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131B1 -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 Google Patents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131B1
KR102215131B1 KR1020200085886A KR20200085886A KR102215131B1 KR 102215131 B1 KR102215131 B1 KR 102215131B1 KR 1020200085886 A KR1020200085886 A KR 1020200085886A KR 20200085886 A KR20200085886 A KR 20200085886A KR 102215131 B1 KR102215131 B1 KR 102215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supply pipe
control val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85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8Combined units with different devices; Arrangement of different devic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Leakage reduction or detection in water storage or distribution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관에 손상이 발생될 경우, 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은 관리자가 입력수단(33c)을 조작하여 누수검사명령을 입력하면, 제어수단(33)이 자동으로 물감지센서(45)와 압력센서(47)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내지 제3 제어밸브(42,43,44)와 가압수단(46)의 작동을 제어하여, 급수관(31)에 누수가 발생되는 지를 검사함으로, 급수관(31)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확인하여 관리자가 급수관(31)을 유지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fire hydrant}
본 발명은 급수관에 손상이 발생될 경우, 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용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내부에는 옥내 소화전이 구비되어, 화재가 발생될 시 옥내 소화전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소화전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 내부의 벽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수납된 소방호스(20)와, 상기 소방호스(20)에 연결되어 소방호스(20)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닛(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전면에 도어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열고 소방호스를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방호스(20)는 플랙시블한 튜브재질로 구성되며 전단부에는 금속재질로 구성된 분사노즐(21)이 구비된다.
상기 급수유닛(30)은 저수조(31a)와 상기 소방호스(20)를 연결하는 급수관(31)과, 상기 급수관(31)에 연결된 급수펌프(32)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펌프(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33)으로 구성된다.
상기 급수관(31)은 복수개의 금속관을 상호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수펌프(32)는 상기 급수관(31)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구동시 상기 저수조(31a)에 저장된 물을 가압하여 상기 소방호스(20)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급수펌프(32)와 저수조(31a)는 건축물의 지하에 마련된 기계실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3)에는 상기 급수펌프(32)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스위치(33a)가 연결된다.
상기 조작스위치(33a)는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화전은 사용자가 상기 소방호스(20)의 분사노즐(21)을 잡고 상기 분사노즐(21)이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스위치(33a)를 조작하면, 상기 급수펌프(32)가 구동되면서 상기 급수관(31)을 통해 소방호스(20)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며, 이에 따라, 상기 소방호스(20)에 구비된 분사노즐(21)을 통해 고압의 물이 분사되어, 불을 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소화전은 상기 급수관(31)이 여러개의 금속배관을 상호 연결하여 구성되는데, 시간이 경과되면 각 부분의 연결이 느슨해지거나 손상되어, 화재발생시 상기 급수펌프(32)를 이용하여 고압의 물을 공급할 때, 급수관(31)에 누수가 발생되거나, 급수관(31)이 터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급수관(31)의 각 부분의 연결이 느슨해지거나 손상될 경우, 이를 신속하게 확인하여 유지보수하여야 함으로, 지금까지의 소화전에는 급수관(31)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205943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급수관에 손상이 발생될 경우, 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의 벽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수납된 소방호스(20)와, 상기 소방호스(20)에 연결되어 소방호스(20)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닛(30)은 저수조(31a)와 소방호스(20)를 연결하는 급수관(31)과, 상기 급수관(31)에 연결되며 저수조(31a)에 저장된 물을 가압하여 상기 소방호스(20)로 공급하는 급수펌프(32)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펌프(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33)을 포함하는 옥내 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31)의 전단부와 상기 저수조(31a)를 연결하는 순환관(41)과, 상기 순환관(41)이 연결된 위치에 비해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급수관(31)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3)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1 제어밸브(42)와, 상기 급수관(31)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수단(33)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2 제어밸브(43)와, 상기 순환관(41)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33)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3 급수밸브(44)와, 상기 순환관(41)에 구비되어 순환관(41)으로 물이 통과하면 이를 감지하는 물감지센서(45)와, 상기 급수관(31)에 연결되어 급수관(31) 내부의 압력을 높이는 가압수단(46)과, 상기 급수관(3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47)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46)은 급기관(46a)을 통해 상기 급수관(31)과 병렬로 연결되어 급수관(3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46b)를 이용하며, 상기 제어수단(33)에는 관리자가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33c)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제어밸브(43)는 개방되고 상기 제3 제어밸브(44)는 밀폐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상기 입력수단(33c)을 조작하여 누수검사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제1 제어밸브(42)를 밀폐하고 제3 제어밸브(44)를 개방하고, 상기 급수펌프(32)를 구동시켜 급수관(3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물감지센서(45)의 신호를 수신하여 물이 상기 순환관(41)을 통과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수펌프(32)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제어밸브(43)와 제3 제어밸브(44)를 밀폐하고, 상기 가압수단(46)을 작동시켜 급수관(31)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킨 후, 상기 압력센서(47)의 신호를 수신하여 급수관(31)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시함으로써, 급수관(31)의 누수를 검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31)의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관(31)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48)와, 상기 저수조(31a)에 저장되어 저수조(31a)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4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온도센서(48)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1)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히터(49)를 on시켜 저수조(31a)에 저장된 물을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제어밸브(42)를 밀폐하고, 상기 제3 제어밸브(44)를 개방한 후, 상기 급수펌프(32)를 구동시켜 저수조(31a) 내부의 물이 이 상기 급수관(31)과 순환관(41)을 통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은 관리자가 입력수단(33c)을 조작하여 누수검사명령을 입력하면, 제어수단(33)이 자동으로 물감지센서(45)와 압력센서(47)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내지 제3 제어밸브(42,43,44)와 가압수단(46)의 작동을 제어하여, 급수관(31)에 누수가 발생되는 지를 검사함으로, 급수관(31)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확인하여 관리자가 급수관(31)을 유지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옥내 소화전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옥내 소화전의 회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소화전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소화전의 물감지센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소화전의 회로구성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소화전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을 도시한 것으로, 건축물 내부의 벽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수납된 소방호스(20)와, 상기 소방호스(20)에 연결되어 소방호스(20)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닛(3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급수유닛(30)은 저수조(31a)와 소방호스(20)를 연결하는 급수관(31)과, 상기 급수관(31)에 연결되며 저수조(31a)에 저장된 물을 가압하여 상기 소방호스(20)로 공급하는 급수펌프(32)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펌프(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3)에는 상기 급수펌프(32)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스위치(33a)가 연결된다.
상기 조작스위치(33a)는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31)의 전단부와 상기 저수조(31a)를 연결하는 순환관(41)과, 상기 순환관(41)이 연결된 위치에 비해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급수관(31)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3)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1 제어밸브(42)와, 상기 급수관(31)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수단(33)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2 제어밸브(43)와, 상기 순환관(41)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33)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3 급수밸브(44)와, 상기 순환관(41)에 구비되어 순환관(41)으로 물이 통과하면 이를 감지하는 물감지센서(45)와, 상기 급수관(31)에 연결되어 급수관(31) 내부의 압력을 높이는 가압수단(46)과, 상기 급수관(3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47)와, 상기 급수관(31)의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관(31)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48)와, 상기 저수조(31a)에 저장되어 저수조(31a)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49)가 더 구비된다.
상기 순환관(41)은 상기 급수관(31)에 비해 지름이 작은 관을 이용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밸브(42,43,44)는 상기 제어수단(33)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제1 제어밸브(42)는 상기 급수관(31)의 전단부, 즉, 상기 소방호스(20)가 연결되는 부위에 최대한 근접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41)은, 전단부는 상기 급수관(31)에서 상기 제1 제어밸브(42)가 설치된 위치의 후방에 최대한 근접되는 위치에서 연결되고, 순환관(41)의 후단부는 상기 저수조(31a)의 상면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제어밸브(43)는 상기 급수밸브(32)와, 상기 저수조(3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급수관(31)에 연결된다.
상기 물감지센서(4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순환관(41)의 내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극(45a)이 구비되어, 일측의 전극(45a)에 미세전류를 인가하여, 타측의 전극(45a)으로 전기가 검출되는 지를 확인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순환관(41)의 내부로 물이 흐를 경우, 일측의 전극(45a)으로 인가된 전류가 물을 통해 타측의 전극(45a)으로 전달되어 검출됨으로, 타측의 전극(45a)에 전기가 감출되는 지를 감시함으로써, 순환관(41)의 내부에 물이 통과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46)은 급기관(46a)을 통해 상기 급수관(31)과 병렬로 연결되어 급수관(3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46b)를 이용한다.
상기 압력센서(47)와 온도센서(48)는 상기 급수관(31)의 전단부에 근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3)에는 관리자가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33c)이 구비되어, 관리자가 상기 입력수단(33c)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33)에는 경보수단(33b)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옥내 소화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평상시에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제1 및 제2 제어밸브(43)는 개방되고 상기 제3 제어밸브(44)는 밀폐되도록 하며, 화재가 발생되어 거주자가 상기 조작스위치(33a)를 조작하면 바로 상기 급수펌프(32)를 구동시켜 급수관(31)을 통해 소방호스(20)로 물을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관리자가 상기 입력수단(33c)을 조작하여 누수검사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제1 제어밸브(42)를 밀폐하고 제3 제어밸브(44)를 개방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펌프(32)를 구동시켜 급수관(3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급수관(31)의 내부에 물이 충진되고 남은 물은 상기 순환관(41)을 통해 저수조(31a)로 순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물감지센서(45)의 신호를 수신하여 물이 상기 순환관(41)을 통과하는 지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물감지센서(45)에 물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급수펌프(32)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제어밸브(43)와 제3 제어밸브(44)를 밀폐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46)을 작동시켜 급수관(31)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킨 후, 상기 압력센서(47)의 신호를 수신하여 급수관(31)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시한다.
즉, 상기 순환관(41)으로 물이 통과한다는 것은 상기 급수관(31)의 내부에 물이 완전히 충진된 것을 의미하며,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밸브(42,43,44)를 밀폐하면, 급수관(31)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46)을 이용하여 급수관(31)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면, 급수관(31)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압력이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압력센서(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1) 내부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상승되면, 상기 가압수단(46)을 정지시키고, 상기 압력센서(47)의 신호를 수신하여 급수관(31)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시한다.
이때, 상기 급수관(31)에 누수가 발생될 경우, 상기 압력센서(47)에 수신되는 급수관(31) 내부의 압력이 조금씩 저하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경보수단(33b)을 작동시켜 관리자에게 급수관(31)에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알린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33)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압력센서(47)의 신호를 수신하여, 급수관(31) 내부의 압력에 변화가 없을 경우, 급수관(31)에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수단(33)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제어밸브(44)를 개방하여 급수관(31) 내부의 물이 상기 순환관(41)을 통해 저수조(31a)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급수관(31)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고, 급수관(31) 내부의 압력이 일정수준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제3 제어밸브(44)를 밀폐하고, 제1 및 제2 제어밸브(43)를 개방함으로써, 누수검사를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온도센서(48)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1)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히터(49)를 on시켜 저수조(31a)에 저장된 물을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제어밸브(42)를 밀폐하고, 상기 제3 제어밸브(44)를 개방한 후, 상기 급수펌프(32)를 구동시켜 저수조(31a) 내부의 물이 이 상기 급수관(31)과 순환관(41)을 통해 상기 저수조(31a)로 순환되도록 한다.
즉, 상기 급수관(31)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어 있음으로, 겨울철에 기온이 저하될 경우, 상기 물이 얼어서 급수관(31)이 동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수단(33)은 저수조(31a)의 물을 0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가열된 저수조(31a)의 물을 상기 급수관(31)과 순환관(41)으로 순환시킴으로써, 급수관(31) 내부의 물이 얼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은 관리자가 입력수단(33c)을 조작하여 누수검사명령을 입력하면, 제어수단(33)이 자동으로 물감지센서(45)와 압력센서(47)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내지 제3 제어밸브(42,43,44)와 가압수단(46)의 작동을 제어하여, 급수관(31)에 누수가 발생되는 지를 검사함으로, 급수관(31)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확인하여 관리자가 급수관(31)을 유지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겨울철에 급수관(31)이 동파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저수조(31a)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급수관(31)과 순환관(41)으로 순환시킴으로써, 급수관(31)의 내부에 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급수관(31)이 동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케이스 20. 소방호스
30. 급수유닛 41. 순환관
42,43,44. 제1 내지 제3 제어밸브 45. 물감지센서
46. 가압수단 47. 압력센서
48. 온도센서 49. 히터

Claims (2)

  1. 건축물 내부의 벽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수납된 소방호스(20)와,
    상기 소방호스(20)에 연결되어 소방호스(20)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닛(30)은
    저수조(31a)와 소방호스(20)를 연결하는 급수관(31)과,
    상기 급수관(31)에 연결되며 저수조(31a)에 저장된 물을 가압하여 상기 소방호스(20)로 공급하는 급수펌프(32)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펌프(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33)을 포함하는 옥내 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31)의 전단부와 상기 저수조(31a)를 연결하는 순환관(41)과,
    상기 순환관(41)이 연결된 위치에 비해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급수관(31)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3)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1 제어밸브(42)와,
    상기 급수관(31)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수단(33)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2 제어밸브(43)와,
    상기 순환관(41)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33)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3 제어밸브(44)와,
    상기 순환관(41)에 구비되어 순환관(41)으로 물이 통과하면 이를 감지하는 물감지센서(45)와,
    상기 급수관(31)에 연결되어 급수관(31) 내부의 압력을 높이는 가압수단(46)과,
    상기 급수관(3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47)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46)은 급기관(46a)을 통해 상기 급수관(31)과 병렬로 연결되어 급수관(3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46b)를 이용하며,
    상기 제어수단(33)에는 관리자가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33c)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제어밸브(43)는 개방되고 상기 제3 제어밸브(44)는 밀폐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상기 입력수단(33c)을 조작하여 누수검사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제1 제어밸브(42)를 밀폐하고 제3 제어밸브(44)를 개방하고, 상기 급수펌프(32)를 구동시켜 급수관(3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물감지센서(45)의 신호를 수신하여 물이 상기 순환관(41)을 통과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수펌프(32)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제어밸브(43)와 제3 제어밸브(44)를 밀폐하고, 상기 가압수단(46)을 작동시켜 급수관(31)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킨 후, 상기 압력센서(47)의 신호를 수신하여 급수관(31)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시함으로써, 급수관(31)의 누수를 검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31)의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관(31)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48)와,
    상기 저수조(31a)에 저장되어 저수조(31a)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4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온도센서(48)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1)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히터(49)를 on시켜 저수조(31a)에 저장된 물을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제어밸브(42)를 밀폐하고, 상기 제3 제어밸브(44)를 개방한 후, 상기 급수펌프(32)를 구동시켜 저수조(31a) 내부의 물이 이 상기 급수관(31)과 순환관(41)을 통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KR1020200085886A 2020-07-13 2020-07-13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KR102215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886A KR102215131B1 (ko) 2020-07-13 2020-07-13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886A KR102215131B1 (ko) 2020-07-13 2020-07-13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131B1 true KR102215131B1 (ko) 2021-02-10

Family

ID=7456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886A KR102215131B1 (ko) 2020-07-13 2020-07-13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1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3932A (ko) * 2011-11-16 2013-05-24 (주) 알디텍 머리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1707109B1 (ko) * 2016-05-23 2017-02-16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KR101887673B1 (ko) * 2017-10-24 2018-08-10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옥내 소화전
KR102059439B1 (ko) 2018-03-10 2019-12-26 임성호 소화교육용 옥내 소화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3932A (ko) * 2011-11-16 2013-05-24 (주) 알디텍 머리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1707109B1 (ko) * 2016-05-23 2017-02-16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KR101887673B1 (ko) * 2017-10-24 2018-08-10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옥내 소화전
KR102059439B1 (ko) 2018-03-10 2019-12-26 임성호 소화교육용 옥내 소화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130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옥내 소화전
KR102215131B1 (ko)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KR101887673B1 (ko) 옥내 소화전
JP2011010963A (ja) 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US2016001757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water-based equipment
KR102579317B1 (ko) 가압수 신뢰성을 높인 옥내소화전 장치
JP2000312727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JP2517683B2 (ja) 住宅用スプリンクラ―装置
JP2517684B2 (ja) 住宅用スプリンクラ―装置
US20100326676A1 (en) Automatic drum drip
JP3217867B2 (ja) 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の試験装置
KR101133874B1 (ko) 간이스프링클러 수도직결형 장치
JP2517682B2 (ja) 住宅用スプリンクラ―装置
JP3096148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装置
JPH0698202B2 (ja) 自動点検機能を有する消火装置
JPH02177972A (ja) 自動消火装置
JP4481412B2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KR102313986B1 (ko) 건식 송수관의 동파 방지장치
JPH0316693Y2 (ko)
JP4263392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3255793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20030061213A (ko) 소화와 생활용수 통합 자동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697506B1 (en) A method of operating a fire protection water distribution system
JPH0698201B2 (ja) 消火設備自動点検システムの試験用弁制御装置
JP2001231878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