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109B1 -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109B1
KR101707109B1 KR1020160062961A KR20160062961A KR101707109B1 KR 101707109 B1 KR101707109 B1 KR 101707109B1 KR 1020160062961 A KR1020160062961 A KR 1020160062961A KR 20160062961 A KR20160062961 A KR 20160062961A KR 101707109 B1 KR101707109 B1 KR 10170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re
drain
controll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Priority to KR1020160062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L53/00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건물 내의 각 요소에 소방용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겨울철에 소방배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Device for protecting fire pipe freeze of buildings}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건물 내의 각 요소에 소방용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겨울철에 소방배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외부의 곳곳에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소방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소화전이 설치되며, 물 탱크의 물이 소화전까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건물의 기둥이나 벽을 따라 설치된다.
특히, 고층건물의 경우에는 각 층에 설치된 소화전에 원활한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물 탱크는 건물의 옥상에 주로 설치된다.
그런데,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내부의 물이 결빙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한파가 심할 때에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동파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소방용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에 따라서 더 큰 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 들어서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 방지를 위해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전열선을 배선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배선된 전열선에 전기가 공급되면, 전열선이 발열이 되면서 소방용 물 공급파이프 내부의 온도를 높여 물의 결빙을 방지하게 된다.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선되는 전열선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의 피복으로 감싸진 것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선된 전열선의 피복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부식되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 2년 정도의 주기로 교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주기적인 전열선의 교체에 따라 인력 및 비용의 투입이 과다하게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98685호(2013.08.14.)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건물 내의 각 요소에 소방용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겨울철에 소방배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물탱크(110), 급수펌프와 연결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관되는 소방배관(100), 소방배관(100)의 상단과 물탱크(110)를 연결하는 탱크연결관(510), 건물의 각 층마다 구비된 다수의 소화전(120), 각 소화전(120)을 각각 소방배관(100)에 연결하는 연결관(130)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방배관(100)과 평행하게 그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순환유도관(5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순환유도관(500)의 상단은 상기 탱크연결관(510)에 수직하게 접속되고, 하단은 'ㄴ'형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소방배관(100)의 하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순환유도관(500)의 상단에는 상단체크밸브(520)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하단체크밸브(530)가 설치되어 상단에서는 순환유도관(500) 쪽으로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되게 동작하며, 하단에서는 소방배관(100) 쪽으로 배출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되게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탱크(110)의 유입구에는 전자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540)가 설치되며;
상기 순환유도관(500)의 하측 외부에는 전열선(C)이 일정길이 권취되고, 상기 전열선(C)으로부터 인출된 리드선(L)은 1층에 설치된 소화전(120) 내부에 구비된 컨트롤러(550)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550)에는 타이머(560)가 더 구비되며, 온도감지센서(570)도 함께 설치되어 컨트롤러(550)로 온도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40)도 상기 컨트롤러(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열선(C)을 타이머(560) 제어할 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40)는 잠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건물 내의 각 요소에 소방용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겨울철에 소방배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관고정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관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의 설치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요부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배관(100)은 건물의 기둥 또는 벽을 따라서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도면에서는 건물의 기둥 또는 벽 등은 생략한 상태이다.
그리고, 건물의 옥상 등에는 소방배관(1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저수되는 물탱크(110)가 설치되는 한편 건물의 각 층에는 소화전(120)이 설치된다.
또한, 소방배관(100)으로부터 각 소화전(120)까지는 연결관(130)이 배관 설치된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소방배관(100)의 양쪽 끝에는 각각 엔드캡(140)이 조립된다.
엔드캡(140)은 소방배관(100)에 나사 체결 방식을 통해서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소방배관(100)의 양쪽 끝에 설치되어 있는 엔드캡(140)과 엔드캡(140) 사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선(C)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관(200)이 배관 설치된다.
이 전열선(C)은 소방배관(100) 내부의 온도를 높여 물의 결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소방배관(100)이 동파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호관(200)은 소방배관(100) 내부에 배선되는 전열선(C)이 물에 닿지 않도록 하여 전열선(C)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보호관(200)은 전열선(C)에서 발열되는 열이 소방배관(100) 내부에 저수되는 물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바람직한 금속 재질은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관(2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피치 간격으로 주름이 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선(C)은 이중의 피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보호관(200)의 양쪽 끝이 소방배관(100)의 양쪽 끝에 설치된 엔드캡(1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양쪽의 엔드캡(140)에는 각각 보호관고정구(300)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관고정구(300)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고정구(300)는 소방배관(100)의 양쪽 끝에 조립된 엔드캡(140)에 대해서 나사 체결되는 제1조립체(310), 제1조립체(310)의 한쪽에 나사 체결되는 제2조립체(330) 및 제1조립체(310)에 수용된 보호관(200)의 끝 부분과 제2조립체(330) 사이의 기밀 유지를 위해 설치되는 패킹(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제1조립체(310)는 보호관(200)의 한쪽 끝이 내부에 끼워지도록 보호관조립구멍(312)이 관통 형성된 통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조립체(310)는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한쪽의 외부에는 엔드캡(140)에 조립되기 위한 수나사조립부(314)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 한쪽의 내부에는 보호관조립구멍(312)에 비해 내경이 큰 암나사조립부(316)가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립체(310)의 외부는 조립 작업시 공구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육각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제1조립체(310)에서 보호관조립구멍(312)과 암나사조립부(316) 사이에는 직경 차이로 인한 압착링시트(318)가 형성된다.
이 압착링시트(318)와 전술한 패킹(350) 사이의 공간에는 압착링(360)이 설치된다.
압착링(360)은 제1조립체(310)에 대한 제2조립체(330)이 조립시 직경이 축소될 수 있도록 일부 구간이 단절된 구조의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에서 보호관고정구(300)의 제2조립체(330)에는 전열선(C)이 통과될 수 있도록 전열선통과구멍(3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한쪽에는 제1조립체(310)에 조립되기 위한 수나사조립부(334)가 형성되며, 이 수나사조립부(334)가 형성된 구간의 안쪽 주연에는 전열선통과구멍(332)에 비해 큰 지름을 갖는 패킹조립부(336)가 형성된다.
전술한 패킹조립부(336)는 패킹(35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이루어지고, 그 안쪽에 패킹(350)의 한쪽 끝부분과 밀착되도록 지름이 축소된 부분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조립체(310)에 대한 제2조립체(330)의 조립시 패킹(350)은 제2조립체(330)에 밀리면서 패킹(350) 주변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기밀이 유지된다.
제2조립체(330)의 경우에도 제1조립체(310)와 마찬가지로 그 외형은 조립시 공구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육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호관고정구(300)의 패킹(3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에 전술한 패킹조립부(336)의 내경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환상돌부(35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패킹(350)의 안쪽 주연은 보호관(20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관(200)이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에, 패킹(350)의 안쪽 주연은 보호관(200)의 주름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킹(350)의 내부가 보호관(200)의 주름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기밀 성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제2조립체(330)와 전열선(C) 사이에 개재되어 전열선(C)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전열선 고정수단(400)이 설치된다.
이때, 전술한 전열선 고정수단(400)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의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보호관(200)은 소방배관(100)의 양쪽 끝에 조립된 엔드캡(140)의 외부로 일정 길이가 노출된 상태로 배관된다.
이후, 보호관(200)의 양쪽 끝이 제1조립체(310)의 보호관조립구멍(312)을 통과하도록 엔드캡(140)에 대해서 제1조립체(31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캡(140)에 조립된 상태의 제1조립체(310) 안쪽에 압착링(360)을 위치시키고, 보호관(200)의 끝에 패킹(360)이 강제로 끼워진다.
이때, 패킹(350)은 유연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주름진 형태의 보호관(200)의 끝에 강제로 끼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조립체(310)에 대해서 제2조립체(330)가 나사 결합이 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제2조립체(330)에 형성된 패킹조립부(336)에 패킹(350)의 외주연이 밀착이 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조립체(310)에 대해서 제2조립체(330)가 나사 결합이 되면서 압착링(360)은 패킹(350)에 밀려 압착링시트(318)와 패킹(350)의 끝 사이에 긴밀하게 조립된다.
이후, 제2조립체(330)에 마련된 전열선통과구멍(332)을 통해서 전열선(C)이 보호관(200) 안쪽에 위치되도록 한 후, 제2조립체(330)의 전열선통과구멍(332)과 전열선(C) 사이의 공간이 실리콘 등의 전열선 고정수단(400)을 통해서 고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2조립체(330)의 전열선통과구멍(332)과 전열선(C) 사이의 공간에 실리콘을 쏘아 전열선(C)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수단(400)을 통해서 전열선(C)이 제2조립체(330)에 고정됨으로써 보호관(20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가 된다.
따라서, 소방배관(100) 내부에 배선된 전열선(C)이 보호관(200)에 의해서 보호됨으로써 전열선(C)의 수명이 오래 지속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전열선(C)을 교체하기 위해서 투입되었던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제1실시예의 경우 소방배관(100) 내부에 전열선(C)을 내장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지만, 이를 배제한 상태로 외관 취부 순환형으로 개량함으로써 효율성과 내구성, 장수명화를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개량된다.
즉,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전열선(C)을 내장하지 않는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설치의 편의성, 용이성을 위해 소방배관(100)은 평상시처럼 설치하고, 소방배관(100)과 평행하게 그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순환유도관(50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순환유도관(500)의 상단은 상기 소방배관(100)의 상단과 물탱크(110)를 접속하는 탱크연결관(510)에 수직하게 접속되고, 하단은 'ㄴ'형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소방배관(100)의 하단부에 접속된다.
결국, 상기 순환유도관(500)은 상기 소방배관(100)과 평행하게 배관되는 것이며, 길이 중간 중간에 있는 소화전(120)과는 간섭되지 않게 회피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유도관(500)의 상단에는 상단체크밸브(520)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하단체크밸브(530)가 설치되어 상단에서는 순환유도관(500) 쪽으로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되게 동작하며, 하단에서는 소방배관(100) 쪽으로 배출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되게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즉, 역류가 억제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물탱크(110)의 유입구에는 전자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54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순환유도관(500)의 하측에는 전열선(C)이 일정길이 권취되고, 상기 전열선(C)으로부터 인출된 리드선(L)은 상기 소화전(120) 중에서 가장 하측, 더 정확하게는 1층에 설치된 소화전 내부에 구비된 컨트롤러(550)와 연결된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550)에는 타이머(560)가 더 구비되고, 또한 온도감지센서(570)도 함께 설치되어 컨트롤러(550)로 온도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이것은 동절기에만 동작할 수 있도록, 다시 말해 영하로 떨어질 때만 컨트롤러(550)가 상기 전열선(C)을 타이머(560) 제어하도록 가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40)도 상기 컨트롤러(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열선(C)을 타이머(560) 제어할 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40)는 잠그도록 하여 순환수가 상기 물탱크(110)로 유입되지 않게 하여 효율적인 동파방지 기능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상기 전열선(C)은 타이머(560)에 의해 정해진 시간만큼만 주기적으로 가동되도록 컨트롤러(550)가 제어하기 때문에 과도한 전력 소비가 일어나지 않고 효율적인 동파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가열하게 되면, 온수가 상승하면서 자연스럽게 물 순환이 이루어지는데 순환유도관(5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단체크밸브(520)와 하단체크밸브(53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 순환은 한쪽방향으로만 써큘레이션되게 된다.
이에 더하여, 효과를 더욱 더 높이기 위해 도 8과 같은 형태의 국부가열기(600)를 더 설치하여 동파방지기능을 이중화시킴으로써 보다 완벽한 동파 방지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예컨대, 15층 짜리 건물에서 1층과 15층의 기온차이는 분명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1층 주변의 검출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측의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국부가열기(600)는 가열기하우징(610)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기하우징(610)은 대략 'ㅜ'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고, 하단에 가열선(H)이 내장된 후 동재질의 캡(620)으로 밀봉된다.
따라서, 가열선(H)이 가열되면서 발생시킨 열은 상기 캡(620)을 통해 소방배관(100) 내부의 소화수로 전도되어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선(H)이 내장된 챔버 상측에는 가열제어기(630)가 설치되고, 상기 가열제어기(630)에는 가열타이머(660)가 연결되어 상기 가열선(H)의 가동시간을 타이밍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기하우징(610)의 상단은 커버(650)로 마감되고, 상기 커버(650)의 상단면에는 온도측정센서(640)가 설치되며, 상기 온도측정센서(640)는 상기 가열제어기(6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가열선(H)은 가열제어기(630)를 거쳐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온도측정센서(640)의 검출신호에 따라 영하로 감지되면 상기 가열제어기(630)가 제어하여 상기 가열선(H)을 일정시간 동안 가동시킴으로써 소방배관(100)의 상단부로부터 가열 작용이 일어나 순환수를 유발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40)는 상기 가열제어기(630)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컨트롤러(550)와 'OR' 조건으로 동작되어 가열제어기(630) 구동시 무조건 닫힘 동작되게 제어된다.
이를 통해, 동파 방지기능을 이중화시킴으로써 그 효과가 크며, 동파 방지 기능이 제대로 구동되지 않는 일이 없게 만들 수 있어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하겠다.
[제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는 단독으로 설치 사용될 수도 있으나,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병합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 따르면, 소방배관(100)의 하단부에 소방배관(100)의 일부를 분절하고 나사체결식으로 연결된 배출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닛(700)의 설치를 위해 배출유닛(700)의 하측 소방배관(100) 내부에는 고정보스(BOS)가 일체로 성형되어 구비되고, 상기 배출유닛(700)을 구성하는 우회안내블럭(710)의 하단을 관통한 고정볼트(720)가 상기 고정보스(BOS)의 중앙을 관통하여 볼트체결됨으로써 상기 우회안내블럭(710)을 견고히 고정한다.
특히, 상기 우회안내블럭(710)은 급수펌프(미도시)로부터 공급된 물이 고압상태로 공급되기 때문에 고압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하단 일부가 밀폐되고 측방 일부가 개방된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반대쪽 측면에는 배수포트(73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수포트(730)를 도시와 같은 위치에 둔 이유는 수압이 가장 작게 작용하는 곳에 위치되게 하여 배수시 소량 배수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배수포트(730)에는 외부배수관(740)이 연결되고, 상기 외부배수관(740)에는 배수밸브(750)가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유닛(700)의 상측 소방배관(100) 외주면에는 배수컨트롤러(760)가 더 설치되며, 상기 배수컨트롤러(760)에는 외부온도검출기(770)가 설치되어 외부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배수컨트롤러(760)의 내부에는 타이머(미도시)가 내장되어 타이밍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외부배수관(740)의 일부에는 배수감지센서(780)가 설치되어 외부배수관(740)을 통해 관류되는 배수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배수감지센서(780)는 공지된 우수감지센서, 즉 빗물감지센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컨트롤러(760)에는 상기 배수밸브(750) 및 배수감지센서(78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다.
그리하여, 외부온도검출기(770)를 통해 검출된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배수밸브(750)가 아주 미세하게 개방되면서 소방배관(100) 내부의 물, 즉 소화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면, 물의 유동이 발생하므로 급수모터(미도시)가 동작하게 되어 소방수가 전체적으로 유동되면서 물의 흐름이 발생되므로 쉽게 얼지 않는다.
이와 같은 동작을 주기적으로 일정시간동안 자동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물이 얼지 않도록 하는 동파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00 : 소방배관 110 : 물탱크
120 : 소화전 140 : 엔드캡
200 : 보호관 300 : 보호관고정구
310 : 제1조립체 330 : 제2조립체
350 : 패킹 360 : 압착링

Claims (1)

  1.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물탱크(110), 급수펌프와 연결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관되는 소방배관(100), 소방배관(100)의 상단과 물탱크(110)를 연결하는 탱크연결관(510), 건물의 각 층마다 구비된 다수의 소화전(120), 각 소화전(120)을 각각 소방배관(100)에 연결하는 연결관(130)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방배관(100)과 평행하게 그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순환유도관(5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순환유도관(500)의 상단은 상기 탱크연결관(510)에 수직하게 접속되고, 하단은 'ㄴ'형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소방배관(100)의 하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순환유도관(500)의 상단에는 상단체크밸브(520)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하단체크밸브(530)가 설치되어 상단에서는 순환유도관(500) 쪽으로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되게 동작하며, 하단에서는 소방배관(100) 쪽으로 배출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되게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탱크(110)의 유입구에는 전자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540)가 설치되며;
    상기 순환유도관(500)의 하측 외부에는 전열선(C)이 일정길이 권취되고, 상기 전열선(C)으로부터 인출된 리드선(L)은 1층에 설치된 소화전(120) 내부에 구비된 컨트롤러(550)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550)에는 타이머(560)가 더 구비되며, 온도감지센서(570)도 함께 설치되어 컨트롤러(550)로 온도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40)도 상기 컨트롤러(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열선(C)을 타이머(560) 제어할 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40)는 잠그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방배관(100)의 상단에는 국부가열기(600)가 더 설치되어 가열 기능을 이중화시키도록 구성하되, 상기 국부가열기(600)는 'ㅜ'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된 가열기하우징(610)을 포함하고, 개방된 하단부 내부에는 가열선(H)이 내장된 후 동재질의 캡(620)으로 밀봉되며, 상기 가열선(H)이 내장된 상측에는 가열선(H) 설치공간과 구획된 상태에서 가열제어기(630)가 설치되고, 상기 가열제어기(630)에는 가열타이머(660)가 연결되어 상기 가열선(H)의 가동시간을 타이밍 제어하며, 상기 가열기하우징(610)의 상단은 커버(650)로 마감되고, 상기 커버(650)의 상단면에는 온도측정센서(640)가 설치되어 상기 온도측정센서(640)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가열제어기(630)가 상기 가열선(H)을 가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방배관(100)의 하단부에는 소방배관(100)의 일부를 분절하고 나사체결식으로 연결된 배출유닛(7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방배관(100) 내부에는 고정보스(BOS)가 일체로 성형되어 구비되고, 상기 배출유닛(700)을 구성하는 우회안내블럭(710)의 하단을 관통한 고정볼트(720)가 상기 고정보스(BOS)의 중앙을 관통하여 볼트체결되며, 상기 우회안내블럭(710)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반대쪽 측면에는 배수포트(730)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포트(730)에는 외부배수관(740)이 연결되며, 상기 외부배수관(740)에는 배수밸브(750)가 설치되고, 상기 소방배관(100) 외주면에는 배수컨트롤러(760)가 더 설치되며, 상기 배수컨트롤러(760)에는 외부온도검출기(770)가 설치되어 외부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수컨트롤러(760)의 내부에는 타이머가 내장되어 타이밍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부배수관(740)의 일부에는 배수감지센서(780)가 설치되어 외부배수관(740)을 통해 관류되는 배수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수컨트롤러(760)에는 상기 배수밸브(750) 및 배수감지센서(78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온도검출기(770)를 통해 검출된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배수밸브(750)가 미세하게 개방되면서 소방배관(100) 내부의 소화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켜 소화수가 유동되게 하여 얼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KR1020160062961A 2016-05-23 2016-05-23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KR101707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961A KR101707109B1 (ko) 2016-05-23 2016-05-23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961A KR101707109B1 (ko) 2016-05-23 2016-05-23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109B1 true KR101707109B1 (ko) 2017-02-16

Family

ID=5826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961A KR101707109B1 (ko) 2016-05-23 2016-05-23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109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970B1 (ko) * 2017-12-13 2018-06-25 대원포비스 주식회사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KR101889865B1 (ko) 2018-05-02 2018-08-20 (주)나이스에너지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KR102126195B1 (ko) 2020-05-21 2020-06-24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건축물의 소방배관용 절첩형 동파방지시설
KR20200114139A (ko) * 2019-03-27 2020-10-07 안철 옥내 소화전의 동결 방지 시스템
KR102200631B1 (ko) 2020-09-11 2021-01-12 (주)지아이건설기술그룹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시스템
KR102215131B1 (ko) * 2020-07-13 2021-02-10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KR102215130B1 (ko) * 2020-07-13 2021-02-10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유지보수가 용이한 옥내 소화전
CN113175969A (zh) * 2021-06-08 2021-07-27 迈拓仪表股份有限公司 一种流量计管段的抗冻结构及方法
KR102284498B1 (ko) * 2021-02-01 2021-08-03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건축물의 배수파이프를 통한 화재 확산 방지장치
KR102318723B1 (ko) * 2021-05-31 2021-10-28 (주)럭키기술단 건축물의 소방 배관용 절첩형 동파방지 시설
KR102423966B1 (ko) 2021-08-24 2022-07-26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배수파이프를 통한 소방용 화재 확산 방지장치
KR20230001041U (ko) * 2021-11-15 2023-05-23 한국가스공사 누수 감지 소화전
KR102614308B1 (ko) 2023-03-29 2023-12-18 주식회사 스마일내진 동파 방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설비 및 소화배관의 화재 발생 방지 시스템
KR102648778B1 (ko) 2023-05-15 2024-03-18 (주)조이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용 발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509A (ko) * 2008-06-27 2010-01-06 유호묵 동파방지 기능을 구비한 스팀 세차기
KR20130015188A (ko) * 2011-08-02 2013-02-13 (주)한가람방재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KR20130019769A (ko) * 2011-08-17 2013-02-27 주재권 바이패스 배관을 이용한 배관의 동파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509A (ko) * 2008-06-27 2010-01-06 유호묵 동파방지 기능을 구비한 스팀 세차기
KR20130015188A (ko) * 2011-08-02 2013-02-13 (주)한가람방재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KR101298685B1 (ko) 2011-08-02 2013-08-21 (주)한가람방재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KR20130019769A (ko) * 2011-08-17 2013-02-27 주재권 바이패스 배관을 이용한 배관의 동파방지 시스템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970B1 (ko) * 2017-12-13 2018-06-25 대원포비스 주식회사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KR101889865B1 (ko) 2018-05-02 2018-08-20 (주)나이스에너지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KR20200114139A (ko) * 2019-03-27 2020-10-07 안철 옥내 소화전의 동결 방지 시스템
KR102223752B1 (ko) * 2019-03-27 2021-03-05 안철 옥내 소화전의 동결 방지 시스템
KR102126195B1 (ko) 2020-05-21 2020-06-24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건축물의 소방배관용 절첩형 동파방지시설
KR102215131B1 (ko) * 2020-07-13 2021-02-10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KR102215130B1 (ko) * 2020-07-13 2021-02-10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유지보수가 용이한 옥내 소화전
KR102200631B1 (ko) 2020-09-11 2021-01-12 (주)지아이건설기술그룹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시스템
KR102284498B1 (ko) * 2021-02-01 2021-08-03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건축물의 배수파이프를 통한 화재 확산 방지장치
KR102318723B1 (ko) * 2021-05-31 2021-10-28 (주)럭키기술단 건축물의 소방 배관용 절첩형 동파방지 시설
CN113175969A (zh) * 2021-06-08 2021-07-27 迈拓仪表股份有限公司 一种流量计管段的抗冻结构及方法
CN113175969B (zh) * 2021-06-08 2024-04-30 迈拓仪表股份有限公司 一种流量计管段的抗冻结构及方法
KR102423966B1 (ko) 2021-08-24 2022-07-26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배수파이프를 통한 소방용 화재 확산 방지장치
KR20230001041U (ko) * 2021-11-15 2023-05-23 한국가스공사 누수 감지 소화전
KR200496951Y1 (ko) * 2021-11-15 2023-06-20 한국가스공사 누수 감지 소화전
KR102614308B1 (ko) 2023-03-29 2023-12-18 주식회사 스마일내진 동파 방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설비 및 소화배관의 화재 발생 방지 시스템
KR102648778B1 (ko) 2023-05-15 2024-03-18 (주)조이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용 발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109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KR101889865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KR101233750B1 (ko) 조립식 전기보일러
KR102126195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용 절첩형 동파방지시설
EP3710759B1 (en) Integrated leak detection system for water heaters
US20230296465A1 (en) Water Heater with an Integrated Leak Detection System
KR100666405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누수차단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배관시스템
KR100796532B1 (ko) 동파 방지기능을 갖는 배수관
KR101159544B1 (ko) 수도관 동파방지용 순환펌프장치
KR101298685B1 (ko)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KR20180000124U (ko) 수도배관 동파 방지장치
KR102648778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용 발열장치
KR101321205B1 (ko) 벨로우즈 타입용 동파 방지구와 이를 적용한 수도계량기 및 열교환기
JP3653350B2 (ja) 給湯装置
RU149130U1 (ru)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1857745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장치
KR200363595Y1 (ko) 옥내 소화전 동파 방지 히팅 장치
US11473710B2 (en) Heated drain or vent pipe
RU167941U1 (ru) Выходной эдемент трубопровода в установке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214614349U (zh) 一种消防用防撞消防栓
KR20140140454A (ko) 알람밸브
CN212900359U (zh) 一种天然气管道用防冻防堵排气阀
GB2489425A (en) Preventing freezing in a boiler condensate drain pipe
KR102223752B1 (ko) 옥내 소화전의 동결 방지 시스템
RU2326290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ающее замерзание системы отопления зд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