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964A -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 Google Patents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964A
KR20180100964A KR1020170027545A KR20170027545A KR20180100964A KR 20180100964 A KR20180100964 A KR 20180100964A KR 1020170027545 A KR1020170027545 A KR 1020170027545A KR 20170027545 A KR20170027545 A KR 20170027545A KR 20180100964 A KR20180100964 A KR 20180100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ouch
functional material
spout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일
김지연
Original Assignee
더리뷰(주)
김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리뷰(주), 김형일 filed Critical 더리뷰(주)
Priority to KR1020170027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0964A/ko
Publication of KR20180100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27Tissues, i.e. thin applicat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3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the non-integral spout having an elongate cross-sectional shape, e.g. canoe or boat 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팩이 내장된 파우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마스크 팩이 내장되는 파우치에 스파우트 캡을 구비하고, 상기 스파우트 캡에 소정의 기능성 물질을 저장하여 사용 시 상기 기능성 물질을 마스크 팩에 함침하도록 하여 유통기간 중에 변질 되거나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방부제가 필요없도록 하여 사용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이다.

Description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MASK PACK POUCH WITH SPOUT CAP}
본 발명은 마스크 팩이 내장된 파우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마스크 팩이 내장되는 파우치에 스파우트 캡을 구비하고, 상기 스파우트 캡에 소정의 기능성 물질을 저장하여 사용 시 상기 기능성 물질을 마스크 팩에 함침하도록 하여 바로 섞어 피부에 유효한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가장 신선한 원료가 사용직전에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마스크팩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유통기간 중에 변질 되거나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방부제가 필요없도록 하여 사용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과 같은 내용물의 밀폐 포장을 위해 라미네이트 필름 형태의 포장지로 제조된 파우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영양과 수분을 공급하는 에센스 등을 부직포 시트에 다량 흡수시킨 마사지 팩의 사용이 성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사지 팩의 경우도 파우치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마스크 팩은 제작 과정 중에 미리 소정의 기능성 물질(예를 들어 미용액)에 함침하여 유통하게 되는데, 유통기간 중에 변질 되거나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라벤류 등과 같은 방부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스크 팩에 방부제가 첨가됨에 따라, 마스크 시트의 사용시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마스크 팩이 내장된 파우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516933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65701호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5-0003313호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0-000346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스크 팩이 내장되는 파우치에 스파우트 캡을 구비하고, 상기 스파우트 캡에 소정의 기능성 물질을 저장하여 사용 시 상기 기능성 물질을 마스크 팩에 함침하도록 하여 유통기간 중에 변질 되거나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방부제가 필요없도록 하여 사용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스크 팩(B)이 내장되는 파우치(200)와 상기 파우치(200)에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기능성 물질이 저장되는 스파우트 캡(1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파우트 캡(100)은 상기 파우치(200) 내부에 높이 방향 일부가 삽입되는 하부 캡(140)과, 상기 하부 캡(14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캡(110)과, 기능성 물질이 저장되고 하부는 개방된 수용부(120)와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에 접하는 한편 상기 하부 캡(140) 내측 바닥에 구비되는 패킹(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캡(140)에는 다수 개의 개방부(O)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하부 캡(140)과 상부 캡(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 캡(110)의 내측에 걸림되어, 상기 상부 캡(110)의 상승에 의해 수용부(120)가 상승되고 패킹(130)과 분리되어 기능성 물질이 수용부(120) 하측을 통해 누설되고, 상기 누설된 기능성 물질은 상기 하부 캡(140)의 개방부(O)를 통해 파우치(200) 내부로 투입되어 마스크 팩(B)을 함침하며, 상기 기능성 물질은 기능성 미용액 또는 분말인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하부 캡(140)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된 중공의 하부 캡 본체(141)와, 상기 하부 캡 본체(141) 외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판체 형상의 고정판(142)과, 상기 하부 캡 본체(141)의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링 형상의 고정 링(145)과, 상기 하부 캡 본체(141)와 고정 링(145)사이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레그(144)와, 상기 고정 링(145)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킹(130)이 결합하는 하부 마감부(146)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그(144)는 상기 고정 링(145)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고 일정 간격이격되어 배치되어 레그(144) 사이에 개방부(O)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마감부(146)와 고정 링(145) 사이에는 연결부(147)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147)에는 요홈부(147a)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수용부(120)는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기능성 물질이 내부에 저장되는 수용부 본체(121)와, 상기 수용부 본체(121)의 상측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 캡(110)의 내측에 걸림되는 돌출턱(122)과, 상기 수용부 본체(121)의 하측에 하향 연장되는 삽입부(123)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130)은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중공의 패킹 본체(131)와, 상기 패킹 본체(131) 외측에 링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 링(132)과 상기 패킹 본체(131)의 하측에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 쐐기(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 링(132)에는 요홈부(132a)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20)의 삽입부(123)가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147)의 요홈부(147a)에는 상기 결합 쐐기(133)가 삽입된다.
상기에서, 상기 고정 링(145)의 내측에는 요홈부(147a) 방향으로 결합턱(148)이 돌출되고, 상기 결합턱(148)과 연결부(147) 바닥 사이에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결합 공간(P)이 형성되어, 상기 패킹(130)의 결합 쐐기(133)는 상기 결합턱(148) 하측의 결합 공간(P)까지 진입하고 상기 결합턱(148)에 의해 걸림된다.
상기에서, 상기 상부 캡(110)은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상부 캡 본체(1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캡 본체(111) 내측에는 걸림턱(111a)이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수용부(120)의 돌출턱(122)이 걸림되고, 상기 상부 캡 본체(111) 내측면에는 나사산(111b)이 형성되어 하부 캡(140)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산(141a)과 나사 결합한다.
상기에서, 상기 파우치(200) 내부에 형성되는 구획부(210)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획부(210)에 의해 파우치(200) 내부는 상기 스파우트 캡(100)과 연통되며 별도의 기능성 물질이 저장되는 제1수용 공간(200-1)과 마스크 팩(B)이 배치되는 제2수용 공간(200-2)으로 구획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수용 공간(200-1)에 저장되는 별도의 기능성 물질은 분말 또는 용액이다.
상기에서, 상기 구획부(210)는 파우치(200)의 상하 필름을 열 융착하여 형성되는 메인 구획부(211)와 보조 구획부(2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구획부(212)의 상하 필름 사이에는 코팅제가 도포되어, 상기 보조 구획부(212)는 메인 구획부(211)보다 파단 강도가 약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사용 시 기능성 물질을 마스크 팩에 함침하도록 하여 유통기간 중에 변질 되거나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방부제가 필요없도록 하여 사용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을 분리한 후 패킹과 하부 캡을 절단한 일부 단면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 중 상부 캠과 연결부를 하부 캡으로부터 분리한 일부 단면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에서 수용부가 상승되어 기능성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의 하부 마감부를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에 구획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팩(B)이 내장되는 파우치(200)와 상기 파우치(200)에 구비되어 기능성 물질이 저장되는 스파우트 캡(10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스파우트 캡(100)에는 미용액 등과 같은 기능성 미용액이나 비타민C 등과 같은 분말의 형태인 기능성 물질이 저장된다. 이러한 스파우트 캡(100)은 파우치(200)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필요 시 상기 스파우트 캡(100)에 저장된 기능성 물질을 파우치(200)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여 마스크 팩(B)을 상기 기능성 물질로 함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마스크 팩(B)을 필요 시 기능성 물질으로 함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작 과정 중에 마스크 팩을 미리 기능성 물질에 함침하여 유통하게 되는데, 유통기간 중에 변질 되거나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라벤류 등과 같은 방부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스크 팩에 방부제가 첨가됨에 따라, 마스크 시트의 사용시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상술된 바와 같이 필요 시 기능성 물질을 마스크 팩(B)에 투여하여 함침하여 유통 기간 동안 변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방부제의 사용이 필요없게 되어 피부 트러블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분말을 스파우트 캡안에 따로 보관하다 소비자가 사용시 캡을 오픈하여 분말(예를 들어 비타민C)을 마스크 팩안에 바로 섞어 피부에 유효한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가장 신선한 원료를 소비자가 사용하기 직전에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마스크팩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비타민C와 같은 분말을 스파우트 캡안에 보관하는 이유는 미리 마스크팩에 비타민C를 같이 섞어 놓으면 유통기간에 따라 비타민C가 갈변(색이 변하고)이 되고, 효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생긴다.
스파우트 캡을 파우치에 연통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86318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21860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스파우트 캡(100)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200) 내부에 높이 방향 일부가 삽입되는 하부 캡(140)과, 상기 하부 캡(14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캡(110)과, 기능성 물질이 저장되고 하부는 개방된 수용부(120)와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에 접하는 한편 상기 하부 캡(140) 내측 바닥에 구비되는 패킹(1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 캡(140)에는 다수 개의 개방부(O)가 형성되어 기능성 물질이 파우치(200) 내부로 투입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하부 캡(140)과 상부 캡(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 캡(110)의 내측에 걸림된다. 즉, 상기 상부 캡(110)은 하부 캡(14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부(120)는 상부 캡(110)의 내측에 걸림되므로 상기 상부 캡(110)이 상하 이동하면 수용부(120) 역시 이에 연동되어 상하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캡(110)의 상승에 의해 수용부(120)가 상승되면 하부 캡(140)에 설치된 패킹(130)과 분리된다.(도 6참조)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을 통해 기능성 물질이 누설된다. 상기 누설된 기능성 물질은 상기 하부 캡(140)의 개방부(O)를 통해 파우치(200) 내부로 투입되어 마스크 팩(B)을 함침하게 된다.
상기 하부 캡(140)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된 중공의 하부 캡 본체(141)와, 상기 하부 캡 본체(141) 외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판체 형상의 고정판(142)과, 상기 하부 캡 본체(141)의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링 형상의 고정 링(145)과, 상기 하부 캡 본체(141)와 고정 링(145)사이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레그(144)와, 상기 고정 링(145)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킹(130)이 결합하는 하부 마감부(146)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142)이 파우치(200)에 배치되어 본 발명의 스파우치 캡(100)이 파우치(200)에 설치된다.(도 3참조) 상기 하부 캡 본체(141) 외측 중 고정판(142) 하측 방향에는 다수 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결합부(14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43)가 파우치 내부와 밀착되어 본 발명의 스파우치 캡(100)이 파우치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이러한 구성은 상술된 선행기술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레그(144)는 상기 고정 링(145)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고 일정 간격이격되어 배치되어 레그(144) 사이에 개방부(O)를 형성한다.(도 2참조) 상기 개방부(O)를 통해 기능성 물질이 파우치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하부 마감부(146)와 고정 링(145) 사이에는 연결부(147)가 배치되어 상기 하부 마감부(146)가 고정 링(145)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147)에는 요홈부(147a)가 형성된다. 상기 요홈부(147a)에는 패킹(130)이 결합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수용부(120)는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기능성 물질이 내부에 저장되는 수용부 본체(121)와, 상기 수용부 본체(121)의 상측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 캡(110)의 내측에 걸림되는 돌출턱(1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 본체(121)의 하측에 패킹(130)이 접하여 수용부 본체(121)의 내부에 저장된 기능성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용부(1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부 캠(110)의 상하 이동에 연동된다. 이를 위해 돌출턱(122)이 수용부 본체(121)의 상측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부 캡(110)의 내측에 걸림된다. 상기 돌출턱(1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본체(121)의 하측에는 삽입부(123)가 하향 연장된다. 상기 삽입부(123)는 수용부 본체(121)의 저면 두께면에서 하향 연장될 수 있고 두께는 수용부 본체(12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부(123)는 후술되는 패킹(130)에 삽입된다.
상기 패킹(130)은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중공의 패킹 본체(131)와, 상기 패킹 본체(131) 외측에 링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 링(132)과 상기 패킹 본체(131)의 하측에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 쐐기(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 링(132)에는 높이 방향으로 요홈되게 형성되는 요홈부(132a)가 구비된다. 이러한 요홈부(132a)에 상기 수용부(120)의 삽입부(123)가 삽입된다.
상기 결합 쐐기(133)는 패킹 본체(131)의 하측에 하향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147)의 요홈부(147a)에 상기 결합 쐐기(133)가 삽입된다.
상기 결합 쐐기(133)가 요홈부(147a)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 링(145)의 내측에는 요홈부(147a) 방향으로 결합턱(148)이 돌출된다.(도 7 참조) 상기 결합턱(148)과 연결부(147) 바닥 사이에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결합 공간(P)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패킹(130)의 결합 쐐기(133)는 상기 결합턱(148) 하측의 결합 공간(P)까지 진입하고 상기 결합턱(148)에 의해 걸림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결합 쐐기(133)가 요홈부(147a)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상부 캡(110)은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상부 캡 본체(11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 캡 본체(111) 내측에는 걸림턱(111a)이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수용부(120)의 돌출턱(122)이 걸림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부 캡(110)이 상하 방향 이동하면 수용부(120) 역시 이에 연동되어 상하 방향 이동한다. 이를 위해 상술된 바와 같이 상부 캡 본체(111)의 걸림턱(111a)에 수용부(120)의 돌출턱(122)이 걸림되어 상부 캡(110)과 수용부(120)가 연동된다.
상기 상부 캡 본체(111) 내측면에는 나사산(111b)이 형성되어 하부 캡(140)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산(141a)과 나사 결합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부 캡(110)은 하부 캡(14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캡 본체(111) 내부와 하부 캡(140) 상부 외측이 나사 결합한다. 이에 의해 상부 캡(110)을 회전하면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 캡(110)이 상하 방향 이동한다.
최초 상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20)의 하측은 개방되어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20)의 하측은 패킹(130)에 접하여 있으므로 수용부(120) 내부에 저장된 기능성 물질은 누출되지 않는다.
그런데, 사용자가 상부 캡(110)을 회전시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수용부(120)는 상부 캡(110)에 연동되어 상승한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20)는 패킹(130)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수용부(120) 내부에 저장된 기능성 물질은 수용부(120) 하측을 통해 누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ㄱ지 수용부(120) 하측을 통해 누출된 기능성 물질은 하부 캡(140)의 개방부(O)를 통해 토출되어 파우치 내부로 투입되고 그 결과 마스크 팩을 함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200) 내부에 형성되는 구획부(210)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구획부(210)에 의해 파우치(200) 내부는 상기 스파우트 캡(100)과 연통되며 별도의 기능성 물질이 저장되는 제1수용 공간(200-1)과 마스크 팩(B)이 배치되는 제2수용 공간(200-2)으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제1수용 공간(200-1)에 저장되는 별도의 기능성 물질은 분말 또는 또 다른 기능성 용액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파우트 캡(100)에 저장된 기능성 물질과 혼합되는 별도의 기능성 용액 또는 분말을 제1수용 공간(200-1)에 미리 저장해 두는 것이다.
상기 제1수용 공간(200-1)에 저장된 별도의 기능성 물질에 스파우트 캡(100)에 저장된 기능성 물질을 혼합한 후 마스크 팩을 함침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스파우트 캡(100)에 저장된 기능성 물질과 제1수용 공간(200-1)에 저장된 별도의 기능성 물질 즉, 2성분이 합쳐지면 유통기간 중에 변질 되거나 미생물에 오염될 가능성을 배제하고, 두 가지의 기능성 물질(예를 들어 미용액)이 서로 합쳐 지는 경우 기능성 물질의 상승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부(210)는 파우치(200)의 상하 필름을 열 융착하여 형성되는 메인 구획부(211)와 보조 구획부(2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조 구획부(212)의 상하 필름 사이에는 코팅제가 도포되어, 상기 보조 구획부(212)는 메인 구획부(211)보다 파단 강도가 약하도록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수용 공간(200-1)에 저장된 별도의 기능성 물질은 스파우트 캡(100)에 저장된 기능성 물질과 혼합된 후 제2수용 공간(200-2)에 배치된 마스크 팩(B)측으로 투입되어야 한다. 그런데, 제1수용 공간(200-1)과 제2수용 공간(200-2)은 구획부(210)에 의해 격리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획부(210)를 파단하여 연통되도록 해야 한다. 사용자가 상기 구획부(210)를 보다 편리하게 파단하도록 상기 보조 구획부(212)를 파단 강도가 약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구획부(210)는 널리 알려진 열 융착에 의해 파우치(200)의 상하 필름이 접착된다. 이때, 상기 보조 구획부(212)의 경우 상하 필름 사이에 코팅제를 도포한 후 열 융착하게 된다. 이에 의해 보조 구획부(212)의 파단 강도가 약하게 되어 사용자가 파우치를 가압하면 보조 구획부(212)가 파단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코팅제는 일종의 접착제 조성물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된 수지 고형분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무수 말레인산 (maleic acid anhydride) 및 올레핀의 공중합체의 70 내지 85 중량부; 염소 함량이 10~30 중량%인 염소화 폴리올레핀의 5 내지 20 중량부; 및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의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제를 도포한 후, 열 융착 후의 파단 강도가 0.5~1.2kgf/15mm 범위내에 포함되는 범위내에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스파우트 캡 110 : 상부 캡
110 : 상부 캡 111 : 상부 캡 본체
111a : 걸림턱 120 : 수용부
121 : 수용부 본체 122 : 돌출턱
130 : 패킹 131 : 패킹 본체
132 : 돌출 링 133 : 결합 쐐기
140 : 하부 캡 141 : 하부 캡 본체
142 : 고정판 143 : 결합부
145 : 고정링 146 : 하부 마감부
147 : 연결부 200 : 파우치

Claims (8)

  1. 마스크 팩(B)이 내장되는 파우치(200)와 상기 파우치(200)에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기능성 물질이 저장되는 스파우트 캡(1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파우트 캡(100)은 상기 파우치(200) 내부에 높이 방향 일부가 삽입되는 하부 캡(140)과, 상기 하부 캡(14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캡(110)과, 기능성 물질이 저장되고 하부는 개방된 수용부(120)와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에 접하는 한편 상기 하부 캡(140) 내측 바닥에 구비되는 패킹(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캡(140)에는 다수 개의 개방부(O)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하부 캡(140)과 상부 캡(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 캡(110)의 내측에 걸림되어,
    상기 상부 캡(110)의 상승에 의해 수용부(120)가 상승되고 패킹(130)과 분리되어 기능성 물질이 수용부(120) 하측을 통해 누설되고, 상기 누설된 기능성 물질은 상기 하부 캡(140)의 개방부(O)를 통해 파우치(200) 내부로 투입되어 마스크 팩(B)을 함침하며,
    상기 기능성 물질은 기능성 미용액 또는 분말인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캡(140)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된 중공의 하부 캡 본체(141)와, 상기 하부 캡 본체(141) 외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판체 형상의 고정판(142)과, 상기 하부 캡 본체(141)의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링 형상의 고정 링(145)과, 상기 하부 캡 본체(141)와 고정 링(145)사이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레그(144)와, 상기 고정 링(145)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킹(130)이 결합하는 하부 마감부(146)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그(144)는 상기 고정 링(145)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고 일정 간격이격되어 배치되어 레그(144) 사이에 개방부(O)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마감부(146)와 고정 링(145) 사이에는 연결부(147)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147)에는 요홈부(147a)가 형성된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20)는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기능성 물질이 내부에 저장되는 수용부 본체(121)와, 상기 수용부 본체(121)의 상측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 캡(110)의 내측에 걸림되는 돌출턱(122)과, 상기 수용부 본체(121)의 하측에 하향 연장되는 삽입부(123)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130)은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중공의 패킹 본체(131)와, 상기 패킹 본체(131) 외측에 링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 링(132)과 상기 패킹 본체(131)의 하측에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 쐐기(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 링(132)에는 요홈부(132a)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20)의 삽입부(123)가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147)의 요홈부(147a)에는 상기 결합 쐐기(133)가 삽입되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145)의 내측에는 요홈부(147a) 방향으로 결합턱(148)이 돌출되고,
    상기 결합턱(148)과 연결부(147) 바닥 사이에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결합 공간(P)이 형성되어,
    상기 패킹(130)의 결합 쐐기(133)는 상기 결합턱(148) 하측의 결합 공간(P)까지 진입하고 상기 결합턱(148)에 의해 걸림되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110)은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상부 캡 본체(1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캡 본체(111) 내측에는 걸림턱(111a)이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수용부(120)의 돌출턱(122)이 걸림되고,
    상기 상부 캡 본체(111) 내측면에는 나사산(111b)이 형성되어 하부 캡(140)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산(141a)과 나사 결합하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200) 내부에 형성되는 구획부(210)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획부(210)에 의해 파우치(200) 내부는 상기 스파우트 캡(100)과 연통되며 별도의 기능성 물질이 저장되는 제1수용 공간(200-1)과 마스크 팩(B)이 배치되는 제2수용 공간(200-2)으로 구획되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 공간(200-1)에 저장되는 별도의 기능성 물질은 분말 또는 용액인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210)는 파우치(200)의 상하 필름을 열 융착하여 형성되는 메인 구획부(211)와 보조 구획부(2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구획부(212)의 상하 필름 사이에는 코팅제가 도포되어,
    상기 보조 구획부(212)는 메인 구획부(211)보다 파단 강도가 약하도록 형성된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KR1020170027545A 2017-03-03 2017-03-03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KR20180100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545A KR20180100964A (ko) 2017-03-03 2017-03-03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545A KR20180100964A (ko) 2017-03-03 2017-03-03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964A true KR20180100964A (ko) 2018-09-12

Family

ID=6359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545A KR20180100964A (ko) 2017-03-03 2017-03-03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09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637U (ko) * 2019-09-09 2021-03-17 한국콜마주식회사 파우치 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466U (ko) 2008-09-22 2010-03-31 (주) 제이티 파우치 절단 구조
KR200465701Y1 (ko) 2010-12-01 2013-03-06 이스다니코스메틱(주) 스킨케어용 다중 구획 파우치
KR101516933B1 (ko) 2013-12-18 2015-05-04 주식회사 닥터미즈 에센스와 키토산 부직포가 분리된 상태로 포장된 키토산 마스크팩용 파우치
KR20150003313U (ko) 2014-02-27 2015-09-04 이은우 화장품 포장용 파우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466U (ko) 2008-09-22 2010-03-31 (주) 제이티 파우치 절단 구조
KR200465701Y1 (ko) 2010-12-01 2013-03-06 이스다니코스메틱(주) 스킨케어용 다중 구획 파우치
KR101516933B1 (ko) 2013-12-18 2015-05-04 주식회사 닥터미즈 에센스와 키토산 부직포가 분리된 상태로 포장된 키토산 마스크팩용 파우치
KR20150003313U (ko) 2014-02-27 2015-09-04 이은우 화장품 포장용 파우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637U (ko) * 2019-09-09 2021-03-17 한국콜마주식회사 파우치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3230A (en) Probe for rechargeable dispensers
US5871122A (en) Rechargeable dispensers
RU2707854C1 (ru) Дозирующий колпачок
US20090205506A1 (en) Bottle cap having filling function
US20140027322A1 (en) Bottle for extemporaneous preparation products, particularly medical, pharmaceutical, cosmetic products
KR101045245B1 (ko) 내용물 함침식 화장부재를 갖는 포장체
WO2009027981A2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system
CN105752469A (zh) 一种集成式防潮组合药用容器
WO2021004538A1 (zh) 一种可加料调制的储物盖
KR20220101417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CN211811115U (zh) 一种抽屉式即配瓶盖及采用该瓶盖的瓶
KR20180100964A (ko)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마스크 팩 파우치
GB2411892A (en) Volumetric dispenser
JP2008529919A (ja) 容器出口の蓋体構造
US20220119175A1 (en) Compartmentalized container cap
KR101782411B1 (ko) 마스크팩 용기
JP3119760U (ja) 容易に混合可能な剤型分室包装袋構造
KR20110137003A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KR20120017126A (ko)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US20230109263A1 (en) Cosmetic container cap with duo-mix function
KR101525862B1 (ko) 화장품 용기용 챔버 캡
KR101643341B1 (ko) 누출방지용 중공부가 구비된 캡슐캡
CN212314386U (zh) 一种多料腔即配式瓶盖及采用该瓶盖的瓶
KR20170026827A (ko)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KR200371205Y1 (ko) 이중격실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