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792B1 -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 - Google Patents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792B1
KR102349792B1 KR1020200045130A KR20200045130A KR102349792B1 KR 102349792 B1 KR102349792 B1 KR 102349792B1 KR 1020200045130 A KR1020200045130 A KR 1020200045130A KR 20200045130 A KR20200045130 A KR 20200045130A KR 102349792 B1 KR102349792 B1 KR 102349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layer
transfer conveyor
palle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7376A (ko
Inventor
박준희
Original Assignee
박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희 filed Critical 박준희
Priority to KR1020200045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79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05Stacking of articles by using insertions or spacers between the stack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8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suction or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05De-stacking of articles by using insertions or spacers between the stack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4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not adap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작업 속도를 높여 보다 신속하게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팔렛트 상에 복수개의 용기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용기층을 이루고, 상기 용기층이 상하로 복수개 적층되며, 상기 팔렛트와 용기층들 사이에는 간지가 삽입되어 공급된 팔렛트로부터 용기들을 하역하기 위해, 용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팔렛트가 공급되는 공급 컨베이어, 상기 공급 컨베이어 출측 상부에 배치되어 팔렛트에 적재된 다층의 용기를 한 층씩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 상기 공급 컨베이어 출측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층을 받아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 출측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용기층 상에 놓인 간지를 흡착하여 이송 컨베이어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거하는 간지배출부를 포함하는 용기 하역 설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SYSTEM FOR UNLOADING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
본 개시내용은 대량의 용기를 팔렛트로부터 하역하기 위한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캔이나 병 등의 용기 제품들(이하 용기라 한다)은 공정화된 자동 생산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되어 유통된다. 용기는 대량 유통을 위해 팔렛트 상에 복수층으로 적재하여 공급된다.
팔렛트에 적층되어 공급된 용기에 내용물을 담는 자동화 공정을 위해서는 공급된 팔렛트에서 용기를 하역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용기 하역 장치는 팔렛트 상에서 용기를 하역하기 위한 장치이다.
용기 하역 장치는 팔렛트에 복수층으로 적층된 각 용기층 상의 적층시트를 분리하고, 용기층을 공정라인 상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10-1409616호는 종래의 용기 하역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팔렛트 상에 적재된 각 용기층에는 수십개에서 수백개의 용기가 배열되어 있어, 한 층에 있는 수많은 용기들을 한번에 이동시켜 하역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하나의 용기층 내에서 용기들의 정렬 상태가 고르지 않거나 용기들에 대한 클램핑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 용기가 탈락되고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유지 및 보수작업이 필수적으로 뒤따르게 되고, 용기 하역공정에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팔렛트 상에서 용기를 하역하는 과정에서 층간 적층시트를 분리해줘야 하나, 종래의 경우 용기 이송과 적층시트의 분리 작업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지 않아 작업 속도를 높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최근 들어, 제품의 생산성이 더 가속화되고 있어 보다 대량의 용기를 빠른 시간 내에 하역하여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에, 작업 속도를 높이도록 종래 하역 장치를 개선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본 과제는 작업 속도를 높여 보다 신속하게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팔렛트 상에 적층되어 있는 각 층의 용기와 시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정렬시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된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팔렛트 상에 시트를 고정시키지 않고도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용기와 시트의 이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설비는, 팔렛트 상에 복수개의 용기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용기층을 이루고, 상기 용기층이 상하로 복수개 적층되며, 상기 팔렛트와 용기층들 사이에는 간지가 삽입되어 공급된 팔렛트로부터 용기들을 하역하기 위한 용기 하역 설비일 수 있다.
상기 설비는 용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팔렛트가 공급되는 공급 컨베이어, 상기 공급 컨베이어 출측 상부에 배치되어 팔렛트에 적재된 다층의 용기를 한 층씩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 상기 공급 컨베이어 출측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층을 받아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 출측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용기층 상에 놓인 간지를 흡착하여 이송 컨베이어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거하는 간지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지배출부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 측면에 배치되어 간지가 적재되는 간지수거함,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간지수거함과 상기 이송 컨베이어 사이로 연장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간지를 흡착하는 흡착판, 상기 흡착판을 상하로 이동시키 위한 수직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지배출부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층 상의 간지 위치를 상기 간지배출부 위치에 맞춰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는 이송 컨베이어 폭방향 양 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 돌출되어 간지를 막는 스토퍼부재, 상기 스토퍼부재에 연결되어 스토퍼부재를 이송 컨베이어 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실린더,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에 놓인 용기층 유무를 검출하여 상기 작동실린더를 구동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 일측에 배치되어 팔렛트 상에 적재된 용기층과 간지들을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 양 측에 배치된 프레임에 각각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펠레트 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팔렛트에 적재된 용기층과 간지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정렬하는 정렬판, 상기 지지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대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공급 컨베이어와 이송 컨베이어 사이에 수직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공급 컨베이어와 이송 컨베이어 사이로 연장되는 메인리프트, 상기 수직프레임를 따라 상기 메인리프트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구동부, 상기 메인리프트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 컨베이어와 이송 컨베이어 사이로 이동하며 팔렛트에 적재된 상측 용기층의 외주부를 감싸는 스위퍼, 상기 메인리프트를 따라 상기 스위퍼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구동부, 상기 스위퍼 내측에 설치되어 용기층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용기층을 지지하는 그리퍼부, 상기 메인리프트에 중심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 컨베이어와 이송 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퍼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층을 받쳐 지지하는 중간받침판, 상기 메인리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퍼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퍼에 의해 이동되는 용기층 바로 아래의 다음 용기층을 고정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파지부, 상기 메인리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다음 용기층 상에 적재된 간지를 고정하는 간지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리퍼부는 상기 스위퍼 내면에 설치되어 용기층 외측에 밀착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 중 상기 스위퍼 이동방향으로 배치된 지지바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층 상에 적재된 간지 위로 돌출되어 간지의 밀림을 방지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지홀더는 구동실린더, 중심부가 축결합되며 일측 선단은 간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물리는 이빨을 이루는 클램핑바, 상기 클램핑바의 타측 선단과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축결합되는 링크바, 상기 클램핑바 상하부에 배치되어 간지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구현예의 용기 하역 방법은, 복수의 용기층이 적재된 팔렛트가 공급되어 하역위치에 놓이면 메인리프트를 하강하여 스위퍼를 팔렛트의 최상층의 용기층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최상층 용기층 아래에 배치된 다음 용기층의 측면을 파지하고 그 위쪽에 놓인 간지를 클램핑하여 상기 메인리프트에 고정하는 파지단계, 상기 최상층 용기층의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스위퍼에 고정하는 그리핑단계, 상기 메인리프트를 따라 상기 스위퍼를 이동시켜 스위퍼에 지지된 용기층을 상기 메인리프트의 중간받침판 위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파지단계에서 고정된 다음 용기층과 간지에 대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용기층이 배출되는 이송 컨베이어 높이에 맞춰 상기 메인리프트를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 단계, 상기 메인리프트를 따라 스위퍼를 이동시켜 용기층을 중간받침판에서 이송 컨베이어의 진입위치로 이동시키는 운반 단계, 스위퍼에 고정된 용기층에 대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메인리프트 상승 후 스위퍼를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용기층 이송을 위해 준비하는 복귀 단계, 상기 복귀 단계를 거쳐 다음 용기층을 이송하는 중에 상기 이송 컨베이어가 구동되어 용기층을 진입위치에서 간지 배출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 이송 컨베이어가 정지되고 용기층 상단에 놓인 간지를 제거하는 간지 배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반 단계는 상기 간지 배출을 위해 이송 컨베이어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간지 배출 단계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파지단계에서, 상기 팔렛트에 적재된 최하층의 용기층 이송시 상기 팔렛트 측면을 파지하고 그 위에 놓인 간지와 팔렛트를 같이 클램핑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간지 배출 단계에서, 이송커베이어 정지시 간지의 밀림을 방지하여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위치 규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지 배출단계는, 간지 배출부의 흡착판을 이송 컨베이어 위로 이동시켜 준비하는 단계, 용기층이 이송 컨베이어의 간지 배출위치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용기층이 정위치에 도달시 이송 컨베이어를 정지하는 단계, 흡착판을 하강시켜 간지를 흡착하는 단계, 흡착판을 상승하고 이송 컨베이어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제거단계, 흡착을 해제하여 간지를 간지수거함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용기의 이송과 간지의 배출 작업이 동시에 처리될 수 있어, 종래 설비의 한계 속도를 극복하여 고속 작업이 가능하고, 보다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용기 이송시 스토퍼부가 용기층 상부에 얹혀 있는 간지 또는 탑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이송 과정에서 간지 또는 탑보드의 슬립을 방지하고, 이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팔렛트 상에 적층되어 있는 각 층의 용기와 시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정렬 불량에 따른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팔렛트 상에 시트를 고정시켜야 하는 수고를 덜어 작업성을 높이고 팔렛트에서 시트가 분리되어 발생되는 설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간지 또는 탑보드를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배출할 수 있어, 간지 배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하역 설비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하역 설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하역 설비의 이송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하역 설비의 이송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하역 설비의 간지배출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하역 설비의 정렬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하역 설비의 전체적인 배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하역 설비의 이송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도 1의 x축 방향은 용기가 하역되어 이송되는 진행방향으로, 진행방향쪽을 앞 또는 전이라 하고 그 반대쪽을 뒤 또는 후라 하며, z 축은 컨베이어의 측방향이라 한다. 또한, 도 2에서 y축 방향을 상하방향이나 수직방향이라 하고, 위쪽을 상 또는 상부, 아래쪽을 하 또는 하부라 한다.
용기 하역 설비(100)는 팔렛트(10)에 복수층으로 적재된 용기들을 한 층씩 차례로 하역하여 후 공정으로 이송한다.
팔렛트(10)에는 복수개의 용기가 행과 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하 방향으로도 각 용기가 층을 이루어 적재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 평면상에 배열되며 상하방향으로 분리되어 각 층을 이루는 용기들을 용기층(20)이라 한다. 팔렛트(10) 상에는 복수개의 용기층(20)이 상하로 적층된다. 용기층(20)들은 최상층에서부터 차례대로 하역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역되는 최상층의 용기층(20) 바로 밑에 위치하여 다음 순번으로 하역될 용기층(20)을 다음 용기층(22)라 한다. 각 팔렛트(10) 윗면과 각 용기층(20) 사이에는 간지(3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최상부에는 탑보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용기 하역 설비(100)는, 용기의 하역 진행방향을 따라 입측에 배치되어 팔렛트(10)가 공급되는 공급 컨베이어(110), 공급 컨베이어(110) 출측 상부에 배치되어 팔렛트(10)에 적재된 다층의 용기를 한 층씩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200), 공급 컨베이어(110) 출측에서 이격 배치되고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층(20)을 받아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120), 이송 컨베이어(120) 출측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고 용기층(20) 상에 놓인 간지(30)를 흡착하여 이송 컨베이어(120)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거하는 간지배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하역 설비(100)를 통해 팔렛트(10) 상에 적재된 용기들은 상부에서부터 용기층들이 순차적으로 이송 컨베이어(120)로 하역되어 후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간지배출부(300)가 이송부(200)와 별도로 이송 컨베이어(120)의 출측에 배치되어 있어, 이송부(200)를 통한 용기층(20) 이송 작업과 용기층 상에서 간지(30)를 제거하는 작업이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고속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속도를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공급 컨베이어(110)는 진행방향을 따라 설비(100)의 입측에 배치된다. 공급 컨베이어(110)는 예를 들어, 지게차 등으로 운반된 팔렛트(10)를 하역위치(A)로 이송한다. 공급 컨베이어(110)의 길이나 크기 등은 설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공급 컨베이어(110)의 출측 하역위치(A) 측면에는 하역이 완료된 팔렛트(10)를 이송하여 수거하는 팔렛트(10) 수거컨베이어(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20)는 공급 컨베이어(110)의 진행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송 컨베이어(120)는 공급 컨베이어(110)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20)는 이송부(200)에 의해 옮겨진 용기층(20)을 순차적으로 간지배출부(300) 쪽으로 이송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120)의 길이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진행방향을 따라 용기층(20)이 진입하는 이송 컨베이어(120) 입측 부분을 진입위치(B)라 하고, 출측 부분을 간지 배출위치(C)라 한다.
공급 컨베이어(110)의 출측 하역위치(A)와 이송 컨베이어(120)의 입측 진입위치(B) 사이에 이송부(200)가 배치되어 팔렛트(10)에 적재된 용기층(20)을 이송 컨베이어(120)의 진입위치(B)로 이송한다.
이송부(200)는 수직프레임(210), 메인리프트(220), 메인리프트(220) 구동을 위한 상하구동부(212), 스위퍼(230), 스위퍼(230) 구동을 위한 수평구동부(222), 중간받침판(216)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210)은 수직으로 연장된 프레임 구조물로, 두 개가 한쌍을 이루어 이격 배치된다. 수직프레임(210)은 메인리프트(22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수직프레임(210) 일측에 상하구동부(2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하구동부(212)는 수직프레임(210)에 대해 메인리프트(220)를 상하로 이동한다. 상하구동부(212)는 예를 들어,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메인리프트로 전달하기 위한 체인과 스프로켓휠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가 작동되면 체인이 움직이면서 체인에 연결된 메인리프트가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상하구동부(212)는 체인에 연결되어 메인리프트(220)의 무게를 보상하기 위한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가 설치되어 중량의 메인리프트(220)를 보다 고속으로 안정적으로 승하강시키킬 수 있게 된다.
메인리프트(220)는 공급 컨베이어(110)와 이송 컨베이어(120) 사이로 연장된 사각틀 형태의 구조물로, 진행방향을 향하는 선단은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이송 컨베이어(120)에서 용기층(20)이 이동시 메인리프트(220)와 용기층(20) 사이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컨베이어(120)의 구동과 메인리프트(220)의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메인리프트(220)는 수직프레임(2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메인리프트(220)는 측방향으로 양 측단이 수직프레임(210)에 지지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수직이동될 수 있다.
메인리프트(220)의 선단은 공급 컨베이어(110)의 하역위치(A) 상에 위치하며 반대쪽의 개방된 선단은 이송 컨베이어(120)의 진입위치(B) 상에 위치한다.
메인리프트(220)의 양 선단 사이 중간부에 중간받침판(216)이 설치된다. 중간받침판(216)은 수평으로 배치된 플레이트 구조물로, 대략 용기층(20) 전체를 충분히 받쳐 지지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이에, 스위퍼(230)에 의해 용기층(2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용기층(20)이 중간받침판(216)에 받쳐져 공급 컨베이어(110)에서 이격되어 있는 이송 컨베이어(120)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받침판(216)은 메인리프트(220)에 양 측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행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스위퍼(230)가 팔렛트(10) 상에서 용기층(20)을 중간받침판(216)으로 이동시에는 중간받침판(216)이 공급 컨베이어(110) 쪽으로 이동되어 용기층(20)과의 간격을 최소화한다. 이에, 용기층(20)이 팔렛트(10) 상에서 중간받침판(216)으로 흔들림없이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스위퍼(230)가 중간받침판(216)에서 이송 컨베이어(120)로 용기층(20)을 이동할 때에는 중간받침판(216)이 이송 컨베이어(120) 쪽으로 이동되어 이송 컨베이어(120)와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용기층(20)이 중간받침판(216)에서 이송 컨베이어(120)로 흔들림 없이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중간받침판(216) 전후진 이동을 위해, 메인리프트(220) 하단과 중간받침판(216) 사이에는 전후진실린더(218)가 연결 설치된다. 전후진실린더(218)의 신축 구동에 따라 중간받침판(216)이 진행방향을 따라 전후진된다.
메인리프트(220)의 일측에 수평구동부(222)가 설치될 수 있다. 수평구동부(222)는 메인리프트(220)에 대해 스위퍼(230)를 진행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시킨다. 수평구동부(222)는 예를 들어,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메인리프트(220)로 전달하기 위한 체인과 스프로켓휠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구동부(222)의 작동에 따라 메인리프트(220) 내측에서 스위퍼(230)가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스위퍼(230)는 용기층(20)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된 사각틀 구조물로, 메인리프트(2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스위퍼(230)는 메인리프트(220)를 따라 공급 컨베이어(110)의 하역위치(A)와 이송 컨베이어(120)의 진입위치(B) 사이로 이동한다. 스위퍼(230)는 측방향으로 양 측 선단이 메인리프트(220)에 지지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수평이동될 수 있다.
스위퍼(230)가 용기층(20) 외측을 둘러싼 상태로 메인리프트(220)에서 수평이동됨에 따라 용기층(20)이 공급 컨베이어(110)의 하역위치(A)에서 중간받침판(216)으로, 중간받침판(216)에서 이송 컨베이어(120)의 진입위치(B)로 이동될 수 있다.
용기층(20) 이동과정에서 용기들이 흔들려 흐트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위퍼(230)에는 용기층(20)을 지지하는 그리퍼부(240)가 구비된다. 또한, 메인리프트(220)에는 팔렛트(10)에 남아 있는 다음 용기층(22)를 고정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파지부(250)와 간지(30)를 고정하기 위한 간지홀더(260)가 구비된다.
그리퍼부(240)는 스위퍼(230) 내측에 설치되어 용기층(20)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용기층(20)을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퍼부(240)는 스위퍼(230) 내면에 설치되어 용기층(20) 외측에 밀착되는 지지바(242), 지지바(242)를 이동시켜 용기층(20)에 밀착 및 밀착 해제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242)는 용기층(20)의 측면을 따라 길게 연장된 바 형태의 플레이트 구조일 수 있다. 지지바(242)는 스위퍼(230)의 전후면 및 양 측면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는 지지바(242)를 스위퍼(230) 내면에서 중심쪽을 향해 이동시켜 용기층(20) 네 면에 밀착시키거나 외측으로 이동시켜 용기층(20)에서 이격한다. 구동부는 지지바(242)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층(20) 각 면에 배치된 지지바(242) 중 진행방향을 따라 전후단에 배치된 지지바(242)에는 가이드판(24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판(244)은 지지바(242)에 설치되고 용기층(20) 상에 적재된 간지(30) 위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지지바(242)는 간지(30)를 막아 간지(3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방향을 따라 앞쪽 지지바(242) 중간 부분에 하나의 가이드판(244)이 설치되고, 뒤쪽 지지바(242)에는 두 개의 가이드판(244)이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진행방향을 따라 앞쪽 뒤쪽에서 용기층(20) 상에 놓인 간지(30)를 가이드판(244)이 삼각형태로 잡아주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간지(3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용기층(20) 이동 과정 또는 정지 과정에서 가이드판(244)이 간지(30)를 지지하여 간지(30)가 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간지(30)의 흔들림에 의해 용기가 흐트러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파지부(250)는 메인리프트(220)에 설치되고 스위퍼(230) 아래쪽에 배치되어 스위퍼(230)에 의해 이동되는 용기층(20) 바로 아래의 다음 용기층(22) 외측을 지지하여 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팔렛트(10) 상에서 나머지 용기층(20)은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은 상태에서 최상층의 용기층(20)만이 스위퍼(230)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파지부(250)는 메인리프트(220)에 설치되어 다음 용기층(22)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다음 용기층(22)를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파지부(250)는 메인리프트(220)에 설치되어 다음 용기층(22) 외측에 밀착되는 고정바(252), 상기 고정바(252)를 이동시켜 다음 용기층(22)에 밀착 및 밀착 해제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252)는 용기층(20)의 측면을 따라 길게 연장된 바 형태의 플레이트 구조일 수 있다. 고정바(252)는 메인리프트(220)의 양 측면과 전후면에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는 고정바(252)를 메인리프트(220) 내면에서 중심쪽을 향해 이동시켜 다음 용기층(22) 네 면에 밀착시키거나 외측으로 이동시켜 용기층(20)에서 이격한다. 구동부는 고정바(252)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용기층(20)의 네 면에 배치된 고정바(252) 중 진행방향쪽 고정바(252)는 중간받침판(216)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언급한 바와 같이, 용기층(20) 이송을 위해 중간받침판(216)이 공급 컨베이어(110) 쪽으로 후진되면서 고정바(252)가 다음 용기층(22)에 밀착될 수 있다.
간지홀더(260)는 메인리프트(220)에 설치되고 다음 용기층(22) 상에 적재된 간지(30)를 고정한다. 간지홀더(260)는 진행방향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간지홀더(260)가 다음 용기층(22) 상에 놓인 간지(30)를 고정함으로써, 용기층(20) 이송 과정에서 용기층(20) 아래에서 간지(30)가 용기층(20)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간지홀더(260)는 구동실린더(261), 중심부가 축결합되며 일측 선단은 간지(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물리는 이빨을 이루는 클램핑바(262), 클램핑바(262)의 타측 선단과 구동실린더(261)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축결합되는 링크바(263)를 포함할 수 있다.
간지홀더(260)은 클램핑바(262) 상하부에 배치되어 간지(30)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265)는 예를 들어,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를 포함하여, 빛의 검출 여부를 통해 간지 유부를 검출하는 구조일 수 있다.
검출부(265)는 간지홀더(260)와 같이 이동되며, 클램핑바(262)의 이빨 위치에 맞춰 상하로 배치되어 간지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부(265)를 통해 클램핑바(262)의 선단 이빨 사이에 간지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간지의 클램핑 상태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간지홀더(260)는 고정바(252) 상에 결합되어 고정바(252)와 같이 이동되는 구조일 수 있다. 고정바(252) 작동시 간지홀더(260)가 다음 용기층(22) 쪽으로 이동되어 그 위에 놓인 간지(30)를 고정할 수 있다.
클램핑바(262)는 두 개가 중간의 회전축(264)을 중심으로 축결합되어 회동됨으로써, 선단에 형성된 이빨이 간지(30)를 클램핑한다. 클램핑바(262)를 회동시키기 위해 구동실린더(261)와 클램핑바(262) 선단 사이에 링크바(263)가 축결합된다. 이에, 구동실린더(261)가 신축 구동되면 링크바(263)를 통해 클램핑바(262)가 당겨지거나 밀려나게 되고, 두 개의 클램핑바(262)가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선단의 이빨이 벌어지거나 모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간지홀더(260)는 간지(30) 뿐만 아니라 간지(30)와 팔렛트(10)를 같이 클램핑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간지홀더(260)는 클램핑바(262)가 벌어졌을 때, 클램핑바(262)의 이빨 사이가 팔렛트(10)의 상판 두께보다 충분히 큰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바(262)의 이빨 사이가 충분히 벌어져 간지(30)는 물론 간지(30)와 팔렛트(10) 상판까지 같이 클램핑할 수 있다. 따라서, 마지막 용기층(20) 이송시 간지홀더(260)가 간지(30)와 팔렛트(10)까지 같이 클램핑함으로써, 팔렛트(10) 위에 놓이는 간지(30)를 별도로 팔렛트(10)에 고정할 필요가 없다.
종래의 장치는 간지만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마지막 용기층 이송시 팔렛트 바로 위에 놓이는 간지는 팔렛트 때문에 고정하기 어려웠다. 이에, 팔렛트에 간지를 테이프나 클립 또는 접착제 등으로 고정해주는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팔렛트에 부착되어 있는 간지가 떨어져 용기층 이송시 같이 딸려 이송됨으로써, 후속 공정 불량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팔렛트(10) 위에 간지(30)를 고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공정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으며, 작업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파지부(250)와 간지홀더(260)가 다음 용기층(22)와 그 위쪽 간지(30)를 고정한 상태에서 스위퍼(230)가 용기층(20) 만을 이송 컨베이어(120)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용기층(20)은 이송 컨베이어(120)의 진입위치(B)로 이송된다. 이송 컨베이어(120)의 구동에 따라 용기층(20)은 진입위치(B)에서 간지 배출위치(C)로 이동된다. 그리고 간지배출부(300)에 의해 용기층(20) 상에 놓인 간지(30)가 제거되고, 용기층(20)의 용기는 후 공정으로 이송된다.
간지배출부(300)는 이송 컨베이어(120) 출측 위치에서 배치되고 이송부(200)의 간섭없이 용기층(20) 상에 놓인 간지(30)를 흡착하여 이송 컨베이어(120)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거한다. 이에, 다음 용기층(22) 이송과 별도로 용기층(20) 상에서 간지(30)를 제거하는 작업이 같이 처리되어 용기 하역 작업을 보다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간지배출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120) 측면에 배치되어 간지(30)가 적재되는 간지수거함(310), 이송 컨베이어(120)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간지수거함(310)과 이송 컨베이어(120) 사이로 연장되는 수평부재(320), 수평부재(320)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330), 대차(330)에 설치되어 간지(30)를 흡착하는 흡착판(340), 흡착판(340)을 상하로 이동시키 위한 수직실린더(350)를 포함할 수 있다.
간지배출부(300)는 팔렛트(10)에서 최상층의 용기층(20) 하역시 간지(30) 위에 놓인 탑보드를 간지(30)와 함께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간지수거함(310)은 배출되는 간지(30) 및 탑보드를 적재한다. 간지수거함(310)은 하부에 여러장의 공 팔렛트(10)를 적재하여 대기시킬 수 있다. 이에, 적재 완료된 간지(30) 및 탑보드 배출 후 다시 팔렛트(10)를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수평부재(320)는 이송 컨베이어(120)의 진행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간지수거함(310)과 이송 컨베이어(120) 사이로 연장된다. 수평부재(320)에는 대차(330)가 안내되는 가이드바(360)가 구비될 수 있다. 대차(330)는 수평부재(320)의 가이드바(360)를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수평부재(320) 일측에는 대차(330) 구동을 위한 구동부(370)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370)는 예를 들어,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대차로 전달하기 위한 체인과 스프로켓휠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가 작동되면 체인이 움직이면서 체인에 연결된 대차가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된다. 구동부(370)는 대차(3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흡착판(340)은 진공압을 가해 간지(30)를 흡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흡착판(340)이 구비되어 연결프레임(362)에 일체로 설치된다. 수직실린더(350)는 대차(330)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피스톤로드 선단은 연결프레임(362)에 설치되어 전체 흡착판(340)들을 같이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간지배출부(300)는 대차(330)가 이송 컨베이어(120)의 측방향으로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간지(30)를 제거함으로써, 대차(330)의 이동 거리와 이동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층(20)에서 간지(30)를 배출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지배출부(300)는 간지(30) 위치 규제를 위한 스토퍼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270)는 이송 컨베이어(120) 상에 설치되어 이송 컨베이어(120)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층(20) 상의 간지(30) 위치를 간지배출부(300) 위치에 맞춰주게 된다.
본 실시예의 스토퍼부(270)는 이송 컨베이어(120) 폭방향 양 측에 설치되고 이송 컨베이어(120)로 돌출되어 간지(30)를 막는 스토퍼부재(272), 스토퍼부재(272)에 연결되어 스토퍼부재를 이송 컨베이어(120) 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실린더(274), 이송 컨베이어(120) 상에 놓인 용기층(20) 유무를 검출하여 작동실린더를 구동하는 센서(27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272)는 직각으로 굽어져 간지(30)의 모서리 위치를 규제하는 구조일 수 있다. 스토퍼부재(272)는 필요시 이송 컨베이어(120) 내측으로 돌출되어 간지(30)의 모서리를 막아 위치를 규제한다. 스토퍼부재(272)는 대략 간지(30) 높이에 맞춰 배치될 수 있다. 작동실린더(274)는 신축 구동되어 스토퍼부재(272)를 이송 컨베이어(120)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센서(276)는 예를 들어,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센서(276)는 용기층(20) 유무를 검출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76)는 용기층(20)을 검출하여 용기층이 없을 때 작동실린더(274)를 신장작동하여 스토퍼부재(272)를 이송 컨베이어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부재(272)가 간지(30)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이송 컨베이어(120) 정지에 따라 용기 상에서 간지(30)가 슬립되어 배출위치(C)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송 컨베이어(120) 정지시 용기는 정 위치에 정확히 정지할 수 있으나, 그 위에 놓인 간지(30)는 용기에서 미끄러지면서 진행방향으로 밀려나가 배출위치(C)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 경우 간지(30) 흡착 및 배출 시 간지(30)가 간지수거함(310)에 제대로 안착되지 못하고, 경사지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간지(30)가 스토퍼부재에 걸리면서 미끄러지지 않고 용기층과 함께 정확한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흡착판(340)이 간지(30)를 흡착하여 용기층에서 들어올리게 되면 작동실린더(274)는 수축 구동되어 스토퍼부재(272)는 이송 컨베이어(120)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용기층이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출측으로 이동시 스토퍼부재(272)는 용기와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용기 하역 설비(100)는 공급 컨베이어(110) 일측에 배치되어 팔렛트(10) 상에 적재된 용기층(20)과 간지(30)들을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부(400)는 팔렛트(10)에 상하로 적층된 각 간지(30)와 용기층(20)을 양측에서 밀어 정렬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부(400)는 공급 컨베이어(110) 양 측에 배치된 프레임(410)에 각각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팔렛트(10) 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대(420), 지지대(420)에 설치되고 팔렛트(10)에 적재된 용기층(20)과 간지(30)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정렬하는 정렬판(430), 지지대(420)와 프레임(41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대(42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실린더(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판(430)은 대략 팔렛트(10)에 적재된 용기층(20)들 전체면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판 구조물로, 수직으로 세워져 용기층(20)들과 간지(30)를 밀어 정렬시킨다. 정렬판(430)은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지지대(420)에 탄성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정렬판(430)이 팔렛트(10)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다. 회동실린더(440) 구동에 따라 하단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지지대(420)가 회동되고, 지지대(420)에 설치된 정렬판(430)이 팔렛트(10)에 적재된 각 용기와 간지(30)를 양쪽에서 동시에 탄력적으로 밀어 정렬시키게 된다.
정렬부(400)는 용기가 적재된 팔렛트(10)가 공급되어 놓이는 위치에 맞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가 적재된 팔렛트(10)는 지게차 등으로 이송되어 공급 컨베이어(110) 입측 또는 공급 컨베이어(110) 투입 전 팔렛트(10) 컨베이어 등에 놓일 수 있다. 정렬부(400)는 지게차 등으로 공급된 팔렛트(10)를 공급 컨베이어(110)로 투입하기 전에 용기들과 간지(30)를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지게차로 팔렛트(10)를 이송하는 경우, 팔렛트(10)에 적재된 용기가 흔들리면서 정렬 상태가 어긋날 수 있다. 이 상태로 팔렛트(10)가 설비에 투입되는 경우 용기나 간지(30)가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면서 설비와의 충돌로 적재된 용기가 무너져 버리고 이를 처리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손실된다.
본 설비의 경우 정렬부(400)가 팔렛트(10)에 적재된 용기와 간지(30)를 밀어서 수직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정렬시킴으로써, 용기들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하역 설비에 의한 용기 하역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지게차 등으로 팔렛트가 이송되면 정렬부에 의해 각 층의 용기와 간지가 일정하게 정렬된다. 용기와 간지가 정렬된 상태로 팔렛트는 공정으로 투입되고, 공급 컨베이어를 따라 하역위치로 이송된다.
팔렛트가 하역위치에 도달하면 공급 컨베이어는 정지하고, 이송부가 구동되어 팔렛트에 적재된 각 용기층을 위에서부터 차례로 하역하게 된다.
이송부가 구동되면 스위퍼가 하역위치에 복귀된 상태에서 메인리프트가 하강하여 스위퍼가 최상층의 용기층 외측에 위치한다. 메인리프트가 정지되면 메인리프트에 설치된 파지부가 구동되어 고정바가 다음 용기층을 밀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클램핑바가 용기층과 다음 용기층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간지를 클램핑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에, 다음 용기층과 그 위의 간지는 메인리프트에 고정된다.
다음 용기층이 고정되면 스위퍼에 구비된 그리퍼부가 구동되어 지지바가 사면에서 용기층에 밀착되어 용기층을 지지한다.
용기층이 스위퍼에 고정되면 메인리프트에 대해 스위퍼가 이동되어 용기층을 메인리프트의 중간받침판으로 이동한다. 스위퍼가 이동함에 따라 스위퍼 안쪽에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용기층이 같이 움직여 중간받침판으로 이동된다. 이 때, 용기층 위에 놓인 간지(최초 작업시 간지와 탑보드)는 용기층 상에 놓인 상태로 용기층과 같이 이동된다.
용기층이 중간받침판으로 이동완료되면 메인리프트에 고정되어 있는 다음 용기층과 간지에 대한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용기층이 배출되는 이송 컨베이어 높이에 맞춰 메인리프트를 상하로 이동한다. 메인리프트가 정지되면 메인리프트의 위치가 이송 컨베이어 높이로 맞춰진 상태에서 스위퍼를 이송 컨베이어쪽으로 이동시킨다. 메인리프트를 따라 스위퍼가 이동됨으로써, 용기층은 중간받침판에서 이송 컨베이어의 입측 진입위치로 이동된다.
용기층이 중간받침판에서 이송 컨베이어의 진입위치로 이동 완료되면, 스위퍼에 고정되어 있는 용기층에 대한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스위퍼와 용기층의 고정이 해제되면 메인리프트가 용기층 위쪽으로 상승되고, 스위퍼는 다음 용기층 이송을 위해 메인리프트에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되고, 다음 용기층에 대해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다음 용기층을 순차적으로 이송 컨베이어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퍼가 메인리프트를 따라 원위치로 이동하여 복귀하여 다음 용기층을 이송 컨베이어로 이동하는 과정에, 이송 컨베이어가 구동하여 용기층을 진입위치에서 간지 배출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용기층이 간지 배출위치에 도달되면 이송 컨베이어가 정지되고 간지배출부가 구동되어 용기층 상단에 놓인 간지를 제거한다. 이 때, 스토퍼부재가 미리 이송 컨베이어 내측으로 돌출되어 간지를 위치를 정확히 규제할 수 있다.
간지 배출 과정을 살펴보면, 간지 배출부의 흡착판은 이송 컨베이어 상부로 이동되어 준비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층이 이송 컨베이어의 간지 배출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이송 컨베이어가 정지된다. 그리고 흡착판이 하강되어 간지를 흡착한다. 간지를 흡착한 후 흡착판이 승상되고 이송 컨베이어 외측으로 이동되어 간지를 간지수거함 위쪽으로 이동한다. 간지 이동이 완료되면 흡착판에 의한 간지 흡착을 해제하여 간지를 간지수거함으로 배출한다.
여기서, 간지가 용기층에서 들어올려져 제거되는 과정에서 이송 컨베이어가 구동되어 다음 용기층을 간지 배출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용기층이 간지 배출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스위퍼는 계속 구동되어 다음 용기층을 이송 컨베이어로 이송시키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간지 배출을 위해 이송 컨베이어가 정지된 상태에서 스위퍼가 용기층을 중간받침판에서 이송 컨베이어 진입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간지 배출위치에서 용기층 위의 간지 배출 공정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용기층에서 간지를 들어올려 제거하는 중에 이송 컨베이어가 다음 용기층을 이송하는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간지 배출과 용기층 이송 작업이 같이 수행되어 고속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속도를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경우 용기를 각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기 힘들고 간지 배출 후 용기를 이송하는 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져야 하기 때문에 공정 시간을 단축하기 어려웠다. 본 실시예의 경우 실험 결과, 복수의 작업이 동시에 수행되어 종래와 비교하였을 때, 용기층 한 사이클 당 7-8초 정도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팔렛트에 적재된 각 용기층을 순차적으로 운반하여 이송 컨베이어 상에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하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팔렛트에서 최하층 용기층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클램핑바는 팔렛트와 최하층 용기층 사이에 삽입되어 팔렛트 위에 놓인 간지와 팔렛트를 같이 클램핑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에, 최하층 용기층 이송시에도 간지가 같이 이송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용기 하역 설비 110 : 공급 컨베이어
120 : 이송 컨베이어 130 : 수거 컨베이어
200 : 이송부 210 : 수직프레임
216 : 중간받침판 218 : 전후진실린더
220 : 메인리프트 230 : 스위퍼
240 : 그리퍼부 242 : 지지바
244 : 가이드판 250 : 파지부
252 : 고정바 260 : 고정홀더
261 : 구동실린더 262 : 클램핑바
263 : 링크바 265 : 검출부
270 : 스토퍼부 272 : 스토퍼부재
274 : 작동실린더 276 : 센서
300 : 간지배출부 310 : 간지수거함
320 : 수평부재 330 : 대차
340 : 흡착판 350 : 수직실린더
360 : 가이드바 400 : 정렬부
410 : 프레임 420 : 지지대
430 : 정렬판 440 : 회동실린더

Claims (5)

  1. 팔렛트 상에 복수개의 용기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용기층을 이루고, 상기 용기층이 상하로 복수개 적층되며, 상기 팔렛트와 용기층들 사이에는 간지가 삽입되어 공급된 팔렛트로부터 용기들을 하역하기 위한 용기 하역 설비로,
    상기 용기 하역 설비는 용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팔렛트가 공급되는 공급 컨베이어, 상기 공급 컨베이어 출측 상부에 배치되어 팔렛트에 적재된 다층의 용기를 한 층씩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 상기 공급 컨베이어 출측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층을 받아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 출측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용기층 상에 놓인 간지를 흡착하여 이송 컨베이어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거하는 간지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지배출부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 측면에 배치되어 간지가 적재되는 간지수거함,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간지수거함과 상기 이송 컨베이어 사이로 연장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간지를 흡착하는 흡착판, 및 상기 흡착판을 상하로 이동시키 위한 수직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팔렛트에서 용기층을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 이송시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서 용기층 상의 간지를 제거하고,
    상기 이송부는 공급 컨베이어와 이송 컨베이어 사이에 수직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공급 컨베이어와 이송 컨베이어 사이로 연장되는 메인리프트, 상기 수직프레임를 따라 상기 메인리프트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구동부, 상기 메인리프트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 컨베이어와 이송 컨베이어 사이로 이동하며 팔렛트에 적재된 상측 용기층의 외주부를 감싸는 스위퍼, 상기 메인리프트를 따라 상기 스위퍼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구동부, 상기 스위퍼 내측에 설치되어 용기층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용기층을 지지하는 그리퍼부, 상기 메인리프트에 중심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 컨베이어와 이송 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퍼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층을 받쳐 지지하는 중간받침판, 상기 메인리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퍼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퍼에 의해 이동되는 용기층 바로 아래의 다음 용기층을 고정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파지부, 상기 메인리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다음 용기층 상에 적재된 간지를 고정하는 간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간지배출부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층 상의 간지 위치를 상기 간지배출부 위치에 맞춰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 하역 설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부는 상기 스위퍼 내면에 설치되어 용기층 외측에 밀착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 중 상기 스위퍼 이동방향으로 배치된 지지바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층 상에 적재된 간지 위로 돌출되어 간지의 밀림을 방지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용기 하역 설비.
  5. 삭제
KR1020200045130A 2020-04-14 2020-04-14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 KR102349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130A KR102349792B1 (ko) 2020-04-14 2020-04-14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130A KR102349792B1 (ko) 2020-04-14 2020-04-14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376A KR20210127376A (ko) 2021-10-22
KR102349792B1 true KR102349792B1 (ko) 2022-01-10

Family

ID=7827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130A KR102349792B1 (ko) 2020-04-14 2020-04-14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32761A (zh) * 2021-12-08 2022-03-04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座板回收码垛装置
CN114873282B (zh) * 2022-06-09 2023-09-05 深圳市嘉之宏电子有限公司 一种电路板收料机
CN116624113A (zh) * 2023-07-14 2023-08-22 山东石油化工学院 一种小型修井作业节能式自动排管装置及其排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616B1 (ko) * 2012-03-30 2014-06-18 백경율 액체용기 디팔렛타이저 장치
KR20190030157A (ko) * 2018-07-30 2019-03-21 박준희 공병 공급 장치를 갖는 공병 포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376A (ko)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792B1 (ko)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
US5096369A (en) Pallet inspection and stacking apparatus
CN110027900B (zh) 生产流水线及送料装置
WO2023216439A1 (zh) 一种芯片自动换盘设备
CN111921878B (zh) 自动仓储扫码分类方法
CN110027899B (zh) 生产流水线、送料装置及接驳机构
KR20100115677A (ko) 대형필름 검사 및 적재장치
CN216971305U (zh) 一种整层式全自动码垛机
JP3425988B2 (ja) レーザ加工システム
JPH09328227A (ja) 板状体段積み装置
CN113911750A (zh) 一种载盘分盘运料机
CN111301978A (zh) 自动装料系统
JP3790003B2 (ja) 板材搬送装置
JP3556896B2 (ja) 瓶ケース用ピッキング装置
CN116281797A (zh) 用于芯片清洗的托盘加盖和拆盖输送系统
KR200190145Y1 (ko) 시트 제품 적재 장치
CN116692498B (zh) 一种全自动低位卸瓶方法及卸瓶系统
CN115973749B (zh) 自动装盘工站及方法
JPH0532328U (ja) ケース分離装置
JP2000302244A (ja) 荷降し装置
JP2920024B2 (ja) パレット荷降ろし装置
JP3845360B2 (ja) 積み重ね箱体の分列分段方法及びその装置
CN211970786U (zh) 自动装料系统
KR101607327B1 (ko) 대형필름 적재용 투입기
KR0131380B1 (ko) 케이스 하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