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0723A - 내용물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0723A
KR20240080723A KR1020220164318A KR20220164318A KR20240080723A KR 20240080723 A KR20240080723 A KR 20240080723A KR 1020220164318 A KR1020220164318 A KR 1020220164318A KR 20220164318 A KR20220164318 A KR 20220164318A KR 20240080723 A KR20240080723 A KR 20240080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locking groove
contents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4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석
Original Assignee
(주)연우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ublication of KR20240080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07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복수의 내용기; 상기 내용기를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내측에 형성되는 외용기; 및 상기 내용기가 상측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외용기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내용기를 상기 수용 공간에 고정하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림 등의 화장품을 담아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저장되는 내용기와, 내용기가 내측으로 결합되는 외용기 및 외용기의 결합부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 및 분리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내용기에 저장된 화장품을 다 사용하고 나면,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 전체를 폐기하고 새로운 화장품 용기를 구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용기의 구입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가지게 됨은 물론 자원의 낭비를 비롯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근래에는 화장품이 저장되는 내용기를 리필용도로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내용기를 리필용도로 채용하는 경우에는 외용기나 뚜껑을 지속적으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화장품이 담긴 내용기만을 새로 구입하여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그만큼 화장품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 낭비되는 자원을 줄일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리필용의 화장품 용기는 자원의 재사용이나 활용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버려지는 폐자재로 인한 환경오염의 방지를 통해 환경 친화적인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기존의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경우, 리필용도로 사용되는 내용기를 외용기로부터 신속하고, 또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리필 사용 시 상당한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용물이 저장되는 복수의 내용기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리필형 내용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복수의 내용기; 상기 내용기를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내측에 형성되는 외용기; 및 상기 내용기가 상측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외용기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내용기를 상기 수용 공간에 고정하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외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외용기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외벽부;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벽부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내용기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 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 공간을 각각의 상기 내용기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분할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에 의해 복수의 상기 내용기가 상기 안착 공간 내에 서로 분리되어 수용되되, 각각의 상기 내용기의 외측면이 상기 격벽부 및 상기 테두리부에 의해 밀착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는, 상기 격벽부를 중심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내용기 및 제 2 내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용기 및 상기 제 2 내용기는, 상기 격벽부에 밀착하도록 평면으로 구성되는 제 1 외측면 및 상기 제 1 외측면의 양 단과 연결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에 밀착되는 제 2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용기의 상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내용기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압 돌기가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의 상단부의 상기 격벽부의 반대 측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압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가압 돌기에 의해 상기 제 2 가압 돌기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내용기의 상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용기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홈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잠금 홈의 내측 일 영역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받침부가 상기 외용기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홈은, 상기 외용기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잠금 홈; 및 상기 제 1 잠금 홈의 상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잠금 홈의 상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잠금 홈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제 1 잠금 홈의 상단부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용기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제 2 잠금 홈의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받침부가 상기 외용기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기가 안착된 받침부를 외용기와 상대 회전하는 단순한 방식을 적용하여 내용기에 대한 손쉬운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이 각각 저장되는 복수의 내용기에 대하여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외용기(100), 내용기(200), 받침부(300) 및 마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용기(100)는 내측으로 수용 공간을 형성하여, 수용 공간에 내용기(200)를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용기(10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며, 측벽부의 내측으로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내용기(200)는 외용기(100)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수용 공간에 수용되며, 외용기(100)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특히, 내용기 캡(212, 22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용기(100)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압 돌기(1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압 돌기(110)는 외용기(100)의 상단부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부(300)가 외용기(100)에 결합됨에 따라, 내용기(200)의 상단부의 둘레 부분을 가압하여 내용기(200)의 상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용기(200)의 상단부 외측면(예를 들어, 저장부(211, 221)의 제 2 외측면(S2))에는 제 2 가압 돌기(213, 2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압 돌기(213, 223)는 제 1 가압 돌기(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 1 가압 돌기(110)에 의해 하방 가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용기(100)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받침부(300)를 결합시키기 위한 잠금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홈(120)의 일 영역에 받침부(300)의 잠금 돌기(311)가 수용됨으로써, 받침부(300)는 외용기(100)로부터 임의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잠금 홈(120)은 제 1 잠금 홈(도 6의 121)과 제 2 잠금 홈(도 6의 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잠금 홈(121)은 개방된 외용기(100)의 하단부 내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 2 잠금 홈(122)은 제 1 잠금 홈(121)의 상단부와 연결되되, 제 1 잠금 홈(121)의 상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내용기(200)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은 액상, 겔상 또는 분말 상의 화장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은,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미백 에센스, 톤업크림,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 선밀크, 비비크림, 베이스, 파운데이션, CC크림, 컨실러, 블러셔, 쉐딩,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아이크림, 프라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제형이나 종류의 화장료, 의약품, 식품, 각종 화합물이나 조성물 등 다양한 내용물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용기(20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기(200)는 제 1 내용기(210) 및 제 2 내용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내용기(210)와 제 2 내용기(220)에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내용물이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제 1 내용기(210)와 제 2 내용기(220)에는 동종 또는 동일한 내용물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내용기(210)와 제 2 내용기(220)는 평면으로 구성되는 제 1 외측면(S1) 및 제 1 외측면(S1)의 양 단과 연결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곡면으로 형성되며 제 2 외측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제 1 내용기(210)와 제 2 내용기(220)의 제 1 외측면(S1)이 받침부(300)의 격벽부(330)에 각각 밀착되어, 격벽부(33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용기(200)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내용기(20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저장부(211, 221)과 개방된 저장부(211, 221)의 상부를 밀폐 및/또는 차폐하는 내용기 캡(212, 22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용기(200)는 받침부(300)에 안착된 상태로 외용기(10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받침부(300)는 내용기(200)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내용기(200)를 외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부(300)는 상측에 내용기(200)가 안착된 상태로 외용기(100)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외용기(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이에 따라, 내용기(200)는 외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받침부(300)는 외벽부(310), 테두리부(320) 및 격벽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벽부(310)는 받침부(300)의 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받침부(300)의 하부면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벽부(310)가 외용기(100)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외용기(10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벽부(31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돌기(311)는 외용기(100)의 잠금 홈(120)에 정렬되어, 받침부(300)와 외용기(100) 간의 결합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돌기(311)가 잠금 홈(120)에 삽입되어, 잠금 홈(120)의 소정의 영역(즉, 제 2 잠금 홈)에 수용됨으로써, 받침부(300)가 외용기(1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테두리부(320)는 받침부(30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벽부(310)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내용기(200)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테두리부(3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 공간으로 복수의 내용기(20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으며, 이때, 테두리부(320)는 내용기(20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와 밀착됨으로써, 내용기(200)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격벽부(330)는 받침부(30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테두리부(320)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안착 공간을 각각의 내용기(200)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분할할 수 있다. 격벽부(330)에 의해 복수의 내용기(200)가 안착 공간 내에 서로 분리되어 수용되며, 각각의 내용기(200)의 외측면이 격벽부(330) 및 테두리부(320)에 의해 밀착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격벽부(3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 공간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 공간은 2개로 분할되며, 격벽부(330)를 중심으로 분할된 안착 공간에는 제 1 내용기(210) 및 제 2 내용기(220)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내용기(210) 및 제 2 내용기(220)의 제 1 외측면(S1)은 격벽부(33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되, 격벽부(330)에 의해 밀착 지지되며, 격벽부(330)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 2 외측면(S2)은 테두리부(320)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격벽부(330)의 상측 돌출 높이는 외벽부(310) 및 테두리부(320)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 높이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부(330), 외벽부(310) 및 테두리부(320) 순으로 돌출 높이가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돌출 높이가 구성될 수 있다.
마개부(400)는 외용기(10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용기(100) 및 이에 수용된 내용기(200)의 상단부를 밀폐 및/또는 차폐할 수 있다. 마개부(400)의 결합을 위하여 외용기(100)의 상단부 외주면과 마개부(400)의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는 나사 결합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결합 홈 및/ 돌기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용물 용기(1000)는 밀폐 보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 보조부(500)는 소정의 두께의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외용기(100)의 상단부와 마개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개부(400)의 결합 시, 밀폐 보조부(500)가 마개부(400)에 의해 가압되어, 외용기(100)의 상단부 테두리에 밀착됨으로써, 마개부(400)의 결합에 따른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밀폐 보조부(500)는 적어도 일부가 연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받침부(300)의 상측에 제 1 내용기(210) 및 제 2 내용기(22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외용기(100)의 잠금 홈(특히, 제 1 잠금 홈(121))과 받침부(300)의 잠금 돌기(311)를 정렬시킨 다음, 받침부(300)와 제 1 내용기(210) 및 제 2 내용기(220)를 일체로 외용기(100)의 내측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받침부(300)의 삽입에 따라, 잠금 돌기(311)가 제 1 잠금 홈(121)의 상단부까지 이동하고, 제 1 내용기(210) 및 제 2 내용기(220)의 제 2 가압 돌기(213, 223)이 외용기(100)의 제 1 가압 돌기(110)에 밀착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외용기(100)를 제 1 방향으로 받침부와 상대 회전시키면, 잠금 돌기(311)가 제 2 잠금 홈(122)의 내측에서 제 2 잠금 홈(122)의 단부까지 수평 이동됨으로써, 받침부(300)와 외용기(100)가 상호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2 잠금 홈(122)의 일 영역에는 잠금 돌기(311)가 임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내용기(210) 및 제 2 내용기(220) 중 적어도 하나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여 내용물에 대한 리필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외용기(100)를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외용기(100)의 하측으로 제 1 내용기(210), 제 2 내용기(220) 및 받침부(3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내용물이 저장된 새로운 내용기(210, 220)를 받침부(300)에 안착시킨 다음, 상기 상술한 결합 과정을 통해 내용물에 대한 리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1000)의 동작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외용기 110: 제 1 가압 돌기
120: 잠금 홈 121: 제 1 잠금 홈
122: 제 2 잠금 홈 200: 내용기
210: 제 1 내용기 211, 221: 저장부
212, 222: 내용기 캡 213, 223: 제 2 가압 돌기
220: 제 2 내용기 300: 받침부
310: 외벽부 311: 잠금 돌기
320: 테두리부 330: 격벽부
400: 마개부 500: 밀폐 보조부
1000: 내용물 용기

Claims (9)

  1. 내용물 용기로서,
    내용물을 저장하는 복수의 내용기;
    상기 내용기를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내측에 형성되는 외용기; 및
    상기 내용기가 상측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외용기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내용기를 상기 수용 공간에 고정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외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외용기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외벽부;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벽부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내용기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 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 공간을 각각의 상기 내용기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분할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에 의해 복수의 상기 내용기가 상기 안착 공간 내에 서로 분리되어 수용되되, 각각의 상기 내용기의 외측면이 상기 격벽부 및 상기 테두리부에 의해 밀착 지지되는, 내용물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는, 상기 격벽부를 중심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내용기 및 제 2 내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용기 및 상기 제 2 내용기는, 상기 격벽부에 밀착하도록 평면으로 구성되는 제 1 외측면 및 상기 제 1 외측면의 양 단과 연결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에 밀착되는 제 2 외측면을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의 상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내용기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압 돌기가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용물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의 상단부의 상기 격벽부의 반대 측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압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가압 돌기에 의해 상기 제 2 가압 돌기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내용기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내용물 용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용기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홈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잠금 홈의 내측 일 영역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받침부가 상기 외용기에 고정되는, 내용물 용기.
  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홈은, 상기 외용기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잠금 홈; 및 상기 제 1 잠금 홈의 상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잠금 홈의 상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잠금 홈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제 1 잠금 홈의 상단부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용기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제 2 잠금 홈의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받침부가 상기 외용기에 고정되는, 내용물 용기.
KR1020220164318A 2022-11-30 내용물 용기 KR20240080723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0723A true KR20240080723A (ko) 2024-06-0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134B1 (ko)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0490927Y1 (ko) 화장품 용기
KR102567239B1 (ko) 화장품용 콤팩트 용기
KR102182786B1 (ko) 화장품용 듀얼 튜브 및 이를 활용한 화장 제품
KR102089722B1 (ko) 용기 커버 개방 시 무게 균형이 유지되는 두께가 슬림한 화장품 용기
KR200494153Y1 (ko) 화장품 용기
US20170181525A1 (en) Cosmetic container
KR200489092Y1 (ko) 화장품 용기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153903B1 (ko) 화장품 용기
KR101690069B1 (ko) 콤팩트 용기
KR20240080723A (ko) 내용물 용기
CN105819089A (zh) 带有化妆用具的瓶盖
KR101214566B1 (ko) 다용도 화장품 용기
KR200492537Y1 (ko) 화장품 용기
KR200488760Y1 (ko) 화장품 용기
KR20200013301A (ko) 듀얼 타입의 리필용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20050262A (ko) 화장도구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
KR101971920B1 (ko) 두 가지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200490823Y1 (ko) 화장품 용기
KR102643868B1 (ko) 내용물 용기
KR102194696B1 (ko) 화장품 용기
KR200493643Y1 (ko) 파우치 세트
JPS6238584Y2 (ko)
KR102035840B1 (ko) 내용물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