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664U - 화장품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화장품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664U
KR20150004664U KR2020140004709U KR20140004709U KR20150004664U KR 20150004664 U KR20150004664 U KR 20150004664U KR 2020140004709 U KR2020140004709 U KR 2020140004709U KR 20140004709 U KR20140004709 U KR 20140004709U KR 20150004664 U KR20150004664 U KR 201500046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id body
cosmetic container
elastic memb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미
Original Assignee
문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미 filed Critical 문현미
Priority to KR2020140004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664U/ko
Publication of KR201500046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6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18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화장품용기 뚜껑이 개시된다. 개시된 화장품용기 뚜껑은 화장품용기에 결합되어 화장품 용기의 화장품 출구를 개폐하는 화장품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용기와 결합되며 상기 출구와 연통되는 통공을 구비한 뚜껑몸체; 일측이 상기 뚜껑몸체와 접철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뚜껑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공을 개폐시키는 덮개; 상기 덮개를 상기 뚜껑몸체에 선택적으로 록킹시키는 록킹유닛; 및, 상기 상기 덮개와 상기 뚜껑몸체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록킹유닛의 해제시, 상기 덮개가 상기 뚜껑몸체에 대해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용기 뚜껑 {CAP FOR 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화장액이 담겨있는 화장품용기와, 이 화장품용기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화장품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중에는 액상 또는 졸(sol) 상의 유체로 된 화장품이나 로션, 오일등을 저장하고, 필요시마다 짜내어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튜브형 화장품이 있다. 이러한 튜브형 화장품은 튜브형 화장품용기와, 이 튜브형화장품용기의 상부와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튜브형 화장품의 경우,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뚜껑을 튜브용기 상부로부터 나사결합된 상태를 해제하여 완전히 분리한 후, 사용자가 튜브형 화장품용기를 짜내어 용기 상단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내용물(화장액)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뚜껑의 분실우려가 있고, 나사체결부위에 짜낸 뒤 잔존하는 내용물에 의해 배출구 주변이 오염되는 현상이 있을 뿐 아니라, 오랜시간 경과후에는 상기 잔존물에 의해 마개와 튜브 용기간의 체결이 불완전하여 튜브형 화장품용기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이 고형화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내용물의 보관상태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나사결합되는 뚜껑을 개선하여, 뚜껑몸체와, 이 뚜껑몸체에 힌지되게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이 뚜껑몸체가 화장품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가 뚜껑몸체에 대해 힌지되어 개폐되는 구조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화장품용기 뚜껑은 뚜껑몸체에 대해 덮개를 개방시킬때, 뚜껑몸체와 덮개를 록킹시키는 록킹유닛을 해제한 후, 사용자가 수동으로 덮개를 뚜껑몸체에 대해 회동시켜 개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기존의 화장품용기 뚜껑은 뚜껑몸체 전체가 하나의 플라스틱 재질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뚜껑몸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화장품용기내의 내용물(화장액)이 배출될 때, 통공의 내주면과 내용물과의 마찰력이 적어 내용물이 너무 쉽게 배출되어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즉, 사용자가 덮개를 뚜껑몸체에 대해서 개방시킨 상태에서, 화장품용기를 거꾸로 뒤집으면 튜브형 화장품용기를 짜내지 않더라도 화장품용기의 통공을 통해 의도치 않게 내용물이 흘러서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7594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8943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7075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852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0272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화장품용기 뚜껑은 화장품용기에 결합되어 화장품 용기의 화장품 출구를 개폐하는 화장품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용기와 결합되며 상기 출구와 연통되는 통공을 구비한 뚜껑몸체; 일측이 상기 뚜껑몸체와 접철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뚜껑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공을 개폐시키는 덮개; 상기 덮개를 상기 뚜껑몸체에 선택적으로 록킹시키는 록킹유닛; 및, 상기 상기 덮개와 상기 뚜껑몸체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록킹유닛의 해제시, 상기 덮개가 상기 뚜껑몸체에 대해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덮개에 결합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뚜껑몸체에 결합고정되는 탄성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실리콘으로 코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접철부는 상기 뚜껑몸체와 상기 덮개에 일체로 형성된 스냅힌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냅힌지는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이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한 쌍의 스냅힌지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뚜껑몸체의 상면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와 근접한 위치에 상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편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를 상기 뚜껑몸체에 닫아 상기 록킹유닛이 록킹된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편에 의해 신장되며, 상기 록킹유닛이 해제된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덮개가 상기 뚜껑몸체에 대해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록킹수단은 후크와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와 상기 걸림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뚜껑몸체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상기 덮개가 상기 뚜껑몸체를 닫은 경우,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 록킹되며,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탈되면 록킹이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뚜껑몸체의 측면 일측에는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후크를 밀어,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누름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품용기 뚜껑은 간단한 구조를 갖으면서 사용자가 록킹수단을 해제하기만 하면 덮개가 뚜껑몸체로부터 자동으로 회동하여 열리므로 보다 편리하게 화장품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공이 실리콘으로 코팅되어, 기존에 비해 내용물과 통공과의 마찰력을 높여줌으로써, 내용물이 원치하게 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용기 뚜껑이 화장품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에서, 덮개가 뚜껑몸체에 대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화장품용기 뚜껑을 측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용기 뚜껑에서 덮개가 뚜껑몸체에 닫힌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에서, 덮개가 뚜껑몸체에 대해 개방된 상태를 저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용기 뚜껑의 록킹유닛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구성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용기 뚜껑(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화장품용기 뚜껑(100)의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용기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튜브형 화장품용기(1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화장품용기 뚜껑(100)은 뚜껑몸체(110), 덮개(120), 록킹유닛(140), 탄성부재(150)를 포함한다.
뚜껑몸체(110)은 화장품용기(10)의 출구(미도시)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뚜껑몸체(110)는 하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뚜껑몸체(110)의 상면 중앙에는 통공(112)이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는 이 통공(112)과 연결되도록 뚜껑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결합관(116, 도 6참조)이 형성된다. 이 결합관(116)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통상의 튜브형화장품 용기(10)의 출구(미도시)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다.
뚜껑몸체(110)의 결합관(116)이 화장품용기(10)의 출구와 나사결합된 경우, 화장품용기(10) 내에 저장된 내용물(화장액)은 통공(112)을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뚜껑몸체(110)의 상면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뚜껑몸체(110)의 상면에 실리콘이 코팅된 실리콘코팅부(113)가 형성되며, 이때, 실리콘코팅부(113)는 통공(112)의 내주면까지 실리콘이 코팅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통공(112)의 내주면이 실리콘으로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품용기(10)를 거꾸로 뒤집히더라도 졸(sol)상의 내용물(화장액)이 통공(112)을 통해 원치않게 떨어지지 않고, 화장품용기(10)를 쥐어짜는 경우에는 통공(112)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는, 통상의 플라스틱 통공에 비해 실리콘이 코팅된 통공(112)이 내용물과의 마찰력이 높아, 화장품용기(10)에 하방향으로 내려치거나 쥐어 짜주지 않는 이상, 통공(112)을 통해 내용물이 빠져나오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뚜껑몸체(110)는 도 6과 같이, 내주면과 결합관(116) 사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보강리브(118)가 형성되어, 결합관(116)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덮개(120)는 뚜껑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뚜껑몸체(110)와 일측이 접철부(1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덮개(120)는 뚜껑몸체(110)와 동일한 직경을 갖으며, 하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링(125)이 형성된다. 이 돌출링(125)은 덮개(120)가 도 1과 같이 닫힌 상태에서 뚜껑몸체(110)에 닫힌 상태에서 뚜껑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112) 주위와 접촉되어 밀봉력을 향상시킨다.
접철부(130)는 스냅힌지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덮개(120)의 일측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은 뚜껑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접철부(130)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접철부(130)가 소정간격이격되게 형성되며, 덮개(120)와 뚜껑몸체(110)의 후방측에 형성된다.
록킹유닛(140)은 덮개(120)를 뚜껑몸체(110)에 선택적으로 록킹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후크(141)와 걸림부(143)를 포함하며, 덮개(120)와 뚜껑몸체(110)의 전방측에 형성된다.
후크(141)는 힌지부(130)와 대향되게 뚜껑몸체(110)의 측면에 형성되고, 걸림부(143)는 돌기형태로, 힌지부(130)와 대향되며 상기 후크(141)와 대응되는 덮개(120)의 측면 내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120)를 뚜껑몸체(110)에 대해 도 1과 같이 완전히 닫은 경우, 도 7의 실선과 같이 후크(141)가 걸림부(143)에 걸려, 록킹이 이루어진다.
반면, 사용자가 후크(141)를 후퇴시키면 후크(141)가 걸림부(143)로부터 이탈하여 도 7의 점선과 같이, 록킹이 해제되어, 덮개(120)가 뚜껑몸체(110)에 대해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뚜껑몸체(110)의 전방측면에는 실리콘이 코팅되어,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후크(141)를 밀어주는 누름부(115)가 구비되며, 또한, 도 6과 같이, 뚜껑몸체(110)의 상면 전방측에는 후크(141)의 후퇴공간을 확보하도록 홈(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113)은 실리콘코팅부(113)에 의해 덮혀 있고, 이 실리콘코팅부(113)와 후크(141)의 끝단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누름부(115)를 누르게 되면, 후크(141)가 후퇴하여 걸림부(143)로부터 이탈하여 록킹이 해제되는데, 이때, 후크(141)의 후퇴에 따라, 홈(117)을 덮고 있는 실리콘코팅부(113)가 수축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누름부(115)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홈(117)을 덮고 있는 실리콘코팅부(113)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후크(141)가 원위치로 되돌아 오면서 누름부(115)도 원상태가 되게 된다.
탄성부재(150)는 덮개(120)와 뚜껑몸체(1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록킹유닛(140)의 해제시, 덮개(120)가 뚜껑몸체에 대해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50)는 탄력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띠형태로 구성되어, 일단은 덮개(120)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뚜껑몸체(110)에 고정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탄성부재(150)는 서로 이격된 접철부(130)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뚜껑몸체(110)의 상면 일측에는 탄성부재(150)와 근접하고 한 쌍의 접철부(130) 사이의 위치에 상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편(114)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으로, 덮개(120)가 뚜껑몸체(110)에 대해 도 1과 같이 닫혀 록킹유닛(150)이 록킹된 경우, 탄성부재(150)는 돌출편(114)에 접촉되어 신장된 상태가 된다. 이때, 탄성부재(150)는 복원되려는 복원력 즉 원상태로 수축하려는 탄성력이 발생된다.
반면, 도 1과 같이 덮개(120)가 뚜껑몸체(110)에 대해 록킹된 상태에서, 록킹유닛(140)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가 덮개(120)를 잡아 회동시키지 않더라도 덮개(120)가 열리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동하여 덮개(120)가 뚜껑몸체(110)에 대해 도 3과 같이 열린 상태가 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가 록킹유닛(150)을 해제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덮개(120)가 회동되어 열리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후크(141)가 뚜껑몸체(110)에 형성되고, 걸림부(143)가 덮개(120)에 형성되는 것은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크(141)가 덮개(120)에 걸림부(143)가 뚜껑몸체(110)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에서는 걸림부(143)가 돌기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후크(141)와 결합할 수 있다면 홈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에서, 탄성부재(150)는 실리콘 재질의 띠로 구성되는 것은 설명하였으나, 고무와 같이 탄성력을 가진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뚜껑몸체(110), 덮개(120) 및 접철부(130)는 일정강성을 가진 하드한 PE나 PP와 같은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이 뚜껑몸체(110) 덮개(120), 접철부(130)는 이종재질인 실리콘으로 된 실리콘코팅부(113), 탄성부재(150), 버튼부(115)와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가공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뚜껑몸체
112...통공
113...실리콘코팅부
114...돌출편
115...누름부
118...보강리브
120...덮개
130...접철부
140...록킹유닛
141...후크
143...걸림부
150...탄성부재

Claims (9)

  1. 화장품용기에 결합되어 화장품 용기의 화장품 출구를 개폐하는 화장품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용기와 결합되며 상기 출구와 연통되는 통공을 구비한 뚜껑몸체;
    일측이 상기 뚜껑몸체와 접철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뚜껑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공을 개폐시키는 덮개;
    상기 덮개를 상기 뚜껑몸체에 선택적으로 록킹시키는 록킹유닛; 및,
    상기 상기 덮개와 상기 뚜껑몸체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록킹유닛의 해제시, 상기 덮개가 상기 뚜껑몸체에 대해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덮개에 결합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뚜껑몸체에 결합고정되는 탄성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뚜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뚜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실리콘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뚜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뚜껑몸체와 상기 덮개에 일체로 형성된 스냅힌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뚜껑.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힌지는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이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한 쌍의 스냅힌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뚜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몸체의 상면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와 근접한 위치에 상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편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를 상기 뚜껑몸체에 닫아 상기 록킹유닛이 록킹된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편에 의해 신장되며,
    상기 록킹유닛이 해제된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덮개가 상기 뚜껑몸체에 대해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뚜껑.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후크와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와 상기 걸림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뚜껑몸체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상기 덮개가 상기 뚜껑몸체를 닫은 경우,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 록킹되며,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탈되면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뚜껑.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몸체의 측면 일측에는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후크를 밀어,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누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뚜껑.
KR2020140004709U 2014-06-23 2014-06-23 화장품용기 뚜껑 KR201500046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709U KR20150004664U (ko) 2014-06-23 2014-06-23 화장품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709U KR20150004664U (ko) 2014-06-23 2014-06-23 화장품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64U true KR20150004664U (ko) 2015-12-31

Family

ID=5517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709U KR20150004664U (ko) 2014-06-23 2014-06-23 화장품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66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444A (ko) 2021-09-07 2023-03-14 박영란 튜브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753Y1 (ko) 2001-12-21 2002-04-03 용 배 최 튜브형 용기의 마개 구조
KR200300272Y1 (ko) 2002-09-09 2003-01-14 용 배 최 마개와 용기본체간 정위치 조정이 용이한 튜브형 용기
KR200389430Y1 (ko) 2005-04-14 2005-07-14 길경문 보조커버가 구비된 화장품용 뚜껑
KR20050075944A (ko) 2004-01-19 2005-07-26 주식회사 참 존 용기 캡
KR200438528Y1 (ko) 2006-12-20 2008-02-26 (주)아모레퍼시픽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의 원터치 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753Y1 (ko) 2001-12-21 2002-04-03 용 배 최 튜브형 용기의 마개 구조
KR200300272Y1 (ko) 2002-09-09 2003-01-14 용 배 최 마개와 용기본체간 정위치 조정이 용이한 튜브형 용기
KR20050075944A (ko) 2004-01-19 2005-07-26 주식회사 참 존 용기 캡
KR200389430Y1 (ko) 2005-04-14 2005-07-14 길경문 보조커버가 구비된 화장품용 뚜껑
KR200438528Y1 (ko) 2006-12-20 2008-02-26 (주)아모레퍼시픽 간섭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스냅 힌지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의 원터치 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444A (ko) 2021-09-07 2023-03-14 박영란 튜브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731B2 (en) Closure with lid and slidable latch system
JP6275774B2 (ja) ボトルのような容器のためのキャップ
US10239647B2 (en) Squeezable leak proof feeding bottle
JP6110041B2 (ja) 折り畳み可能なストローを有する、ボトルのための蓋
US20060138169A1 (en) Multiple chamber container
JP2020109017A (ja) 容器用キャップ
US9387965B2 (en) One-piece squeeze-to-dose dispensing closure
JP6084504B2 (ja) 注出容器
US9409760B1 (en) Fluid dispenser
JP5813580B2 (ja) 二重容器
JP6100059B2 (ja) 注出容器
KR20150004664U (ko) 화장품용기 뚜껑
CN106800133B (zh) 一种转动打开的盖子
US3007614A (en) Dispenser closure
JP5590554B2 (ja) 塗布容器
US2698115A (en) Collapsible paste tube or the like
JP5076184B2 (ja) キャップ付き注出口体
JP2006240634A (ja) 高粘度液体用容器のキャップ
KR20140085847A (ko) 눌러서 여는 뚜껑의 돌려서 짜내는 잔량 확인가능 연고 용기
JP2016120927A (ja) 容器
JP7080748B2 (ja) 注出キャップ
JP6897365B2 (ja) ボトル中栓
JP2012232784A (ja) 高粘度液体用容器の逆さキャップ
KR101905179B1 (ko) 오염방지부가 형성된 튜브용기
JP2022117314A (ja) 液体容器及び液体容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