 타이어(1)의 중심을 정렬한다.
상기 고정수단(60)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된 타이어(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82)에 구비되어 전후진구동수단(63)에 의해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제1 및 제2 이송대(61,62)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61,62)의 인접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승강대(64)와, 상기 승강대(64)의 인접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된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가압로울러(65)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61,62)는 일측면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수평부(23)에 상호 인접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후진구동수단(63)은 상기 제1 이송대(61)에 연결되어 제1 이송대(61)를 제1 이송대(61)쪽으로 전후진시키는 실린더기구(63a)와, 상기 상부프레임(82)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61,62)를 상호 연결하여 제1 이송대(61)가 제2 이송대(62)쪽으로 전후진되면 상기 제2 이송대(62)가 이에 추종하여 제1 이송대(61)쪽으로 전후진되도록 하는 링크기구(63b)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대(64)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패널형상으로 구성된 패널형상으로 구성되며, 인접면에는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브라켓(64a)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로울러(65)는 복수개의 원판(65a)과, 스페이서(65b)를 상호 상하방향으로 번갈아가면서 적층되도록 결합하여 구성되어, 상기 승강대(64)의 지지브라켓(64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원판(65a)은 스페이서(65b)에 의해 지름이 크고,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스프로켓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될 때, 상기 원판(65a)의 둘레면, 즉, 돌출부가 타이어(1)의 둘레면에 형성된 트레드 홈에 삽입되어, 타이어(1)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타이어(1)가 고정수단(60)의 높이로 2차 상승된 상태에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63)으로 제1 및 제2 이송대(61,62)를 인접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가압로울러(65)가 상승된 타이어(1)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타이어(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승강감지수단(71)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61,62)의 인접면에, 상기 승강대(64)의 상부에 근접되도록 배치된 근접감지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60)에 타이어(1)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되는 새로운 타이어(1)가 고정수단(60)에 고정된 타이어(1)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대(64)가 상승되면 상기 승강감지수단(71)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타이어적층유닛(A)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공급장치에 의해 컨베이어장치(10)의 상면에 타이어(1)가 올려지면, 타이어(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상승수단(40)의 상측에 정지된다.
이때, 상기 공급장치는 일정한 타이밍으로 컨베이어장치(10)의 상면에 타이어(1)가 올려짐으로,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작동시간을 제어함으로써, 타이어(1)가 상승수단(40)의 상측에 정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장치(10)를 이용하여 타이어(1)를 전방으로 이송할 때,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승강구동수단(32)을 제어하여 스토퍼(31)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컨베이어장치(10)나 공급장치의 이상 등으로 타이어(1)가 정위치로 공급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타이어(1)가 상승수단(40)의 상측에 정지되지 못할 경우, 도 6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1)가 스토퍼(31)에 걸려 더 이상 전방으로 전진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어(1)가 상승수단(40)의 상측에 정지되면, 상기 제어수단(C)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수단(40)을 제어하여, 타이어(1)가 상기 정렬수단(50)의 높이로 1차 상승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승수단(40)은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상승수단(40)의 상부에 정확히 정지된 타이어(1)뿐 아니라, 상기 스토퍼(31)에 의해 정지된 타이어(1)도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승수단(40)에 의해 타이어(1)가 1차 상승되면, 상기 제어수단(C)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렬수단(50)을 제어하여 타이어(1)의 위치를 정렬한다.
즉, 상기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타이어(1)를 컨베이어장치(10)에 올려놓거나, 컨베이어장치(10)를 이용하여 타이어(1)를 이송할 때, 타이어(1)의 위치는 조금씩 유동된다.
그런데, 타이어(1)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하기 위해서는 타이어(1)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타이어(1)를 상승수단(40)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린 후, 정렬수단(50)을 이용하여 타이어(1)의 중심이 일정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타이어(1)를 정렬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1)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할 때, 타이어(1)가 정확히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렬수단(50)의 제1 및 제2 이송대(51,52)가 원래의 위치로 후퇴되면, 상기 제어수단(C)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승수단(40)을 제어하여 타이어(1)를 고정수단(60)의 높이로 2차 상승시키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60)을 제어하여, 가압로울러(65)가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타이어(1)를 고정한 후,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대(41)와 푸쉬판(42)이 초기위치로 하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승수단(40)의 상부로 새로운 타이어(1)가 공급되면, 상기 제어수단(C)은 상승수단(40)을 제어하여 타이어(1)를 정렬수단(50)의 높이로 1차 상승시키고, 정렬수단(50)을 제어하여 타이어(1)를 정렬한 후, 상승수단(40)을 제어하여 타이어(1)를 고정수단(60)의 높이로 2차 상승시킨다.
이때,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60)에는 이미 타이어(1)가 고정되어 있음으로, 새로운 타이어(1)가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되면, 새로운 타이어(1)가 고정수단(60)에 의해 고정된 타이어(1)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1)와 가압로울러(65) 및 승강대(64)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승강감지수단(7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되는 새로운 타이어(1)에 의해 고정수단(60)에 고정된 타이어(1)와 승강대(64)가 상승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고정수단(60)의 전후진구동수단(63)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61,62)를 상호 이격되도록 후퇴시켜, 타이어(1)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고정수단(60)에 고정된 타이어(1)가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되는 새로운 타이어(1)의 상면에 올려져, 2개의 타이어(1)가 적층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승수단(40)이 완전히 상승되어 하측에 위치된 타이어(1)가 상기 고정수단(60)의 높이로 상승되면,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고정수단(60)을 제어하여 하측의 타이어(1)가 고정수단(60)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정해진 개수의 타이어(1)(도면의 경우 4개)가 상기 고정수단(60)에 적층되도록 고정되면,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상승수단(40)의 승강대(41)와 푸쉬판(42)을 상승시켜 고정수단(60)에 고정된 타이어(1) 중에서 가장 하측의 타이어(1)의 하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고정수단(60)을 제어하여 타이어(1)의 고정을 해제한 후, 승강수단(40)의 승강대(41)와 푸쉬판(42)을 컨베이어장치(10)의 하측으로 하강시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적재된 타이어(1)가 컨베이어장치(10)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장치(10)는 지속적으로 구동됨으로, 스토퍼(31)가 컨베이어장치(10)의 하측으로 하강되면, 타이어(1)는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전방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타이어(1)가 상기 고정수단(60)에 고정된 상태에서 4개의 타이어(1)가 적층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층된 타이어(2)의 상면에 상기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B)에 의해 보호용 패드(2)가 공급되어, 적층된 타이어(4)가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전방으로 배출될 때, 보호용 패드(2)가 적층된 상태로 배출된다.
상기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B)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보호용 패드(2)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비된 지지대(81)와, 상기 지지대(81)의 상측에서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의 상부까지 연장된 가이드부재(82a)가 구비된 상부프레임(82)과, 상기 가이드부재(82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며 측방향구동수단(85)에 의해 상기 지지대(81)의 상측에서 타이어(1)적층유닛의 상측으로 왕복하는 왕복대(84)와, 상기 왕복대(84)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왕복대(84)에 구비된 승강구동수단(86)에 의해 승강되며 하강시 상기 지지대(81)에 올려진 보호용 패드(2)를 흡착고정하는 흡착수단(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81)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테이블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바닥면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프레임(82)은 상기 지지대(81)와 타이어적층유닛(A)의 상부를 덮도록 넓게 구성되며,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수직바(8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측방향구동수단(85)은 상기 상부프레임(82)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일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왕복대(84)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왕복대(84)가 상기 지지대(81)의 상측에서 타이어적층유닛(A)의 상부로 왕복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86)은 상기 왕복대(84)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피스톤로드가 하측으로 연장된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상기 흡착수단(90)은 상기 승강구동수단(86)에 연결되어 승강구동수단(86)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91)와, 상기 승강대(91)의 하측에 구비되고 진공발생장치(94)가 연결되며 승강대(91)가 하강되면 상기 진공발생장치(94)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81)에 적층된 다수개의 보호용 패드(2)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된 보호용 패드(2)를 흡착고정하는 복수개의 흡착헤드(93)와, 상기 승강대(91)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91)의 하강시 승강대(91)와 상기 지지대(81)에 올려진 보호용 패드(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수단(95)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착헤드(93)는 하측면이 개방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자바라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하측면이 상기 보호용 패드(2)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발생장치(94)가 작동되면,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되어 보호용 패드(2)가 하측면에 흡착고정된다.
상기 진공발생장치(94)는 배기관(94a)을 통해 상기 흡착헤드(93)에 연결된 진공펌프를 이용한다.
상기 거리측정수단(95)은 상기 승강대(91)의 하측면에 구비된 지지브라켓(95a)과, 상기 지지브라켓(95a)에 구비되며 승강대(91)가 하강되면 상기 지지대(81)에 올려진 보호용 패드(2)의 상면에 밀착되어 회동되는 감지핀(95c)이 구비된 리미트스위치(95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리측정수단(95)은, 상기 승강대(91)가 하강되어 상기 흡착헤드(93)의 하단이 지지대(81)에 올려진 보호용 패드(2)의 상면에 밀착된 후 조금 더 하강되면, 상기 제어수단(C)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거리측정수단(95)에서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흡착헤드(93)가 보호용 패드(2)가 상면에 강하게 밀착된 것을 의미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초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착수단(90)은 상기 지지대(81)의 상측에 상승된 상태로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에 의해 정해진 개수의 타이어(1)가 적층되면(본 실시예의 경우 3개의 타이어(1)가 적층되면), 상기 제어수단(C)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86)을 제어하여 흡착수단(90)을 하강시키면서, 상기 거리측정수단(95)의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거리측정수단(95)에서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진공발생장치(94)를 작동시켜 보호용 패드(2)가 흡착헤드(93)에 흡착고정되도록 한 후,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86)을 제어하여 상기 흡착수단(90)을 초기위치로 상승시키고, 상기 측방향구동수단(85)을 제어하여 흡착수단(90)이 상기 타이어적층수단(A)에 의해 적층된 타이어(1)의 상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이, 흡착수단(90)이 흡착헤드(93)를 흡착고정하여 타이어적층수단(A)의 상부로 이동하는 사이에, 상기 타이어적층수단(A)은 타이어(1)가 4개가 적층되도록 한다.
그리고, 흡착수단(90)이 타이어(1)의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진공발생장치(94)를 정지시켜 상기 흡착수단(90)과 보호용 패드(2)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보호용 패드(2)가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타이어(1)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이어 적재시스템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올려진 타이어(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장치(10)와,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1)를 적층하는 타이어적층유닛(A)과,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에 의해 적층된 타이어(1)의 상면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하는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B)과 상기 컨베이어장치(10)와 타이어적층유닛(A) 및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C)을 제어하는 제어수단(C)으로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1)를 타이어(1) 적층유닛(A)을 이용하여 적층하면서, 상기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B)을 이용하여 타이어(1)의 상면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한다.
따라서, 타이어(1)를 적층하는 작업과 타이어(1)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하는 작업을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타이어(1)를 적층하는 작업과, 적층된 타이어(1)의 상면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B)의 흡착수단(90)은 상기 승강대(91)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91)의 하강시 승강대(91)와 상기 지지대(81)에 올려진 보호용 패드(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수단(95)을 이용하여, 승강대(91)가 승강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 상기 지지대(81)에 올려진 보호용 패드(2)를 타이어(1)로 공급하여, 보호용 패드(2)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상기 흡착헤드(93)가 보호용 패드(2)의 상면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흡착수단(90)을 하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60)에는 승강대(91)(64)가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승강감지수단(71)이 구비되어,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되는 타이어(1)가 상기 고정수단(60)에 의해 고정된 타이어(1)의 하측에 밀착되어 상측으로 밀어올리면 고정수단(60)의 고정을 해제하여 타이어(1)가 상호 적층되도록 한다.
따라서, 타이어(1)가 상호 정확히 적층되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승되는 타이어(1)가 고정수단(60)에 고정된 타이어(1)를 과도하게 강한 힘으로 밀어올려 타이어(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로울러(65)는 복수개의 원판(65a)과, 스페이서(65b)를 상호 상하방향으로 번갈아가면서 적층되도록 결합하여 구성되어, 가압로울러(65)가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될 때, 상기 원판(65a)의 둘레면이 타이어(1)의 둘레면에 형성된 트레드 홈에 삽입됨으로, 가압로울러(65)가 타이어(1)의 둘레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타이어(1)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미끄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타이어(1)는 주재료가 고무재질로서, 가압로울러(65)를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시킬 때 타이어(1)가 가압변형됨으로, 가압로울러(65)로 상호 밀착된 복수개의 타이어(1)를 고정할 때, 타이어(1)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미끄러져 추락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가압로울러(65)가 단순히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원판(65a)의 둘레면이 타이어(1)의 트레드 홈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타이어(1)를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하여 타이어(1)가 자중에 의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전면에 구비된 스토퍼(31)와, 상기 스토퍼(3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C)에 의해 제어되어 스토퍼(31)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32)이 더 구비되어, 공급장치나 컨베이어장치(10)의 이상 등에 의해 타이어(1)가 상승수단(40)의 상측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타이어(1)는 4개가 적층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타이어(1)는 5개나 기타 다양한 개수가 적층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스토퍼(31)의 내부에는 구비되어 타이어(1)가 스토퍼(31)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73)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충격감지센서(7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타이어(1)가 스토퍼(31)에 충돌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장치(10)를 정지시키고 상기 상승수단(40)과 정렬수단(50) 및 고정수단(60)을 제어하여, 타이어(1)가 고정수단(60)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승수단(40)과 정렬수단(50) 및 고정수단(60)은 미리 설정된 일정한 타이밍에 따라 작동됨으로, 타이어(1)가 스토퍼(31)에 충돌되더라도, 정해진 시간까지는 장치가 작동되지 않는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타이어(1)가 스토퍼(31)에 충돌하면, 상기 제어수단(C)이 충격감지센서(73)의 신호를 수신하여, 바로 장치를 작동시켜 타이어(1)가 적층되도록 함으로, 타이어(1)가 스토퍼(31)에 충돌한 후 고정수단(60)에 적층될 때까지의 시간을 조금이라도 줄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상부프레임(82)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대(81)와 타이어적층유닛(A)의 상부에 대응되는 한 쌍의 관통공(87a)이 형성된 보호패널(87)이 구비된다.
상기 보호패널(87)은 상부프레임(82)의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둘레부가 상기 상부프레임(82)의 수직바(83)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흡착수단(90)이 상승된 상태에서의 상기 흡착헤드(93)의 하단높이에 비해 낮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87a)은 상기 흡착수단(90)의 지름과 상기 보호용 패드(2)의 지름에 비해 크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이어 적재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흡착수단(90)이 상기 지지대(81)의 상측에서 하강할 때, 상기 관통공(87a)을 통해 하강되어 지지대(81)에 적층된 보호용 패드(2)를 흡착하고, 흡착수단(90)이 상승되어 측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상기 보호패널(87)의 상부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흡착수단(90)이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의 상부에서 하측에 흡착고정된 보호용 패드(2)를 하측으로 낙하시킬 때, 상기 보호용 패드(2)는 상기 관통공(87a)을 통과하여 타이어(1)의 상면에 적층된다.
따라서, 상기 흡착수단(90)이 타이어(1)를 흡착고정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진공발생수단에 작동오류나, 보호용 패드(2)의 불량에 의해 흡착수단(90)에 흡착고정된 보호용 패드(2)가 하측으로 낙하할 경우, 낙하한 보호용 패드(2)가 상기 보호패널(87)의 상면에 올려지게 됨으로, 보호용 패드(2)가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에 낙하하여 타이어적층유닛(A)의 사이에 끼임으로써, 타이어적층유닛(A)의 작동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컨베이어장치 A. 타이어적층유닛
20. 지지프레임 40. 상승수단
50. 정렬수단 60. 고정수단
71. 승강감지수단 B.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
C. 제어수단

Claims (8)

  1.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올려진 타이어(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장치(10)와,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1)를 적층하는 타이어적층유닛(A)과,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에 의해 적층된 타이어(1)의 상면에 보호용 패드(2)를 적층하는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B)과,
    상기 컨베이어장치(10)와 타이어적층유닛(A) 및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C)을 제어하는 제어수단(C)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은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중간부에 구비된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며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타이어(1)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상승수단(40)과,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어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된 타이어(1)의 중심을 정렬하는 정렬수단(50)과,
    상기 정렬수단(50)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된 타이어(1)의 둘레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60)을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장치(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바(11)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바(11)에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이송로울러(12)를 포함하는 로울러컨베이어를 이용하고,
    상기 상승수단(40)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결합된 승강대(41)와,
    상기 승강대(41)의 상면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승강대(41)가 상승되면 상기 이송로울러(12) 사이의 틈을 통해 컨베이어장치(10)의 상부로 상승되어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1)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푸쉬판(42)과,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41)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승강대(41)를 신축시키는 승강실린더(43)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용 패드 적층유닛(B)은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보호용 패드(2)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비된 지지대(81)와,
    상기 지지대(81)의 상측에서 상기 타이어적층유닛(A)의 상부까지 연장된 가이드부재(82a)가 구비된 상부프레임(82)과,
    상기 가이드부재(82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며 측방향구동수단(85)에 의해 상기 지지대(81)의 상측에서 타이어(1)적층유닛의 상측으로 왕복하는 왕복대(84)와,
    상기 왕복대(84)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왕복대(84)에 구비된 승강구동수단(86)에 의해 승강되며 하강시 상기 지지대(81)에 올려진 보호용 패드(2)를 흡착고정하는 흡착수단(9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82)의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81)와 타이어적층유닛(A)의 상부에 대응되는 한 쌍의 관통공(87a)이 형성된 보호패널(87)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착수단(90)은 상기 관통공(87a)을 통해 승강되고 상기 보호패널(87)의 상측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90)은
    상기 승강구동수단(86)에 연결되어 승강구동수단(86)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91)와,
    상기 승강대(91)의 하측에 구비되고 진공발생장치(94)가 연결되며 승강대(91)가 하강되면 상기 진공발생장치(94)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81)에 적층된 다수개의 보호용 패드(2)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된 보호용 패드(2)를 흡착고정하는 복수개의 흡착헤드(93)와,
    상기 승강대(91)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91)의 하강시 승강대(91)와 상기 지지대(81)에 올려진 보호용 패드(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수단(95)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승강구동수단(86)을 제어하여 승강대(91)와 흡착헤드(93)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거리측정수단(95)의 신호를 수신하여, 승강대(91)와 지지대(81)에 적층된 보호용 패드(2)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줄어들면, 상기 승강구동수단(86)을 정지시키고 상기 진공발생장치(94)를 구동시켜 보호용 패드(2)가 흡착헤드(93)에 흡착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4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하우징(43a)과,
    상기 실린더하우징(43a)의 상하측으로 연장된 상하측 피스톤로드(43b,43c)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 피스톤로드(43b)는 상기 승강대(41)에 고정되고,
    하측 피스톤로드(43c)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고정되어,
    상기 상측 또는 하측 피스톤로드(43c)를 신장시켜 상기 타이어(1)가 상기 정렬수단(50)의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하측 또는 상측 피스톤로드(43b)를 신장시켜 상기 타이어(1)를 상기 고정수단(60)의 높이까지 상승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60)은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된 타이어(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어 전후진구동수단(63)에 의해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제1 및 제2 이송대(61,62)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61,62)의 인접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승강대(64)와,
    상기 승강대(64)의 인접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된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가압로울러(65)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진구동수단(63)은
    상기 제1 이송대(61)에 연결되어 제1 이송대(61)를 제1 이송대(61)쪽으로 전후진시키는 실린더기구(63a)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61,62)를 상호 연결하여 제1 이송대(61)가 제2 이송대(62)쪽으로 전후진되면 상기 제2 이송대(62)가 이에 추종하여 제1 이송대(61)쪽으로 전후진되도록 하는 링크기구(63b)를 포함하여,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타이어(1)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진구동수단(63)으로 제1 및 제2 이송대(61,62)를 인접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가압로울러(65)가 상승된 타이어(1)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이송대(61,62)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대(64)가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승강감지수단(7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61,62)가 인접방향으로 전진되어 상기 가압로울러(65)에 의해 타이어(1)가 고정되고 상기 상승수단(40)에 의해 새로운 타이어(1)가 상측으로 상승되는 상태에서, 상기 승강감지수단(7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되는 새로운 타이어(1)에 의해 고정수단(60)에 고정된 타이어(1)를 상측으로 밀어올려 타이어(1)와 승강대(64)가 상승되는 것이 상기 승강감지수단(71)에 감지되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63)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61,62)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후퇴되도록 하여, 고정수단(60)에 의해 고정된 타이어(1)가 상승수단(40)에 의해 상승되는 새로운 타이어(1)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울러(65)는
    복수개의 원판(65a)과 스페이서(65b)를 상호 상하방향으로 번갈아가면서 적층되도록 결합하여 구성되어,
    가압로울러(65)가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될 때, 상기 원판(65a)의 둘레면이 타이어(1)의 둘레면에 형성된 트레드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전면에 구비된 스토퍼(31)와,
    상기 스토퍼(3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C)에 의해 제어되어 스토퍼(31)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32)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스토퍼(31)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컨베이어장치(1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타이어(1)가 정위치를 통과할 경우 타이어(1)가 상기 스토퍼(31)에 걸려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1)의 내부에 구비되어 타이어(1)가 스토퍼(31)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7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충격감지센서(7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타이어(1)가 스토퍼(31)에 충돌하면, 상기 컨베이어장치(10)를 정지시키고 상기 상승수단(40)과 정렬수단(50) 및 고정수단(60)을 제어하여, 타이어(1)가 고정수단(6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시스템.
  8. 삭제
KR1020200131598A 2020-10-13 2020-10-13 타이어 적재시스템 KR102218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598A KR102218072B1 (ko) 2020-10-13 2020-10-13 타이어 적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598A KR102218072B1 (ko) 2020-10-13 2020-10-13 타이어 적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072B1 true KR102218072B1 (ko) 2021-02-19

Family

ID=7468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598A KR102218072B1 (ko) 2020-10-13 2020-10-13 타이어 적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0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752B1 (ko) * 2023-11-02 2024-02-07 공인석 타이어 다단 적재 시스템
KR102704543B1 (ko) * 2023-11-02 2024-09-06 공인석 중심 정렬 유지 기능을 갖는 타이어 다단 적재 시스템용 타이어 리프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926U (ja) * 1991-09-20 1993-04-0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タイヤアツセンブリー積出し装置
KR0153233B1 (ko) 1994-12-29 1999-02-18 한승준 타이어의 5단적재장치
KR101427323B1 (ko) * 2013-03-19 2014-08-06 (주)함코 타이어 휠 보호용 패드 공급장치
KR20140116246A (ko) * 2013-03-19 2014-10-02 (주)함코 타이어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926U (ja) * 1991-09-20 1993-04-0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タイヤアツセンブリー積出し装置
KR0153233B1 (ko) 1994-12-29 1999-02-18 한승준 타이어의 5단적재장치
KR101427323B1 (ko) * 2013-03-19 2014-08-06 (주)함코 타이어 휠 보호용 패드 공급장치
KR20140116246A (ko) * 2013-03-19 2014-10-02 (주)함코 타이어 적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752B1 (ko) * 2023-11-02 2024-02-07 공인석 타이어 다단 적재 시스템
KR102704543B1 (ko) * 2023-11-02 2024-09-06 공인석 중심 정렬 유지 기능을 갖는 타이어 다단 적재 시스템용 타이어 리프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947B1 (ko) 타이어 적재장치
KR102218072B1 (ko) 타이어 적재시스템
US522285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icking up a load from a stack
US7604452B2 (en) Cantilevered pallet positioner with safety devices
US4047625A (en) Gravity roller conveyors
US3491901A (en) Brick stacker
US3624782A (en) Semiautomatic palletizer
KR101416972B1 (ko) 자재운반용 대차
US6422806B1 (en) Pallet stacker system
KR101933346B1 (ko) 이송물 적재장치 및 적재방법
CN114803535B (zh) 一种托盘拆分机
US4030618A (en) Semi-automatic palletizer
CN111392634A (zh) 一种落地式托盘提升机及其使用方法
KR102166503B1 (ko) 부재고정장치
CN110155856B (zh) 安葬工作系统及运载平台对位方法
CN110877826A (zh) 一种垫木拆垛桁架设备
CN111453066B (zh) 一种物料码垛整垛出料装置及其工作原理
CN107628445A (zh) 一种板材堆垛装置
CN109941762B (zh) 一种用于显示屏的码卸垛装置和码卸垛方法
CN218260502U (zh) 一种板材自动上料装置
KR102027774B1 (ko)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CN212831169U (zh) 一种保持器自动送料机构
USRE24124E (en) Sheet handling mechanism
KR100984641B1 (ko) 필름 이송장치
CN211309955U (zh) 一种板材运输升降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