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903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903B1
KR102153903B1 KR1020200001409A KR20200001409A KR102153903B1 KR 102153903 B1 KR102153903 B1 KR 102153903B1 KR 1020200001409 A KR1020200001409 A KR 1020200001409A KR 20200001409 A KR20200001409 A KR 20200001409A KR 102153903 B1 KR102153903 B1 KR 102153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upling
protrusion
cosmetic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00001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를 포함하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필 용기이고, 상기 외용기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는 화장료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내용기;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외용기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화장품을 반복 사용하여 용기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을 모두 소진한 경우, 소비자는 화장품 용기 전체를 버리고 새로운 화장품 용기를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화장품이 일회성으로 생산 판매되므로 소비자에게 화장품 용기 자체의 비용을 부담시키게 되므로 화장품의 단가가 상승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화장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게 한 리필용 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리필용 제품들은, 내용물인 화장료를 정품용기에 보충하여 사용하는 타입과, 화장료가 수용된 리필 용기를 외부 용기로부터 교체하여 사용하는 타입이 있다.
화장료를 용기에 보충하여 사용하는 타입의 제품은 화장료를 옮겨 담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우며, 이미 사용된 용기에 화장료를 보충하는 것이므로, 용기에 이전의 화장료가 잔류할 수 있는 바, 청결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등록실용신안 제20-0405326호와 같이 리필 용기를 외부 용기로부터 교체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가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장품 용기는 외부 용기의 내측 하부에서 리필 용기와 외부 용기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바, 사용자가 육안으로 결합부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쉽게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리필 용기의 교체를 위해 결합 해제를 하는 경우에도, 결합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리필 용기의 특성 상 견고하게 고정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405326호(2006.01.02.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필 용기의 교체가 편리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리필 용기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를 포함하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필 용기이고, 상기 외용기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는 화장료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내용기;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외용기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돌출되고, 소정의 곡률 반지름을 갖는 제1 결합돌기;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제2 결합돌기;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2 결합돌기는 동일한 곡률 반지름을 갖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내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될 수 있는 원형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소정의 곡률 반지름을 갖되, 상기 홀과 동심원으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돌기가 배치되는 제1 부분; 상기 제2 결합돌기가 배치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이 끼움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용기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기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기는 상기 외용기의 내측 둘레를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교대로 돌출된 위치가 바뀌는 쐐기 형태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는, 상기 화장료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개구측에 형성되는 목부; 및 상기 목부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료 저장 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화장료 저장 공간에 수용된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부를 덮는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뚜껑의 내측 둘레는 상기 내용기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리필 용기의 교체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리필 용기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고정부재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내용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고정부재와 뚜껑을 제외한 도 1의 화장품 리필용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뚜껑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고정부재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내용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고정부재와 뚜껑을 제외한 도 1의 화장품 리필용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뚜껑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토너(toner) 및 에멀젼(emulsion)과 같은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상술한 화장료 이외의 다른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외용기(10)와, 적어도 일부가 외용기(10)에 수용되는 내용기(20)와, 외용기(10)에 수용된 내용기(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30)와, 뚜껑(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용기(20)는 리필 용기로서, 외용기(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고정 부재(30)를 조작하여 내용기(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외용기(10)는 화장품 용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측이 개구된 용기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용기(10)는 내용기(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1)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용기(10)가 사각형 단면을 갖는 사각 기둥 형태로 제공되고, 내용기(20)가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나, 외용기(10) 및 내용기(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용기(10)는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 공간(11)은 내용기(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내용기(20)의 수용되는 부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수용 공간(11)의 둘레는 내용기(20)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 공간(11)의 둘레는 내용기(20)의 외측 둘레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의 내측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11)는 내용기(20)에 형성되는 고정홈(213)에 끼움 결합되어, 내용기(20)를 수용 공간(11)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내측"은 화장품 용기(1)의 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111)는 결합부(12)의 내측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정돌기(111)는 쐐기 형상과 같이 양측이 비대칭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111)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고정돌기(111)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111) 중 다른 하나와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높이가 증가하는 방향이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정돌기(111)의 일부는 일측이 더 돌출된 쐐기 형태이고, 다른 일부는 타측이 더 돌출된 쐐기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고정돌기(111) 중 적어도 하나는 결합부(12)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에 대해 결합부(12)의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고, 복수 개의 고정돌기(111) 중 다른 하나는 결합부(12)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에 대해 결합부(12)의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돌기(111)가 8개로 제공되고, 시계 방향을 따라 돌출 높이가 증가하는 고정돌기(111)와 반시계 방향을 따라 돌출 높이가 증가하는 고정돌기(111)가 교대로 번갈아 가며 배치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고정돌기(111)의 개수 및 돌출 높이가 증가하는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돌기(111)는 내용기(20)에 형성되는 고정홈(21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돌기(111)와 고정홈(213)을 통한 끼움 결합을 통해 내용기(20)가 외용기(10)에 수용된 상태에서 내용기(20)가 외용기(10)의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돌기(111)가 외용기(10)에 제공되고, 고정홈(213)이 내용기(20)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돌기(111)가 내용기(20)에 제공되고, 고정홈(213)이 외용기(10)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돌기(111)의 일부는 외용기(10)에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내용기(2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외용기(10)의 상측에는 고정 부재(30)가 결합되는 결합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부재(30)가 외용기(10)의 결합부(12)에 결합됨으로써, 내용기(20)가 외용기(10)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내용기(20)는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내용기(20)의 적어도 일부는 외용기(10)에 수용될 수 있다. 내용기(20)는 화장료를 수용하는 저장부(21)와, 저장부(21)의 개구측에 제공되는 목부(22)와, 저장부(21)에 수용되는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토출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부(21)와 목부(22) 및 토출부(23)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직경'은 이들의 단면 상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저장부(21)에는 일정량의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는 화장료 저장 공간(2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화장료 저장 공간(211)에 수용되는 화장료는 토너, 에멀젼, 파운데이션, 수분크림 등의 화장료일 수 있다.
저장부(21)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저장부(21)의 외경은 외용기(10)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저장부(21)의 상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복수 개의 고정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213)은 고정돌기(111)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홈(213)과 고정돌기(11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목부(22)는 화장료 저장 공간(211)을 형성하는 저장부(21)의 입구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저장부(21)의 개구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목부(22)는 저장부(2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저장부(21)에 조립될 수 있다. 목부(22)도 화장료의 투입 방향을 따라 변하는 직경을 가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목부(22)는 저장부(21)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23)는 목부(22)에 연결되어, 화장료 저장 공간(211)에 수용되는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일 예로, 토출부(23)은 목부(22)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토출부(23)와 목부(22)의 결합 방법은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토출부(23)는 목부(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토출부(23)는 화장료 저장 공간(211)에 수용되는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토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부(23)는 펌프(231)와 펌프튜브(233)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231)는 토출 수단으로서, 화장료 저장 공간(211)에 수용되는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펌프튜브(233)는 펌프(231)에 연결되고 화장료 저장 공간(211)으로 연장되어 화장료 저장 공간(211)에 수용된 화장료를 흡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 수단으로서 펌프(231)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나, 토출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토출부(23)에 구비되는 토출 수단으로 노즐, 스펀지, 밸브 등의 다양한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고정 부재(30)는 결합부(12)에 결합되어, 내용기(20)가 외용기(10)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용기(20)가 외용기(10)에 수용된 후, 고정 부재(30)가 결합부(12)에 결합되어 수용 공간(11)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용기(10)에 수용된 내용기(20)가 외용기(1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 내용기(20)가 외용기(10)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고정 부재(30)는 바디부(31) 및 내용기(20)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될 수 있는 원형의 홀(3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1)는 고정 부재(3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디부(31)의 배면에는 가이드 부재(31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면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14)는 고정 부재(30)와 외용기(10)의 결합을 위해 고정 부재(3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소정의 곡률 반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재(314)는 홀(32)과 동심원을 이루며, 바디부(31)의 배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31)는 가이드 부재(314)로부터 내측, 즉 홀(32)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결합돌기(311) 및 제2 결합돌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돌기(311) 및 제2 결합돌기(312)가 가이드 부재(314)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제1 결합돌기(311) 및 제2 결합돌기(312)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바디부(31)의 배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바디부(31)는, 결합부(12)의 외측 둘레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제1 결합돌기(311)와, 결합부(12)의 외측 둘레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제2 결합돌기(312)와, 제1 결합돌기(311)와 제2 결합돌기(312)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돌기(311)와 제2 결합돌기(312)는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고, 결합홈(313)은 제1 결합돌기(311)와 제2 결합돌기(312)가 서로 이격되도록 제1 결합돌기(311)와 제2 결합돌기(3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돌기(311) 및 제2 결합돌기(312)는 동일한 곡률 반지름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홀(32)과 동심원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돌기(311) 및 제2 결합돌기(312)의 곡률 반지름은 홀(32)의 곡률 반지름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결합돌기(311) 및 제2 결합돌기(312)는 고정 부재(30)의 배면부에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돌기(311) 및 제2 결합돌기(312)가 90° 간격으로 각각 4개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나, 제1 결합돌기(311)와 제2 결합돌기(312) 개수 및 제1 결합돌기(311)와 제2 결합돌기(312)가 배치되는 각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돌기(311)와 제2 결합돌기(312)는 각각 3개 제공되어 서로 120°의 각도를 이루도록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12)는, 고정 부재(30)가 외용기(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결합돌기(311)가 배치되는 제1 부분(121)과, 고정 부재(30)가 외용기(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결합돌기(312)가 배치되는 제2 부분(122)과, 제1 부분(121)과 제2 부분(122) 사이에 돌출되는 걸림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30)가 외용기(10)에 결합되기 위해, 제1 결합돌기(311)는 제2 부분(122)을 통하여 걸림돌기(123)를 통과할 수 있고, 제1 부분(121)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311)가 제1 부분(121)에 위치되면, 제2 결합돌기(312)는 제2 부분(122)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돌기(311)와 제2 결합돌기(312)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313)에 걸림돌기(123)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결합돌기(311)가 제1 부분(121)에 위치되고, 제2 결합돌기(312)가 제2 부분(122)에 위치되며, 걸림돌기(123)가 결합홈(313)에 위치되면, 고정 부재(30)가 외용기(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돌기(311)와 제1 부분(121), 제2 결합돌기(312)와 제2 부분(122), 걸림돌기(123)과 결합홈(313)은, 고정 부재(30)와 외용기(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돌기(311)와 제2 결합돌기(312)와 결합홈(313)은 가이드 부재(314)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1 부분(121)과 제2 부분(122)과 걸림돌기(123)는 결합부(12)의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상호 상하 방향으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부재(314)에 돌기들(311, 312)과 그 사이에 제공되는 결합홈(313)이 제공되고, 그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이 결합부(12)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은 이러한 구성요소의 배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홀(32)은 토출부(23)가 관통될 수 있는 구멍으로서, 고정 부재(3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용기(20)가 외용기(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홀(32)을 통해 토출부(23)가 관통되어, 고정 부재(30)가 결합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홀(32)은 토출부(23)의 최대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32)의 직경은 토출부(23)의 최대 외경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내용기(20)가 외용기(10)에 수용된 후, 고정 부재(30)가 외용기(10)에 결합되는 바, 고정 부재(30)는 수용 공간(11)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 고정 부재(30)가 수용 공간(11)의 개구를 차폐함으로써, 내용기(20)는 수용 공간(11)에서 이탈되지 않고, 외용기(10)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외용기(10) 및 내용기(20)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외부에서 화장료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내용기(20)의 교체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뚜껑(40)은 토출부(23)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화장료를 토출하는 토출부(23)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장품 용기(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뚜껑(40)을 토출부(23)에 결합시킴으로써, 토출부(23)를 통해 화장료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뚜껑(40)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돌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돌기(41)가 120° 등간격으로 3개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돌출돌기(4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돌출돌기(41)에 의해 형성되는 뚜껑(40)의 내측 둘레(d)는 토출부(23)의 최대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돌기(41)에 의해 형성되는 뚜껑(40)의 내측 둘레(d)는 토출부(23)의 최대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뚜껑(40)이 토출부(2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40)이 토출부(23)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뚜껑(40)의 결합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공지의 기구적 결합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40)의 내측 및 토출부(23)의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뚜껑(40)과 토출부(23)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외용기(10)와 내용기(20)와 고정 부재(30)와 뚜껑(40)을 포함할 수 있다.
외용기(10)는 일측이 개구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용기(20)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11)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 공간(11)의 내측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111)가 제공될 수 있고, 내용기(20)에는 고정돌기(111)에 대응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고정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11)가 고정홈(213)에 삽입되어, 내용기(20)가 수용 공간(11)에 수용될 수 있다.
결합부(12)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복수 개의 고정돌기(111)는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고정돌기(111) 중 어느 하나는, 결합부(12)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시계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고정돌기(111)의 양 옆에 제공되는 고정돌기(111)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시계 방향을 따라 돌출 높이가 증가하는 고정돌기(111)와 반시계 방향을 따라 돌출 높이가 증가하는 고정돌기(111)가 수용 공간(11)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번갈아 가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용기(20)가 수용 공간(11)에 수용된 후, 내용기(20)가 수용 공간(11)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외용기(10)의 상측에는 고정 부재(3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2)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2)는 고정 부재(30)의 제1 결합돌기(311)가 배치되는 제1 부분(121)과, 고정 부재(30)의 제2 결합돌기(312)가 배치되는 제2 부분(122)과, 고정 부재(30)의 결합홈(313)에 배치되는 걸림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 구성이 구비되는 바, 고정 부재(30)가 결합부(12)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내용기(20)를 수용 공간(11)에 삽입한 후, 고정 부재(30)를 외용기(10)의 결합부(12)에 결합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30)에 의해 외용기(10)의 개구가 차폐될 수 있는 바, 내용기(20)가 수용 공간(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용기(20)가 외용기(10)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내용기(20)는 저장부(21)와 목부(22)와 토출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에는 일정량의 화장료를 수용하는 화장료 저장 공간(211)이 구비될 수 있다. 목부(22)는 저장부(21)의 개구측에 제공되어, 저장부(21)의 입구 역할을 할 수 있다. 토출부(23)는 화장료 저장 공간(211)에 수용된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부(22)에 결합되어 저장부(21)의 개구측을 차폐시킬 수있다. 토출부(23)는 펌프(231)와 화장료 저장 공간(211)으로 연장되어 화장료를 흡입할 수 있는 펌프튜브(233)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40)은 토출부(23)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토출부(23)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화장료 사용을 위해 화장료를 외부로 인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뚜껑(40)을 열고 토출부(23)를 개방시킨 후, 펌프(231)를 통해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사용을 완료한 경우, 사용자는 뚜껑(40)을 토출부(23)에 결합시킴으로써, 토출부(23)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출부(23)가 실수로 눌려 의도치 않은 화장료 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용기(10) 및 내용기(20)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에서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내용기(20)를 외용기(10)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도 내용기(20)의 교체 시기를 개략적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바, 간단한 구조 및 동작을 통해 리필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나열이다.
항목 1은, 결합부를 포함하는 외용기; 외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필 용기이고, 외용기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는 화장료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내용기; 및 결합부에 결합되어, 내용기가 외용기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다.
항목 2는, 고정 부재는, 결합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돌출되고, 소정의 곡률 반지름을 갖는 제1 결합돌기; 제1 결합돌기와 이웃하여 배치되고, 결합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제2 결합돌기; 제1 결합돌기와 제2 결합돌기가 이격되도록 제1 결합돌기와 제2 결합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항목 1의 화장품 용기다.
항목 3은, 제1 결합돌기 및 제2 결합돌기는 동일한 곡률 반지름을 갖는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품 용기다.
항목 4는, 결합부는, 내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될 수 있는 원형의 홀을 포함하고, 제1 결합돌기 및 제2 결합돌기는 소정의 곡률 반지름을 갖되, 홀과 동심원으로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3의 화장품 용기다.
항목 5는, 결합부는, 고정 부재가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결합돌기가 배치되는 제1 부분; 제2 결합돌기가 배치되는 제2 부분; 및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돌출되고, 결합홈이 끼움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4의 화장품 용기다.
항목 6은, 외용기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내용기에는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5의 화장품 용기다.
항목 7은, 고정돌기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 개의 고정돌기는 외용기의 내측 둘레를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6의 화장품 용기다.
항목 8은, 고정돌기는 교대로 돌출된 위치가 바뀌는 쐐기 형태로 형성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7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9는, 내용기는, 화장료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저장부; 저장부의 개구측에 형성되는 목부; 및 목부에 결합되어, 화장료 저장 공간을 차폐하고, 화장료 저장 공간에 수용된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8의 화장품 용기다.
항목 10은, 내용기에 결합되어 토출부를 덮는 뚜껑을 더 포함하고, 뚜껑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를 포함하고, 돌출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뚜껑의 내측 둘레는 내용기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9의 화장품 용기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화장품 용기
10: 외용기 11: 수용 공간
111: 고정돌기 12: 결합부
121: 제1 부분 122: 제2 부분
123: 걸림돌기 20: 내용기
21: 저장부 211: 화장료 저장 공간
213: 고정홈 22: 목부
23: 토출부 231: 펌프
233: 펌프튜브 30: 고정 부재
31: 바디부 311: 제1 결합돌기
312: 제2 결합돌기 313: 결합홈
314: 가이드 부재 32: 홀
40: 뚜껑 41: 돌출돌기

Claims (10)

  1. 결합부를 포함하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필 용기이고, 상기 외용기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상기 외용기와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제공되며,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는 화장료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개구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화장료 저장 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화장료 저장 공간에 수용된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내용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외용기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고, 상기 토출부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내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와 상기 내용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고 상기 외용기와 상기 내용기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의해 상기 토출부가 회전되어 상기 토출부가 상기 내용기로부터 분리될 때와 상기 고정 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외용기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내용기가 상기 외용기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 가능한 화장품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돌출되고, 소정의 곡률 반지름을 갖는 제1 결합돌기;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제2 결합돌기;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2 결합돌기는 동일한 곡률 반지름을 갖는 화장품 용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내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될 수 있는 원형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소정의 곡률 반지름을 갖되, 상기 홀과 동심원으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돌기가 배치되는 제1 부분;
    상기 제2 결합돌기가 배치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이 끼움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결합부의 내측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외측 둘레에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기는 상기 외용기의 내측 둘레를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교대로 돌출된 위치가 바뀌는 쐐기 형태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뚜껑의 내측 둘레는 상기 내용기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200001409A 2020-01-06 2020-01-06 화장품 용기 KR10215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409A KR102153903B1 (ko) 2020-01-06 2020-01-06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409A KR102153903B1 (ko) 2020-01-06 2020-01-06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903B1 true KR102153903B1 (ko) 2020-09-09

Family

ID=7243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409A KR102153903B1 (ko) 2020-01-06 2020-01-06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9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351B1 (ko) * 2019-11-13 2021-02-02 에이엠지 컴퍼니 리미티드 화장품 용기
KR102282291B1 (ko) * 2020-06-02 2021-07-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450283B1 (ko) * 2021-04-09 2022-10-04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화장품 용기 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312U (ko) * 1994-02-04 1995-09-13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재사용이 가능한 리필(refill)식 화장품용기
KR200405326Y1 (ko) 2005-09-22 2006-01-10 주식회사 태평양 리필 화장품 용기
KR20130107388A (ko) * 2012-03-22 2013-10-02 (주)연우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101590936B1 (ko) * 2014-10-03 2016-02-02 (주)유니팩 코리아 회전식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312U (ko) * 1994-02-04 1995-09-13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재사용이 가능한 리필(refill)식 화장품용기
KR200405326Y1 (ko) 2005-09-22 2006-01-10 주식회사 태평양 리필 화장품 용기
KR20130107388A (ko) * 2012-03-22 2013-10-02 (주)연우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101590936B1 (ko) * 2014-10-03 2016-02-02 (주)유니팩 코리아 회전식 화장품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351B1 (ko) * 2019-11-13 2021-02-02 에이엠지 컴퍼니 리미티드 화장품 용기
KR102282291B1 (ko) * 2020-06-02 2021-07-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US11267007B2 (en) 2020-06-02 2022-03-0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vessel
KR102450283B1 (ko) * 2021-04-09 2022-10-04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화장품 용기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903B1 (ko) 화장품 용기
KR200490927Y1 (ko) 화장품 용기
CN104603019A (zh) 用于自动填充和固定量分配的注射器式容器盖
KR20120026209A (ko)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666012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2284145B1 (ko)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KR20150138156A (ko) 어린이-안전형 포장 및 압출가능 튜브의 조합체 및 그 이용 방법
KR101557368B1 (ko) 다기능 색조 제품 케이스
KR101089167B1 (ko)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US11970307B2 (en) Container for storing personal care item
KR101214566B1 (ko) 다용도 화장품 용기
KR102356605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8760Y1 (ko) 화장품 용기
KR20240080723A (ko) 내용물 용기
KR102114552B1 (ko) 다각구조의 구획판을 갖는 디스펜서용 수납도구
KR101776295B1 (ko) 다중 화장 용기
KR20190070223A (ko) 화장품 용기
US20230264863A1 (en) Rotation type elevating contai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35840B1 (ko) 내용물 용기
CN109475220A (zh) 化妆品包装
KR101345395B1 (ko) 화장품 수납용기
KR102104201B1 (ko) 파우더 용기
KR20240017588A (ko) 리필용 화장품용기
KR102199520B1 (ko) 화장품용 용기
KR200491548Y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