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643Y1 - 파우치 세트 - Google Patents

파우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643Y1
KR200493643Y1 KR2020190003725U KR20190003725U KR200493643Y1 KR 200493643 Y1 KR200493643 Y1 KR 200493643Y1 KR 2020190003725 U KR2020190003725 U KR 2020190003725U KR 20190003725 U KR20190003725 U KR 20190003725U KR 200493643 Y1 KR200493643 Y1 KR 200493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injection
container
storage contain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637U (ko
Inventor
이창수
한상근
김형상
은소희
이제민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3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43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6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47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the tubular container being provided on its internal surfaces with press buttons or the like for maintaining the container in compressed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우치 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파우치 세트는, 내부에 제 1 내용물이 수용되고, 일 측에 개폐 가능한 주입부를 구비한 파우치; 및 내부에 제 2 내용물이 저장되고, 상기 파우치의 상기 주입부를 결합하여 상기 파우치 내부로 상기 제 2 내용물을 주입하는 저장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우치 세트{POUCH SET}
본 고안은 파우치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의 분리 및 주입이 용이한 파우치 및 저장 용기를 포함하는 파우치 세트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의약품 등의 내용물의 밀폐 포장용으로 필름 형태의 포장지로 제조된 파우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파우치는, 한 쌍의 파우치 시트가 서로 중첩하되, 가장자리가 서로 열융착되어, 내측으로 포장 공간을 형성 한다. 해당 포장 공간에 화장품, 의약품 등의 내용물이 보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파우치는 단일 포장 공간만을 갖도록 제조되기 때문에, 완제품 상태의 내용물이 그대로 포장되어야 하며, 따라서 내용물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시간이 경과할수록 내용물의 기능이나 작용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유통 기한 또한 짧을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다중 포장 공간에, 복수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할 수 있으며, 실제 사용시에는, 포장 공간을 분리하도록 압착된 봉합면을 분리하여 다중 포장 공간이 서로 연통함으로써 내용물이 서로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하는 경우에, 포장 공간을 분리하는 봉합면에 충분한 실링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통 중 내용물이 서로 섞이거나, 작은 힘에 의해서도 봉합면이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소량이 요구되는 내용물이 분리 보관되어야 하는 경우, 하나의 파우치 내에 다중 포장 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공간이나 제조 측면에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용물의 분리 및 주입이 용이한 파우치 및 저장 용기를 포함하는 파우치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우치 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파우치 세트는, 내부에 제 1 내용물이 수용되고, 일 측에 개폐 가능한 주입부를 구비한 파우치; 및 내부에 제 2 내용물이 저장되고, 상기 파우치의 상기 주입부를 결합하여 상기 파우치 내부로 상기 제 2 내용물을 주입하는 저장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내용물은,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저장 용기로부터 정량 토출되어 상기 파우치 내로 주입되고, 상기 제 1 내용물에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내용물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톤업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액상의 기능성 화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 용기는, 일 단에 상기 주입부로 삽입 가능한 토출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타 단에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가압을 인가받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본체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부는, 하단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하는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측면에서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가 결합하는 지지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벽은 적어도 상기 가압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둘레 영역이 상기 지지벽에 결합하고, 중앙 영역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날개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를 밀폐하는 용기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 캡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날개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가 상기 주입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한정하도록 상기 토출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제한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결합하는 한 쌍의 파우치 시트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파우치 시트 내의 포장 공간과 연통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장 용기의 토출부가 삽입되는 주입홀을 형성하는 주입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 본체에는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하는 상측 고정부가 상기 파우치 시트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는, 버튼 타입으로 구현되어, 상기 안착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파우치와 저장 용기를 통해 복수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할 때에만,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저장 용기는 파우치에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용물을 파우치로 전달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정량 토출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의 양을 쉽게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파우치와 저장 용기는 개폐가 용이하여 사용 상태에 따라 쉽게 개방 또는 밀폐된 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세트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세트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를 도시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세트를 도시하고,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세트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파우치 세트(1000)는, 파우치(100) 및 저장 용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우치(100)는, 한 쌍의 파우치 시트(110)가 서로 중첩하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하여 내부에 포장 공간(112)을 형성할 수 있다. 포장 공간(112)에는 제 1 내용물이 보관될 수 있다.
파우치 시트(110)는, 적어도 일부가 기능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우치 시트(110)는, 쿨링 또는 보온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파우치(100)의 포장 공간(112)에 수용된 제 1 내용물에 대해 쿨링 또는 보온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용물이 피부와 접하는 화장료인 경우, 파우치(100)에 수용되는 제 1 내용물을 통해, 쿨링 또는 보온 효과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할 수 있다.
파우치(100)의 일 측에는 개폐 가능한 주입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주입부(120)는, 일 단부가 파우치 시트(110)의 가장자리의 결합 영역(114)에 위치하되, 이들에 의해 파우치(10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주입부(120)는 반대 단부가 파우치 시트(110) 외부에 위치하여 외부와 연통된 주입홀을 통해 제 2 내용물이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주입부(120)는 주입홀로부터 파우치(100) 내의 포장 공간(112)까지 연통 형성되며, 따라서 제 2 내용물이 주입되면 이를 포장 공간(112)으로 전달하여 파우치(100) 내부의 제 1 내용물에 제 2 내용물이 함침 또는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 용기(200)는, 내부에 제 2 내용물이 저장되고, 파우치(100) 내부로 제 2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다. 저장 용기(200)는 파우치(100)와 분리 보관되고, 제 2 내용물의 토출이 필요한 경우에만, 파우치(100)와 결합할 수 있다. 파우치(100)에 결합된 후, 저장 용기(200)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제 2 내용물을 파우치(100) 내로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용기(200)는 제 2 내용물을 정량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용물 및/또는 제 2 내용물은 미백, 주름개선, 보습, 톤업 등을 위한 액상, 겔상 또는 분말 상의 기능성 화장료로서, 예를 들어,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미백 에센스, 톤업크림, 자외선 차단제,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CC크림, 블러셔, 쉐딩, 브로우, 마스크팩 화장료(예를 들어, 워시오프팩, 필오프팩, 수면팩, 리브온팩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내용물 및/또는 제 2 내용물은 함침 부재, 미용 시트(마스크팩 시트 등) 등에 함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내용물 및 제 2 내용물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화장료, 의료용 내용물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파우치(100)와 저장 용기(200)가 각각 분리된 상태로 이들을 밀폐 보관할 수 있으며, 저장 용기(200) 내의 제 2 내용물을 파우치(100) 내에 주입할 경우에만, 이들의 밀폐를 해제하고,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저장 용기(200) 내의 제 2 내용물은 정량 토출이 가능하여, 제 2 내용물의 양을 사용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제 2 내용물이 주입된 이후에는 파우치(100) 및 저장 용기(200)는 다시 밀폐될 수 있다. 밀폐된 파우치(10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파우치(100)를 흔드는 등의 외력을 작용하여, 제 2 내용물이 제 1 내용물 등에 원활히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용기(200)는, 밀폐되어 제 2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보관하며, 추후 다른 파우치(100)에 제 2 내용물을 주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에는 파우치 세트(1000)가 하나의 파우치(100) 및 하나의 저장 용기(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파우치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우치 세트가 복수의 파우치 및 하나의 저장 용기를 포함하는 경우, 저장 용기에 수용된 제 2 내용물이 복수의 파우치에 대해 분산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파우치 세트가 예를 들어, 하나의 파우치 및 복수의 저장 용기를 포함하는 경우, 저장 용기에 수용된 복수의 제 2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파우치에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내용물의 종류를 달리하며 복수의 파우치가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제 2 내용물의 종류를 달리하며 복수의 저장 용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저장 용기(2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의 (a)는 저장 용기(2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장 용기(200)는, 용기 본체(210), 안착부(220) 및 가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210)는, 내부에 제 2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되, 파우치(100)의 주입부(120)로 삽입 가능한 토출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토출부(212)는 용기 본체(210)의 일 단부에 형성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함으로써, 주입부(120) 내에 용이하게 삽입 및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내용물은 토출부(212)를 통해 주입부(120)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토출부(212)는 밀착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실리콘, NBR, TPE, TPR 등의 탄성 재질 등과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출부(212)의 외측 둘레에는 제한부(2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한부(214)는, 토출부(212)가 주입부(120) 내부로 삽입 시에, 주입부(120)의 단부와 접하는 것으로서, 토출부(212)가 주입부(120)로 삽입되는 깊이를 한정할 수 있다.
안착부(220)는, 용기 본체(210)의 타 단부에 형성되어, 가압부(230)가 안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220)는 가압부(230) 및 용기 본체(210)와 함께 제 2 내용물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착부(220)는, 하단이 용기 본체(210)에 결합하는 외벽(222) 및 외벽(222)의 내측면에서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어 가압부(230)가 결합하는 지지벽(224)을 포함할 수 있다. 외벽(222)의 하측 단부에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용기 본체(210)의 상측 단부의 결합 돌기가 삽입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벽(222)의 상측 단부에 의해 저장 용기(200)가 기립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220)에 의한 지지를 위해 가압부(230)는 외벽(222)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벽(222)은 가압부(230)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거나 가압부(23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지지벽(224)은 외벽(222)의 내측면에서 수평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벽(224)의 상단으로 가압부(230)가 결합하여, 가압부(230)에 대한 가압 시에 가압부(230)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가압부(230)는, 안착부(220)에 결합 및 지지되어, 사용자의 가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가압부(230)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며, 따라서 가압에 따라 저장 용기(200) 내에 압력 변화를 야기함으로써, 제 2 내용물이 토출부(212)로 토출될 수 있다. 특히, 가압부(230)는, 둘레 영역이 안착부(220)의 지지벽(224)에 결합하고, 중앙 영역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가압을 보다 쉽고 견고하게 인가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210)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 본체(210) 내에 남아 있는 제 2 내용물의 양 및/또는 토출되는 제 2 내용물의 양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부(220)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20)의 외벽(222)은 적어도 가압부(23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를 가지므로, 안착부(220) 내측의 가압부(230)가 외부에서 도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안착부(220)는 용기 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압부(230)(특히, 가압부(230)의 둘레 영역)는 안착부(220)가 아니라, 용기 본체(210)의 내면 중 일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230)는 용기 본체(210)의 토출부(212)에 인접한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부(230)는 용기 본체(210)와의 결합 영역까지 가압되어, 보다 다량의 제 2 내용물을 파우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장 용기(200')의 용기 본체(210)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날개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날개부(216)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지지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제 1 날개부(216)의 하면을 손가락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가압부(230)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날개부(216)는 용기 본체(210)의 상단, 즉 안착부(220)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손가락을 통한 지지 및 가압을 용이하게 하기 적합하도록 용기 본체(210)의 외측면 중 임의의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날개부(216)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날개부(216)를 경유하여 용기 본체(210) 내에 남아 있는 제 2 내용물의 양 및/또는 토출되는 제 2 내용물의 양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 1 날개부(216)가 용기 본체(21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용기 본체(210)가 아니라 안착부(2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의 저장 용기(200')는 도 2의 저장 용기(200)에서 제 1 날개부(216)가 부가된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설명의 간이함을 위한 것으로서, 제 1 날개부(216)의 구성은 저장 용기(200'', 20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압부(230')는 버튼 타입으로 구현되어, 안착부(220)의 내벽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230')는 가압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 2 내용물을 토출부(212)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가압이 해제되면 하측으로 이동하였던 가압부(230')는 상측으로 위치 회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부(230')의 내측에는 가압 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가압부(230')에는 내부의 압력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피스톤, 실린더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의 저장 용기(200'')는 도 2의 저장 용기(200)에서 가압부(230)가 변형된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설명의 간이함을 위한 것으로서, 가압부(230')의 구성은 저장 용기(200', 20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장 용기(200)는 용기 캡(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 캡(240)의 내측으로 토출부(212)가 삽입되어, 저장 용기(200)를 밀폐할 수 있다. 이때, 용기 본체(210)의 제한부(214)는, 용기 캡(240)의 단부와 접하면서, 토출부(212)의 삽입 깊이를 한정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캡(24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날개부(2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날개부(216)와 마찬가지로, 제 2 날개부(242)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지지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제 2 날개부(242)의 상면 또는 하면을 손가락으로 지지하여, 용기 캡(240)을 용기 본체(210)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한부(214)의 하단에는, 토출부(212)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용기 캡(240)의 내측면에도 제 1 결합 돌기가 끼워맞춤, 걸어맞춤 또는 나사결합하는 제 2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 간의 끼워맞춤 또는 걸어맞춤에 의해 용기 캡(240)이 저장 용기(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저장 용기(200)를 밀폐할 수 있다.
도 5의 저장 용기(200''')는 도 2의 저장 용기(200)에서 용기 캡(240)이 부가된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설명의 간이함을 위한 것으로서, 용기 캡(240)의 구성은 저장 용기(200', 20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입부(120)는, 연결부(122) 및 주입 본체(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22)는, 한 쌍의 파우치 시트(110)의 결합 영역(114) 내로 삽입되어, 파우치 시트(110)와 결합할 수 있다. 연결부(122) 내에 형성되는 연통로는 파우치 시트(110)의 포장 공간(112)과 연통할 수 있다.
주입 본체(124)는, 연결부(122)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단부에 주입홀을 형성하여 저장 용기(200)의 토출부(212)가 삽입될 수 있다. 주입홀로부터 연속하는 연통로가 주입 본체(124) 및 연결부(122)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주입 본체(124)에는 외측 둘레를 따라 상측 고정부(12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고정부(126)는, 파우치 시트(11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주입부(120)에 저장 용기(200)가 결합하거나 제 2 내용물이 주입되는 등의 경우, 주입부(120)에 대해 포장 공간(112)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주입부(120)가 파우치 시트(110)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122)는 파우치 시트(110)의 결합 영역(114)에서 파우치 시트(110)와 결합하되, 단부가 파우치 시트(110)의 포장 공간(112)까지 연장하여, 내부의 연통로가 파우치 시트(110)의 포장 공간(112)과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인 실시예에서, 연결부(122)에는 하측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측 고정부는, 포장 공간(112)까지 연장 형성된 연결부(122)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주입부(120)에 대해 파우치 시트(110) 반대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주입부(120)가 파우치 시트(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우치 시트(110)의 포장 공간(112)은 파우치 시트(110) 사이의 결합 영역(114)에 의해 밀폐되되, 결합 영역(114) 중 일부가 연결부(122)의 연통로를 밀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용기(200)의 토출부(212)가 주입 본체(124) 및 연결부(122)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연결부(122)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밀폐된 결합 영역(114)을 개방함으로써 주입부(120)가 포장 공간(112)과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입 본체(124)의 주입홀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 3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저장 용기(200)의 결합 시, 토출부(212)의 제 1 결합 돌기가 제 3 결합 돌기와 끼워맞춤 또는 걸어맞춤하여, 저장 용기(200)가 주입부(1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입부(120)는, 주입 캡(1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입 캡(128)은, 주입부(120)의 주입 본체(124)를 둘러싸도록 결합하여, 주입홀을 밀폐할 수 있다. 밀폐를 통해 파우치 시트(110) 내의 제 1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제 1 내용물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입 캡(128)과 주입 본체(124) 간의 결합을 위해 주입 본체(124)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도 6 참조), 주입 캡(128)의 내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주입 캡(128)과 주입 본체(124)의 나사산에 의해 주입 캡(128)과 주입 본체(124)가 서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끼워맞춤, 걸어맞춤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 본체(123)의 외면을 따라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주입 캡(128)의 내면에 이에 대응하는 걸림 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주입 캡(128)은 저장 용기(200) 내의 제 2 내용물을 파우치 시트(110) 내로 주입할 때 분리될 수 있으며, 제 2 내용물이 주입된 이후에 다시 주입 캡(128)이 주입부(120)를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된 제 2 내용물이 제 1 내용물과 혼합되도록 사용자가 파우치 시트(110)를 흔드는 등의 외력을 가하더라도, 제 1 내용물 및/또는 제 2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파우치 110: 파우치 시트
112: 포장 공간 114: 결합 영역
120: 주입부 122: 연결부
124: 주입 본체 126: 상측 고정부
128: 주입 캡 200, 200', 200'', 200''': 저장 용기
210: 용기 본체 212: 토출부
214: 제한부 216: 제 1 날개부
220: 안착부 222: 외벽
224: 지지벽 230, 230': 가압부
240: 용기 캡 242: 제 2 날개부
1000: 파우치 세트

Claims (14)

  1. 파우치 세트로서,
    내부에 제 1 내용물이 수용되고, 일 측에 개폐 가능한 주입부를 구비한 파우치; 및
    내부에 제 2 내용물이 저장되고, 상기 파우치의 상기 주입부를 결합하여 상기 파우치 내부로 상기 제 2 내용물을 주입하는 저장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내용물은,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저장 용기로부터 정량 토출되어 상기 파우치 내로 주입되어, 상기 제 1 내용물에 혼합되며,
    상기 저장 용기는, 일 단에 상기 주입부로 삽입 가능한 토출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타 단에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가압을 인가받는 가압부; 및 상기 토출부를 밀폐하는 용기 캡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하단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하는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측면에서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가 결합하는 지지벽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둘레 영역이 상기 지지벽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벽과 결합하고, 중앙 영역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연결 부위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토출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제한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토출부가 상기 주입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고,
    상기 용기 캡의 외측에는, 상기 용기 캡의 결합 시에 상기 제한부에 접하여 상기 용기 캡의 결합 깊이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날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 2 날개부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 캡의 결합 시 상기 제 2 날개부의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한부에 의해 상기 제 2 날개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이격하는, 파우치 세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용물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톤업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액상의 기능성 화장료를 포함하는, 파우치 세트.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파우치 세트.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적어도 상기 가압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를 갖는, 파우치 세트.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날개부가 돌출 형성되는, 파우치 세트.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결합하는 한 쌍의 파우치 시트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파우치 시트 내의 포장 공간과 연통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장 용기의 토출부가 삽입되는 주입홀을 형성하는 주입 본체를 포함하는, 파우치 세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본체에는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하는 상측 고정부가 상기 파우치 시트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파우치 세트.
  14. 삭제
KR2020190003725U 2019-09-09 2019-09-09 파우치 세트 KR200493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725U KR200493643Y1 (ko) 2019-09-09 2019-09-09 파우치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725U KR200493643Y1 (ko) 2019-09-09 2019-09-09 파우치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37U KR20210000637U (ko) 2021-03-17
KR200493643Y1 true KR200493643Y1 (ko) 2021-05-10

Family

ID=7523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725U KR200493643Y1 (ko) 2019-09-09 2019-09-09 파우치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4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100A (ja) * 2004-10-22 2006-05-11 Kao Corp 身体凹部清浄剤の混合吐出容器
KR101609674B1 (ko) * 2015-09-25 2016-04-06 주식회사 우주스킨사이언스 마스크팩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0964A (ko) * 2017-03-03 2018-09-12 더리뷰(주)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KR101928807B1 (ko) * 2017-05-29 2019-03-12 여수빈 간단한 구조를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100A (ja) * 2004-10-22 2006-05-11 Kao Corp 身体凹部清浄剤の混合吐出容器
KR101609674B1 (ko) * 2015-09-25 2016-04-06 주식회사 우주스킨사이언스 마스크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37U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81205A2 (en) Packaging element with a hermetically sealed dosing mechanism for semi-solid products
JP2001309816A (ja) 分配キャップ及び該キャップを備えた容器
US20070170190A1 (en) Pinching seal for airtight containers
JP2018510820A (ja) 異種内容物混合容器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71795Y1 (ko) 복수의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펌프 용기
CN215271051U (zh) 内容物容器
KR200493643Y1 (ko) 파우치 세트
KR200477544Y1 (ko) 체크밸브에 의한 밀폐구조를 갖는 화장품 튜브
KR101907358B1 (ko) 마스크 팩 포장 용기
KR20150138156A (ko) 어린이-안전형 포장 및 압출가능 튜브의 조합체 및 그 이용 방법
KR102225137B1 (ko) 화장품 리필부를 장착하기 위한 캡
US20200329843A1 (en) Refill for liquid makeup case and assembly comprising a case and such a refill
KR102219673B1 (ko) 용기 세트
KR101831195B1 (ko) 마스크팩용 파우치
EP3290351A1 (en) Liquid container sealing device
KR100724140B1 (ko) 액상 약제용기용 도포마개
KR102206002B1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KR102104248B1 (ko) 회전 개폐형 화장품 용기
KR102116430B1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KR200338755Y1 (ko) 화장품 용기
KR20210006770A (ko)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KR102643868B1 (ko) 내용물 용기
KR20200093217A (ko) 화장품 용기
KR20220120941A (ko) 내용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