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063B1 -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 - Google Patents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063B1
KR102375063B1 KR1020200060217A KR20200060217A KR102375063B1 KR 102375063 B1 KR102375063 B1 KR 102375063B1 KR 1020200060217 A KR1020200060217 A KR 1020200060217A KR 20200060217 A KR20200060217 A KR 20200060217A KR 102375063 B1 KR102375063 B1 KR 102375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torage container
opening
container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449A (ko
Inventor
정재용
Original Assignee
정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용 filed Critical 정재용
Priority to KR102020006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063B1/ko
Publication of KR2021014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openings in the lid, able to be opened or closed by displacing or rotating a cover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2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for compacts, vanity boxes 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우더접시를 포함하는 콤팩트용기는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를 회전작동에 의해 함께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와, 상기 저장용기의 토출구가 형성된 부분을 감싸면서 결합되고 개방홀이 형성되어 저장용기의 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고 일면으로 파우더가 토출되는 파우더접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Compact container with powder plate}
본 발명은 콤팩트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저장용기의 토출구가 개폐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파우더를 파우더접시에 덜어 사용함에 따라, 정량의 파우더를 편리하게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를 더욱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 다양한 화장품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화장품은 피부에 사용되는 기초 메이크업 화장품 및 눈, 눈썹, 입술 등에 사용되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 등이 있으며, 메이크업 화장품은 파우더(粉), 파운데이션,볼터치 등으로 얼굴 전체를 자연스러운 피부톤으로 꾸미고 입체감, 투명감 등을 연출한다.
특히, 색조 화장시에 널리 사용되는 파우더 화장품은 파우더를 퍼프에 충분히 묻힌 후 이를 얼굴에 가볍게 눌러주어 피부에 입히는 방법으로 사용되며, 상기 파우더는 내부에 파우더가 충진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몸체와, 이 용기 몸체의 일측에 힌지 또는 나사체결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용기 뚜껑과, 상기 용기 몸체에 수용되어 일측은 파우더가 도포되는 도포면을 형성하고 반대편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퍼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용 파우더 용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용기 몸체 내부에서 많은 양의 파우더가 유동하면서 용기 뚜껑의 내면 또는 퍼프 표면에 묻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 뚜껑을 개방하게 되면 압력 차이에 의해 용기 뚜껑 또는 퍼프에 묻어 있던 상당량의 파우더가 비산되면서 용기 몸체의 주변으로 흩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화장용 파우더 용기는 용기 몸체에 수용된 파우더를 퍼프로 직접 찍어 사용하기 때문에 파우더를 정량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과도하게 많은 양의 파우더가 퍼프에 묻어 낭비됨은 물론, 용기 몸체를 주로 바닥에 놓고 사용하므로 용기몸체에 예기치 않은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용기 몸체가 넘어져 파우더를 쏟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119786호로 정량 배출 파우더 용기(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는 파우더 퍼프가 놓여지는 파우더 배출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 개구를 커버함과 동시에 이 하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본체 내의 파우더를 상기 파우더 배출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파우더 배출장치와, 상기 본체의 파우더 배출 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는 용기캡으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파우더를 일정량씩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배출구가 폐쇄 가능하여 넘어져도 파우더가 쏟아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용기캡을 본체로부터 분리한 후, 파우더 퍼프를 잡은 다음, 한 손으로 상기 본체를 잡고 다른 손으로 하부커버부재를 회전시켜 배출홀을 개방하면서 상기 배출홀을 통해 파우더를 배출한 다음, 파우더 퍼프로 파우더를 찍어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파우더 배출장치를 개방하여 파우더를 본체 상부로 밀면서 상기 본체의 배출 공간으로 배출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퍼프에 묻어 있는 이물질 또는 이미 사용되어 오염된 파우더가 다시 본체 내로 들어가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화장을 할 때 내부에 수용된 파우더가 비산되지 않으면서 정량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우더 용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9786호(2012. 03. 22. 공고) "정량 배출 파우더 용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장용기에 형성된 토출구가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파우더가 토출구를 통해 파우더접시로 토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저장용기를 개방할 필요없이 정량의 파우더를 편리하게 사용함은 물론, 외부 이물질 또는 오염된 파우더가 저장용기로 유입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를 회전작동에 의해 함께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와, 상기 저장용기의 토출구가 형성된 부분을 감싸면서 결합되고 개방홀이 형성되어 저장용기의 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고 일면으로 파우더가 토출되는 파우더접시를 포함하는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와 개방홀은 각각 저장용기와 개폐부재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와 개방홀이 서로 연결되거나 엇갈리면서 토출구가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에는 회전규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에는 축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규제홈으로 축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됨에 따라 저장용기의 회전 각도가 일정하게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에는 회전제한부가 형성되고, 파우더접시에는 회전제한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 시, 저장용기와 회전부재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더접시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부가 형성되어 각각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파우더를 상기 패턴부 주위로 분산 또는 일부 영역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용기에 형성된 토출구를 이용하여 소량의 파우더를 파우더접시로 덜어내고, 상기 저장용기를 들어올려 파우더접시에 토출된 파우더를 화장도구로 찍어 사용함에 따라, 저장용기를 개방할 필요없이 정량의 파우더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저장용기의 토출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파우더가 토출구로 토출됨에 따라, 외부 이물질 또는 이미 사용되어 오염된 파우더가 저장용기로 다시 유입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팩트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팩트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팩트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팩트용기의 저장용기에 파우더가 충전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용기를 살짝 들어올리고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토출구를 개방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손가락으로 회전부재를 두드려 파우더를 토출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회전부재를 반대로 회전시켜 토출구를 폐쇄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용기를 들어올려 파우더접시의 내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파우더접시에 토출된 파우더를 화장도구로 찍어 사용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팩트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팩트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팩트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팩트용기의 저장용기에 파우더가 충전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는 저장용기(10)와, 회전부재(20)와, 개폐부재(30) 및 파우더접시(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를 각 구성 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저장용기(10)는 내부에 파우더 저장공간(S)이 구비되고, 상기 파우더 저장공간(S)에 파우더(powder, 가루 형태의 화장용 분)와 같은 분말 타입의 화장품이 수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저장용기(10)가 폭이 넓고 높이가 낮은 일반적인 콤팩트용기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의 편의성 또는 구매자의 기호 또는 유행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의 파우더 저장공간(S)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2)는 파우더 자장공간(S)에 수용된 파우더를 토출시키게 되며, 저장용기(1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홀(13)의 외곽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토출구(12)의 개수와 배치 간격은 파우더의 토출량 조절을 위해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10)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는 회전규제홈(14)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회전규제홈(14)은 회전부재(20)에 의해 저장용기(10)가 회전될 때 상기 저장용기(10)의 회전 각도를 개폐부재(30)로부터 일정하게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저장용기(10)의 외벽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16)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돌기(16)는 회전부재(20)의 회전 시 저장용기(10)가 상기 회전부재(2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의 외벽 내주연에는 결합요홈(17)이 형성되고, 외벽 외주연에는 체결돌륜(18)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요홈(17)은 회전부재(20)와 결합되어 저장용기(10)가 회전부재(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체결돌륜(18)은 개폐부재(30)와 결합되어 저장용기(10)가 개폐부재(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20)는 저장용기(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저장용기(1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게 되며, 저장용기(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상기 저장용기(10)의 커버(cover, 물건 또는 내용물을 보호하거나 가리거나 덮거나 싸는 물건)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20)에는 외측하부연장돌륜(22)이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측하부연장돌륜(22)의 안쪽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내측하부연장돌륜(24)이 하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하부연장돌륜(22)의 단부는 파우더접시(40)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외측하부연장돌륜(22)의 일측에는 회전제한부(23)가 하측으로 더 돌출 형성되어 파우더접시(40)와 결합된다. 상기 내측하부연장돌륜(24)은 적어도 일부분이 저장용기(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끼워지고, 상기 내측하부연장돌륜(24)의 외주연에는 결합돌륜(27)이 형성되어 저장용기(10)의 결합요홈(17)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하부연장돌륜(22)과 내측하부연장돌륜(24) 사이에는 고정홈(26)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홈(26)에는 저장용기(10)의 고정돌기(16)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20)가 저장용기(10)로부터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20)와 저장용기(10)가 같이 회전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0)의 외측 표면에는 마찰부(25)가 형성되고, 손잡이(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25)는 다수의 수직홈이 회전부재(20)의 표면을 따라 연속 배치 형성되는 형태로써, 사용자가 회전부재(20)를 잡고 회전시킬 때 사용자의 손이 회전부재(20)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28)는 회전부재(2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부분으로써, 사용자가 저장용기(10)와 회전부재(20) 및 상기 저장용기(10)에 결합된 개폐부재(30)를 파우더접시(40)로부터 쉽게 들어올려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20)의 상부에는 퍼프(puff)와 같은 화장도구(P)를 보관하는 도구수납홈(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30)는 저장용기(10)의 하부 즉, 토출구(12)가 형성된 어느 일면을 감싸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0)와 저장용기(10)의 바닥면은 서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개폐부재(30)와 저장용기(10) 사이의 틈새로 파우더 또는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3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홀(32)이 형성되어 저장용기(10)의 토출구(12)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12)와 개방홀(32)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각각 저장용기(10)와 개폐부재(30)의 바닥면에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회전부재(2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재(20)와 함께 저장용기(10)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저장용기(10)에 형성된 토출구(12)와 개폐부재(30)에 형성된 개방홀(32)이 연결되거나 어긋나면서 토출구(12)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부재(30)의 일측에는 축돌출부(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돌출부(34)는 개폐부재(30) 및 상기 개폐부재(30)의 위쪽에 얹혀진 저장용기(10)와 회전부재(20)를 파우더접시(40)로부터 회동시키게 되는 동시에, 적어도 일부분이 저장용기(10)의 회전규제홈(14)으로 삽입되어 저장용기(10)의 회전 각도를 일정하게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0)의 내주연에는 체결요홈(38)이 형성되어 저장용기(10)의 체결돌륜(18)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우더접시(40)는 파우더를 소량으로 덜어 사용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 받침으로써, 상기 파우더접시(40)의 내측에는 개폐부재(3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 안착되고, 내측면으로 저장용기(10)에 수용된 파우더가 토출된다.
한편, 상기 파우더접시(40)의 바닥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부(42)가 형성되어, 각각의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된 파우더를 상기 패턴부(42)의 주위로 분산 또는 일부 영역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패턴부(42)는 토출구(12)와 대응되는 위치의 파우더접시(40)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된 파우더를 패턴부(42)의 주변으로 분산시키거나, 반대로 토출구(12)와 대응되는 위치의 파우더접시(40) 바닥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된 파우더를 패턴부(42)의 내측 홈으로 집중시킴으로써, 파우더접시(40)의 내측면에 파우더를 다양한 형태로 토출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우더접시(40)의 패턴부(42)가 상부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30)의 개방홀(32)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부(42)는 개방홀(32)과 마찬가지로 파우더접시(40)의 바닥면에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턴부(42)는 파우더접시(40) 바닥면을 여러 영역으로 나누는 구획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된 파우더를 패턴부(42)에 의해 각각의 영역으로 집중되거나 모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우더접시(40)의 외벽 일측에는 회전제한홈(43)이 형성되어 회전부재(20)의 회전제한부(23)가 결합되고, 이에 따라 파우더접시(40)의 내측 공간을 회전부재(20)로 닫았을 때, 상기 회전부재(20)와 저장용기(1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우더접시(40)의 회전제한홈(43)의 맞은편에는 축결합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우더접시(40)의 축결합부(44)는 개폐부재(30)의 축돌출부(34)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재(30)가 파우더접시(40)로부터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와 개폐부재(30)가 안착되고, 회전부재(20)에 의해 개방된 상부가 덮이는 파우더접시(40)는 외용기(50)의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용기(50)의 일측에는 외용기뚜껑(60)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용기(50)에는 누름버튼(52)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전, 후 이동되면서 외용기뚜껑(60)과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될 수 있으며, 상기 외용기뚜껑(60)의 내측면에는 사용자가 화장부위를 비추면서 화장 가능하도록 거울(6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상기 축결합부(44)가 파우더접시(4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용기(50)의 일측에 축결합부가 형성되어 개폐부재(30)의 축돌출부(34)와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파우더접시(40)는 외용기(50)의 내측 공간에 단순히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콤팩트용기는 뚜껑을 열어 내용물접시의 입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내용물접시에 수용된 파우더를 퍼프로 직접 찍어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파우더를 정량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과도하게 많은 양의 파우더가 퍼프에 묻어 낭비됨은 물론, 사용중 내용물접시에 예기치 않은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내용물접시가 넘어져 파우더를 쏟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배출장치를 개방하여 파우더를 본체 상부의 배출 공간으로 배출 사용하는 구조의 파우더 용기가 개시되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파우더 용기 역시 퍼프에 묻어 있는 이물질 또는 이미 사용되어 오염된 파우더가 다시 본체 내로 들어가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팩트용기는 저장용기(10)의 바닥에 형성된 토출구(12)가 회전부재(20)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상기 저장용기(10)를 살짝 들어올린 후, 두드려 토출구(12)를 통해 소량의 파우더를 파우더접시(40)로 덜어낸 다음, 상기 저장용기(20)를 완전히 들어올려 파우더접시(40)에 토출된 파우더를 화장도구(P)로 찍어 사용함에 따라, 저장용기(10)를 개방할 필요없이 정량의 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 이물질 또는 이미 사용되어 오염된 파우더가 저장용기로 다시 유입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저장용기(10)의 토출구(12)를 개폐하는 동작 및 상기 저장용기(10)로부터 파우더를 파우더접시(40)로 토출시키는 동작을 모두 한 손으로 연속 진행할 수 있어 편의성이 보다 향상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팩트용기의 사용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팩트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용기를 살짝 들어올리고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토출구를 개방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손가락으로 회전부재를 두드려 파우더를 토출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회전부재를 반대로 회전시켜 토출구를 폐쇄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용기를 들어올려 파우더접시의 내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파우더접시에 토출된 파우더를 화장도구로 찍어 사용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팩트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외용기(50)의 일측에 형성된 누름버튼(52)을 눌러 외용기(50)와 외용기뚜껑(60)의 체결을 해제하고, 상기 외용기뚜껑(60)을 회동시켜 개방한다.
이후,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20)의 손잡이(28)를 잡고 상기 회전부재(20)를 파우더접시(40)로부터 살짝 들어올린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20)의 회전제한부(23)가 파우더접시(40)의 회전제한홈(43)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회전부재(20)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회전부재(2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재(20)와 함께 저장용기(10)가 회전되는 반면, 저장용기(10)의 하부에 결합된 개폐부재(30)는 파우더접시(40)와 축 결합되어 있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저장용기(10)의 토출구(12)가 회전 이동되면서 개폐부재(30)의 개방홀(32)과 수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연결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20)와 저장용기(10)는 일정 구간 회전 이동되다가, 저장용기(10)의 회전규제홈(14) 일측 단부가 개폐부재(30)의 축돌출부(34)에 걸려 더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회전부재(20)를 살짝 두드리면서 저장용기(10)에 충격을 가하면, 상기 저장용기(10)에 수용된 파우더가 토출구(12)를 통해 떨어지면서 파우더접시(40)의 내측면으로 토출된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0)를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재(20)와 함께 저장용기(10)가 회전되는 반면, 저장용기(10)의 하부에 결합된 개폐부재(30)는 파우더접시(40)와 축 결합되어 있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30)의 개방홀(32)과 연결되어 있던 토출구(12)가 회전 이동되면서 상기 개방홀(32)과 어긋나 상기 토출구(12)가 폐쇄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20)와 저장용기(10)는 일정 구간 회전 이동되다가, 저장용기(10)의 회전규제홈(14) 타측 단부가 개폐부재(30)의 축돌출부(34)에 걸려 더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용기(10)와 회전부재(20) 및 개폐부재(30)를 한번에 회동시켜면서 완전히 들어올려 파우더접시(40)의 내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우더접시(40)에 토출된 파우더를 화장도구(P)로 찍어 사용하면 된다.
화장이 끝난 후에는, 상기 회전부재(20)를 닫아 저장용기(10)와 개폐부재(30)를 파우더접시(40) 안쪽으로 삽입한 다음, 보관 또는 휴대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20)의 회전제한부(23)가 파우더접시(40)의 회전제한홈(43)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20)는 회전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저장용기 12: 토출구
14: 회전규제홈 16: 고정돌기
20: 회전부재 22: 외측하부연장돌륜
23: 회전제한부 24: 내측하부연장돌균
26: 고정홈 30: 개폐부재
32: 개방홀 34: 축돌출부
40: 파우더접시 42: 패턴부
43: 회전제한홈 44: 축결합부
50: 외용기 60: 외용기뚜껑
S: 파우더 저장공간 P: 화장도구

Claims (5)

  1.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를 회전작동에 의해 함께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상기 저장용기의 토출구가 형성된 부분을 감싸면서 결합되고 개방홀이 형성되어 저장용기의 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고 일면으로 파우더가 토출되는 파우더접시를 포함하는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와 개방홀은 각각 저장용기와 개폐부재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와 개방홀이 서로 연결되거나 엇갈리면서 토출구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에는 회전규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에는 축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규제홈으로 축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됨에 따라 저장용기의 회전 각도가 일정하게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회전제한부가 형성되고, 파우더접시에는 회전제한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 시, 저장용기와 회전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접시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부가 형성되어 각각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파우더를 상기 패턴부 주위로 분산 또는 일부 영역으로 집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
KR1020200060217A 2020-05-20 2020-05-20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 KR102375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217A KR102375063B1 (ko) 2020-05-20 2020-05-20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217A KR102375063B1 (ko) 2020-05-20 2020-05-20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449A KR20210143449A (ko) 2021-11-29
KR102375063B1 true KR102375063B1 (ko) 2022-03-15

Family

ID=7869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217A KR102375063B1 (ko) 2020-05-20 2020-05-20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0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528Y1 (ko) 2002-01-07 2002-07-12 (주)코레드 페이스파우더 용기
KR200402608Y1 (ko) 2005-09-02 2005-12-02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파우더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786B1 (ko) 2011-03-23 2012-03-22 황재광 정량 배출 파우더 용기
KR20170099494A (ko) * 2016-02-24 2017-09-01 정규열 나사 및 힌지의 복합 개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94153Y1 (ko) * 2017-08-23 2021-08-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528Y1 (ko) 2002-01-07 2002-07-12 (주)코레드 페이스파우더 용기
KR200402608Y1 (ko) 2005-09-02 2005-12-02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파우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449A (ko)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977B1 (ko) 내용물 용기가 회전되는 콤팩트 용기
US5669400A (en) Cosmetic jar and storage device
JP2009544405A (ja) 化粧用コンパクト
KR200476245Y1 (ko)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
US20080173324A1 (en) Compact Case with Detachable Leaves
US11523673B2 (en)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for controlling rotational angle of rotating body at predetermined angle
EP0902631B1 (en) Cosmetic jar and storage device
KR102476664B1 (ko)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콤팩트용기
EP3766379A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improved opening/closing structure for different cosmetic materials
KR101978732B1 (ko)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US3132652A (en) Radial cosmetic compact
KR102375063B1 (ko)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
KR20150069607A (ko) 콤팩트 용기
KR200396883Y1 (ko) 수평 회전 개폐식 색조 화장품 용기
BR112020005626B1 (pt) Sistema de aplicador para conter e dispensar uma primeira substância cosmética e uma segunda substância cosmética
KR101246290B1 (ko)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KR20170000426U (ko) 화장품 용기
KR102092204B1 (ko)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수평 회전식 화장품용기
KR200484193Y1 (ko) 화장품 콤팩트 용기
KR200452331Y1 (ko) 기능성 화장품용기
KR102645563B1 (ko) 이중 버튼 구조를 갖는 듀얼 화장품 용기
KR200444071Y1 (ko) 뚜껑이 분할개폐되는 화장품팔레트
KR20220046877A (ko)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KR20210001803A (ko) 블러셔 용기
KR200438527Y1 (ko) 스윙 형태의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