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217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217A
KR20200093217A KR1020190010412A KR20190010412A KR20200093217A KR 20200093217 A KR20200093217 A KR 20200093217A KR 1020190010412 A KR1020190010412 A KR 1020190010412A KR 20190010412 A KR20190010412 A KR 20190010412A KR 20200093217 A KR20200093217 A KR 20200093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smetic
inner container
mesh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773B1 (ko
Inventor
여수빈
Original Assignee
(주)톨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톨리코리아 filed Critical (주)톨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10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7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2Containers with lids or covers at the top and the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8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provision for sieves or shaping parts for sticks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29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3Transparen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내측으로 수용부가 형성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고, 내측으로 화장료가 수납되는 내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외부 용기에 대해 소정의 범위 내의 배치 각도를 가지고,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상기 외부 용기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가 소정 범위의 회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결합 및 탈착할 수 있으며, 기밀성이 우수한 내부 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또는 모발의 건강을 유지시키고, 증진시키기 위해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을 말하며, 화장품의 형태는 크게 고체, 액체, 겔의 형태로 나눌 수 있다.
고형 화장품으로는 분상 파우더 화장품이 대표적인 예이고, 액상 화장품으로는 액상 파운데이션, 스킨 화장품이 대표적인 예이며, 겔상 화장품으로는 겔상 파운데이션이나 로션, 크림 화장품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화장품들은 각자의 형태에 따라 보관되는 화장품 용기도 제각기 다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메이크업에 사용되는 파우더나 크림 등 각종 화장품들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화장품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며, 화장품을 직접 포장 사용하는 용도에서부터 리필 용도까지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내부 용기를 교체식으로 사용하는 리필 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가 큰 인기를 얻고 있고, 그에 맞추어 리필 용기 구조 역시 이에 수용되는 화장품의 용도나 종류 및 소비자의 편의성에 맞춰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품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며, 공기의 유입 접촉에 따른 산화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구조의 개발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자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화장품 용기는 차단 부재의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지 않아 차단 부재의 유동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기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화장품 용기는, 각 구성 간의 체결 구조가 복잡하고, 교체 가능한 내부 용기를 외부 용기의 힌지부에 맞춰 결합하는 방식으로 화장품 용기의 화장품을 리필해왔다. 그러나, 이 경우에 내부 용기를 외부 용기와 결합시킬 때, 일정한 방향에서 결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는,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인 사용자에게 편리하도록 발명된 방식으로, 왼손잡이인 사용자는 더욱 불편함을 느껴왔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가 소정 범위의 회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결합 및 탈착할 수 있으며, 기밀성이 우수한 내부 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내측으로 수용부가 형성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고, 내측으로 화장료가 수납되는 내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외부 용기를 기준으로 소정의 회전 범위 내에서 상기 외부 용기 내에 배치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회전 범위 중 임의의 지점에서 상기 외부 용기에 결합되거나, 상기 외부 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용기의 외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소정의 범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결착되면서,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절첩부를 통해 회동하면서 상기 내부 용기를 개방 및 밀폐하는 내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첩부는 상기 외부 용기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 용기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커버는, 회동하면서 상기 내부 용기를 개방 및 밀폐하는 커버 본체; 상기 내부 용기의 상측 둘레를 따라 결합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커버 본체를 연결하면서 상기 커버 본체를 회동하게 하는 상기 절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본체,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절첩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내부 용기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측벽; 상기 측벽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의 상단이 삽입되는 하방 절곡부 및 상기 측벽의 내측에서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커버 본체의 밀폐 회동 시에, 상기 안착부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 1 밀폐부가 하방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커버 본체의 밀폐 회동 시에, 상기 측벽을 가압하는 제 2 밀폐부가 측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커버 본체의 밀폐 회동 시에, 상기 안착부에 부착되는 시트지를 가압하는 제 3 밀폐부가 하방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밀폐부는 상기 제 1 밀폐부보다 내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밀폐부보다 돌출 높이가 낮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용기를 밀폐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기 시트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지는 상기 제 1 밀폐부와 접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밀폐부보다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의 토출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메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쉬부는, 메쉬망 및 메쉬망이 부착되고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메쉬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내부 용기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용기를 외부 용기에 대해 소정의 회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결합 및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간의 상대적인 배치 각도를 자신에게 맞게 조절하여, 외부 커버 및 내부 커버의 회동 시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보두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내부 용기를 외부 용기에 조립시 원하는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조작이 편한 방향으로 내부 용기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및 메쉬망 부착을 위해 별도의 구성을 채택하지 않고, 테두리부 내의 안착부의 상면과 하면을 밀폐 및 메쉬망 부착을 위한 공간으로 제공함으로써, 화장품 용기의 구조가 복잡하거나 비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 1 밀폐부, 제 2 밀폐부 및 제 3 밀폐부에 의한 다단 밀폐에 의해 화장료의 밀폐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커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000)는, 외부 용기(100), 외부 커버(200), 내부 용기(300) 및 내부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용기(100)는, 내측으로 형성되는 수용부(110)를 통해 내부 용기(300)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부(110)는 내부 용기(30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수용부(110)의 내측면에는 내부 용기(300)와의 결합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20)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용기(100)의 하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 용기(100)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에 수용부(110)의 내측으로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방부를 통해 수용부(110)에 수용된 내부 용기(300)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 용기(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측으로 노출된 내부 용기(300)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용이하게 내부 용기(300)를 외부 용기(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개방부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외부 커버(200)는 외부 용기(100)를 개방 및 밀폐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커버(200)는 외부 용기(100)의 일 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힌지에 의해 회동함으로써 외부 용기(100)를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용기(100)와 외부 커버(200)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예를 들어, 힌지의 반대측)에는 외부 커버(200)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부(도면 부호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외부 커버(200)의 내측에 거울이 구비될 수 있다. 거울은 외부 커버(200) 내측면과 일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 용기(300)는, 외부 용기(100)의 수용부(110)에 배치되고, 내측으로 화장료가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는 예를 들어, 로션, 밀크 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선크림, 에센스, 선밀크, 비비크림, 베이스, 파운데이션, CC크림, 자외선차단제, 블러셔, 컨실러,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등 다양한 화장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화장료는 파우더와 같이 고형의 분말의 형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일부가 액상, 겔상의 형태일 수도 있다.
내부 용기(300)는 외부 용기(100)의 수용부(110)로의 안착을 위해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11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내부 용기(300)의 외측면에는 수용부(110)의 걸림돌기(120)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용기(300)가 외부 용기(100)의 수용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내부 용기(300)의 걸림홈(310)에 걸림돌기(120)가 결착됨으로써 내부 용기(300)와 외부 용기(100) 간의 결합을 고정할 수 있다.
내부 용기(300)는 외부 용기(100)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외부 용기(100)를 기준으로 소정의 회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상기 외부 용기(100)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내부 용기(300)를 외부 용기(100)에 결합할 때, 외부 용기(100)와 내부 용기(300) 간의 상대적인 회전 범위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범위는 360도 이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내부 용기(300)는 외부 용기(10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범위 중 임의의 지점에서 외부 용기에 결합되거나, 외부 용기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즉, 회전 범위의 조절은 내부 용기(300)와 외부 용기(100) 간의 결합 시 이루어지거나, 내부 용기(300)와 외부 용기(100)가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 용기(300)를 회전시켜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다시말해, 사용자는 내부 용기(300)를 외부 용기(100)에 결합 시 결합 방향에 제한 없이 결합시킬 수 있고, 결합한 이후에도 사용자가 조작이 편리한 방향으로 내부 용기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홈(310)은 조절 가능한 배치 각도의 범위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치 각도의 범위가 360도인 경우, 걸림홈(310)은 외부 용기(10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360도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예를 들어, 배치 각도의 범위가 180도인 경우, 걸림홈(310)은 외부 용기(10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180도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홈(310)과 걸림돌기(120)에 의해 내부 용기(300)와 외부 용기(100)가 서로 결합하게 하면서도, 배치 각도의 범위 내에서 내부 용기(300)가 외부 용기(100)에 자유롭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걸림홈(310)은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걸림홈(310)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성 범위를 가지고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걸림돌기(120) 및 걸림홈(310)이 각각 외부 용기(100) 및 내부 용기(30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걸림돌기(120) 및 걸림홈(310)은 각각 내부 용기(300) 및 외부 용기(1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나 위치, 형성 범위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내부 용기(3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용기(300)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내부 용기(300)에 수용된 화장료를 확인할 수 있고, 수용된 화장료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하는데도 용이할 수 있다. 내부 용기(300)는 투명의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명한 재질의 내부 용기(300)를 외부 용기(100)와 결합시킬 경우, 외부 용기(100)의 하면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내부 용기의 일부가 노출된다. 이때, 사용자는 외측으로 노출된 내부 용기(300)의 일부 영역을 통해, 수용된 화장료를 확인할 수 있고, 수용된 화장료의 잔량을 확인할 수도 있다.
내부 커버(400)는 내부 용기(300)와 결합하여 내부 용기(300)를 개방 및 밀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커버(400)는, 커버 본체(410), 테두리부(420) 및 절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410)는, 절첩부(430)를 통해 회동하면서, 내부 용기(300)를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 본체(410)의 저면에는 내부 용기(300)의 밀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밀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커버(400)의 상면에는 소정의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는 퍼프, 브러쉬 등의 도포구가 수용되거나, 내부 용기(300)와 마찬가지로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다. 내부 커버(400)의 상면에 수용되는 화장료는 내부 용기(300)에 수용되는 화장료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커버(400)는, 바깥 테두리의 외측으로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내부 커버(400)를 회동시켜, 용이하게 내부 용기(300)를 개방 및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테두리부(420)는, 내부 용기(300)의 상측 둘레를 따라 결합하며, 절첩부(430)를 통해 커버 본체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테두리부(420)는 커버 본체(410)가 내부 용기(3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하기 더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테두리부(420)는, 내부 용기(300)의 내측에 수용되는 측벽(422); 측벽(42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하방 절곡부(424) 및 측벽(422)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방 절곡부(424)는, 절곡부(424)의 홈을 통해 내부 용기(30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하여 테두리부(420)가 내부 용기(300)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안착부(426)는 측벽(422)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착부(426)의 상면에는 커버 본체(410) 등이 밀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안착부(426)의 하면에는 메쉬부(500)가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절첩부(430)는, 내부 커버(400), 특히 커버 본체(410)가 내부 용기(300)에 대해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절첩부(430)는 커버 본체(410)와 테두리부(420)를 연결하되 굴곡 가능한 연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커버 본체(410)와 테두리부(420)를 연결하되, 이들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절첩부(430)의 구조나 크기가 복잡하거나 비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서로 조립/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내부 용기(300) 및 외부 용기(100) 간의 결합 시, 절첩부(430)는, 외부 용기(100)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절첩부(43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용기(100)의 내측으로 수용되어야 하는 종래의 화장품 용기(1000)에서는 절첩부(430)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외부 용기(100)에 구비되어야 했고, 이로 인하여, 절첩부(430)의 배치 영역이 해당 공간으로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절첩부(430)는, 외부 용기(100)보다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 용기(10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내부 용기(300)는 외부 용기(100)에 대해 소정의 배치 각도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첩부(430)의 위치는 외부 용기(100)에서 절첩부(430)의 수용이나 안착을 위한 구성을 불필요하게 한다. 따라서, 외부 용기(100)의 수용부(110)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평탄면(1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내부 용기(300)가 외부 용기(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함을 표현한 도면이다. 내부 용기(300)는 외부 용기(100)를 기준으로 하는 소정의 회전 범위 내에서 외부 용기(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용기(300)의 절첩부(430)는, 외부 용기(100)보다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 용기(10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부 용기(300)를 외부 용기(100)에 조립시, 조립 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고, 또한 조립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조작이 편리한 방향으로 내부 용기(300)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내부 용기(300)의 회전은 내부 커버(400)를 개방한 다음 내부 커버(4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외부 용기(100)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커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테두리부(420)는, 내부 용기(300)의 내측에 수용되는 측벽(422); 측벽(42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하방 절곡부(424) 및 측벽(422)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방 절곡부(424)는, 절곡부(424)의 홈을 통해 내부 용기(300)의 상단이 삽입 및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426)는 측벽(422)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착부(426)의 상면에는 커버 본체(410) 등이 밀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안착부(426)의 하면에는 메쉬부(500)가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 본체(410)의 저면에는 테두리부(420)와 밀착하면서 내부 용기(300)를 밀폐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밀폐부(412), 제 2 밀폐부(414) 및 제 3 밀폐부(4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밀폐부(412)는, 커버 본체(41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커버 본체(410)의 밀폐 회동 시에, 안착부(426)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제 2 밀폐부(414)는, 커버 본체(410)의 저면에서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커버 본체(410)의 밀폐 회동 시에, 측벽(422)의 내면을 가압할 수 있다. 제 3 밀폐부(416)는, 제 1 밀폐부(412)와 마찬가지로 커버 본체(41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3 밀폐부(416)는, 커버 본체(410)의 밀폐 회동 시, 내부 용기(300)를 밀폐하되, 안착부(426)의 상면을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안착부(426)의 상면에 배치되는 시트지(600)를 가압할 수 있다. 시트지(600)의 밀폐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 3 밀폐부(416)는, 제 1 밀폐부(412)보다 내측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시트지(600)를 가압하기 위해 제 1 밀폐부(412)보다 돌출 정도가 낮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밀폐부(412), 제 2 밀폐부(414) 및 제 3 밀폐부(416)에 의한 다단 밀폐를 통해, 내부 용기(300)에 수용된 화장료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화장료와 유입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제 1 밀폐부(412) 내지 제 3 밀폐부(416) 중 적어도 일부만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부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메쉬부(500)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6의 (b)는 메쉬부(500)와 내부 커버(400)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쉬부(500)는, 안착부(426)의 하면에 부착되어, 내부 용기(300)에 수용되는 화장료가 메쉬부(500)를 경유하여 고르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쉬부(500)는, 메쉬망(510) 및 메쉬 접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쉬망(510)은 그물 구조를 형성하는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장료가 메쉬망(510)을 통과하면서 고르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메쉬 접합부(520)는 메쉬망(510)을 안착부(426)의 하면에 접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쉬 접합부(520)는 안착부(426)의 하면에 대응하여 링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합 영역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 메쉬 접합부(520)의 상면에는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돌출영역(5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안착부(426)의 하면에도 둘레를 적어도 하나의 돌출영역(428)이 형성될 수 있다.
메쉬 접합부(520)의 상면에 메쉬망(510)에 접합된 상태에서 메쉬 접합부(520)를 안착부(426)의 하면에 접합함으로써, 메쉬부(500)가 안착부(426)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메쉬망(510)과 메쉬 접합부(520) 간의 접합 및/또는 메쉬 접합부(520)와 안착부(426) 간의 접합은 열접합, 초음파접합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쉬부(500)가 안착부(426)의 저면에 형성함으로써, 안착부(426)의 상면이 밀폐부(412, 414, 416)와 연계하여 밀폐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라벨 등이 인쇄된 시트지(600)가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시트지(600)와 내부 커버(400)를 도시하고, 도 7의 (b)는 시트지(600)가 부착된 화장품 용기(1000)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착부(426)의 상면에는 내부 용기(300)를 밀폐하도록 부착되는 시트지(6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시트지(600)는 화장료의 충전 후부터 화장료의 사용 전까지 내부 용기(300)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표면에 라벨 등이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시트지(600)는 내부 커버(400)(특히, 커버 본체(41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본체(410)의 밀폐 회동 시에, 제 3 밀폐부(416)에 의해 하방 가압되어 시트지(600)의 밀폐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트지(600)는 적어도 일부가 제 1 밀폐부(412)보다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 밀폐부(416)는, 시트지(600)의 두께를 감안하여 가압에 의해 시트지(600)의 밀폐가 가능할 정도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시트지(600)의 저면에는 안착부(426)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접착제는 안착부(426)의 상면에 대응하여 시트지(600)의 테두리 부위만 도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 용기(300) 내에 수용되는 화장료와 접착제의 접촉 및 이에 의한 화장료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시트지(600)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부를 통해 사용자는 시트지(60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외부 용기 110: 수용부
120: 걸림돌기 130: 평탄면
200: 외부 커버 300: 내부 용기
310: 걸림홈 400: 내부 커버
410: 커버 본체 412: 제 1 밀폐부
414: 제 2 밀폐부 416: 제 3 밀폐부
420: 테두리부 422: 측벽
424: 절곡부 426: 안착부
428: 돌출영역 430: 절첩부
500: 메쉬부 510: 메쉬망
520: 메쉬 접합부 522: 돌출영역
600: 시트지 1000: 화장품 용기

Claims (14)

  1. 화장품 용기로서,
    내측으로 수용부가 형성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고, 내측으로 화장료가 수납되는 내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외부 용기를 기준으로 하는 소정의 회전 범위 내에서 상기 외부 용기 내에 배치 가능한,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회전 범위 중 임의의 지점에서 상기 외부 용기에 결합되거나, 상기 외부 용기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화장품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용기의 외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소정의 범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결착되면서,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에 결합하는, 화장품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절첩부를 통해 회동하면서 상기 내부 용기를 개방 및 밀폐하는 내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첩부는 상기 외부 용기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 용기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화장품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는, 회동하면서 상기 내부 용기를 개방 및 밀폐하는 커버 본체; 상기 내부 용기의 상측 둘레를 따라 결합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커버 본체를 연결하면서 상기 커버 본체를 회동하게 하는 상기 절첩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절첩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내부 용기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측벽; 상기 측벽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의 상단이 삽입되는 하방 절곡부 및 상기 측벽의 내측에서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커버 본체의 밀폐 회동 시에, 상기 안착부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 1 밀폐부가 하방 돌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커버 본체의 밀폐 회동 시에, 상기 측벽을 가압하는 제 2 밀폐부가 측방에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커버 본체의 밀폐 회동 시에, 상기 안착부에 부착되는 시트지를 가압하는 제 3 밀폐부가 하방 돌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밀폐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밀폐부보다 내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밀폐부보다 돌출 높이가 낮은, 화장품 용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를 밀폐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기 시트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지는 상기 제 1 밀폐부와 접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밀폐부보다 내측으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의 토출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메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쉬부는, 메쉬망 및 상기 메쉬망이 부착되고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메쉬 접합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190010412A 2019-01-28 2019-01-28 화장품 용기 KR102170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412A KR102170773B1 (ko) 2019-01-28 2019-01-28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412A KR102170773B1 (ko) 2019-01-28 2019-01-28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217A true KR20200093217A (ko) 2020-08-05
KR102170773B1 KR102170773B1 (ko) 2020-10-27

Family

ID=7204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412A KR102170773B1 (ko) 2019-01-28 2019-01-28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57744A1 (en) * 2022-08-22 2024-02-22 Ctk Co., Ltd. Eco cosmetic container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050B1 (ko) * 2012-11-27 2013-02-28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KR20170019184A (ko) * 2015-08-11 2017-02-21 (주)연우 콤팩트 용기
KR101841178B1 (ko) * 2016-09-30 2018-03-22 (주)연우 리필타입 콤팩트 용기
KR101849549B1 (ko) 2016-03-29 2018-04-17 (주)아모레퍼시픽 다층형 함침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케이스
KR101854988B1 (ko) * 2016-08-31 2018-06-14 정규천 나사 및 힌지의 복합 개방 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101915152B1 (ko) 2017-05-19 2018-12-28 주식회사 탭코리아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수납용기 밀폐장치
KR102066349B1 (ko) 2018-05-02 2020-01-14 정규선 콤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2090315B1 (ko) 2019-05-16 2020-03-18 이기수 냉온 기능이 구비된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050B1 (ko) * 2012-11-27 2013-02-28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KR20170019184A (ko) * 2015-08-11 2017-02-21 (주)연우 콤팩트 용기
KR101849549B1 (ko) 2016-03-29 2018-04-17 (주)아모레퍼시픽 다층형 함침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케이스
KR101854988B1 (ko) * 2016-08-31 2018-06-14 정규천 나사 및 힌지의 복합 개방 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101841178B1 (ko) * 2016-09-30 2018-03-22 (주)연우 리필타입 콤팩트 용기
KR101915152B1 (ko) 2017-05-19 2018-12-28 주식회사 탭코리아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수납용기 밀폐장치
KR102066349B1 (ko) 2018-05-02 2020-01-14 정규선 콤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2090315B1 (ko) 2019-05-16 2020-03-18 이기수 냉온 기능이 구비된 콤팩트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57744A1 (en) * 2022-08-22 2024-02-22 Ctk Co., Ltd. Eco cosmetic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773B1 (ko)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199B1 (ko)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JP2809586B2 (ja) 化粧用またはヘアケア製品用アプリケータ
JP3423224B2 (ja) 改良された密閉性を有する特にメークアップ用ケース形式とされたケース
KR102089722B1 (ko) 용기 커버 개방 시 무게 균형이 유지되는 두께가 슬림한 화장품 용기
US20190200724A1 (en) Structurally simple compact container improved in cosmetic material-filling process
US11647824B2 (en) Cosmetic container
JP2017217471A (ja) 内容物容器を回転できるコンパクト容器
JP2019526292A (ja) 折りたたみ式化粧品容器
KR101877139B1 (ko) 화장품 용기
KR102170773B1 (ko) 화장품 용기
US20120282010A1 (en) Liquid, fluid, and lotion container and applicator
CA2624982C (en) A refill-locking system, a package comprising said locking system, and a refill
JP3816062B2 (ja) メークアップ製品用容器
KR200492537Y1 (ko) 화장품 용기
JP7285594B2 (ja) スライド式化粧料コンパクトケース
KR101922710B1 (ko) 내용물 용기
EP3515233B1 (en) Cosmetic casing comprising a deformable lateral wall
KR102194696B1 (ko) 화장품 용기
CN208987900U (zh) 内容物容器
JP3761934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KR102540825B1 (ko) 힌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용물 용기
KR102035840B1 (ko) 내용물 용기
KR20180081024A (ko) 화장품 용기
KR102645562B1 (ko) 플립형 어플리케이터 케이스
CN113347904B (zh) 内容物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