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229B1 -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229B1
KR101631229B1 KR1020140095068A KR20140095068A KR101631229B1 KR 101631229 B1 KR101631229 B1 KR 101631229B1 KR 1020140095068 A KR1020140095068 A KR 1020140095068A KR 20140095068 A KR20140095068 A KR 20140095068A KR 101631229 B1 KR101631229 B1 KR 101631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storage tank
valv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3476A (ko
Inventor
이동건
이동기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Priority to KR1020140095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229B1/ko
Publication of KR2016001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는: 지상에서 땅속으로 연장되는 연결관로와, 연결관로에 연결되어 소화수를 공급받으며 땅속에 묻힌 상태로 설치되는 저장탱크부와, 저장탱크부로 공급되는 가압가스가 내측에 저장되며 연결관로에 연결되는 가스탱크부 및 저장탱크부에서 외측으로 배출되는 소화수를 안내하는 배출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WATER SUPPLY DEVICE FOR EXTINGUISH OF FOREST FIRE}
본 발명은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절기에도 산불 진화용 소화수를 용이하게 공급하여 산불을 용이하게 진화할 수 있는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불이 발생하였을 경우, 헬기가 이륙하여 근처의 호수나 강에서 소화용 물을 취수하여 화재진압에 사용한다. 그러나 동절기에는 호수의 물이 얼어서 결빙을 형성하므로 소화에 필요한 물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산불이 나고 큰불이 진화된 후 잔불 처리를 위하여 인력이 투입되면, 투입된 인력에게는 등에 질 수 있는 물통이 지급되며, 수동으로 펌핑하여 나온 물을 이용하여 잔불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46773호(2014.04.21 공개, 발명의 명칭: 수막을 이용한 산불방지 급수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절기에도 산불 진화용 소화수를 용이하게 공급하여 산불을 용이하게 진화할 수 있는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는: 지상에서 땅속으로 연장되는 연결관로와, 연결관로에 연결되어 소화수를 공급받으며 땅속에 묻힌 상태로 설치되는 저장탱크부와, 저장탱크부로 공급되는 가압가스가 내측에 저장되며 연결관로에 연결되는 가스탱크부 및 저장탱크부에서 외측으로 배출되는 소화수를 안내하는 배출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으로 돌출된 연결관로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화수를 집수하는 집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집수부의 상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집수부의 하측은 연결관로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관로는, 집수부에 연결되는 제1관로와, 가스탱크부에 연결되는 제2관로와, 제1관로와 제2관로를 연결하는 이음관로 및 이음관로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저장탱크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공급관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관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공급밸브 및 배출관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배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탱크부는 설정된 깊이로 땅속에 묻혀서 소화수의 동결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관로의 하측은 저장탱크부의 하측에 연결되며, 배출관로의 상측은 지상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탱크부에 저장되는 가압가스는 고압공기 또는 액화가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는, 소화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부가 땅속에 묻힌 상태로 설치되므로 동절기에도 소화수의 동결을 방지하여 화재 진화에 사용될 소화수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불 발생시 가스탱크부에 저장된 가압가스가 저장탱크부로 공급되어 배출관로를 통하여 소화수의 배출이 강제로 이루어지므로 산불의 진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1)는, 지상에서 땅속으로 연장되는 연결관로(50)와, 연결관로(50)에 연결되어 소화수(80)를 공급받으며 땅속에 묻힌 상태로 설치되는 저장탱크부(20)와, 저장탱크부(20)로 공급되는 가압가스(90)가 내측에 저장되며 연결관로(50)에 연결되는 가스탱크부(30) 및 저장탱크부(20)에서 외측으로 배출되는 소화수(80)를 안내하는 배출관로(40)를 포함한다.
집수부(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화수(80)를 내측에 집수하여 하측에 연결된 연결관로(50)로 배출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10)의 상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집수부(10)의 하측은 지상으로 돌출된 연결관로(50)에 연결된다. 집수부(10)는 지면의 상측에 위치하며, 집수부(10)에 연결된 연결관로(50)는 땅속을 향하여 연장된다.
저장탱크부(20)는 집수부(10)와 연결관로(50)로 연결되어 집수부(10)의 하측에 위치하며, 내측에는 소화수(80)가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또한 저장탱크부(20)는 설정된 깊이로 땅속에 묻혀서 동절기에도 소화수(80)의 동결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부(20)는 지면에서 30내지 60cm의 깊이로 묻히므로 소화수(80)가 지열에 의해 동결됨이 방지된다.
저장탱크부(20)의 상측에는 연결관로(50)가 연결되며, 저장탱크부(20)의 하측에는 배출관로(40)가 연결된다.
가스탱크부(30)는 저장탱크부(20)로 공급되는 가압가스(90)가 내측에 저장되며, 연결관로(50)에 연결되어 저장탱크부(20)로 가압가스(90)를 공급한다. 가스탱크부(30)는 지면의 상측에 놓여있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가스탱크부(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면의 내측에 묻을 수 있다.
가스탱크부(30)에 저장되는 가압가스(90)는 고압공기 또는 액화가스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의 기체가 가스탱크부(30)에 저장될 수 있다.
가스탱크부(30)의 상측에는 게이지(32)와 탱크밸브(34)가 설치된다. 게이지(32)를 통하여 가스탱크부(30)의 내측 압력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탱크밸브(34)를 통해 가스탱크부(30)에서 배출되는 가압가스(90)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배출관로(40)는 저장탱크부(20)에서 외측으로 배출되는 소화수(80)를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관로(40)의 하측은 저장탱크부(20)의 하측에 연결되며 배출관로(40)의 상측은 지상으로 돌출되므로, 저장탱크부(20)에 저장된 소화수(80)의 배출을 안내한다.
집수부(10)와 가스탱크부(30)와 저장탱크부(20)에 연결된 연결관로(50)는 지상에서 땅속으로 연장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로(50)는, 집수부(10)에 연결되는 제1관로(52)와, 가스탱크부(30)에 연결되는 제2관로(54)와, 제1관로(52)와 제2관로(54)를 연결하는 이음관로(56)와, 이음관로(56)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저장탱크부(20)의 상측에 연결되는 공급관로(58)를 포함한다.
제2관로(54)는 가스탱크부(30)의 탱크밸브(34)에 연결되며, 공급관로(58)는 땅속으로 연장되어 저장탱크부(20)의 상측에 연결된다.
공급밸브(60)는 제1관로(52)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며,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개폐된다. 배출밸브(62)도 배출관로(40)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며,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개폐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산불이 발생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탱크밸브(34)와 배출밸브(62)는 잠겨 있으며, 공급밸브(60)는 열려 있다. 따라서 집수부(10)를 통해 소화수(80)를 보충하거나 빗물등이 집수부(10)로 유입된 경우, 집수부(10)에 있는 소화수(80)는 연결관로(50)인 제1관로(52)와 이음관로(56)와 공급관로(58)를 차례로 통과하며 저장탱크부(20)로 공급된다.
산불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의 조작으로 탱크밸브(34)와 배출밸브(62)를 열고, 공급밸브(60)는 잠근다. 이로 인하여 가스탱크부(30)의 가압가스(90)가 연결관로(50)인 제2관로(54)와 이음관로(56)와 공급관로(58)를 차례로 통과하여 저장탱크부(20)의 상측으로 공급된다.
저장탱크부(20)의 상측으로 공급된 가압가스(90)는 저장탱크부(20)에 저장된 소화수(80)를 가압하므로, 저장탱크부(20)에 있는 소화수(80)는 저장탱크부(20)의 하측에 연결된 배출관로(40)를 통해 이동되어 지상에 설치된 배출밸브(62)를 통과하며 지상으로 배출되어 산불의 진화에 사용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2)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2)는, 탱크밸브(34)와 공급밸브(61)와 배출밸브(63)는 전자적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된다.
저장탱크부(20)의 내측에는 별도의 수위센서가 설치되어 소화수(80)의 수위를 측정하여 제어부(64)로 측정값을 전달하며, 제어부(64)는 표시부(66)를 통하여 소화수(80)의 수위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64)는 탱크밸브(34)와 공급밸브(61)와 배출밸브(63)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보내므로 탱크밸브(34)와 공급밸브(61)와 배출밸브(63)의 개폐를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출밸브(63)에는 주름관 형상의 연결호스관(7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결호스관(70)에도 별도의 노즐밸브(74)와 노즐부(72)가 차례로 설치된다. 따라서 배출밸브(63)를 통하여 소화수(80)가 배출될 때 연결호스관(70)과 노즐밸브(74)를 통해 노즐부(72)로 이동된 후, 노즐부(72)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므로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2)의 주변에 일어난 산불의 직접 진화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2)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산불이 발생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제어부(64)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전자적으로 동작되는 탱크밸브(34)와 배출밸브(63)는 잠겨 있으며 공급밸브(61)는 열려 있다. 따라서 집수부(10)를 통해 소화수(80)를 보충하거나 빗물등이 집수부(10)로 유입된 경우, 집수부(10)에 있는 소화수(80)는 연결관로(50)인 제1관로(52)와 이음관로(56)와 공급관로(58)를 차례로 통과하며 저장탱크부(20)로 공급된다.
노즐밸브(74)는 수동조작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제어부(64)의 제어신호를 받아서 전자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한편 저장탱크부(20)의 내측에 설치된 수위센서의 측정값을 전달받는 제어부(64)는 저장탱크부(20)에 저장된 소화수(80)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경우 표시부(66)를 통해 경고를 발생하므로 저장탱크부(20)에 저장된 소화수(80)가 저수위로 저장됨을 방지할 수 있다.
산불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의 조작신호가 제어부(64)로 전달될 수 있으며, 유무선으로 연결된 산불지휘부의 신호도 제어부(64)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64)의 제어신호로 공급밸브(61)는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며, 탱크밸브(34)와 배출밸브(63)는 관로를 개방된 상태로 변환한다. 또한 노즐밸브(74)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방된다.
이로 인하여 가스탱크부(30)의 가압가스(90)가 연결관로(50)인 제2관로(54)와 이음관로(56)와 공급관로(58)를 차례로 통과하여 저장탱크부(20)의 상측으로 공급된다.
저장탱크부(20)의 상측으로 공급된 가압가스(90)는 저장탱크부(20)에 저장된 소화수(80)를 가압하므로, 저장탱크부(20)에 있는 소화수(80)는 저장탱크부(20)의 하측에 연결된 배출관로(40)를 통해 이동되어 지상에 설치된 배출밸브(63)를 통과하여 연결호스관(70)으로 공급된다.
연결호스관(70)으로 공급된 소화수(80)는 노즐밸브(74)와 노즐부(72)를 통과하여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2)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산불의 진화에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수(80)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부(20)가 땅속에 묻힌 상태로 설치되므로 동절기에도 소화수(80)의 동결을 방지하여 화재 진화에 사용될 소화수(80)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불 발생시 가스탱크부(30)에 저장된 가압가스(90)가 저장탱크부(20)로 공급되어 배출관로(40)를 통하여 소화수(80)의 배출이 강제로 이루어지므로 산불의 진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
10: 집수부 20: 저장탱크부
30: 가스탱크부 32: 게이지
34: 탱크밸브 40: 배출관로
50: 연결관로 52: 제1관로
54: 제2관로 56: 이음관로
58: 공급관로 60,61: 공급밸브
62,63: 배출밸브 64: 제어부
66: 표시부 70: 연결호스관
72: 노즐부 74: 노즐밸브
80: 소화수 90: 가압가스

Claims (8)

  1. 지상에서 땅속으로 연장되는 연결관로;
    상기 연결관로에 연결되어 소화수를 공급받으며, 땅속에 묻힌 상태로 설치되는 저장탱크부;
    상기 저장탱크부로 공급되는 가압가스가 내측에 저장되며, 상기 연결관로에 연결되는 가스탱크부;
    상기 저장탱크부에서 외측으로 배출되는 소화수를 안내하는 배출관로; 및
    지상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관로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화수를 집수하는 집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의 상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부의 하측은 상기 연결관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관로는, 상기 집수부에 연결되는 제1관로;
    상기 가스탱크부에 연결되는 제2관로;
    상기 제1관로와 상기 제2관로를 연결하는 이음관로; 및
    상기 이음관로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장탱크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공급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관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공급밸브; 및
    상기 배출관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배출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스탱크부의 상측에는 상기 제2관로에 연결되는 탱크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밸브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름관 형상의 연결호스관; 및
    상기 연결호스관에 설치되는 노즐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탱크부의 내측에 설치된 수위센서의 측정값을 전달받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를 통하여 소화수의 수위를 표시하며, 상기 탱크밸브와 상기 공급밸브와 상기 배출밸브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상기 탱크밸브와 상기 공급밸브와 상기 배출밸브의 개폐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저장탱크부는 설정된 깊이로 땅속에 묻혀서 소화수의 동결을 방지하며,
    상기 배출관로의 하측은 상기 저장탱크부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로의 상측은 지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스탱크부에 저장되는 가압가스는 고압공기 또는 액화가스이며,
    상기 가스탱크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탱크부의 내측 압력을 측정하는 게이지; 및
    상기 연결호스관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밸브를 통과한 상기 소화수의 외측 배출을 안내하는 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95068A 2014-07-25 2014-07-25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 KR101631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68A KR101631229B1 (ko) 2014-07-25 2014-07-25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68A KR101631229B1 (ko) 2014-07-25 2014-07-25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476A KR20160013476A (ko) 2016-02-04
KR101631229B1 true KR101631229B1 (ko) 2016-06-17

Family

ID=5535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068A KR101631229B1 (ko) 2014-07-25 2014-07-25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2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367A (ko)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태영테크 산불 확산차단 및 진화장치
KR102561269B1 (ko) 2022-05-26 2023-07-28 조선이공대학교산학협력단 산불확산방지용 소방수 저장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492B1 (ko) 2016-09-06 2017-02-14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소화수 확보를 위한 링 형태의 수면 결빙방지장치
CN112402832B (zh) * 2020-10-16 2021-09-24 张少华 森林防火喷泉
CN112942486B (zh) * 2021-01-29 2022-10-28 江西环境工程职业学院 一种森林旅游用应急供水装置
KR102664862B1 (ko) * 2022-05-04 2024-05-08 이강호 소화약제 잔량 소진구조를 갖는 건물용 자동 소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0Y1 (ko) * 2005-06-18 2005-11-08 (주)합동공영 산불 진화용 양수 장치
KR100981287B1 (ko) * 2010-03-03 2010-09-10 (주) 삼진정밀 산불 초기진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486B1 (ko) * 2011-10-27 2014-04-29 (주) 케어스워터 산불 진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0Y1 (ko) * 2005-06-18 2005-11-08 (주)합동공영 산불 진화용 양수 장치
KR100981287B1 (ko) * 2010-03-03 2010-09-10 (주) 삼진정밀 산불 초기진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367A (ko)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태영테크 산불 확산차단 및 진화장치
KR102561269B1 (ko) 2022-05-26 2023-07-28 조선이공대학교산학협력단 산불확산방지용 소방수 저장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476A (ko)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229B1 (ko) 산불 진화용 급수장치
US11730988B2 (en) Fire-fighting control system
CA2693567C (en) Fuel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101761723B1 (ko) 사용이 용이한 소방호스를 갖춘 소방장치
KR20100103586A (ko) 건식 진공 스프링클러 시스템
US11590374B2 (en) Mobile compressed foam firefighting system
KR20100052441A (ko)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JP6829655B2 (ja) 泡生成部、圧縮気体泡消火器及び圧縮気体泡消火システム
JP2014016359A (ja) 消火栓用ホース試験装置
KR101690936B1 (ko) 선박용 소화시스템
JP6207914B2 (ja) ガス供給装置
JP2013192583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1887673B1 (ko) 옥내 소화전
HU231088B1 (hu) Telepített, habbal működő tűzoltó berendezés folyékony tűzveszélyes anyagot tároló tartályokhoz
US20160298318A1 (en) Method and Maintenance System for Testing and Clearing Freezeless Water Hydrants
JP5774347B2 (ja) 消火栓装置
JP5671115B2 (ja) 消火栓用ホース試験装置
JP2014188298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5373471B2 (ja) 消火栓用ホース試験装置
CN210170719U (zh) 一种消防泡沫液远程回收装置及其系统
KR101168583B1 (ko) 증기 자동 배출형 스팀 해빙기
KR101935601B1 (ko) 스프링 쿨러
CN204502244U (zh) 一种新型消防系统试水接头
KR20150035559A (ko)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시스템 동작 부스터
KR102076987B1 (ko) 화재 초기 진화용 소화 설비 및 그 설비를 이용하는 다목적 분사기겸 압축공기 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