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877A -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 Google Patents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877A
KR20220046877A KR1020200130094A KR20200130094A KR20220046877A KR 20220046877 A KR20220046877 A KR 20220046877A KR 1020200130094 A KR1020200130094 A KR 1020200130094A KR 20200130094 A KR20200130094 A KR 20200130094A KR 20220046877 A KR20220046877 A KR 20220046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ouch
coupled
decorative part
u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기에이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기에이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기에이엔피
Priority to KR102020013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6877A/ko
Priority to CN202011175934.0A priority patent/CN114291414A/zh
Publication of KR20220046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은 토출구가 형성된 하캡과; 상기 하캡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캡을 개폐하는 상캡 및 상기 상캡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으면서 결합되고 장식부가 구비된 외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One-touch cap with ornament part}
본 발명은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캡의 상부에 장식부가 구비된 외캡을 결합하여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 심미감이 향상된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의 겉모습을 미화시켜 용모의 결점을 커버하고,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거나 피부, 모발 등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물품이다.
상기 화장품은 사용 목적에 따라 기초 화장품, 색조 화장품, 기능성 화장품으로 분류되고, 그 특성에 따라 액상이나 겔 형태 또는 고형이나 분말의 형태로 제작되어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 용기에 저장, 사용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에 대한 용기의 개발도 필요하게 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겔상 화장품은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에 충전하여 사용 시에 상기 용기본체를 개폐하는 용기뚜껑을 열고, 사용자의 손에 덜어 사용하거나, 화장도구 등을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액상 또는 겔상 화장품이 충전된 용기본체의 용기뚜껑은 대부분 나사식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쁜 출근시간이나 외출시간에 뚜껑을 일일이 돌려 뚜껑을 용기의 상부로부터 개방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어 단동작을 선호하는 급한 현대인의 욕구를 채울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입구부를 코르크 마개로 눌러 막아 구성된 것도 있으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히 화장품의 사용 시 용기본체 입구부 주위로 묻은 화장품 등에 먼지나 이물질 등이 달라붙어 불결하게 되는 등 화장품의 위생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개폐부로 구성된 원터치 캡이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원터치캡은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토출홀이 형성되는 캡몸체와, 상기 캡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덮개부로 이루어져 덮개부의 상하 회동을 통해 캡몸체에 형성된 토출홀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원터치 캡'이 등록실용신안 제20-0438528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화장품 용기와 체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일측이 스냅 힌지에 의해 결합된 덮개부로 된 화장품 용기의 원터치 캡에 있어서, 몸체부의 선단과 덮개부의 하단을 연결 형성하는 스냅 힌지의 양측부에, 간섭 회피용 절취부를 형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화장품 포장용기는 실용성과 함께 미적인 기능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해 소비자의 식별이 용이한 덮개 부분에 대해 다양한 미감을 제공하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0605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의 투명장식을 갖는 용기덮개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덮개 상부에 투명렌즈를 결합 구성하여 렌즈를 통해 장식부가 투시되도록 장식하는 용기 덮개에 있어서, 덮개의 몸체 상부에 결합 요홈을 일체 형성하도록 성형하되, 상기 결합 요홈의 외주연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 요홈에 결합되는 투명렌즈의 외주연에 상기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도록 대응 경사진 결합부를 형성하여 결합 요홈에 강제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덮개의 몸체 상부에 장식부와 투명렌즈를 각각 별도로 결합하여 설치하여 볼록 또는 오목의 투명렌즈를 통해 장식부를 시각적으로 보여지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장식부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덮개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투명렌즈와 장식부를 각각 강제로 분리하면서 상기 장식부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덮개에 형성된 장식부를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면서 외관상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구현할 수 있는 원터치 캡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8528호(2008. 02. 26.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0605호(2011. 01. 20.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캡의 상부에 장식부가 구비된 외캡을 덮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외캡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 심미감이 향상된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캡이 결합된 상캡의 일부분을 하캡 보다 측면으로 더 돌출시켜 상기 상캡과 하캡 사이에 단턱을 형성함으로써, 외관의 고급스러움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캡을 하캡으로부터 용이하게 들어올려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토출구가 형성된 하캡과; 상기 하캡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캡을 개폐하는 상캡 및 상기 상캡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으면서 결합되고 장식부가 구비된 외캡을 포함하는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캡은 연질의 재질로 된 튜브용기의 입구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캡에는 제1밀폐돌륜이 형성되고, 상기 상캡의 내측에는 제2밀폐돌륜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밀폐돌륜을 감싸면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캡과 외캡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캡 보다 상대적으로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캡과 하캡 사이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캡과 외캡에는 각각 제1, 2조립방향부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부는 증착 또는 코팅 작업이 된 외캡의 일면에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식부는 외캡의 일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어 입체적으로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캡의 내측에는 내용물수용공간 또는 내용물수용공간이 구비된 내용물접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캡은 상캡에 축 결합되어 상기 상캡으로부터 축 회전되면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캡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캡의 내부가 외부로 투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캡의 상부에 장식부가 구비된 외캡을 덮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외캡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 심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캡이 결합된 상캡의 일부분을 하캡 보다 측면으로 더 돌출시켜 상기 상캡과 하캡 사이에 단턱을 형성함으로써, 외관의 고급스러움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캡을 하캡으로부터 용이하게 들어올려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1)은 하캡(10)과 상캡(20) 및 외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1)을 각 구성 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캡(10)은 튜브용기(2)의 입구부(2a)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튜브용기(2)의 내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에는 액상 또는 겔상 내용물이 수용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튜브용기(2)는 사용자가 가압함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튜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가압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튜브용기(2)를 연질의 원통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종류 또는 사용성 또는 디자인적인 요소 등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캡(10)의 중앙에는 튜브용기(2)의 내측에 충전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구(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구(12)의 외측에는 링 형상의 제1밀폐돌륜(12a)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캡(10)의 상부면은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테두리로 갈수록 자연스럽게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캡(10)은 내벽(14)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내벽(14)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벽(16)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벽(14)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튜브용기(2)의 입구부(2a)에 형성된 나사산과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은 튜브용기(2)와 하캡(10)이 나사 결합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더컷 결합 또는 돌기와 홈에 의한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또는 접착제에 의한 결합 등 상기 하캡(10)이 튜브용기(2)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결합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캡(10)의 상부면과 외벽(16) 사이에는 절곡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8)의 상면에는 상캡(20)의 폐쇄 시 상기 상캡(20)의 하단이 안착되며, 상기 절곡부(18)의 일측에는 제1체결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벽(14)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삽입돌륜(19)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돌륜(19)은 튜브용기(2)의 입구부(2a)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입구부(2a) 내주연에 밀착되고, 이를 통해 튜브용기(2) 내부의 기밀이 유지된다.
상기 상캡(20)은 하캡(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하캡(10)의 토출구(12)를 개폐하게 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캡(20)의 내측 중앙에는 링 형상의 제2밀폐돌륜(22)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밀폐돌륜(22)은 하캡(10)에 형성된 제1밀폐돌륜(12a)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캡(20)의 폐쇄 시 제1밀폐돌륜(12a)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1밀폐돌륜(12a)의 외주연에 타이트하게 끼워지고, 이에 따라 상기 하캡(10)의 토출구(12)를 안정적으로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캡(20)과 상기 상캡(20)에 결합된 외캡(30)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캡(10) 보다 측면으로 더 돌출되면서 상기 상캡(20)과 하캡(10) 사이에 단턱(24)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하캡(10)의 외표면은 중심으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모두 동일한 정원(正圓, 완전히 동그란 동그라미) 형태로 형성되는 반면, 상캡(20)의 외표면은 정원(正圓)이 아닌 타원 또는 불규칙한 원 형태로 형성되고, 이와 같은 부분적인 직경 차이에 의해 상기 상캡(20)과 하캡(10) 사이에 단턱(24)이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상기 단턱(24) 부분을 상부로 밀어올리면서 상캡(20)을 하캡(10)으로 부터 쉽게 분리,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단턱(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상캡(20)의 내표면은 하캡(10)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정원(正圓)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상캡(20)과 상기 상캡(20)에 결합된 외캡(30)의 적어도 일부분을 하캡(10) 보다 측면으로 더 돌출시켜 상기 상캡(20)과 하캡(10) 사이에 단턱(24)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24)이 자연스럽게 개폐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손가락 삽입홈을 추가 형성할 필요없이, 외관의 고급스러움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캡(20)을 하캡(10)으로부터 용이하게 들어올려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캡(20)의 하부 테두리에는 안착턱(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턱(26)은 상캡(20)의 외벽으로부터 안쪽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착턱(26)에는 외캡(30)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캡(20)의 외주연에는 제1조립방향부(28)가 형성되어 상기 상캡(20)의 상부에 외캡(30)이 올바른 방향으로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조립방향부(28)는 상캡(20)의 외표면에 수직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캡(20)의 하부 내주연에는 제2체결부(27)가 형성되어 하캡(10)의 제1체결부(17)와 원터치 즉, 언더컷 체결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물론,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하캡(10)과 상캡(20)이 언더컷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외캡(30)은 상캡(20)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으면서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외캡(30)과 상캡(20)은 돌기와 홈에 의해 결합되거나, 언더컷 결합될 수 있고, 또는 강제 끼움 결합되거나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상캡(20)과 외캡(30)이 서로 스크류 결합될 경우, 회전 결합의 특징으로 인해 상캡(20)의 외주연과 외캡(30)의 내주연에 각각 형성된 제1조립방향부(28)와 제2조립방향부(38)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캡(30)의 상부면에는 장식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식부(32)는 원터치 캡에 대한 정보 또는 다양한 무늬, 문양, 로고 등으로 이루어져 해당 원터치 캡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구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장식부(32)는 디지털프린팅(digital printing)을 포함하는 인쇄(printing) 방식에 의해 외캡(30) 일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외캡(30)의 상부면에 직접 인쇄될 수도 있고, 외캡(30)의 상부면에 증착 또는 코팅 작업을 한 후 인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식부(32)는 사출 성형 시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어 그 무늬, 문양, 로고 등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상캡(20)의 상부에 장식부(32)가 구비된 외캡(30)을 덮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외캡(30)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캡(30)의 내주연에는 제2조립방향부(38)가 형성되어 상기 상캡(20)의 제1조립방향부(28)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캡(30)이 상캡(20)에 조립될 때 상기 제1조립방향부(28)와 제2조립방향부(38)의 결합을 통해 상기 외캡(30)이 상캡(20)의 상부에 항상 올바른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조립방향부(38)는 외캡(30)의 내표면에 수직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7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1)은 상캡(20)의 내측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외캡(30)이 상캡(20)으로부터 축 회전되면서 상기 상캡(20)의 내측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캡(20)의 상부 내측에 일정한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공간에 내용물접시(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접시(4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캡(20)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내용물접시(40)에는 내측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수용공간(42)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캡(20)의 내측으로 내용물접시(40)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상캡(20)의 내부 공간에 별도의 내용물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내용물이 직접 수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용물수용공간(42)과 인접한 일측에 축결합홀(44)을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용물접시(40)의 상부면 테두리에는 제1결합부(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캡(3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캡(20) 또는 내용물접시(40)의 상부면을 덮는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캡(30)은 하측으로 축결합돌기(34)가 돌출 형성되어 내용물접시(40)의 축결합홀(44)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상기 외캡(30)이 수평으로 축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캡(30)의 측면에는 외캡(30)을 용이하게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손잡이(35)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캡(20)의 내측에 내용물을 수용하거나, 내용물이 수용된 내용물접시(40)를 형성하고, 상기 외캡(30)이 상캡(20)으로부터 수평으로 축 회전되면서 슬라이딩 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캡(20) 또는 내용물접시(40)에 수용된 내용물은 튜브용기(2) 내에 수용된 내용물과 서로 다른 내용물로써, 튜브용기(2) 내에 수용된 내용물과 혼합되었을 때 효능이나 효과를 배가시키는 내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캡(30)의 하부면에는 제2결합부(36)가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접시(40)의 제1결합부(46)와 서로 결합되고, 이와 같은 결합 구조를 통해 상기 외캡(30)이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수평으로 회전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캡(3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용물접시(4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투영시킬 수 있다. 이때, 장식부(32)는 외캡(30)의 상부면 뿐만아니라, 내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외부요인에 의한 장식부(32)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한 재질의 외캡(30)에 장식부(32)를 증착, 코팅, 인쇄하는 등 다양한 후가공 작업을 복합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캡(10)과 상캡(20) 및 외캡(30)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epoxy) 수지, 아미노 수지, 페놀(phenol)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아크릴수지(Acryli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테프론(Teflon), 나일론(Nylon), 폴리아세탈수지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하캡(10)과 상캡(20) 및 외캡(30)은 상술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원터치 캡 2: 튜브용기
10: 하캡 12: 토출구
20: 상캡 24: 단턱
26: 안착부 28: 제1조립방향부
30: 외캡 32: 장식부
34: 축결합돌기 38: 제2조립방향부
40: 내용물접시 42: 내용물수용공간
44: 축결합홀

Claims (10)

  1. 토출구가 형성된 하캡;
    상기 하캡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캡을 개폐하는 상캡 및
    상기 상캡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으면서 결합되고 장식부가 구비된 외캡을 포함하는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캡은 연질의 재질로 된 튜브용기의 입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캡에는 제1밀폐돌륜이 형성되고, 상기 상캡의 내측에는 제2밀폐돌륜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밀폐돌륜을 감싸면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캡과 외캡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캡 보다 상대적으로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캡과 하캡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캡과 외캡에는 각각 제1, 2조립방향부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증착 또는 코팅 작업이 된 외캡의 일면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외캡의 일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어 입체적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캡의 내측에는 내용물수용공간 또는 내용물수용공간이 구비된 내용물접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은 상캡에 축 결합되어 상기 상캡으로부터 축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캡의 내부가 외부로 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KR1020200130094A 2020-10-08 2020-10-08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KR20220046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094A KR20220046877A (ko) 2020-10-08 2020-10-08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CN202011175934.0A CN114291414A (zh) 2020-10-08 2020-10-29 具有装饰部的一键式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094A KR20220046877A (ko) 2020-10-08 2020-10-08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877A true KR20220046877A (ko) 2022-04-15

Family

ID=8096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094A KR20220046877A (ko) 2020-10-08 2020-10-08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46877A (ko)
CN (1) CN1142914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61046A (zh) * 2023-04-17 2023-07-21 欧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五金镶件模内注塑的定位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528Y1 (ko) 2006-12-20 2008-02-26 (주)아모레퍼시픽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의 원터치 캡
KR20110000605U (ko) 2009-07-13 2011-01-20 정성호 투명장식을 갖는 용기 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528Y1 (ko) 2006-12-20 2008-02-26 (주)아모레퍼시픽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의 원터치 캡
KR20110000605U (ko) 2009-07-13 2011-01-20 정성호 투명장식을 갖는 용기 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61046A (zh) * 2023-04-17 2023-07-21 欧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五金镶件模内注塑的定位结构
CN116461046B (zh) * 2023-04-17 2024-03-08 欧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五金镶件模内注塑的定位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291414A (zh)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199B1 (ko)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978869B1 (ko) 이중사출을 이용한 리필용기
US11730249B2 (en) Cosmetic jars with sweep collar
US7614405B2 (en) Cosmetic compact
KR101928807B1 (ko) 간단한 구조를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5669400A (en) Cosmetic jar and storage device
US5709232A (en) Cosmetic jar and storage device
US20210330055A1 (en) Cosmetic container including detachable mirror
KR20200089433A (ko) 편리한 리필 구조를 갖는 립스틱 용기
KR20160078930A (ko) 텐션부가 일체로 형성된 콤팩트 용기
US6526989B2 (en) Cosmetic pot with hidden hinge between cover and base
KR20220046877A (ko)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US5884636A (en) Cosmetic pot with internal hinged tray
US20200397121A1 (en) Cosmetic container with improved sealing ability
WO2008001576A1 (fr) Dispositif de suspension et ensemble destiné à suspendre un petit article employant ledit dispositif
KR102356605B1 (ko) 화장품 용기
KR200319255Y1 (ko) 화장용 퍼프
KR102292441B1 (ko) 내용물접시의 하부 결합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091881B1 (ko)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KR200444071Y1 (ko) 뚜껑이 분할개폐되는 화장품팔레트
KR102377321B1 (ko) 내부커버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2550546B1 (ko) 원터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82749Y1 (ko) 블로우 용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CN213057864U (zh) 一种带有化妆镜的化妆瓶
KR102604248B1 (ko)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