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139A -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 Google Patents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139A
KR20120057139A KR1020100118745A KR20100118745A KR20120057139A KR 20120057139 A KR20120057139 A KR 20120057139A KR 1020100118745 A KR1020100118745 A KR 1020100118745A KR 20100118745 A KR20100118745 A KR 20100118745A KR 20120057139 A KR20120057139 A KR 20120057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ynthetic resin
protective tube
resin pipe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복
Original Assignee
(주)신신플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신플라테크 filed Critical (주)신신플라테크
Priority to KR102010011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7139A/ko
Publication of KR2012005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with a single sl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7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a single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 파이프;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에 끼워지는 금속재질의 보호관;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보호관이 이루는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캡공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관의 양측 단부에 밀착결합되는 링 형상의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을 보호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보호관과 상기 고정캡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을 포함하는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가 제공된다. 따라서, 금속재질의 보호관이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삽입되면서 밀착고정되기 때문에 설치된 위치가 합성수지 파이프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합성수지 파이프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Tube having Protecting Pipe}
본 발명은 유체 수송용 합성수지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얇은 관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재질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관을 보호하는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Pipe)는 물이나 공기, 가스 등을 수송하는 중공의 관으로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파이프는 수도관, 냉각관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금속재질로 된 파이프는 수송되는 유체에 의해 내부가 부식되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손상되기 쉬워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고 제조가 간편한 합성수지 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파이프에 비해 좋은 유연성과 얇은 두께를 갖는 파이프의 일종으로 합성수지 파이프(Tube)라고 불리우는 얇은 파이프가 있다.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는 수송 유량의 적은 곳이나 전선, 케이블 등의 보호용 배선으로서 유연하게 그 몸체를 굽혀서 시공되어야 할 장소에 주로 이용된다.
그런데 합성수지 파이프는 유연성과 내부식성은 뛰어난 반면에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충격, 자외선 노출 등에 의해 외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이 문제될 수도 있으며, 합성수지 파이프의 주변에서 용접작업 등을 할 때 용접 불꽃이 튀게되면 플라스틱관이 녹거나 파손될 수 있으며, 화재의 위험또한 있다.
따라서 시공된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금속재질의 보호관이 효과적이나 시중에 나와있는 금속보호관은 그 두께가 크기 때문에 합성수지 파이프를 삽입하더라도 합성수지 파이프에 위치를 고정하기가 쉽지 않아서 보호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재질의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관이 보호될 수 있는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 파이프;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에 끼워지는 금속재질의 보호관;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보호관이 이루는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캡공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관의 양측 단부에 밀착결합되는 링 형상의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을 보호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보호관과 상기 고정캡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을 포함하는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는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와 보호관의 내측 공간부에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링 또는 발포폼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 파이프;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에 끼워지는 금속재질의 보호관; 및 상기 보호관의 내측에 보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보온재;를 포함하는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 보온재는 플라스틱 발포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에 의하면 금속재질의 보호관이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삽입되면서 밀착고정되기 때문에 설치된 위치가 합성수지 파이프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합성수지 파이프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 파이프의 내측에 밀착되는 보온재를 통해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관을 보호함과 아울러 보온, 보냉, 결로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관이 합성수지 파이프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은 도 1의 단면도;
도 3은 합성수지 파이프와 보호관의 내측 공간부에 지지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관이 합성수지 파이프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합성수지 파이프와 보호관의 내측 공간부에 지지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1)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 파이프(10) 및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10)에 장착되는 보호관(100), 고정캡(200), 고정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관(100)은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10)에 끼워지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보호관(100)은 합성수지 파이프(10)의 외주면보다 다소 큰 지름을 가지며 합성수지 파이프(10)에 끼워지면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관(100)으로 금속재질의 강관, 주철관, 구리관, 황동관, 알루미늄관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각기의 특징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강관은 박판(薄板)을 굽혀서 용접이나 단접(鍛接) 등으로 이은 이음매 있는 강관과, 봉재에서 압연하여 만든 이음매 없는 강관이 사용될 수 있다. 이음매 없는 강관은 수압?유압(油壓)이 걸리는 곳, 보일러 등에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철관은 강관보다 무겁고 강도도 강관보다 약하지만, 값이 싸고 내식성(耐蝕性)이 좋으므로 수도?가스?배수(排水) 등 지중매설용(地中埋設用)으로 많이 사용된다.
구리관은 내식성?가요성(可撓性)이 좋으므로 화학공업용 등의 보호용으로 사용되며, 또 열전도(熱傳導)가 좋으므로 보일러 및 열교환용 보호관(1)로 사용될 수 있다.
황동관은 구리관과 같은 성질이 있으므로 복수기(復水器)?열교환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관은 가볍고 내식성도 뛰어나므로 항공기 등의 배관, 기타 등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위에 열거된 재료 이외에도 내충격성과 내식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용도에 맞게 그 재질이 선택된 금속재질의 보호관(100)이 합성수지 파이프(10)에 삽입되면, 고정캡(200)이 끼워지게 된다.
고정캡(200)은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10)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캡공(210)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관(100)의 양측 단부에 밀착결합되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캡(200)은 캡공(210)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10)의 외주면과 상기 보호관(100)이 이루는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보호관(100)의 양측 단부에 노출된 공간을 밀폐한다. 따라서 고정캡(200)은 보호관(100)과 합성수지 파이프(10)의 틈새로 빗물이 인입되지 않도록 하여 합성수지 파이프(10) 및 보호관(100)의 부식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캡(200)을 보호관(100)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보호관(100)과 상기 고정캡(200)에는 다수의 고정핀(300)이 결합된다. 고정핀(300)은 보호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못, 볼트, 나사못 등으로 실시 가능하다. 고정핀(300)은 합성수지 파이프(10)에 설치된 고정캡(200)이 외부로 이탈되거나 보호관(100)이 합성수지 파이프(10)에서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상기 고정핀(300) 없이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10)와 보호관(100)의 내측 공간부에는 지지부재(4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00)는 링(ring) 또는 발포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보호관(100)이 합성수지 파이프(10)에서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그 설치위치를 고정하여 보호관(100)이 외면에 설치된 보호관(1)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가 합성수지 파이프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보호관(100)에 고정캡(200)과 고정핀(300)을 사용하지 않고 보호관(100)의 내측에 보온재(5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온재(500)는 보호관(100)의 내측에 보호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합성수지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적정한 두께를 갖는다. 상기 보온재(500)는 합성수지 파이프(10)의 외관을 보호함과 아울러 보온, 보냉, 결로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플라스틱 발포폼으로 보호관(100)의 내벽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보온재(500)는 보호관(100)을 삽입하기 전에 소정 두께로 합성수지 파이프(10)의 외면에 발포한 후에 보호관(100)을 삽입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보온재(500)가 충진된 상태의 보호관(100) 양단에 전술한 실시예의 고정캡(200)을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에 의하면 금속재질의 보호관이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삽입되면서 밀착고정되기 때문에 설치된 위치가 합성수지 파이프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합성수지 파이프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합성수지 파이프의 내측에 밀착되는 보온재를 통해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관을 보호함과 아울러 보온, 보냉, 결로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보호관 10 : 합성수지 파이프
100 : 보호관 200 : 고정캡
210 : 캡공 300 : 고정핀
400 : 지지부재 500 : 보온재

Claims (5)

  1.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 파이프;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에 끼워지는 보호관;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보호관이 이루는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캡공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관의 양측 단부에 밀착결합되는 링 형상의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을 보호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보호관과 상기 고정캡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와 보호관의 내측 공간부에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링 또는 발포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4.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 파이프;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에 끼워지는 보호관; 및
    상기 보호관의 내측에 보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합성수지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보온재;를 포함하는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는 플라스틱 발포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KR1020100118745A 2010-11-26 2010-11-26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KR20120057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745A KR20120057139A (ko) 2010-11-26 2010-11-26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745A KR20120057139A (ko) 2010-11-26 2010-11-26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139A true KR20120057139A (ko) 2012-06-05

Family

ID=4660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745A KR20120057139A (ko) 2010-11-26 2010-11-26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71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744A1 (en) * 2015-06-17 2016-12-22 Fiber Glass Systems Lp Fire resistant composite flange cover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KR102113691B1 (ko) * 2019-11-08 2020-06-02 신영현 고압 호스용 연결구
KR102447630B1 (ko) * 2022-01-20 2022-09-27 (주)엠에스코리아 복합 배관재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744A1 (en) * 2015-06-17 2016-12-22 Fiber Glass Systems Lp Fire resistant composite flange cover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KR20180017195A (ko) * 2015-06-17 2018-02-20 화이버 글래스 시스템즈 엘피 내화 복합재 플랜지 커버 및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2113691B1 (ko) * 2019-11-08 2020-06-02 신영현 고압 호스용 연결구
KR102447630B1 (ko) * 2022-01-20 2022-09-27 (주)엠에스코리아 복합 배관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044B1 (ko) 배관용 클램프
KR101212120B1 (ko) 이중배관
KR20120057139A (ko)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US9140386B2 (en) Anchor system for pre-insulated piping
KR20150001347A (ko) 벽 관통부의 파이어 씰링구조
KR20090001384U (ko) 냉난방 유체파이프의 결로방지용 보온블럭
KR100678384B1 (ko) 건축용 고신축형 방수 전선관
KR20130015188A (ko)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
US20220314050A1 (en) Sprinkler box for embedded sprinkler pipe system
JP6448771B2 (ja) 捩り管形熱交換器
WO2019019269A1 (zh) 一种法兰式蒸汽伴行管及其安装方法
CN105840922A (zh) 一种多重防腐的新型保温供水管道
ES2406206A1 (es) Recubrimiento para conducciones de fluido transmisor de calor (htf).
JP6133641B2 (ja) 絶縁自在継手
JP2009030698A (ja) コーナー配管用断熱カバーおよび冷媒用配管の施工方法
CN220416476U (zh) 一种非金属双防护井壁止水密封装置
JP3041303B1 (ja) 配管カバ―
CN210344718U (zh) 一种建筑给水管道的保护装置
JP6362971B2 (ja) 管温計測装置及び管温計測装置の製造方法
WO2019019507A1 (zh) 一种蒸汽伴行管末端保护套
KR20130103129A (ko) 벨로우즈 타입용 동파 방지구와 이를 적용한 수도계량기 및 열교환기
JP7379412B2 (ja) 板金製外装材及び板金製外装材の施工方法
JPWO2018221523A1 (ja) 超電導送電用断熱多重管
CN216479654U (zh) 一种防腐蚀效果好的复合材料保温管
KR200470148Y1 (ko) 배관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