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865B1 -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865B1
KR101889865B1 KR1020180050849A KR20180050849A KR101889865B1 KR 101889865 B1 KR101889865 B1 KR 101889865B1 KR 1020180050849 A KR1020180050849 A KR 1020180050849A KR 20180050849 A KR20180050849 A KR 20180050849A KR 101889865 B1 KR101889865 B1 KR 101889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ipe
controller
water suppl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호
Original Assignee
(주)나이스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이스에너지 filed Critical (주)나이스에너지
Priority to KR102018005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upplementary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물탱크와, 급수펌프와 연결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관되는 소방수공급배관과, 소방수공급배관의 상단과 물탱크를 연결하는 탱크연결관과, 건물의 각 층마다 구비된 다수의 소화전과, 각 소화전을 각각 소방수공급배관에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방수공급배관, 탱크연결관, 연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좌우한쌍으로 형성되어 공지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관체로, 일측단 내주연에는 상기 소방수공급배관, 탱크연결관, 연결관 중 어느 하나인 일측관체 선단부의 외측나사부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일측단 내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일측단 내측나사부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일측단 내측밀폐돌부가 형성되며, 타측단 내주연에는 상기 소방수공급배관, 탱크연결관, 연결관 중 어느 하나인 타측관체 선단부의 외측나사부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타측단 내측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단 내측나사부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타측단 내측밀폐돌부가 형성되며, 일측단 내측밀폐돌부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사이 일측에 내측으로 요부형성된 안착요부가 형성되고, 일측단 내측밀폐돌부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사이 타측에 온도감지센서가 장착되며, 안착요부 일측에는 외측으로 관통공이 통공형성되며, 관통공 외측에는 밀폐된 작동함체가 형성되는 동파방지틀; 상기 동파방지틀의 일측단 내측밀폐돌부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사이에 위치되는 링체로, 중심부 외주연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안착요부에 안착되어 회동되되 일측면에 랙기어부를 갖는 기어돌부가 돌출형성되고, 내주연에는 내측으로 나선형상으로 돌출되는 회류블레이드가 형성되어 회전시 내부 소방수의 회류를 발생시키는 회류발생링; 상기 동파방지틀의 작동함체에 위치고정되고 구동피니언기어가 관통공을 통해 상기 회류발생링의 기어돌부의 랙기어부와 기어결합되어 원격연결된 관리자단말기에 의해서 콘트롤러를 통해 상기 회류발생링을 동파방지틀 내에서 회동시키는 회류발생모터; 상기 동파방지틀의 일측단 내측밀폐돌부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사이의 안착요부에 위치되는 발열링체로, 원격연결된 관리자단말기에 의해서 콘트롤러를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링; 및 상기 동파방지틀의 일측단 내측밀폐돌부 외측면과 일측관체 선단면 사이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외측면과 타측관체 선단면 사이에 각각 밀착되게 위치되어 내부 소방수의 밀폐가 이루어지는 일측패킹과 타측패킹을 구비하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관리자단말기의 콘트로러에 연결되는 히팅링과 온도감지센서 및 모터의 피니언기어에 맞물려 회동되는 블레이드가 형성된 동파방지틀을 소방에 관련된 배관의 일측에 연결장착함으로써 외기온도가 영하 주변에 머물때에는 모터를 구동시켜 블레이드를 회동시킴으로써 배관 내부에서 소방수의 흐름을 일으켜 흐름에 따른 마찰열에 의해 소방수가 어는 것을 방지하고, 외기온도가 영하 아래로 급박하게 내려가는 한파때에는 이에 더불어 히팅링을 가동시킴으로써 배관 내부의 소방수가 얼어 동파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Freezing device of fire pipe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자단말기의 콘트로러에 연결되는 히팅링과 온도감지센서 및 모터의 피니언기어에 맞물려 회동되는 블레이드가 형성된 동파방지틀을 소방에 관련된 배관의 일측에 연결장착함으로써 외기온도가 영하 주변에 머물때에는 모터를 구동시켜 블레이드를 회동시킴으로써 배관 내부에서 소방수의 흐름을 일으켜 흐름에 따른 마찰열에 의해 소방수가 어는 것을 방지하고, 외기온도가 영하 아래로 급박하게 내려가는 한파때에는 이에 더불어 히팅링을 가동시킴으로써 배관 내부의 소방수가 얼어 동파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외부의 곳곳에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소방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소화전이 설치되며, 물 탱크의 물이 소화전까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건물의 기둥이나 벽을 따라 설치된다.
특히, 고층건물의 경우에는 각 층에 설치된 소화전에 원활한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물 탱크는 건물의 옥상에 주로 설치된다.
그런데,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내부의 물이 결빙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한파가 심할 때에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동파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소방용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에 따라서 더 큰 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 들어서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 방지를 위해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전열선을 배선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배선된 전열선에 전기가 공급되면, 전열선이 발열이 되면서 소방용 물 공급파이프 내부의 온도를 높여 물의 결빙을 방지하게 된다.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선되는 전열선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의 피복으로 감싸진 것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선된 전열선의 피복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부식되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 2년 정도의 주기로 교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주기적인 전열선의 교체에 따라 인력 및 비용의 투입이 과다하게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물탱크(110), 급수펌프와 연결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관되는 소방배관(100), 소방배관(100)의 상단과 물탱크(110)를 연결하는 탱크연결관(510), 건물의 각 층마다 구비된 다수의 소화전(120), 각 소화전(120)을 각각 소방배관(100)에 연결하는 연결관(130)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방배관(100)과 평행하게 그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순환유도관(5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순환유도관(500)의 상단은 상기 탱크연결관(510)에 수직하게 접속되고, 하단은 'ㄴ'형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소방배관(100)의 하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순환유도관(500)의 상단에는 상단체크밸브(520)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하단체크밸브(530)가 설치되어 상단
에서는 순환유도관(500) 쪽으로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되게 동작하며, 하단에서는 소방배관(100) 쪽으로 배출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되게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탱크(110)의 유입구에는 전자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540)가 설치되며; 상기 순환유도관(500)의 하측 외부에는 전열선(C)이 일정길이 권취되고, 상기 전열선(C)으로부터 인출된 리드선(L)은 1층에 설치된 소화전(120) 내부에 구비된 컨트롤러(550)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550)에는 타이머(560)가 더 구비되며, 온도감지센서(570)도 함께 설치되어 컨트롤러(550)로 온도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40)도 상기 컨트롤러(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열선(C)을 타이머(560) 제어할 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40)는 잠그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방배관(100)의 상단에는 국부가열기(600)가 더 설치되어 가열 기능을 이중화시키도록 구성하되, 상기 국부가열기(600)는 'ㅜ'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된 가열기하우징(610)을 포함하고, 개방된 하단부 내부에는 가열선(H)이 내장된 후 동재질의 캡(620)으로 밀봉되며, 상기 가열선(H)이 내장된 상측에는 가열선(H) 설치공간과 구획된 상태에서 가열제어기(630)가 설치되고, 상기 가열제어기(630)에는 가열타이머(660)가 연결되어 상기 가열선(H)의 가동시간을 타이밍 제어하며, 상기 가열기하우징(610)의 상단은 커버(650)로 마감되고, 상기 커버(650)의 상단면에는 온도측정센서(640)가 설치되어 상기 온도측정센서(640)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가열제어기(630)가 상기 가열선(H)을 가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방배관(100)의 하단부에는 소방배관(100)의 일부를 분절하고 나사체결식으로 연결된 배출유닛(7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방배관(100) 내부에는 고정보스(BOS)가 일체로 성형되어 구비되고, 상기 배출유닛(700)을 구성하는 우회안내블럭(710)의 하단을 관통한 고정볼트(720)가 상기 고정보스(BOS)의 중앙을 관통하여 볼트체결되며, 상기 우회안내블럭(710)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반대쪽 측면에는 배수포트(730)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포트(730)에는 외부배수관(740)이 연결되며, 상기 외부배수관(740)에는 배수밸브(750)가 설치되고, 상기 소방배관(100) 외주면에는 배수컨트롤러(760)가 더 설치되며, 상기 배수컨트롤러(760)에는 외부온도검출기(770)가 설치되어 외부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수컨트롤러(760)의 내부에는 타이머가 내장되어 타이밍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부배수관(740)의 일부에는 배수감지센서(780)가 설치되어 외부배수관(740)을 통해 관류되는 배수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수컨트롤러(760)에는 상기 배수밸브(750) 및 배수감지센서(78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온도검출기(770)를 통해 검출된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배수밸브(750)가 미세하게 개방되면서 소방배관(100) 내부의 소화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켜 소화수가 유동되게 하여 얼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가 특허등록 제10-1707109호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는, 순환유도관(500)의 하측 외부에는 전열선(C)이 일정길이 권취되고, 소방배관(100)의 상단에는 국부가열기(600)가 더 설치되되, 'ㅜ'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된 가열기하우징(610)을 포함하고, 개방된 하단부 내부에는 가열선(H)이 내장된 후 동재질의 캡(620)으로 밀봉형성됨에 따라 전기로 항상 전열선(C)이나 가열선(H)을 가동시켜야 하므로 소요되는 전기비용이 많아 유지비용이 크게 부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7071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리자단말기의 콘트로러에 연결되는 히팅링과 온도감지센서 및 모터의 피니언기어에 맞물려 회동되는 블레이드가 형성된 동파방지틀을 소방에 관련된 배관의 일측에 연결장착함으로써 외기온도가 영하 주변에 머물때에는 모터를 구동시켜 블레이드를 회동시킴으로써 배관 내부에서 소방수의 흐름을 일으켜 흐름에 따른 마찰열에 의해 소방수가 어는 것을 방지하고, 외기온도가 영하 아래로 급박하게 내려가는 한파때에는 이에 더불어 히팅링을 가동시킴으로써 배관 내부의 소방수가 얼어 동파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물탱크와, 급수펌프와 연결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관되는 소방수공급배관과, 소방수공급배관의 상단과 물탱크를 연결하는 탱크연결관과, 건물의 각 층마다 구비된 다수의 소화전과, 각 소화전을 각각 소방수공급배관에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방수공급배관, 탱크연결관, 연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좌우한쌍으로 형성되어 공지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관체로, 일측단 내주연에는 상기 소방수공급배관, 탱크연결관, 연결관 중 어느 하나인 일측관체 선단부의 외측나사부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일측단 내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일측단 내측나사부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일측단 내측밀폐돌부가 형성되며, 타측단 내주연에는 상기 소방수공급배관, 탱크연결관, 연결관 중 어느 하나인 타측관체 선단부의 외측나사부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타측단 내측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단 내측나사부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타측단 내측밀폐돌부가 형성되며, 일측단 내측밀폐돌부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사이 일측에 내측으로 요부형성된 안착요부가 형성되고, 일측단 내측밀폐돌부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사이 타측에 온도감지센서가 장착되며, 안착요부 일측에는 외측으로 관통공이 통공형성되며, 관통공 외측에는 밀폐된 작동함체가 형성되는 동파방지틀;
상기 동파방지틀의 일측단 내측밀폐돌부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사이에 위치되는 링체로, 중심부 외주연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안착요부에 안착되어 회동되되 일측면에 랙기어부를 갖는 기어돌부가 돌출형성되고, 내주연에는 내측으로 나선형상으로 돌출되는 회류블레이드가 형성되어 회전시 내부 소방수의 회류를 발생시키는 회류발생링;
상기 동파방지틀의 작동함체에 위치고정되고 구동피니언기어가 관통공을 통해 상기 회류발생링의 기어돌부의 랙기어부와 기어결합되어 원격연결된 관리자단말기에 의해서 콘트롤러를 통해 상기 회류발생링을 동파방지틀 내에서 회동시키는 회류발생모터;
상기 동파방지틀의 일측단 내측밀폐돌부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사이의 안착요부에 위치되는 발열링체로, 원격연결된 관리자단말기에 의해서 콘트롤러를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링; 및
상기 동파방지틀의 일측단 내측밀폐돌부 외측면과 일측관체 선단면 사이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외측면과 타측관체 선단면 사이에 각각 밀착되게 위치되어 내부 소방수의 밀폐가 이루어지는 일측패킹과 타측패킹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가 0℃ ~ -3℃일 경우에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콘트롤러에 의해서 회류발생모터를 작동시켜 회류블레이드에 의해서 내부 소방수의 회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회류에 의한 마찰열로 인해 내부 소방수가 어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가 -3℃ 미만일 경우에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콘트롤러에 의해서 상기 히팅링을 가열시켜 열전도에 의해서 내부 소방수의 온도를 높여 소방수가 어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관리자단말기의 콘트로러에 연결되는 히팅링과 온도감지센서 및 모터의 피니언기어에 맞물려 회동되는 블레이드가 형성된 동파방지틀을 소방에 관련된 배관의 일측에 연결장착함으로써 외기온도가 영하 주변에 머물때에는 모터를 구동시켜 블레이드를 회동시킴으로써 배관 내부에서 소방수의 흐름을 일으켜 흐름에 따른 마찰열에 의해 소방수가 어는 것을 방지하고, 외기온도가 영하 아래로 급박하게 내려가는 한파때에는 이에 더불어 히팅링을 가동시킴으로써 배관 내부의 소방수가 얼어 동파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의 결합모습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발췌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1)는, 급수펌프(도시않음)와 연결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관되는 소방수공급배관(도시않음)과, 소방수공급배관의 상단과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물탱크(도시않음)를 연결하는 탱크연결관(도시않음)과, 건물의 각 층마다 구비된 다수의 소화전(도시않음)을 각각 소방수공급배관에 연결하는 연결관(도시않음)에 설치되는 동파방지장치로, 상기 소방수공급배관이나 탱크연결관 및 연결관에 관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관체인 동파방지틀(10,10a)과, 동파방지틀(10,10a)의 내부에서 회동하여 내부 소방수(90)의 회류를 발생시키는 회류발생링(20)과, 회류발생링(20)과 동력연결되어 콘트롤러(61)에 의해 회류발생링(20)을 동파방지틀(10,10a) 내부에서 회동시켜 소방수(90)의 회류를 발생시키는 회류발생모터(30)와, 한파발생시 인위적으로 소방수(90)의 온도를 높여 일측관체(70)와 타측관체(80)의 동파를 방지하는 히팅링(40)과, 동파방지틀(10,10a)과 일측관체(70) 및 타측관체(80)와의 완강한 밀폐를 이루는 일측패킹(50)과 타측패킹(50a)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방배관이라 함은 상기 소방배관, 탱크연결관, 연결관을 모두 포함하는 단어이다.
상기 동파방지틀(10,10a)은, 상기 소방수공급배관, 탱크연결관, 연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좌우한쌍으로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와 같은 공지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관체로, 일측단 내주연에는 상기 소방수공급배관, 탱크연결관, 연결관 중 어느 하나인 일측관체(70) 선단부의 외측나사부(71)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일측단 내측나사부(11)가 형성되고, 일측단 내측나사부(11)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일측단 내측밀폐돌부(12)가 형성되며, 타측단 내주연에는 상기 소방수공급배관, 탱크연결관, 연결관 중 어느 하나인 타측관체(80) 선단부의 외측나사부(81)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타측단 내측나사부(13)가 형성되고, 타측단 내측나사부(13)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타측단 내측밀폐돌부(14)가 형성되며, 일측단 내측밀폐돌부(12)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14) 사이 일측에 내측으로 요부형성된 안착요부(15)가 형성되고, 일측단 내측밀폐돌부(12)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14) 사이 타측에 온도감지센서(16)가 장착되며, 안착요부(15) 일측에는 외측으로 관통공(17)이 통공형성되며, 관통공(17) 외측에는 직육면체로 밀폐된 작동함체(18)가 형성된다.
상기 회류발생링(20)은, 상기 동파방지틀(10,10a)의 일측단 내측밀폐돌부(12)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14) 사이에 위치되는 링체로, 중심부 외주연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안착요부(15)에 안착되어 회동되되, 일측면에 랙기어부(23)를 갖는 기어돌부(22)가 돌출형성되고, 내주연에는 내측으로 다수개의 나선형상으로 돌출되는 회류블레이드(21)가 형성되어 동파방지틀(10,10a) 내부에서의 회전시 일측관체(70)와 타측관체(80) 내부의 소방수(90)에 회류를 발생시켜 마찰열을 생성시킴으로써 겨울철 외부기온에 의해 소방수(90)가 쉽게 얼어 일측관체(70)와 타측관체(80)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회류발생링(20)의 원활한 회동을 위해서 동파방지틀(10,10a)의 안착요부(15)에는 마찰을 피하기 위한 약간의 간극이 있어야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베어링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과 도면의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회류발생모터(30)는, 상기 동파방지틀(10,10a)의 직육면체 작동함체(18)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구동축(31)의 구동피니언기어(32)가 관통공(17)을 통해 상기 회류발생링(20)의 기어돌부(22)의 랙기어부(23)와 기어결합되어 원격연결된 관리자단말기(60)에 의해서 콘트롤러(61)를 통해 상기 회류발생링(20)을 동파방지틀(10,10a)의 안착요부(15) 내에서 회동시켜 일측관체(70)와 타측관체(80) 내부의 소방수(90)를 회류시킨다.
이때, 관리자단말기(60)의 콘트롤러(61)는 회류발생모터(30)의 구동축(31)의 회동을 일정방향으로만 회동시킬 수 있으나, 구동축(31)의 회동을 일정시간 대략 3~5초 간격으로 회동방향을 바꿈에 따라 구동피니언기어(32)의 회동방향도 일정시간 반복적으로 바꾸어 회동시킴으로써 회류발생링(20)의 회동방향도 정회전과 역회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회동되게 하여 소방수(90)의 회류방향에 변화를 주면서 회류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히팅링(40)은, 상기 동파방지틀(10,10a)의 일측단 내측밀폐돌부(12)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14) 사이의 안착요부(15)에 위치되는 발열링체로, 한파 발생시 외부기온의 급격한 하락으로 인해 일측관체(70)와 타측관체(80)의 동파 염려가 있을 시, 원격연결된 관리자단말기(60)에 의해서 콘트롤러(61)를 통해서 열을 발생시켜 열전도로 회류발생링(20)을 통해 소방수(90)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높임으로써 일측관체(70)와 타측관체(80) 내부의 소방수(90)가 얼어 일측관체(70)와 타측관체(80)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상기 일측패킹(50)과 타측패킹(50a)은, 링체로, 상기 동파방지틀(10,10a)의 일측단 내측밀폐돌부(12) 외측면과 일측관체(70) 선단면 사이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14) 외측면과 타측관체(80) 선단면 사이에, 각각 밀착되게 위치되어 내부 소방수(90)의 완강한 밀폐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소방수공급배관, 탱크연결관, 연결관 중 어느 하나인 일측관체(70) 선단부의 외측나사부(71)와 타측관체(80) 선단부의 외측나사부(81)에 볼트와 너트와 같은 공지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관체인 동파방지틀(10,10a)의 일측단 내측나사부(11)와 타측단 내측나사부(13)를 각각 체결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동파방지틀(10,10a) 내주연 일측의 온도감지센서(16)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가 0℃ ~ -3℃일 경우에는, 원격의 관리자단말기(60)를 통한 콘트롤러(61)에 의해서 회류발생모터(30)를 작동시켜 구동축(31)의 구동피니언기어(32)가 회동되어 기어결합된 회류발생링(20) 기어돌부(22)의 랙기어부(23)를 회동시키면, 회류발생링(20) 내주연의 다수개 회류블레이드(21)에 의해서 내부 소방수(90)의 회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회류에 의한 마찰열로 인해 내부 소방수(90)가 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외부의 한파로 인해 상기 온도감지센서(16)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가 -3℃ 미만일 경우에는, 회류발생모터(30)를 작동시켜 다수개 회류블레이드(21)에 의해서 내부 소방수(90)의 회류를 발생시킨 상태에서, 원격의 관리자단말기(60)를 통한 콘트롤러(61)에 의해서 동파방지틀(10,10a) 내부의 히팅링(40)을 가열시켜 열전도에 의해서 회류발생링(20)을 통해 내부 소방수(90)의 온도를 높여 소방수(90)가 어는 것을 더욱 방지하면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동파방지장치
10,10a : 동파방지틀 11 : 일측단 내측나사부
12 : 일측단 내측밀폐돌부 13 : 타측단 내측나사부
14 :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15 : 안착요부
16 : 온도감지센서 17 : 관통공
18 : 작동함체
20 : 회류발생링 21 : 회류블레이드
22 : 기어돌부 23 : 랙기어부
30 : 회류발생모터 31 : 구동축
32 : 구동피니언기어
40 : 히팅링
50 : 일측패킹 50a : 타측패킹
60 : 관리자단말기 61 : 콘트롤러
70 : 일측관체 71 : 외측나사부
80 : 타측관체 81 : 외측나사부
90 : 소방수

Claims (2)

  1.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물탱크와, 급수펌프와 연결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관되는 소방수공급배관과, 소방수공급배관의 상단과 물탱크를 연결하는 탱크연결관과, 건물의 각 층마다 구비된 다수의 소화전과, 각 소화전을 각각 소방수공급배관에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방수공급배관, 탱크연결관, 연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좌우한쌍으로 형성되어 공지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관체로, 일측단 내주연에는 상기 소방수공급배관, 탱크연결관, 연결관 중 어느 하나인 일측관체 선단부의 외측나사부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일측단 내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일측단 내측나사부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일측단 내측밀폐돌부가 형성되며, 타측단 내주연에는 상기 소방수공급배관, 탱크연결관, 연결관 중 어느 하나인 타측관체 선단부의 외측나사부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타측단 내측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단 내측나사부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타측단 내측밀폐돌부가 형성되며, 일측단 내측밀폐돌부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사이 일측에 내측으로 요부형성된 안착요부가 형성되고, 일측단 내측밀폐돌부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사이 타측에 온도감지센서가 장착되며, 안착요부 일측에는 외측으로 관통공이 통공형성되며, 관통공 외측에는 밀폐된 작동함체가 형성되는 동파방지틀;
    상기 동파방지틀의 일측단 내측밀폐돌부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사이에 위치되는 링체로, 중심부 외주연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안착요부에 안착되어 회동되되 일측면에 랙기어부를 갖는 기어돌부가 돌출형성되고, 내주연에는 내측으로 나선형상으로 돌출되는 회류블레이드가 형성되어 회전시 내부 소방수의 회류를 발생시키는 회류발생링;
    상기 동파방지틀의 작동함체에 위치고정되고 구동피니언기어가 관통공을 통해 상기 회류발생링의 기어돌부의 랙기어부와 기어결합되어 원격연결된 관리자단말기에 의해서 콘트롤러를 통해 상기 회류발생링을 동파방지틀 내에서 회동시키는 회류발생모터;
    상기 동파방지틀의 일측단 내측밀폐돌부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사이의 안착요부에 위치되는 발열링체로, 원격연결된 관리자단말기에 의해서 콘트롤러를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링; 및
    상기 동파방지틀의 일측단 내측밀폐돌부 외측면과 일측관체 선단면 사이와 타측단 내측밀폐돌부 외측면과 타측관체 선단면 사이에 각각 밀착되게 위치되어 내부 소방수의 밀폐가 이루어지는 일측패킹과 타측패킹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가 0℃ ~ -3℃일 경우에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콘트롤러에 의해서 회류발생모터를 작동시켜 회류블레이드에 의해서 내부 소방수의 회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회류에 의한 마찰열로 인해 내부 소방수가 어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가 -3℃ 미만일 경우에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콘트롤러에 의해서 상기 히팅링을 가열시켜 열전도에 의해서 내부 소방수의 온도를 높여 소방수가 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KR1020180050849A 2018-05-02 2018-05-02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KR101889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49A KR101889865B1 (ko) 2018-05-02 2018-05-02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49A KR101889865B1 (ko) 2018-05-02 2018-05-02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865B1 true KR101889865B1 (ko) 2018-08-20

Family

ID=6344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849A KR101889865B1 (ko) 2018-05-02 2018-05-02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86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403A (ko) * 2019-01-30 2020-08-0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류 발생 기능을 갖는 동파방지관
CN112197076A (zh) * 2020-10-26 2021-01-08 长隆重工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超低温流体装卸设备的连接结构
KR102313986B1 (ko) 2021-04-20 2021-10-15 이성규 건식 송수관의 동파 방지장치
CN114183585A (zh) * 2021-12-16 2022-03-15 湛超 一种避免流体低温冻结的柱塞阀
KR102467314B1 (ko) 2022-07-19 2022-11-16 (주)나이스에너지 건축물의 소방용 소방호스와 밸브장치
CN116104164A (zh) * 2023-04-17 2023-05-12 保定市尚泉供水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水鹤及其实施方法
KR102614308B1 (ko) 2023-03-29 2023-12-18 주식회사 스마일내진 동파 방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설비 및 소화배관의 화재 발생 방지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863U (ja) * 1991-12-11 1993-07-02 大成建設株式会社 水槽用凍結防止装置およびこれが設置された給水設備
KR20080093193A (ko) * 2007-04-16 2008-10-21 민승기 선박용 급배수파이프의 보온장치
KR20110089757A (ko) * 2010-02-01 2011-08-09 곽병관 수도관 동파방지용 순환펌프장치
KR20130072945A (ko) * 2011-12-22 2013-07-02 정연한 배관 동파방지 장치
KR101707109B1 (ko) 2016-05-23 2017-02-16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KR101850960B1 (ko) * 2017-08-03 2018-05-02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상하수관 동결방지를 위한 수관 보온구조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863U (ja) * 1991-12-11 1993-07-02 大成建設株式会社 水槽用凍結防止装置およびこれが設置された給水設備
KR20080093193A (ko) * 2007-04-16 2008-10-21 민승기 선박용 급배수파이프의 보온장치
KR20110089757A (ko) * 2010-02-01 2011-08-09 곽병관 수도관 동파방지용 순환펌프장치
KR20130072945A (ko) * 2011-12-22 2013-07-02 정연한 배관 동파방지 장치
KR101707109B1 (ko) 2016-05-23 2017-02-16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KR101850960B1 (ko) * 2017-08-03 2018-05-02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상하수관 동결방지를 위한 수관 보온구조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403A (ko) * 2019-01-30 2020-08-0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류 발생 기능을 갖는 동파방지관
KR102267421B1 (ko) * 2019-01-30 2021-06-2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류 발생 기능을 갖는 동파방지관
CN112197076A (zh) * 2020-10-26 2021-01-08 长隆重工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超低温流体装卸设备的连接结构
KR102313986B1 (ko) 2021-04-20 2021-10-15 이성규 건식 송수관의 동파 방지장치
CN114183585A (zh) * 2021-12-16 2022-03-15 湛超 一种避免流体低温冻结的柱塞阀
CN114183585B (zh) * 2021-12-16 2023-12-15 浙江德卡控制阀仪表有限公司 一种避免流体低温冻结的柱塞阀
KR102467314B1 (ko) 2022-07-19 2022-11-16 (주)나이스에너지 건축물의 소방용 소방호스와 밸브장치
KR102614308B1 (ko) 2023-03-29 2023-12-18 주식회사 스마일내진 동파 방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설비 및 소화배관의 화재 발생 방지 시스템
CN116104164A (zh) * 2023-04-17 2023-05-12 保定市尚泉供水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水鹤及其实施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865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KR101707109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 장치
US7845424B1 (en) Packaged residential fire sprinkler pump system
US4257479A (en) Heat exchanger and drain down for solar collector
KR101811240B1 (ko) 소방급수관용 동파방지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KR102126195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용 절첩형 동파방지시설
KR101880878B1 (ko)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
CN208519215U (zh) 一种方便清洁的防冻式球阀
KR101638785B1 (ko) 동파 방지 밸브 시스템
US6745580B1 (en) Combination P-trap, shutoff switch and cleanout fitting
US2062246A (en) Antifreezing device
KR101159544B1 (ko) 수도관 동파방지용 순환펌프장치
US9533894B2 (en) Water filtering system with temperature sensing
CN107929039A (zh) 电伴热立式洗眼器
US8535453B1 (en) Automated pipe clearing apparatus
JP4299413B2 (ja) 給水装置
CN209865081U (zh) 一种低温环境船用露天防冻湿式消防栓
CN104864601A (zh) 一种电热水器内胆排污结构及电热水器
KR20180000124U (ko) 수도배관 동파 방지장치
KR102512635B1 (ko) 급수모터 및 수도배관을 위한 동파방지용 자동낙수장치
JPS614592A (ja) 飲料水用オゾン浄水装置
KR101404540B1 (ko) 수도 계량기의 동결방지장치 및 방법
KR101321205B1 (ko) 벨로우즈 타입용 동파 방지구와 이를 적용한 수도계량기 및 열교환기
KR102648778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용 발열장치
CN207539987U (zh) 一种带防冻保护的低温环境热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