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665B1 - 정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정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665B1
KR102217665B1 KR1020170041711A KR20170041711A KR102217665B1 KR 102217665 B1 KR102217665 B1 KR 102217665B1 KR 1020170041711 A KR1020170041711 A KR 1020170041711A KR 20170041711 A KR20170041711 A KR 20170041711A KR 102217665 B1 KR102217665 B1 KR 102217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elt
ring member
bush
sliding guid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168A (ko
Inventor
이선형
강성우
박지수
배세철
유길재
이승준
한영훈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7004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665B1/ko
Priority to US15/646,534 priority patent/US10120310B2/en
Priority to EP18776434.5A priority patent/EP3602199A4/en
Priority to CN201880010624.8A priority patent/CN110291466B/zh
Priority to PCT/KR2018/003765 priority patent/WO2018182352A1/en
Priority to US16/138,467 priority patent/US10551775B2/en
Publication of KR2018011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168A/ko
Priority to US16/709,274 priority patent/US10831135B2/en
Priority to US17/033,148 priority patent/US1113770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9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pressure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fix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35Handling of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215/00139Belt
    • G03G2215/00143Meandering prevention
    • G03G2215/00151Meandering prevention using edge limit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03G2215/2035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stationary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정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정착 장치는 정착 벨트; 상기 정착 벨트에 가압되어 닙부를 형성하며, 상기 정착 벨트를 회전시키는 가압 롤러; 상기 정착 벨트의 에지를 가이드 하는 부시; 및 상기 부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하는 상기 정착 벨트의 에지와 접촉하여 상기 정착 벨트와 함께 회전하는 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정착 벨트의 에지와 상기 링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제1 마찰력이 상기 부시와 상기 링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제2 마찰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FU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착 벨트의 사행에 따라 정착 벨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매체(용지)를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기록매체에 담지된 토너상을 기록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정착 장치는 정착 벨트의 내주측에 배치된 가압 부재를 정착 벨트의 외주측에 배치된 가압 롤러에 압압함으로써, 정착 벨트와 가압 롤러 사이에 정착 닙부를 형성한다. 정착 장치는 정착 벨트 내측에 배치된 가열원에 의해 정착 벨트를 가열함으로써, 정착 닙부를 지나는 기록매체를 가열한다.
정착 벨트는 벨트 내부에 위치한 가압 부재와 가압 롤러 사이에 위치하며, 가압 부재와 가압롤러 간의 상호 가압과 회전하는 가압롤러에 의해 회전하며, 기록매체와 토너가 정착 벨트와 가압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토너가 기록 매체에 정착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착 벨트의 원활한 주행을 위하여 부시(bush)로 정착 벨트의 회전 주행을 가이드한다.
정착 벨트는 가압 롤러와의 정렬 밸런싱, 부품 간의 공차 또는 조립 갭, 부시를 가압해 주는 부품의 편차, 정착 필름의 길이방향 양단의 외경 차 및 기록매체의 닙부에의 도입 및 통지에 의한 영향 등의 요인들에 의해 정착 벨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축 방향을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는 힘을 받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힘에 의해 회전 주행하는 정착 벨트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는데 이를 사행(meandering)이라 한다. 이 힘에 의해 정착 벨트의 에지가 부시의 측벽에 마모되어 결국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정착 벨트 방식에 있어서 발생하는 고질적인 문제인 정착 벨트의 에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과 같이 정착 벨트(1)와 부시(3) 사이에 얇은 두께의 링 부재(5)를 배치하였다. 이 경우, 링 부재는 복수로 배치하는 경우도 있었다.
링 부재(5)는 정착 벨트(1)가 사행 시 일면(5a)이 정착 벨트의 에지(2)와 접촉하여 정착 벨트(1)와 함께 습동 회전함으로써 정착 벨트의 에지(2)가 부시(3)의 측벽(4)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링 부재(5)는 정착 벨트의 에지(2)가 부시의 측벽(4)에 접촉하여 마모되는 것을 억제하여 정착 벨트(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회전하는 정착 장치를 제공하였다.
한편, 링 부재(5)는 링 부재의 일면(5a)과 정착 벨트의 에지(2) 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정착 벨트(1)와 함께 습동 회전한다. 그런데 링 부재의 일면(5a)과 정착 벨트의 에지(2) 간의 접촉 면적이 링 부재의 타면(5b)과 부시의 측벽(4) 간의 접촉 면적 보다 현저히 작기 때문에, 링 부재의 일면(5a)과 정착 벨트의 에지(2) 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은 링 부재의 타면(5b)과 부시의 측벽(4) 간의 마찰력 보다 작게 된다. 이에 따라, 링 부재(5)는 정착 벨트(1)와 함께 원활한 습동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해, 정착 벨트의 에지(2)와 링 부재의 일면(5a) 간에 슬립(slip)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링 부재(5)는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정착 벨트(1) 내부에 도포되어 있는 액상 또는 겔상의 윤활제가 정착 벨트(1) 회전 시에 정착 벨트의 에지(2) 측으로 흘러나와 링 부재(5)의 일면(5a)에 도포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정착 벨트의 에지(2)와 링 부재의 측벽(4)간의 슬립 현상은 윤활제로 인해 더욱 심해지게 되고, 링 부재(5)는 정착 벨트(1)와 전혀 회전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정착 벨트 방식은 가압 부재와 가압 롤러의 사이에 벨트가 위치하며 이 벨트를 사이에 두고 가압 부재와 가압 롤러 간의 상호 가압에 의해 정착 닙부를 형성한다. 정착 벨트 방식에서의 정착 닙부는 통상 넓고 평탄한 형상을 갖게 된다.
정착 벨트(1)는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정착 벨트(1)의 정착 닙부 특성(정착 롤러 방식에 비해 비교적 넓고 평탄한 닙을 형성함)을 고려하면 정착 벨트의 회전 궤적(6)에는 도 2와 같이 정착 닙부의 형상과 동일한 평탄 구간(6a)이 발생하게 된다. 평탄 구간(6a)은 2곳에서 링 부재(5)의 내주 단(5c)과 교차하는 부분(7a,7b)이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링 부재(5)가 정착 벨트(1)와 습동 회전하지 않는 경우, 도 3과 같이 상기 교차하는 부분 중 어느 한 부분(7b)에서 큰 변형력이 발생하면서 정착 벨트(1)의 일부가 변형된다. 이 경우 링 부재(5)는 복원력이 없기 때문에 도 4와 같이 링 부재(5)의 표면에 형성된 변곡 부분(5d)이 발생하였다.
또한, 정착 벨트(1)의 변형에 의해, 링 부재(5)의 구멍으로 정착 벨트(1)의 외주면이 파고 들어가 결국 링 부재(5)가 정착 벨트(1)에 올라타는 현상(이하, 벨트 언라 라이드(Belt under-ride)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 교차하는 부분(7b)에서의 정착 벨트(1)의 변형은 사행력이 대략 1kgf 이상일 때 발생하였다.
한편, 링 부재(5)와 정착 벨트(1) 사이에서의 습동 저항을 저감하여 링 부재(5)가 정착 벨트(1)와 함께 원활하게 회전시키도록, 링 부재(5)를 일반적인 내열성 수지에 비해 마찰계수가 작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TFE)과 같은 불소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불소 수지는 변형이 쉽게 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링 부재(5)를 부시(3)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링 부재(5)가 쉽게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처럼 링 부재(5)가 변형된 채로 부시(3)에 장착될 경우, 링 부재(5)의 변형 부분은 링 부재(5)가 정착 벨트(1)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정착 벨트(1)가 불안정하게 회전하게 되어 결국 정착 벨트(1)의 파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시(3)에 결합된 링 부재가 부시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링 부재(5)의 구멍은 부시(3)의 가이드부(3a, 도 1 참조)의 외경에 비해 작게 설계가 된다. 이로 인해 링 부재(5)를 부시(3)에 결합할 때 링 부재(5)가 변형된다. 링 부재(5)가 변형된 채로 부시(3)에 결합되는 경우, 정착 벨트(1)의 에지(2)가 링 부재(5)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착 벨트와, 정착 벨트의 회전을 돕는 링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정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착 벨트; 상기 정착 벨트에 가압되어 닙부를 형성하며, 상기 정착 벨트를 회전시키는 가압롤러; 상기 정착 벨트의 에지를 가이드 하는 부시; 및 상기 부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하는 상기 정착 벨트의 에지와 접촉하여 상기 정착 벨트와 함께 회전하는 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정착 벨트의 에지와 상기 링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제1 마찰력이 상기 부시와 상기 링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제2 마찰력보다 큰 정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부시의 측벽에는 상기 링 부재의 일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불소계 수지로 형성되거나, 내열성 수지에 불소계 수지를 코팅한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고체 윤활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상기 부시의 측벽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상기 부시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반구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두께가 0.1㎜~5㎜일 수 있다.
상기 링 부재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시는 상기 링 부재의 일부가 지지되는 지지 영역(supporting region)과, 비 지지영역(non-supporting reg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시의 비 지지영역은 상기 부시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마련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부시의 비 지지영역은 상기 지지영역보다 상기 링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부시의 측벽 일부에는 상기 링 부재의 일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부시의 비 지지영역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의 두께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마련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링 부재는 상기 정착 벨트의 에지에 의해 상기 부시 측으로 가압될 때 상기 부시의 비지지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링 부재의 일 부분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성체일 수 있다.
상기 링 부재는 탄성이 있는 내열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시는 상기 정착 벨트의 양단에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부시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착 벨트; 상기 정착 벨트에 가압되어 닙부를 형성하며, 상기 정착 벨트를 회전시키는 가압롤러; 일면이 상기 정착 벨트의 에지와 접촉하여 상기 정착 벨트와 함께 회전하는 탄성체로 형성된 링 부재; 상기 링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정착 벨트의 일측에 배치된 부시; 및 상기 부시의 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링 부재의 타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는 상기 링 부재의 일 부분이 상기 정착 벨트의 단부에 의해 상기 부시 측으로 가압될 때 휘어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단차가 형성된 정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차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의 두께와 동일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의 두께는 0.1㎜~5㎜일 수 있다.
상기 단차는 상기 부시의 하부에 형성되며 0.1㎜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불소계 수지로 형성되거나, 내열성 수지에 불소계 수지를 코팅한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정착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식 정착 장치에서 부시에 링 부재를 배치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정착 벨트의 회전 궤적 중 일부가 링 부재의 내주에 교차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정착 벨트가 회전하면서 링 부재의 결합구멍으로 속으로 파고드는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이 정착 벨트의 에지(edge)에 의해 일부가 휘어진 링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정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정착 벨트의 양측에 각각 부시가 배치되고, 정착 벨트의 양측과 부시 사이에 링 부재가 배치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 표시된 A-A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로서, 정착 벨트를 국부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정착 벨트를 전체 가열하기 위해 할로겐 램프를 구비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부시에 링 부재를 결합하기 전과 결합한 후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표시된 화살표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표시된 D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표시된 E-E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정착 벨트의 사행에 의해 링 부재가 정착 벨트의 에지에 의해 가압되어 부시 측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부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부시의 하부에 단턱부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부시의 일면에 링 부재가 접촉되는 윤활층이 추가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부시의 일면에 링 부재가 접촉되는 가이드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a는 도 18에 도시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부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도시된 가이드 돌기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링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표시된 K-K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2는 링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표시된 M-M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한 후, 화상 형성 장치 내에 배치된 정착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마젠타, 옐로우, 시안, 블랙의 각 색을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기록 매체인 용지(P)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11)와,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20)와, 토너상을 용지(P)에 2차 전사하는 전사 장치(30)와, 둘레면에 화상이 형성되는 정전 잠상 담지체인 감광체 드럼(40)과, 토너상을 용지(P)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50)와, 용지(P)를 배출하는 배출 장치(60)를 구비한다.  
반송 장치(11)는 화상이 형성되는 기록 매체로서의 용지(P)를 반송 경로(R1) 상에서 반송한다. 용지(P)는 카세트(K)에 적층되어 수용되고, 급지 롤러(12)에 의해 픽업되어 반송된다. 반송 장치(11)는 용지(P)에 전사되는 토너상이 전사 닙부(R2)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반송 경로(R1)를 통해 전사 닙부(R2)에 용지(P)를 도달시킨다.
현상 장치(20)는 색마다 4개 마련될 수 있다. 각 현상 장치(20)는 토너를 감광체 드럼(40)에 담지시키는 현상 롤러(21)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 장치(20)에서는 토너와 캐리어를 원하는 혼합비가 되도록 조정하고, 더욱 혼합 교반하여 토너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최적인 대전량을 부여한 현상제가 조정된다. 이 현상제를 현상 롤러(21)에 담지시킨다. 현상 롤러(21)의 회전으로 현상제가 감광체 드럼(40)과 대향하는 영역까지 반송되면, 현상 롤러(21)에 담지된 현상제 중 토너가 감광체 드럼(40)의 둘레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으로 이동하고, 정전 잠상이 현상된다.
전사 장치(30)는 현상 장치(20)에서 형성된 토너상을 용지(P)에 2차 전사하는 전사 닙부(R2)로 반송한다. 전사 장치(30)는 감광체 드럼(40)으로부터 토너상이 1차 전사되는 전사 벨트(31)와, 전사 벨트(31)를 현가하는 제1 내지 제4 현가 롤러(34, 35, 36, 37)와, 감광체 드럼(40)과 함께 전사 벨트(31)를 협지하는 1차 전사 롤러(32)와, 현가 롤러(37)와 함께 전사 벨트(31)를 협지하는 2차 전사 롤러(33)를 구비한다.
전사 벨트(31)는 제1 내지 제4 현가 롤러(34, 35, 36, 37)로 인해 순환 이동하는 무단 형상 벨트이다. 제1 내지 제4 현가 롤러(34, 35, 36, 37)는 각각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롤러이다. 제4 현가 롤러(37)는 중심축선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 롤러이고, 제1 내지 제3 현가 롤러(34, 35, 36)는 현가 롤러(37)의 회전 구동으로 종동 회전하는 종동 롤러이다. 1차 전사 롤러(32)는 전사 벨트(31)의 내주측으로부터 감광체 드럼(40)을 압압하도록 마련된다. 2차 전사 롤러(33)는 전사 벨트(31)를 사이에 두고 현가 롤러(37)와 평행으로 배치되고, 전사 벨트(31)의 외주측으로부터 현가 롤러(37)를 압압하도록 마련된다. 이로 인해, 2차 전사 롤러(33)는 전사 벨트(31)와의 사이에 전사 닙부(R2)를 형성한다.
감광체 드럼(40)은 색마다 4개 마련된다. 각 감광체 드럼(40)은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에 따라 마련된다. 감광체 드럼(40)의 둘레 위에는 현상 장치(20)와, 대전 롤러(41)와, 노광 유닛(42)과, 클리닝 유닛(43)이 마련된다.
대전 롤러(41)는 감광체 드럼(40)의 표면을 소정의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이다. 대전 롤러(41)는 감광체 드럼(40)의 회전에 추종하여 움직인다. 노광 유닛(42)은 대전 롤러(41)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 드럼(40)의 표면을 용지(P)에 형성하는 화상에 따라 노광한다. 이로 인해, 감광체 드럼(40)의 표면 중 노광 유닛(42)에 의해 노광된 부분의 전위가 변화하고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4개의 현상 장치(20)는 각각의 현상 장치(20)에 대향하여 마련된 토너 탱크(N)로부터 공급된 토너에 의해 감광체 드럼(40)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고, 토너상을 생성한다. 각 토너 탱크(N) 내에는 각각 마젠타, 옐로우, 시안 및 블랙의 토너가 충전되어 있다. 클리닝 유닛(43)은 감광체 드럼(40) 상에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 벨트(31)에 1차 전사된 후에 감광체 드럼(40) 상에 잔존하는 토너를 회수한다.
정착 장치(50)는 가열 및 가압하는 정착 닙부(R3)에 용지를 통과시킴으로써, 전사 벨트(31)로부터 용지(P)에 2차 전사된 토너상을 용지(P)에 부착시키고 정착시킨다.
정착 장치(50)는 용지(P)를 가열하는 정착 벨트(52)와, 정착 벨트(52)를 압압하여 회전 구동하는 가압 롤러(54)를 구비하고 있다. 정착 벨트(52)는 얇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가압 롤러(5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열원(정착 벨트를 국부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 또는 정착 벨트 전체를 가열하기 위한 할로겐 램프 등)을 구비한다. 정착 벨트(52)와 가압 롤러(54)와의 사이에는 접촉 영역인 정착 닙부(R3)가 마련되고, 정착 닙부(R3)에 용지(P)를 통과시킴으로써, 토너상을 용지(P)에 용융 정착시킨다.
배출 장치(60)는, 정착 장치(50)에 의해 토너상이 정착된 용지(P)를 장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출 롤러(62, 64)를 구비하고 있다.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0)에 따른 인쇄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에 피기록 화상의 화상 신호가 입력되면,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부는, 급지 롤러(12)를 회전시켜, 카세트(K)에 적층된 용지(P)를 픽업하여 반송한다. 그리고, 수신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대전 롤러(41)에 의해 감광체 드럼(40)의 표면을 소정의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시킨다(대전 공정). 그 후, 노광 유닛(42)에 의해 감광체 드럼(40)의 표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노광 공정).
현상 장치(20)에서는, 정전 잠상이 현상되어 토너상이 형성된다(현상 공정). 이렇게 하여 형성된 토너상은, 감광체 드럼(40)과 전사 벨트(31)가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40)으로부터 전사 벨트(31)로 1차 전사된다(전사 공정). 전사 벨트(31)에는, 4개의 감광체 드럼(40) 상에 형성된 토너상이 순차 적층되고, 1개의 적층 토너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적층 토너상은, 현가 롤러(37)와 2차 전사 롤러(33)가 대향하는 전사 닙부(R2)에 있어서, 반송 장치(11)로부터 반송된 용지(P)에 2차 전사된다.
적층 토너상이 2차 전사된 용지(P)는 정착 장치(50)로 반송된다. 그리고, 정착 장치(50)는 용지(P)가 정착 닙부(R3)를 통과할 때에, 용지(P)를 정착 벨트(52)와 가압 롤러(54)와의 사이에서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적층 토너상을 용지(P)로 용융 정착시킨다(정착 공정). 그 후, 용지(P)는, 배출 롤러(62, 64)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50)를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정착 장치(5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정착 벨트(52)와, 정착 벨트(52)의 내부에 배치된 가압 부재(53)와, 가압 부재(53a)의 저면에 삽입된 가열원(56)과, 가압 부재(53)과 함께 정착 벨트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54)와, 전력 공급 차단을 위한 온도 센서(57) 및 서모스탯(thermostat)(58)을 구비한다.
정착 벨트(52)는 원통 형태의 무단 벨트(endless belt)이며, 주로 수지 필름 또는 금속 슬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착 벨트(52)는 베이스층과, 베이스층의 가압 롤러(54) 측의 일면 또는 베이스층의 양면에 이형층이 피복될 수 있다. 특히, 인쇄물의 화상 품질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베이스층과 이형층 사이에 탄성층을 배치하여 비교적 넓고 평탄한 정착 닙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정착 벨트(52)의 베이스층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등의 내열성 수지 또는 SUS, 니켈 동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며, 두께는 30-200㎛로 사용할 수 있으나 50~100㎛가 적당하다. 이형층(베이스층 표면에 피복됨)은 퍼플루오로알킬 (Perfluoroalkoxy, PF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4불화 에틸렌과 6불화 에틸렌의 공중합체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FEP) 등의 불소계 수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두께는 10~30㎜ 정도가 적당하다. 이형층의 재료로는 불소계 수지가 주로 많이 사용되며, 두께는 10~50㎛가 좋다. 불소계 수지로는 퍼플루오로알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4불화 에틸렌과 6불화 에틸렌의 공중합체등이 가능하다. 이 이형층은 불소계 수지로 제작된 튜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불소계 수지를 이용한 코팅 방법으로 이형층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층은 불소 고무나 실리콘 고무 등이 이용 가능하다. 탄성층에서, 절연 탄성층으로는 불소 고무나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브틸 고무, 아크릴 고무, 히드린 고무, 우레탄곰과 같은 각종 고무 재료나, 스틸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 염화 비닐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 부타디엔계, 토란스포리이소푸렌계, 염소화 폴리에틸렌계 등의 각종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등의 탄성 재료를 들 수 있고, 이 중의 1 종류 또는 2종 이상을 짜고 합쳐서 이용할 수 있다. 제2 절연층의 두께는 기록매체로의 열전달을 고려하여 제1 절연층 보다 적게 하는 것이 좋으므로, 절연 탄성층은 10~100㎛으로 하는 것이 좋다.
가압 부재(53a)는 정착 벨트(52)의 내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정착 벨트(52)를 통해 가압 롤러(54)를 가압 함으로써, 정착 벨트(52)와 가압 롤러(54) 사이에 이상적인 정착 닙부를 형성시킬 수 있는 부재이다. 가압 부재(53a)는 상측에 금속 브라켓(53b)이 배치되고, 저면에 가열원(56)이 삽입된다. 금속 브라켓(53b)은 부시(100)에 의해 가압되면서 가압 부재(53a)를 가압 롤러(54) 측으로 가압한다. 가압 부재(53b)는 가압 부재(53a)는 단열성이 우수한 다공질 (porous) 구조를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가열원(56)은 정착 벨트(52)의 정착 닙부에 한정되도록 국부적으로 정착 벨트(52)를 가열할 수 있다.
온도 센서(57)는 가열원(56)의 온도를 검출한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부(미도시)는 가열원(56)의 온도가 정착 가능한 범위 이하로 낮아지면 가열원(56)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원(56)의 온도를 정착 가능한 범위로 상승시킨다.
서모스탯(58)은 가압 부재(53a)에 배치되어, 정착 벨트(52)의 상태에 따라 가열원(56)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서모스탯(58)은 바이메탈을 가지며, 바이메탈의 온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가열원(56)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50)는 도 8과 같이 정착 벨트(52)를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9와 같이 할로겐 램프(56')를 가열원으로 하여 정착 벨트(52)를 전체적으로 가열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할로겐 램프(56')는 가압 부재(53a')의 상측에 배치된 금속 브라켓(53b')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 센서(57')와 서모스탯(58')은 정착 벨트(52)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정착 벨트(52)의 양단에는 정착 벨트(52)의 회전 주행을 가이드 하기 위한 부시(100)가 각각 배치된다. 각 부시(100)는 화상 형성 장치(10) 내측에 배치된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며, 정착 벨트(52)의 양단에 배치될 때 정착 벨트(52) 내부에 위치한 금속 브라켓(53b)을 가압하는 역할도 겸한다. 각 부시(100)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링 부재(130)가 배치된다.
각 부시(100)는 그 형상이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하나의 부시(1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부시(100)는 정착 벨트(52)의 축 방향 유동을 규제하는 측벽(101)과, 측벽으로 직각으로 돌출된 연장부(103)의 선단에 형성되어 정착 벨트(52)의 회전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부(105)를 포함한다.
연장부(103)의 외주면에는 상부 가이드 돌기(104a)와 한 쌍의 측부 가이드 돌기(104b)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및 측부 가이드 돌기(104a,104b)는 링 부재(130)의 구멍(135)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상부 및 측부 가이드 돌기(104a,104b)에 의해 링 부재(130)와 돌출부(103)간의 접촉면적이 최소가 됨에 따라, 링 부재(130)는 정착 벨트(52)와 함께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가이드부(105)는 연장부(103)에 의해 측벽과 일체로 형성된다. 링 부재(130)가 부시(100)로부터의 분리되지 않도록, 링 부재(130)는 구멍(135)의 직경이 가이드부(105)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링 부재(130)의 구멍(135)으로 가이드부(105)를 통과시킬 때 링 부재(130)의 변형이 불가피하다. 본 실시예에서, 링 부재(130)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부(105)가 구멍(135)을 통과한 후 링 부재(130)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링 부재(130)는 폴리에테르술폰(Polyehtersulfone, PES),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액정 결정성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LCP),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 imide, PA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olyetheretherketone, PEEK) 등의 탄성이 있는 내열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링 부재(130)가 부시(100)에 결합한 후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므로, 링 부재(130)에 의해 정착 벨트(52)의 에지(52a)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정착 벨트(52)의 회전 주행 시 사행이 발생하더라도, 링 부재(130)가 정착 벨트(52)와 함께 원활하게 회전하려면, 정착 벨트(52)와 링 부재(13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부시(100)와 링 부재(13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보다 큰 조건을 충족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시(100)와 링 부재(130) 사이에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는 부시(100)의 측벽(101)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는 측벽(101) 전체의 면적(area) 보다 작은 면적(area)으로 형성되며, 대략 측벽(10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의 일면(111)을 링 부재(130)의 타면(13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영역(supporting region)으로 정의할 수 있고, 측벽(101) 전체에서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가 점유하지 않은 측벽(101)의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을 비 지지영역(non-supporting region)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 지지영역은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의 일면(111)과 측벽(101)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G1)에 의해 형성된 공간(108)에 해당한다. 정착 벨트(52)의 에지(52a)와 링 부재(130)의 구멍(135)의 내주단과 교차하는 2 부분(C1,C2)은 비 지지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108)에 의해, 정착 벨트(52)의 사행력이 1kgf 이상일 경우, 도 15와 같이, 비 지지영역에 있는 링 부재(130)의 일 부분이 정착 벨트(52)의 에지에 의해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될 때 측벽(101) 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링 부재(130)가 탄력적으로 휘게 되면, 교차점(C1,C2)에서 발생하는 변형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링 부재(130)는 변형 후 탄성력에 의해 곧 바로 원형으로 복원되므로, 정착 벨트(52)의 에지(52a)가 링 부재(130)의 구멍(135)의 내주단을 따라 파고 들지 않고 링 부재(13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링 부재(130)가 정착 벨트(52)의 외주면에 올라타는 벨트 언러 라이드(Belt under-rid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단차(G1)는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30)의 두께(t2)는 0.1㎜~5㎜가 적합하다.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30)의 두께(t2)가 0.1㎜ 미만이면 공간(108)이 좁아져 링 부재(130)가 적절한 정도로 휘지 못하게 되어 벨트 언더 라이드 현상을 해소하기 못하고, 5㎜를 초과하면 정착 벨트(52)가 한 쌍의 부시(100) 사이에서 끼일 수 있어 정착 벨트(52)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링 부재(130)의 두께(t1)는 실험결과, 0.3㎜~8㎜로 형성하였을 때 교차 부분(C1,C2, 도 14 참조)에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다.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는 링 부재(13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회전될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낮은 퍼플루오로알킬 (Perfluoroalkoxy, PF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4불화 에틸렌과 6불화 에틸렌의 공중합체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FEP) 등의 불소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는 폴리에테르술폰(Polyehtersulfone, PES),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액정 결정성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LCP),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 imide, PA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olyetheretherketone, PEEK) 등의 내열성 수지에 불소계 수지를 코팅하여 이루루어진 시트(sheet)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에서 부시(100)의 측벽(101)은 상부 및 하부가 단차없이 동일 평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단차(G1)는 측벽(101) 자체에 형성된 단차가 아닌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의 두께에 의해 형성된다. 하지만, 단차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16과 같이, 부시(200)의 측벽(201) 자체의 상부(201a)와 하부(201b)의 높이 차에 의해 단차(G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벽(201)의 상부(201a)는 링 부재(1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영역에 해당하고, 측벽(201)의 하부(201b)는 비 지지영역에 해당한다.
측벽(201)의 상부(201a)의 길이(L2)는 도 12에 도시된 전술한 부시(100)의 측벽(101) 전체의 길이(L1)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 경우, 단차(G2)에 의해 비 지지영역에 위치하는 공간(208)은 전술한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비 지지영역에는 도 16과 같이 정착 벨트(52)의 에지(52a)가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에지(52)는 정착 벨트(52)의 하부의 에지를 말한다. 따라서, 정착 벨트(52)의 사행력이 1kgf 이상일 경우, 비 지지영역에 있는 링 부재(130)의 일 부분이 정착 벨트(52)의 에지에 가압될 때 측벽(201) 측으로 휘어져 공간(208)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벨트 언더 라이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링 부재(130)의 회전을 더욱 원활하게 하도록, 도 17과 같이 측벽(201)의 상부(201a)에 소정 두께를 갖는 윤활층(210)을 형성할 수 있다. 윤활층(210)은 측벽(201)의 상부(201a) 전체에 도포하거나 일부분에 도포된다.
윤활층(210)은 유동되는 액상 또는 겔상의 윤활제 보다는 고체 윤활제로 형성된다. 유동 가능한 윤활제를 사용할 경우, 윤활제가 링 부재(130)의 구멍(135)을 따라 흘러 정착 벨트(52)의 에지(52a)와 링 부재(130)의 일면(1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착 벨트(52)의 에지(52a)와 링 부재(130)의 일면(131)은 윤활제로 인해 슬립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링 부재(130)가 제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윤활층(210)은 고체 윤활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 부재(130)는 윤활층(210)에는 링 부재(130)의 타면(133)이 접촉하며, 정착 벨트(52) 회전 시 정착 벨트(52)와 함께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도 18를 참조하면, 부시(300)는 상기 윤활층(210) 대신에 측벽(301)에 슬라이딩 돌기(310)를 형성하여 링 부재(1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돌기(310)는 링 부재(130)가 결합되는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도 19a와 같이 측벽(301)을 따라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돌기(310)를 원호 형상은 정착 벨트(52)의 회전 궤적과 대응하거나 그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돌기(310)는 지지영역에 해당하고, 슬라이딩 돌기(310)를 제외한 부분은 비 지지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8과 같이, 부시(300)에 형성되는 단차(G3)는 슬라이딩 돌기(310)의 돌출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G3)에 의해, 정착 벨트(52)의 사행력이 1kgf 이상일 경우, 비 지지영역에 있는 링 부재(130)의 일 부분이 정착 벨트(52)의 에지(52a)에 가압되면서 측벽(301) 측으로 휘어져 공간(308)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벨트 언러 라이드(Belt under-rid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b를 참조하면, 부시(400)의 측벽(401)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410)는 원호 형상 대신에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돌기(41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돌기(410)는 전술한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의 부착 위치와 유사하게 측벽(401)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는 비 지지영역이 지지영역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링 부재(130)의 하부가 측벽(401) 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한편, 도 14와 같이 정착 벨트의 에지가 교차하는 부분(C1,C2)은 링 부재(130)의 구멍(135) 내주단의 일부분이다. 이 경우, 상기 교차하는 부분(C1,C2)에서 발생하는 변형을 줄이기 위해, 도 20 및 도 21과 같이, 링 부재(230)의 구멍(235) 내주단을 따라 경사면(236)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면(236)은 정착 벨트(52)의 에지(52a)와 접촉하는 일면(231)에 형성된다.
또한, 도 16과 같이 부시(200)의 측벽(201)에 링 부재(1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없는 경우, 도 22 및 도 23과 같이, 부시의 측벽과 접촉하는 링 부재(330)의 타면(333)에 복수의 가이드 돌기(337,338)를 형성하여 링 부재(330)가 측벽(301)에 대해 원활하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돌기(337,338) 중 하나(337)는 링 부재(330)의 외곽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338)는 구멍(337)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가이드 돌기(337)는 지름이 다른 동심원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링 부재(330)는 전술한 링 부재(230)와 마찬가지로 링 부재(330)의 일면(331)에 구멍(335)을 따라 경사면(336)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부시에 단차를 형성하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은 부시에 단차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벨트 언더 라이드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부시(500)는 측벽(501)의 길이(L3)는 전술한 부시(100)의 길이(L1, 도 12 참조)와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벽(501)에는 별도의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링 부재(530)는 전술한 링 부재(130)의 두께(t1) 보다 더 두껍게 0.8㎜ 이상의 두께(t3)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링 부재(530)가 전술한 링 부재(130) 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정착 벨트(52)의 에지(52a)에 의해 가압 되더라도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링 부재(530) 및 정착 벨트(52)가 변형되는 문제와 벨트 언더 라이드 현상이 모두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링 부재(530)의 두께(t3)를 0.8㎜ 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도 25와 같이, 추가 링 부재(540)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링 부재(540)가 윤활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전술한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와 동일하게 마찰력이 작은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50: 정착 장치 52: 정착 벨트
54: 가압 롤러 100,200,300,400,500: 부시
110: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 130,230,330,530: 링 부재
210: 윤활층 310,410: 슬라이딩 돌기

Claims (20)

  1. 정착 벨트;
    상기 정착 벨트에 가압되어 닙부를 형성하며, 상기 정착 벨트를 회전시키는 가압 롤러;
    상기 정착 벨트의 에지를 가이드 하는 부시; 및
    상기 부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하는 상기 정착 벨트의 에지와 접촉하여 상기 정착 벨트와 함께 회전하는 링 부재; 및
    상기 부시의 측벽과 상기 링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링 부재의 일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정착 벨트의 에지와 상기 링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제1 마찰력이 상기 부시와 상기 링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제2 마찰력보다 크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상기 측벽의 상부에 배치되는 정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인 정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불소계 수지로 형성되거나, 내열성 수지에 불소계 수지를 코팅한 시트로 형성된 정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고체 윤활제로 이루어진 정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상기 부시의 측벽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돌출된 정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상기 부시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반구 형상으로 돌출된 정착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두께가 0.1㎜~5㎜인 정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시는 상기 링 부재의 일부가 지지되는 지지 영역(supporting region)과, 비 지지영역(non-supporting region)을 포함하는 정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비 지지영역은 상기 부시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마련된 공간인 정착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비 지지영역은 상기 지지영역보다 상기 링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된 정착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측벽 일부에는 상기 링 부재의 일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부시의 비 지지영역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의 두께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마련된 공간인 정착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상기 정착 벨트의 에지에 의해 상기 부시 측으로 가압될 때 상기 부시의 비지지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링 부재의 일 부분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성체인 정착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탄성이 있는 내열성 수지로 형성된 정착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상기 정착 벨트의 양단에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부시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정착 장치.
  16. 정착 벨트;
    상기 정착 벨트에 가압되어 닙부를 형성하며, 상기 정착 벨트를 회전시키는 가압롤러;
    일면이 상기 정착 벨트의 에지와 접촉하여 상기 정착 벨트와 함께 회전하는 탄성체로 형성된 링 부재;
    상기 링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정착 벨트의 일측에 배치된 부시; 및
    상기 부시의 측벽과 상기 링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링 부재의 타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는 상기 링 부재의 일 부분이 상기 정착 벨트의 단부에 의해 상기 부시 측으로 가압될 때 휘어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상기 측벽의 상부에 배치되는 정착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의 두께와 동일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의 두께는 0.1㎜~5㎜인 정착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상기 부시의 하부에 형성되며 0.1㎜ 이상인 정착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는 불소계 수지로 형성되거나, 내열성 수지에 불소계 수지를 코팅한 시트로 형성된 정착 장치.
  20.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착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0041711A 2017-03-31 2017-03-31 정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217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711A KR102217665B1 (ko) 2017-03-31 2017-03-31 정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US15/646,534 US10120310B2 (en) 2017-03-31 2017-07-11 Fu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18776434.5A EP3602199A4 (en) 2017-03-31 2018-03-30 FUS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IT IN CROSS-REFERENCE WITH RELATED APPLICATIONS
CN201880010624.8A CN110291466B (zh) 2017-03-31 2018-03-30 定影设备和包括该定影设备的图像形成设备
PCT/KR2018/003765 WO2018182352A1 (en) 2017-03-31 2018-03-30 Fu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US16/138,467 US10551775B2 (en) 2017-03-31 2018-09-21 Fu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6/709,274 US10831135B2 (en) 2017-03-31 2019-12-10 Fu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7/033,148 US11137701B2 (en) 2017-03-31 2020-09-25 Fu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711A KR102217665B1 (ko) 2017-03-31 2017-03-31 정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168A KR20180111168A (ko) 2018-10-11
KR102217665B1 true KR102217665B1 (ko) 2021-02-19

Family

ID=6366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711A KR102217665B1 (ko) 2017-03-31 2017-03-31 정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120310B2 (ko)
EP (1) EP3602199A4 (ko)
KR (1) KR102217665B1 (ko)
CN (1) CN110291466B (ko)
WO (1) WO2018182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665B1 (ko) 2017-03-31 2021-02-1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정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US10996599B2 (en) * 2019-09-19 2021-05-04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with a movable belt regulating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281142B2 (en) * 2019-12-27 2022-03-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with supported side guide
JP2021189305A (ja) 2020-05-29 2021-12-13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ベルト損傷を低減する定着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4100A (ja) * 1999-07-21 2001-02-09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画像形成装置
JP2016110020A (ja) * 2014-12-10 2016-06-20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60327893A1 (en) * 2014-01-06 2016-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lt type fix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6918A (ja) * 2003-11-26 2005-06-16 Canon Inc 定着装置
KR20070009921A (ko) * 2005-07-16 200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9237190A (ja) 2008-03-27 2009-10-15 Seiko Epson Corp ベルト定着装置の制御方法とベルト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25860B2 (ja) * 2010-12-14 2014-11-19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37629B2 (ja) 2011-12-26 2015-06-17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28783B2 (ja) * 2012-01-11 2016-06-01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761524B2 (ja) * 2012-01-13 2015-08-12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51741B2 (ja) * 2012-01-31 2016-12-27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03679B2 (ja) * 2012-02-09 2017-03-29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50326B2 (ja) * 2012-02-09 2016-02-03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016071B2 (ja) * 2012-05-18 2016-10-26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28433B2 (ja) * 2013-06-20 2015-12-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62204B2 (ja) 2013-08-19 2019-01-30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229422B2 (ja) 2013-10-10 2017-11-15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161851A (ja) 2014-02-28 2015-09-07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03668B2 (ja) * 2014-03-18 2018-04-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ロール状回転体、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99679B2 (ja) * 2015-06-12 2018-03-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7015808A (ja) 2015-06-29 2017-01-19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217665B1 (ko) * 2017-03-31 2021-02-1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정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4100A (ja) * 1999-07-21 2001-02-09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画像形成装置
US20160327893A1 (en) * 2014-01-06 2016-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lt type fix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JP2016110020A (ja) * 2014-12-10 2016-06-20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25737A1 (en) 2019-01-24
US20200117123A1 (en) 2020-04-16
US11137701B2 (en) 2021-10-05
US10551775B2 (en) 2020-02-04
EP3602199A1 (en) 2020-02-05
KR20180111168A (ko) 2018-10-11
CN110291466B (zh) 2022-03-08
CN110291466A (zh) 2019-09-27
US10120310B2 (en) 2018-11-06
US20180284668A1 (en) 2018-10-04
WO2018182352A1 (en) 2018-10-04
US20210011398A1 (en) 2021-01-14
EP3602199A4 (en) 2020-12-16
US10831135B2 (en)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665B1 (ko) 정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US9342044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fixing device
US20090041515A1 (en) Fus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890041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210406B1 (ko) 다수의 발열체 쌍을 가지는 정착기용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정착기
US20120027478A1 (en) Endless belt assembly,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same
JP2017151286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84462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625515B2 (en) Fuser including endless belt and pressure roller having porous layer impregnated with lubricating agent
US10527987B1 (en) Fixing belt,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112738B2 (en) Fix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486059B2 (ja) ローラ、定着装置
US9696669B2 (en) Fus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50107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252515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6148816A (ja) 回転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47961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05015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7151407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50298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106045A (ja) 定着装置
US9134659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156874A (ja) ベルト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23287459A1 (en) Reducing friction between fusing belt and pressing member
JP2019117295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