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153Y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153Y1
KR200494153Y1 KR2020190000410U KR20190000410U KR200494153Y1 KR 200494153 Y1 KR200494153 Y1 KR 200494153Y1 KR 2020190000410 U KR2020190000410 U KR 2020190000410U KR 20190000410 U KR20190000410 U KR 20190000410U KR 200494153 Y1 KR200494153 Y1 KR 200494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
group
middle body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583U (ko
Inventor
이희정
강보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70004464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88462Y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90000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15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5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1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개폐하는 외뚜껑;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 내용물이 수납되는 제1 내용기; 상기 제1 내용기를 개폐하는 중체; 및 상기 중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내용물이 수납되는 제2 내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중체는, 상하 관통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메이크업에 사용되는 파우더나 크림 등 각종 화장품들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화장품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다. 또한,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직접 포장하여 사용하는 용도에서부터 리필 용도까지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시대의 흐름이나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최근에는 고체나, 반고체, 겔상, 액상 형태의 화장품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고, 수분이나 오일이 혼합된 화장품을 함침부재에 함침시킨 형태를 화장품 용기에 수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 중, 콤팩트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상부면을 개폐시키는 외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통상의 화장품 용기에는 내용물이 수납되는 공간이 하나만 구비되어, 한 가지 내용물만 수납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내용물이 보다 다양한 제형으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화장 효과를 구현함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내용물을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가 있어 왔다. 이에 의해 소비자가 두 가지 내용물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 각 내용물이 수납된 2개 이상의 콤팩트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휴대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용물을 소진하면 화장품 용기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1 내용기 및 제2 내용기가 구비됨에 의해 상이한 두 가지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제1 내용기 및 제2 내용기가 각각 탈착 가능하게 구비됨에 의해 각각에 수납된 내용물의 사용빈도나 선호도에 따라 별도로 교체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제1 내용기가 제2 내용기의 하부면에 구비된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며, 제2 내용기가 내뚜껑의 하부면에 구비된 패킹부재에 의해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개폐하는 외뚜껑;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 내용물이 수납되는 제1 내용기; 상기 제1 내용기를 개폐하는 중체; 및 상기 중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내용물이 수납되는 제2 내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중체는, 상하 관통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체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하단 둘레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 구비된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내용기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개구부에 끼움 결합됨에 의해 상기 중체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체는, 상기 바닥면에 밀폐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중체와 이중사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용기 및 상기 제2 내용기는, 일 영역에 내용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용기는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내용기 및 상기 제2 내용기가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어, 서로 호환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체와 상기 외뚜껑의 사이에 내뚜껑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체의 상단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의 홈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홈부와 대응되는 상기 내뚜껑의 일 영역에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패킹부재가 상기 홈부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제2 내용기의 상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뚜껑, 상기 중체 및 상기 용기본체는 일체형의 힌지부재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체 및 상기 용기본체는 제1 힌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중체 및 상기 내뚜껑은 제2 힌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단 둘레를 따라 가이드링이 더 구비되며, 상기 중체와 연결되는 상기 제1 힌지부재는 상기 가이드링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뚜껑, 상기 제2 내용기 및 상기 중체의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내용물과 상기 제2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는 영역인 혼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부는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체의 내측 둘레를 따라 제1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나사산과 대응되는 상기 제2 내용기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제2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중체와 상기 제2 내용기가 나사 결합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내용기는, 상하를 뒤집은 상태로 상기 중체에 결합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체는, 상기 제2 내용물의 일부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체는, 반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내용기는, 상기 제2 내용물이 안착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둘레 일 영역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체에 슬라이딩 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체의 양단과, 상기 측면부재의 양단은 일정 부분 겹쳐지도록 구비되며, 겹쳐지는 영역에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제1 내용기 및 제2 내용기가 구비됨에 의해 상이한 두 가지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음으로써, 두 가지 내용물을 함께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간편하게 두 가지 화장품을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제1 내용기 및 제2 내용기가 각각 탈착 가능하게 구비됨에 의해 각각에 수납된 내용물의 사용빈도나 선호도에 따라 별도로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원하는 내용물로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교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제1 내용기가 제2 내용기의 하부면에 구비된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며, 제2 내용기가 내뚜껑의 하부면에 구비된 패킹부재에 의해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음으로써, 내용물의 유분 및 수분이 휘발되거나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외뚜껑 및 내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중체 및 내뚜껑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내뚜껑, 중체 및 용기본체가 결합된 상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내뚜껑, 중체 및 용기본체가 결합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중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중체와 제2 내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중체와 제2 내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외뚜껑 및 내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본체(10), 외뚜껑(20), 내뚜껑(30), 중체(40),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본체(10)는 원형 타입으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에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용기본체(10)는 화장품 용기(100)에서 외형의 일부를 이루는 구성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원형의 측면과 바닥면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되,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영역이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외뚜껑(20)은 별도의 힌지부재(미도시)에 의해 용기본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용기본체(10)의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외뚜껑(20)의 내측면, 즉 용기본체(10)와 마주하는 일면에는 거울(22)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외뚜껑(20)은 용기본체(10)와 함께 화장품 용기(100)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외뚜껑(20)은 용기본체(10)에 힌지 결합된 영역을 축으로 용기본체(10)에 대하여 타측이 개폐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용기본체(10)와 외뚜껑(20)이 힌지 결합된 영역과 대향하는 용기본체(10)에는 누름부재(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누름부재(11)의 상부로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12)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재(11)는 외뚜껑(20)의 개방 조작을 수행하는 버튼일 수 있다. 또한,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12)와 대응하는 외뚜껑(20)의 내측면에는 걸림홈(21)이 구비될 수 있다.
용기본체(10)의 내부에는 제1 내용물(51)이 수납되는 제1 내용기(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용기(50)는 용기본체(10)에 억지끼움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용기본체(10)의 내측과 제1 내용기(50)의 외측에는 각각 돌기 및 홈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바닥면이 개구된 경우, 제1 내용기(50)는 용기본체(10)의 개구된 바닥면으로 하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용기(50)와 용기본체(10)는 외력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외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에서 제1 내용기(50)에 수납되는 제1 내용물(51)은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용기(50)에는 함침부재가 제1 내용기(5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1 내용물(51)이 함침부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제형의 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중체(40)는 제1 내용기(5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하 관통된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제2 내용기(6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중체(40)에 제2 내용기(60)가 결합됨에 의해 제1 내용기(50)의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다. 제2 내용기(60)에는 제2 내용물(61)이 수용될 수 있으며, 제2 내용물(61)은 제1 내용물(51)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제2 내용물(61)은 제1 내용물(51)과 마찬가지로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내부에 두 가지 내용물(51, 61)이 수납되는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가 구비됨으로써, 두 가지 내용물(51, 61)을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해질 수 있다.
이때, 중체(40)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되, 하단 둘레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연장된 바닥면(42)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바닥면(42)의 중앙에는 개구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내용기(60)는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개구부(41)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63)가 구비됨으로써, 돌출부(63)가 개구부(41)에 끼움 결합됨에 의해 제2 내용기(60)가 중체(4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내용기(60)는 제1 내용기(5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구비되어, 서로 호환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내용기(50)와 제2 내용기(60)가 각각 탈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선택하고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의 일 영역에는 내용물(51, 61)의 정보를 나타내도록 표시부(6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내용기(60)의 상부면 둘레 일 영역에는 제2 내용기(60)에 선크림이 수납되어 있음을 안내하는 문구가 기재된 표시부(6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 내용기(50) 또는 제2 내용기(60)의 표시부(62)에는 블러셔, 커버 쿠션, 에센스, 파우더와 같은 상이한 제형 및 종류가 수납됨을 표시하거나, 화장료의 점도를 나타내는 등 다양한 내용물(51, 61)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물(51, 61)이 수납된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를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 각각 용기본체(10) 및 중체(40)에 장착하여 표시부(62)를 통해 손쉽게 내용물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가 각각 탈착 가능하게 구비됨에 의해 사용빈도나 선호도에 따라 별도로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표시부(62)는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가 정방향으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의 상하가 유사하게 형성된 경우, 표시부(62)를 통해 상하를 보다 손쉽게 구분하여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가 반대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가 각각 용기본체(10) 및 중체(40)에 결합될 때, 방향 또는 위치 정렬을 위하여 가이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제1 내용기(50)와 용기본체(10)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내용기(60)와 중체(40)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의 내부에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가 수납되는 경우, 통상 함침부재의 하부에 함침된 화장료가 함침부재의 상부에 함침된 화장료에 비해 먼저 소진되기 때문에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의 상하가 바뀌도록 뒤집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부는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를 뒤집은 상태에서도 각각 용기본체(10) 및 중체(40)에 장착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는 1개만 구비되거나, 제1 내용기(50) 또는 제2 내용기(60) 각각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1 내용기(50)가 용기본체(10)에 장착된 상태 및 제2 내용기(60)가 중체(4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중체(40)와 외뚜껑(20) 사이에는 내뚜껑(3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뚜껑(30)은 중체(40) 및 제2 내용기(60)의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내뚜껑(30)의 상부면에는 퍼프 등의 도포부재가 수납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내뚜껑(30) 및 중체(40)는 용기본체(10)에 대하여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내뚜껑(30) 및 중체(40)가 개폐되는 방향은 용기본체(10)와 외뚜껑(20)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방향과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뚜껑(30) 및 중체(40)의 개폐 시 외뚜껑(2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뚜껑(30) 및 중체(40)를 개방하여 화장 시 거울(22)을 가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화장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중체(40)는 힌지가 구비된 반대편 외주면의 일 영역에 손잡이부(4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44)는 제1 내용기(50)에 수납된 제1 내용물(51)을 이용하거나, 제1 내용기(50)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중체(40)를 수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중체(40)의 손잡이부(44)와 겹쳐지지 않는 위치의 내뚜껑(30)에도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제2 내용기(60)에 수납된 제2 내용물(61)을 이용하거나, 제2 내용기(60)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내뚜껑(30)을 보다 편리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중체(4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의 홈부(43)가 구비될 수 있으며, 홈부(43)와 대응되는 내뚜껑(30)의 하부면 외측에는 고무 등의 패킹부재(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뚜껑(30)이 중체(40)의 상부면을 폐쇄하는 경우, 패킹부재(31)가 홈부(43)에 삽입되면서 제2 내용기(60)의 상부면을 밀폐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패킹부재(31)가 고무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패킹부재(31)는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패킹부재(31)는 내뚜껑(30)과 동일한 재질로 내뚜껑(3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쿠션 제품으로, 쿠션 제품은 기본적으로 밀폐 기능이 요구된다. 즉, 패킹부재(31)가 홈부(43)에 삽입됨에 의해 제2 내용기(60)에 수납된 제2 내용물(61)의 일부 성분이 휘발 또는 증발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제2 내용기(60)의 상부면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두 가지 내용물(51, 61)을 함께 수납하여 휴대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원하는 내용물(51, 61)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하고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중체 및 내뚜껑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뚜껑(30)과 용기본체(10)의 사이에 구비된 중체(40)는 상하 관통된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하단 둘레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바닥면(42) 및 바닥면(42)의 중앙에 구비된 개구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내용기(60)가 중체(40)의 상부 측에서 중체(4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내용기(60)의 하부면에는 개구부(41)와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6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내용기(60)의 돌출부(63)가 중체(40)의 개구부(41)에 삽입되면서 끼움 결합됨에 의해 제2 내용기(60)가 중체(40)에 고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쿠션 제품은 밀폐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개구부(41)에 돌출부(63)가 삽입되더라도 각 재질이 탄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약간의 틈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41)와 돌출부(63) 사이의 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중체(40)에는 개구부(41)의 내측 둘레를 따라 제1 밀폐부재(4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체(40)와 제2 내용기(60) 사이가 완벽하게 밀폐됨으로써, 중체(40)의 하부에 위치된 제1 내용기(50)의 제1 내용물(51)이 휘발 또는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중체(40)는 제1 내용기(50)의 상단 둘레와 대응되는 바닥면(42)에 제2 밀폐부재(46)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내용기(50)의 상부면을 완벽하게 밀폐하여, 제1 내용물(51)이 휘발 또는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밀폐부재(45) 및 제2 밀폐부재(46)는 중체(40)와 이중사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1 밀폐부재(45) 및 제2 밀폐부재(46)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구부(41)와 돌출부(63) 사이를 밀폐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밀폐부재(45) 및 제2 밀폐부재(46)는 중체(40)와 이중사출 외에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중체(40)에 홈이 형성되고, 제1 밀폐부재(45) 및 제2 밀폐부재(46)가 홈에 끼워지며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중체(4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의 홈부(43, 도 1 참조)가 더 구비되며, 홈부(43)와 대응되는 내뚜껑(30)에는 패킹부재(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뚜껑(30)이 중체(40)의 상부면을 폐쇄하는 경우, 패킹부재(31)가 홈부(43)에 삽입되면서 제2 내용기(60)의 상부면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제1 밀폐부재(45), 제2 밀폐부재(46) 및 패킹부재(31)에 의해 효과적으로 내부가 밀폐될 수 있음으로써, 내용물의 유분 및 수분이 휘발되거나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뚜껑(30)에는 제1 내용물(51)과 제2 내용물(61)을 혼합할 수 있는 영역인 혼합부(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부(32)는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두 가지 내용물(51, 61)을 섞어서 사용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내용물(51, 61)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다양한 화장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의 혼합부(32)는 내뚜껑(30)의 하부면에 구비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내용기(60) 또는 중체(40)의 바닥면(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혼합부(32)가 제2 내용기(60)에 구비되는 경우, 개구부(41)로 노출된 돌출부(63)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내뚜껑, 중체 및 용기본체가 결합된 상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뚜껑(30), 중체(40) 및 용기본체(10)는 일체형의 힌지부재(80)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힌지부재(80)는 용기본체(10)의 외주면 일 영역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80d)와, 중체(40)로부터 연장되어, 연장부(80d)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부(80b) 및 내뚜껑(30)으로부터 연장되어, 연장부(80d)의 상단 중앙 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회전부(80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80d)의 상단과 겹쳐지는 고정부(80b) 및 회전부(80a)는 체결핀(80c)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체(40) 및 내뚜껑(30)은 용기본체(10)에 대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내뚜껑, 중체 및 용기본체가 결합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중체(40) 및 용기본체(10)는 제1 힌지부재(8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체(40) 및 내뚜껑(30)은 제2 힌지부재(8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가이드링(7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중체(40)와 연결되는 제1 힌지부재(81)는 가이드링(70)에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제1 힌지부재(81)는 용기본체(10)의 상단 둘레에 구비된 가이드링(70)의 일 영역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고정부(81b)와, 중체(40)로부터 연장되어, 제1 고정부(81b)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1 회전부(8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부(81b) 및 제1 회전부(81a)는 제1 체결핀(81c)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중체(40)는 용기본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힌지부재(82)는 중체(40)의 일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고정부(82b)와, 내뚜껑(30)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고정부(82b)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2 회전부(8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부(82b) 및 제2 회전부(82a)는 제2 체결핀(82c)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내뚜껑(30)은 중체(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체(40)와 용기본체(10), 및 중체(40)와 내뚜껑(30)이 별도의 제1 힌지부재(81) 및 제2 힌지부재(82)에 의해 결합됨에 의해 일체형의 힌지부재(80)에 비하여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 상부면의 밀폐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중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0)는 용기본체(10), 외뚜껑(20), 중체(40),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0)는 제1 실시예의 내뚜껑(30)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용기본체(10)는 원형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외뚜껑(20)은 용기본체(10)를 개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0)의 내부에는 제1 내용물(51)이 수납되는 제1 내용기(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10)와 외뚜껑(20)의 사이에는 중체(4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중체(40)는 상하 관통된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중체(40)의 내부에는 제2 내용물(61)이 수납되는 제2 내용기(60)가 중체(4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중체(40)는 내측 둘레를 따라 제1 나사산(4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나사산(47)과 대응되는 제2 내용기(6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제2 나사산(64)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내용기(60)는 중체(40)와 나사 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내용기(6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중체(40)의 내부에 결합시키거나, 제2 내용기(6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중체(4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내용기(60)는 중체(40)가 용기본체(10)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2 내용물(61)이 상부를 향하도록 중체(40)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하를 뒤집은 상태로 중체(4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중체(40)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1 내용물(51)과 제2 내용물(61)이 같은 방향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내용물(51)과 제2 내용물(61)을 동시에 사용 시 보다 편리하게 화장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0)의 상부에는 가이드링(7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중체(40)와 가이드링(70)은 힌지부재(8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0)와 마주하는 중체(40)의 일면에는 용기본체(10)와 제1 내용기(50) 사이의 공간과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리브(48)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48)에 의해 용기본체(10)와 중체(40) 사이가 밀폐됨으로써, 제1 내용물(51) 및 제2 내용물(61)이 증발 또는 휘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용물(51)과 제2 내용물(61)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의 일 영역에 내용물의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6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 각각에 수납된 제1 내용물(51) 및 제2 내용물(61)의 확인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용기(50)는 용기본체(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내용기(50) 및 제2 내용기(60)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구비되어 서로 호환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서 제2 내용기(60)와 중체(40)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내용기(60)와 중체(40)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한 탈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내용기(60) 및 중체(40)의 바닥면(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내용물(51)과 제2 내용물(61)을 혼합할 수 있는 금속 재질의 혼합부(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a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중체와 제2 내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중체와 제2 내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를 개폐하는 외뚜껑(20) 및 중체(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0)의 내부에는 제1 내용물(51)이 수납된 제1 내용기(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중체(40)에는 제2 내용물(61)이 수납된 제2 내용기(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중체(40)는 제2 내용물(61)의 일부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중체(4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품 용기(300)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내용기(60)는 제2 내용물(61)이 안착될 수 있는 받침부재(66)와, 받침부재(66)의 둘레 일 영역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측면부재(6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내용기(60)는 중체(40)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착될 수 있으며, 측면부재(67)는 제2 내용물(61)의 일부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내용기(60)가 중체(40)에 슬라이딩 결합됨에 의해 측면부재(67)에 의해 감싸지지 않은 제2 내용물(61)의 나머지 측면은 중체(4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또한, 중체(40)의 양단과, 측면부재(67)의 양단은 일정 부분 겹쳐지도록 구비되어, 겹쳐지는 영역에 체결부(68)가 구비됨에 의해 제2 내용기(60)가 중체(40)에 장착 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68)는 중체(40)의 양단에 구비된 돌기(49)와, 돌기(49)에 대응되는 제2 내용기(60)의 측면부재(67)에 구비된 홀(6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체(40)와 제2 내용기(60)가 슬라이딩 결합됨에 의해 돌기(49)가 홀(65)에 삽입되며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중체(40)와 제2 내용기(60)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의해 홀(65)로부터 돌기(49)가 이탈되며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중체(40)와 제2 내용기(60)를 고정하는 방식은 상기 돌기(49)와 홀(65)의 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외에 다양한 방식에 의해 중체(40)와 제2 내용기(60)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내용기(50)와 제2 내용기(60)에 수납된 제1 내용물(51) 및 제2 내용물(61)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제1 내용기(50)와 제2 내용기(60)에는 내용물(51, 61)의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6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서는 표시부(62)가 제2 내용기(60)의 측면부재(67)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외뚜껑(20)에는 제2 내용기(60)의 측면부재(67)와 대응되는 영역의 일부가 제거된 노출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뚜껑(20)이 용기본체(10)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노출부(23)룰 통해 제2 내용기(60)에 수납된 제2 내용물(61)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내용기(60)가 중체(4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제2 내용물(61)의 사용 시 중체(40)로부터 제2 내용기(60)를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중체(40)는 용기본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됨으로써, 제1 내용물(51)의 사용 시에는 중체(40)를 회전시켜서 제1 내용물(5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내용기(60)의 외주면 일 영역에는 손잡이부(69)가 구비되어, 제2 내용기(60)가 중체(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중체(40)를 개폐시키는 경우, 보다 수월하게 개폐 조작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는 제2 내용기(60)가 중체(4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리필 제품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400)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중체(40)에 구비된 개구부(41)에는 제2 내용기(60)의 돌출부(63)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개구부(41)와 돌출부(63) 사이에 틈이 발생되면 중체(40)의 하부에 위치된 용기본체(10)의 상부면의 밀폐력이 약해지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내용물(51)이 휘발 또는 증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부(41)와 돌출부(63)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체(40)의 하부면에 탄성부재(90)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90)는 개구부(41)를 폐쇄하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중체(40)로부터 제2 내용기(60)를 탈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중체(40)에 제2 내용기(60)를 탈착 가능하게 하면서도 개구부(41)에 구비된 탄성부재(80)에 의해 용기본체(10)의 상부면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용기본체 20 : 외뚜껑
30 : 내뚜껑 31 : 패킹부재
40 : 중체 41 : 개구부
42 : 바닥면 43 : 홈부
45 : 제1 밀폐부재 46 : 제2 밀폐부재
47 : 제1 나사산 50 : 제1 내용기
51 : 제1 내용물 60 : 제2 내용기
61 : 제2 내용물 62 : 표시부
63 : 돌출부 64 : 제2 나사산
66 : 받침부재 67 : 측면부재
70 : 가이드링 80 : 힌지부재
81 : 제1 힌지부재 82 : 제2 힌지부재
90 : 탄성부재 100, 200, 300, 400 : 화장품 용기

Claims (21)

  1.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 내용물이 수납되는 제1 내용기;
    상기 제1 내용기를 개폐하는 중체; 및
    상기 중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내용물이 수납되는 제2 내용기;
    상기 제2 내용기를 개폐하는 내뚜껑; 및
    상기 용기본체를 개폐하는 외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는,
    바닥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1 내용기가 상기 바닥면으로 하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서 노출된 상기 제1 내용기의 하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내용기가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중체는,
    하단 둘레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의 중앙에 구비된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하 관통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내용기가 상기 하부면으로 하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중체에 결합되어, 상기 중체의 하부면에서 노출된 상기 제2 내용기의 하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내용기가 상기 중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용기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개구부에 끼움 결합됨에 의해 상기 중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제1 내용기의 둘레를 따라 가이드링이 구비되며,
    상기 중체는,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내용기를 밀폐하는 밀폐부재가 상기 하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중체와 이중사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용기 및 상기 제2 내용기는,
    일 영역에 내용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용기는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내용기 및 상기 제2 내용기가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어, 서로 호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체의 상단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의 홈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홈부와 대응되는 상기 내뚜껑의 일 영역에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패킹부재가 상기 홈부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제2 내용기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뚜껑, 상기 중체 및 상기 용기본체는 일체형의 힌지부재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체 및 상기 용기본체는 제1 힌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중체 및 상기 내뚜껑은 제2 힌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단 둘레를 따라 가이드링이 더 구비되며, 상기 중체와 연결되는 상기 제1 힌지부재는 상기 가이드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뚜껑, 상기 제2 내용기 및 상기 중체의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내용물과 상기 제2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는 영역인 혼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2020190000410U 2017-08-23 2019-01-28 화장품 용기 KR200494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10U KR200494153Y1 (ko) 2017-08-23 2019-01-28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464U KR200488462Y1 (ko) 2017-08-23 2017-08-23 화장품 용기
KR2020190000410U KR200494153Y1 (ko) 2017-08-23 2019-01-28 화장품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464U Division KR200488462Y1 (ko) 2017-08-23 2017-08-23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83U KR20190000583U (ko) 2019-03-06
KR200494153Y1 true KR200494153Y1 (ko) 2021-08-13

Family

ID=6572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10U KR200494153Y1 (ko) 2017-08-23 2019-01-28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15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4216B2 (en) 2021-07-05 2023-11-14 Yonwoo Co., Ltd. Container whose hinge part is hidden from outside
KR20230163845A (ko) 2022-05-24 2023-12-01 코스맥스네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EP4311452A1 (en) * 2022-07-25 2024-01-31 Yonwoo Co., Ltd. Container whose hinge part is hidden from the outsi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063B1 (ko) * 2020-05-20 2022-03-15 정재용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
KR102377560B1 (ko) * 2020-09-07 2022-03-23 한국콜마주식회사 밀폐 부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815A (ja) 2000-04-28 2001-11-06 Yoshino Kogyosho Co Ltd コンパクト容器
JP2003012030A (ja) 2001-06-28 2003-01-15 Pola Chem Ind Inc 多段式簡易収納容器
US20100319724A1 (en) 2009-06-19 2010-12-23 Ctk Co, Ltd. Cosmetics container with plural pivoting trays
KR101425842B1 (ko) 2013-04-26 2014-08-05 (주) 디즈인 화장품 용기
KR101745354B1 (ko) 2015-03-17 2017-06-28 (주)아모레퍼시픽 듀얼뚜껑을 갖는 콤팩트용기
KR101947716B1 (ko) 2015-03-17 2019-02-14 (주)아모레퍼시픽 밀폐뚜껑을 갖는 듀얼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815U (ko) * 1984-10-04 1986-05-02
KR200450028Y1 (ko) * 2008-03-26 2010-09-01 주식회사 리치코스 콤팩트 용기
KR101734181B1 (ko) * 2015-07-13 2017-05-12 (주)아모레퍼시픽 두 가지 화장료가 수용되는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815A (ja) 2000-04-28 2001-11-06 Yoshino Kogyosho Co Ltd コンパクト容器
JP2003012030A (ja) 2001-06-28 2003-01-15 Pola Chem Ind Inc 多段式簡易収納容器
US20100319724A1 (en) 2009-06-19 2010-12-23 Ctk Co, Ltd. Cosmetics container with plural pivoting trays
KR101425842B1 (ko) 2013-04-26 2014-08-05 (주) 디즈인 화장품 용기
KR101745354B1 (ko) 2015-03-17 2017-06-28 (주)아모레퍼시픽 듀얼뚜껑을 갖는 콤팩트용기
KR101947716B1 (ko) 2015-03-17 2019-02-14 (주)아모레퍼시픽 밀폐뚜껑을 갖는 듀얼 화장품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4216B2 (en) 2021-07-05 2023-11-14 Yonwoo Co., Ltd. Container whose hinge part is hidden from outside
KR20230163845A (ko) 2022-05-24 2023-12-01 코스맥스네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EP4311452A1 (en) * 2022-07-25 2024-01-31 Yonwoo Co., Ltd. Container whose hinge part is hidden from the outs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83U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153Y1 (ko) 화장품 용기
KR101499134B1 (ko)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0488068Y1 (ko) 화장품 용기
KR101841178B1 (ko) 리필타입 콤팩트 용기
CN211431425U (zh) 化妆品容器
KR101758360B1 (ko) 콤팩트 용기
KR200490927Y1 (ko) 화장품 용기
KR101666012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1877139B1 (ko) 화장품 용기
JP2018514297A (ja) コンパクト容器
KR102089722B1 (ko) 용기 커버 개방 시 무게 균형이 유지되는 두께가 슬림한 화장품 용기
KR200488300Y1 (ko) 화장품 용기
KR101711200B1 (ko) 콤팩트 용기
KR20180012433A (ko)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0492537Y1 (ko) 화장품 용기
KR101246290B1 (ko)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US20120152953A1 (en) Packaging device for cosmetic products
KR200488462Y1 (ko) 화장품 용기
CN209058231U (zh) 化妆品容器
JP2021517038A (ja) 化粧品容器
KR102051023B1 (ko) 화장품 용기
KR20180003320U (ko) 화장품 용기
EP3935994A1 (en) Slide-type cosmetic compact case
KR200444071Y1 (ko) 뚜껑이 분할개폐되는 화장품팔레트
KR101091881B1 (ko)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