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441A -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441A
KR20100052441A KR1020100039580A KR20100039580A KR20100052441A KR 20100052441 A KR20100052441 A KR 20100052441A KR 1020100039580 A KR1020100039580 A KR 1020100039580A KR 20100039580 A KR20100039580 A KR 20100039580A KR 20100052441 A KR20100052441 A KR 20100052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fire extinguishing
pipe
extinguishing water
pip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7672B1 (ko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대한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건설 filed Critical (주)대한건설
Priority to KR1020100039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67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속도가 빠르고, 동파우려가 있는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누수를 탐지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고, 화재감지기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오작동의 염려가 적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쉬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용수공급수단에 연결된 제1 배관부와; 한쪽은 제1 배관부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살수부에 연결되며, 역U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배관부와; 제1 배관부와 제2 배관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밸브와; 제2 배관부와 살수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밸브와; 제2 밸브와 살수부 사이에 위치되는 부동체투입구; 및 제1 배관부와 제2 배관부 사이, 제2 배관부와 살수부 사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위치되는 배수구; 를 포함하는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PREVENTING FREEZING OF WATER SUPPLY APPARATUS TO FIRE EXTINGUISHING}
본 발명은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속도가 빠르고, 동파우려가 있는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누수를 탐지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고, 화재감지기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오작동의 염려가 적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쉬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화용수 공급장치, 예를 들어 스프링클러 장치는 건축물 또는 공작물의 자동소화장치로서, 건축물 또는 공작물의 천장 등지에 배치되어 주위의 열조건에 의해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살수기와, 살수기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배관부 및 하나 이상의 용수공급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스프링클러 장치는 습식과 건식으로 구별된다. 습식 스프링클러 장치는 살수기에까지 소화용수를 충전한 상태를 평상시 상태로 하지만, 건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배관부에 공기가 충만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습식 스프링클러 장치는 소화용수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초기 화재 진압에 효과적이나 겨울철과 같은 동절기에는 동결이나 동파의 우려가 있었고, 건식 스프링클러장치는 동결이나 동파 우려는 없지만 소화용수가 분사되기까지 시간이 걸려 초기 화재 진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소화용수 공급장치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속도가 빠르고, 동파우려가 있는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한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수를 탐지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화재감지기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오작동의 염려가 적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쉬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용수공급수단에 연결된 제1 배관부와; 한쪽은 제1 배관부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살수부에 연결되며, 역U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배관부와; 제1 배관부와 제2 배관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밸브와; 제2 배관부와 살수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밸브와; 제2 밸브와 살수부 사이에 위치되는 부동체투입구; 및 제1 배관부와 제2 배관부 사이, 제2 배관부와 살수부 사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위치되는 배수구; 를 포함하는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제2 배관부에 연결되어 제2 배관부 내에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공급기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배관부에는, 제1 배관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저수탱크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살수부의 말단측에는 공기배출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배관부에는, 제2 배관부를 지나는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량에 따라 누수발생여부, 화재발생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검출하는 유량측정기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살수부의 말단측에는 공기배출기가 형성되며, 저수탱크에는, 저수탱크 내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수위에 따라 누수발생여부, 화재발생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검출하는 수위측정기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배관부에는, 제2 배관부를 지나는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량에 따라 누수발생여부, 화재발생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검출하는 유량측정기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에 의하면, 방수속도가 빠르고, 동파우려가 있는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누수를 탐지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오작동의 염려가 적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쉬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제2 배관부(20)로써, 본 명세서에서는 제2 배관부(20)의 형상을 강조하고자 다른 부분에 비해 크게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실제로 현장에 적용할 때는 도시된 도면의 제2 배관부(20)는 다른 부분에 비해 작은 크기로 설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100, 이하 소화용수 공급장치라 한다)는 제1 배관부(10)와, 제2 배관부(20), 제1 밸브(30), 살수부(40), 제2 밸브(50), 부동체투입구(46), 배수구(22, 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배관부(10)는 용수공급수단(200)에 연결되어 용수공급수단(200)으로부터 하기의 살수부(40)까지 공급되는 소화용수가 1차적으로 거치는 구성요소이다. 용수공급수단(200)은 여러 가지 시설이 사용될 수 있는데, 소화용수 공급장치(100)가 설치되는 건축물이나 건축물이 위치하는 장소 등의 외적인 영향을 받는다. 통상적으로는 소화용수가 채워져 있는 수조와 이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펌프를 사용하거나, 건축물의 옥상 등지에 위치하는 고가수조(elevated tank)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펌프를 사용할 경우 배관의 통수저항을 감안하고도 동시에 8개 내지 40개 정도의 살수기(42)를 통해 매분 80리터 이상의 소화용수를 배출할 수 있는 정도의 토출량을 보유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배관부(20)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로써, 전술한 제1 배관부(10)에 연결되고, 역U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배관부(20)는 가장 높은 부분이 가장 낮은 부분과 약 0.5~1.5m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2 배관부(20)에는 제2 배관부(20)를 지나는 소화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기(24)가 배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유량측정기(24)에는 알림장치, 예를 들어 누수알림장치나 화재경보장치 등이 연결되어 유량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유량에 따라 소화용수 공급장치(100)의 누수발생여부나 소화용수 공급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는 건축물 등의 화재발생여부를 신속하게 알려주도록 구성하여 누수나 화재 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화재 발생에 따라 제2 배관부(20) 내의 소화용수가 빠른 유속으로 흐를 때 이를 감지하여 알리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외에 제2 배관부(20)에는 제2 배관부(20)의 내부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여 누수여부나 화재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수위눈금표시가 되어 있는 창, 즉 수위눈금표시창(도시하지 않음)이 유량측정기(24) 대신 형성될 수도 있고, 유량측정기(24)와 수위눈금표시창이 모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수위눈금표시창은 유량측정기(24)가 고장났을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1 밸브(30)는 제1 배관부(10)와 제2 배관부(20) 사이에 위치하며, 소화용수의 공급을 제어하게 되는데, 소화용수 공급장치(100)의 설치상황에 따라 직접 사람이 조작하는 수동식 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전동식 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살수부(40)는 제2 배관부(20)에 연결되어 용수공급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수를 분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살수부(20)에 설치되는 다수의 살수기(42)는 설치방향에 따라 상향형(Upright Type), 하향형(Pendent Type), 상하 양용형(상하 겸용형: Conventional Type), 측벽형(Side wall Type)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분사 패턴이 가장 좋은 상향형(Upright Type)이 많이 사용된다. 살수부(40)는 제2 밸브(50)를 거친 소화용수가 살수기(42)를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제2 배관부(20)와 살수기(42)를 연결하게 되며, 이러한 살수부(40)의 말단측에는 공기배출기(44)가 형성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살수부(40)의 하부측이 분기되어 있는 분기배관(A)이 나타나 있는데, 이는 외부, 예를 들어 주차장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동결 우려가 있는 간이 스프링클러나 소화용수배관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소화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분기배관(A)은 별도의 밸브 등을 이용하여 필요시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밸브(50)는 제2 배관부(20)와 살수부(40) 사이에 위치한다. 제2 밸브(50) 또한 제1 밸브(30)와 마찬가지로 수동식 밸브나 전동식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1 밸브(30)와 제2 밸브(50)를 각각 한 쌍으로 구성하고 서로 떨어져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할 경우 제2 배관부(20)의 유지보수시 쉽게 제2 배관부(20)를 분리,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부동체투입구(46)는 제2 밸브(50)와 살수부(40) 사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이며, 도시하지 않은 펌프를 사용하여 부동체공급수단(46a)에 저장된 부동체를 살수부(40)에 공급하게 된다. 부동체는 통상의 부동액과 소화용수를 혼합한 부동유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황에 따라 미세한 분말로 구성되어 있는 분말형 부동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부동체를 이용하여 겨울철 등과 같이 날씨가 춥더라도 외부에 노출될 우려가 많은 살수부(40)의 동파를 방지하게 된다.
배수구(22, 48)는 각각의 배관부 내에 채워진 소화용수를 배수하는 구성요소로써, 제1 배관부(10)와 제2 배관부(20) 사이나 제2 배관부(20)와 살수부(40) 사이 또는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관부(10)와 제2 배관부(20) 사이나 제2 배관부(20)와 살수부(40) 사이 중 어느 한 곳에만 배수구가 형성될 경우 배수구가 형성된 부분이 다른 배관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배수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1 배관부(10)와 제2 배관부(20) 사이에 제1 배수구(22)를 형성하고, 제2 배관부(20)와 살수부(40) 사이에 제2 배수구(48)를 형성하도록 하여 양쪽 모두에 배수구를 형성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수 공급장치(1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수 공급장치(100)와 거의 유사하게 구성되나, 제2 배관부(20)에 기체공급기(26)가 포함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기체공급기(26)는 제2 배관부(20) 내에 기체를 유입시키는 구성요소이며, 통상 사용되는 압축기(컴프레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수 공급장치(100)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제2 배관부(20)에 저수탱크(28)가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때, 저수탱크(28)는 제1 배관부(10)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제1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제1 배수구(22)가 저수탱크(28)에 형성된다. 그리고, 저수탱크(28)에는 저수탱크(28) 내에 채워지는 소화용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기(28a)가 설치된다. 수위측정기(28a)는 전술한 유량측정기(24)와 마찬가지로 알림장치, 즉 누수알림장치나 화재경보장치 등이 연결되어 저수탱크(28)의 수위변화에 따라 소화용수 공급장치(100)의 누수발생여부나 소화용수 공급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는 건축물 등의 화재발생여부를 신속하게 알려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량측정기(24)와 수위측정기(28a)는 모두 누수발생여부와 화재발생여부를 체크할 수 있어서 둘 모두를 사용하여 상호 보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유량측정기(24)를 화재경보장치에 연결하여 화재발생여부를 알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수위측정기(28a)는 누수알림장치에 연결하여 누수발생여부를 알리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때, 알림장치는 화재알림용과 누수알림용으로 구분하여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알림장치를 사용하되 화재를 알리기 위한 경보음과 누수를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수 공급장치는 사용상태가 유사하므로 주로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에서는 건축물 등에 소화용수 공급장치(100)의 설치를 완료한 후 소화용수 공급장치(100)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부동체를 살수부(40)에 채우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공기배출기(44)를 개방하고 제2 밸브(50)와 제2 배수구(48)를 폐쇄한다. 그리고 부동체투입구(46)를 폐쇄하고 있던 별도의 밸브를 개방한 후 펌프를 이용하여 부동체공급수단(46a)으로부터 부동체를 살수부(40)에 공급하게 된다. 부동체는 제2 밸브(50)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살수기(42)측을 향해 점차 채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살수부(40) 내의 공기는 공기배출기(4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살수부(40)에 부동체를 채운 다음에는 공기배출기(44)와 부동체투입구(46)를 폐쇄하고, 도 5와 같이 제1 밸브(30)를 개방하여 용수공급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수를 제1 배관부(10)와 제2 배관부(20)에 채우게 된다. 이때, 제1 배관부(10)와 제2 배관부(20) 내에 있던 공기는 제2 밸브(50)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점차 압축되고, 결국 용수공급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수의 투입압력과 제2 배관부(20) 내에 압축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같아지게 되면 소화용수의 투입이 멈춰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밸브(50)를 개방하게 되면 부동체와 압축공기가 만나게 되고, 각자의 압력에 따라 제2 배관부(20)측이나 살수부(40)측을 향해 움직이다가 부동체의 압력과 압축공기의 압력이 같아지게 되면 멈춰서 부동체와 압축공기 및 소화용수가 소화용수 공급장치(100)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공기는 상측으로 상승하려고 하고, 부동체와 소화용수는 중력에 따라 하측으로 하강하려고 하므로, 만약 제2 배관부(20)가 제1 배관부(10)나 살수부(40)와 같은 통상의 배관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압축공기는 상승하여 배관 상측에서 퍼져버리고, 부동체와 소화용수는 압축공기가 없는 배관 하측에서 상호 만나 섞여버리게 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2 배관부(20)에 역U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을 두어 부동체와 소화용수가 섞이지 않도록 압축공기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 및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밸브(30)를 개방하고, 용수공급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수의 투입에 따라 자연스럽게 공기가 압축되도록 구성되나, 제2 실시예에서는 이 외에 기체공급기(26)를 포함시켜 기체공급기(26)를 통해 제2 배관부(20) 내에 기체를 유입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기체공급기(26)를 사용할 경우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부동체와 소화용수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고, 소화용수 공급장치(100) 내의 소화용수를 빠르게 배수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소화용수 공급장치(100)의 배관이나 부품의 고장 등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제1 배관부(10)측의 소화용수가 점차 저수탱크(28)로 밀려들어와 저수탱크(28) 내의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저수탱크(28)에 설치된 수위측정기(28a)가 이를 감지하게 되면 수위측정기(28a)에 연결된 알림장치를 작동시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알림으로써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6 및 도 7과 같이 소화용수 공급장치(100)가 설치되어 준비되어 있는 건축물 등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먼저 살수부(40)에 채워져 있는 부동체가 분사되면서 빠져나가게 되고, 뒤이어 압축공기와 소화용수가 부동체의 뒤를 따르다가 부동체가 다 빠져나간 후 압축공기가 빠져나가고, 다음 소화용수가 분사되어 본격적으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때, 소화용수가 유량측정기(24)를 통과하게 되므로 유량측정기(24)에서 측정된 유량에 따라 알림장치를 작동시켜 화재 발생을 알리게 되어 별도로 화재감지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이와 같은 순서로 화재를 진압한 다음에는 제1 밸브(30)를 폐쇄하여 더 이상 소화용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 다음, 공기배출기(44)와 제1 및 제2 배수구(22, 48)를 개방하여 살수부(40)와 제2 배관부(20) 내의 소화용수를 배수시키게 되며, 배수가 완료되면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시 부동체를 살수부(40)에 채우고, 소화용수를 공급하여 화재 진압에 필요한 준비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 배관부 20: 제2 배관부
22: 제1 배수구 24: 유량측정기
26: 기체공급기 28: 저수탱크
28a: 수위측정기 30: 제1 밸브
40: 살수부 42: 살수기
44: 공기배출기 46: 부동체투입구
46a: 부동체공급수단 48: 제2 배수구
50: 제2 밸브 100: 소화용수 공급장치
200: 용수공급수단 A: 분기배관

Claims (7)

  1.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용수공급수단에 연결된 제1 배관부와;
    한쪽은 상기 제1 배관부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살수부에 연결되며, 역U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배관부와;
    상기 제1 배관부와 상기 제2 배관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배관부와 상기 살수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밸브와;
    상기 제2 밸브와 상기 살수부 사이에 위치되는 부동체투입구; 및
    상기 제1 배관부와 상기 제2 배관부 사이, 상기 제2 배관부와 상기 살수부 사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위치되는 배수구;
    를 포함하는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관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배관부 내에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공급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관부에는,
    상기 제1 배관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저수탱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의 말단측에는 공기배출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관부에는,
    상기 제2 배관부를 지나는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량에 따라 누수발생여부, 화재발생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검출하는 유량측정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의 말단측에는 공기배출기가 형성되며,
    상기 저수탱크에는,
    상기 저수탱크 내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수위에 따라 누수발생여부, 화재발생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검출하는 수위측정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관부에는,
    상기 제2 배관부를 지나는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량에 따라 누수발생여부, 화재발생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검출하는 유량측정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KR1020100039580A 2010-04-28 2010-04-28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KR101187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580A KR101187672B1 (ko) 2010-04-28 2010-04-28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580A KR101187672B1 (ko) 2010-04-28 2010-04-28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441A true KR20100052441A (ko) 2010-05-19
KR101187672B1 KR101187672B1 (ko) 2012-10-05

Family

ID=4227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580A KR101187672B1 (ko) 2010-04-28 2010-04-28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67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801B1 (ko) * 2012-05-22 2013-09-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액체 또는 가스계 소화약제의 공급시간 단축을 위한 자동소화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60056339A (ko) * 2014-11-10 2016-05-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증기분무 소화설비
KR102297350B1 (ko) * 2021-03-18 2021-09-02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시설 통합관리 시스템
KR102334729B1 (ko) * 2021-03-17 2021-12-06 (주)신화방재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합관리시스템
KR102334806B1 (ko) * 2021-03-30 2021-12-06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 건축물의 무인화재 감시시스템
KR102382263B1 (ko) * 2021-03-30 2022-04-08 윤점숙 공동주택 화재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경보 시스템
KR102382271B1 (ko) * 2021-03-30 2022-04-08 윤점숙 공동주택 화재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인명 구조 시스템
KR102384075B1 (ko) * 2021-05-31 2022-04-08 김기수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KR102603698B1 (ko) * 2023-03-27 2023-11-17 주식회사 에버디포 블록형 분무장치의 자동배수시스템 및 배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987B1 (ko) * 2018-12-12 2020-04-07 오인석 화재 초기 진화용 소화 설비 및 그 설비를 이용하는 다목적 분사기겸 압축공기 주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832Y1 (ko) 2001-06-01 2001-11-16 주식회사 콜스 시수압력을 이용한 소화수와 생활용수 공급장치
JP2008212323A (ja) 2007-03-02 2008-09-18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5025299B2 (ja) 2007-03-28 2012-09-12 能美防災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801B1 (ko) * 2012-05-22 2013-09-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액체 또는 가스계 소화약제의 공급시간 단축을 위한 자동소화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60056339A (ko) * 2014-11-10 2016-05-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증기분무 소화설비
KR102334729B1 (ko) * 2021-03-17 2021-12-06 (주)신화방재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합관리시스템
KR102297350B1 (ko) * 2021-03-18 2021-09-02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시설 통합관리 시스템
KR102334806B1 (ko) * 2021-03-30 2021-12-06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 건축물의 무인화재 감시시스템
KR102382263B1 (ko) * 2021-03-30 2022-04-08 윤점숙 공동주택 화재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경보 시스템
KR102382271B1 (ko) * 2021-03-30 2022-04-08 윤점숙 공동주택 화재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인명 구조 시스템
KR102384075B1 (ko) * 2021-05-31 2022-04-08 김기수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KR102603698B1 (ko) * 2023-03-27 2023-11-17 주식회사 에버디포 블록형 분무장치의 자동배수시스템 및 배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672B1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672B1 (ko)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CN102755709A (zh) 酒店消防系统调试方法
KR101662590B1 (ko)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162065B1 (ko)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시스템
KR101034175B1 (ko) 고압가스를 이용한 소화전
JP6147386B1 (ja) 湿式スプリンクラーシステムの二次側配管における水排出及び水充填方法
JP2003180861A (ja) 消火設備
CN213192259U (zh) 一种自动喷水灭火系统
KR20120016742A (ko) 사이트 글라스를 갖는 드레인 밸브
CN209630491U (zh) 一种能够快速排水防冻的消防喷淋头
KR200408964Y1 (ko) 미세 물 분무용 소화수 공급장치
RU2460561C1 (ru)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20060087153A (ko) 2유체 소화 분무장치
CN207186978U (zh) 一种自动报警防漏预作用喷淋系统阀组
CN201064634Y (zh) 干式消防系统的快速排气装置
US20170274234A1 (en) Method of installing, designing, servicing or testing a water-based fire protection system
KR100935550B1 (ko) 확인기능을 가지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알람밸브 조립체
JP5975738B2 (ja) 消火システム
CN204134097U (zh) 自动喷淋系统
CN212167029U (zh) 一种具有消防设施的烟气脱硫吸收塔
CN205198781U (zh) 一种用于消防的预作用装置
CN204102429U (zh) 雨淋喷水灭火系统教学演示装置
CN219732156U (zh) 一种消防稳压供水系统
CN218485036U (zh) 一种精准型的灭火管路消防系统
JP2014090890A (ja) 流水検知装置及び該流水検知装置を備えた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