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075B1 -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 Google Patents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075B1
KR102384075B1 KR1020210070293A KR20210070293A KR102384075B1 KR 102384075 B1 KR102384075 B1 KR 102384075B1 KR 1020210070293 A KR1020210070293 A KR 1020210070293A KR 20210070293 A KR20210070293 A KR 20210070293A KR 102384075 B1 KR102384075 B1 KR 102384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compressed air
control
ty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1020210070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buildings or installations in fire stor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9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spraying extinguishants directly into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2Pipe-line systems dry, i.e. empty of extinguishing material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은,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와; 상기 스프링클러들 간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일단이 소정의 물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물 공급관과; 상기 물 공급관에 장착되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와; 상기 연결관의 좌우측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연결되는 물 배출관과; 상기 물 배출관에 장착되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와;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와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 및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 간을 연결하는 압축공기 공급관과;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에 구비되는 제3 제어밸브와;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에 구비되는 제4 제어밸브와;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가 열린 상태로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제어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3 제어밸브 및 상기 제4 제어밸브를 제어하고, 물 배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제어밸브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3 제어밸브 및 상기 제4 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YSTEM}
본 발명은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시적으로 화재 진화시 이를 진화하도록 하는 기능이 원활히 동작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방법이 강화됨에 따라 실내뿐만 아니라 소정의 외부 벽면에도 스프링클러를 장착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창고나 건물 등의 외벽 등에도 스프링클러(200)를 장착하여 화재시 물을 분사하여 화재 조기 진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실내와 달리 실외에 스프링클러(20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외부 온도에 따라 스프링클러 그 자체 또는 스프링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201) 내부에 있던 물이 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나 사계절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겨울철에는 외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200)까지 얼어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상시적으로 스프링클러(200)까지 물이 항상 차 있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이 도 2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부에는 소정의 연결관(201)이 배치되어 있고, 연결관 중간 중간에는 스프링클러(200)가 장착되어 있으며, 내부의 소정의 물 공급관(202)이 이러한 연결관(201)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물 공급관(202)에는 물 탱크나, 펌프와 같이 물을 공급하는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관(202)과, 이와 연결되는 연결관(201), 연결관(201)에 장착된 스프링클러(200) 내부에 모두 물이 가득 차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겨울철 기온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스프링클러 내부 또는 스프링클러(200)와 연결된 외부 노출관(201) 내의 물이 얼어서, 정작 화재시 제대로 된 진화가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20-001153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 기온이 낮은 경우 스프링클러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화재 진화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와; 상기 스프링클러들 간을 연결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연결관과; 일단이 소정의 물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연결관으로 전달하는 물 공급관과; 상기 물 공급관에 장착되어 물 공급을 단속하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와; 상기 연결관의 좌우측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연결되는 물 배출관과; 상기 물 배출관에 장착되어 물 배출을 단속하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와;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와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 및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 간을 연결하고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방출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 및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에 전달하는 압축공기 공급관과;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 및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로의 압축공기의 공급을 단속하는 제3 제어밸브와;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 및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에 공급된 압축공기의 외부 배출을 단속하는 제4 제어밸브와;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가 열린 상태로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제어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3 제어밸브 및 상기 제4 제어밸브를 제어하고, 물 배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제어밸브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3 제어밸브 및 상기 제4 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을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거나 기 공급된 압축공기가 배출된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오픈 타입이고,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을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거나 기 공급된 압축공기가 배출된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클로우즈 타입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제어밸브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의 인가가 없는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클로우즈 타입이고, 상기 제4 제어밸브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의 인가가 없는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오픈 타입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은 건물 외부에 노출된 것이고, 상기 물 배출관은 건물 내부로 노출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이 감지되기 전 평상시에는 상기 제1 제어밸브가 열리고 상기 제2 제어밸브를 닫히도록 상기 제3 제어밸브 및 상기 제4 제어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정보를 기초로, 현재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제어밸브가 열리고 상기 제2 제어밸브가 닫히도록 상기 제3 제어밸브 및 상기 제4 제어밸브를 제어하고, 현재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밸브가 닫히고 상기 제2 제어밸브가 열리도록 상기 제3 제어밸브 및 상기 제4 제어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 구축 공법은, 벽면 외부에 가로방향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복수 개의 위치에 다른 관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복수 개 구비한 연결관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의 복수 개의 중 적어도 일부에 스프링클러를 연결하는 단계와; 일단이 물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연결관으로 전달하며, 특정 위치에 외부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오픈 타입의 압축 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가 설치된 물 공급관의 타단을 상기 연결관의 어느 하나의 연결부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벽면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관 내의 물을 배출시키고, 특정 위치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클로우즈 타입의 압축 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가 설치된 물 배출관을 상기 연결관의 좌우측 끝단과 각각 연결시키는 단계와; 일단이 공기 압축기와 연결되고 상기 공기 압축기에 근접한 위치에 노멀 클로우즈 타입의 제3 제어밸브가 설치되고 제3 제어밸브보다 상기 공기 압축기로부터 더 먼 위치에 노멀 오픈 타입의 제4 제어밸브가 설치된 압축공기 공급관의 타단을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 및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에 각각 연결시키는 단계와;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3 제어밸브를 닫고 상기 제2 제어밸브를 열도록 제어하고, 물 배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를 열고 상기 제2 제어밸브를 닫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 라인을 상기 제1 제어밸브 및 상기 제2 제어밸브와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겨울철 관내의 물이 어는 바람에 동파가 발생하거나 또는 화재시 스프링클러를 통해 물이 분사되지 않는 경우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동파 방지로 인해 각종 화재 진화를 위한 파이프의 수명도 연장된다.
특히, 실제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밸브를 압축공기 제어형 밸브를 이용함으로써, 고장발생을 최소화하고 물의 공급 단속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건물 외관의 일 예이고,
도 2는 도 1의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구성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4는 압축공기 공급관에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아서 연결관 내부에 물이 차 있게 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압축공기 공급관에 압축공기가 공급됨으로 인해서 연결관 내부에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물 배출관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7은 도 3의 연결관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8은 도 6의 물 배출관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또는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을 도 2의 종래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 도 3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은 스프링클러(110), 연결관(120), 물 공급관(140), 물 배출관(130), 공기 압축기(160), 압축공기 공급관(170),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스프링클러(110)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가로 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프링클러(110)는 초기 화재 진압에 기여하는 것으로서 대략 70도 전후에 녹는 합금 내지는 유리벌브로 된 감열부(미 도시함)로 막혀진 반사판을 이용한 살수구조로 되어 있는데, 화재가 발생하여 스프링클러(110)의 감열부(미 도시함)가 녹으면 연결관(120)에 가득차 있던 가압수가 쏟아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110)의 구조 및 기능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관(120)은 스프링클러(110)들 간을 연결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관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재 진화를 위해 가압수가 가득차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스프링클러(110)의 감열부가 녹음에 따라 가압수를 스프링클러(11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관(120)은 건물 외부에 노출된 것이라 가정한다.
물 공급관(140)은 일단이 소정의 물 공급부(미 도시함)와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관(120)과 연결되어,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연결관(12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물 공급부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물을 보관하는 물탱크나 또는 물을 공급하는 수전 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 공급부는 종래의 스프링클러(110) 구축 시스템에서도 이용되는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 공급관(140)은 이러한 물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연결관(120)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일종의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인데, 이러한 물 공급관(140)의 일부분(바람직하게는 물 공급관(140)과 물 공급부가 만나는 위치)에는 물 공급을 단속하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은 물 공급관(140)에 장착되어 물 공급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축공기 공급관(170)이 연결되고, 이러한 압축공기 공급관(170)을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물 공급의 단속 기능이 압축공기 공급관(170)을 통한 압축공기의 공급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다.
외부로부터의 압축공기 공급 여부에 따라 소정의 유체의 공급 또는 차단을 수행하는 압축공기 제어형 밸브 구조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은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오픈 타입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은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데, 열린 상태에서는 물 공급관(140)을 통해 물이 연결관(120)으로 전달되게 되고, 닫힌 상태에서는 물 공급관(140)을 통해 연결관(120)으로의 물의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이처럼 외부의 제어 신호, 전원 공급 또는 차단, 더 나아가 각종 유체(압축공기 등)의 유입 여부에 따라 열림/닫힘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밸브의 경우 그러한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거나 전원 공급이 차단되건,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 열림상태 또는 닫힘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할 수 있는데, 그러한 상태에 따라 노멀 오픈 타입과 노멀 클로우즈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노멀 오픈 타입의 제어밸브는 오픈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또는 압축공기가 인가(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오픈 상태를 유지하고, 만일 클로우즈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또는 압축공기가 인가(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오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고, 노멀 클로우즈 타입의 제어밸브는 클로우즈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또는 압축공기가 인가(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클로우즈 상태를 유지하고, 만일 오픈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또는 압축공기가 인가(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노멀 오픈 타입 제어밸브와 클로우즈 타입 제어밸브 중에서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은 압축공기에 의한 노멀 오픈 타입으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 것이고, 이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토록 한다.
물 배출관(130)은 연결관(120)의 좌우측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연결되는 관으로서, 물이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 배출관(130)은 연결관(120)의 좌우측 끝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러한 물 배출관(130) 특정 위치에는 물 배출을 단속하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의 열림(오픈) 또는 닫힘(클로우즈) 상태에 따라 연결관(120) 내에 있던 물이 물 배출관(130)을 통해 유출되거나 유출을 멈출 수 있다.
이러한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은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의 인가가 없는 경우, 또는 압축공기가 인가(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닫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클로우즈 타입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물 배출관(130)은 건물 내부로 노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 건물 내부에 소정의 물 받힘 통이 있거나, 또는 물 배출 하수 시설이 존재하는 경우 물 배출관(130)을 통해 유출되는 물이 해당 물 받힘 통 또는 물 배출 하수시설로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공기 압축기(160)는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소정의 공기 보관 탱크를 구비한 에어 컴프레셔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압축기(160)의 구조 및 기능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화재 진화용 시스템에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도입된 바는 없다.
압축공기 공급관(170)은 공기 압축기(160)와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 및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 간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공기 압축기(160)에서 방출되는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 및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볼 수 없었던 압축공기 공급관(170)이 공기 압축기(160)와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는 물론이고, 공기 압축기(160)와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 간을 연결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압축공기 공급관(170)의 일부 위치에는 제3 제어밸브(171)와 제4 제어밸브(17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제어밸브(171)는 압축공기 공급관(170)에 구비되어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 및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로의 압축공기의 공급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3에는 공기 압축기(160)에 가까운 쪽에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는데, 후술하는 제4 제어밸브(172)보다는 이처럼 공기 압축기(160)에 더 근접한 압축공기 공급관(170) 상의 위치에 제3 제어밸브(171)가 구비되어야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원발명에 따른 정상적인 동작이 기능하게 된다.
즉, 제3 제어밸브(171)는 압축공기 공급관(170)에 장착되어 압축공기의 공급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제3 제어밸브(171)의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압축공기를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밸브 구조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3 제어밸브(171)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의 인가가 없는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하거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노멀 클로우즈 타입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3 제어밸브(171)는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데, 열린 상태에서는 압축공기 공급관(170)을 통해 압축공기가 앞서 설명한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 및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로 전달되게 되고, 닫힌 상태에서는 압축공기 공급관(170)을 통한 압축공기의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또한 제4 제어밸브(172) 역시 압축공기 공급관(170)에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제어밸브(171) 보다는 공기 압축기(160)로부터 더 먼 압축공기 공급관(170) 상의 위치에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제4 제어밸브(172)는 압축공기 공급관(170)을 통해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 및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에 공급된 압축공기의 외부 배출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4 제어밸브(172)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제어부의 제어 신호의 인가가 없는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그 열림 상태를 유지하는 노멀 오픈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열림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압축공기 공급관(170) 내에 있던 압축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켜서 결국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가 열리도록 하고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닫히도록 하고, 반면에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제4 제어밸브(172)는 닫힘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압축공기 공급관(170) 내로 압축 공기가 가득 차도록 하여 결국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가 닫히도록 하고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열리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150)는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제3 제어밸브(171) 및 제4 제어밸브(172)를 직접 제어하여 결과적으로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가 열리고,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닫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제1 제어밸브가 열린 상태로 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2 제어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3 제어밸브(171) 및 제4 제어밸브(172)를 제어하고, 물 배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는 제1 제어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2 제어밸브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3 제어밸브(171) 및 상기 제4 제어밸브(172)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현재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가 열린 상태이고,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닫힌 상태인 경우라면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50)는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만일 현재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가 닫힌 상태이고,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열린 상태인 경우라면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50)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과 아울러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닫힘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어부(150)가 직접 제어하는 제3 제어밸브(171)와 제4 제어밸브(172)의 관점에서 설명하면, 제어부(1500는 예를 들어 현재 제3 제어밸브(171)가 닫힌 상태이고, 제4 제어밸브(172)가 열린 상태인 경우라면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에는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만일 현재 제3 제어밸브(171)가 열린 상태이고, 제4 제어밸브(172)가 닫힌 상태인 경우라면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50)는 제3 제어밸브(171)가 닫힘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4 제어밸브(172)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제3 제어밸브(171)가 닫힘 상태로 되고 제4 제어밸브(172)가 열림 상태가 되어 압축공기 공급관(170) 내에 압축 공기가 남아 있지 않게 되면,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가 열리고(노멀 오픈형 밸브이므로)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닫히게 되고(노멀 클로우즈형 밸브이므로) 따라서 물 공급부로부터 물 공급관(140)을 경유하여 연결관(120)으로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어 도 4와 같이 물 공급관(140) 및 연결관(120) 내에 물이 다 차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클러(110)가 동작하게 되면 연결관(120) 내에 있던 물이 스프링클러(110)를 통해 뿜어져 화재 진화를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화재 발생의 감지는 외부의 화재 감지 센서의 센싱 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화재 감지 센서의 기능 및 동작 방식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50)는 또한 물 배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가 직접 제어하는 제3 제어밸브(171)와 제4 제어밸브(172)의 관점에서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예를 들어 현재 제3 제어밸브(171)가 열림 상태이고, 제4 제어밸브(172)가 닫힘 상태인 경우라면 물 배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만일 현재 제3 제어밸브(171)가 닫힘 상태이고, 제4 제어밸브(172)가 열림 상태인 경우라면 물 배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제3 제어밸브(171)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4 제어밸브(172)가 닫힘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관(140) 및 연결관(120) 내에 있던 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남아있지 않게 된다.
여기서 물 배출 조건이라 함은 연결관(120)과 물 공급관(140)의 내부에 있는 물을 모두 외부로 배출시켜 연결관(120)과 물 공급관(140) 내부가 비도록 하는 조건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온도 기반으로 물 배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소정의 온도 센서(미 도시함)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제어부(150)는 이러한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정보를 기초로 물 배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50)는 현재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가 열리도록 함과 아울러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닫히도록 제3 제어밸브(171) 및 제4 제어밸브(172)를 제어하고, 현재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가 닫히고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열리도록 제3 제어밸브(171) 및 제4 제어밸브(172)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제어부(150)는 화재 발생이 감지되기 전 평상시에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가 열리도록 하고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닫히도록 할 수 있는데, 겨울철과 같이 실외 기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어 연결관(120) 내부의 물이 얼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가 닫히도록 해서 물 공급부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한 상태에서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열리도록 해서 연결관(120) 및 물 공급관(14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서 연결관(120) 내부와 물 공급관(140) 내부가 비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제어밸브(171) 및 제4 제어밸브(172)의 직접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다.
이처럼 연결관(120)의 양단에 연결된 물 배출관(130)에 각각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구비되고 함께 제어되어 개방되는 경우, 해당 물 배출관(130)을 통해 물이 빠져 나오면서 신속하게 연결관(120) 내부의 물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제3 제어밸브(171)와 제4 제어밸브(172)가 하나씩 구비되고, 또한 압축 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와 양쪽 물 배출관(130)의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 간을 압축공기 공급관(170)이 서로 연결하고 있어서, 결과적으로 연결관(120)의 양단에 연결된 물 배출관(130)에 각각 구비된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동시에 제어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제4 제어밸브(172)의 개수(필요시 제3 제어밸브(171)의 개수 역시)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압축공기 공급관(170)을 분기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연결관(120)의 양단에 연결된 물 배출관(130)에 각각 구비된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교대로 그 닫힌 또는 열림 상태가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각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마다 두 개의 제어 밸브에 의해 독자적으로 압축공기가 인가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양단의 각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특히 교대로 그 열림가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압축공기 제어형 밸브를 독자적으로 동작시키 위한 제어 밸브의 구성 및 압축공기 공급관(170)의 구성 그 자체는 공지되거나 당업자에게 자명한 정도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중요한 것은 연결관(120)의 양단에 연결된 물 배출관(130)에 각각 구비된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가 교대로 그 닫힘 또는 열림 상태가 전환되도록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연결관(120)의 좌측 끝단에 연결된 제1 물 배출관(130)에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2-1 제어밸브가 장착되고, 연결관(120)의 우측 끝단에 연결된 제2 물 배출관(130)에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2-2 제어밸브가 장착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50)는 현재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을 닫히도록 한 상태에서 압축공기 제어형 제2-1 제어밸브와 압축공기 제어형 제2-2 제어밸브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여닫히도록 제3 제어밸브(171)(복수 개일 수 있음) 및 제4 제어밸브(172)(복수 개일 수 있음)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여 5분 동안 압축공기 제어형 제2-1 제어밸브가 열리고 압축공기 제어형 제2-2 제어밸브가 닫히도록 제어한 후, 이후 5분 동안 압축공기 제어형 제2-1 제어밸브가 닫히고 압축공기 제어형 제2-2 제어밸브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상술한 과정이 굉장히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초에 1번씩 압축공기 제어형 제2-1 제어밸브와 압축공기 제어형 제2-2 제어밸브의 여닫힘 상태가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압축공기 제어형 제2-1 제어밸브와 압축공기 제어형 제2-2 제어밸브의 여닫힘이 교대로 신속히 이루어지는 경우 연결관(120) 내부의 압력 변화를 유발시켜 연결관(120) 내부의 잔여 물기들이 물 배출관(130)을 통해 용이하게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공사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우선, 벽면 외부에 가로방향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복수 개의 위치에 다른 관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복수 개 구비한 연결관(120)을 배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관(120)에 복수 개의 지점 중 일부에 스프링클러(110)를 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 공급관(140)을 연결관(120)의 어느 하나의 연결부에 연결하는데, 그 전/후에 물 공급관(140)의 일단을 물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물 공급관(140)의 특정 위치에 압축공기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오픈 타입의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벽면 내부로 연장되어 연결관(120) 내의 물을 배출시키는 물 배출관(130)을 연결관(120)관 연결하는데, 이때 연결관(120)의 특정 위치에 압축공기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클로우즈 타입의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을 설치한다.
이때 물 배출관(130)은 연결관(120)의 좌우측 끝단과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공기 압축기(160)와 상술한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141) 및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131) 간을 압축공기 공급관(170)을 통해 서로 연결할 수 있는데, 이때 압축공기 공급관(170)의 특정 위치에는 제3 제어밸브(171)와 제4 제어밸브(172)를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제어밸브(171)는 제4 제어밸브(172)보다 더 공기 압축기(160)에 근접한 위치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 않거나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되는 노멀 클로우즈 타입으로 구성되고, 반면에 제4 제어밸브(172)는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 않거나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되는 노멀 오픈 타입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또는 물 배출 조건에 따라 제3 제어밸브(171)와 제4 제어밸브(172)의 여닫힘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배치한 후, 이러한 제어부(150)의 제어 라인을 제3 제어밸브(171) 및 제4 제어밸브(172)와 연결시킨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구축된 화재 진화용 시스템에 의하면, 기온이 내려가는 겨울철에는 일시적으로(예를 들어 영하로 내려가는 밤 사이에) 물 배출관(130)을 통해 연결관(120) 내부의 물이 빠져 나가 연결관(120) 내부가 비어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관(120)이 동파되거나 내부의 물이 얼어서 정작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110)를 통해 물이 분사되지 않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물 배출관(130)이 연결관(120)으로부터 건물 내부쪽으로 연장된다고만 설명하였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부쪽으로 연장되는 제1 물 배출관(130)과, 다시 아랫방향으로 향하는 제2 물 배출관(13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물 배출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 배출을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해 연결관(120)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연결관(120)은 물 공급관(140)과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소정의 각도(A)만큼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A 각도는 5도 내지 20도가 바람직하다. 20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연결관(120)과 건물 외벽의 다른 구조물과의 충돌 가능성이 있어서 연결관(120) 배치 효율이 저하되고, 5도 미만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기울임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1 물 배출관(130) 역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물 배출관(130)의 기울어진 각도(B)는 상술한 연결관(120)의 기울어진 각도 A와 같은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의 제어부(150)의 기능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10 : 스프링클러 120 : 연결관
130 : 물 배출관 140 : 물 공급관
131 :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
141 :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
150 : 제어부 160 : 공기 압축기
170 : 압축공기 공급관 171 : 제3 제어밸브
172 : 제4 제어밸브

Claims (7)

  1.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와;
    상기 스프링클러들 간을 연결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연결관과;
    일단이 소정의 물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연결관으로 전달하는 물 공급관과;
    상기 물 공급관에 장착되어 물 공급을 단속하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와;
    상기 연결관의 좌우측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연결되는 물 배출관과;
    상기 물 배출관에 장착되어 물 배출을 단속하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와;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와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 및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 간을 연결하고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방출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 및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에 전달하는 압축공기 공급관과;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 및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로의 압축공기의 공급을 단속하는 제3 제어밸브와;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 및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에 공급된 압축공기의 외부 배출을 단속하는 제4 제어밸브와;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가 열린 상태로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제어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3 제어밸브 및 상기 제4 제어밸브를 제어하고, 물 배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제어밸브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3 제어밸브 및 상기 제4 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을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거나 기 공급된 압축공기가 배출된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오픈 타입이고,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 제어밸브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을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거나 기 공급된 압축공기가 배출된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클로우즈 타입이고,
    상기 제3 제어밸브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의 인가가 없는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클로우즈 타입이고, 상기 제4 제어밸브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의 인가가 없는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오픈 타입이며,
    상기 연결관의 양쪽 끝단에는 제1 물 배출관과 제2 물 배출관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제어밸브는 복수개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물 배출관에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2-1 제어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물 배출관(130)에는 압축공기 제어형 제2-2 제어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는 현재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1 제어밸브가 닫히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1 제어밸브와 상기 압축공기 제어형 제2-2 제어밸브가 1초에 1번식 여닫힘 상태가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건물 외부에 노출된 것이고,
    상기 물 배출관은 건물 내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용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70293A 2021-05-31 2021-05-31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KR102384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93A KR102384075B1 (ko) 2021-05-31 2021-05-31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93A KR102384075B1 (ko) 2021-05-31 2021-05-31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075B1 true KR102384075B1 (ko) 2022-04-08

Family

ID=81182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293A KR102384075B1 (ko) 2021-05-31 2021-05-31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00377A (zh) * 2022-08-19 2022-11-29 任海蛟 一种用于互联网传输的智能消防喷头及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873A (ko) * 1996-12-11 1998-09-15 우덕창 동결 또는 동파방지용 옥내 소화전
JP2002224238A (ja) * 2001-02-06 2002-08-13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KR20070086479A (ko) * 2004-11-29 2007-08-27 피닉스 화이어화이팅 테크놀로지스 에스에이 밸브들을 구비한 소방 시스템에 적합한 시스템
KR20100052441A (ko) * 2010-04-28 2010-05-19 (주)대한건설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KR20200011534A (ko) 2017-10-24 2020-02-03 최승식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873A (ko) * 1996-12-11 1998-09-15 우덕창 동결 또는 동파방지용 옥내 소화전
JP2002224238A (ja) * 2001-02-06 2002-08-13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KR20070086479A (ko) * 2004-11-29 2007-08-27 피닉스 화이어화이팅 테크놀로지스 에스에이 밸브들을 구비한 소방 시스템에 적합한 시스템
KR20100052441A (ko) * 2010-04-28 2010-05-19 (주)대한건설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KR20200011534A (ko) 2017-10-24 2020-02-03 최승식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00377A (zh) * 2022-08-19 2022-11-29 任海蛟 一种用于互联网传输的智能消防喷头及使用方法
CN115400377B (zh) * 2022-08-19 2024-03-29 北京金土豆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传输的智能消防喷头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2198A (en) Device for damage protection against local flooding caused by sprinkler failure
KR100720188B1 (ko)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장치
EP2866906B1 (en) Thermal expansion assembly for water mist fire suppression system
KR102384075B1 (ko)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US20080128143A1 (en) System valve activation methods for deluge-like wet pipe sprinkler system
KR20190141539A (ko) 동파방지구조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635921B1 (ko)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US20030066903A1 (en) Wet-pipe sprinkler system, method of supplying water and dealing with water leak in the sprinkler system
US20190091500A1 (en) Pressure maintenance device with automatic switchover for use in a fire protection sprinkler system, and a related method
US20110127049A1 (en) Apportioner valve assembly and fire suppression system
ES2232503T3 (es) Dispositivo para la extincion de incendios.
KR101934765B1 (ko) 압력탱크 안전 제어 시스템
ES2806602T3 (es) Activador de operación de sistema de rociadores a preacción
JP2012161502A (ja) 消火ポンプシステム
CN112902485A (zh) 一种制冷和消防两用系统
JP6150585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の制御装置
JP2017136507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の制御装置
JP6150584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2011212181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514391B1 (ko) 소방 기능을 갖는 연료전지 일체형 냉각탑 시스템
KR102423982B1 (ko) 슬로싱이 감소된 dc 모터 타입 철도차량 화재진압 장치
CN219775480U (zh) 用于湿式消防报警系统中防频繁误动作的压力平衡结构
JPH03143460A (ja) 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装置
JP2517683B2 (ja) 住宅用スプリンクラ―装置
KR101202548B1 (ko) 소방수 공급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