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673B1 - 옥내 소화전 - Google Patents

옥내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673B1
KR101887673B1 KR1020170138040A KR20170138040A KR101887673B1 KR 101887673 B1 KR101887673 B1 KR 101887673B1 KR 1020170138040 A KR1020170138040 A KR 1020170138040A KR 20170138040 A KR20170138040 A KR 20170138040A KR 101887673 B1 KR101887673 B1 KR 101887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ter supply
supply pi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향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138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4Pipe-line systems pressuris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겨울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옥내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소화전은 상기 급수관(30)의 기단부 일측에는 배수관(33)이 구비되며, 상기 급기관(61)에서 분기되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 일측에 연결된 분기관(62)과,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70)와, 상기 급기관(61)과 분기관(62)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급기관(61)과 분기관(62)을 통해 압력탱크(50)와 급수관(30)의 선단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와, 상기 연결관(51)의 중간부에 구비된 연결관개폐밸브(53)와, 상기 배수관(3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배출제어밸브(35)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와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와 배출제어밸브(35) 및 에어컴프레서(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배출제어밸브(35)를 개방하고,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를 폐쇄한 후, 상기 에어컴프레서(60)와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컴프레서(60)에서 발생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겨울철에 급수관(30) 내부, 특히,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저장된 물이 얼어, 급수관(30)이나 급수밸브(31)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옥내 소화전{indoor hydrant}
본 발명은 겨울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옥내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는 옥내소화전이 구비된다.
상기 옥내 소화전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내부에 구비된 소화전케이스(10)와, 수원에 연결된 급수펌프(20)와, 기단부는 상기 급수펌프(20)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소화전케이스(10)의 내부로 연장되며 선단부에는 급수밸브(31)가 구비된 급수관(30)과, 상기 급수밸브(31)에 연결된 소방호스(40)와, 연결관(51)을 통해 상기 급수관(30)의 중간부에 연결된 압력탱크(50)와, 급기관(61)을 통해 상기 압력탱크(50)에 연결되어 압력탱크(5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에어컴프레서(60)로 구성된다.
상기 소화전케이스(10)는 전면에 도어가 구비된 사각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건축물의 각 층의 벽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급수펌프(20)는 건축물 지하의 기계실 등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펌프(20)가 연결되는 수원은 건축물의 지하에 마련된 물탱크(21) 또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도관 등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급수펌프(20)는 구동될 때는 수원의 물을 가압하여 상기 급수관(30)으로 공급하고, 정지되었을 때는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상기 수원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관(30)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선단부는 다수개로 분기되어 각각의 소화전케이스(10)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소방호스(40)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소화전케이스(10)의 내부에 수납된다.
상기 압력탱크(50)는 내부에 일정한 압력의 공기가 저장된 것으로, 일측에는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수단(52)이 구비되어, 상기 급수밸브(31)가 개방되거나, 상기 급수관(30)에 누수가 발생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력측정수단(52)은 상기 압력탱크(50) 내부의 압력이 규정값 이하로 저하되면 on되는 압력스위치를 이용한다.
즉, 상기 압력탱크(50)에 의해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급수관(3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은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급수밸브(31)가 개방되어 물이 상기 소방호스(40)로 배출되는 경우나, 급수관(30)의 중간부에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압력탱크(50) 내부의 압력이 저하됨으로, 상기 압력측정수단(52)을 통해 이를 측정하여 급수밸브(31)가 개방되거나 급수관(30)에 누수가 발생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상기 도어를 열고 소방호스(40)를 화재가 발생된 곳까지 연장시킨 후, 상기 급수밸브(31)를 열면 상기 급수펌프(20)에 의해 공급된 물이 상기 소방호스(40)의 단부를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옥내 소화전은 상기 급수관(30)의 내부에 물이 저장된다.
따라서, 겨울철에 급수관(30)의 내부에 저장된 물, 특히, 상기 소화전케이스(10)의 내부로 연장된 급수관(30)의 선단부에 저장된 물이 얼어서, 상기 급수관(30)이나 급수밸브(31)가 동파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36359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겨울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옥내 소화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에 구비된 소화전케이스(10)와, 수원에 연결된 급수펌프(20)와, 기단부는 상기 급수펌프(20)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소화전케이스(10)의 내부로 연장되며 선단부에는 급수밸브(31)가 구비된 급수관(30)과, 상기 급수밸브(31)에 연결된 소방호스(40)와, 연결관(51)을 통해 상기 급수관(30)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수단(52)이 구비된 압력탱크(50)와, 급기관(61)을 통해 상기 압력탱크(50)에 연결되어 압력탱크(5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에어컴프레서(60)를 포함하는 옥내 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30)의 기단부 일측에는 배수관(33)이 구비되며, 상기 급기관(61)에서 분기되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 일측에 연결된 분기관(62)과,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70)와, 상기 급기관(61)과 분기관(62)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급기관(61)과 분기관(62)을 통해 압력탱크(50)와 급수관(30)의 선단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와, 상기 연결관(51)의 중간부에 구비된 연결관개폐밸브(53)와, 상기 배수관(3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배출제어밸브(35)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와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와 배출제어밸브(35) 및 에어컴프레서(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배출제어밸브(35)를 개방하고,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를 폐쇄한 후, 상기 에어컴프레서(60)와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컴프레서(60)에서 발생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소화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는 배기공(32)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33)의 중간부에는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배출된 물의 수량을 측정하는 수량계(34)와, 상기 배기공(32)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9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배기공개폐밸브(3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수량계(34)와 상기 압력측정수단(5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량계(34)의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이 배수관(33)을 통해 배출되면, 상기 배출제어밸브(35)와 제2 급기제어밸브(64)를 밀폐하고, 상기 제1 급기제어밸브(63)와 연결관개폐밸브(53)를 개방한 후, 상기 압력측정수단(52)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에어컴프레서(60)와 배기공개폐밸브(36)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압력탱크(50) 내부의 기압을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소화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 내측에 상기 배기공(32)의 내측에 근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90)에 연결된 물감지센서(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를 밀폐하고 배기공개폐밸브(36)를 개방한 후, 상기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급수관(3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물감지센서(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까지 물이 공급되면, 상기 배기공개폐밸브(36)를 밀폐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펌프(20)를 정지시키고,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소화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화전케이스(10)의 전면에는, 상기 급수관(30)의 내부에 물이 찬 상태에서 점등되는 급수상태표시램프(11)와,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배출된 상태에서 점등되는 배수상태표시램프(12)와,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펌프(20)가 구동되어 물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1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소화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소화전은 상기 급수관(30)의 기단부 일측에는 배수관(33)이 구비되며, 상기 급기관(61)에서 분기되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 일측에 연결된 분기관(62)과,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70)와, 상기 급기관(61)과 분기관(62)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급기관(61)과 분기관(62)을 통해 압력탱크(50)와 급수관(30)의 선단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와, 상기 연결관(51)의 중간부에 구비된 연결관개폐밸브(53)와, 상기 배수관(3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배출제어밸브(35)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와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와 배출제어밸브(35) 및 에어컴프레서(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배출제어밸브(35)를 개방하고,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를 폐쇄한 후, 상기 에어컴프레서(60)와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컴프레서(60)에서 발생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겨울철에 급수관(30) 내부, 특히,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저장된 물이 얼어, 급수관(30)이나 급수밸브(31)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옥내 소화전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소화전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소화전의 회로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소화전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소화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소화전케이스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소화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 소화전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옥내소화전은 건축물의 내부에 구비된 소화전케이스(10)와, 수원에 연결된 급수펌프(20)와, 기단부는 상기 급수펌프(20)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소화전케이스(10)의 내부로 연장되며 선단부에는 급수밸브(31)가 구비된 급수관(30)과, 상기 급수밸브(31)에 연결된 소방호스(40)와, 연결관(51)을 통해 상기 급수관(30)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수단(52)이 구비된 압력탱크(50)와, 급기관(61)을 통해 상기 압력탱크(50)에 연결되어 압력탱크(5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에어컴프레서(60)를 포함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수원은 내부에 물이 저장된 물탱크(21)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21)와 급수펌프(20)는 건축물의 지하에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 일측에는 배기공(32)이 형성되고, 급수관(30)의 기단부 일측에는 배수관(33)이 구비된다.
상기 배수관(33)은 상기 물탱크(21)에 연결되어, 급수관(30) 내부의 물을 물탱크(21)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관(61)에서 분기되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 일측에 연결된 분기관(62)과,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70)와, 상기 배수관(33)의 중간부에 구비된 수량계(34)와,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 내측에 상기 배기공(32)의 내측에 근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90)에 연결된 물감지센서(80)와, 상기 급기관(61)과 분기관(62)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급기관(61)과 분기관(62)을 통해 압력탱크(50)와 급수관(30)의 선단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와, 상기 연결관(51)의 중간부에 구비된 연결관개폐밸브(53)와, 상기 배수관(3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배출제어밸브(35)와, 상기 배기공(32)에 구비된 배기공개폐밸브(36)와, 상기 압력측정수단(52)과 온도센서(70)와 수량계(34) 및 물감지센서(8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와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와 배출제어밸브(35)와 배기공개폐밸브(36) 및 에어컴프레서(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이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분기관(62)은 상기 급기관(61)의 기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컴프레서(60)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를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도센서(70)는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 외측 둘레면에 구비되어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가 내부에 내부에 저장된 물이 얼 정도의 온도로 저하되는 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량계(34)는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물탱크(21)로 배출되는 물의 수량을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물감지센서(80)는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전극(81)이 구비된 것으로, 일측의 전극(81)으로 미세 전기를 인가하고, 타측의 전극(81)으로 전기가 검출되는 지를 확인함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급수펌프(20)를 이용하여 급수관(3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때, 급수관(30)의 선단부까지 물이 차오르면 이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 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4)와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와 배출제어밸브(35) 및 배기공개폐밸브(36)는 상기 제어수단(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급기관(61)과 분기관(62)과 연결관(51)과 배수관(33)의 중간부 및 배기공(32)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제1 급기제어밸브(63)는 상기 급기관(6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관(61)을 통해 압력탱크(50)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제2 급기제어밸브(64)는 상기 분기관(6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관(62)을 통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바람직하게는 물이 어는 0℃) 이하로 낮아지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제어밸브(35)를 개방하고,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를 폐쇄한 후, 상기 에어컴프레서(60)를 구동시키고 제1 급기제어밸브(63)는 폐쇄하고 상기 제2 급기제어밸브(64)는 개방하여, 상기 에어컴프레서(60)에서 발생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상기 물탱크(21)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수량계(34)의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이 배수관(33)을 통해 배출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제어밸브(35)와 제2 급기제어밸브(64)를 밀폐하고, 상기 제1 급기제어밸브(63)와 연결관개폐밸브(53)를 개방한 후, 상기 압력측정수단(52)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에어컴프레서(60)와 배기공개폐밸브(36)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압력탱크(50) 내부의 기압을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한다.
즉,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을 배출할 때는 상기 분기관(62)을 통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함으로, 급수관(30) 내부의 기압이 기준압력에 비해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펌프를 정지시키고 상기 배출제어밸브(35)와 제2 급기제어밸브(64)를 밀폐한 후, 상기 연결관(51) 개폐밸브를 개방하면, 상기 압력탱크(50) 내부의 공기의 압력이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기압에 따라 기준기압에 비해 낮아지거나 높아지게 되며, 상기 압력탱크(50)가 상기 급수밸브(31)가 개방되거나, 상기 급수관(30)에 누수가 발생되는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의 배출이 완료된 후, 상기 압력측정수단(52)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에어컴프레서(60)를 작동시켜 압력탱크(5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압력탱크(50) 내부의 기압을 상승시키거나, 상기 배기공개폐밸브(36)를 개방하여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탱크(50) 내부의 기압이 낮아지도록 하여, 상기 압력탱크(50) 내부의 기압을 기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압력탱크(50)가 상기 급수밸브(31)가 개방되거나, 상기 급수관(30)에 누수가 발생되는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를 밀폐하고 배기공개폐밸브(36)를 개방한 후, 상기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급수관(3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물감지센서(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까지 물이 공급되면, 상기 배기공개폐밸브(36)를 밀폐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펌프(20)를 정지시키고,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까지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기공개폐밸브(36)를 개방한 후 상기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급수관(3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면,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공(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급수관(30)의 내부로 물이 원활히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옥내 소화전은 상기 급수관(30)의 기단부 일측에는 배수관(33)이 구비되며, 상기 급기관(61)에서 분기되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 일측에 연결된 분기관(62)과,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70)와, 상기 급기관(61)과 분기관(62)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급기관(61)과 분기관(62)을 통해 압력탱크(50)와 급수관(30)의 선단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와, 상기 연결관(51)의 중간부에 구비된 연결관개폐밸브(53)와, 상기 배수관(3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배출제어밸브(35)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와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와 배출제어밸브(35) 및 에어컴프레서(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배출제어밸브(35)를 개방하고,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를 폐쇄한 후, 상기 에어컴프레서(60)와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컴프레서(60)에서 발생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겨울철에 급수관(30) 내부, 특히,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저장된 물이 얼어, 급수관(30)이나 급수밸브(31)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는 배기공(32)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33)의 중간부에는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배출된 물의 수량을 측정하는 수량계(34)와, 상기 배기공(32)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9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배기공개폐밸브(36)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수량계(34)와 상기 압력측정수단(5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량계(34)의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이 배수관(33)을 통해 배출되면, 상기 배출제어밸브(35)와 제2 급기제어밸브(64)를 밀폐하고, 상기 제1 급기제어밸브(63)와 연결관개폐밸브(53)를 개방한 후, 상기 압력측정수단(52)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에어컴프레서(60)와 배기공개폐밸브(36)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압력탱크(50) 내부의 기압을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불필요하게 과도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급수관(30)의 내부에 일정수량의 물이 남아있도록 함으로써, 화재가 발생되어, 급수펌프(20)가 구동되어 급수관(3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때,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상기 소방호스(40)로 공급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과도하게 길어져 화재진압이 늦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 내측에는 상기 배기공(32)의 내측에 근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90)에 연결된 물감지센서(8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를 밀폐하고 배기공개폐밸브(36)를 개방한 후, 상기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급수관(3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물감지센서(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까지 물이 공급되면, 상기 배기공개폐밸브(36)를 밀폐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펌프(20)를 정지시키고,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를 개방한다.
따라서, 급수관(30)의 선단부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어, 물이 얼지 않게 되면, 자동으로 급수관(30)의 선단부까지 물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발생시 급수펌프(20)가 구동되어 소방호스(40)로 물이 공급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소화전케이스(10)의 전면에는, 급수상태표시램프(11)와 배수상태표시램프(12) 및 디스플레이수단(1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급수상태표시램프(11)와 배수상태표시램프(12)는 상기 제어수단(90)에 연결되어 제어수단(90)의 제어에 따라 점소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90)에 의해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배출될 때는 상기 배수상태표시램프(12)가 점등되고, 상기 제어수단(90)에 의해 상기 급수관(30)의 내부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급수상태표시램프(11)가 점등되어, 옥내 소화전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급수관(30) 내부의 물의 저장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3)은 숫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된 LED패널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90)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펌프(20)가 구동되어 물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을 배출할 때는 정해진 양만큼의 물만 배출하며, 이때, 상기 급수펌프(20)의 급수량은 정해져 있음으로, 급수관(30) 내부의 물을 배출한 상태에서, 급수펌프(20)가 가동되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까지 물이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배출된 상태에서, 급수펌프(20)가 작동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3)에 물이 급수관(30)의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언제 물이 도달하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옥내 소화전은 상기 소화전케이스(10)의 전면에는, 상기 급수관(30)의 내부에 물이 찬 상태에서 점등되는 급수상태표시램프(11)와,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배출된 상태에서 점등되는 배수상태표시램프(12)와,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펌프(20)가 구동되어 물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13)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급수관(30)의 내부에 물이 차있는지 또는 물이 배출되었는지를 확인하고,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급수밸브(31)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급수관(30)의 단부에 언제 물이 공급되는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일반적인 옥내 소화전의 경우, 상기 급수관(30)의 내부에 물이 찬 상태를 유지함으로, 화재가 발생되어 사용자가 상기 급수밸브(31)를 개방하면, 즉시 상기 소방호스(40)로 물이 공급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가 정해진 온도 이하로 저하되면, 급수관(30) 내부의 물을 배출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급수밸브(31)를 개방할 경우, 상기 급수펌프(20)에 의해 공급된 물이 급수관(30)의 선단부로 공급될 때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때, 사용자가 급수관(30)의 선단부로 물이 공급되는 정확한 시간을 알지 못할 경우, 물이 공급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여 소방호스(40)의 선단부를 엉뚱한 곳을 향하도록 하거나, 급수밸브(31)를 열거나 닫는 것을 반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물이 엉뚱한 곳에 분사되어 불필요한 피해를 발생시키거나, 소방호스(40)로 물이 공급되는 시간이 늦어져 화재진압이 늦어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급수상태표시램프(11)와 배수상태표시램프(12) 및 디스플레이수단(13)을 확인하여,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정확히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소화전케이스 20. 급수펌프
30. 급수관 40. 소방호스
50. 압력탱크 60. 에어컴프레서
70. 온도센서 80. 물감지센서
90. 제어수단

Claims (4)

  1. 건축물의 내부에 구비된 소화전케이스(10)와,
    수원에 연결된 급수펌프(20)와,
    기단부는 상기 급수펌프(20)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소화전케이스(10)의 내부로 연장되며 선단부에는 급수밸브(31)가 구비된 급수관(30)과,
    상기 급수밸브(31)에 연결된 소방호스(40)와,
    연결관(51)을 통해 상기 급수관(30)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수단(52)이 구비된 압력탱크(50)와,
    급기관(61)을 통해 상기 압력탱크(50)에 연결되어 압력탱크(5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에어컴프레서(60)를 포함하는 옥내 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30)의 기단부 일측에는 배수관(33)이 구비되며,
    상기 급기관(61)에서 분기되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 일측에 연결된 분기관(62)과,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70)와,
    상기 급기관(61)과 분기관(62)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급기관(61)과 분기관(62)을 통해 압력탱크(50)와 급수관(30)의 선단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와,
    상기 연결관(51)의 중간부에 구비된 연결관개폐밸브(53)와,
    상기 배수관(3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배출제어밸브(35)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와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와 배출제어밸브(35) 및 에어컴프레서(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배출제어밸브(35)를 개방하고,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를 폐쇄한 후, 상기 에어컴프레서(60)와 제1 및 제2 급기제어밸브(63,6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컴프레서(60)에서 발생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소화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에는 배기공(32)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33)의 중간부에는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배출된 물의 수량을 측정하는 수량계(34)와,
    상기 배기공(32)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9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배기공개폐밸브(3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수량계(34)와 상기 압력측정수단(5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량계(34)의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이 배수관(33)을 통해 배출되면, 상기 배출제어밸브(35)와 제2 급기제어밸브(64)를 밀폐하고, 상기 제1 급기제어밸브(63)와 연결관개폐밸브(53)를 개방한 후, 상기 압력측정수단(52)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에어컴프레서(60)와 배기공개폐밸브(36)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압력탱크(50) 내부의 기압을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소화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 내측에 상기 배기공(32)의 내측에 근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90)에 연결된 물감지센서(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0) 선단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를 밀폐하고 배기공개폐밸브(36)를 개방한 후, 상기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급수관(3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물감지센서(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까지 물이 공급되면, 상기 배기공개폐밸브(36)를 밀폐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펌프(20)를 정지시키고, 상기 연결관개폐밸브(53)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소화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케이스(10)의 전면에는,
    상기 급수관(30)의 내부에 물이 찬 상태에서 점등되는 급수상태표시램프(11)와,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배출된 상태에서 점등되는 배수상태표시램프(12)와,
    상기 급수관(30) 내부의 물이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펌프(20)가 구동되어 물이 상기 급수관(30)의 선단부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1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소화전.
KR1020170138040A 2017-10-24 2017-10-24 옥내 소화전 KR10188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040A KR101887673B1 (ko) 2017-10-24 2017-10-24 옥내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040A KR101887673B1 (ko) 2017-10-24 2017-10-24 옥내 소화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673B1 true KR101887673B1 (ko) 2018-08-10

Family

ID=6322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040A KR101887673B1 (ko) 2017-10-24 2017-10-24 옥내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6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130B1 (ko) * 2020-07-13 2021-02-10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유지보수가 용이한 옥내 소화전
KR102215131B1 (ko) * 2020-07-13 2021-02-10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KR102489770B1 (ko) * 2021-12-13 2023-01-18 (주)미래기술 이엔지 수납이 용이한 옥내소화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469A (ja) 2003-03-03 2004-09-24 Nohmi Bosai Ltd 消火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469A (ja) 2003-03-03 2004-09-24 Nohmi Bosai Ltd 消火設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130B1 (ko) * 2020-07-13 2021-02-10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유지보수가 용이한 옥내 소화전
KR102215131B1 (ko) * 2020-07-13 2021-02-10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KR102489770B1 (ko) * 2021-12-13 2023-01-18 (주)미래기술 이엔지 수납이 용이한 옥내소화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673B1 (ko) 옥내 소화전
US20080295895A1 (en) Water leakage and fault sensing system
US10428495B2 (en) Simplified leak detection in a plumbing system using pressure decay principle
US8402984B1 (en) Flood preven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8439062B1 (en) Flood preven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14034027A (ja) 二流体噴霧装置
KR101631229B1 (ko)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
US20210093907A1 (en) Valve system and method for venting and measuring a gas content of a fire suppression system
KR20100052441A (ko)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JP3576313B2 (ja) 自動給水機の漏水遮断装置
KR101935601B1 (ko) 스프링 쿨러
CN110822163A (zh) 漏水保护器
KR20060091331A (ko) 스프링클러 시험 밸브함
KR20060115307A (ko)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누수차단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배관시스템
CN211175608U (zh) 漏水保护器
KR20190069037A (ko) 양변기용 물탱크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15130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옥내 소화전
KR101795436B1 (ko) 에어컨의 배수관 누수 시험 장치
JP5377391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US20080295897A1 (en) Dual range flow sensor
KR102215131B1 (ko) 누수검사기능이 있는 옥내 소화전
KR200346726Y1 (ko) 간이상수도의 자동 수위 조절장치
KR100584471B1 (ko) 결빙 방지장치
CN214894575U (zh) 一种出水器低温测试装置
KR101529172B1 (ko) 전자식 압력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