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685B1 -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685B1
KR101298685B1 KR1020110077053A KR20110077053A KR101298685B1 KR 101298685 B1 KR101298685 B1 KR 101298685B1 KR 1020110077053 A KR1020110077053 A KR 1020110077053A KR 20110077053 A KR20110077053 A KR 20110077053A KR 101298685 B1 KR101298685 B1 KR 101298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assembly
fire
heating wire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188A (ko
Inventor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주)한가람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가람방재 filed Critical (주)한가람방재
Priority to KR102011007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68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건물 내의 각 요소에 소방용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배관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겨울철에 동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는 물탱크의 물이 소화전까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 방지를 위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선되는 전열선; 및 상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내의 물로부터 상기 전열선이 보호되도록 상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열선을 감싸는 보호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IRE HYDRANT PIPE FROM FREEZING AND BURSTING}
본 발명은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건물 내의 각 요소에 소방용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배관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겨울철에 동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외부의 곳곳에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소방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소화전이 설치되며, 물 탱크의 물이 소화전까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건물의 기둥이나 벽을 따라 설치된다. 특히, 고층건물의 경우에는 각 층에 설치된 소화전에 원활한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물 탱크는 건물의 옥상에 주로 설치된다.
그런데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내부의 물이 결빙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한파가 심할 때에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동파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소방용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에 따라서 더 큰 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 들어서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 방지를 위해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전열선을 배선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배선된 전열선에 전기가 공급되면, 전열선이 발열이 되면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내부의 온도를 높여 물의 결빙을 방지하게 된다.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선되는 전열선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의 피복으로 감싸진 것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선된 전열선의 피복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부식되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 2년 정도의 주기로 교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주기적인 전열선의 교체에 따라 인력 및 비용의 투입이 과다하게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이 된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건물 내의 각 요소에 소방용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배관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겨울철에 동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기적인 전열선 교체에 따른 비용과 인력의 투입을 절감할 수 있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는 물탱크의 물이 소화전까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 방지를 위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선되는 전열선; 및 상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내의 물로부터 상기 전열선이 보호되도록 상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열선을 감싸는 보호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관은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열선은 이중의 피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양쪽 끝을 마감하는 엔드 캡에는 상기 보호관의 양쪽 끝을 고정시키는 보호관 고정구가 조립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관 고정구는, 상기 보호관의 한쪽 끝이 내부에 끼워지도록 보호관 조립구멍이 형성되되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한쪽의 외부에는 상기 엔드 캡에 조립되기 위한 수나사 조립부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 한쪽의 내부에는 상기 조립구멍에 비해 내경이 큰 암나사 조립부가 형성되는 제1조립체; 상기 전열선이 통과하도록 전열선 통과구멍이 형성되되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한쪽에는 상기 제1조립체에 조립되기 위한 수나사 조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 조립부가 형성된 구간의 안쪽 주연에는 상기 전열선 통과구멍에 비해 큰 지름을 갖는 패킹 조립부가 형성된 제2조립체; 및 상기 제2조립체의 패킹 조립부에 위치되어 상기 보호관의 바깥쪽 주연과 상기 제2조립체의 안쪽 주연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게 하는 패킹; 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조립체에서 상기 보호관 조립구멍과 암나사 조립부 사이의 직경 차이로 인해 형성된 압착링 시트와 상기 패킹 사이에는 압착링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압착링은 일부 구간이 단절된 구조의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킹의 안쪽 주연은 상기 보호의 주름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조립체와 상기 전열선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열선을 고정시키는 전열선 고정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열선 고정수단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 의하면 결빙 및 동파 방지를 위해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내부에 배선되는 전열선이 별도로 설치되는 보호관에 의해서 보호됨으로써 전열선의 피복이 마모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 의하면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선된 전열선의 교체 주기가 길어짐에 따라서 전열선 교체에 따른 인력 및 비용의 투입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 의하면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환경에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결빙 또는 동파가 방지됨에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소방용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관 고정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관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동파방지장치의 설치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의 구성 및 작용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건물에 설치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를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200은 전열선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관을 지시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100)는 건물의 기둥 또는 벽을 따라서 수직으로 배관이 되는데, 도 1에서는 건물의 기둥 또는 벽 등의 도시는 생략된 상태이다. 한편, 건물의 옥상 등에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10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저수되는 물탱크(110)가 설치되는 한편 건물의 각 층마다에는 소화전(120)이 설치된다. 그리고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100)로부터 각 소화전(120)까지는 연결관(130)이 배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100)의 양쪽 끝에는 각각 엔드 캡(140)이 조립된다. 엔드 캡(140)은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100)에 나사 체결 방식을 통해서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100)의 양쪽 끝에 설치되어 있는 엔드 캡(140)과 엔드 캡(140) 사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선(C)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관(200)이 배관 설치된다. 이 전열선(C)은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100) 내부의 온도를 높여 물의 결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동파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관(200)은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100) 내부에 배선되는 전열선(C)이 물에 닿지 않도록 하여 전열선(C)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보호관(200)은 전열선(C)에서 발열되는 열이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100) 내부에 저수되는 물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금속 재질 중에서도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관(2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피치 간격으로 주름이 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선(C)은 이중의 피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서 보호관(200)의 양쪽 끝이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100)의 양쪽 끝에 설치된 엔드 캡(1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양쪽의 엔드 캡(140)에는 각각 보호관 고정구(300)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관 고정구(300)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 고정구(300)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100)의 양쪽 끝에 조립된 엔드 캡(140)에 대해서 나사 체결되는 제1조립체(310), 제1조립체(310)의 한쪽에 나사 체결되는 제2조립체(330) 및 제1조립체(310)에 수용된 보호관(200)의 끝 부분과 제2조립체(330) 사이의 기밀 유지를 위해 설치되는 패킹(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제1조립체(310)는 보호관(200)의 한쪽 끝이 내부에 끼워지도록 보호관 조립구멍(312)이 관통 형성된 통 형태로 형성된다. 제1조립체(310)는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한쪽의 외부에는 엔드 캡(140)에 조립되기 위한 수나사 조립부(314)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 한쪽의 내부에는 보호관 조립구멍(312)에 비해 내경이 큰 암나사 조립부(316)가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립체(310)의 외부는 조립 작업시 공구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육각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제1조립체(310)에서 보호관 조립구멍(312)과 암나사 조립부(316) 사이에는 직경 차이로 인한 압착링 시트(318)가 형성된다. 이 압착링 시트(318)와 전술한 패킹(350) 사이의 공간에는 압착링(360)이 설치된다. 압착링(360)은 제1조립체(310)에 대한 제2조립체(330)이 조립시 직경이 축소될 수 있도록 일부 구간이 단절된 구조의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서 보호관 고정구(300)의 제2조립체(330)에는 전열선(C)이 통과될 수 있도록 전열선 통과구멍(3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한쪽에는 제1조립체(310)에 조립되기 위한 수나사 조립부(334)가 형성되며, 이 수나사 조립부(334)가 형성된 구간의 안쪽 주연에는 전열선 통과구멍(332)에 비해 큰 지름을 갖는 패킹 조립부(336)가 형성된다.
전술한 패킹 조립부(336)는 패킹(35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이루어지고, 그 안쪽에 패킹(350)의 한쪽 끝 부분과 밀착되도록 지름이 축소된 부분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조립체(310)에 대한 제2조립체(330)의 조립시 패킹(350)은 제2조립체(330)에 밀리면서 패킹(350) 주변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기밀이 유지된다.
제2조립체(330)의 경우에도 제1조립체(310)와 마찬가지로 그 외형은 조립시 공구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육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서 보호관 고정구(300)의 패킹(3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에 전술한 패킹 조립부(336)의 내경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환상돌부(35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패킹(350)의 안쪽 주연은 보호관(20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관(200)이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에, 패킹(350)의 안쪽 주연은 보호관(200)의 주름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킹(350)의 내부가 보호관(200)의 주름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기밀 성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서 제2조립체(330)와 전열선(C) 사이에 개재되어 전열선(C)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전열선 고정수단(400)이 설치된다. 이때 전술한 전열선 고정수단(400)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의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보호관(200)은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100)의 양쪽 끝에 조립된 엔드 캡(140)의 외부로 일정 길이가 노출된 상태로 배관된다. 이후, 보호관(200)의 양쪽 끝이 제1조립체(310)의 보호관 조립구멍(312)을 통과하도록 엔드 캡(140)에 대해서 제1조립체(31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 캡(140)에 조립된 상태의 제1조립체(310) 안쪽에 압착링(360)을 위치시키고, 보호관(200)의 끝에 패킹(360)이 강제로 끼워진다. 이때, 패킹(350)은 유연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주름진 형태의 보호관(200)의 끝에 강제로 끼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조립체(310)에 대해서 제2조립체(330)가 나사 결합이 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제2조립체(330)에 형성된 패킹 조립부(336)에 패킹(350)의 외주연이 밀착이 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조립체(310)에 대해서 제2조립체(330)가 나사 결합이 되면서 압착링(360)은 패킹(350)에 밀려 압착링 시트(318)와 패킹(350)의 끝 사이에 긴밀하게 조립된다.
이후, 제2조립체(330)에 마련된 전열선 통과구멍(332)을 통해서 전열선(C)이 보호관(200) 안쪽에 위치되도록 한 후, 제2조립체(330)의 전열선 통과구멍(332)과 전열선(C) 사이의 공간이 실리콘 등의 전열선 고정수단(400)을 통해서 고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2조립체(330)의 전열선 통과구멍(332)과 전열선(C) 사이의 공간에 실리콘을 쏘아 전열선(C)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수단(400)을 통해서 전열선(C)이 제2조립체(330)에 고정됨으로써 보호관(20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 따라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100) 내부에 배선된 전열선(C)이 보호관(200)에 의해서 보호됨으로써 전열선(C)의 수명이 오래 지속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열선(C)을 교체하기 위해서 투입되었던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110 : 물탱크
120 : 소화전 140 : 엔드 캡
200 : 보호관 300 : 보호관 고정구
310 : 제1조립체 312 : 보호관 조립구멍
318 : 압착링 시트 330 : 제2조립체
332 : 전열선 통과구멍 336 : 패킹 조립부
350 : 패킹 352 : 환상돌부
360 : 압착링 400 : 전열선 고정수단
C : 전열선

Claims (10)

  1. 물탱크의 물이 소화전까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 방지를 위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선되는 전열선;
    상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내의 물로부터 상기 전열선이 보호되도록 상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열선을 감싸는 보호관; 및
    상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양쪽 끝을 마감하는 엔드 캡에 조립 설치되어 상기 보호관의 양쪽 끝을 고정시키는 보호관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관 고정구는,
    상기 보호관의 한쪽 끝이 내부에 끼워지도록 보호관 조립구멍이 형성되되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한쪽의 외부에는 상기 엔드 캡에 조립되기 위한 수나사 조립부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 한쪽의 내부에는 상기 조립구멍에 비해 내경이 큰 암나사 조립부가 형성되는 제1조립체;
    상기 전열선이 통과하도록 전열선 통과구멍이 형성되되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한쪽에는 상기 제1조립체에 조립되기 위한 수나사 조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 조립부가 형성된 구간의 안쪽 주연에는 상기 전열선 통과구멍에 비해 큰 지름을 갖는 패킹 조립부가 형성된 제2조립체; 및
    상기 제2조립체의 패킹 조립부에 조립되어 상기 보호관의 바깥쪽 주연과 상기 제2조립체의 안쪽 주연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게 하는 패킹;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은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은 이중의 피복으로 이루어지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에서 상기 보호관 조립구멍과 암나사 조립부 사이의 직경 차이로 인해 형성된 압착링 시트와 상기 패킹 사이에는 압착링이 조립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은 일부 구간이 단절된 구조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안쪽 주연은 상기 보호관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체와 상기 전열선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열선을 고정시키는 전열선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 고정수단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KR1020110077053A 2011-08-02 2011-08-02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KR101298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053A KR101298685B1 (ko) 2011-08-02 2011-08-02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053A KR101298685B1 (ko) 2011-08-02 2011-08-02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188A KR20130015188A (ko) 2013-02-13
KR101298685B1 true KR101298685B1 (ko) 2013-08-21

Family

ID=4789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053A KR101298685B1 (ko) 2011-08-02 2011-08-02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6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109B1 (ko) 2016-05-23 2017-02-16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KR102313986B1 (ko) 2021-04-20 2021-10-15 이성규 건식 송수관의 동파 방지장치
KR102625034B1 (ko) 2023-03-31 2024-01-15 (주)대주기술 공동주택 소방용수 공급용 파이프의 동파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219B1 (ko) * 2013-07-25 2013-12-02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옥외소화전 동파방지유닛 보호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096A (ja) * 1995-05-26 1996-12-03 Kurita Kogyo:Kk 保温管システム
KR200417748Y1 (ko) * 2006-03-20 2006-06-02 정혁수 터널용 소화장치
KR20120041838A (ko) * 2010-10-22 2012-05-03 (주)이지스 소방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096A (ja) * 1995-05-26 1996-12-03 Kurita Kogyo:Kk 保温管システム
KR200417748Y1 (ko) * 2006-03-20 2006-06-02 정혁수 터널용 소화장치
KR20120041838A (ko) * 2010-10-22 2012-05-03 (주)이지스 소방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109B1 (ko) 2016-05-23 2017-02-16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KR102313986B1 (ko) 2021-04-20 2021-10-15 이성규 건식 송수관의 동파 방지장치
KR102625034B1 (ko) 2023-03-31 2024-01-15 (주)대주기술 공동주택 소방용수 공급용 파이프의 동파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188A (ko) 201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109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KR101298685B1 (ko)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CN103341248B (zh) 柔性干式喷洒装置
KR101966662B1 (ko) 스프링클러 시스템 및 설비
US9709202B2 (en) Pipe connector fitting with elongate gasket and metal threads
ES2209192T3 (es) Sistema de tuberia resistente a la corrosion y al fuego.
KR101754973B1 (ko)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JP3225421U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US11383262B2 (en) Sprinkler assembly connector for flexible conduit
FI2714207T3 (fi) X-tuki ja joustava liityntä sprinklereitä varten
KR101870970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US20100252282A1 (en) Fire sprinkler extension and head adaptor
KR20120041838A (ko) 소방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092781B1 (ko) 소방 구조물
KR102625034B1 (ko) 공동주택 소방용수 공급용 파이프의 동파방지 시스템
KR200454219Y1 (ko)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CN206727624U (zh) 一种电缆软管卡套式接头
KR20120057139A (ko)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CN207833994U (zh) 一种空芯水冷电缆
KR20210104279A (ko) 면상 발열체 코팅을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KR20110094614A (ko) 소화전용 캡
CN202901696U (zh) 多层高温耐磨复合管
CA2881020A1 (en) Valve with economy device and gas flow interruption in case of fire on the hose
CN211611416U (zh) 一种用于消防水管的电伴热带
KR101485130B1 (ko) 섬유를 이용한 축열식 난방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