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076A -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076A
KR20200089076A KR1020190005714A KR20190005714A KR20200089076A KR 20200089076 A KR20200089076 A KR 20200089076A KR 1020190005714 A KR1020190005714 A KR 1020190005714A KR 20190005714 A KR20190005714 A KR 20190005714A KR 20200089076 A KR20200089076 A KR 20200089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stick
container
makeup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190005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9076A/ko
Priority to PCT/KR2020/000343 priority patent/WO2020149569A1/ko
Publication of KR2020008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45D40/065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2Casings with provision for preventing undesired movement of the stic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폭이 넓은 타원형의 오버캡 일측에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의 본체를 삽입한 상태로 회전체를 결합하고, 타측에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도구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스틱 화장품을 피부에 직접 바르거나, 화장도구로 넓게 펴 바를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의 회전체를 오버캡으로부터 분리하기 전에는 회전체가 회전되지 않아 휴대 시 오작동으로 인한 스틱 화장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회전체의 회전 작동에 의해 본체로부터 스틱 화장품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 상기 스틱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도구 및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와 화장도구가 양측 단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결합되어 폐쇄되는 오버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A 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makeup tools}
본 발명은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폭이 넓은 타원형의 오버캡 일측에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의 본체를 삽입한 상태로 회전체를 결합하고, 타측에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도구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스틱 화장품을 피부에 직접 바르거나, 화장도구로 넓게 펴 바를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의 회전체를 오버캡으로부터 분리하기 전에는 회전체가 회전되지 않아 휴대 시 오작동으로 인한 스틱 화장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로 들어오면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화장품을 찾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상기 화장품은 용도에 따라 피부에 보습 효과를 주며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기초화장품과 피부톤을 정리하거나 특정부위를 강조하기 위한 색조화장품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색조 화장품은 피부의 잡티를 감추고 피부톤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과 입술, 뺨, 눈가 등의 부위에 색상을 부여하고 강조하기 위한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에 속하는 것으로는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이 있으며, 상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에 속하는 것으로는 블러셔, 립스틱,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이 있다.
상기 색조 화장품 중, 파운데이션이나 블러셔 등의 제품은 개구부가 넓은 접시 모양의 용기에 고형의 상태로 수용되며, 퍼프(puff)를 이용하여 화장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다시 말해, 파운데이션이나 블러셔 등 분체가 고형을 이루는 화장품의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힌지축으로 축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과, 상기 용기와 뚜껑의 사이에 형성되며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퍼프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뚜껑을 개방하고 퍼프에 내용물을 묻혀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퍼프를 들고 용기에 내장된 화장품을 찍어 피부에 발라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으며, 퍼프 등의 별도의 화장도구를 구비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화장도구를 분실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특허 제10-0931968호에 화장품 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고형의 파운데이션을 출몰식으로 내장하는 용기체와, 상기 용기체의 주입구상에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는 분첩수납통과, 상기 분첩수납통의 외표면에 부착 설치되는 거울과, 상기 분첩수납통의 상부에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면서 내부에 분첩이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 설치되는 뚜껑체로 구성함으로써, 보관 및 휴대시에는 고형의 파운데이션과 더불어, 화장의 마무리용 분첩을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시에는 뚜껑을 개방하여 분첩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조절노브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조절노브가 가방 내에서 다른 물건과 쓸리면서 회전되어 파운데이션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파운데이션 화장품이 용기 내부에서 뭉개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화장 시, 조절노브를 회전시켜 고형의 파운데이션을 외부로 출몰한 후 사용하는데, 이때 조절노브의 회전에 의한 고형 파운데이션의 출몰 길이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없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폭이 넓은 타원형의 오버캡 양측 단부에 각각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와 화장도구를 결합하고, 이를 통해 선택적으로 스틱 화장품을 화장하고자 하는 부위에 직접 바르거나, 화장도구로 넓게 펴 바르는 등 사용자가 스틱 화장품의 도포 방식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버캡의 일측에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의 본체를 삽입한 상태로 회전체를 결합하고, 타측에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도구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의 회전체를 오버캡으로부터 분리하기 전에는 상기 회전체가 회전되지 않아 휴대 시 오작동으로 인한 스틱 화장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회전체의 회전 작동에 의해 본체로부터 스틱 화장품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 상기 스틱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도구 및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와 화장도구가 양측 단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결합되어 폐쇄되는 오버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는 제1 회전각도조절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이동되며 스틱 화장품이 부착되고 나사홈이 형성된 승하강접시와,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서 함께 회전되고 나사돌기가 형성된 작동부재와,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는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도구는 화장도구 손잡이와, 상기 화장도구 손잡이로부터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도포부재 및 상기 도포부재를 감싸면서 화장도구 손잡이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버캡은 두께보다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타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버캡의 일측 단부에는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의 본체를 삽입한상태로 회전체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화장도구의 도포부재를 삽입한 상태로 화장도구 손잡이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폭이 넓은 타원형의 오버캡 양측 단부에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와 화장도구를 결합하고, 이를 통해 선택적으로 스틱 화장품을 화장하고자 하는 부위에 직접 바르거나, 화장도구로 넓게 펴 바르는 등 사용자가 스틱 화장품의 도포 방식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오버캡의 일측에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의 본체를 삽입한 상태로 회전체를 결합하고, 타측에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도구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의 회전체가 오버캡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회전되지 않아 휴대 시 오작동으로 인한 스틱 화장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의 본체로부터 회전되는 회전체의 회전 각도가 항상 일정하게 제어됨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한 스틱 화장품의 인출 사용 시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스틱 화장품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를 오버캡으로부터 분리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로부터 밀폐부재를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로부터 스틱 화장품을 인출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로부터 스틱 화장품을 일정 길이로 인출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화장도구를 오버캡으로부터 분리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화장도구에 구비된 정렬부재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와, 화장도구(20) 및 오버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는 내부에 내장된 스틱 화장품(S)을 회전 작동에 의해 외부로 인출시키거나, 내부로 인입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는 오버캡(3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오버캡(30)과 마찬가지로 양측면 사이의 길이가 길고, 전면과 후면 사이의 길이가 짧은 형태 즉, 폭이 넓고 두께가 좁은 타원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는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가 형성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12)와, 상기 본체(11)의 내측에서 이동되며 스틱 화장품(S)이 부착되고 나사홈(134a)이 형성된 승하강접시(13)와, 상기 회전체(12)의 내측에서 함께 회전되고 나사돌기(142a)가 형성된 작동부재(14)와, 상기 회전체(12)의 내측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체(12)와 함께 회전되는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 및 상기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의 일측에는 입구부(112)가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112)를 통해 승하강접시(13)에 부착된 스틱 화장품(S)이 외부로 인출 또는 본체(11)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에 형성된 입구부(112)의 반대쪽 중앙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관통홀(114)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관통홀(114)의 외측에는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되어 본체(11)와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에는 제1 곡면삽입부(116a)와 제1 곡면돌출부(116b)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곡면삽입부(116a)는 입구부(112)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이며, 상기 제1 곡면돌출부(116b)는 입구부(112)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곡면 형상으로, 상기 제1 곡면삽입부(116a)와 제1 곡면돌출부(116b)는 서로 번갈아가며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는 회전체(12) 및 작동부재(40)와 회전 가능하게 언더컷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입구부(112)에 밀폐부재(17)가 더 결합되어 상기 입구부(11)를 막음으로써, 본체(11)에 내부의 밀폐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체(12)는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키는 부분으로, 본체(11)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2)의 중앙에는 회전체관통홀(122)이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체관통홀(122)에는 본체(11)의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가 관통되면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언더컷 결합된다.
상기 회전체(12)의 내측에는 한 쌍의 수직삽입홈(126)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 체결단턱(125)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단턱(125)과 인접하게 제1 체결돌기(127)가 형성되어 오버캡(3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12)의 일측 단부에는 마감캡(18)이 더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12)의 일측 단부를 막게 된다.
상기 승하강접시(13)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1)의 내측에 위치되어 본체(11)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데, 상기 승하강접시(13)는 접시부(132)와 상기 접시부(132)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나사결합부(1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시부(132)에는 스틱 화장품(S)이 부착되어 상기 접시부(132)의 직선 이동에 의해 스틱 화장품(S)이 본체(10)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결합부(134)의 외주연에는 나사홈(134a)이 형성되는데, 상기 나사결합부(134)가 작동부재(14)의 중앙원통(142)에 삽입되면서 상기 나사결합부(134)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홈(134a)과 중앙원통(142)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돌기(142a)가 서로 나사 결합된다.
상기 작동부재(14)는 회전체(12)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체(12)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작동부재(14)의 중앙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원통(142)이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중앙원통(142)의 외측에는 한 쌍의 측면판(144)이 중앙원통(142)과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재(14)의 중앙원통(142)은 본체(11)의 본체관통홀(114)을 관통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언더컷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원통(142)의 내주연에는 나사돌기(142a)가 형성되는데, 상기 나사돌기(142a)는 승하강접시(13)의 나사홈(134a)과 나사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14)의 측면판(144) 양측면에는 돌출부(146)가 형성되어 회전체(12)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측면판(144) 내주면에는 수직가이드바(144a)가 형성되어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의 상, 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는 회전체(12)의 내측에서 상, 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의 외주연에는 한 쌍의 수직삽입편(152)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삽입편(152)은 회전체(12)의 수직삽입홈(126)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가 수평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의 수직삽입편(152)의 외주면에는 수직가이드홈(152a)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가이드홈(152a)에는 작동부재(14)의 수직가이드바(144a)가 삽입되어 상기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의 일측 단부에는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의 제1 곡면삽입부(116a) 및 제1 곡면돌출부(116b)와 대응되는 제2 곡면삽입부(156a) 및 제2 곡면돌출부(156b)가 형성된다. 즉,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의 제1 곡면돌출부(116b)는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의 제2 곡면삽입부(156a)에 삽입되고,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의 제2 곡면돌출부(156b)는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의 제1 곡면삽입부(116a)에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의 제1 곡면삽입부(116a) 및 제1 곡면돌출부(116b)와 대응되도록,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의 제2 곡면삽입부(156a)는 회전체(12)의 회전관통홀(122) 반대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이며, 제2 곡면돌출부(156b)는 회전체(12)의 회전체관통홀(122) 방향으로 돌출된 곡면 형상이고, 상기 제2 곡면삽입부(156a)와 제2 곡면돌출부(156b)는 서로 번갈아가며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곡면삽입부(156a)와 제2 곡면돌출부(156b)는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의 상부 내측에 단턱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의 제1 곡면삽입부(116a)와 제1 곡면돌출부(116b)의 단부가 안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의 제1 곡면삽입부(116a)와 제1 곡면돌출부(116b)가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의 제2 곡면삽입부(156a)와 제2 곡면돌출부(156b)로부터 어긋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6)는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를 본체(11)의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의 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16)는 작동부재(14)의 중앙원통(142)을 감싸면서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16)의 일측은 작동부재(14)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타측은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에 밀착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는 본체(11)로부터 회전체(12)의 회전 시,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가 탄성부재(16)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 하 이동되면서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와 일정한 회전 각도에서 반복적으로 맞물리게 하여 회전체(12)의 회전 각도를 항상 일정한 각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체(12)의 회전에 의한 스틱 화장품(S)의 인출 사용 시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스틱 화장품(S)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화장도구(20)는 스틱 화장품(S)을 피부에 도포하는 도구로써, 상기 화장도구(20)는 오버캡(3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오버캡(30)과 마찬가지로 폭이 넓고 두께가 좁은 타원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도구(20)는 화장도구 손잡이(22)와, 상기 화장도구 손잡이(22)로부터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도포부재(24) 및 상기 도포부재(24)를 감싸면서 화장도구 손잡이(22)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렬부재(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장도구 손잡이(22)는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는 부분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는 개방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221)로 도포부재(24)와 정렬부재(26)가 삽입된다.
상기 화장도구 손잡이(22)의 내주면에는 수직안내홈(222)이 형성되어 정렬부재(26)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장도구 손잡이(22)의 개방부(221) 일측에는 반원 형상의 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정렬부재(26)의 파지부(264)가 삽입된다.
상기 화장도구 손잡이(22)의 외주면에는 제2 체결단턱(22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단턱(225)과 인접하게 제2 체결돌기(227)가 형성되어 오버캡(3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화장도구 손잡이(22)의 개방부(221) 반대편에는 결합부재(2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8)는 화장도구 손잡이(22)의 일측 단부를 마감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도포부재(24)를 고정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28)에는 도포부재 결합돌륜(282)이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도포부재 결합돌륜(282)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손잡이 결합돌륜(284)이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도포부재 결합돌륜(282)은 도포부재(24)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 결합돌륜(284)은 화장도구 손잡이(22)와 고정 결합된다.
상기 도포부재(24)는 사용자의 피부에 대고 문지르면서 화장품을 넓게 펴 바르는 도포부(242)와 상기 도포부(242)를 화장도구 손잡이(22)에 연결시키는 연결부(244)로 나뉠 수 있다.
상기 도포부(242)는 브러시(Brush)나 퍼프(Puff)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에 내장된 스틱 화장품(S)의 종류 또는 화장법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44)의 안쪽에는 도포부(242)가 부착되며, 상기 도포부(242)가 부착된 부분의 맞은편에는 결합돌륜(246)이 연장 형성되어 도포부재 결합돌륜(282)과 결합된다.
상기 정렬부재(26)는 화장도구 손잡이(22)로부터 직선 이동되면서 외측으로 벌어진 도포부(242)를 중앙으로 모아주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화장도구(20)를 오버캡(30)에 결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정렬부재(26)를 화장도구 손잡이(22)로부터 인출시켜 외측으로 벌어진 도포부(242)를 중앙으로 모으면서 오버캡(30)에 삽입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화장도구(20)로 화장을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정렬부재(26)를 화장도구 손잡이(22)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정렬부재(26)가 화장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도포부(242)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을 피부에 넓게 펴 바르는 데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6)의 외주면에는 수직안내돌기(262)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안내돌기(262)는 화장도구 손잡이(22)의 수직안내홈(222)에 삽입되어 정렬부재(26)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정렬부재(26)의 일측 단부에는 안착턱(261)이 형성되어 화장도구 손잡이(22)의 개방부(221) 단부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턱(261) 중 일부분에는 반원 형상의 파지부(264)가 형성되어 화장도구 손잡이(22)의 삽입홈(224)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턱(261)의 반대편에는 이탈제한돌기(266)가 형성되어 정렬부재(26)의 인출 시 화장도구 손잡이(22)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226)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들을 통해 사용자가 정렬부재(26)를 손쉽게 잡고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정렬부재(26)가 화장도구 손잡이(22) 내측으로 완전히 들어가거나 외측으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오버캡(30)은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와 화장도구(20)를 개폐하는 커버로써, 상기 오버캡(30)의 양측 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으로 각각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와 화장도구(20)가 결합되어 보관되고, 사용 시 오버캡(30)으로부터 분리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더 자세하게는, 상기 오버캡(30)의 일측 단부에는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의 본체(11)를 삽입한 상태로 회전체(12)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화장도구(20)의 도포부재(24)를 삽입한 상태로 화장도구 손잡이(22)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와 오버캡(30)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체(12)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와 화장도구(20)가 오버캡(30)에 의해 함께 밀폐되는 것이다.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와 화장도구(20)는 오버캡(30)에 서로 반대 방향 즉,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오버캡(30)의 양측 단부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버캡(3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폭이 넓고 두께가 좁은 타원(ellipse) 또는 전방과 후방이 긴 직선이고 양 측방이 곡선으로 된 트랙(track)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버캡(30)에 일부분이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화장도구(20) 역시 폭이 넓은 형태로 형성되어 효율적으로 화장품을 피부에 펴 바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버캡(30)은 사용자가 오버캡(30) 내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오버캡(30)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오버캡(30)의 내부에 삽입된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와 화장도구(20)를 분리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의 편의성 및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오버캡(30)의 내주면에는 제1 체결홈(32)과 제2 체결홈(34)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체결홈(32)과 제2 체결홈(34)은 각각 오버캡(30)의 양측 단부에 가깝게 위치되며, 상기 제1 체결홈(32)은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의 회전체(12)에 형성된 제1 체결돌기(127)과 체결되고, 상기 제2 체결홈(34)은 화장도구(20)의 화장도구 손잡이(22)에 형성된 제2 체결돌기(227)와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도면에서는 오버캡(30)의 양측 단부에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와 화장도구(20)가 돌기와 홈에 의해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더컷 결합, 강제 끼움 결합, 자석과 자성체에 의한 결합 등 오버캡(30)에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와 화장도구(20)가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의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오버캡(30)의 개방된 양측 단부에 각각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와 화장도구(20)를 반대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하여 보관하다가 분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을 할 때 선택적으로 스틱 화장품을 화장하고자 하는 부위에 직접 바르거나, 화장도구로 넓게 펴 바르는 등 사용자가 스틱 화장품의 도포 방식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버캡(30)을 폭이 넓고 두께가 좁은 타원형 또는 트랙(track)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오버캡(30)에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의 회전체(12)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또는 보관 시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가 오버캡(30)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는 상기 회전체(12)가 회전되지 않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체(12)의 오작동으로 인한 스틱 화장품(S)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를 오버캡으로부터 분리한 후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로부터 밀폐부재를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로부터 스틱 화장품을 인출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화장도구를 오버캡으로부터 분리한 후 화장도구의 정렬부재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오버캡(30)으로부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를 분리하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로부터 밀폐부재(17)를 분리한다.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1)로부터 회전체(12)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체(12)와 고정 결합된 작동부재(14) 및 회전체(12)와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가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가 회전되면, 고정된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의 제1 곡면삽입부(116a)에 의해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의 제2 곡면돌출부(156b)가 하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제2 곡면돌출부(156b)가 제1 곡면삽입부(116a)에서 빠져나와 자연스럽게 제1 곡면돌출부(116b)를 타고 넘어가는 순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가 탄성부재(16)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15)의 제2 곡면돌출부(156b)가 다시 제1 회전각도조절부(116)의 제1 곡면삽입부(116a)에 탄력적으로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14)가 회전되면서 작동부재(14)와 나사 결합된 상태로 회전이 제한된 승하강접시(13)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승하강접시(13)의 일측에 부착된 스틱 화장품(S)이 본체(11)의 입구부(112)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후,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의 본체(11) 외부로 인출된 스틱 화장품(S)을 피부에 대고 바르면서 화장을 한 다음,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10)의 회전체(12)를 반대로 회전시켜 스틱 화장품(S)을 본체(11) 내측으로 삽입한 후, 오버캡(30)의 내측으로 본체(11)를 삽입하면서 상기 오버캡(30)에 회전체(12)를 결합한다.
한편, 화장도구(20)를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된 화장품을 넓게 펴 바르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버캡(30)으로부터 화장도구(20)를 분리한다.
이후,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도구(20)의 정렬부재(26)를 화장도구 손잡이(22)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하여 상기 정렬부재(26)가 화장에 방해되지 않으면서 도포부(242)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한 다음, 상기 도포부(242)를 피부에 대고 문지르면서 화장품을 넓게 펴 바른다.
이후, 화장이 끝난 후에는 상기 화장도구(20)의 정렬부재(26)를 화장도구 손잡이(22)로부터 잡아빼 도포부(242)를 중앙으로 모은 다음, 상기 화장도구(20)를 오버캡(30)에 다시 결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사용을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 11: 본체
12: 회전체 13: 승하강접시
14: 작동부재 15: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
16: 탄성부재 17: 밀폐부재
18: 마감캡 S: 스틱 화장품
20: 화장도구 22: 화장도구 손잡이
24: 도포부재 26: 정렬부재
28: 결합부재 30: 오버캡

Claims (5)

  1. 회전체의 회전 작동에 의해 본체로부터 스틱 화장품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
    상기 스틱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도구 및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와 화장도구가 양측 단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결합되어 폐쇄되는 오버캡을 포함하는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는 제1 회전각도조절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이동되며 스틱 화장품이 부착되고 나사홈이 형성된 승하강접시와,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서 함께 회전되고 나사돌기가 형성된 작동부재와,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는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제2 회전각도조절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도구는 화장도구 손잡이와, 상기 화장도구 손잡이로부터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도포부재 및 상기 도포부재를 감싸면서 화장도구 손잡이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캡은 두께보다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타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캡의 일측 단부에는 스틱 화장품 인출용기의 본체를 삽입한 상태로 회전체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화장도구의 도포부재를 삽입한 상태로 화장도구 손잡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20190005714A 2019-01-16 2019-01-16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20200089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714A KR20200089076A (ko) 2019-01-16 2019-01-16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PCT/KR2020/000343 WO2020149569A1 (ko) 2019-01-16 2020-01-08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714A KR20200089076A (ko) 2019-01-16 2019-01-16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076A true KR20200089076A (ko) 2020-07-24

Family

ID=7161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714A KR20200089076A (ko) 2019-01-16 2019-01-16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89076A (ko)
WO (1) WO202014956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500A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씨티케이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2616181B1 (ko) * 2022-07-13 2023-12-20 주식회사 정훈 정합자석이 구비된 회전형 화장품용기
WO2024071798A1 (ko) * 2022-09-29 2024-04-04 정재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552A1 (en) * 2004-06-29 2006-01-05 Kim Yoon-Hoi Lip package
KR101383079B1 (ko) * 2013-01-10 2014-04-08 김영호 회전 액상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200473460Y1 (ko) * 2013-05-09 2014-07-04 (주)톨리코리아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
KR200487502Y1 (ko) * 2017-10-12 2018-11-13 주식회사 리치코스 컨실러 용기
KR101965291B1 (ko) * 2017-11-27 2019-04-03 펌텍코리아(주) 회전체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로 제어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500A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씨티케이 스틱형 화장품 용기
WO2022108009A1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스틱형 화장품 용기
US11930910B2 (en) 2020-11-20 2024-03-19 Ctk Cosmetics Co., Ltd. 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KR102616181B1 (ko) * 2022-07-13 2023-12-20 주식회사 정훈 정합자석이 구비된 회전형 화장품용기
WO2024071798A1 (ko) * 2022-09-29 2024-04-04 정재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569A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6949B2 (en) Cosmetic storage and application device
US7168435B2 (en) Material dispenser with applicator
KR20200089076A (ko)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CN111386058B (zh) 用于以预定角度控制旋转体的旋转角度的杆状化妆品容器
US5970989A (en) Makeup kit
CN104886914B (zh) 具有杆状化妆品容器的粉盒容器
CN111655066A (zh) 尖头涂敷器及包含其的化妆品涂敷装置
KR20180116436A (ko) 눈썹 솔 도포기
EP3766379A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improved opening/closing structure for different cosmetic materials
CA2461589A1 (en)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US20150272297A1 (en) Multifunctional Cosmetic Applicator
US20200253357A1 (en) Stem with bayonet closure and device equipped therewith
KR101539757B1 (ko) 아이라이너 및 아이섀도우 겸용 눈 화장 도구
KR102351643B1 (ko) 마스카라
KR102482404B1 (ko) 화장료 용기
KR101478294B1 (ko) 화장품 용기
KR20200060819A (ko) 이종의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019460B1 (ko) 화장 도구
KR101908918B1 (ko) 화장도구의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케이스
KR20210145998A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스틱 화장품 용기
KR200494860Y1 (ko) 화장 용기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102311515B1 (ko) 화장 도구
US20020164193A1 (en) Cosmetic system
US20200337441A1 (en) 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with a closed structure