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878B1 -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 - Google Patents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878B1
KR101880878B1 KR1020180022808A KR20180022808A KR101880878B1 KR 101880878 B1 KR101880878 B1 KR 101880878B1 KR 1020180022808 A KR1020180022808 A KR 1020180022808A KR 20180022808 A KR20180022808 A KR 20180022808A KR 101880878 B1 KR101880878 B1 KR 101880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main body
water
fire
fire hyd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석
조승래
김철현
최병일
송인수
박영규
김명삼
정순구
Original Assignee
신진정공 주식회사
경상북도
주식회사 엔시드
(주)엘엔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정공 주식회사, 경상북도, 주식회사 엔시드, (주)엘엔제이 filed Critical 신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2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에 노출되는 소화전본체와 지하에 매설되는 연장통 사이에 냉기차단체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겨울철의 차가운 냉기가 소화전본체에 닿더라도 연장통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동파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소화전본체와 연장통과의 연결부분을 통해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진압 후 소화전본체와 연장통에 잔류하는 소방용수를 배수할 수 있어 소방용수의 잔류에 의한 동파를 방지하도록 하여 겨울철 화재 발생 시 지상 소화전을 통해 소방용수가 토출되지 않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IoT 스마트 장치에 의해 소방용수의 흐름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태양광전지부에 의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이 개시된다.

Description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The fire hydrant}
본 발명은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동파를 방지하도록 하고 소방용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수 수리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 소화전은 도시의 요소 도로변 또는 대형 건축물의 주변에 화재 진압에 소요되는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방재 시설물로서 설치된 후, 장시간에 걸쳐서 유지, 보수 및 사용될 수 있게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 제작 및 시공되어야 하며, 사용 빈도는 낮으나 화재 발생시 반드시 작동되어야 하는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방재 시설물이다.
이와 같이 옥외에 매립 설치되는 지상 소화전은 커버, 미들 보디, 연결보디, 밸브 통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밸브 통의 일측 측면에는 드레인과, 상기 본체 내부로 수직 입설되어 밸브 통에 위치한 개폐밸브와 하부가 연결되고 상부는 노출되어 회전에 따라 승강하면서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 축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종래 지상 소화전의 밸브 통에 드레인이 설치된 이유는 소화용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개폐밸브가 지하에 매설되는 밸브 통 내부에 위치하고 지상에 설치된 미들보디에 소방호스 배출구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화재 진화 시 상수관에서 소방호스 배출구까지의 연결관에 상수가 채워지게 되고 이는 진화종료시에도 배출시킬 수 없어 겨울철에는 결빙에 의한 동파나 상수배출이 차단되어 진화를 할 수 없게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잔류하는 소화용수를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지상 소화전의 경우 통상 주물로 이루어진 소화전 상부 본체가 외부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겨울철의 차가운 냉기가 노출된 소화전 상부 본체에 직접 닿게 되어 역시 주물로 이루어진 하부본체와 밸브 통에 냉기가 전달되어 소방용수가 얼게 됨은 물론 동파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방용수가 얼게 됨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소방용수가 상부몸체측으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화재의 진압에 어려움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소화전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들이 안출된 바 있다.
일예로, 등록특허 제10-0815608호인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터널내 소화전의 동파 방지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터널내의 양측부에 마련된 공동구에 소화전용 메인관을 배열하고, 메인관 에서 다수의 서브관을 분기한 후 터널내의 벽면에 설치된 옥내소화전과 연결하되, 상기 복수로 이루어진 메인관의 일단은 온수 순환용의 연결관을 설치하여 온수가 공급해더와 환수해더 및 순환관을 통해 열교환기로 순환될 수 있도록 폐루프 배관을 구성하고, 상기 공급해더와 환수해더에는 소방펌프 및, 동절기 메인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온수처리부를 순환관을 통해 연결 구성하며, 상기 소방펌프와 온수 처리부는 터널관리실내의 제어반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제10-1330219호인 옥외소화전 동파방지유닛 보호시스템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복수의 소화전에 각각 설치되는 동파방지유닛과, 상기 동파방지유닛을 중앙 제어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동파방지유닛 당 하나의 채널영역을 제공하는 중앙제어유닛과, 상기 중앙제어유닛의 제어명령을 중계하며 상기 동파방지유닛에 전달하도록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중계유닛과, 상기 중계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동파방지유닛이 작동하록 제어하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동파방지유닛은 배관 내부에 카트리지식으로 삽입 고정되어 상기 배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부와,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된 현재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배관 내부에 온수를 공급하거나 직접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와, 상기 옥외소화전 동파방지유닛 보호시스템의 통신 또는 기계적 결함시에도 상기 배관 내의 온도가 상기 제1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자체적으로 상기 가열부가 작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분리형 동력제어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온수에 의해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고는 있으나, 온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주어야 하는 문제점과 함께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설치에 따른 비용부담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한편, 종래 지상 소화전의 경우 소방용수의 흐름을 제대로 확인할 수 없어 소방용수의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소방용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15608호(2008.03.14.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30219호(2013.11.11. 등록)
본 발명은 지상에 노출되는 소화전본체와 지하에 매설되는 연장체 사이에 냉기차단체를 구비하여 소화전본체를 통해 냉기가 연장체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에 따른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하부본체와 연결되는 배수구 및 드레인부를 구비하여 화재 진압 후 잔류하는 소방용수를 용이하게 배수하여 잔류된 소방용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방용수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소방용수의 관리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화재 발생 시 소방용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은, 지하에 매설되고 수도관과 연결되며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개폐하는 물배출부가 상기 물배출부를 개폐하는 밸브체가 위치되고 일측에 배수구멍이 구비되며 상단에 밸브통플랜지를 갖는 밸브통과; 지하에 매설되고 상기 밸브통의 밸브통플랜지와 체결되는 연장통하부플랜지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에 연장통상부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체와 연결되는 스핀들이 수용되는 연장통과; 지상에 노출되고 상기 연장통의 연장통상부플랜지와 체결되는 본체하부플랜지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 둘레에는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스핀들과 연결되는 상부캡이 연결되는 소화전본체를 포함하는 지상 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와 상기 본체하부플랜지 사이에는 상기 지상에 노출되는 소화전본체를 통해 외부 냉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냉기차단체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통의 배수구멍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변좌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변좌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토출부측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할 때 소방용수의 누수를 방지하고 화재 진압 후 소화전본체와 연장통에 잔류하는 소방용수를 배수하여 동파를 방지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에는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하부플랜지에는 안착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냉기차단체는,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와 본체하부플랜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밀착돌부와 상기 안착돌부와 대응되는 밀착홈부를 갖는 냉기차단몸체와; 상기 냉기차단몸체의 외면을 덮어 주되 상기 밀착돌부에 위치되어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의 안착홈에 가압밀착되는 가압밀착부와 상기 본체하부플랜지의 안착돌부에 가압밀착되는 가압밀착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와 본체하부플랜지가 각각 가압밀착되는 냉기차단밀폐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냉기차단밀폐부의 가압밀착부와 가압밀착홈부에는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의 안착홈과 본체하부플랜지의 안착돌부가 가압밀착될 때 가압밀착부와 가압밀착홈부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찢어짐방지돌부가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와 본체하부플랜지가 밀착되는 냉기차단밀폐부에는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와 본체하부플랜지가 각각 가압밀착될 때 상기 냉기차단밀폐부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찢어짐방지홈부가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변좌는, 상기 밸브통과 상기 밸브체 사이에 위치되는 변좌몸체와; 상기 변좌몸체 상단에 구비되는 제1걸림턱부와; 상기 변좌몸체 외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밸브통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패킹수용부 및 상기 패킹수용부에 수용되는 패킹과; 상기 변좌몸체의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밸브통의 배수구멍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배수홀로 구비되고, 상기 밸브통 내측 상단에는, 상기 변좌몸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걸림턱부가 걸어지는 걸림단턱부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스핀들과 연결되어 스핀들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되어 상기 밸브통의 물배출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패킹을 갖는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소방용수가 상기 토출부측으로 공급될 때 상기 변좌몸체의 배수홀을 차단하여 소방용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디스크누름패킹과; 상기 디스크누름패킹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밸브몸체 외면에 구비되어 화재 진압후 잔류하는 소방용수가 상기 밸브통의 배수구멍측으로 배수되도록 가이드하는 배수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밸브통의 일측에는 밸브통측으로 공급되는 소방용수를 실시간 확인하도록 IoT 스마트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IoT 스마트장치는, 상기 밸브통과 연결되고 상단에 센서플랜지를 갖는 센서수용부가 수직연결되는 밸브통연결관과; 상기 센서수용부의 센서플랜지와 체결되는 수직본체와; 상기 센서수용부에 수용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실시간 저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시간 저장되는 센서부의 감지값을 관리자의 모니터에 무선으로 전달하는 무선송신부와; 상기 센서부와 제어부 및 무선송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와 무선송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전지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센서부는, 소방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소방용수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와; 소방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지상에 노출되는 소화전본체와 지하에 매설되는 연장통 사이에 냉기차단체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겨울철의 차가운 냉기가 소화전본체에 닿더라도 연장통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동파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소화전본체와 연장통과의 연결부분을 통해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진압 후 소화전본체와 연장통에 잔류하는 소방용수를 배수할 수 있어 소방용수의 잔류에 의한 동파를 방지하도록 하여 겨울철 화재 발생 시 지상 소화전을 통해 소방용수가 토출되지 않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IoT 스마트 장치에 의해 소방용수의 흐름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태양광전지부에 의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을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절개 생략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의 냉기차단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의 변좌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고 수도관과 연결되며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개폐하는 물배출부(11)가 상기 물배출부(11)를 개폐하는 밸브체(20)가 위치되고 일측에 배수구멍(12)이 구비되며 상단에 밸브통플랜지(13)를 갖는 밸브통(10)과, 지하에 매설되고 상기 밸브통(10)의 밸브통플랜지(13)와 체결되는 연장통하부플랜지(31)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에 연장통상부플랜지(32)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체(20)와 연결되는 스핀들(33)이 수용되는 연장통(30)과, 지상에 노출되고 상기 연장통(30)의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체결되는 본체하부플랜지(41)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 둘레에는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토출부(42)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스핀들(33)과 연결되는 상부캡(43)이 연결되는 소화전본체(40)를 포함하는 지상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화전본체(40)는 지상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소화전본체(40)와 연결되는 연장통(30) 및 상기 연장통(30)과 연결되는 밸브통(10)은 지하에 매설되는 것으로, 소방용수의 토출은 상기 소화전본체(40)의 상부캡(43)을 돌려 스핀들(33)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밸브체(20)가 하강되면서 밸브통(10)의 물배출부(11)를 통해 소방용수가 배출되고 배출된 소방용수는 상기 연장통(30)을 지나 상기 소화전본체(40) 내부로 유입되며 소화전본체(40) 내부로 유입된 소방용수는 상기 토출부(42)를 통해 토출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본 발명은, 겨울철 차가운 냉기가 지상에 노출되는 소화전본체(40)에 그대로 닿게 되더라도 소화전본체(40)에 닿은 냉기가 연장통(30)과 밸브통(10)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겨울철 차가운 냉기에 의한 동파를 방지하여 화재 발생 시 소방용수가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화재 진압 후 소화전본체(40)와 연장통(30) 내부에 잔류하는 소방용수를 배수하여 잔류하는 소방용수에 의해 동파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상기 본체하부플랜지(41) 사이에는 상기 지상에 노출되는 소화전본체(40)를 통해 외부 냉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냉기차단체(50)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통(10)의 배수구멍(12)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변좌(60)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체(60)는 상기 변좌(60)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토출부(42)측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할 때 소방용수의 누수를 방지하고 화재 진압 후 상기 소화전본체(40)와 상기 연장통(30)에 잔류하는 소방용수를 배수하여 동파를 방지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에는 안착홈(34)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하부플랜지(41)에는 안착돌부(4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냉기차단체(50)는,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안착홈(34)과 대응되는 밀착돌부(51)와 상기 안착돌부(44)와 대응되는 밀착홈부(52)를 갖는 냉기차단몸체(53)와, 상기 냉기차단몸체(53)의 외면을 덮어 주되 상기 밀착돌부(51)에 위치되어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의 안착홈(34)에 가압밀착되는 가압밀착부(54)와 상기 본체하부플랜지(41)의 안착돌부(44)에 가압밀착되는 가압밀착홈부(55)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가 각각 가압밀착되는 냉기차단밀폐부(56)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냉기차단밀폐부(56)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 가압에 의해 밀착되는 것이면 냉기차단밀폐부(56)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냉기차단체(50)의 냉기차단몸체(53)는 덕타일 주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기차단밀폐부(56)는 덕타일 주물로 이루어진 냉기차단몸체(53)의 표면에 코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통(30)의 연장통상부플랜지(32)에 안착홈(34)을 구비하고 소화전본체(40)의 본체하부플랜지(41)에 안착돌부(44)를 구비하는 이유는,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냉기차단체(50)가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 사이를 밀폐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 사이에 냉기차단체(50)를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 및 냉기차단체(50)를 볼팅결합할 때 상기 본체하부플랜지(41)가 연장통상부플랜지(32)측으로 밀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냉기차단체(50)를 강하게 밀착시키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기 냉기차단체(50)에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의 안착홈(34)과 안착돌부(44)에 각각 대응되는 가압밀착부(54)와 가압밀착홈부(55)가 각각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 및 냉기차단체(50)를 볼팅결합할 때 상기 본체하부플랜지(41)가 연장통상부플랜지(32)측으로 밀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밀착부(54)가 안착홈(34)에 위치되어 가압되고 상기 가압밀착홈부(55)가 안착돌부(44)에 위치되어 가압되기 때문에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 사이에 위치되는 냉기차단체(50)를 강하게 가압하여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상에 노출된 소화전본체(40)에 겨울철 차가운 냉기가 닿게 되더라도 냉기차단체(50)에 의해 연장통(30)측으로 냉기가 전달되지 않고 차단되기 때문에 겨울철의 동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 사이에 구비되는 냉기차단체(50)에 의해 소방용수가 연장통(30)을 지나 소화전본체(40)의 토출부(42)를 통해 토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 결합부분을 통해 소방용수가 새어나오는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냉기차단밀폐부(56)의 가압밀착부(54)와 가압밀착홈부(55)에는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의 안착홈(34)과 본체하부플랜지(41)의 안착돌부(44)가 가압밀착될 때 가압밀착부(54)와 가압밀착홈부(55)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찢어짐방지돌부(57)가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가 밀착되는 상기 냉기차단밀폐부(56)에는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가 각각 가압밀착될 때 상기 냉기차단밀폐부(56)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찢어짐방지홈부(58)가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찢어짐방지돌부(57)와 찢어짐방지홈부(58)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냉기차단체(50)에 찢어짐방지돌부(57)와 찢어짐방지홈부(58)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소화전본체(40)의 본체하부플랜지(41)와 연장통(30)의 연장통상부플랜지(32)가 볼팅 결합에 의해 서로 가압되어 눌러지면서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냉기차단체(50)의 냉기차단밀폐부(56)가 가압되어 눌러질 때 상기 찢어짐방지돌부(57)와 찢어짐방지홈부(58)에 의해 소화전본체(40)의 본체하부플랜지(41)와 연장통(30)의 연장통상부플랜지(32)의 볼팅결합에 의한 냉기차단밀폐부(56)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찢어지거나 훼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상기 냉기차단체(50)를 이루고 있는 냉기차단밀폐부(56)에 찢어짐방지돌부(57)가 냉기차단밀폐부(56)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가 각각 가압밀착될 때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찢어짐방지돌부(57)와 이 찢어짐방지돌부(57) 사이에 위치되는 냉기차단밀폐부(56)의 상부와 하부 표면에 의해 5중 지수 누수방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좌(60)는, 상기 밸브통(10)과 상기 밸브체(20) 사이에 위치되는 변좌몸체(61)와, 상기 변좌몸체(61) 상단에 구비되는 제1걸림턱부(62)와, 상기 변좌몸체(61) 외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밸브통(10)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패킹수용부(63) 및 상기 패킹수용부(63)에 수용되는 패킹(64)과, 상기 변좌몸체(61)의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밸브통(10)의 배수구멍(12)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배수홀(65)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밸브통(10) 내측 상단에는, 상기 변좌몸체(61)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기 제1걸림턱부(62)가 걸어지는 걸림단턱부(66)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체(20)는, 상기 스핀들(33)과 연결되어 스핀들(33)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되어 상기 밸브통(10)의 물배출부(11)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패킹(21)을 갖는 밸브몸체(22)와, 상기 밸브몸체(22)의 외면에 구비되어 소방용수가 상기 토출부(42)측으로 공급될 때 상기 변좌몸체(61)의 배수홀(65)을 차단하여 소방용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디스크누름패킹(23)과, 상기 디스크누름패킹(23)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밸브몸체(22) 외면에 구비되어 화재 진압후 잔류하는 소방용수가 상기 밸브통(10)의 배수구멍(12)측으로 배수되도록 가이드하는 배수구(2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변좌(60)는 상기 밸브통(10) 내측 상단에 구비되는 걸림단턱부(66)에 상기 변좌(60)의 제1걸림턱부(62)가 걸어진 후 상기 연장통(30)의 연장통하부플랜지(31)가 상기 밸브통(10) 상단에 체결될 때 상기 변좌(60)의 상단이 밀착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변좌(60)를 나사체결하여 조립하지 않아도 되어 조립에 따른 작업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소방용수가 소화전본체(40)측으로 공급될 때 상기 밸브체(20)가 하강되어 상기 변좌(60)의 배수홀(65)을 상기 밸브체(20)에 구비되는 디스크누름패킹(23)이 위치되어 배수홀(65)을 차단함에 따라 배수홀(65)을 통해 공급되는 소방용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진압 후 소방용수의 공급이 중지되면 밸브체(20)가 승강되어 상기 디스크누름패킹(23)에 의해 차단된 배수홀(65)에 상기 밸브체(20)의 배수구(24)가 위치되어 상기 소화전본체(40) 및 연장통(30) 내부에 잔류하는 소방용수가 상기 배수구(24)와 배수홀(65)을 통해 상기 배수구멍(12)측으로 안내되어 배수되기 때문에 소방용수의 잔류에 의한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밸브통(10)의 일측에는 상기 밸브통(10)측으로 공급되는 소방용수를 실시간 확인하도록 IoT 스마트장치(7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IoT 스마트장치(70)는, 상기 밸브통(10)과 연결되고 상단에 센서플랜지(71)를 갖는 센서수용부(72)가 수직연결되는 밸브통연결관(73)과, 상기 센서수용부(72)의 센서플랜지(71)와 체결되는 수직본체(74)와, 상기 센서수용부(72)에 수용되는 센서부(75)와, 상기 센서부(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75)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실시간 저장하는 제어부(76)와, 상기 제어부(76)에 의해 실시간 저장되는 센서부(75)의 감지값을 관리자의 모니터에 무선으로 전달하는 무선송신부(77)와, 상기 센서부(75)와 제어부(76) 및 무선송신부(7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75)와 무선송신부(77)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전지부(78)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센서부(75)는, 소방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751)와, 소방용수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752)와, 소방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753)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76)에는 상기 밸브통(10)에 구비되는 히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온도감지센서(753)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이 설정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상기 제어부(76)에 의해 히터부를 가동시켜 밸브통(10) 내부에 공급되는 소방용수의 동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때 히터부는 열선히터부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열선히터부에 필요한 전력은 상기 태양광전지부(78)를 통해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위감지센서(751)와 압력감지센서(752) 및 온도감지센서(753)로 이루어진 센서부(75)가 구비된 IoT 스마트장치(70)에 의해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소방용수에 대한 수위 및 압력과 온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소방용수에 대한 동결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소방용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밸브통 11 : 물배출부
12 : 배수구멍 20 : 밸브체
21 : 개폐패킹 22 : 밸브몸체
23 : 디스크누름패킹 24 : 배수구
30 : 연장통 31 : 연장통하부플랜지
32 : 연장통상부플랜지 33 : 스핀들
34 : 안착홈 40 : 소화전본체
41 : 본체하부플랜지 42 : 토출부
43 : 상부캡 44 : 안착돌부
50 : 냉기차단체 51 : 밀착돌부
52 : 밀착홈부 53 : 냉기차단몸체
54 : 가압밀착부 55 : 가압밀착홈부
56 : 냉기차단밀폐부 57 : 찢어짐방지돌부
58 : 찢어짐방지홈부 60 : 변좌
61 : 변좌몸체 62 : 제1걸림턱부
63 : 패킹수용부 64 : 패킹
65 : 배수홀 66 : 걸림단턱부
70 : IoT 스마트장치 71 : 센서플랜지
72 : 센서수용부 73 : 밸브통연결관
74 : 수직본체 75 : 센서부
76 : 제어부 77 : 무선송신부
78 : 태양광전지부 751 : 수위감지센서
752 : 압력감지센서 753 : 온도감지센서

Claims (6)

  1. 지하에 매설되고 수도관과 연결되며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개폐하는 물배출부(11)가 상기 물배출부(11)를 개폐하는 밸브체(20)가 위치되고 일측에 배수구멍(12)이 구비되며 상단에 밸브통플랜지(13)를 갖는 밸브통(10)과;
    지하에 매설되고 상기 밸브통(10)의 밸브통플랜지(13)와 체결되는 연장통하부플랜지(31)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에 연장통상부플랜지(32)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체(20)와 연결되는 스핀들(33)이 수용되는 연장통(30)과;
    지상에 노출되고 상기 연장통(30)의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체결되는 본체하부플랜지(41)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 둘레에는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토출부(42)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스핀들(33)과 연결되는 상부캡(43)이 연결되는 소화전본체(40)와;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상기 본체하부플랜지(41) 사이에는 상기 지상에 노출되는 소화전본체(40)를 통해 외부 냉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냉기차단체(50)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통(10)의 배수구멍(12)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변좌(60)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체(20)는 상기 변좌(60)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토출부(42)측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할 때 소방용수의 누수를 방지하고 화재 진압 후 상기 소화전본체(40)와 상기 연장통(30)에 잔류하는 소방용수를 배수하여 동파를 방지하도록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에는 안착홈(34)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하부플랜지(41)에는 안착돌부(44)가 구비되며,
    상기 냉기차단체(50)는,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안착홈(34)과 대응되는 밀착돌부(51)와 상기 안착돌부(44)와 대응되는 밀착홈부(52)를 갖는 냉기차단몸체(53)와;
    상기 냉기차단몸체(53)의 외면을 덮어 주되 상기 밀착돌부(51)에 위치되어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의 안착홈(34)에 가압밀착되는 가압밀착부(54)와 상기 본체하부플랜지(41)의 안착돌부(44)에 가압밀착되는 가압밀착홈부(55)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가 각각 가압밀착되는 냉기차단밀폐부(56)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차단밀폐부(56)의 가압밀착부(54)와 가압밀착홈부(55)에는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의 안착홈(34)과 본체하부플랜지(41)의 안착돌부(44)가 가압밀착될 때 가압밀착부(54)와 가압밀착홈부(55)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찢어짐방지돌부(57)가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가 밀착되는 상기 냉기차단밀폐부(56)에는 상기 연장통상부플랜지(32)와 본체하부플랜지(41)가 각각 가압밀착될 때 상기 냉기차단밀폐부(56)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찢어짐방지홈부(58)가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22808A 2018-02-26 2018-02-26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 KR101880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808A KR101880878B1 (ko) 2018-02-26 2018-02-26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808A KR101880878B1 (ko) 2018-02-26 2018-02-26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878B1 true KR101880878B1 (ko) 2018-07-20

Family

ID=6310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808A KR101880878B1 (ko) 2018-02-26 2018-02-26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8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3535A1 (de) * 2018-09-14 2020-03-18 Gebr. Kemper GmbH + Co. KG Metallwerke Elektronisch gesteuerte frostsichere auslaufarmatur
CN113622479A (zh) * 2021-07-16 2021-11-09 赵静 一种消防栓
KR102365422B1 (ko) 2021-07-13 2022-02-2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자가발전을 이용한 소화전의 화재 발생 알림 장치
KR102396333B1 (ko) 2021-06-30 2022-05-10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자가발전형 소화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5848Y2 (ko) * 1982-11-22 1991-07-30
JP3035848U (ja) * 1996-09-17 1997-04-04 北海道水道機材株式会社 地上式消火栓の保護カバー
JP2007147631A (ja) * 2001-02-19 2007-06-14 Hitachi Ltd 挿入形電磁流速計
KR100815608B1 (ko) 2007-03-19 2008-03-20 주식회사 국민에너지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터널내 소화전의 동파 방지장치
KR101330219B1 (ko) 2013-07-25 2013-12-02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옥외소화전 동파방지유닛 보호시스템
KR200481708Y1 (ko) * 2015-11-30 2016-11-02 (주)화이어대상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5848Y2 (ko) * 1982-11-22 1991-07-30
JP3035848U (ja) * 1996-09-17 1997-04-04 北海道水道機材株式会社 地上式消火栓の保護カバー
JP2007147631A (ja) * 2001-02-19 2007-06-14 Hitachi Ltd 挿入形電磁流速計
KR100815608B1 (ko) 2007-03-19 2008-03-20 주식회사 국민에너지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터널내 소화전의 동파 방지장치
KR101330219B1 (ko) 2013-07-25 2013-12-02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옥외소화전 동파방지유닛 보호시스템
KR200481708Y1 (ko) * 2015-11-30 2016-11-02 (주)화이어대상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3535A1 (de) * 2018-09-14 2020-03-18 Gebr. Kemper GmbH + Co. KG Metallwerke Elektronisch gesteuerte frostsichere auslaufarmatur
KR102396333B1 (ko) 2021-06-30 2022-05-10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자가발전형 소화전
KR102365422B1 (ko) 2021-07-13 2022-02-2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자가발전을 이용한 소화전의 화재 발생 알림 장치
CN113622479A (zh) * 2021-07-16 2021-11-09 赵静 一种消防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878B1 (ko)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
KR102015231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RU2225959C2 (ru) Клапан для газовых баллонов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CN109914988B (zh) 一种密闭门系统
KR101117952B1 (ko) 동파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66405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누수차단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배관시스템
CN109882742A (zh) 一种智能漏水保护装置及循环水保护系统
CA2482401A1 (en) An air valve assembly for a fire hydrant
KR101919334B1 (ko) 공기변실 긴급차단 시스템
CN209865081U (zh) 一种低温环境船用露天防冻湿式消防栓
CN108824559B (zh) 双检查口消防管道预制安全检查井
KR20170142299A (ko) 동결방지 가능한 제설시스템
KR102512635B1 (ko) 급수모터 및 수도배관을 위한 동파방지용 자동낙수장치
KR100700399B1 (ko) 동파방지 상수도관
KR101194158B1 (ko) 상수도용 부동전
CN211774171U (zh) 室外防冻直埋型消火栓
KR100698889B1 (ko) 상수도 맨홀 누수방지 시설
KR20050004607A (ko) 부동전
JP2012180711A (ja) 凍結破損防止機能を備えた吸気弁装置
KR100947184B1 (ko) 유체 개폐밸브
KR100975674B1 (ko)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동파방지 밸브
KR20200090284A (ko) 잔류용수 제거장치가 구비된 소화전
JP2000097502A (ja) 給湯装置
CN218740013U (zh) 一种防积水消防栓
US20240052607A1 (en) Purge controllers for plumb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