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932A - 머리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머리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932A
KR20130053932A KR1020110119648A KR20110119648A KR20130053932A KR 20130053932 A KR20130053932 A KR 20130053932A KR 1020110119648 A KR1020110119648 A KR 1020110119648A KR 20110119648 A KR20110119648 A KR 20110119648A KR 20130053932 A KR20130053932 A KR 20130053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unit
temperature
stat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0655B1 (ko
Inventor
최승환
Original Assignee
(주) 알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알디텍 filed Critical (주) 알디텍
Priority to KR1020110119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6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45D19/08Adaptations of wash-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4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 E03B7/045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diverting initially cold water in warm water supply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머리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머리세척장치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머리세척장치의 제어방법은 상온의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소정의 온도가 유지되는 온수 상태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항시 균일 온도로 유지되도록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기; 손님이 등을 대고 누울 수 있도록 구비된 시트와, 상기 순환기와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상기 손님의 머리에 대한 세척을 위해 구비된 분사노즐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세척기;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유량과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통해 현재 저장부에 저장된 유량과 온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될 물의 온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가열기의 가열 온도와 순환기의 순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머리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hair cleaning apparatus and h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머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시 균일한 온도로 온수를 공급하여 사용자의 머리를 세척할 수 있는 머리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머리세척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용실의 경쟁이 심해지면서 규모 및 시설의 대형화 및 고급화됨과 동시에 시장에서 요구되는 조건도 점점 다기능화 및 첨단화된 상태로 전환되고 있다. 일 예로 미용실에서는 컷트 또는 퍼머를 실시한 후에 머리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머리세척장치는 통상적으로 손님이 시트에 누운 상태에서 머리세척이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는 높낮이가 자유롭게 승, 하강 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머리세척장치는 손님의 머리가 안착되는 샴푸대를 포함하고, 온수를 제공하는 순간 온수기를 통해 온수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머리세척장치는 두발세척의자와 샴푸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 실용 제0382546호(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의자)로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머리세척장치와 순간 온수기를 각각 개별로 준비한 상태에서 상기 순간 온수기에 상온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연결한 후에 머리세척장치에 구비된 샤워호스와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머리세척장치는 순간 온수기를 통해 상온의 물을 순간적으로 가열시켜 온수 상태로 전환한 후에 손님의 머리에 바로 공급하여 세척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머리세척장치는 손님의 머리를 세척하기 위해서 순간 온수기를 작동시킨 후에 곧바로 머리에 공급할 경우에 상대적으로 저온의 온도가 유지되는 상온의 물이 일정 시간 동안 공급되다가 순간 온수기에 가열된 고온의 온수가 갑자기 손님의 머리에 공급되면서 상대적으로 뜨거운 온수에 의해 손님이 깜짝 놀라거나 고온의 온수에 의한 화상의 위험성이 유발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 미용실에서는 순간 온수기를 작동시킨 후에 곧바로 손님의 머리에 공급하지 않고 적정 온도의 온수가 분사될 때까지 그대로 배수시킨 후에 상기 손님의 머리에 공급하여 세척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종래의 머리세척장치는 손님의 머리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불균일하게 유지되면서 초기에 온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그대로 물이 버려지게 되어 불필요한 물의 낭비가 유발되었고, 손님이 갑자기 몰릴 경우에 신속하게 머리 세척을 실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유발되었으며, 불안정하게 온도가 조절된 온수를 손님의 머리에 공급할 경우에 온수 온도가 불균일한 상태로 공급되면서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항시 일정한 물이 공급될 수 있는 머리세척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머리세척장치를 통해 항시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온수를 손님의 머리에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동페달의 서로 다른 답력에 비례하여 온수가 분사될 수 있는 머리세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온의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소정의 온도가 유지되는 온수 상태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항시 균일 온도로 유지되도록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기; 손님이 등을 대고 누울 수 있도록 구비된 시트와, 상기 순환기와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상기 손님의 머리에 대한 세척을 위해 구비된 분사노즐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세척기;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유량과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통해 현재 저장부에 저장된 유량과 온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될 물의 온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가열기의 가열 온도와 순환기의 순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레벨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 센서는 제어부에 실시간으로 저장부의 수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기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순환기로 공급되도록 상기 저장부와 순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순환관과, 상기 제1 순환관의 단부와 저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순환관이 구비된 순환관; 상기 제1 순환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2 순환관으로 물이 이동되도록 소정의 압력으로 물을 가압하기 위해 구비된 인버터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저장부와 근접 설치되고 상기 제2 순환관을 경유하여 저장부로 이동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물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세척장치는 상기 연결관과 결합된 곳에 설치된 3웨이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3웨이 밸브와 세척기 사이를 연결하는 메인 연결관과, 상기 메인 연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순환관을 향해 연장된 분기관을 포함한다.
상기 머리세척장치는 상기 메인 연결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기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세척장치는 상기 저장부와 연결된 급수관에 구비된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순환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는 물의 공급 상태를 단속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세척기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상태를 단속하는 제3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기는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발을 통해 가해지는 답력에 따라 서로 다른 출력값이 출력되는 가변저항에 의해 선형 상태로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 페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머리세척장치의 제어방법은 손님의 머리를 세척하는 세척기의 현재 상태와, 상기 세척기에 공급될 온수가 저장되는 저장부의 저장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 단계; 상기 세척기에 공급되는 온수가 항시 일정한 온도로 공급되도록 온수를 순환시키는 순환 모드 제어 단계; 및 상기 세척기에 구비된 작동 폐달을 통해 입력되는 가변 신호에 비례하여 상기 세척기에 공급되는 온수 상태를 제어하는 공급 모드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판단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와, 현재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판단하고 기 설정된 저장부의 설정수위와 설정온도와 비교하는 비교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 모드 제어 단계는 현재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와 온도가 기 설정된 저장부의 설정수위와 설정온도보다 낮을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서 세척기로의 물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의 수위와 온도가 상승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기 설정된 설정 수위와 설정온도로 변경되는 동안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순환관을 통해 순환시키는 제2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제어 단계는 상기 세척기가 오프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세척기로 공급되지 않도록 저속으로 물을 순환시키는 저속 순환 모드 단계; 상기 세척기가 온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세척기로 공급되도록 고속으로 물을 순환시키는 고속 순환 모드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사되는 온수의 온도가 항시 일정적으로 유지되고, 다수개의 머리세척장치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온도 저하 및 유량 감소 없이 일정한 온도 및 유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고급화된 머리세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용산업에서 사용되는 미용장비 및 기술의 고급화를 통해 향후 해당 미용장비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머리세척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머리세척장치에 구비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계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머리세척장치에 구비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계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머리세척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머리세척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머리세척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세척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머리세척장치(1)는 상온의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100)와, 상기 저장부(100)에 구비된 가열기(200)와,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이 항시 균일 온도로 유지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기(300)와, 손님의 머리에 대한 세척을 위해 분사노즐(420)이 구비된 세척기(400)와, 상기 가열기(200)의 가열 온도와 순환기(300)의 순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저장부(100)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물탱크로서, 상온의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 크기의 저장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상온의 물을 온수로 유지시키기 위해 가열기(200)가 설치된다. 가열기(200)는 통상의 유체를 소정의 온도로 히팅하기 위한 히터가 사용되며 상기 저장부(100)의 외측에서 내부를 향해 가로로 설치된다.
저장부(100)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레벨 센서(110)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 센서(110)는 실시간으로 저장부(100)의 수위 정보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레벨 센서(110)는 저장부(100)의 내부 수위에 대해 저수위, 중수위 및 고수위의 3단계로 세분화된 수위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머리세척장치(1)는 저장부(10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a)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2a)는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의 온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어부(500)에 제공한다.
순환기(300)는 저장부(100)에 저장된 온수를 지속적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순환관(310)과 인버터 모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순환관(310)은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순환기(300)로 공급되도록 상기 저장부(100)와 순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순환관(312)과, 상기 제1 순환관(312)의 단부와 저장부(100)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순환관(314)을 포함한다.
인버터 모터(320)는 제1 순환관(312)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2 순환관(314)으로 물이 이동되도록 소정의 압력으로 물을 가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인버터 모터(320)는 통상의 순환펌프와 같이 상시 작동되지 않고 제어부(500)에 의해 일정범위의 압력으로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을 순환관(310)을 통해 순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순환관(310)은 세척기(400)의 설치 대수에 따라 안정적인 온수 공급을 위해 직경이 변경될 수 있으며, 특별히 특정 직경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순환관(310)은 세척기(400)의 사용 유무에 따라 온수가 항시 순환될 수 있는 배관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머리세척장치(1)는 저장부(100)에 근접된 위치에 설치된 온도센서(2b)와, 압력센서(3)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2b)와 압력센서(3)는 저장부(100)로 순환되는 저장수의 온도와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500)에 전송한다. 상기 온도센서(2b)와, 압력센서(3)가 저장부(100)에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이유는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되기 바로 전 위치의 온도와 압력을 감지하여 세척기(400)에 공급될 온수의 온도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기에 대해 설명한다.
세척기(400)는 손님이 등을 대고 누울 수 있도록 구비된 시트(402)와, 순환기(300)와 연결된 연결관(410)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상기 손님의 머리에 대한 세척을 위해 구비된 분사노즐(420)을 포함한다.
시트(402)는 손님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베이스 시트(Base seat)(미도시)와, 등이 안착되는 백시트(Back seat)(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좌우 양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연결관(410)은 전술한 제2 순환관(314)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420)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제2 순환관(314)과 연결관(410)이 결합된 곳에는 상기 제2 순환관(314)을 통해 유입된 온수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3웨이 밸브(4)가 설치되고, 상기 3웨이 밸브(4)는 후술할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환 작동된다.
연결관(410)은 상기 3웨이 밸브(4)와 세척기(400) 사이를 연결하는 메인 연결관(412)과, 상기 메인 연결관(412)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순환관(314)을 향해 연장된 분기관(414)을 포함한다.
분기관(414)은 분사노즐(420)를 통해 분사되는 온수량이 많을 경우에 메인 연결관(412)과 분기관(414)을 통해 다량의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머리세척장치(1)는 상기 메인 연결관(412)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기(400)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5)를 포함한다. 조절밸브(5)는 비례 제어 밸브가 사용되며 제어부(500)에 의해 개도량이 선택적으로 조절된다.
세척기(400)는 분사 노즐(42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발을 통해 가해지는 답력에 따라 서로 다른 출력값이 출력되는 가변저항을 통해 선형 상태로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 페달(430)을 포함한다. 작동 페달(430)은 답력 상태에 따른 서로 다른 저항 신호를 제어부(500)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이를 입력받아 분사 노즐(420)로 공급되는 유량을 제어한다.
머리세척장치(1)는 저장부(100)와 연결된 급수관(10)에 구비된 제1 솔레노이드 밸브(6)와, 순환관(310)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100)로 유입되는 물의 공급 상태를 단속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7)와, 세척기(400)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상태를 단속하는 제3 솔레노이드 밸브(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솔레노이드 밸브(6,7,8)는 제어부(500)에 의해 작동상태가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1 솔레노이드 밸브(6)는 제어부(500)에 의해 온, 오프 제어되며 저장부(100)에 저장된 온수의 수위량과 연동하여 작동 상태가 제어된다.
제2 솔레노이드 밸브(7)는 저장부(100)와 인버터 모터(320)사이를 항시 순환하는 온수의 이동량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저장부(100)에 저장된 유량과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통해 현재 저장부(100)에 저장된 유량과 온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분사노즐(420)을 통해 분사될 물의 온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가열기(200)의 가열 온도와 순환기(300)의 순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500)는 온도센서(2a,2b)와, 압력센서(3)와, 레벨센서(110)와, 작동페달(43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솔레노이드 밸브(6,7,8)와, 인버터 모터(320)와, 3웨이 밸브(4)와, 조절밸브(5)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각각 연결 설치된다.
제어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실선으로 도시한 부분은 전술한 온도센서(2a,2b)와, 압력센서(3)와, 레벨센서(110)와, 작동페달(43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 물의 흐름과 유량에 따라 해당 구성으로부터 제어부(500)로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500)는 상기 레벨 센서(110)를 통해 저장부(100)의 수위가 저수위로 감지될 경우에는 가열기(200) 및 순환기(300)의 작동 전환을 위한 수위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레벨 센서(110)를 통해 저장부(100)의 수위가 고수위로 감지될 경우에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6)의 작동을 전환하기 위한 수위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머리세척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손님의 머리를 세척하는 세척기의 현재 상태와, 상기 세척기에 공급될 온수가 저장되는 저장부의 저장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 단계(ST100)와; 상기 세척기에 공급되는 온수가 항시 일정한 온도로 공급되도록 온수를 순환시키는 순환 모드 제어 단계(ST200); 및 상기 세척기에 구비된 작동 폐달을 통해 입력되는 가변 신호에 비례하여 상기 세척기에 공급되는 온수 상태를 제어하는 공급 모드 제어 단계(ST300)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판단 단계(ST100)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와, 현재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판단하고 기 설정된 저장부의 설정수위와 설정온도와 비교하는 비교 판단 단계를 포함(ST110)한다.
상기 순환 모드 제어 단계(ST200)는 현재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와 온도가 기 설정된 저장부의 설정수위와 설정온도보다 낮을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서 세척기로의 물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의 수위와 온도가 상승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ST210)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기 설정된 설정 수위와 설정온도로 변경되는 동안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순환관을 통해 순환시키는 제2 제어 단계(ST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제어 단계(ST220)는 상기 세척기가 오프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세척기로 공급되지 않도록 저속으로 물을 순환시키는 저속 순환 모드 단계(ST222)와, 상기 세척기가 온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세척기로 공급되도록 고속으로 물을 순환시키는 고속 순환 모드 단계(ST22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머리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머리세정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머리세척장치(1)의 작동에 앞서 현재 세척기(400)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이와 동시에 저장부(100)에 저장된 온수의 저장 상태에 대해 레벨 센서(110)를 통해 현재 저장부(100)의 온수 저장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ST100).
또한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온수의 수위에 대해 레벨 센서(110)를 통해 입력받고, 저장부(100)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는 온도센서(2a)를 통해 입력받아 기 설정된 저장부(100)의 설정수위 및 설정온도와 비교 판단 한다(ST110).
예를 들어 현재 세척기(400)가 오프 상태이고, 레벨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저장부(100)의 수위가 저수위이며, 온수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비해 저온일 경우에는(ST103),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온수량이 감소되고 온수의 온도 또한 설정온도 보다 낮은 상태로 판단한다.
제어부(500)는 우선 저장부(100)의 수위를 중수위 이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 밸브(6)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의 개도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가 오픈 작동된 이후에는 급수관을 통해 저장부(100)에 물이 공급되고, 상기 급수관을 통해 중수위 이상의 수위에 해당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상온의 물이 공급된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레벨 센서(110)와 온도센서(2a)를 통해 입력되는 수위정보와 온도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레벨 센서(110)를 통해 입력되는 수위정보가 중수위 이상으로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가 클로즈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급수관을 통한 급수를 중지한다.
그리고 온도센서(2a)를 통해 입력된 현재 저장부(100)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정보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설정온도가 유지되도록 가열기(2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소정의 온도로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킨다.
제어부(500)는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온도센서(2a)를 통해 저장부(100)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설정온도를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기 설정된 설정온도가 만족할 때까지 인버터 모터(320)를 작동시켜 제1,2 순환관(312,314)을 통해 지속적으로 온수가 순환되도록 순환 모드로 제어 한다(ST200).
제어부(500)는 현재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의 수위와 온도가 기 설정된 저장부(100)의 설정수위와 설정온도보다 낮을 경우에 상기 저장부(100)에서 세척기(400)로의 물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100)의 수위와 온도가 상승하도록 제2 솔레노이드 밸브(7)는 오픈시키고, 제3 솔레노이드 밸브(8)는 오프 상태로 전환시켜서 세척기(400)로의 온수 공급을 차단한다(ST210). 그리고 제어부(500)는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이 기 설정된 설정 수위와 설정온도로 변경되는 동안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이 제1,2 순환관(312,314)을 통해 지속적으로 온수가 순환되도록 인버터 모터(320)에 작동 신호를 전송하여 저장부(100)에 저장된 온수를 순환시킨다(ST220).
제어부(500)는 상기 세척기(400)가 오프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이 세척기(400)로 공급되지 않도록 저속 순환 모드로 물이 순환되도록 인버터 모터(320)를 제어하고(ST222), 상기 세척기(400)가 온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이 세척기(400)로 공급되도록 고속 순환 모드로 제어하여(ST224)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킨다.
제어부(500)는 온도센서(2a)를 통해 감지된 온도정보를 입력받아 현재 저장부(100)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가 설정온도를 만족하고, 수위 또한 설정수위 이상일 경우에는 제1,2 순환관(312,314)을 통해 소정의 속도로 온수가 순환되도록 인버터 모터(32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여 상기 제1,2 순환관(312,314)을 통해 항시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온수가 순환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되는 머리세척장치(1)는 손님이 시트(402)에 누운 상태에서 미용사가 머리 세척을 위해 작동 페달(430)을 밝아 세척기가 작동될 경우(ST104)에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작동 페달(430)의 답력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미용사가 어느 정도의 답력으로 작동 페달(430)을 밝은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미용사가 손님의 머리를 단순히 헹구기 위해 작동 페달(430)을 전체 작동 범위의 25%만 밝을 경우에는(ST105) 상기 작동 페달(430)의 답력에 따른 출력값이 가변저항을 통해 제어부(500)로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500)는 작동 페달(430)의 답력 신호를 입력받아 머리세척장치(1)의 작동 상태를 공급 모드로 전환한다.
제어부(500)는 공급 모드의 경우에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7)는 클로즈 상태로 전환 시키고, 3웨이 밸브(4)를 오픈 상태로 전환 시킨다. 인버터 모터(320)는 저장부(100)에 저장된 온수가 세척기(400)에 구비된 분사노즐(420)을 통해 분사되도록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을 제1 순환관(312)을 통해 흡입하여 제2 순환관(31)으로 공급하고, 제3 솔레노이드 밸브(8)와 연결관(410)을 통해 분사노즐(420)로 분사된다. 이때 제어부(500)는 조절밸브(5)의 개도량을 작동 페달(430)에 가해지는 답력과 동일한 25%의 유량이 통과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작동 페달(430)의 답력과 동일한 상태로 조절밸브(5)의 개도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미용사가 서로 다른 답력으로 작동 페달(430)을 조작하는 경우에도 상기 작동 페달(430)에 가해지는 답력에 비례하여 조절밸브(5)의 개도량이 함께 제어되어 손님의 머리에 일정 온도가 유지되는 온수가 안정적으로 분사되어 세척이 이루어진다.
제어부(500)는 레벨 센서(110)를 통해 입력되는 저장부(100)의 수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세척기(400)로 공급되는 온수에 의해 저장부(100)의 수위가 하강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6)를 오픈 상태로 제어하여 저장부(100)에 대한 급수를 실시하고, 이와 동시에 가열기(200)를 작동시켜서 설정온도 및 설정수위가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머리세척장치(1)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관(410)에 다수개의 세척기가 연결되는 조건에서도 온수온도 저하 및 유량 변동 없이 항시 일정한 온도 및 유량으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저장부
110 : 레벨 센서
200 : 가열기
300 : 순환기
312 : 제1 순환관
314 : 제2 순환관
320 : 인버터 모터
400 : 세척기
430 : 작동페달
500 : 제어부

Claims (13)

  1. 상온의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소정의 온도가 유지되는 온수 상태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항시 균일 온도로 유지되도록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기;
    손님이 등을 대고 누울 수 있도록 구비된 시트와, 상기 순환기와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상기 손님의 머리에 대한 세척을 위해 구비된 분사노즐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세척기;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유량과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통해 현재 저장부에 저장된 유량과 온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될 물의 온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가열기의 가열 온도와 순환기의 순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머리세척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레벨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 센서는 제어부에 실시간으로 저장부의 수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세척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기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순환기로 공급되도록 상기 저장부와 순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순환관과, 상기 제1 순환관의 단부와 저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순환관이 구비된 순환관;
    상기 제1 순환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2 순환관으로 물이 이동되도록 소정의 압력으로 물을 가압하기 위해 구비된 인버터 모터를 포함하는 머리세척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저장부와 근접 설치되고 상기 제2 순환관을 경유하여 저장부로 이동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물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머리세척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세척장치는,
    상기 연결관과 결합된 곳에 설치된 3웨이 밸브를 포함하는 머리세척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3웨이 밸브와 세척기 사이를 연결하는 메인 연결관과, 상기 메인 연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순환관을 향해 연장된 분기관을 포함하는 머리세척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세척장치는,
    상기 메인 연결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기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머리세척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세척장치는,
    상기 저장부와 연결된 급수관에 구비된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순환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는 물의 공급 상태를 단속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세척기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상태를 단속하는 제3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머리세척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는,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발을 통해 가해지는 답력에 따라 서로 다른 출력값이 출력되는 가변저항에 의해 선형 상태로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 페달을 포함하는 머리세척장치.
  10. 손님의 머리를 세척하는 세척기의 현재 상태와, 상기 세척기에 공급될 온수가 저장되는 저장부의 저장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 단계;
    상기 세척기에 공급되는 온수가 항시 일정한 온도로 공급되도록 온수를 순환시키는 순환 모드 제어 단계; 및
    상기 세척기에 구비된 작동 폐달을 통해 입력되는 가변 신호에 비례하여 상기 세척기에 공급되는 온수 상태를 제어하는 공급 모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머리세척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와, 현재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판단하고 기 설정된 저장부의 설정수위와 설정온도와 비교하는 비교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머리세척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모드 제어 단계는,
    현재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와 온도가 기 설정된 저장부의 설정수위와 설정온도보다 낮을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서 세척기로의 물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의 수위와 온도가 상승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기 설정된 설정 수위와 설정온도로 변경되는 동안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순환관을 통해 순환시키는 제2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머리세척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단계는,
    상기 세척기가 오프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세척기로 공급되지 않도록 저속으로 물을 순환시키는 저속 순환 모드 단계;
    상기 세척기가 온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세척기로 공급되도록 고속으로 물을 순환시키는 고속 순환 모드 단계를 포함하는 머리세척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10119648A 2011-11-16 2011-11-16 머리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1290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648A KR101290655B1 (ko) 2011-11-16 2011-11-16 머리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648A KR101290655B1 (ko) 2011-11-16 2011-11-16 머리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932A true KR20130053932A (ko) 2013-05-24
KR101290655B1 KR101290655B1 (ko) 2013-07-31

Family

ID=4866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648A KR101290655B1 (ko) 2011-11-16 2011-11-16 머리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6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130B1 (ko) * 2020-07-13 2021-02-10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유지보수가 용이한 옥내 소화전
KR102215131B1 (ko) * 2020-07-13 2021-02-10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9860B2 (ja) * 2000-08-25 2003-11-25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洗髪機
JP3568465B2 (ja) 2000-08-25 2004-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洗髪機
KR200402782Y1 (ko) 2005-09-27 2005-12-05 이상홍 헤어세척대용 가압형 샤워장치
KR101090211B1 (ko) * 2008-12-19 2011-12-07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전기분해방식을 이용한 샴푸기기 및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130B1 (ko) * 2020-07-13 2021-02-10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유지보수가 용이한 옥내 소화전
KR102215131B1 (ko) * 2020-07-13 2021-02-10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655B1 (ko)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655B1 (ko) 머리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JP2011152256A (ja) 理美容用加圧蒸気発生装置
JP2003176953A (ja) 給湯装置
JP3969729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
JP2012241361A (ja) 温水洗浄装置
JP2018099424A (ja) 風呂装置
JPH0711363B2 (ja) 自動給湯風呂装置
JP2004263423A (ja) トイレ装置
JP6951993B2 (ja) 給湯装置
JP3894531B2 (ja) 自動湯張り装置
JP2023154546A (ja) 衛生洗浄装置
KR101765668B1 (ko) 탱크가 내장된 비데 및 탱크압력제어방법
KR20130087223A (ko) 머리세척기
JP2009287876A (ja) 給湯装置
JP6004715B2 (ja) ヒートポンプ熱源システム
JP5197483B2 (ja) 加熱水沸上げ装置
JPH01314843A (ja) 水位検知装置
JP3808691B2 (ja) 浴槽の湯はり方法
JP2021001715A (ja) ふろ給湯装置
JP3888158B2 (ja) 貯湯式給湯器および貯湯式給湯器の浴水保温装置
JPH02219944A (ja) 水位検知装置
JP2553418B2 (ja) 自動湯はり方法
JPH02225948A (ja) 給湯装置
JP2020186836A (ja) 風呂給湯装置
JP6450231B2 (ja) 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