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351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351B1
KR102211351B1 KR1020207035247A KR20207035247A KR102211351B1 KR 102211351 B1 KR102211351 B1 KR 102211351B1 KR 1020207035247 A KR1020207035247 A KR 1020207035247A KR 20207035247 A KR20207035247 A KR 20207035247A KR 102211351 B1 KR102211351 B1 KR 102211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groove
inner container
groo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에이엠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엠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엠지 컴퍼니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3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movabl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가 확실히 연결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는, 외부 용기(10)의 안쪽에 내부 용기(20)가 삽입되어 형성되는 용기 본체를 가지고, 내부 용기(20)의 외면에는, 내부 용기(20)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로 긴 홈부(22c)가 형성되며, 홈부(22c)는, 내부 용기(20)가 외부 용기(10)에 삽입되었을 때, 용기 본체의 외부로 통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용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부품끼리를 확실히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스카라를 격납하는 용기에 관한 기술은 다수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125021호
특허 문헌 1에서는, 병(2)에 마스카라가 격납된다. 이에 반해, 외부 용기의 안쪽에, 마스카라를 격납하기 위한 내부 용기를 배치하고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이하, “이중 용기”라 한다.)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를 확실하게 연결할 필요가 있다.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를 연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가 연결용 재료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 용해된 열가소성 수지를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에 배치하는데,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에 존재하는 기체가 팽창하여,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의 연결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 일단 양호하게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를 연결해도, 이후의 멸균 공정 등에서 가열에 의해, 역시,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에 존재하는 기체가 팽창하여,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의 연결이 불량이 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근거로,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가 확실히 연결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발명은, 외부 용기의 안쪽에 내부 용기가 삽입되어 형성되는 용기 본체를 가진 화장품 용기로, 상기 내부 용기의 외면에는, 상기 내부 용기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긴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는,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에 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화장품 용기이다.
제1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내부 용기의 외면에 형성된 홈부가 용기 본체의 외부로 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에서 기체가 팽창했을 경우에는, 용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의 연결에 있어서 기체가 팽창해도, 팽창한 기체는 홈부에 의해 외부에 배출되기 때문에,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를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가 형성되었을 때, 상기 외부 용기의 내면과 상기 내부 용기의 외면간의 거리는, 하방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상기 거리에 따라 규정되고 있는, 화장품 용기이다.
외부 용기의 내면과 내부 용기의 외면간의 거리가, 충분히 큰 경우에는,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를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저항이 작기 때문에, 홈부는 불필요하다. 이에 반해, 해당 거리가 충분히 크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를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저항이 크기 때문에, 홈부가 유용하다. 이 점은, 제2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홈부의 길이는, 외부 용기의 내면과 내부 용기의 외면간의 거리에 의해 규정되기 때문에, 필요 충분한 길이로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발명은, 제2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폭은, 상기 내부 용기의 상단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화장품 용기이다.
화장품 용기에서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는 각각의 상단에서 서로의 위치가 결정된다. 즉,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의 상단에서 외부 용기의 내면과 내부 용기의 외면은 접하고 있다. 외부 용기의 내면과 내부 용기의 외면 사이의 거리가 클수록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저항이 작기 때문에 홈의 폭은 좁아도(작아도) 충분하다. 외부 용기의 내면과 내부 용기의 외면 사이의 거리가 작을수록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저항이 크므로 홈의 폭은 넓은(큰) 것이 좋다. 그리고 외부 용기의 내면과 내부 용기의 외면 사이의 거리는 하방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부 용기의 상단으로 갈수록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저항이 크다. 이 점은, 제3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홈부의 폭은 용기 상단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기 본체의 상단 근방에서도 팽창한 기체를 홈부로 회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제4 발명은, 제2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내부 용기의 상단 근방의 소정 범위에 형성되는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와 연속해서 형성되는 제2 홈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소정 범위의 소정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내부 용기의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고, 상기 제1 홈부의 폭은, 상기 제2 홈부에서의 가장 큰 폭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는, 화장품 용기이다.
외부 용기에 내부 용기가 삽입되는 용기에서는,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는, 각각의 상단 근방에서 서로의 위치가 결정된다. 따라서, 용기의 상단 근방에서,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홈부의 폭은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위치 결정의 관점에서는, 홈부의 폭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홈부는, 기체가 통과하는 통로로서 기능하는 것 외에, 기체를 보류하는 완충부로서도 기능한다. 바꾸어 말하면, 팽창한 기체가 홈부에 보류되기 때문에,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의 연결에 대해, 기체의 팽창이 즉시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면, 홈부의 폭은, 반드시, 상단에 이를 때까지 큰 폭을 유지할 필요는 없다. 이 점은, 제4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홈부의 폭은, 제2 홈부에서는 상단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제1 홈부의 폭은 제2 홈부의 가장 큰 폭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저항을 작게 한다는 요청과,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한다는 요청을 만족하면서, 기체의 팽창이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의 연결에 장애가 되는 문제를 해소하였다.
제5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4 발명의 어느 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성분을 가진, 화장품 용기이다.
  제5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팽창한 기체가 홈부로 흘러들 수 있는 위치가 늘어나기 때문에, 팽창한 기체를 효율적으로 홈부로 회수할 수 있다.
제6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5 발명의 어느 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나선상으로 형성된 나선상 부분과, 상기 나선상 부분의 소정의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상으로 형성된 직선상부를 가지는, 화장품 용기이다.
   제6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도, 팽창한 기체가 홈부에게 흘러들 수 있기 때문에, 팽창한 기체를 효율적으로 홈부로 회수할 수 있다.
  제7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6 발명의 어느 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용기는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용기의 외주면에서, 상단 근방의 소정 범위의 직경은, 상기 외부 용기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소정의 정도만 크게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제7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내부 용기의 외주면의 직경은 외부 용기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소정의 정도만 크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내부 용기를 외부 용기에 삽입할 때, 수지제 내부 용기는 탄성변형하여 축소한다. 그리고, 삽입이 완료되면,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를 안쪽에서 외측을 향해 압압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와 견고하게 연결된다.
제8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7 발명의 어느 한 구성에 있어서, 외부 캡의 안쪽에 내부 캡이 삽입되어 형성되는 캡을 가지며, 상기 내부 캡의 외면에는,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긴 캡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 홈부는, 상기 내부 캡이 상기 외부 캡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캡의 외부로 통하도록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제8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내부 캡의 외면에 형성된 캡 홈부가 캡의 외부로 통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캡과 외부 캡의 연결시에, 그것들 사이에 기체가 팽창했을 경우에는, 캡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내부 캡과 외부 캡의 연결시 기체가 팽창해도, 그 영향이 홈부에 의해 해소되기 때문에, 내부 캡과 외부 캡을 확실히 연결할 수 있다.
제9 발명은, 제8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캡의 외면과 상기 외부 캡의 내면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하고, 상기 내부 캡의 외면에는, 복수의 상기 캡 홈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캡 홈부 중, 일부의 상기 캡 홈부는 상기 공간과 상기 캡의 외부로 통하도록 구성되며, 다른 상기 캡 홈부는, 상기 공간으로는 통하고, 상기 외부로는 통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모든 홈부가 공간과 캡 외부의 양쪽에 통하고 있으면,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저항이 작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내부 캡이 외부 캡에 삽입되는 캡에 있어서는, 내부 캡과 외부 캡은, 각각의 하단 근방에서 서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내부 캡과 외부 캡의 하단이 캡의 외부와의 경계가 된다. 위치 결정을 위해서는, 내부 캡의 하단부에는 캡 홈부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캡 홈부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팽창한 기체를 외부에 방출할 수 없다. 이 점은, 제9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일부의 캡 홈부만이 공간과 캡 외부 양쪽에 통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의 요청과 팽창한 기체 배출의 요청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로 통하지 않은 캡 홈부는, 공간을 통해 외부로 통하고 있는 캡 홈부와 연속하기 때문에, 역시, 팽창한 기체의 배출할 수 있다.
제10 발명은, 제8 발명 또는 제9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캡의 외부로 통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캡 홈부의 폭은, 상기 홈부의 하단 근방의 소정 위치에서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제10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내부 캡의 하단부 근방이 가지는 외부 캡과의 위치 결정을 위한 기능과, 기체를 외부에 방출하는 기능 모두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가 확실히 연결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화장품 용기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화장품 용기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4는 뚜껑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화장품 용기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외부 용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외부 용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내부 용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내부 용기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9는 내부 용기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홈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홈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홈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은 홈부의 깊이 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외부 용기의 내주면과 내부 용기의 외주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외부 용기의 내주면과 내부 용기의 외주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외부 용기의 내주면과 내부 용기의 외주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외부 캡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8은 내부 캡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9는 내부 캡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0은 내부 캡이 외부 캡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내부 용기에 연결용 수지를 도포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2는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에 연결된 상태에서의 연결용 수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3은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에 연결될 때의 기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4는 내부 캡이 외부 캡에 연결될 때의 기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5는 용기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화장품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7은 제2 실시 형태의 내부 용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8은 홈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9는 홈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0은 내부 캡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31은 제3 실시 형태의 내부 용기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32는 제4 실시 형태의 내부 용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3은 제5 실시 형태의 내부 용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용기(1)는, 외부 용기(10) 및 외부 캡(외부 뚜껑; 30)을 포함한다. 화장품 용기(1)는 화장품 용기의 일례이며, 외부 용기(10)는 외부 용기의 일례이며, 외부 캡(30)은 외부 캡의 일례이다. 본 명세서에서, 화장품 용기(1)의 길이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지칭한다. 길이 방향은, 도 1의 화살표 Z1에 나타내는 방향이다.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이라고 지칭한다. 직교 방향은, 도 1의 화살표 X1에 나타내는 방향이다.
외부 용기(10)의 안쪽에는 내부 용기(20)(도 7 등 참조)가 삽입되어, 용기 본체가 형성된다. 외부 캡(30)의 안쪽에 내부 캡(40)(도 18 등 참조)이 삽입되어, 캡(뚜껑)가 형성된다. 내부 용기(20)는 내부 용기의 일례이며, 내부 캡(40)은 내부 캡의 일례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용기(1)로부터 외부 캡(30)을 분리하면, 내부 용기(20)가 시인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캡(30)의 안쪽에는 내부 캡(40)이 삽입된다. 내부 캡(40)에는, 봉(42)이 연결되며, 봉(42)에는 브러시(44)가 연결된다. 내부 용기(20)에는, 액체 상태의 화장품이 격납된다. 액체 상태의 화장품은, 예를 들면, 마스카라이다.
화장품 용기(1)는,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여 사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화장품 용기(1)의 길이 방향의 길이 L1(도 1 참조)는, 119.5mm이며, 직교 방향의 최대폭 LW1은, 16.59mm이다. 외부 용기(10)의 길이 L2는 78mm이며, 외부 캡(30)의 길이 L3은 41.3mm이다.
외부 용기(10) 및 외부 캡(30)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금속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다. 내부 용기(20) 및 내부 캡(40)은, 수지로 구성된다.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다. 내부 용기(20) 및 내부 캡(40)은,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용기(10)는, 상방이 개구된 용기이다. 외부 용기(10)의 직교 방향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외부 용기(10)에서, 외면을 외주면(10a), 내면을 내주면(10b)이라고 지칭한다. 외부 용기(10)는, 상단부가 개구되며, 상단부로부터 저부를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10b)의 상단부는, 직경 d1로 형성된다. 또, 내주면(10b)은, 길이 방향으로, 곡률 반경 R1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용기(20)는, 상방이 개구된 용기이다. 내부 용기(20)의 직교 방향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내부 용기(20)는, 본체부(22) 및 연결부(24)로 구성된다. 연결부(24)에는 수컷 나사(24a)가 형성되어, 내부 캡(40)의 나사(44d)(도 19 참조)와 계합한다.
본체부(22)는, 기부(22a) 및 확경부(22b)로 구성된다. 기부(22a)의 외면을 외주면(22a1), 확경부(22b)의 외면을 외주면(22b1)이라고 지칭한다. 외주면(22a1) 및 외주면(22b1)에 걸쳐, 홈부(22c)가 형성된다. 홈부(22c)는, 길이 방향의 길이가 직교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홈부(22c)는, 연결부(24)의 어깨면(24b)으로 통한다. 내부 용기(20)가 외부 용기(10)에 삽입되고 연결되어 용기 본체를 형성했을 때, 홈부(22c)는 용기 본체의 외부로 통한다. 즉, 홈부(22c)는, 어깨면(24b)에서 개구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경부(22b)의 외주는 직경 d2로 형성된다. 직경 d2는, 외부 용기(10)의 내주면(10b)의 상단부의 직경 d1보다 소정의 정도만 크다. 소정의 정도는, 소정의 수치 범위에서 규정된다. 예를 들면, 직경 d1을 기준으로서, 직경 d2는, 0.2% 이상 0.7% 이하의 수치 범위에서 크다. 예를 들면, 직경 d1은 14.8mm이며, 직경 d2는 14.85mm이다.
기부(22a)는, 길이 방향으로, 곡률 반경 R2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곡률 반경 R2는, 외부 용기(10)의 곡률 반경 R1보다 소정의 정도만 작다. 소정의 정도는 소정의 수치 범위에서 규정된다. 예를 들면, 곡률 반경 R1을 기준으로, 곡률 반경 R2는, 0.03% 이상 0.08% 이하의 수치 범위에서 작다. 예를 들면, 곡률 반경 R1은 938mm이며, 곡률 반경 R2는 937.55mm이다.
홈부(22c)는, 제1 홈부(22c1) 및 제2 홈부(22c2)로 구성된다. 제1 홈부(22c1)와 제2 홈부(22c2)는, 연속한 일체의 홈으로 형성된. 보다 상세하게, 제1 홈부(22c1)가 형성하는 확경부(22b)의 외주면(22b1)에 대한 오목부와, 제2 홈부(22c2)가 형성하는 외주면(22b1) 및 기부(22a)의 외주면(22a1)에 대한 오목부는 연속해서, 일체가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22c)(제1 홈부(22c1) 및 제2 홈부(22c2))는, 기부(22a)의 외주면(22a1) 및 확경부(22b)의 외주면(22b1)에서, 복수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홈부(22c)는, 외주면(22a1 및 22b1)에서, 90도의 각도만 이격되어 4개 형성된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부(22c1)는, 내부 용기(20)의 상단 근방의 소정 범위에 형성된다. 도 10은 홈부(22c)를 상방에서 본 확대도이며, 도 11은 홈부(22c)를 하방에서 본 확대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내부 용기(20)의 “상단 근방”은 확경부(22b)를 의미한다. 제1 홈부(22c1)는, 길이 방향으로, 확경부(22b)의 상단을 포함한 소정 범위에 형성된다. 소정 범위는,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의 부분(22b1a)이다. 제1 홈부(22c1)는, 어깨면(24b)으로 통한다. 즉, 제1 홈부(22c1)는, 어깨면(24b)에서, 개구된다.
제2 홈부(22c2)는, 제1 홈부(22c1)와 연속해서 형성된다. 제2 홈부(22c2)는, 기부(22a)에서 확경부(22b)의 소정 범위의 위치까지 연장된다. 확경부(22b)의 소정 범위는,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의 부분(22b1b)이다. 제2 홈부(22c2)의 폭은, 내부 용기(20)의 상단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부(22c1)는 폭 w1로 형성된다. 제2 홈부(22c2)에서, 가장 큰 폭은 폭 w2로 형성된다. 폭 w1은 폭 w2보다 작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부(22c1)는 깊이 e1로 형성된다. 제2 홈부(22c2)는, 부분(22b1b)에서, 깊이 e2로 형성되고, 기부(22a)에서, 깊이 e3로 형성된다. 깊이 e1은 깊이 e3보다 얕고, 깊이 e3은 깊이 e2보다 얕다. 즉, “e1<e3<e2”(식 1)의 관계를 만족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내부 용기(20)가 외부 용기(10)에 삽입되어 용기 본체를 형성했을 때의, 내부 용기(20)의 외주면(22a1 및 22b1)과 외부 용기(10)의 내주면(10b)의 관계를 설명한다. 외주면(22a1)을 상단부로부터의 높이에 따라, 외주면(22a1 내지 22a3)으로 구분하고, 밑부분을 저부(22a4)로 한다. 이와 같이, 내주면(10b)을 상단부로부터의 높이에 따라, 내주면(10b0 내지 10b3)으로 구분하며, 밑부분을 저부(10b4)로 한다.
외주면(22b1)은 내주면(10b0)과 접하며, 내부 용기(20)와 외부 용기(10)가 위치 결정된다. 제1 홈부(22c1)는, 외주면(22b1)에 형성된다. 제2 홈부(22c2)는 외주면(22b1), 외주면(22a1 및 22a2)에 걸쳐 형성된다. 홈부(22c)는, 길이 L4로 형성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내부 용기(20)의 외주면(22a1)과 외부 용기(10)의 내주면(10b)의 거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외부 용기(10)의 내주면(10b)은 곡률 반경 R1의 곡면으로 형성되고, 내부 용기(20)의 외주면(22a1)은 곡률 반경 R2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곡률 반경 R2는 곡률 반경 R1보다 작다. 이 때문에, 내부 용기(20)가 외부 용기(10)에 삽입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접촉하여, 외주면(22a1)과 내주면(10b)의 거리는, 하방으로 갈수록 커진다.
홈부(22c)의 길이 L4는, 외주면(22a1)과 내주면(10b)의 거리에 따라 규정된다. 즉, 내부 용기(20)가 외부 용기(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주면(22a1)과 내주면(10b) 사이에 충분한 틈이 존재하는 위치에서는, 기체가 큰 저항을 받지 않고 통과 가능하기 때문에, 홈부(22c)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외주면(22a1)과 내주면(10b) 사이에 충분한 틈이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서는, 기체가 통과할 때 큰 저항을 받거나 통과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홈부(22c)가 형성된다. 상술한 외주면(22a3)과 내주면(10b3) 사이는, 충분한 틈이 존재하기 때문에, 홈부(22c)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외주면(22a1)과 내주면(10b) 사이는, 틈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홈부(22c)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용기(20)가 외부 용기(10)에 연결되어 용기 본체를 형성하면, 그 상단에서, 외주면(22a1)과 내주면(10b) 사이의 거리가 가장 작다. 이 점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홈부(22c2)의 폭을 상단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함으로써, 팽창한 기체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캡(30)은, 하단부가 개구된 뚜껑이다. 외부 캡(30)의 직교 방향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외부 캡(30)에서, 외면을 외주면(30a), 내면을 내주면(30b)이라 지칭한다. 외부 캡(30)은,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 및 상단 근방부는 구면으로 형성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캡(40)은, 본체부(44)와, 본체부(44)에 연결되는 봉(42)을 포함한다. 내부 캡(40)은, 하단부(44c)가 개구된다. 본체부(44)의 내면에는, 나사(44d)가 형성된다. 또한, 봉(42)의 하단부에는 브러시(44)(도 4 참조)가 연결되고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브러시(44)는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캡(40)의 외주면(44a)에는, 캡 홈부(44a1)가 형성된다. 캡 홈부(44a1)는, 길이 방향의 길이가, 직교 방향의 길이보다 긴 홈이다. 캡 홈부(44a1)는 복수 형성되고, 캡 홈부(44a1) 중, 일부의 캡 홈부(44a1)는, 제2 캡 홈부(44a2)와 연속된다. 이하, 제2 캡 홈부(44a2)와 연속하는 캡 홈부(44a1)를 “연속 캡 홈부”라고 지칭한다. 내부 캡(40)이 외부 캡(30)에 삽입되어 캡이 형성되었을 때, 제2 캡 홈부(44a2)는 캡의 외부로 통하도록 구성된다. 제2 캡 홈부(44a2)의 폭은, 캡 홈부(44a1)의 폭보다 작다.
내부 캡(40)을 외부 캡(30)에 삽입하여 캡을 형성하면, 내부 캡(40)의 외면과 외부 캡(30)의 내면 사이에 공간이 존재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캡(40)의 상단부(44b)와 외부 캡(30)의 천장면(30b1) 사이에 공간 S1이 존재한다. 연속 캡 홈부는, 공간 S1과 캡의 하방부의 외부의 쌍방으로 통하도록 구성된다. 연속 캡 홈부를 구성하지 않는 캡 홈부(44a1)는, 공간 S1을 통해, 캡의 외부로 통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내부 용기(20)와 외부 용기(10)의 연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용기(20)의 외주면(22a1)에, 연결용 수지(100)를 도포한다. 수지(100)의 융점은, 내부 용기(20)를 형성하는 수지의 융점 이하이다. 수지(100)는, 용융된 상태로 도포된다. 용융된 수지(100)부터 방사되는 열에 의해, 주위의 기체는 팽창한다.
다음으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용기(20)가 외부 용기(10)에 삽입된다. 내부 용기(20)의 외주면(22a1)과 외부 용기(10)의 내주면(10b) 사이에서 수지(100)가 퍼져, 외주면(22a1)과 내주면(10b) 사이의 공간을 메워, 연결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용기(20)의 확경부(22b)의 직경 d2는, 외부 용기(10)의 내주면(10b) 상단부의 직경 d1보다 크기 때문에, 내부 용기(20)가 외부 용기(10)에 삽입될 때, 확경부(22b)는 탄성변형하여 축소하고, 삽입이 완료되면, 내측으로부터 외부 용기(10)의 내주면(10b)를 압압한다. 이와 같이, 내부 용기(20)는 외부 용기(10)의 안쪽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 용기(10)의 내면(10b)의 저면(10b4)과, 내부 용기(20)의 외면의 저면(22a4) 사이에 공간 S2가 존재한다.
내부 용기(20)를 외부 용기(10)에 삽입할 때, 수지(100)는 용융 상태로, 열을 방사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 용기(20)와 외부 용기(10) 사이의 기체는 팽창한다. 공기중에서 화장품 용기(1)를 제조하는 경우에, 기체는 공기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한 기체는, 예를 들면, 화살표 A1 및 A2로 표시된 바와 같이 홈부(22c)로 유입되어, 화살표 A3로 표시된 바와 같이, 내부 용기(20)와 외부 용기(10) 사이에서 방출된다.
이 때문에, 팽창한 기체가, 내부 용기(20)와 외부 용기(10)의 연결의 장애가 되지 않는다. 또, 내부 용기(20)와 외부 용기(10)가 연결되고, 내부 용기(20)의 내부에 마스카라가 격납된 상태에서, 멸균 등을 위해서 가열한 경우에도, 공간 S2에 존재하는 기체 등, 외부 용기(10)와 내부 용기(20) 사이에 존재하는 기체는 팽창하지만, 역시, 홈부(22c)로 유입되어, 외부 용기(10)와 내부 용기(20)의 연결 상태에 영향을 주는 않는다. 또한, 도 23의 화살표 A1 내지 A3로 표시된 기체의 흐름은, 내부 용기(20)와 외부 용기(10) 사이의 기체의 흐름을 나타내지만, 도 23에서는, 외부 용기(10)의 기재를 생략했다.
다음으로, 내부 캡(40)이 외부 캡(30)에 연결될 때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부 캡(40)이 외부 캡(30)에 삽입될 때, 상술한 내부 용기(20)와 같이, 내부 캡(40)의 외주면(44a)에는, 용융된 수지(100)가 도포된다. 그러면, 내부 캡(40)과 외부 캡(30) 사이의 기체는 팽창하지만,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캡 홈부에 대해서는, 화살표 B3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캡 홈부(44a1)로 유입되어, 제2 캡 홈부(44a2)를 지나 외부로 방출된다. 연속 캡 홈부 이외의 캡 홈부(44a1)에 유입된 기체는, 화살표 B1 및 B2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공간 S1로 유입된 후, 연속 캡 홈부로 유입되어, 역시,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문에, 팽창한 기체가, 내부 캡(40)과 외부 캡(30)의 연결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또, 내부 캡(40)과 외부 캡(30)이 연결된 상태에서, 멸균 등을 위해서 가열한 경우에도, 외부 캡(30)과 내부 캡(40) 사이에 존재하는 기체는 팽창하지만, 역시, 캡 홈부(44a1)로 유입되어, 연속 캡 홈부를 통해 외부에 배출되기 때문에, 외부 캡(30)과 내부 캡(40)의 연결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도 24의 화살표 B1 내지 B3로 표시된 기체의 흐름은, 내부 캡(40)과 외부 캡(30) 사이의 기체의 흐름을 나타내지만, 도 24에서는, 외부 캡(30)의 기재를 생략했다.
다음으로,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화장품 용기(1)의 조립 공정을 설명한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서는, 다른 부재의 안쪽에 위치하는 부재도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용기(10)에 내부 용기(20)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 용기(20)의 연결부(24)에는, 게이트 부재(26)가 연결된다. 게이트 부재(26)는, 직교 방향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게이트 부재(26)는, 화장품 용기(1)가 사용될 때, 브러시(44)와 접하여, 브러시(44)에 부착한 마스카라의 양을 조정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캡(30)에 연결된 내부 캡(40)이, 외부 용기(10)에 연결된 내부 용기(20)와 계합해서, 화장품 용기(1)가 형성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27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내부 용기(20A)에서는, 기부(22a) 및 확경부(22b)에 걸쳐, 홈부(22Ac)가 형성된다. 홈부(22Ac)는, 내부 용기(20A)의 상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진다. 즉, 홈부(22Ac)는, 어깨면(24b) 의 개구부에서 가장 폭이 크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캡(40A)에서는, 모든 캡 홈부(44a1)가, 각각, 제2 캡 홈부(44a2)에 연결되어, 연속 캡 홈부가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31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내부 용기(20)B에서는, 복수의 제2 홈부(22c2) 중, 일부의 제2 홈부(22c2)가, 제1 홈부(22c1)와 연속된다. 예를 들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제2 홈부(22c2) 중, 하나의 제2 홈부(22c2)만이 제1 홈부(22c1)와 연속해서, 연속 홈부를 구성한다. 연속 홈부를 구성하지 않는 제2 홈부(22c2)에 유입된 기체는, 공간 S2(도 22 참조) 등, 내부 용기(20B)와 외부 용기(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연속 홈부로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32를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내부 용기(20C)에서는, 제2 홈부(22c3)가 연장되는 방향은, 길이 방향의 성분에 더해서, 직교 방향의 성분을 가진다. 예를 들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홈부(22c3)는 구불구불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팽창한 기체를 신속히 제2 홈부(22c3)에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33을 참조하여, 제5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의 내부 용기(20D)에서는, 제2 홈부(22c4)가 연장되는 방향은, 길이 방향의 성분에 더해서, 직교 방향의 성분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2 홈부(22c4)는, 기부(22a)의 외주면(22a1)에서, 나선상으로 형성된 나선부(22c41)와, 나선부(22c41)의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직선부(22c42)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팽창한 기체를 신속히 제2 홈부(22c4)에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상기 실시 형태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더할 수 있다.
1: 화장품 용기
10: 외부 용기
20, 20A, 20B, 20C, 20D: 내부 용기
30: 외부 캡
40, 40A: 내부 캡
22c, 22d, 22e: 홈부
44a1: 캡 홈부
44a2: 제2 캡 홈부

Claims (10)

  1. 외부 용기의 내측에 내부 용기가 삽입되어 형성된 용기 본체를 가진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의 본체부는, 기부와, 상기 기부의 상방에 형성된 확경부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가 형성되었을 때, 상기 외부 용기의 내면과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기부의 외면 사이의 거리는, 하방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기부의 외주면 및 상기 확경부의 외주면에 걸쳐 상기 내부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긴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상기 외부 용기의 내면과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기부의 외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로 통하도록 구성된, 화장품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폭은, 상기 내부 용기의 상단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구성된, 화장품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확경부에 형성된 제1 홈부와, 상기 확경부와 상기 본체부에 걸쳐 형성된 제2 홈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내부 용기의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고,
    상기 제1 홈부의 폭은, 상기 제2 홈부의 가장 큰 폭보다 작게 구성된, 화장품 용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성분을 가지는, 화장품 용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나선상으로 형성된 나선상 부분과, 상기 나선상 부분의 소정의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상으로 형성된 직선상 부분을 가지는, 화장품 용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용기는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본체부의 상기 확경부의 직경은, 상기 외부 용기의 내주면의 상단부의 직경보다 소정의 정도만 크게 형성된, 화장품 용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외부 캡의 내측에 내부 캡이 삽입되어 형성된 캡을 가지고,
    상기 내부 캡의 상단부와 상기 외부 캡의 천장면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고,
    상기 내부 캡의 외면에는,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긴 복수의 캡 홈부가 형성되며,
    일부의 상기 캡 홈부는 상기 공간과 상기 캡의 외부 쌍방으로 통하도록 구성되며, 다른 상기 캡 홈부는 상기 공간으로는 통하고, 상기 외부로는 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화장품 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캡의 외부로 통하도록 구성된 상기 캡 홈부의 폭은, 상기 홈부의 하단 근방의 소정 위치에서 좁아지도록 구성된, 화장품 용기.
  9. 삭제
  10. 삭제
KR1020207035247A 2019-11-13 2019-11-13 화장품 용기 KR102211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44599 WO2021095177A1 (ja) 2019-11-13 2019-11-13 化粧品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351B1 true KR102211351B1 (ko) 2021-02-02

Family

ID=7399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247A KR102211351B1 (ko) 2019-11-13 2019-11-13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42331A1 (ko)
JP (1) JP6807130B1 (ko)
KR (1) KR102211351B1 (ko)
WO (1) WO20210951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8950A1 (de) * 2020-06-02 2021-12-08 Seidel GmbH & Co. KG Tiegel
IT202000019549A1 (it) * 2020-08-06 2022-02-06 Tanklux Srl Contenitore per prodotti cosmetici in genere, in particolare i prodotti cosmetici per gli occhi e per le labbra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21U (ko) * 1989-06-01 1991-01-16
JP2005125021A (ja) 2003-09-30 2005-05-19 Kose Corp 塗布具
KR20150031572A (ko)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리필 가능한 화장품용기
JP2017047202A (ja) * 2015-08-25 2017-03-09 デーエムコスメテイックス カムパニ リミテッド ドア機能を有する抗菌マスカラ容器
KR102153903B1 (ko) * 2020-01-06 2020-09-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8633Y2 (ja) * 1992-10-14 1998-08-13 竹内工業株式会社 化粧品等の収納容器
JPH08324562A (ja) * 1996-06-04 1996-12-10 Asai Glass Kk 多目的二重構造容器
JP2001327325A (ja) * 2000-05-18 2001-11-27 Kanebo Ltd 二重容器
JP3910059B2 (ja) * 2001-12-21 2007-04-25 花王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US7374358B2 (en) * 2005-03-01 2008-05-20 Elc Management, Llc Sealed cosmetic wiper
JP5746947B2 (ja) * 2011-09-30 2015-07-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レフィール容器及び二重容器
JP7042556B2 (ja) * 2017-02-20 2022-03-28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21U (ko) * 1989-06-01 1991-01-16
JP2005125021A (ja) 2003-09-30 2005-05-19 Kose Corp 塗布具
KR20150031572A (ko)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리필 가능한 화장품용기
JP2017047202A (ja) * 2015-08-25 2017-03-09 デーエムコスメテイックス カムパニ リミテッド ドア機能を有する抗菌マスカラ容器
KR102153903B1 (ko) * 2020-01-06 2020-09-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5177A1 (ja) 2021-05-20
JPWO2021095177A1 (ja) 2021-11-25
JP6807130B1 (ja) 2021-01-06
US20220142331A1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351B1 (ko) 화장품 용기
JP6409825B2 (ja) 歯間清掃具の製造方法
JP2007244905A (ja) 物質を爪に塗布するアプリケータ
KR20170139672A (ko)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US9315315B2 (en) Remainder reducing member
US6589484B2 (en) One-piece pipette/dropper assembly and the method of making same
TWI608970B (zh) 內塞和具備該內塞的液體收容容器、以及注口的前端構造和具備該構造的液體收容容器
KR101761362B1 (ko) 립스틱 성형용 탄성몰드
JP4856581B2 (ja) 合成樹脂製ボトル
JP5265254B2 (ja) 樹脂製アンプル
US11135753B2 (en) Injection mold, resin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n product
JP4912784B2 (ja) 合成樹脂製ボトル
KR20200141039A (ko) 세제 병을 위한 마개 캡
JP4795156B2 (ja) 合成樹脂製ボトル
JP2018008738A (ja) 薬液容器
JP2015137115A (ja) 流体容器用の逆流防止弁機構
KR102409222B1 (ko)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11718448B2 (en) Handle-equipped container
KR20170107535A (ko) 피부에 유체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헤드
JP6577476B2 (ja) 滴下用ノズル及び滴下具
JP6110248B2 (ja) ブロー成形容器
CN109890514A (zh) 适合用于液滴生成器的毛细管
WO2020209024A1 (ja) 塗布具、並びに、筆穂取付具
JP6352071B2 (ja) ボトル容器およびボトル容器詰め商品
JP2010280089A (ja) 化粧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