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774B1 -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7774B1 KR102027774B1 KR1020180027220A KR20180027220A KR102027774B1 KR 102027774 B1 KR102027774 B1 KR 102027774B1 KR 1020180027220 A KR1020180027220 A KR 1020180027220A KR 20180027220 A KR20180027220 A KR 20180027220A KR 102027774 B1 KR102027774 B1 KR 1020277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conveyor
- discharge
- diverter
-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4—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not adap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을 조립하는 공정에서, 다수의 부품이 수납된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공급컨베이어, 엘리베이터유닛, 이송유닛과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본체는 2층으로 구분된다. 공급컨베이어는 본체의 1층에 설치되어, 다수의 트레이가 적층된 트레이 더미를 공급받아 일측으로 이송한다. 엘리베이터유닛은 공급컨베이어로부터 트레이 더미를 전달받아 본체의 2층에 설정된 가상의 작업높이로 트레이 더미를 한층씩 단계적으로 상승시킨다. 이송유닛은 트레이 더미의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을 각출하여 다음 공정으로 옮긴다. 배출컨베이어는 부품이 모두 각출된 공트레이를 전달받아 작업자가 있는 하적공간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본체의 2층에 설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을 조립하는 공정에서 다수의 부품이 수납된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벌브를 포함한 모든 완성품은 이것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쳐 별도의 조립장치들에 의해 하나씩 조립된다. 각 부품의 조립공정에서, 부품들은 트레이에 수납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트레이는 별도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의해 부품 조립장치 쪽으로 공급되는데,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는 트레이 피더, 트레이 로딩기, 트레이 트랜스퍼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종래의 트레이 공급장치의 대표적인 일례가 등록특허 제10-0819132호('트레이 공급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트레이 공급장치'는 조립장치의 베이스 또는 테이블 등에 장착되는 베이스판(10)에는 X축방향으로 이송되는 X축이송수단(20)이 구비되고, X축이송수단(20)에는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Y축이송수단(30)이 구비된 구조이다.
종래의 '트레이 공급장치'를 보면, 적재판(12)의 상측에 결합된 매거진(M)은 트레이 홀딩수단(40)의 상측에 트레이(T)를 하나씩 배출하고, 배출된 트레이(T)는 홀딩수단(40)에 의해 트레이(T)가 고정되며, X축이송수단(20) 및 Y축이송수단(30)이 작동하여 상기 트레이(T)를 적정의 작업공간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후, 작업 공간으로 이동된 트레이(T)로부터 부품의 픽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트레이(T) 내의 부품이 조립을 완료하면 다시 픽업수단이 빈 트레이(T)를 매거진(M)으로 이동시킨 후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트레이 공급장치'는 트레이를 홀딩하는 홀딩수단을 작업영역으로 이송시키는 구조가 간단하고, 트레이를 고정하는 죠핀을 갖는 핑거판이 회전판의 작동에 따라 내측으로 이송되는 방식으로 트레이를 정확하게 홀딩한 후 적정의 공간으로 이송함으로써, 에러 발생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트레이 공급장치'는 매거진(M)의 일측에 부품이 안착된 복수 개의 트레이(T)가 적층되고, 타측에는 부품이 사용된 빈 트레이(T)를 충전되는 구조로서, 매거진(M) 상에 다량의 트레이(T) 여유분이 연속적으로 대기·공급되도록 하는 수단이 없었다.
이로 인해, 일정량의 트레이 더미가 모두 소진되면 그 즉시 다른 트레이 더미를 재공급해야 함과 동시에 빈 트레이 더미는 빼서 옮겨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항시 '트레이 공급장치' 옆에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홀딩수단(40)의 상측에 트레이(T)를 하나씩 낙하하는 방식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트레이(T)에 수납된 부품이 충격에 의해 위치정렬이 조금씩 틀어지면서 이후의 조립공정에서 조립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량의 트레이 더미를 통합하여 처리할 수 있고, 트레이 더미의 이송이 월활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전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는, 2층으로 구분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1층에 설치되어, 다수의 트레이(t)가 적층된 트레이 더미(d)를 공급받아 일측으로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200); 상기 공급컨베이어(200)로부터 상기 트레이 더미(d)를 전달받아 상기 본체(100)의 2층에 설정된 가상의 작업높이로 상기 트레이 더미(d)를 한층씩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엘리베이터유닛(300); 상기 트레이 더미(d)의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t1)에 수납된 부품(p)을 각출하여 다음 공정으로 옮기는 이송유닛(400); 및 부품(p)이 모두 각출된 공트레이(t0)를 전달받아 작업자가 있는 하적공간(A)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2층에 설치되는 배출컨베이어(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에 적층됐던 트레이 더미(d)의 소진 여부를 감지하여 재공급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600); 및 상기 센서부(600)의 재공급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공급컨베이어(200) 상에 대기중인 새로운 트레이 더미(d)가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적재대(310) 상에 안치되도록 상기 공급컨베이어(200)의 구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배출컨베이어(500) 상으로 배출된 공트레이(t0)가 작업자가 있는 하적공간(A)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배출컨베이어(5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컨베이어(200)는, 작업자가 있는 하적공간(A)과 인접하게 상기 본체(100)의 1층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 공급컨베이어(210)와,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의 하강된 적재대(310)를 향하여 상기 제1 공급컨베이어(210)와 병렬로 설치되는 제2 공급컨베이어(220)와, 상기 제1 공급컨베이어(210)로부터 트레이 더미(d)를 전달받아 상기 제2 공급컨베이어(220)로 전달하는 공급디버터(230)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컨베이어(500)는,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상승된 적재대(310)를 향하여 상기 본체(100)의 2층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 배출컨베이어(510)와, 작업자가 있는 하적공간(A)과 인접하게 상기 제1 배출컨베이어(510)와 병렬로 설치되는 제2 배출컨베이어(520)와, 상기 제1 배출컨베이어(510)로부터 공트레이(t0)를 전달받아 상기 제2 배출컨베이어(520)로 전달하는 배출디버터(53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컨베이어(200)와 상기 배출컨베이어(500)는, 한 쌍의 무한궤도부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트레이의 양측만 지지하여 이송하는 구조로서, 상기 한 쌍의 무한궤도부 사이에 공백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공급디버터(230)는, 상기 제1 공급컨베이어(210)의 공백영역(211) 말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공급디버터(231)와, 상기 제1 공급디버터(231)와 나란하게 상기 제2 공급컨베이어(220)의 공백영역(221)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공급디버터(232)로 구분되고, 상기 배출디버터(530)는, 상기 제1 배출컨베이어(510)의 공백영역(511) 말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배출디버터(531)와, 상기 제1 배출디버터(531)와 나란하게 상기 제2 배출컨베이어(520)의 공백영역(521)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배출디버터(532)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트레이 더미(d)의 안착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 공급컨베이어(210)의 공백영역(21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스토퍼(810)와, 엘리베이터유닛(300)에 진입 대기 중인 트레이 더미(d)의 대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2 공급컨베이어(220)의 공백영역(221) 말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스토퍼(820)와, 상기 제2 배출컨베이어(520)으로 배출되는 공트레이(t0)의 배출 대기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2 배출컨베이어(520)의 공백영역(52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스토퍼(830)로 구성되는 다수의 스토퍼(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은, 상기 적재대(31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320)를 더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 더미(d)의 최상층에서, 부품(p)이 모두 각출된 공트레이(t0)를 상기 제1 배출컨베이어(510) 상으로 이동시키는 트랜스퍼(9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트레이 더미(d)가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적재대(310)에 진입·적재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의 하반부에 설치되는 진입감지센서(605)와, 상기 트레이 더미(d)의 단계적 상승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가상의 작업높이와 대등하게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상반부에 설치되는 상승감지센서(620)와, 상기 적재대(310) 상에 놓인 트레이 더미(d)가 모두 소진됐는 지를 식별하기 위한 트레이 소진 감지센서(61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900)는, 상기 제1 배출컨베이어(510)의 공백영역(511)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왕복구동부(910)과, 상기 직선구동유닛(9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구동부(920)와, 상기 승강구동부(920)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을 향해 연장되다 상측으로 절곡되어 'ㄴ'자 형상을 이루는 후킹부(93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은, 상기 본체(100)의 1층과 2층을 연결하면서 상기 적재대(310)에 적재되는 트레이 더미(d)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통로를 형성하는 승강실(330)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실(330)에는, 상기 제2 공급컨베이어(220)에 의해 이송되는 트레이 더미(d)가 진입되는 입구(331)와, 한층씩 단계적으로 상승되어 나오는 출구(332)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 더미(d)의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t1)가 상기 트레이 더미(d)에서 소정높이로 띄워져 분리되도록, 상기 승강실(330)의 출구(332) 측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t1)의 측부를 지지·가압하는 가고정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디버터(531)의 네 모서리와 인접한 제1 배출컨베이어(510)의 네 지점에 세워지는 두 쌍의 안내지지봉(1110)과, 상기 제1 배출컨베이어(510)의 무한궤도부와 나란하게 상기 두 쌍의 안내지지봉(1110)의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적층지지대(1120)과, 상기 제1 배출디버터(531)를 승강시키는 제1 디버터 승강부(1130)를 구비하는 공트레이 적층부(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따르면, 트레이 더미의 공급 또는 배출 시에 대기할 수 있는 버퍼 구간을 'ㄷ'자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전체 설치 공간은 최소화하면서 트레이 더미가 차례대로 대기·진행하는 방식으로 다량의 트레이 더미의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의 양측만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컨베이어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승강 구조를 갖는 복수의 디버터가 컨베이어의 말단부과 초입부를 연결함으로써, 트레이 더미를 보다 안정적으로 월활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트레이 더미에서 트레이를 하나씩 올리는 엘리베이터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충격에 의한 조립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1 공급디버터의 일측에서 트레이 더미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1 근접센서를 복수로 구성함으로써, 비대칭으로 된 트레이의 오투입 여부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를 작업자의 하적공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를 반대편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1층 영역을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
도 4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2층 영역을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
도 5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2층 영역에 설치된 트랜스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6은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포함된 엘리베이터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유닛의 출구 측에 설치된 가고정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8은 도 7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포함된 공트레이 적층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과정도.
도 2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를 반대편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1층 영역을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
도 4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2층 영역을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
도 5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2층 영역에 설치된 트랜스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6은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포함된 엘리베이터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유닛의 출구 측에 설치된 가고정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8은 도 7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포함된 공트레이 적층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과정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를 작업자의 하적공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를 반대편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1층 영역을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2층 영역을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2층 영역에 설치된 트랜스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포함된 엘리베이터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유닛의 출구 측에 설치된 가고정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에 포함된 공트레이 적층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1의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는, 다수의 부품(p)이 수납된 트레이(t)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로서, 본체(100), 공급컨베이어(200), 엘리베이터유닛(300), 이송유닛(400), 배출컨베이어(500), 센서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으로 구분되는 랙 프레임으로서, 지면에 접하는 베이스판(110), 베이스판(110)의 네 모서리에 세워지는 다수의 세로바(120), 세로바(120)의 상단을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바(130) 및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대(140), 본체(100)의 1층(1F)과 2층(2F)을 구획하는 구획판(150) 등으로 이루어진다.
공급컨베이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급컨베이어(210), 제2 공급컨베이어(220) 및 공급디버터(230)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의 이송경로를 구성한다.
제1 공급컨베이어(210)는 본체(100)의 1층(1F)에 설치되어, 다수의 트레이(t)가 적층된 트레이 더미(d)를 공급받아 일측으로 이송한다. 제2 공급컨베이어(220)는 후술되는 엘리베이터유닛(300)의 하강된 적재대(310)를 향하여 제1 공급컨베이어(210)와 병렬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1 공급컨베이어(210)와 제2 공급컨베이어(220)는 한 쌍의 무한궤도부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트레이(t)의 양측만 지지하여 이송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한 쌍의 무한궤도부 사이에는 공백영역이 형성되는데, 이 공백영역을 블라인드판으로 메우는 것이 트레이(t)의 낙하 방지 및 미관상 바람직하다.
공급디버터(230)는 앞쪽 끝의 구동용 풀리와 뒤쪽 끝의 풀리 및 아이들러(지지 롤러)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컨베이어로서, 제1 공급컨베이어(210)와 제2 공급컨베이어(220)를 횡으로 연결하면서 제1 공급컨베이어(210)로부터 전달된 트레이 더미(d)를 제2 공급컨베이어(220)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공급디버터(230)는 제1 공급컨베이어(210)의 공백영역 말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공급디버터(231)와, 제1 공급디버터(231)와 나란하게 제2 공급컨베이어(220)의 공백영역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공급디버터(232)로 구분되며, 트레이 더미(d)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제1 공급디버터(231)와 제2 공급디버터(232) 사이에는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받침롤러(23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리베이터유닛(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컨베이어(200)로부터 트레이 더미를 전달받아 본체(100)의 2층에 설정된 가상의 작업높이로 트레이 더미를 한층씩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구성이다.
엘리베이터유닛(300)은 본체(100)의 1층(1F)과 2층(2F)을 연결하면서 적재대(310)에 적재되는 트레이 더미(d)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통로를 형성하는 승강실(330)과, 상기 적재대(31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320)를 구비한다.
승강구동부(320)는 적재대(310)를 승하강을 안내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LM가이드와, 적재대(310)를 볼-스크류 방식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LM가이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실(330)에는 제2 공급컨베이어(220)에 의해 이송되는 트레이 더미가 진입되는 입구(331)와, 한층씩 단계적으로 상승되는 트레이 더미가 나오는 출구(332)가 각각 마련된다.
트레이 더미의 최상층에 있는 공트레이가 후술되는 트랜스퍼(900)에 의해 옮겨지면, 승강구동부(320)는 차상층에 있던 트레이가 본체(100)의 2층에 설정된 가상의 작업높이로 상승되도록 트레이 더미를 한단계 상승시킨다.
이때, 한단계 상승된 트레이 더미의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가 트레이 더미로부터 소정높이로 띄워져 분리되도록,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실(330)의 출구(332) 측에 설치되어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의 측부를 지지·가압하는 가고정부(1000)가 더 포함된다.
가고정부(1000)는 트레이의 x축 방향(x) 양측면과 마주보게 승강실(330)의 출구(332) 측에 설치된다. 가고정부(1000)는 가상의 작업높이로 상승된 트레이의 양측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트레이의 저면을 받칠 수 있도록 'ㄴ'자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받침발(1010)과, 받침발(1010)을 트레이를 향해 전후진시키는 받침발 구동부(102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발 구동부(1020)는 공압실린더 방식이 적용된다.
또한, 가고정부(10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발(1010)보다 높은 위치에서 트레이의 x축 방향(x) 양측면을 실린더 방식으로 가압하여 트레이의 x축 위치를 정렬함과 동시에 트레이를 일정높이로 가고정하는 복수의 x축 위치정렬유닛(1030)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발(1010)보다 낮은 위치에서 최상층으로 올라가기 전의 트레이(t)의 y축 방향(y) 양측면을 실린더 방식으로 밀어 트레이의 y축 위치를 선(先)정렬하는 복수의 y축 위치정렬유닛(10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송유닛(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더미(d)의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t1)에 수납된 부품(p)을 각출하여 다음 공정으로 옮기는 구성이며, 집게식, 흡착식, 자력식 등 다양한 부품 이송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400)은 부품(p)을 집게 형태로 파지할 수 있는 집게부, 집게부를 조립대상물(미도시) 상으로 전후진시키는 직선구동유닛 및 직선구동유닛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t1)에서 부품(p)이 전부 각출되면, 트레이 더미(d)에서 부품(p)이 모두 각출된 공트레이(t0)를 제1 배출컨베이어(510) 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트랜스퍼(900)가 설치된다.
트랜스퍼(9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컨베이어(510)의 가운데 공백영역을 따라 볼스크류 방식으로 왕복 이동하는 왕복구동부(910)과, 직선구동유닛(9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구동부(920)와, 승강구동부(920)에서 엘리베이터유닛(300)을 향해 연장되다 상측으로 절곡되어 'ㄴ'자 형상을 이루는 후킹부(930)를 구비한다.
제어부(700)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t1)에 탑재된 부품(p)이 이송유닛(400)에 의해 모두 각출되면, 왕복구동부(910)를 부품(p)이 각출된 공트레이(t0) 측으로 전진 구동하고 승강구동부(920)를 상승 구동하여 후킹부(930)의 절곡편(931)이 공트레이(t0)의 저면 일측에 일차적으로 걸리도록 한 다음, 후킹부(930)에 걸린 공트레이(t0)가 제1 배출컨베이어(510) 상으로 이동되도록 왕복구동부(910)를 후진 구동시킨다.
트랜스퍼(900)로부터 공트레이(t0)를 전달받아 작업자가 있는 하적공간(A)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본체(100)의 2층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컨베이어(500)가 설치된다.
배출컨베이어(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컨베이어(510), 제2 배출컨베이어(520) 및 배출디버터(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공급컨베이어(20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무한궤도부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트레이의 양측만 지지하여 이송하는 구조로서, 한 쌍의 무한궤도부 사이에 공백영역이 형성된다.
제1 배출컨베이어(510)는 엘리베이터유닛의 상승된 적재대를 향하여 본체(100)의 2층 바닥면에 설치되고, 제2 배출컨베이어(520)는 작업자가 있는 하적공간(A)과 인접하게 제1 배출컨베이어(510)와 병렬로 설치된다. 배출디버터(530)는 상술했던 공급디버터(230)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제1 배출컨베이어(510)로부터 공트레이를 전달받아 제2 배출컨베이어(520)로 전달한다.
배출디버터(530)는 제1 배출컨베이어(510)의 공백영역 말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배출디버터(531)와, 제1 배출디버터(531)와 나란하게 제2 배출컨베이어(520)의 공백영역(521)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배출디버터(532)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트레이 더미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제1 배출디버터(531)와 제2 배출디버터(532) 사이에도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받침롤러(53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유닛(300)에 적층됐던 트레이 더미(d)의 소진 여부를 감지하여 재공급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주목적으로서, 진입감지센서(605), 상승감지센서(620), 트레이 소진 감지센서(610) 및 y축 정렬용 센서(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입감지센서(605)는 트레이 더미가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적재대(310)에 진입·적재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유닛(300)의 하반부(1층 영역에 해당)에 설치된다.
상승감지센서(620)는 트레이 더미의 단계적 상승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본체(100)의 2층(2F)에 설정된 가상의 작업높이와 대등하게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상반부에 설치된다.
트레이 소진 감지센서(610)는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적재대(310) 상에 놓인 트레이 더미(d)가 모두 소진됐는 지를 식별하기 위한 센서로서, 상기 상승감지센서(620)보다 아래에 설치되며, 그 이유는 후술된다.
y축 정렬용 센서(630)는 y축 위치정렬유닛(1040, 도 8 참조)의 높이와 대등하게 엘리베이터유닛(300)에 설치되며, 트레이 더미가 y축 위치정렬유닛(1040)과 마주보게 상승됐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600)는 광선 방사체와 수신기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방사체로부터 방사된 광선이 수신기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투수광 타입의 포토 센서가 사용되며, 이외에도 거울 반사 타입의 포토 센서를 포함하여 근접센서, 근접스위치 등 다양한 방식의 센서들로 대체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제어부(700)는 센서부(600)의 재공급신호, 정확히는 트레이 소진 감지센서(610)의 소진신호가 감지되면,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적재대(310) 상에 놓인 트레이 더미가 모두 소진됐다고 판단하고, 상기 적재대(310)를 최초 위치로 하강시킨 뒤, 공급컨베이어(200, 도 1 참조) 상에 대기중인 새로운 트레이 더미(d)가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적재대(310) 상에 안치되도록 공급컨베이어(200)의 구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배출컨베이어(500) 상으로 배출된 공트레이가 작업자가 있는 하적공간(A)으로 이송되도록 배출컨베이어(500)의 구동을 제어한다.
배출컨베이어(500) 상으로 배출된 공트레이를 그대로 연속해서 배출하기 보다는 일정높이로 적층된 상태로 배출하는 것이 작업 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공트레이 적층부(1100)가 더 포함된다.
공트레이 적층부(1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쌍의 안내지지봉(1110), 한 쌍의 적층지지대(1120), 제1 디버터 승강부(1130)를 구비한다.
두 쌍의 안내지지봉(1110)은 제1 배출디버터(531)의 네 모서리와 인접한 제1 배출컨베이어(510)의 네 지점에 세워지게 결합된다. 한 쌍의 적층지지대(1120)는 상기 제1 배출컨베이어(510)의 무한궤도부와 나란하게 두 쌍의 안내지지봉(1110)의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공트레이와 마주보는 적층지지대(1120)의 내측면에는 공트레이(미도시)를 향해 내측으로 상향경사지게 지지돌기(1121)가 돌출형성된다. 제1 디버터 승강부(1130)는 제1 배출디버터(531)를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한편, 도 1에서 미설명된 도번부호 800은 다수의 스토퍼로서, 복수의 트레이 더미(d)의 안착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제1 공급컨베이어(210)의 공백영역에 일정간격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스토퍼(810)와, 엘리베이터유닛(300)에 진입 대기 중인 트레이 더미(d)의 대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제2 공급컨베이어(220)의 공백영역 말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스토퍼(820)와, 제2 배출컨베이어(520)으로 배출되는 공트레이의 배출 대기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제2 배출컨베이어(520)의 공백영역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스토퍼(830)로 구성된다.
각각의 스토퍼는 트레이가 진행되는 전방에서 트레이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어부(700)의 신호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실린더(미도시)와, 승강실린더의 상단에 'ㄴ'자 형태로 결합되는 걸림블록으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구성 및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지금부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10a 내지 도 10d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트레이 더미 공급단계]
도 10a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하적공간(A)에 있는 작업자가 다수의 트레이(t)가 적층된 트레이 더미(d)를 본체(100)의 1층(1F)에 설치된 제1 공급컨베이어(210) 상에 탑재한다.
트레이(t)에는 부품(p)이 수납된 상태이며, 복수의 제1 스토퍼(810)는 트레이 더미(d)의 안착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상승된 상태이다.
그 다음, 제어부에 기 입력된 동작조건에 따라, 도 10a의 (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스토퍼(810)가 순차적으로 하강되면서, 트레이 더미(d)가 제1 공급디버터(231) 상으로 운반된다. 이때, 제1 공급디버터(231)는 트레이 더미(d)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하강된 상태이다.
트레이 더미(d)가 밀착되는 제1 공급디버터(231)의 일측에는 트레이 더미(d)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1 근접센서(s1)가 설치된다. 이때, 제1 근접센서(s1)는 복수로 구성되어 트레이(t)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는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트레이(t)의 전후 방향이 바뀌어 투입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레이(t)의 좌우측 형태가 비대칭이라는 것을 기본 전제로, 제1 근접센서(s1)에서 측정된 거리값이 기입력된 거리값과 다를 경우, 제어부는 트레이(t)의 전후 방향이 뒤바뀌어 투입된 것으로 인지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이 더미(d)가 제1 공급디버터(231) 상으로 운반되면, 도 10b의 (e)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급디버터(231)와 제2 공급디버터(232)가 공급컨베이어(200)보다 높게 상승되면서 트레이 더미(d)가 받침롤러(233)를 거쳐 제2 공급컨베이어(220) 측으로 이송된다.
제2 공급디버터(232)의 일측에 설치된 제2 근접센서(s2, 도 10a 참조)에 트레이 더미(d)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승됐던 제1 공급디버터(231)와 제2 공급디버터(232)는 제2 공급컨베이어(220)에 의한 트레이 더미(d)의 운반이 가능하도록 다시 하강된다.
그러면, 트레이 더미(d)는 제2 공급컨베이어(220) 상에 놓이게 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도 10b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급컨베이어(220)가 구동되면서 트레이 더미(d)가 상승된 상태로 있는 제2 스토퍼(820)까지 전진하여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입구(331) 앞에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 더미(d)가 도 10a와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1층(1F) 공간을 따라 'ㄷ'자 형태로 한 칸씩 운반되면, 곧바로 다음 트레이 더미(d)가 제1 공급컨베이어(210) 상에 계속적으로 탑재되고, 이에 따라, 'ㄷ'자 형태의 6개 구역으로 구분되는 본체(100)의 1층(1F) 공간 중, 엘리베이터유닛(300)이 차지하는 구역을 제외한 5개 구역에 트레이 더미(d)가 모두 채워지면서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입구(331) 앞에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다수의 트레이 더미(d)가 줄을 서서 기다리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다량의 트레이 더미가 연속적으로 대기·공급되도록 하는 수단이 없었다. 이로 인해, 일정량의 트레이 더미가 모두 소진되면 그 즉시 다른 트레이 더미를 재공급해야 함과 동시에 빈 트레이 더미는 빼서 옮겨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항시 트레이 공급장치 옆에 대기하고 있어야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은 트레이 더미가 대기할 수 있는 버퍼 구간을 'ㄷ'자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설치 공간은 최소화하면서 다량의 트레이 더미가 전부 소진될 때까지의 공급 대기 시간을 최대한 늘릴 수 있고, 이를 통해,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의 양측만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컨베이어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승강 구조를 갖는 복수의 디버터가 컨베이어의 말단부과 초입부를 연결함으로써, 트레이 더미를 보다 안정적으로 월활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트레이 더미 소진 단계]
도 10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입구(331) 앞에 트레이 더미(d)가 대기 중인 것이 제3 근접센서(s3)에 의해 감지되면, 제2 공급컨베이어(220)가 일정거리 구동되면서 트레이 더미(d)가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적재대(310) 상에 위치하게 된다.
트레이 더미(d)가 적재대(310)에 진입하는 것이 진입감지센서(605, 도 6 참조)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는 도 10c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p)이 탑재된 새로운 트레이 더미(d)가 유입됐다고 판단하고, 트레이 더미(d)의 최상층이 y축 위치정렬유닛(1040, 도 8 참조)의 높이와 대등하도록 엘리베이터유닛의 승강구동부를 상승구동시킨다.
그 다음, y축 위치정렬유닛(1040)이 전진구동되면서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의 y축 위치를 1차로 정렬하게 된다. 트레이의 y축 위치가 정렬되면, y축 위치정렬유닛(1040)이 후진되어 원위치되고, 트레이 더미(d)가 2층에 설정된 가상의 작업높이만큼 상승되도록 엘리베이터유닛의 승강구동부를 상승구동시킨다. 트레이 더미(d)의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가 상승감지센서(620)에 감지될 때까지 트레이 더미(d)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상승감지센서(620)의 신호에 따라 트레이 더미(d)의 최상층이 일정높이로 상승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가고정부(1000)가 구동되면서 한 쌍의 받침발(미도시)이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t1)의 양측을 지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x축 위치정렬유닛(1030)이 구동되어 트레이(t1)을 밀착하면서 가고정하게 된다.
최상층에 있던 트레이(t1)가 일정높이로 가고정되면, 엘리베이터 유닛의 승강구동부가 하강구동되면서 상기 트레이(t1)를 제외한 트레이 더미(d)가 트레이 소진 감지센서(610)의 높이까지 하강된다. 이는 가고정된 트레이(t1)가 나중에 배출컨베이어 측으로 배출될 시에 상기 가고정된 트레이(t1)와 그 밑에 있는 트레이 더미와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트레이 더미(d)가 일정높이로 하강되면, 가고정된 트레이(t1, 트레이 더미의 최상층에 있던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p)이 이송유닛(400)에 의해 각출되어 다음 공정으로 옮기지기 시작한다.
종래에는 트레이 더미에서 트레이를 하나씩 낙하하는 방식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이 충격에 의해 위치정렬이 조금씩 틀어지면서 이후의 조립공정에서 조립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트레이 더미에서 트레이를 하나씩 올리는 엘리베이터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충격에 의한 조립불량의 여지를 일소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트레이(t1)에서 부품(p)의 각출이 모두 끝나면, 도 10c의 (i)와 (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낱장의 공트레이(t0)가 제1 배출컨베이어(510) 상으로 이동되도록 트랜스퍼(900)가 구동된다.
공트레이(t0)가 배출되면, 상승감지센서(620)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제어부는 트레이 소진 감지센서(610)의 높이에 하강된 상태로 있는 트레이 더미가 y축 위치정렬유닛(1040)의 높이만큼 상승되도록 엘리베이터 유닛의 승강구동부를 상승구동시킨다.
그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y축 정렬 -> x축 정렬 -> 최상층 트레이 고정 -> 트레이 더미 하강 -> 부품 각출 작업이 진행되고,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트레이 더미(d)가 한층씩 소진된다.
트레이 더미(d)가 모두 소진되면, 상승감지센서(620)보다 아래에 설치된 트레이 소진 감지센서(610)가 적재대(310) 상에 트레이(t)가 존재하지 않음을 감지하여 재공급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상기 재공급신호에 따라 제어부는 도 10b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입구(331)에 대기 중인 새로운 트레이 더미(d)가 적재대(310) 상에 다시 위치되도록, 제2 공급컨베이어(2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트레이 더미 소진 단계는 1층에 대기 중인 트레이 더미(d)가 없을 때까지 계속되며, 상기 제1, 2, 3 근접센서(s1, s2, s3) 및 트레이 소진 감지센서(610)에 트레이(t)가 모두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700)는 1층(1F)에 공급했던 다수의 트레이 더미(t)가 전부 소진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트레이 재투입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공트레이 배출 단계]
최상층의 트레이(t1)에서 부품(p)이 모두 각출되면, 도 10c의 (j)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퍼(900)의 구동에 의해 낱장의 공트레이(t0)가 제1 배출컨베이어(510) 상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k)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트레이(t0)가 제1 배출컨베이어(510)를 따라 공트레이 적층부(1100) 측으로 이송된다. 공트레이(t0)가 제1 배출디버터(531) 상에 오면, 제어부(700)는 공트레이(t0)가 적층지지대(1120)의 지지돌기(미도시)를 넘어서 공트레이(t0)가 지지돌기(1121) 상에 걸터지도록 제1 디버터 승강부를 상승시킨 뒤 원래 위치로 하강시킨다.
공트레이(t0)가 공트레이 적층부(1100)에 소정높이로 쌓일 때까지 이러한 과정이 계속되며, (L)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트레이(t0)가 일정높이로 쌓이면서 제4 근접센서(s4)에 일정거리로 접근하면, 제4 근접센서(s4)에서 감지신호가 발생된다.
제4 근접센서(s4)의 감지신호에 따라, 도 10d의 (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디버터(미도시)와 제2 배출디버터(532)가 일정높이로 상승되면서 공트레이 적층부(1100)에 쌓인 공트레이 더미(d0)가 받침롤러를 거쳐 제2 배출컨베이어(520) 쪽으로 넘어오게 된다.
공트레이 더미(d0)가 제2 배출컨베이어(520) 측으로 이송되면, 제5 근접센서(s5)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디버터(531)와 제2 배출디버터(532)가 하강되면서 공트레이 더미(d0)가 제2 배출컨베이어(520)를 타고 (o)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있는 하적공간(A)으로 최종적으로 이송된다.
상기 하적공간(A)과 인접한 제2 배출컨베이어(520)의 말미에는 제6 근접센서(s6)가 설치되어 공트레이 더미(d0)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공트레이 배출 단계는 공트레이 더미(d0)가 하적공간(A)에 일정량 쌓일 때까지 계속되며, 상기 제4, 5, 6 근접센서(s4, s5, s6)에 공트레이 더미(d0)가 모두 감지되면, 제어부는 2층(2F)에 공트레이 더미(d0)가 가득 배출됐다고 판단하고, 이를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공트레이 하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레이 더미의 공급 또는 배출 시에 대기할 수 있는 버퍼 구간을 'ㄷ'자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전체 설치 공간은 최소화하면서 트레이 더미가 차례대로 대기·진행하는 방식으로 다량의 트레이 더미의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의 양측만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컨베이어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승강 구조를 갖는 복수의 디버터가 컨베이어의 말단부과 초입부를 연결함으로써, 트레이 더미를 보다 안정적으로 월활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트레이 더미에서 트레이를 하나씩 올리는 엘리베이터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충격에 의한 조립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1 공급디버터의 일측에서 트레이 더미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1 근접센서를 복수로 구성함으로써, 비대칭으로 된 트레이의 오투입 여부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체
200 : 공급컨베이어
300 : 엘리베이터유닛
400 : 이송유닛
500 : 배출컨베이어
t : 트레이
t1 :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
t0 : 공트레이
d : 트레이 더미
p : 부품
A : 하적공간
200 : 공급컨베이어
300 : 엘리베이터유닛
400 : 이송유닛
500 : 배출컨베이어
t : 트레이
t1 :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
t0 : 공트레이
d : 트레이 더미
p : 부품
A : 하적공간
Claims (9)
- 2층으로 구분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1층에 설치되어, 다수의 트레이(t)가 적층된 트레이 더미(d)를 공급받아 일측으로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200);
상기 공급컨베이어(200)로부터 상기 트레이 더미(d)를 전달받아 상기 본체(100)의 2층에 설정된 가상의 작업높이로 상기 트레이 더미(d)를 한층씩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엘리베이터유닛(300);
상기 트레이 더미(d)의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t1)에 수납된 부품(p)을 각출하여 다음 공정으로 옮기는 이송유닛(400); 및
부품(p)이 모두 각출된 공트레이(t0)를 전달받아 작업자가 있는 하적공간(A)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2층에 설치되는 배출컨베이어(500);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에 적층됐던 트레이 더미(d)의 소진 여부를 감지하여 재공급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600); 및
상기 센서부(600)의 재공급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공급컨베이어(200) 상에 대기중인 새로운 트레이 더미(d)가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적재대(310) 상에 안치되도록 상기 공급컨베이어(200)의 구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배출컨베이어(500) 상으로 배출된 공트레이(t0)가 작업자가 있는 하적공간(A)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배출컨베이어(5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200)는, 작업자가 있는 하적공간(A)과 인접하게 상기 본체(100)의 1층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 공급컨베이어(210)와,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의 하강된 적재대(310)를 향하여 상기 제1 공급컨베이어(210)와 병렬로 설치되는 제2 공급컨베이어(220)와, 상기 제1 공급컨베이어(210)로부터 트레이 더미(d)를 전달받아 상기 제2 공급컨베이어(220)로 전달하는 공급디버터(230)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컨베이어(500)는,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상승된 적재대(310)를 향하여 상기 본체(100)의 2층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 배출컨베이어(510)와, 작업자가 있는 하적공간(A)과 인접하게 상기 제1 배출컨베이어(510)와 병렬로 설치되는 제2 배출컨베이어(520)와, 상기 제1 배출컨베이어(510)로부터 공트레이(t0)를 전달받아 상기 제2 배출컨베이어(520)로 전달하는 배출디버터(5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컨베이어(200)와 상기 배출컨베이어(500)는, 한 쌍의 무한궤도부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트레이의 양측만 지지하여 이송하는 구조로서, 상기 한 쌍의 무한궤도부 사이에 공백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공급디버터(230)는, 상기 제1 공급컨베이어(210)의 공백영역(211) 말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공급디버터(231)와, 상기 제1 공급디버터(231)와 나란하게 상기 제2 공급컨베이어(220)의 공백영역(221)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공급디버터(232)로 구분되고,
상기 배출디버터(530)는, 상기 제1 배출컨베이어(510)의 공백영역(511) 말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배출디버터(531)와, 상기 제1 배출디버터(531)와 나란하게 상기 제2 배출컨베이어(520)의 공백영역(521)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배출디버터(532)로 구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트레이 더미(d)의 안착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 공급컨베이어(210)의 공백영역(21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스토퍼(810)와, 엘리베이터유닛(300)에 진입 대기 중인 트레이 더미(d)의 대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2 공급컨베이어(220)의 공백영역(221) 말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스토퍼(820)와, 상기 제2 배출컨베이어(520)으로 배출되는 공트레이(t0)의 배출 대기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2 배출컨베이어(520)의 공백영역(52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스토퍼(830)로 구성되는 다수의 스토퍼(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은, 상기 적재대(31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320)를 더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 더미(d)의 최상층에서, 부품(p)이 모두 각출된 공트레이(t0)를 상기 제1 배출컨베이어(510) 상으로 이동시키는 트랜스퍼(9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트레이 더미(d)가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적재대(310)에 진입·적재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의 하반부에 설치되는 진입감지센서(605)와, 상기 트레이 더미(d)의 단계적 상승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가상의 작업높이와 대등하게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의 상반부에 설치되는 상승감지센서(620)와, 상기 적재대(310) 상에 놓인 트레이 더미(d)가 모두 소진됐는 지를 식별하기 위한 트레이 소진 감지센서(6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유닛(300)은, 상기 본체(100)의 1층과 2층을 연결하면서 상기 적재대(310)에 적재되는 트레이 더미(d)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통로를 형성하는 승강실(330)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실(330)에는, 상기 제2 공급컨베이어(220)에 의해 이송되는 트레이 더미(d)가 진입되는 입구(331)와, 한층씩 단계적으로 상승되어 나오는 출구(332)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 더미(d)의 최상층에 있는 트레이(t1)가 상기 트레이 더미(d)에서 소정높이로 띄워져 분리되도록, 상기 승강실(330)의 출구(332) 측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t1)의 측부를 지지·가압하는 가고정부(10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디버터(531)의 네 모서리와 인접한 제1 배출컨베이어(510)의 네 지점에 세워지는 두 쌍의 안내지지봉(1110)과, 상기 제1 배출컨베이어(510)의 무한궤도부와 나란하게 상기 두 쌍의 안내지지봉(1110)의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적층지지대(1120)과, 상기 제1 배출디버터(531)를 승강시키는 제1 디버터 승강부(1130)를 구비하는 공트레이 적층부(1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7220A KR102027774B1 (ko) | 2018-03-08 | 2018-03-08 |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7220A KR102027774B1 (ko) | 2018-03-08 | 2018-03-08 |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6152A KR20190106152A (ko) | 2019-09-18 |
KR102027774B1 true KR102027774B1 (ko) | 2019-10-02 |
Family
ID=6807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7220A KR102027774B1 (ko) | 2018-03-08 | 2018-03-08 |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777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6468A (ko) * | 2020-10-28 | 2022-05-06 | 김장권 | 계란용 난좌덮개 자동 씌움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6044B1 (ko) * | 2020-02-26 | 2021-09-01 | 주식회사 씨케이엘 | 제품 언로딩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63347A (ja) | 1999-03-16 | 2000-09-26 | Ricoh Co Ltd | 部品供給装置 |
KR101437642B1 (ko) * | 2014-05-26 | 2014-09-16 | (주)엠엑스앤 | 트레이 피더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27672A (ja) * | 1992-10-21 | 1994-05-10 | Yoshida Kogyo Kk <Ykk> | トレイの移送方法とその装置 |
JPH06247512A (ja) * | 1993-02-24 | 1994-09-06 | Kubota Corp | 電子部品の自動装着装置におけるトレー供給装置 |
KR100819132B1 (ko) | 2006-10-18 | 2008-04-02 | 드림산업(주) | 트레이 공급장치 |
-
2018
- 2018-03-08 KR KR1020180027220A patent/KR1020277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63347A (ja) | 1999-03-16 | 2000-09-26 | Ricoh Co Ltd | 部品供給装置 |
KR101437642B1 (ko) * | 2014-05-26 | 2014-09-16 | (주)엠엑스앤 | 트레이 피더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6468A (ko) * | 2020-10-28 | 2022-05-06 | 김장권 | 계란용 난좌덮개 자동 씌움장치 |
KR102431441B1 (ko) * | 2020-10-28 | 2022-08-10 | 김장권 | 계란용 난좌덮개 자동 씌움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6152A (ko) | 2019-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97061B2 (ja) | 物品搬送設備 | |
TW201730079A (zh) | 移載裝置及移載方法 | |
CA2696076C (en) | Plate supply and discharge device, printing plate forming device using same, plate supply table, and plate discharge table | |
JP2016052947A5 (ko) | ||
JPS59177248A (ja) | 平坦エレメントを自動的に積重ねるためのデバイス | |
KR101937384B1 (ko) | 종이컵 적층 및 배출장치 | |
KR102027774B1 (ko) |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 |
JP4537411B2 (ja) | 基板搬出入装置及び基板搬出入方法 | |
KR102349792B1 (ko) |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 | |
KR20080059039A (ko) | 트레이 수령 및 전달 장치 | |
KR100862795B1 (ko) | 판재의 연속공급장치 | |
CN211393037U (zh) | 屏体托盘上料机构及屏体显示装置生产设备 | |
CN110980284A (zh) | 屏体托盘上料机构及屏体显示装置生产设备 | |
JPH0134886B2 (ko) | ||
KR102520781B1 (ko) | 이송 디바이스 및 컨테이너로부터 서비서로 타이어 구성 요소를 이송하기 위한 방법 | |
CN110406957B (zh) | 一种上料流水线 | |
CN110775558B (zh) | 一种周转式双向装配流水线 | |
KR100877463B1 (ko) | 박스 보관 및 반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934278B1 (ko) | 시트용 홀 가공방법 | |
JP5213365B2 (ja) | 整列装置 | |
JP3609528B2 (ja) | ダウンスタッカ | |
JP5120869B2 (ja) | 段積み装置 | |
JPH0638817Y2 (ja) | シートパレタイザ | |
JP7386132B2 (ja) | 袋供給システム | |
JPH09136718A (ja) | パレット出し入れ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