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502Y1 - 상부 및 하부 개구부가 부착된 원터치 캔 - Google Patents

상부 및 하부 개구부가 부착된 원터치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502Y1
KR200399502Y1 KR20-2005-0021745U KR20050021745U KR200399502Y1 KR 200399502 Y1 KR200399502 Y1 KR 200399502Y1 KR 20050021745 U KR20050021745 U KR 20050021745U KR 200399502 Y1 KR200399502 Y1 KR 200399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opening
contents
opening tab
bottom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복
이명섭
안창호
김형민
김노수
Original Assignee
김형민
이근복
이명섭
김노수
안창호
(주)미모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민, 이근복, 이명섭, 김노수, 안창호, (주)미모아 filed Critical 김형민
Priority to KR20-2005-0021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5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5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02Location of opening
    • B65D2517/0004Location of opening in can base, i.e. the part on which the container stands
    • B65D2517/0005Location of opening in can base, i.e. the part on which the container stands and also in top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6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push-down and pull-out tear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 캔 뚜껑의 개구부를 상부뿐만 아니라 다른 한쪽 편인 하부에도 형성하여, 상부 개구부 탭을 제거하였을 때, 내용물이 캔으로부터 잘 빠쪄나오지 않을 경우, 하부 개구부 탭을 하나 더 제거하여, 캔의 내용물을 캔 몸체와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캔 개봉에 사용자의 불필요한 노력과 시간 소요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상부 및 하부 개구부가 부착된 원터치 캔 {One Touch Can with Opening Tab on Its Top and Bottom Sides}
본고안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의 원터치 캔 방식의 캔의 개구부를 상부, 하부 양쪽면에 형성하여 상부 개구부(1)만 열었을 때 내용물이 잘 나오지 않을 경우, 하부개구부(2)도 열수 있게 만들어 무리한 방법과 힘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용물(4)을 캔 몸체(3)에서 용이하게 나올 수 있게 만든 원터치 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터치 캔은 뚜껑의 한쪽 끝에만 개구부(1)를 형성하고 있어서, 상부 개구만 열었을 경우에, 내용물의 성질에 따라 온도 등 주위 환경에 의해, 내용물이 캔과 쉽게 분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캔을 상하로 흔들거나 다른 물체를 사용하여 강제로 분리시킬경우가 있는데, 이는 내부의 내용물의 모양이 변하게 되는 문제점과 시간 소요 및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원터치 캔의 상부에만 있는 개구부(1)를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도 개구부(2)를 하나 더 형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원터치 캔의 뚜껑 개구부를 제2도와 같이 상부(1)와 더불어 하부(2)에도 형성하는 것이다. 기존의 원터치 캔은 상부에만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개구부가 상부에만 있던 기존의 원터치 캔의 다른 편인 하부에도 개구부를 형성하여 개구부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있도록 한 것이다. 제작은 기존의 원터치 캔의 상부 개구부를 제작하는 것과 동일하게 반대편인 하부에도 같은 방식으로 제작하면 되는 것이다.
상부 개구부만을 사용하게 되어 있는 원터치 캔의 경우, 내용물의 성질에 따라 캔 몸체와 잘 분리가 되지 않는 경우가 흔히 생긴다. 이럴 때 하부 개구부도 사용하면 캔의 양쪽이 모두 열리게 되므로 상부 개구부만 사용했을 때보다 용이하게 내용물을 캔 몸체와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간 소요와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상부 개구부만 부착된 원터치 캔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캔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캔의 상부와 하부 개구부를 열었을 때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부 2: 하부
3: 몸체 4: 내용물

Claims (2)

  1. 원터치 캔 뚜껑에 있어서,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가 모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캔
  2. 제1항에 있어서, 원터치 캔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모양의 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캔
KR20-2005-0021745U 2005-07-26 2005-07-26 상부 및 하부 개구부가 부착된 원터치 캔 KR200399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745U KR200399502Y1 (ko) 2005-07-26 2005-07-26 상부 및 하부 개구부가 부착된 원터치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745U KR200399502Y1 (ko) 2005-07-26 2005-07-26 상부 및 하부 개구부가 부착된 원터치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502Y1 true KR200399502Y1 (ko) 2005-10-25

Family

ID=4370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745U KR200399502Y1 (ko) 2005-07-26 2005-07-26 상부 및 하부 개구부가 부착된 원터치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5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6046A (zh) * 2013-02-07 2013-05-08 蒋永奇 卫生易拉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6046A (zh) * 2013-02-07 2013-05-08 蒋永奇 卫生易拉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79495A3 (en) Insulated container with access door
US20190202607A1 (en) Packing box
WO2005026013A3 (en) Unitary container and flip-top cap assembly having child resistant safety features
EP1918219A4 (en) PACKAGING CONTAINER
JP2008546609A (ja) 一体形注ぎ口装置および内部ストロー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自立パウチ
WO2008013742A3 (en) Gable top container with perforated opening arrangement
WO2006032539A8 (en) Combination of a can and a lid
KR200399502Y1 (ko) 상부 및 하부 개구부가 부착된 원터치 캔
USD491065S1 (en) Lid for a spice container
JP2007091322A (ja) キャップ
JP5456374B2 (ja) 注出キャップ
KR200438528Y1 (ko)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의 원터치 캡
KR200212813Y1 (ko) 캔뚜껑이 상하 두 개인 캔
KR20050098777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뚜껑의 구조
JP5916681B2 (ja) 包装用容器
JP4596419B2 (ja) 封緘式キャップ
JP3185125U (ja) プラスチックケース
JP4727154B2 (ja) 容器
KR200391167Y1 (ko) 높이 조절용 다단식 김치용기
JP2019081571A (ja) 中皿付き食品用容器
KR200280899Y1 (ko) 곡면으로 된 용기 함체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일체로형성된 용기
KR200328671Y1 (ko) 간편 케익상자
KR200360690Y1 (ko) 식품용기용 뚜껑
JP2008056300A (ja) キャップ
KR200390546Y1 (ko) 케이크 포장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