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921B1 -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 Google Patents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921B1
KR102635921B1 KR1020210051511A KR20210051511A KR102635921B1 KR 102635921 B1 KR102635921 B1 KR 102635921B1 KR 1020210051511 A KR1020210051511 A KR 1020210051511A KR 20210051511 A KR20210051511 A KR 20210051511A KR 102635921 B1 KR102635921 B1 KR 10263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pipe
water
water discharg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975A (ko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102021005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92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2Pipe-line systems dry, i.e. empty of extinguishing material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buildings or installations in fire stor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16L35/005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와; 상기 스프링클러들 간을 연결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연결관과; 일단이 소정의 물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연결관으로 전달하는 물 공급관과; 상기 물 공급관에 장착되어 물 공급을 단속하는 제1 제어밸브와; 상기 연결관의 좌우측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연결되는 물 배출관과; 상기 물 배출관에 장착되어 물 배출을 단속하는 제2 제어밸브와;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가 열린 상태로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제어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물 배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제어밸브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YSTEM}
본 발명은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시적으로 화재 진화시 이를 진화하도록 하는 기능이 원활히 동작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방법이 강화됨에 따라 실내뿐만 아니라 소정의 외부 벽면에도 스프링클러를 장착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창고나 건물 등의 외벽 등에도 스프링클러(200)를 장착하여 화재시 물을 분사하여 화재 조기 진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실내와 달리 실외에 스프링클러(20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외부 온도에 따라 스프링클러 그 자체 또는 스프링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201) 내부에 있던 물이 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나 사계절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겨울철에는 외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200)까지 얼어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상시적으로 스프링클러(200)까지 물이 항상 차 있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이 도 2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부에는 소정의 연결관(201)이 배치되어 있고, 연결관 중간 중간에는 스프링클러(200)가 장착되어 있으며, 내부의 소정의 물 공급관(202)이 이러한 연결관(201)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물 공급관(202)에는 물 탱크나, 펌프와 같이 물을 공급하는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관(202)과, 이와 연결되는 연결관(201), 연결관(201)에 장착된 스프링클러(200) 내부에 모두 물이 가득 차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겨울철 기온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스프링클러 내부 또는 스프링클러(200)와 연결된 외부 노출관(201) 내의 물이 얼어서, 정작 화재시 제대로 된 진화가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20-001153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 기온이 낮은 경우 스프링클러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화재 진화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와; 상기 스프링클러들 간을 연결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연결관과; 일단이 소정의 물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연결관으로 전달하는 물 공급관과; 상기 물 공급관에 장착되어 물 공급을 단속하는 제1 제어밸브와; 상기 연결관의 좌우측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연결되는 물 배출관과; 상기 물 배출관에 장착되어 물 배출을 단속하는 제2 제어밸브와;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가 열린 상태로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제어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물 배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제어밸브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밸브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의 인가가 없는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오픈 타입이고, 상기 제2 제어밸브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의 인가가 없는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클로우즈 타입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은 건물 외부에 노출된 것이고, 상기 물 배출관은 건물 내부로 노출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이 감지되기 전 평상시에는 상기 제1 제어밸브를 열고 상기 제2 제어밸브를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정보를 기초로, 현재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제어밸브를 열고 상기 제2 제어밸브를 닫도록 제어하고, 현재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밸브를 닫고 상기 제2 제어밸브를 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 배출관은 상기 연결관의 좌우측 끝단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의 좌측 끝단에 연결된 제1 물 배출관에는 제2-1 제어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관의 우측 끝단에 연결된 제2 물 배출관에는 제2-2 제어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는 현재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2-1 제어밸브와 상기 제2-2 제어밸브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여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 구축 공법은, 벽면 외부에 가로방향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복수 개의 위치에 다른 관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복수 개 구비한 연결관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의 복수 개의 중 적어도 일부에 스프링클러를 연결하는 단계와; 일단이 물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연결관으로 전달하며, 특정 위치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오픈 타입의 제1 제어밸브가 설치된 물 공급관의 타단을 상기 연결관의 어느 하나의 연결부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벽면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관 내의 물을 배출시키고, 특정 위치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클로우즈 타입의 제2 제어밸브가 설치된 물 배출관을 상기 연결관의 좌우측 끝단과 각각 연결시키는 단계와;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를 열고 상기 제2 제어밸브를 닫도록 제어하고, 물 배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를 닫고 상기 제2 제어밸브를 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 라인을 상기 제1 제어밸브 및 상기 제2 제어밸브와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겨울철 관내의 물이 어는 바람에 동파가 발생하거나 또는 화재시 스프링클러를 통해 물이 분사되지 않는 경우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동파 방지로 인해 각종 화재 진화를 위한 파이프의 수명도 연장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건물 외관의 일 예이고,
도 2는 도 1의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구성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연결관 내부에 물이 차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물 배출관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6은 도 3의 연결관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7은 도 5의 물 배출관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또는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을 도 2의 종래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 도 3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은 스프링클러(110), 연결관(120), 물 공급관(140), 물 배출관(130),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스프링클러(110)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가로 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프링클러(110)는 초기 화재 진압에 기여하는 것으로서 대략 70도 전후에 녹는 합금 내지는 유리벌브로 된 감열부(미 도시함)로 막혀진 반사판을 이용한 살수구조로 되어 있는데, 화재가 발생하여 스프링클러(110)의 감열부(미 도시함)가 녹으면 연결관(120)에 가득차 있던 가압수가 쏟아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110)의 구조 및 기능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관(120)은 스프링클러(110)들 간을 연결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관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재 진화를 위해 가압수가 가득차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스프링클러(110)의 감열부가 녹음에 따라 가압수를 스프링클러(11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관(120)은 건물 외부에 노출된 것이라 가정한다.
물 공급관(140)은 일단이 소정의 물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관(120)과 연결되어,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연결관(12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물 공급부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물을 보관하는 물탱크나 또는 물을 공급하는 수전 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 공급부는 종래의 스프링클러(110) 구축 시스템에서도 이용되는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 공급관(140)은 이러한 물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연결관(120)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일종의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인데, 이러한 물 공급관(140)의 일부분(바람직하게는 물 공급관(140)과 물 공급부가 만나는 위치)에는 물 공급을 단속하는 제1 제어밸브(14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제어밸브(141)는 물 공급관(140)에 장착되어 물 공급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제1 제어밸브(141)의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소정의 유체를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밸브 구조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1 제어밸브(141)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오픈 타입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제어밸브(141)는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데, 열린 상태에서는 물 공급관(140)을 통해 물이 연결관(120)으로 전달되게 되고, 닫힌 상태에서는 물 공급관(140)을 통해 연결관(120)으로의 물의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이처럼 외부의 제어 신호 또는 전원 공급에 따라 열림/닫힘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밸브의 경우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거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열림상태 또는 닫힘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할 수 있는데, 그러한 상태에 따라 노멀 오픈 타입과 노멀 클로우즈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노멀 오픈 타입의 제어밸브는 오픈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그 오픈 상태를 유지하고, 만일 클로우즈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오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고, 노멀 클로우즈 타입의 제어밸브는 클로우즈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그 클로우즈 상태를 유지하고, 만일 오픈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노멀 오픈 타입 제어밸브와 클로우즈 타입 제어밸브 중에서 제1 제어밸브(141)는 노멀 오픈 타입으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 것이고, 이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토록 한다.
물 배출관(130)은 연결관(120)의 좌우측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연결되는 관으로서, 물이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 배출관(130)은 연결관(120)의 좌우측 끝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러한 물 배출관(130) 특정 위치에는 물 배출을 단속하는 제2 제어밸브(13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제어밸브(131)의 열림(오픈) 또는 닫힘(클로우즈) 상태에 따라 연결관(120) 내에 있던 물이 물 배출관(130)을 통해 유출되거나 유출을 멈출 수 있다.
이러한 제2 제어밸브(131)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또는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의 인가가 없는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클로우즈 타입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물 배출관(130)은 건물 내부로 노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 건물 내부에 소정의 물 받힘 통이 있거나, 또는 물 배출 하수 시설이 존재하는 경우 물 배출관(130)을 통해 유출되는 물이 해당 물 받힘 통 또는 물 배출 하수시설로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150)는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제1 제어밸브(141)를 열고, 제2 제어밸브(131)를 닫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제1 제어밸브(141)가 열린 상태이고, 제2 제어밸브(131)가 닫힌 상태인 경우라면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50)는 그 상태를 유지하고, 만일 현재 제1 제어밸브(141)가 닫힌 상태이고, 제2 제어밸브(131)가 열린 상태인 경우라면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50)는 제1 제어밸브(141)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2 제어밸브(131)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1 제어밸브(141)가 열리고 제2 제어밸브(131)가 닫히는 경우 물 공급부로부터 물 공급관(140)을 경유하여 연결관(120)으로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어 도 4와 같이 물 공급관(140) 및 연결관(120) 내에 물이 다 차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클러(110)가 동작하게 되면 연결관(120) 내에 있던 물이 스프링클러(110)를 통해 뿜어져 화재 진화를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화재 발생의 감지는 외부의 화재 감지 센서의 센싱 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화재 감지 센서의 기능 및 동작 방식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50)는 또한 물 배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제1 제어밸브(141)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2 제어밸브(131)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물 배출 조건이라 함은 연결관(120)과 물 공급관(140)의 내부에 있는 물을 모두 외부로 배출시켜 연결관(120)과 물 공급관(140) 내부가 비도록 하는 조건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온도 기반으로 물 배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소정의 온도 센서(미 도시함)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제어부(150)는 이러한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정보를 기초로 물 배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50)는 현재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제어밸브(141)를 열고 상기 제2 제어밸브(131)를 닫도록 제어하고, 현재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제1 제어밸브(141)를 닫고 제2 제어밸브(131)를 열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제어부(150)는 화재 발생이 감지되기 전 평상시에는 제1 제어밸브(141)를 열고 제2 제어밸브(131)를 닫도록 제어하되, 겨울철과 같이 실외 기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어 연결관(120) 내부의 물이 얼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제1 제어밸브(141)를 닫아서 물 공급부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한 상태에서 제2 제어밸브(131)를 열어서 연결관(120) 및 물 공급관(14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서 연결관(120) 내부와 물 공급관(140) 내부가 비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연결관(120)의 양단에 연결된 물 배출관(130)에 각각 제2 제어밸브(131)가 구비되고 함께 제어되어 개방되는 경우, 해당 물 배출관(130)을 통해 물이 빠져 나오면서 신속하게 연결관(120) 내부의 물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연결관(120)의 양단에 연결된 물 배출관(130)에 각각 구비된 제2 제어밸브(131)가 동시에 제어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교대로 그 닫힌 또는 열림 상태가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관(120)의 좌측 끝단에 연결된 제1 물 배출관(130)에는 제2-1 제어밸브가 장착되고, 연결관(120)의 우측 끝단에 연결된 제2 물 배출관(130)에는 제2-2 제어밸브가 장착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50)는 현재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제1 제어밸브(141)를 닫은 상태에서 제2-1 제어밸브와 제2-2 제어밸브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여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여 5분 동안 제2-1 제어밸브가 열리고 제2-2 제어밸브가 닫히도록 제어한 후, 이후 5분 동안 제2-1 제어밸브가 닫히고 제2-2 제어밸브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상술한 과정이 굉장히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초에 1번씩 제2-1 제어밸브와 제2-2 제어밸브의 여닫힘 상태가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제2-1 제어밸브와 제2-2 제어밸브의 여닫힘이 교대로 신속히 이루어지는 경우 연결관(120) 내부의 압력 변화를 유발시켜 연결관(120) 내부의 잔여 물기들이 물 배출관(130)을 통해 용이하게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공사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우선, 벽면 외부에 가로방향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복수 개의 위치에 다른 관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복수 개 구비한 연결관(120)을 배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관(120)에 복수 개의 지점 중 일부에 스프링클러(110)를 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 공급관(140)을 연결관(120)의 어느 하나의 연결부에 연결하는데, 그 전/후에 물 공급관(140)의 일단을 물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물 공급관(140)의 특정 위치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오픈 타입의 제1 제어밸브(141)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벽면 내부로 연장되어 연결관(120) 내의 물을 배출시키는 물 배출관(130)을 연결관(120)관 연결하는데, 이때 연결관(120)의 특정 위치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클로우즈 타입의 제2 제어밸브(131)를 설치한다.
이때 물 배출관(130)은 연결관(120)의 좌우측 끝단과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또는 물 배출 조건에 따라 제1 제어밸브(141)와 제2 제어밸브(131)의 여닫힘을 제어하는 제어부(150)의 제어 라인을 제1 제어밸브(141) 및 제2 제어밸브(131)와 연결시킨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구축된 화재 진화용 시스템에 의하면, 기온이 내려가는 겨울철에는 일시적으로(예를 들어 영하로 내려가는 밤 사이에) 물 배출관(130)을 통해 연결관(120) 내부의 물이 빠져 나가 연결관(120) 내부가 비어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관(120)이 동파되거나 내부의 물이 얼어서 정작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110)를 통해 물이 분사되지 않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물 배출관(130)이 연결관(120)으로부터 건물 내부쪽으로 연장된다고만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부쪽으로 연장되는 제1 물 배출관(130a)과, 다시 아랫방향으로 향하는 제2 물 배출관(130b)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물 배출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 배출을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해 연결관(120)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관(120)은 물 공급관(140)과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소정의 각도(A)만큼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A 각도는 5도 내지 20도가 바람직하다. 20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연결관(120)과 건물 외벽의 다른 구조물과의 충돌 가능성이 있어서 연결관(120) 배치 효율이 저하되고, 5도 미만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기울임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1 물 배출관(130) 역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물 배출관(130)의 기울어진 각도(B)는 상술한 연결관(120)의 기울어진 각도 A와 같은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화용 시스템의 제어부(150)의 기능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10 : 스프링클러 120 : 연결관
130 : 물 배출관 140 : 물 공급관
131 : 제2 제어밸브 141 : 제1 제어밸브
150 : 제어부

Claims (7)

  1.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와;
    상기 스프링클러들 간을 연결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연결관과;
    일단이 소정의 물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연결관으로 전달하는 물 공급관과;
    상기 물 공급관에 장착되어 물 공급을 단속하는 제1 제어밸브와;
    상기 연결관의 좌우측 끝단 각각에 연결되는 물 배출관과;
    상기 물 배출관에 장착되어 물 배출을 단속하는 제2 제어밸브와;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가 열린 상태로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제어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물 배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제어밸브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밸브는, 상기 연결관의 좌측 끝단에 연결된 제1 물 배출관에 장착되는 제2-1 제어밸브와, 상기 연결관의 우측 끝단에 연결된 제2 물 배출관에 장착되는 제2-2 제어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이 감지되기 전 평상시에는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정보를 기초로, 현재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제어밸브를 열고 상기 제2 제어밸브를 닫도록 제어하고, 현재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연결관 내부의 압력 변화를 유발시켜 연결관 내부의 잔여물기들이 신속하게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제어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2-1 제어밸브와 상기 제2-2 제어밸브가 1초에 한 번씩 여닫힘 상태가 교대로 수차례 이루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밸브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의 인가가 없는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오픈 타입이고, 상기 제2 제어밸브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의 인가가 없는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노멀 클로우즈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건물 외부에 노출된 것이고,
    상기 물 배출관은 건물 내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용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51511A 2021-04-21 2021-04-21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KR10263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511A KR102635921B1 (ko) 2021-04-21 2021-04-21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511A KR102635921B1 (ko) 2021-04-21 2021-04-21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975A KR20220144975A (ko) 2022-10-28
KR102635921B1 true KR102635921B1 (ko) 2024-02-08

Family

ID=8383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511A KR102635921B1 (ko) 2021-04-21 2021-04-21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9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238A (ja) * 2001-02-06 2002-08-13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KR101792767B1 (ko) * 2017-01-26 2017-11-01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279B1 (ko) * 1999-12-30 2001-12-24 장근호 안전 밸브
KR102310263B1 (ko) 2017-10-24 2021-10-06 최승식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JP7243960B2 (ja) * 2019-01-11 2023-03-22 Smc株式会社 電磁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238A (ja) * 2001-02-06 2002-08-13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KR101792767B1 (ko) * 2017-01-26 2017-11-01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975A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2681B1 (en) Device for extinguishing a fire
JP2007020751A (ja) 可動ガラリおよびこれを備えた消火対象区画の消火システム
KR102384075B1 (ko)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US4005754A (en) Process for the automatic reporting and extinguishing of fires
US20080128143A1 (en) System valve activation methods for deluge-like wet pipe sprinkler system
KR20190141539A (ko) 동파방지구조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635921B1 (ko)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KR101738879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US6840457B2 (en) Wet-pipe sprinkler system, method of supplying water and dealing with water leak in the sprinkler system
CN114053623A (zh) 一种建筑外墙自动喷水灭火系统
US20110127049A1 (en) Apportioner valve assembly and fire suppression system
ES2232503T3 (es) Dispositivo para la extincion de incendios.
JP7340654B2 (ja) 原子力発電所の消火システム
KR101717845B1 (ko) 스프링클러 소화장치
KR100456071B1 (ko)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JP2002224238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JP2006055212A (ja) 流水検知装置および該流水検知装置が設けられたスプリンクラー設備
JP2012161502A (ja) 消火ポンプシステム
CN219775480U (zh) 用于湿式消防报警系统中防频繁误动作的压力平衡结构
JP5004629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H03143460A (ja) 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装置
KR102223752B1 (ko) 옥내 소화전의 동결 방지 시스템
KR200226898Y1 (ko) 간이형 스프링쿨러 장치
JP2002291937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2019042087A (ja) 負圧湿式予作動スプリンクラー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