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528Y1 -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의 원터치 캡 - Google Patents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의 원터치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528Y1
KR200438528Y1 KR2020060032187U KR20060032187U KR200438528Y1 KR 200438528 Y1 KR200438528 Y1 KR 200438528Y1 KR 2020060032187 U KR2020060032187 U KR 2020060032187U KR 20060032187 U KR20060032187 U KR 20060032187U KR 200438528 Y1 KR200438528 Y1 KR 200438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hinge
touch cap
cover
interference
sn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찬
김주호
유창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60032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5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5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 오일 용기 등에 결합 사용되는 원터치 캡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 캡의 몸체부와 덮개부를 연결하는 스냅 힌지의 양측부에 개구된 절취부를 형성하되, 상기한 절취부는 스냅 힌지가 형성된 덮개부 또는 몸체부에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덮개부 단독 또는 몸체부와의 대향면에 각각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덮개부의 개폐 작동시 그 덮개부의 하단과 몸체부 선단이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스냅 힌지에 가해지는 무리한 부하가 제거되는 것이며, 사용자에 의한 다양한 사용습관으로 인하여 덮개부의 비틀림이나 엇갈림이 발생하더라도 하측 몸체부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스냅 힌지의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며, 내구성이 우수함에 따라 그 스냅 힌지부를 설계함에 있어서도 좁고 얇은 형태로의 성형이 가능하여 원터치 캡의 개방시 보다 부드럽고 경쾌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원터치 캡에 관한 것이다.
원터치 캡, 몸체부, 덮개부, 스냅 힌지, 절취부

Description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원터치 캡{A one-touch cap for cosmetic vessel having snap hinge designed to be prevented interferenc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 캡의 개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 캡의 밀폐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 캡의 배면 전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 캡의 타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 캡의 또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냅 힌지 2,2' : 절취부
10 : 몸체부 20 : 덮개부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 오일 용기 등에 결합 사용되는 원터치 캡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 캡의 몸체부와 덮개부를 연결하는 스냅 힌지의 양측에 절취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덮개부의 개폐시 그 덮개부의 하단과 몸체부의 선 단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냅 힌지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시키면서도 이들의 상호 간섭에 의한 마찰이 제거되므로 보다 부드럽고 경쾌한 사용감을 제공하게 되는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원터치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 오일 용기 등 유체를 저장하는 동시에 자주 개폐시켜야 하는 용기는 저장용 본체 용기와 선단의 캡으로 구성하되, 상기한 캡은 분실의 가능성을 막고 적은 힘으로도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몸체와 스냅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손쉽게 이를 개폐할 수 있는 원터치 개폐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원터치 캡은 몸체의 상부면과 덮개의 하부면이 서로 맞닿아 개폐되는 상태로 제작되므로, 덮개를 개방하는 경우 이들 몸체와 덮개를 연결하는 스냅 힌지의 양측부가 서로 간섭을 일으켜 그 스냅 힌지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원터치 캡은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매우 널리 사용되는 것인데,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는 그 스냅 힌지의 내구성이 극히 떨어져 재품의 내용물을 미쳐 다 사용하기도 전에 스냅 힌지의 파손이 발생하므로 고객 클레임의 주요한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스냅 힌지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그 스냅 힌지 부분을 넓게 하거나 두꺼운 두께를 갖게 하는 경우에는 원터치 캡의 오픈시 부드럽고 경쾌한 느낌이 사라지므로 오히려 역효과를 유발하게 되어 바람직한 개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스냅 힌지가 절단되는 주요한 요인으로는, 덮개부의 개방시 스냅 힌지가 형성된 덮개부의 하단부와 몸체부의 선단부가 상호 간에 간섭을 일으키는데에 있는 것으로서, 정상적인 개폐시에도 이들의 상호 간섭이 발생함은 물론 소비자의 다양한 사용 습관에 따라 그 덮개부의 비틀림이나 엇갈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당한 부하가 스냅 힌지에 집중되므로 얇고 좁은 형태의 스냅 힌지는 손쉽게 절단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원터치 캡의 몸체부와 덮개부를 연결하는 스냅 힌지의 양측부에 개구된 절취부를 형성하되, 상기한 절취부는 스냅 힌지가 형성된 덮개부 또는 몸체부에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덮개부 단독 또는 몸체부와의 대향면에 각각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덮개부의 개폐 작동시 그 덮개부의 하단과 몸체부 선단이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스냅 힌지에 가해지는 무리한 부하가 제거되는 것이며, 사용자에 의한 다양한 사용습관으로 인하여 덮개부의 비틀림이나 엇갈림이 발생하더라도 하측 몸체부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스냅 힌지의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며, 내구성이 우수함에 따라 그 스냅 힌지부를 설계함에 있어서도 좁고 얇은 형태로의 성형이 가능하여 원터치 캡의 개방시 보다 부드럽고 경쾌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원터치 캡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 캡의 개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 캡의 밀폐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화장품 용기와 체결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일측이 스냅 힌지(1)에 의해 결합된 덮개부(20)로 된 화장품 용기의 원터치 캡에 있어서,
몸체부(10)의 선단과 덮개부(20)의 하단을 연결 형성하는 스냅 힌지(1)의 양측부에, 간섭 회피용 절취부(2)(2')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한 절취부(2)(2')는, 덮개부(20)의 하단에만 직선상의 사각 구멍 형태로 구성하거나, 덮개부(20)의 하단에만 스냅 힌지(1)를 향하여 확장되는 삼각 구멍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절취부(2)(2')는, 몸체부(10)의 선단과 덮개부(20)의 하단에 각각 대향하여 스냅 힌지(1)를 향해 확장되는 삼각 구멍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원터치 캡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원터치 캡은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 또는 오일 용기, 샴프 및 세제 용기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 자주 여닫아야 하는 제품에 적합한 것이다.
이와 같은 원터치 캡은 상기와 같은 제품의 용기에 직접 체결되는 몸체부(10)와 그 몸체부(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부(2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한 몸체부(10)와 덮개부(20)는 일측의 스냅 힌지(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 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한 몸체부(10)의 상측에 하향 결합된 상태의 덮개부(20)를 손톱이나 손가락으로 튕기듯 상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손쉽게 몸체부(20)의 상측으로부터 그 덮개부(20)가 개방되는 것이며, 그 몸체부(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를 통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덮개부(20)를 개방시키게 되면 덮개부(20)의 하단과 몸체부(10)의 선단에서 상호간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한 스냅 힌지(1)는 몸체부(10)의 선단과 덮개부(20)의 하단을 얇은 판 형태의 성형물에 의해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들의 간격이나 이격 폭이 넓은 경우에는 원터치 캡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이 근접된 스냅 힌지(1)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덮개부(20)의 하단은 부득이하게 몸체부(10)와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호간의 간섭은 그 덮개부(20)가 충분히 개방되는 것을 방해하면서도 그 스냅 힌지(1)에 무리한 인장력을 가하게 되므로 그 사용수명을 크게 단축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 캡은 상기한 스냅 힌지(1)의 양측에 절취부(2)(2')를 형성함으로써, 몸체부(10)와 덮개부(20) 간의 상호 간섭부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게 한 것이다.
즉,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스냅 힌지(1)의 양측에 사각 구멍 형태로 된 절취부(2)(2')를 형성하되, 그 절취부(2)(2')는 덮개부(20)의 하단에만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절취부(2)(2')를 통해 그 덮개부(20)의 상향 개방시 그 하단이 몸체부(10)의 선단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절취부(2)(2')를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스냅 힌지(1)의 양측부에 그 스냅 힌지(1)를 향하여 점차 확장되는 삼각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하거나, 몸체부(10)와 덮개부(20)에 서로 대향되는 형상으로 된 삼각 형태의 구멍을 동시에 형성하여 이들의 간섭이 방지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절취부(2)(2')에 의해 원터치 캡의 스냅 힌지(1)가 보다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작동하여 상기한 덮개부(20)의 탄력 개방 및 탄력 복귀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습관에 의해 그 스냅 힌지(1)에 비틀림이나 엇갈림에 의한 부하가 작용하더라도 몸체부(1)와 덮개부(20)의 간섭에 의한 무리한 인장력은 제공되지 않게 되어 보다 그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원터치 캡은, 덮개부의 개폐 작동시 그 덮개부의 하단과 몸체부 선단이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스냅 힌지에 가해지는 무리한 부하가 제거되는 것이며, 사용자에 의한 다양한 사용법으로 인하여 덮개부의 비틀림이나 엇갈림이 발생하더라도 하측 몸체부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스냅 힌지의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며, 내구성이 우수함에 따라 그 스냅 힌지부를 설계함에 있어서도 좁고 얇은 형태로의 성형이 가능하여 원터치 캡의 개방시 보다 부드럽고 경쾌한 사용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화장품 용기와 체결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일측이 스냅 힌지(1)에 의해 결합된 덮개부(20)로 된 화장품 용기의 원터치 캡에 있어서,
    몸체부(10)의 선단과 덮개부(20)의 하단을 연결 형성하는 스냅 힌지(1)의 양측부에, 간섭 회피용 절취부(2)(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원터치 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2)(2')는, 덮개부(20)의 하단에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원터치 캡.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2)(2')는, 몸체부(10)의 선단과 덮개부(20)의 하단에 각각 대향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원터치 캡.
KR2020060032187U 2006-12-20 2006-12-20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의 원터치 캡 KR200438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187U KR200438528Y1 (ko) 2006-12-20 2006-12-20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의 원터치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187U KR200438528Y1 (ko) 2006-12-20 2006-12-20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의 원터치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528Y1 true KR200438528Y1 (ko) 2008-02-26

Family

ID=4162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187U KR200438528Y1 (ko) 2006-12-20 2006-12-20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의 원터치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5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664U (ko) 2014-06-23 2015-12-31 문현미 화장품용기 뚜껑
KR20220046877A (ko)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재기에이엔피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664U (ko) 2014-06-23 2015-12-31 문현미 화장품용기 뚜껑
KR20220046877A (ko)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재기에이엔피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3068B1 (en) Condiment bottle
EP2641843B1 (en) Discharge cap for bottle-like container body
EP1780141A1 (en) Dispensing closure for containers
WO2007106840A3 (en) Child-resistant container and container cap
KR200438528Y1 (ko)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의 원터치 캡
US20080035638A1 (en) Cap with actuation protection for a pressurized container
KR19980011133U (ko) 손잡이를 갖는 팩(pack)
JP4799110B2 (ja) キャップ
JP2010058797A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328127B1 (ko) 병마개
KR20100007307U (ko) 스냅힌지를 이용한 용기뚜껑 조립체
JP5456374B2 (ja) 注出キャップ
KR20090001976U (ko) 용기 마개
JP3609253B2 (ja) スプリングヒンジキャップ
JP4267788B2 (ja) キャップ
JP2005206211A (ja) 櫛付きエアゾール容器
JP2001206415A (ja) キャップ
KR200399502Y1 (ko) 상부 및 하부 개구부가 부착된 원터치 캔
JP2008056300A (ja) キャップ
KR101436940B1 (ko) 슬립 및 파손 방지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케이스
JP4263379B2 (ja) スプリングヒンジキャップ
KR200319664Y1 (ko) 개방이 용이한 음료용기용 탭
KR200316636Y1 (ko) 이지 캔
KR200358058Y1 (ko) 용기 캡
USD522877S1 (en) Dual dispensing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